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549A -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549A
KR20110006549A KR1020090064244A KR20090064244A KR20110006549A KR 20110006549 A KR20110006549 A KR 20110006549A KR 1020090064244 A KR1020090064244 A KR 1020090064244A KR 20090064244 A KR20090064244 A KR 20090064244A KR 20110006549 A KR20110006549 A KR 20110006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composition
hair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3785B1 (ko
Inventor
안계환
양승원
김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양
Priority to KR1020090064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7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Neuro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금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개자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측백엽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은 천연물로 이루어져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모근 세포로의 원활한 혈액 순환 뿐만 아니라, 두피보호 및 모발의 영양 공급 기능까지 있어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황금, 탈모, 양모

Description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Scultellaria baicallensi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완충작용과 자외선, 온도, 마찰 등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방어와 보호 작용을 하며, 신체에 불필요한 비소, 수은, 아연 등의 중금속을 흡수하여 체외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외적 이미지 표현에 중요한 미적요소가 된다.
현대 사회에 들어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오염, 약물 중독 및 오남용 등으로 인한 부작용, 파마, 염색, 정발제류의 사용과 유전적인 요인 등, 신체적, 정신적, 유전적, 환경적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신체적 리듬이 깨져 밸런스가 맞지 않아 두피 뿐만 아니라 모낭도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한 모발손상 뿐만 아니라, 건조하거나 민감해져, 탈모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알려진 탈모의 원인은 매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먼저 남성호르몬의 영향으로서 유전적인 요인에 따른 호르몬 과다 분비로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모포에서 활성이 높은 DHT(5알파-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로 변환되어 이 DHT가 안드로겐 수용체와 결합하여 모낭세포의 단백질 합성을 지연시켜 모낭의 생장기가 단축되고 모낭을 위축시켜 탈모를 유발시키거나, 또는 유두피에 공급되는 혈액순환 이상으로서 모포 및 모유두를 싸고 있는 말초 모세혈관의 혈류량이 감소하여 모유두 부위와 기저세포로 영양물질이 부족하게 되면 신진대사가 저하되어 모발 성장에 이상을 일으키게 되거나, 두피 생리기능 저하로서 비듬이 많이 생기면 모발의 표피 출구인 모구가 막히고 세균번식에 의해 두피가려움증, 염증 수반으로 탈모가 발생되거나, 두피긴장에 의한 국소 혈류장애로 두부 피하조직 말초 혈관의 혈류량 감소에 의해 모발 성장에 이상을 일으킴으로써 탈모가 발생되거나, 기타 영양부족, 약물에 의한 부작용, 유전, 스트레스, 환경적인 요인 등 여러 가지요인에 의해서 탈모가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모발관리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면서 상기와 같은 탈모발생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고 부작용이 적은 천연추출물(생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연구와 발명이 활발히 진행되어, 탈모 방지나 양모,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특허 출원으로써, 가시오가피, 송엽, 송화, 교맥, 생지황 및 지모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조성물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9-0051586호), 백두옹, 대산,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낭충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모촉진조성물 등과 같이 천연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조성물(대한민국특허출원공개 제10-2005-0014473호) 등 다수 