KR20130094089A - 황금 추출물 및 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금 추출물 및 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089A
KR20130094089A KR1020120015468A KR20120015468A KR20130094089A KR 20130094089 A KR20130094089 A KR 20130094089A KR 1020120015468 A KR1020120015468 A KR 1020120015468A KR 20120015468 A KR20120015468 A KR 20120015468A KR 20130094089 A KR20130094089 A KR 20130094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egar
extract
hair
scutellaria baicalensi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0503B1 (ko
Inventor
배우리
김수나
김아름
강병하
이존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015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5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 및 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황금 추출물과 식초를 함유하여 모발의 생장을 촉진시키고 탈모를 방지 및 개선시킬 수 있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금 추출물 및 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and vinegars for scalp or hair}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 및 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황금 추출물과 식초를 함유하여 모발의 생장을 촉진시키고 탈모를 방지 및 개선시킬 수 있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15만개 정도로,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거쳐 성장, 퇴화를 반복하게 된다. 모발은 성장하는 성장기(Anagen), 성장기가 끝나고 모발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대사 과정이 느려지는 퇴행기(Catagen) 및 모유두가 위축되고 모낭이 차츰 위축되어 모근이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 모낭이 작아지는 휴지기(Telogen)의 3단계의 주기를 반복하는데, 이와 같은 모발의 주기 및 수명은 영양 상태, 병력, 유전, 체질, 호르몬 분비 또는 노화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탈모는 자연적 과정들을 통해 발생하거나, 암과 같은 증상들을 경감시키기 위해 고안된 특정 치료 약물의 사용에 의해 화학적으로 촉진되는 문제이다. 이러한 탈모는 부분적 또는 완전한 대머리를 유발하는 모발 재성장의 결여를 수반한다.
최근 환경 오염, 스트레스, 다이어트, 피로, 올바르지 않은 식습관 등으로 인해 탈모증을 가진 현대인이 많아짐에 따라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는 남성 또는 여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공개특허 제2010-0050647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두피에서의 부작용은 없으면서 두피 세포의 증식을 활성화시켜 탈모방지 및 육모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조성물을 연구한 결과, 황금 추출물을 식초와 함께 사용할 경우, 특히 초자법으로 가공처리한 황금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 모유두 세포의 증식 및 두피 진피 세포의 증식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모발의 생장을 촉진시키고 탈모를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황금 추출물과 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황금 추출물을 식초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제공하면서 두피의 세포 증식을 활성화시켜 모근을 강화하고, 따라서 탈모 현상 감소 및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황금 추출물과 식초를 이용한 황금초자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의 모낭 모유두 세포 증식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황금 추출물과 식초를 이용한 황금초자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의 칼륨 이온 채널 활성 증가 효과를 세포 생존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황금 추출물과 식초를 이용한 황금초자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모발 생장 촉진”이라 함은 새로운 모발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존 모발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것도 의미하며, 두피로부터 모발이 탈락하는 현상 및 모발이 성기거나 가늘어지는 상태를 예방하고 억제하는 것 등을 모두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황금 추출물과 식초를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초자법으로 가공처리한 황금 추출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황금(黃芩, Scutellaria baicalensis)은 꿀풀과(Labiatae/Lamiaceae)에 속하는 초본 식물로서, 한의학적으로 열을 내리고 해독의 목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약재이며, 주로 뿌리를 약용한다. 황금의 뿌리를 채취하여 뿌리 껍질을 벗겨보면 黃金(황금)같은 색을 띄기 때문에 황금이라 불리게 되었다. 황금은 몸에 열독이 오르거나 오한 등이 잦은 것을 치료하는데, 주로 폐에 열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에 사용된다.
