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113B1 - 흰찹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흰찹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113B1
KR102414113B1 KR1020200151438A KR20200151438A KR102414113B1 KR 102414113 B1 KR102414113 B1 KR 102414113B1 KR 1020200151438 A KR1020200151438 A KR 1020200151438A KR 20200151438 A KR20200151438 A KR 20200151438A KR 102414113 B1 KR102414113 B1 KR 102414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weight
parts
treatm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5183A (ko
Inventor
김정미
Original Assignee
김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미 filed Critical 김정미
Priority to KR102020015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1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4Preparations used to protect coloured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흰찹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흰찹쌀보리 추출물과 조화를 이루는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모발의 윤기, 유연성, 탄력성을 부여하고, 모발 스타일의 지속성과 모발이 가늘어지는 증상을 개선함으로써 모발 보호 기능이 우수한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은 파마, 헤어드라이기, 모발염색 등 과다한 모발 미용시술에 결과로 물리적, 화학적으로 손상되어 가늘고, 푸석푸석하고 힘이 없게 된 모발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모발의 윤기, 유연성 및 탄력성을 부여하고, 모발 스타일의 지속성과 모발이 가늘어지는 증상을 개선함으로써 모발 보호 기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흰찹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Composition for hair treatment comprising Hordeum vulgare L. extract}
본 발명은 흰찹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흰찹쌀보리 추출물과 조화를 이루는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모발의 윤기, 유연성 및 탄력성을 부여하고, 모발 스타일의 지속성과 모발이 가늘어지는 증상을 개선함으로써 모발 보호 기능이 우수한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의 형태를 바꾸어주는 제품으로는 1제 환원제와 2제 중화제로 나뉘어진 퍼머용 조성물이 있다.
시술되는 방법에 따라 퍼머넌트 웨이브제 및 스트레이트 퍼머제로 불리며 일반적으로 1제 환원제에는 주성분으로 치오글리콜산 또는 그 염류, 시스테인 또는 그 염류가 사용되며 이것들이 모발 내 시스테인 결합을 환원시켜 끊게 되고, 여기에 과산화수소수 또는 브롬산 나트륨을 주성분으로 사용하는 2제 중화제를 처리하여 산화 재결합시켜 웨이브 및 스트레이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웨이브 및 스트레이트 스타일은 그 효과가 3달 이상 지속되는 등 우수한 지속력을 보이지만 시술시 사용된 주성분에 의한 악취가 심하고, 시술 후에도 그 잔취가 계속 남는다는 문제가 있으며, 모발 내 결합을 끊고 다시 재결합하는 화학적인 반응으로 인해 모발에 심각한 화학적 손상을 야기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1제와 2제를 순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부단히 이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로 다양한 모발화장품이 전문화되고 세분화되어 다양한 기능과 효과를 가진 제품들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한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134505호에 초임계 이산화탄소 다시마/밀 추출물을 함유한 손상모발 개선 및 모발 보호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초임계 또는 아임계 액화 이산화탄소를 주용매로 하여 추출하되, 해조류 또는 그 가공물이나 부산물, 갑각류 또는 그 가공물이나 부산물, 채소류 또는 그 가공물이나 부산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원재료로 함유하고, 미강 또는 그 가공물이나 부산물, 밀 배아 또는 그 가공물이나 부산물, 쌀겨 또는 그 가공물이나 부산물, 등겨 또는 그 가공물이나 부산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부재료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081003호에는, 펌 또는 염색 처리 이전 또는 펌 또는 염색 처리 이후 모발과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고 손상을 방지하기위하여 모발에 도포 또는 스프레이하는 헤어 트리트먼트용 조성물에 있어서,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감초 엑기스, 비타민C, 콜라겐, 케라틴, 셀 멤브레인 컴플렉스(Cell Membrane Complex)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트리트먼트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476955호에는 장군차 잎, 약쑥을 발효시킨 발효액과, 식물 추출물, 유화제, 천연방부재를 혼합하여 헤어트리트먼트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합성 원료가 아닌 천연 물질을 원료로 사용하는 헤어 케어 트리트먼트용 제품으로써 이들 제품이 모발의 보호 등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여전히 모발의 매끄러운 광택을 지속력 있게 제공할 수 있으면서 윤기있고 부드러운 머리결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요구가 있다.