특허출원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활발한 연구에 힘입어, 탈모예방을 위한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린스 등의 각종 화장료 조성물들이 다양하게 시중에 유통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들은 실질적으로 비듬방지 및 탈모예방에 만족스러운 효과를 지닌 제품이 없고 각종 부작용을 유발하거나 건강한 육모를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두피나 모발에 사용되는 조성물의 제품은 장기간 빈번하게 사용하므로 자극이나 손상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아야 하는데, 기존에 시판중인 제품들은 주성분이 화학물질인 경우가 많아 두피에 부작용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미녹시딜, 프로페시아 같은 탈모치료제가 개발되어 탈모 치료 효과가 기대되고 있지만, 이러한 탈모 치료제를 적용할 경우, 체내 향상성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성기능 감소나 알레르기, 우울증, 국소염증 등의 예기치 않은 부작용이 발생하여 그 적용 위험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생약제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예방 및 모발생장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연구하던 중, 황금 등의 천연물을 함유한 복합 조성물이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모근세포로의 혈액순환 뿐만 아니라 두피보호, 모발 영양공급 등의 체계적인 작용으로 탈모 예방 및 양모촉진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황금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개자 추출물, 마치 현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측백엽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황금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개자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측백엽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개자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측백엽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황금, 하수오, 개자, 마치현, 은행잎, 측백엽, 고삼 및 감초를 혼합하여 열수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열수 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액을 수득하여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황금, 하수오, 개자, 마치현, 은행잎, 측백엽, 고삼 및 감초 각각을 열수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각각의 열수 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 각각의 증류액을 얻은 후 혼합하여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은 천연물로 이루어져 인체 에 부작용이 없으며, 모근 세포로의 원활한 혈액 순환 뿐만 아니라, 두피보호 및 모발의 영양 공급 기능까지 있어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효성분으로써 황금 이외에도 하수오 추출물, 개자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측백엽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등을 포함한 천연성분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황금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개자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측백엽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은 황금 추출물 10∼30중량부, 하수오 추출물 1∼25중량부, 개자 추출물 1∼20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1∼20중량부, 은행잎 추출물 0.01∼20중량부, 측백엽 추출물 1∼25중량부, 고삼 추출물 1∼25중량부 및 감초 추출물 1∼2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황금 추출물의 함량이 18∼22 중량부이고, 상기 하수오 추출물의 함량이 13∼17 중량부이고, 상기 개자 추출물의 함량이 8∼12 중량부이고, 상기 마치현 추출물의 함량이 8∼12 중량부이고, 상기 은행잎 추출물의 함량이 3∼7 중량부이고, 상기 측백엽 추출물의 함량이 13∼17 중량부이고, 상기 고삼 추출물의 함량이 13∼17 중량부이고, 상기 감초 추출물의 함량이 8∼12 중량부이다.