포제(匍制)는 한방이론에 근거하여 약재를 가공처리 함으로써 약재 본래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제약기술(製藥技術)로서, ① 약물을 청결하게 하고, 저장에 용이하게 하며, ② 약물의 독성과 부작용을 저하시키거나 제거하고, ③ 약성을 변화시켜 약을 더욱 효과적으로 만드며, ④ 약물의 치료 효과를 증강시키고, ⑤ 약재의 나쁜 냄새와 맛을 없애 복용하기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포제는 경우에 따라서 보료(輔料)를 가하여 함께 가공하는데, 보료를 사용하는 것은 변증에 따라 용약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이다. 약물의 포제에 사용하는 보료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기 다른 성질과 작용이 있으며, 이로 인해 포제한 약재가 일으키는 작용도 각기 다르다. 상용되는 보료의 종류는 무수히 많으나, 일반적으로는 크게 액체 보료와 고체 보료로 분류할 수 있다. 액체 보료로는 술, 식초, 꿀, 생강즙, 감초즙, 흑두즙, 식염수, 미감수, 젖, 동변(7세 미만 아이의 소변), 석회수 등을 사용하며, 고체 보료로는 쌀, 밀기울, 백반, 두부, 흙, 합분, 모래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포제법 중 약재를 일정량의 보료(다양한 술, 소금, 꿀, 생강 등)와 함께 볶아 보료가 약재 내에 스며들게 하는 방법인 자(炙)의 방법을 사용하며, 특히 약재에 식초를 넣어 가공하는 초자(醋炙)의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식초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곡물이나 과일을 발효한 식초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곡물식초로서 쌀식초 또는 보리식초, 과일식초로서 사과식초 또는 레몬식초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초자법으로 황금을 가공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g의 황금에 5g의 식초를 넣어 가공함으로써 초자법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비율로 황금과 식초를 80~200℃에서 1분~1시간 볶아 황금을 가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황금 추출물 또는 황금초자 추출물은 황금 또는 초자법으로 가공한 황금으로부터 물, 열수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수득한다.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과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상기의 방법으로 추출된 황금 추출물을 식초와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황금 추출물을 0.001~50중량%, 식초를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상기의 방법으로 추출된 황금초자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황금초자 추출물을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황금 추출물을 식초와 함께 사용하거나, 특히 초자법으로 가공한 황금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원료의 효능을 극대화시켜 우수한 모근강화, 혈행촉진, 항산화 등의 효능을 제공하여, 발모, 육모, 양모의 촉진 효과 및 탈모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가 가능하며, 투여 방법에 따라 적절한 제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 제형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토닉 등의 가용화제, 유액, 크림 등의 유화제, 연고, 분산액, 젤, 에어졸, 무스 등의 피부 외용제의 임의의 제형을 취할 수 있다. 또한 그 제품 형태도 탈모 방지, 발모, 육모, 양모 등의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헤어케어용 의약품, 의약부외품 또는 화장용품으로서, 예를 들면 발모촉진제, 육모료, 두피 트리트먼트제, 비누,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팩, 로션, 컨디셔너, 헤어오일, 무스, 크림 등의 피부 외용제 또는 피부 세정제 등의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형제, 용액제, 유제, 분산제, 미셀, 리포좀, 연고제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경구 또는 비경구로 적용하기에 적합한 유기 또는 무기 담체 또는 부형제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정제, 산제, 펠렛제, 캡슐제, 좌약제, 용액제, 유제, 현탁제, 액제, 젤리 및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기타 형태에 대해 일반적으로 비독성인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혼합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담체에는 고체상, 반고체상 또는 액체상의 포도당, 유당, 아라비아 고무, 젤라틴, 만니톨, 전분 페이스트, 삼규산 마그네슘염, 활석, 옥수수 전분, 각질(角質), 코로이드성 실리카, 감자 전분, 우레아, 쇄 길이가 중간 정도인 트리글리세리드, 덱스트란 및 제제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타 담체가 포함된다. 또한, 보조제, 안정화제, 증점제, 착색제 및 향료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황금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황금 1kg에 열수로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황금 추출물을 얻었다.
[참고예 2] 쌀식초의 제조
현미로 지은 고두밥 위에 누룩가루를 뿌려 3개월 이상 발효시킨 후, 이를 걸러서 쌀식초를 제조하였다.
[참고예 3] 보리식초의 제조
보리로 지은 고두밥 위에 누룩가루를 뿌려 3개월 이상 발효시킨 후, 이를 걸러서 보리식초를 제조하였다.
[참고예 4] 사과식초의 제조
사과를 깨끗하게 씻어 적당한 크기로 썰은 것을 항아리나 소독한 유리병에 담고, 그 위에 누룩가루룰 뿌려 3개월 이상 발효시킨 후, 이를 걸러서 사과식초를 제조하였다.