한국 등록번호 제10-1970503호(2019년04월15일) 한국 공개번호 제10-2008-0047102호(2008년05월28일)
본 발명자는 천연물에 대한 오랜 경험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천연물을 대상으로 기능성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흰찹쌀보리 추출물 이용하여 제조된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이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모발에 도포시 종래의 모발 트리트먼트 제품에 비하여 모발의 윤기, 유연성 및 탄력성을 부여하고, 모발 스타일의 지속성과 모발이 가늘어지는 증상을 개선함으로써 모발 보호 기능이 우수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마, 헤어드라이기, 모발염색 등 과다한 모발 미용 시술에 결과로 물리적, 화학적으로 손상되어 가늘고, 푸석푸석하고 힘이 없게 된 모발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모발의 윤기, 유연성 및 탄력성을 부여하고, 모발 스타일의 지속성과 모발이 가늘어지는 증상을 개선함으로써 모발 보호 기능이 우수한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흰찹쌀보리의 용매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은 파마, 헤어드라이기, 모발염색 등 과다한 모발 미용시술에 결과로 물리적, 화학적으로 손상되어 가늘고, 푸석푸석하고 힘이 없게 된 모발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모발의 윤기, 유연성 및 탄력성을 부여하고, 모발 스타일의 지속성과 모발이 가늘어지는 증상을 개선함으로써 모발 보호 기능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의 제조 공정도.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흰찹쌀보리의 용매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흰찹쌀보리 추출물 15~25 중량부, 미역귀 추출물 5~15 중량부, 쑥 추출물 3~7 중량부, 서리태 추출물 3~7 중량부, 감초 추출물 3~7 중량부, 인삼 추출물 3~7 중량부, 녹차 추출물 3~7 중량부, 식물성 오일 3~7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샴푸, 염색제 또는 모발 케어 제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흰찹쌀보리 추출물과 조화를 이루는 식물 추출물을 조화롭게 배합하여 물리적, 화학적으로 손상되어 가늘고, 푸석푸석하고 힘이 없게 된 모발에 윤기, 유연성 및 탄력성을 부여하고, 모발 스타일의 지속성과 모발이 가늘어지는 증상을 개선함으로써 모발 보호 기능이 우수한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기술적인 특징이 있으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조성비는 각각의 성분이 갖는 유효 용량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오랜 연구 결과에 의해 설정한 것이며, 그 비율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타성분과의 바람직한 상승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여 기능성과 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은 모발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손상된 모발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성물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샴푸, 린스, 염색 약, 기타 공지된 각종 모발 케어 제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각 개별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에 있어서서 주성분인 흰찹쌀보리(Hordeum vulgare L.)는 1981년에 방사6호와 찰성 품종인 요제자와 모찌를 인공 교배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1994년 종자심의회에서 새로운 장려품종으로 결정하고 흰 찰쌀보리로 명명된 품종으로써 흰 찰쌀보리의 고유특성으로 엽은 녹색이 품종이며, 엽폭 및 엽장은 표준 품종과 비슷하고 줄기 색과 굵기는 표준 품종과 비슷하다. 까락은 녹색으로 길이는 짧으며 이삭은 찰쌀보리와 같은 6각형으로 밀수형이며 직립형이다.
흰 찰쌀보리 재해 저항성 특징은 내한성과 내도복성이 매우 강하며 줄무늬병은 늘쌀보리에 비해 강하고 보리 호위축병의 저항성도 늘쌀보리보다 강한 품종이다. 흰 찰쌀보리의 품질 특성은 단백질 함량은 찰쌀보리와 비슷하고 립백도는 찰쌀보리보다 약간 높았으나 늘쌀보리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흡수율 49%, 퍼짐성 66%로 높아 취반 특성이 우수한 찰성 쌀보리이다.