만약, 각각의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정해진 함량 범위 미만이면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 효과가 미미하고, 또한, 정해진 범위의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 및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여기서,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금 추출물은 10 내지 3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금 추출물의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하수오, 개자, 마치현, 은행잎, 측백엽, 고삼 및 감초 추출물의 함량은 각각 1 내지 30중량부이며, 1중량부 미만이면, 탈모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금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개자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측백엽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들은 열수추출하거나, 에탄올 추출하여 얻을 수 있고, 예컨대,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 등을 이용하여, 또는 기타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다른 추출방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함유하는 각 천연물 성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황금(Scultellaria baicallensis)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한 다년생 본초인 황금의 뿌리를 거피하여 건조한 것으로 제습열, 지혈, 안태(安胎)의 효능이 있어 임상에서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우황청심환(牛黃淸心丸) 등 처방으로 고혈압, 유행성 뇌척수막염(腦脊髓膜炎)의 치료에 사용되어 온 한 약재이다(김 동찬, 노승현, 이상인, 이영종, 주영승 : 方劑學, 서울, 永林社, 1990, pp.111-113, pp263-264, p338). 이에 대한 성분으로는 우고닌(wogonin), 바이칼린(baicalin), 바이칼레인(baicalein) 등 여러 종류의 플라보노이드들이 함유된 것으로, 약리 효과로는 심장 및 폐의 열을 내리게 하거나 기침 및 피를 멈추게 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피부에는 항알레르기, 항산화, 항염증 효과를 갖고 있고 유해 산소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하수오(Cynanchum silfordii Hemsley)는 여뀌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초본으로 산삼과 견줄만한 약성을 인정받으며,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쓰고 떫으며 독이 없다. 하수오는 고구마처럼 생겼는데 그보다 약간 작고, 인삼이 귀할 때는 인삼 대신으로, 숙지황이 없으면 대용품으로, 또는 숙지황이 있어도 숙지황보다 금기 기운이 덜하고 소화가 잘되기 때문 하수오를 쓰기도 하였다. 하수오는 당귀나 숙지황의 기능과 같이 피를 생성하여 원활하게 해주는 작용, 염증, 종기, 부스럼을 없애주는 작용을 하고 이외에도 가래와 담을 삭히고 부인의 산후병, 냉, 대하 등을 치료하고, 골수를 채우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생으로 쓸 경우에는 기운을 소통시켜 대변 소통을 원활히 해주는 작용 외에 해독작용을 하기도 하며 적당히 찌거나 삶은 다음에 말려서 쓰면 간과 신을 보해서 혈과 정이 생겨나게 한다. 머리를 검게 할 목적으로는 사용할 때는 검은 콩, 검은 깨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되어 있다. 특히,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두피와 모발의 노화방지제로서 효과적이며 항산화 작용과 수렴 작용 등을 통한 피부와 두피 노화 예방에 효과를 보인다.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가 함유되어 있는데, 주성분은 크리소파 닉산(chrysophanic acid), 크리소파놀(chrysophanol), 에모딘(emodin), 안트로넨(anthronene), 레인(rhein), 전분이며 옴과 습진 등의 피부병에 쓰이고 알러지로 인한 피부소양증을 억제하고 항산화작용과 수렴작용 등을 통한 노화예방효과를 보이며 흰머리를 검게 해주고 자외선 UV-B영역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두피와 모발의 노화방지에 효과적이다.
개자(Sinapis Semen)는 십자화과(十字花科)에 속하는 초본인 개자(Brassica juncea)의 성숙한 씨를 말린 것이다. 주요 생리활성 성분으로 황화합물로는 sinigrin, 8-(methylsulfonyl)octyl glucosinolate이고 phytoalexin으로는 brassinin, cyclobrassinin이 있다.피부에 바르면 피부 및 점막을 자극하여 그 국부와 관계가 있는 내장,관절, 근육의 혈류를 증가시키는 피부인적작용, 국소자극약 및 발포약등으로 사용되며, 식욕향진과 방부의 효과가 있다.
마치현(馬齒, Portulaca oleracea)은 주성분으로는 ℓ-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 도파민(dopamine), 알칼로이드(alkaloid), 칼륨염, 유기산(사과산, 레몬산, 상아산), 아미노산(글루탐산, 아스파라긴산, 알라닌) 등이며, 마른 물질은 조단백 4.5 ∼ 6.6%, 조지방 3.7 ∼ 5.8%, 조회분 25 ∼ 27%, 단당류 2 ∼ 3%, 사탕 4.4 ∼ 6%, 물 분해되기 쉬운 다당류 9 ∼ 14%, 녹말 0.2 ∼ 2.5%, 비타민 B1과 C, 카로틴 9.4 ∼ 17mg%, 니코틴산 25 ∼ 50mg%, 토코페롤 2 ∼ 6mg%, 미량원소인 아연, 동, 망간, 니켈, 철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피부자극 및 알러지 반응 진정작용, 피부 건조 예방 및 항염작용으로 노화예방, 항균 및 항진균의 효과를 보인다.