[참고예 5] 레몬식초의 제조
레몬을 깨끗하게 씻어 적당한 크기로 썰은 것을 항아리나 소독한 유리병에 담고, 그 위에 누룩가루룰 뿌려 3개월 이상 발효시킨 후, 이를 걸러서 사과식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쌀식초를 이용한 황금초자(醋炙)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황금 1kg에 상기 참고예 2의 쌀식초 50~100g을 약재에 충분히 흡수 시킨 후 100~160℃에서 10분~1시간 동안 볶은 후 그늘에 말렸다. 이것을 열수로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황금초자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보리식초를 이용한 황금초자(醋炙)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황금 1kg에 상기 참고예 3의 보리식초 50~100g을 약재에 충분히 흡수 시킨 후 100~160℃에서 10분~1시간 동안 볶은 후 그늘에 말렸다. 이것을 열수로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황금초자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사과식초를 이용한 황금초자(醋炙)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황금 1kg에 상기 참고예 4의 사과식초 50~100g을 약재에 충분히 흡수 시킨 후 100~160℃에서 10분~1시간 동안 볶은 후 그늘에 말렸다. 이것을 열수로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황금초자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4] 레몬식초를 이용한 황금초자(醋炙)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황금 1kg에 상기 참고예 5의 레몬식초 50~100g을 약재에 충분히 흡수 시킨 후 100~160℃에서 10분~1시간 동안 볶은 후 그늘에 말렸다. 이것을 열수로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황금초자 추출물을 얻었다.
[시험예 1] 모낭 모유두 세포 증식 효과 시험
모발을 구성하는 케라틴 단백질은 모근부 케라틴형성세포 (keratinocyte)에서 생성되며, 이 케라틴형성세포는 모유두 세포로부터 분화된다. 본 조성물의 모유두 세포를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DP6(rat immortalized dermal papilla cell) 세포주를 사용하였다(Wendy Filsell, Journal of Cell Science 107, 1761-1772 (1994)). 본 모유두 세포주는 수컷 PVG 래트 수염의 모근에서 현미해부(microdissection) 방법으로 분리하여 배양한 세포주이며, 10% 소태아혈청(FBS)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BRL, Gaithersburg, MD, USA)에서 5% CO2, 37℃가 유지되는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DP6를 96-웰 플레이트에 24시간 동안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료를 처리하였으며, 이때 황금 추출물과 식초는 20:1의 비율로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대조군은 용매만을 처리하였으며, 용매로는 물을 사용하였다. 시료를 처리하고 24시간 경과 후에 WST-1 키트(Roche)를 사용하여 세포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시료 세포 증식능(%)
무처리군 100
용매처리군 500ppm 102
황금 추출물 1ppm 118
쌀식초 1ppm 110
황금 추출물+쌀식초 1ppm 122
황금초자 추출물(쌀식초) 1ppm 149
황금초자 추출물(쌀식초) 2ppm 147
황금초자 추출물(쌀식초) 5ppm 171
보리식초 1ppm 109
황금 추출물+보리식초 1ppm 120
황금초자 추출물(보리식초) 1ppm 136
사과식초 1ppm 107
황금 추출물+사과식초 1ppm 118
황금초자 추출물(사과식초) 1ppm 133
레몬식초 1ppm 104
황금 추출물+레몬식초 1ppm 118
황금초자 추출물(레몬식초) 1ppm 135
상기 표 1을 보면, 황금 추출물만을 처리한 경우에도 무처리군에 비하여 모유두 세포 증식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초를 처리한 경우는 황금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보다는 모유두 세포 증식능이 미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황금 추출물과 식초를 섞어서 사용한 경우에는 상승 효과에 의하여 보다 우수한 모유두 세포 증식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식초를 이용하여 제조한 황금초자 추출물의 경우 동일 농도에서 황금 추출물과 식초를 섞은 경우보다 약 2배 정도로 더 높은 모유두 세포 증식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칼륨 이온 채널 활성 증가 효과 평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물질의 칼륨 이온 채널 활성 증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피의 진피를 구성하는 섬유아 세포에서 KATP 채널을 막는 톨부타미드(SIGMA AlDRICH, T0891)를 처리하여 세포증식을 억제하고, 다시 칼륨 이온 채널을 열어 세포증식이 회복되는 시험법을 사용하였다.