상기 흰찹쌀보리 추출물은 모발을 보호할 수 있는 주성분으로 채택된 것으로 손상된 모발에 탄력성을 부여하고 모발이 가늘어지는 증상을 개선하는 주된 기능을 나타나며, 전체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이를 벗어나게 되면 타성분과 조화를 이루기 어려워 기능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미역귀는 갈조류의 곤포과에 속하는 1년생 해조류로서 칼슘, 칼륨, 철분, 요오드 등의 무기질 성분 및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특히 점질물과 다당류는 농약 등으로 오염된 식품 중의 중금속을 흡착 배설하는 효과가 있으며 갈조류 세포막의 중요 구성성분인 알기닌산은 D-mannuronic acid와 L-glucuronic acid의 혼성 중합체로 콜레스테롤 배출작용 및 Cd, Sr의 체내 흡수억제와 정장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상기 미역귀는 흰찹쌀보리 추출물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고 모발을 튼튼하게 하며 탈모 방지에 도움이 되는 성분으로서 전체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쑥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의 하나로서, 흔히 쑥 이외에 산쑥(A montana), 참쑥(A lavandulaefolia), 덤불쑥(A rubripes) 등도 쑥이라고 일컫는다. 이른 봄에 나오는 어린순으로 국을 끓여 먹어 봄을 느끼기도 하며, 떡(쑥떡)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쑥은 약으로 쓰기도 하여 약쑥이라고도 부르는데, 줄기와 잎을 단오 전후에 캐서 그늘에 말린 것을 약애(藥艾)라고 해 복통, 구토, 지혈에 쓰기도 하며, 잎의 흰 털을 모아 뜸을 뜨는데 쓰기도 한다. 잎만 말린 것은 애엽(艾葉)이라고 하며, 조금 다친 약한 상처에 잎의 즙을 바르기도 한다. 한국 곳곳의 양지바른 길가, 풀밭, 산과 들에서 자란다.
서리태는 검정콩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약콩으로 전래되고 있다. 서리태는 대두와 마찬가지로 게니스테인(genistein)과 다이제인(daizein)과 같은 이소플라본(isoflavone)을 함유하고 있는데, 상기 게네스테인은 유해한 활성산소종을 제거하여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며 암세포가 면역시스템에 의한 공격을 피해 살아남을 수 있게 도와주는 HSP(heat shook protein), GRPs(glucose- related proten)와 같은 스트레스성 단백질의 생성을 저해하므로써 유방, 직장 및 전립선암 등에 대한 항암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상기 다이제인(daizein)은 위에서 알코올의 배출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음주 후 급격한 혈중알코올 농도상승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
또한 서리태의 소이야사포닌은 항산화성, 혈청콜레스테롤 저하, 암세포에 대한 선택적독성 및 면역효과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는데 특히 서리태 종피의 검은색 부위로부터 최근에 항산화성 및 항암물질의 이소플라본류가 검출되고 있으며 대두에 비하여 검은 색이 짙을수록 강한 항산화 효과가 나타나고 서리태 껍질을 흰쥐에게 급이시킬 경우 혈청 콜레스테롤이 낮아진다는 보고도 있다.
감초는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목질로 덩굴져 있는 땅속 줄기와 땅속 깊이 길게 뻗어 있는 뿌리를 갖고 있다. 이용 부위는 3년된 뿌리와 땅속의 줄기이며 약성은 보통이고 맛은 단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감초는 의약품과 담배 및 식료품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거담, 변통, 경련 진정, 항알레르기, 항균, 항바이러스, 담즙 촉진, 해열, 진해, 근육 완화, 간 보호 및 항암작용 등의 활성이 있고 일반 감기, 기침, 기관지염,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 관절염, 발진, 간염, 간 및 신장경변증, 생리통, 에디슨씨병(부신 피질 분비 부전증), 습진 및 단순포진, 콜레스테롤, 트리코모나스 감염, 약이나 음식 중독, 피로, 해열, 심계 항진 등의 여러 가지 질병에 효과가 있음은 물론 다른 약품 조제시 맛을 내기 위해 많이 쓰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약초 중의 하나이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가피과 인삼 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인삼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은 면역, 항암, 항산화, 항당뇨 활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의학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효과는 주로 인삼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라 불리우는 트리테르페노이드 글루코사이드(triterpenoid glucoside)에 기인한다. 