은행잎 추출물은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은행(Ginko biloba L.)으로부터 추출되며 은행잎에는 인체의 프리라디칼(유해산소) 제거, 항산화작용, 세포막 보호, 혈관질환개선, 혈압 강하작용 등을 가진 플라보노이드를 비롯하여 혈액순환 개선, 혈전 제거, 혈액 노화 예방, 피부노화 억제, 건성피부 보호 및 얼굴의 잔주름을 막아주는 각종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항균작용과 더불어 항알레르기 효과 등을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은행잎 추출물은 잎의 플라보노이드와 방향족 옥시카르복시산으로 이루어진 종합성분으로써 프라본그리코사이드류, 징코닉애씨드,징코게틴, 징코화이드 A,B,C,M, 텔펜락톤류 등의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은행잎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생물활성을 나타내는 주성분은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flavonoids), 테르펜계 화합물(terpenes)과 탄닌인 프로안토시아니딘류(proanthocyanidins)이며, 그 밖에 알킬페놀류(alkylphenols)가 있다. 은행잎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화학적으로 플라보놀 글리코시드류(flavonol glycosides)와 바이플라본류(biflavones)로 분류할 수 있으며 바이플라본류에는 시아도피티신(sciadopitysin), 징크게틴(ginkgetin), 이소징게틴(isoginkgetin), 바일로베틴(bilobetin), 아멘토플라본(amentoflavone) 등이 보고 되었으며, 플라보놀 글리코시드류에는 비당체(aglycone)의 종류에 따라 캠페롤(kaempferol), 퀘르세틴(quercetin)및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의 배당체로 대별될 수 있다. 테르펜류 화합물은 징골리드(ginkgolide) A, B, C 및 J와 바일로발리드(bilobalide)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분들 중에서 특히 이소람네틴(isorhamnetin)과 퀘르세틴(quercetin)은 관상 혈관을 확장시켜 두피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징크게틴 (ginkgetin)은 혈중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저하시켜 상당한 혈압강하 작용을 한다. 이들은 또한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 피부진균에 대하여 항균 작용이 있어 은행잎의 추출물을 모발용 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시 비듬을 방지하고 두피의 가려움증을 제거할 수 있다.
측백엽(側柏葉, Cacumen biotae)은 주성분으로는 쿠에르세틴(quercetin), 미리세틴(myricetin), 펜콘(fenchone), 알파-피넨(α-pinene), 알파-카리오필렌(α-caryophyllene), 튜젠(thujone), 히노키플라본(hinokiflavone) 등이 함유되어 있고, 항균작용, 살균 작용, 지혈작용, 모발생장, 모포부활, 모발의 백화와 탈모에 효과적이다.
고삼(Sophorae Radix)은 다년생 초본으로 뿌리를 말하며 봄과 가을에 채취한다. 뿌리에는 알카로이드(Alkaloid)류인 d-마트린(matrine), d-옥시마트린(oxymatrine), d-소포라놀(sophoranol), l-메틸 시티신(methylcytisine), l-밥티폴린(baptifoline) 및 l-소포카르핀(sophocarpine)이 함유되어 있고,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의 잔토휴몰, 이소잔토휴몰 및 캠프페롤 등이 함유되어 있다. 주요 효능으로는 이뇨 작용 및 항균 효과 등이 있다.
감초(Glycyrrhiza glabra)는 콩과 다년생 초본식물로 항염증, 항알레르기, 항균효과가 우수하고 피부탄력, 주름개선, 피부보습 효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콜라겐 합성 및 히아론산 합성 증진효과가 우수하다. 감초의 생리활성의 주성분으로는 글리시리친(Glycyrrhizin), 후라보노이드(Flavonoid), 마니톨(mannitol) 등이다.
본 발명의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은 일반적인 두피 및 모발용 외용제제에 배합될 수 있는 기제 성분을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용제, 착색제, 또는 착향제 등이 있다.
여기서, 용해보조제는 구체적으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탄화수소, 글리콜류 등이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암모늄 라우릴술포숙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코코일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에틸렌옥사이드 1∼3개) 등이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이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디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이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스테아르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이 될 수 있다.
보습제는 구체적으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이 될 수 있다.
점증제는 구체적으로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될 수 있다.
pH 조정제는 구체적으로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구연산나트륨, 인산, 인산나트륨, 젖산 등이 될 수 있다.
방부제는 구체적으로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등이 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구체적으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아스코르빈산 등이 될 수 있다.