본 조성물의 KATP 채널 오프너로서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섬유아세포주인 NIH3T3(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 line)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본 세포주는 NIH 스위스 마우스 배아(Swiss mouse embryo)에서 분리한 섬유아 세포주를 3T3 프로토콜로 자연 불멸화시킨 세포주이다. 상기 세포주는 10% 소혈청(FBS)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BRL, Gaithersburg, MD, USA)에서 5% CO2, 37℃가 유지되는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NIH3T3를 96-웰 플레이트에 24시간 동안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2.5mM 톨부타미드를 처리하고, 10분 뒤에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료를 처리하였으며, 이때 황금 추출물과 식초는 20:1의 비율로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양성 대조군으로는 잠재적인 미토콘드리아 칼륨 이온 채널 오프너(KATP channel opener)로 알려져 있고 안드로겐성 탈모의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물인 미녹시딜을 사용하였다. 시료를 처리하고 48시간 경과 후에 WST-1 키트(Roche)를 사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시료 세포 생존율(%)
무처리군 100.0
톨부타미드 2.5mM 58.8
미녹시딜 10μM 131.1
황금 추출물 50ppm 105.5
쌀식초 50ppm 102.7
황금 추출물+쌀식초 50ppm 107.2
황금초자 추출물(쌀식초) 50ppm 129.1
보리식초 50ppm 101.9
황금 추출물+보리식초 50ppm 106.8
황금초자 추출물(보리식초) 50ppm 125.1
사과식초 50ppm 101.4
황금 추출물+사과식초 50ppm 106.1
황금초자 추출물(사과식초) 50ppm 123.7
레몬식초 50ppm 100.2
황금 추출물+레몬식초 50ppm 106.3
황금초자 추출물(레몬식초) 50ppm 123.4
상기 표 2를 보면, 황금 추출물만을 처리한 경우에도 무처리군에 비하여 세포 생존율이 높긴 하지만, 칼륨 이온 채널이 열리는 수준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금 추출물을 식초와 함께 처리한 경우에는 세포 생존율이 황금 추출물만을 사용한 경우보다 상승하였다.
또한, 황금초자 추출물의 경우에는 동일 농도에서 황금 추출물과 식초를 섞은 경우보다 훨씬 더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여 칼륨 채널이 오픈되는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이는 기존의 탈모 치료제인 미녹시딜과 거의 유사한 정도이었다.
[시험예 3] 항산화 효과 평가
본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DPPH 항산화 평가법을 사용하였다. 체내에서 일어나는 산화 반응은 주로 자유 라디칼에 의해 일어나고, 이러한 작용은 세포의 노화 및 암 발생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체내의 자유 라디칼 생성 억제는 결국 체내 항산화, 항노화와 연관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항산화 효과는 체내의 자유 라디칼을 대상으로 실험하기 어렵기 때문에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DPPH 라디칼은 짙은 보라색을 띠고 있는데 항산화 효능 물질과 만나 반응하면 옅은 노란색으로 바뀌며, 517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산화능을 평가한다. 항산화능이 높은 물질일수록 색이 옅은 노란색을 띠면서 흡광도가 낮아진다.
본 실험에서는 96-웰 플레이트에 0.1mM DPPH용액을 넣은 후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료를 처리하였으며, 이때 황금 추출물과 식초는 20:1의 비율로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양성 대조군으로는 공지된 항산화제인 비타민 C를 사용하였다. 시료를 처리한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O.D. (517nm)
무처리군 0.494
비타민 C(양성 대조군) 25ug/ml 0.218
50ug/ml 0.143
100ug/ml 0.153
황금 추출물 125ppm 0.421
쌀식초 125ppm 0.407
황금 추출물+쌀식초 125ppm 0.389
황금초자 추출물(쌀식초) 125ppm 0.309
250ppm 0.156
500ppm 0.100
보리식초 125ppm 0.405
황금 추출물+보리식초 125ppm 0.391
황금초자 추출물(보리식초) 125ppm 0.312
사과식초 125ppm 0.399
황금 추출물+사과식초 125ppm 0.392
황금초자 추출물(사과식초) 125ppm 0.311
레몬식초 125ppm 0.402
황금 추출물+레몬식초 125ppm 0.392
황금초자 추출물(레몬식초) 125ppm 0.315
상기 표 3을 보면, 황금 추출물만을 처리한 경우에도 무처리군에 비하여 항산화력이 높긴 하지만, 그 수준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황금 추출물을 식초와 함께 처리한 경우에는 항산화력이 황금 추출물만을 사용한 경우보다 상승하였다.