진세노사이드는 식물에 존재하는 여러 사포닌 중 인삼의 사포닌 성분만을 특별하게 구분하여 명명한 것으로써, 진세노사이드는 다양한 항암, 항알레르기, 항염증, 정신안정, 진통, 기억력 개선, 간기능 강화, 항당뇨, 항스트레스, 호흡기 질환 개선, 소화기관 개선, 혈당 강하, 면역력 증강, 항산화 및 항노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인삼은 그 종류 및 년근에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며, 말리거나 말리지 않은 인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삼은 그 부위에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며, 특히 인삼의 뿌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녹차(Green-tea, Camellia teaceac)는 커피, 코코아 및 홍차와 함께 카페인(caffeine)을 함유한 비알콜성 기호음료로서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음용하여 온 기호음료 중의 하나이다. 녹차는 비타민과 무기질의 영양소를 공급하는 기능, 맛과 향 등의 기호를 충족시키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체 건조녹차 잎 100 mg 중에 카로틴(carotene)이 13 mg, 비타민 E가 654 mg, 그리고 식이섬유가 106 mg 등이 함유되어 있고, Ca, Fe 및 K 등 무기질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들 녹차 중 떫은맛의 주성분은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인 카테킨(catechin)인데, 카테킨은 그 유도체에 따라 에피카테킨(Epicatechin),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카테킨(Catethin)은 함량이 건조 녹차의 8~20% 정도에 달하며, 수용성으로 물과 함께 끓이면 수중으로 용출된다. 녹차의 쓴맛은 주로 각성작용, 이뇨작용, 피로회복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카페인에 의한 것이며, 특유의 독특한 맛을 내는 성분은 티아닌(theanine) 성분으로서 이중 글루탐산(glutamic acid)의 에틸아마이드(ethylamide)가 약 절반을 차지하고 이외에 20여 종류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녹차(Green tea)는 그 종류 및 재배 일수에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며, 말리거나 말리지 않은 녹차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녹차는 그 부위에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며, 특히 녹차의 잎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동백 오일, 올리브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및 티트리 오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잎이나 과실 또는 열매를 압착하여 얻거나 또는 원료에 1:2 내지 1:20 중량 비율로 추출용매를 가하여 환류냉각장치(reflux condenser)에 넣고 2~3 시간 동안 가열 증류시킨 후 냉각시킨 후, 냉각시킨 추출물을 5~7시간 동안 여과하여 추출물을 개별적으로 제조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별법으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잎이나 과실 또는 열매를 통상적인 정류법에 의해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자나 잎 또는 과육을 잘 선별한 후 세척 및 건조시킨 다음 70 ~ 150℃에서 압착한 다음 착유된 오일을 여과 및 집유 과정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쑥 추출물, 서리태 추출물, 감초 추출물, 인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식물성 오일은 각각 상기한 바와 같이 조성을 이룸으로써 주성분인 흰찹쌀보리와 조화를 이루어 물리적, 화학적으로 손상되어 가늘고 푸석푸석하고 힘이 없게 된 모발에 윤기, 유연성 및 탄력성을 부여하고, 모발 스타일의 지속성과 모발이 가늘어지는 증상을 개선함으로써 모발 보호 기능이 우수한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모발 기능성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모발 기능성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헤어 트리트먼트 용액, 샴푸, 염색제,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린스, 헤어로션 및 모발 케어 제제로 사용되는 공지의 유효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은 보습제, 에멀젼, 현탁액, 분산제, 증점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중량부, 구체적으로 0.01~3중량부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의 제조 공정도이다. 상기 흰찹쌀보리, 미역귀 추출물, 쑥 추출물, 서리태 추출물, 감초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은 상기 언급한 원료 식물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추출할 수 있다.
먼저, a1) 전처리 단계에서 원재료들은 정제수 등의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세정하여 이물질들을 제거하여 전처리한다. 세척 작업은 개별적으로 손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세척수를 분사하거나, 흐르는 정제수에 세척하거나 또는 재료를 정제수에 담가 세척한 다음 꺼내기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세척하는 것도 가능하다.