금속이온봉쇄제는 구체적으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테트라나트륨 등이 될 수 있다.
살균제는 구체적으로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4급 암모늄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살리실산 등이 될 수 있다.
항염증성분은 구체적으로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스테아릴글리시리지네이트, 카모마일, 알파 비사보롤, 알란토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될 수 있다.
항미생물성분은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피록톤올아민, 케토코나졸, 아르니카추출물,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 벤잘코늄클로라이드, 벤젠토늄클로라이드, 벤조산 및 그의염, 벤질알코올, 라벤다, 로즈마리, 살리실산, 트리클로카르반,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이 될 수 있다.
용제는 구체적으로 에탄올, 정제수, 트윈 20, 사이클로메치콘, 미네랄오일, 디메치콘 등이 될 수 있다.
착색제와 착향제는 일반적인 두피 및 모발용 제제에 사용되는 기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 등의 통상적으로 두피 및 모발에 적용시킬 수 있는 모든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통상의 첨가제를 가하여 모발성장촉진을 위한 샴푸,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헤어토닉, 헤어팩, 삼푸와 린스의 혼합형, 액상의 양모제 타입 등의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제형의 에어졸 타입도 포함한다. 상기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은 두피나 모발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등의 경피 투여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a) 황금, 하수오, 개자, 마치현, 은행잎, 측백엽, 고삼 및 감초를 혼합하여 열수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열수 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액을 수득하여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a) 황금, 하수오, 개자, 마치현, 은행잎, 측백엽, 고삼 및 감초 각각을 열수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각각의 열수 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 각각의 증류액을 얻은 후 혼합하여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 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금, 하수오, 개자, 마치현, 은행잎, 측백엽, 고삼 및 감초를 혼합하여, 열수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황금, 하수오, 개자, 마치현, 은행잎, 측백엽, 고삼 및 감초 각각을 열수추출할 수 있다.
상기 천연물의 각각의 중량비는 황금 추출물 10∼30중량부, 하수오 추출물 1∼25중량부, 개자 추출물 1∼20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1∼20중량부, 은행잎 추출물 0.01∼20중량부, 측백엽 추출물 1∼25중량부, 고삼 추출물 1∼25중량부 및 감초 추출물 1∼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황금 추출물 18∼22 중량부, 하수오 추출물 13∼17 중량부, 개자 추출물 8∼12 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8∼12 중량부, 은행잎 추출물 3∼7 중량부, 백엽 추출물 13∼17 중량부, 고삼 추출물 13∼17 중량부, 감초 추출물 8∼12 중량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수추출 후에는, 사용된 재료들은 제거하고, 열수추출물을 80∼100℃로 가열한 다음, 증기를 4∼10℃의 냉수 냉각관을 이용하여 증류액을 수득한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상기 증류액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다음, 조성물을 얻을 수도 있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상기 증류액을 12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다음, 조성물을 얻을 수도 있다. 상기 열수추출방법, 증류액의 원심분리, 고형분 제거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한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널리 행해지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가능할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두피 및 모발에 적용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삼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토닉, 헤어팩, 삼푸와 린스의 혼합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경우는, 약제학적으로 적합하며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용매,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의 가용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투여를 위해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모 방지 및 양모 촉진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황금, 하수오, 개자, 마치현, 은행잎, 측백엽, 고삼 및 감초 열수추출물의 증류액 혼합물이 적절한 용매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 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량은 연령, 병변의 정도 등의 개인 차이나 제형,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두피 및 모발 상태의 개선을 위한 화장품,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
(1)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을 획득하기 위하여, 황금 20 g, 하수오 15 g, 개자 10 g, 마치현 10 g, 은행잎 5 g, 측백엽 15 g, 고삼 15 g 및 감초 10 g을 정제수에 충분히 세척한 후, 혼합하였다. 열탕증류기에서 20L의 정제수를 이용하여 8∼48시간 정도, 80∼100℃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은 다음, 사용된 재료들을 제거하고, 열수 추출물을 90∼100℃로 가열하면서, 4∼10℃의 냉수 냉각관을 이용하여 증류액을 획득하였다. 상기 획득된 혼합 증류액을 12000 rpm에서 4℃, 3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조성물을 획득하였다.