또한, 황금초자 추출물의 경우에는 동일 농도에서 황금 추출물과 식초를 섞은 경우보다 훨씬 더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식초를 500ppm을 처리한 경우에는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 C를 처리한 경우와 유사한 수준의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이용 가능한 제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샴푸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샴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황금초자 추출물 5
라우릴산황산나트륨(30%) 1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30%) 30
폴리쿼터늄-10 0.5
디메티콘 2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향료 0.4
염화나트륨 적량
구연산 적량
To 100
[제형예 2] 연고제
하기 표 5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g)
황금초자 추출물 1.0
덱스판테놀 1.5
스테아린산 1.0
유동파라핀 5.0
경납 4.0
세탄올 3.0
프로필렌글리콜 13.0
트리에탄올아민 1.5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025
안식향산프로필 0.015
폴리소르베이트 800.1
정제수 63.0

Claims (8)

  1. 유효성분으로서 황금 추출물과 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황금 추출물을 식초를 이용하여 초자법으로 가공처리한 황금의 추출물인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초는 곡물식초 또는 과일식초인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황금 추출물은 0.001~50중량%, 식초는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자법으로 가공처리한 황금의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세정제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근 강화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KR1020120015468A 2012-02-15 2012-02-15 황금 추출물 및 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KR101970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468A KR101970503B1 (ko) 2012-02-15 2012-02-15 황금 추출물 및 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468A KR101970503B1 (ko) 2012-02-15 2012-02-15 황금 추출물 및 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089A true KR20130094089A (ko) 2013-08-23
KR101970503B1 KR101970503B1 (ko) 2019-04-19

Family

ID=49218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468A KR101970503B1 (ko) 2012-02-15 2012-02-15 황금 추출물 및 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80A1 (ko) * 2014-10-06 2016-04-14 (주)아모레퍼시픽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113B1 (ko) 2020-11-13 2022-06-27 김정미 흰찹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4123A (ja) * 1998-11-19 2000-06-06 Kureha Chem Ind Co Ltd 発毛育毛組成物
KR20070111765A (ko) * 2006-05-19 2007-11-22 윤지윤 황금추출물과 그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촉진제 및발모촉진 효과 유무의 검사 방법
KR20090115609A (ko) * 2008-05-02 2009-11-05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90128230A (ko) * 2008-06-10 2009-12-15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50647A (ko) 2008-11-06 2010-05-14 전라남도 한약재를 이용한 오이 팩의 제조 방법
KR20110006549A (ko) * 2009-07-13 2011-01-20 주식회사 남양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4123A (ja) * 1998-11-19 2000-06-06 Kureha Chem Ind Co Ltd 発毛育毛組成物
KR20070111765A (ko) * 2006-05-19 2007-11-22 윤지윤 황금추출물과 그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촉진제 및발모촉진 효과 유무의 검사 방법
KR20090115609A (ko) * 2008-05-02 2009-11-05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90128230A (ko) * 2008-06-10 2009-12-15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50647A (ko) 2008-11-06 2010-05-14 전라남도 한약재를 이용한 오이 팩의 제조 방법
KR20110006549A (ko) * 2009-07-13 2011-01-20 주식회사 남양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80A1 (ko) * 2014-10-06 2016-04-14 (주)아모레퍼시픽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60040968A (ko) * 2014-10-06 2016-04-15 (주)아모레퍼시픽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EP3205346A4 (en) * 2014-10-06 2018-06-20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scutellaria alpina extract
TWI681775B (zh) * 2014-10-06 2020-01-11 南韓商愛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以高山黃芩萃取物製備組成物作為預防掉髮或加速頭髮生長之用途
US10568830B2 (en) 2014-10-06 2020-02-25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Scutellaria alpina extr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503B1 (ko)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496B1 (ko)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조성물
KR20120010699A (ko) 발효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90094913A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두피 강화용 조성물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2153414B1 (ko)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965595B1 (ko)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070056207A (ko) 포도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US20210113640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or preventing hair loss containing extract of aster ageratoides
KR101820531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970503B1 (ko) 황금 추출물 및 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KR101347910B1 (ko) 생강 초임계 추출물 및 발효 미나리 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JP4672269B2 (ja) 抗老化剤、血小板凝集抑制剤、抗酸化剤、抗アレルギー剤、皮膚化粧料及び飲食品
KR102122614B1 (ko) 테트라셀미스 테트라셀레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개선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541470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286266B1 (ko) 화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KR20200057126A (ko) 아피게닌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20136583A (ko)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24698B1 (ko) 국화, 알로에, 서양송악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961B1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00046203A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개선조성물
KR102509869B1 (ko) 아커만시아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6017259B2 (ja) エンドセリン作用抑制剤
KR102014960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90033871A (ko) 피부 노화 개선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2063504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