a2) 이어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등 전처리된 식물성 재료를 추출기에 넣고 중량을 기준으로 10~25 배수의 추출 용매를 첨가한 후 고압멸균솥에 넣고 65 ~ 125℃의 온도에서 2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5시간 동안 가열시켜 추출한다. 별법으로 0.5~0.6 기압 및 70℃~95℃의 중온에서 6시간~72시간 동안 우려내어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물, 메틴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1,3-부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시는 추출코자하는 성분을 다 혼합해서 추출하거나 개별로 추출한 성분을 최적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 a3) 여과 단계에서는 예를 들면, 여과막, 종이 여과지, 부직포 또는 면 등을 이용하여 고형의 이물질과 입자를 걸러 내거나 한외여과법,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사용하여 여과할 수 있다. 또한, 거즈를 이용하여 1차로 여과한 다음, 와트만 페이퍼를 이용하여 2차 여과하는 방식으로 여과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별도로 식물성 오일을 상기한 바와 같이 압착법이나 정류법에 의해 준비한다.
a4) 희석 단계에서는 위와 같이 추출된 식물들은 원액 상태로서 타성분들과 일정한 배합비로 배합한 후 희석하거나 적당한 희석한 된 것들을 일정 배합비로 배합한다.
a5) 첨가제 첨가 배합 단계에서는 이와 같이 추출된 식물 추출물과 추출물과 별도로 처리한 식물성 오일 등을 상기한 바와 같이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배합액을 제조한 후 필요에 따라 분산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상기 열거한 바의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a6) 포장단계에서는 제조된 헤어트리트 제품을 일정 단위로 포장하여 보관하는데, 병, 파우치 등의 형태로 포장하여 유통 기한을 고려하여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다.
a7)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포장된 제품은 장기간의 보관 및 유통을 위하여 멸균하는 단계를 거쳐도 좋다.
포장된 제품을 멸균시키는 단계로서는 제형 및 포장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멸균 방식을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통상적인 자외선 살균, 레토르트 멸균또는 증기 멸균 방식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미세하게 변형하여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식물 추출물의 제조
시중에서 구입한 각각의 재료(흰찹쌀보리, 미역귀, 쑥, 서리태, 감초, 인삼, 녹차)를 전처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재료를 추출기에 넣고 중량을 기준으로 20 배수의 물을 첨가한 후 0.6 기압 및 75℃의 중온에서 8시간 동안 우려내어 추출한 후 얻어진 추출물로 부터 이물질을 여과하여 개별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식물성 오일의 제조
티트리 나무의 잎과 줄기에 20 중량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환류냉각장치(reflux condenser)에 넣고 3 시간 동안 가열 증류시킨 후 냉각시킨 후, 냉각시킨 추출물을 6시간 동안 여과하여 티트리 오일을 얻고, 동백 열매를 압착하여 동백 오일 원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스프레이 제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들을 10배 희석한 후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량(g)을 기준으로 첨가제와 배합한 후 미량의 분산제를 첨가한 후 스프레이 용기에 200ml 씩 분주하여 스프레이 제제를 제조하였다.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 4 실시예5 비교예
흰찹쌀보리 추출물 15 20 20 20 25 겉보리추출물 25
미역귀 추출물 10 5 7 12 15 -
쑥 추출물 7 5 5 3 3 10
서리태 추출물 5 3 7 3 3 10
감초 추출물 5 7 3 4 3 10
인삼 추출물 5 6 3 3 7 -
녹차 추출물 3 5 5 7 3 -
식물성 오일(티트리: 동백오일=1:1 중량비) 5 3 3.5 3 7 -
첨가제(세틸알코올) - 1 1.5 - - -
분산제(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미량 - 미량 - - -
정제수 45 45 45 45 34 45
합 계 100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1: 만족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의 헤어 트리트먼트 제품에 대한 사용 후 모발 탄력성, 윤기, 유연성, 굵기 개선 정도, 모발 스타일 지속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를 전문가 패널 50명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각 항목의 개선 정도에 대한 결과의 평가 척도는 7점 척도법(7점: 아주 좋다, 6점: 좋다. 5점: 조금 좋다, 4점: 보통이다, 3점: 조금 나쁘다, 2점: 나쁘다, 1점: 아주 나쁘다)으로 하여 이를 평균으로 집계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 4 실시예5 비교예1
모발의 탄력성 6.21±0.75 6.25±0.38 6.37±0.25 6.01±0.71 6.07±0.72 4.37±0.56
모발의 윤기 6.46±0.25 6.22±0.52 6.35±0.71 6.21±0.35 6.25±0.43 4.68±0.34
모발의 유연성 6.52±0.36 6.47±0.16 6.36±0.25 5.97±0.03 6.23±0.26 4.42±0.39
모발의 굵기 개선 6.43±0.11 6.53±0.55 6.42±0.65 6.23±0.59 6.33±0.74 4.07±0.56
모발의 스타일 지속성 6.31±0.56 6.42±0.76 6.31±0.11 6.23±0.52 6.28±0.58 4.72±0.78
전체적인 만족도 6.37±0.61 6.41±0.48 6.36±0.52 6.25±0.56 6.26±0.33 4.35±0.26