(2)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을 획득하기 위하여, 각각 황금, 하수오, 개자, 마치현, 은행잎, 측백엽, 고삼 및 감초 재료들을 별도로 추출 및 증류하고 상기의 중량비대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황금, 하수오, 개자, 마치현, 은행잎, 측백엽, 고삼 및 감초 각각 1000g을 20L의 정제수를 이용하여 8∼48시간 정도, 80∼100℃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 후, 사용된 재료들을 제거하고 열수 추출물을 90∼100℃로 가열하면서, 4∼10℃의 냉수 냉각관을 이용하여 각각의 증류액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각각의 증류액들을 12000 rpm에서 4℃, 3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였다. 이들을 혼합하여 조성물 10L를 획득하기 위하여, 황금 추출물의 증류액 0.1∼3.0L, 하수오 추출물의 증류액 0.1∼2.5L, 개자 추출물의 증류액 0.1∼2.0L, 마치현 추출물의 증류액 0.1∼2.0L, 은행잎 추출물의 증류액 0.001∼2.0L, 측백엽 추출물의 증류액 0.1∼2.5L, 고삼 추출물의 증류액 0.1∼2.5L 및 감초 추출물의 증류액 0.1∼2.0L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피부세포의 증식 활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에 대한 피부 세포의 증식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 각질형성 세포인 HaCaT세포주(Cell Lines Service, Germany)를 1×104cells/ml의 농도로 하여 24웰 배양판에 접종하였다. 배지는 소혈청 10%를 함유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 USA)을 사용하였다. 10% FBS를 함유하는 DMEM에서 48시간 배양하여 배양용기 표면적의 25 ∼ 30 % 만큼 배양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 0.5 % ∼ 10 % 함유된 FBS-free DMEM으로 교체하여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 테트 라졸리움 브롬화물 (MTT, Sigma M5655, USA) 용액 (2.5 mg/ml)을 50㎕ 첨가하고 3시간동안 추가로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각 웰당 200 ㎕의 디메틸 설폭시드 (DMSO, Sigma D2650, USA)용액을 가한 후 20분간 교반하여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 결정을 녹인 다음, 100㎕ 씩을 96 웰로 취하여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로 57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 정도는 순수한 물을 사용한 대조군의 흡광 강도를 기준으로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수학식 1]
세포증식효과(%) = (추출물 처리시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 100
[표 1]
Figure 112009502710716-PAT00006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1,78%, 3.28%, 15.69%, 32.06%로 나타나, 각각의 추출물을 함유한 실험군보다 훨씬 우수한 세포 증식 및 활성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DPPH를 이용한 항산화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 해,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Sigma)를 이용하여 블로이스(Blois)법을 활용하여(Blois M.S., Nature 181, pp1198-1200,1958), 조성물의 라디칼 소거 효과(radical scavenging effect)를 확인하였다. DPPH는 비교적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보라색을 나타내며, 라디칼 상태로 존재시 517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보이며 소거되면 흡광성을 잃기 때문에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0.2 mM DPPH 용액(Blank인 경우는 에탄올) 150 ㎕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0.5∼10% 농도로 함유하도록 제작하여, 이들을 각각 150 ㎕ 첨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대조군은 정제수를 이용한 경우로 설정하였다. 상기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흡광도 측정 후, 항산화능의 정도는 순수한 물을 사용한 대조군의 흡광 강도를 기준으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효과를 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DPPH 라디칼 소거율(%) = [(A-B)/A] × 100
(A: 대조군의 흡광도, B: 실험군을 처리하였을 때의 반응군의 흡광도)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았다.