상기 표 2의 결과로 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스프레이 제품은 비교예의 제품에 비하여 모발의 탄력성, 윤기, 유연성이 증대되고 스타일의 지속성과 모발이 가늘어지는 증상이 개선되며, 스타일 지속력 및 전반적인 만족도 역시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전체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흰찹쌀보리 추출물 15~25 중량부, 미역귀 추출물 5~15 중량부, 쑥 추출물 3~7 중량부, 서리태 추출물 3~7 중량부, 감초 추출물 3~7 중량부, 인삼 추출물 3~7 중량부, 녹차 추출물 3~7 중량부, 식물성 오일 3~7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이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동백 오일, 올리브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또는 티트리 오일이며,
    상기 조성물은 염색제 또는 모발 케어 제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51438A 2020-11-13 2020-11-13 흰찹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KR102414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438A KR102414113B1 (ko) 2020-11-13 2020-11-13 흰찹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438A KR102414113B1 (ko) 2020-11-13 2020-11-13 흰찹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183A KR20220065183A (ko) 2022-05-20
KR102414113B1 true KR102414113B1 (ko) 2022-06-27

Family

ID=8179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438A KR102414113B1 (ko) 2020-11-13 2020-11-13 흰찹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1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2126A (ja) * 2017-09-19 2019-04-04 株式会社東洋新薬 頭皮又は頭髪用の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102A (ko) 2006-11-24 2008-05-28 김용회 천연 피부 미용 곡물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970503B1 (ko) 2012-02-15 2019-04-19 (주)아모레퍼시픽 황금 추출물 및 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KR20170115379A (ko) * 2016-04-07 2017-10-17 유한회사 비엔트리니티 흰찰쌀보리 성분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2126A (ja) * 2017-09-19 2019-04-04 株式会社東洋新薬 頭皮又は頭髪用の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183A (ko)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236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항균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N113873997A (zh) 一种含有植物提取物为活性成分的功能性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Sandeep et al. Moringa for nutritional security (Moringa oleifera Lam.)
KR100606639B1 (ko) 구증구포 천마를 이용한 약술의 제조방법
KR20200094392A (ko) 녹차 및 머위를 이용한 콤부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콤부차
KR20180137174A (ko)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CN111228162A (zh) 含有葫芦提取物的美白、抗氧化及保湿用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845297B1 (ko) 으뜸백도라지를 이용한 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으뜸백도라지를 이용한 청
KR101140322B1 (ko) 홍삼, 당귀, 천궁, 황기, 대추, 백출, 작약, 감초, 계피 및 숙지황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66883B1 (ko) 당귀, 천궁, 갈근, 작약, 숙지황, 황기, 홍삼, 건강, 감초, 계피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96952B1 (ko)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2012872B1 (ko) 복분자, 차전자, 오미자, 구기자, 토사자 및 사상자로 이루어지는 음료용 고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음료용 고농축액
KR101206090B1 (ko) 발효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조성물
KR20070068881A (ko)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CN104757218A (zh) 一种分心木养生袋泡茶及其生产方法
KR20160081204A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1712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두발 화장료 조성물
KR102414113B1 (ko) 흰찹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KR101802789B1 (ko) 꾸지뽕 부위별 산물을 이용한 꾸지뽕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67620B1 (ko) 기능성 동백엽차의 제조방법
KR101872937B1 (ko) 비타민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30005005A (ko)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바오밥나무, 자근, 참마, 연근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9409B1 (ko)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민들레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식 조성물
KR102423746B1 (ko) 꾸지뽕과 예덕나무 및 아마란스 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