[표 2]
Figure 112009502710716-PAT00007
추출물 각각의 항산화 효과 보다는 황금, 하수오, 개자, 마치현, 은행잎, 측백엽, 고삼 및 감초 8종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혼합추출물)의 경우가 함량이 높아질수록, 항산화 효과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10% 처리시에,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모 기능성 평가 동물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능검증을 위해 동물실험을 이용한 모발스코어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효과를 평가하는 동물시험 모델로서는 C57BL/6 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였는데, C57BL/6 마우스는 체모가 검정색이고, 자발적 탈모(spontaneous alopecia)가 일어나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멜라노사이트(melanocyte)가 모낭에만 한정적으로 존재하고, 멜라닌(melanin) 합성이 모발 성장주기(hair growth cycle)와 잘 일치되어 피부색으로 모발의 성장주기를 판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져, 모발 성장기 유도 작용에 대한 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생후 42∼56일된 마우스(C57BL/6,male)를 사용하였고, 먼저 마우스의 등 부 위의 털을 전기면도기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각 마우스의 무게를 재서 몸무게가 골고루 분산이 되도록 10 마리씩 나누었다. 하루 동안 적응 기간을 두고 다음날부터 제모 부위에 대조군, 5% 미녹시딜 및 실시예 1에 따른 탈모 예방 및 양모 생장 촉진 조성물을 도포하였으며, 이때 대조군으로는 35% 에탄올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탈모 예방 및 양모 생장 촉진 조성물의 농축 고형물을 35% 에탄올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마우스 개체 당 등 부위에 1일 1회, 100 ㎕씩을 15일간 도포하여 성장기 유도 촉진 작용을 관찰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3일 및 8일이 경과한 후에는 미녹시딜 처리군 및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처리군이 발모 촉진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15일 경과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한 마우스의 경우, 거의 완벽하게 탈모된 부위가 회복되었다.
실험예 4 :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모 기능성 평가 시험
동물실험에서 일차적으로 효능을 확인한 본 발명 복합 조성물을 가지고 상품화할 수 있는 기본 제형을 통해 여성 및 남성 탈모증을 가진 자를 선정하여 소규모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30∼60세까지의 탈모증이 있는 성인남녀 총 20명(남성 15명, 여성 5명)을 대상으로 2그룹으로 나누어 1일 1회, 1회에 5 ml씩 약국에 시판되는 미녹시딜 5% 제품(현대약품제조)과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얻은 본 발명 조성물(실시예 1에 따른 탈모 예방 및 양모 생장 촉진 조성물의 농축 고형물을 35% 에탄올로 희석하여 사용)로 제조된 액상 토닉을 가지고 3개월간 탈모부위에 도포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효과의 판정은 세발 시 일일 평균 탈모량, 육안판정소견 및 자각증상 개선 정도를 평가척도로써 5단계로 평가하고 종합적인 개선도를 상기 평가 척도의 평균으로 하였는데, 그 점수는 5점 만점으로 단계에 따라 1점 단위로 부여하였는데, 하기 표 3과 같다. 실험군은 미녹시딜 5%군과 본 발명의 조성물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표 3] 소규모 임상실험시 사용되는 점수 척도
Figure 112009502710716-PAT00008
[표 4] 소규모 임상실험 결과
Figure 112009502710716-PAT00009
상기 표 3 및 표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소규모 임상실험 결과, 미녹시딜 처리군에 비해 본 발명의 조성물 처리군은 육안판정, 자각증상, 세발 시 탈모수에 있어서 45 ∼ 90%의 탈모 개선효과를 보였다. 종합적인 개선도를 산정해보면 평균 70 %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효능검증을 위해 동물실험을 이용한 모발스코어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이다.

Claims (5)

  1. 황금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개자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측백엽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황금 추출물 10∼30중량부, 하수오 추출물 1∼25중량부, 개자 추출물 1∼20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1∼20중량부, 은행잎 추출물 0.01∼20중량부, 측백엽 추출물 1∼25중량부, 고삼 추출물 1∼25중량부 및 감초 추출물 1∼2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3.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a) 황금, 하수오, 개자, 마치현, 은행잎, 측백엽, 고삼 및 감초를 혼합하여 열수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열수 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액을 수득하여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4.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a) 황금, 하수오, 개자, 마치현, 은행잎, 측백엽, 고삼 및 감초 각각을 열 수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각각의 열수 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 각각의 증류액을 얻은 후 혼합하여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황금 추출물 10∼30중량부, 하수오 추출물 1∼25중량부, 개자 추출물 1∼20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1∼20중량부, 은행잎 추출물 0.01∼20중량부, 측백엽 추출물 1∼25중량부, 고삼 추출물 1∼25중량부 및 감초 추출물 1∼2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90064244A 2009-07-13 2009-07-13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33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244A KR101133785B1 (ko) 2009-07-13 2009-07-13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244A KR101133785B1 (ko) 2009-07-13 2009-07-13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549A true KR20110006549A (ko) 2011-01-20
KR101133785B1 KR101133785B1 (ko) 2012-04-13

Family

ID=4361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244A KR101133785B1 (ko) 2009-07-13 2009-07-13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7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7938A (zh) * 2012-06-29 2012-10-03 乌鲁木齐哈孜巴义生发技术研究所(有限公司) 一种天然生发液及其制备方法
KR20130094089A (ko) * 2012-02-15 2013-08-23 (주)아모레퍼시픽 황금 추출물 및 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KR101348006B1 (ko) * 2011-08-26 2014-01-13 윤태민 모발 성장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WO2016056780A1 (ko) * 2014-10-06 2016-04-14 (주)아모레퍼시픽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240053102A (ko) 2022-10-14 2024-04-24 (주) 비에스티 황금과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645B1 (ko) * 2019-07-04 2021-07-2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천궁 및 황금 혼합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및 비듬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0960B1 (ja) * 2005-08-12 2006-10-11 建仁 河乃 育毛物質
KR100830627B1 (ko) * 2006-09-18 2008-05-20 루크제약 주식회사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듬방지 및 탈모방지용 생약제조성물
KR100787640B1 (ko) * 2007-02-08 2007-12-21 이태희 천연 발모 촉진제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006B1 (ko) * 2011-08-26 2014-01-13 윤태민 모발 성장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KR20130094089A (ko) * 2012-02-15 2013-08-23 (주)아모레퍼시픽 황금 추출물 및 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CN102697938A (zh) * 2012-06-29 2012-10-03 乌鲁木齐哈孜巴义生发技术研究所(有限公司) 一种天然生发液及其制备方法
WO2016056780A1 (ko) * 2014-10-06 2016-04-14 (주)아모레퍼시픽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TWI681775B (zh) * 2014-10-06 2020-01-11 南韓商愛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以高山黃芩萃取物製備組成物作為預防掉髮或加速頭髮生長之用途
US10568830B2 (en) 2014-10-06 2020-02-25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Scutellaria alpina extract
KR20240053102A (ko) 2022-10-14 2024-04-24 (주) 비에스티 황금과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785B1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556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43197B1 (ko) 발효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용 두피 케어 샴푸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샴푸 조성물
KR101483343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KR101445553B1 (ko)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0701606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60054B1 (ko)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두발 화장품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133785B1 (ko)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26660B1 (ko) 한방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발모촉진 및 모발 굵기 증대용 조성물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KR101739229B1 (ko) 탈모예방 및 모발 성장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7526A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787531B1 (ko)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516536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12565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0970126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664400B1 (ko)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30275B1 (ko) 모발 세정제 조성물
KR102455238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KR201701374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5570744B2 (ja) 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
KR100564107B1 (ko) 피부노화방지 효능을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