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612A -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612A
KR20130091612A KR1020120013024A KR20120013024A KR20130091612A KR 20130091612 A KR20130091612 A KR 20130091612A KR 1020120013024 A KR1020120013024 A KR 1020120013024A KR 20120013024 A KR20120013024 A KR 20120013024A KR 20130091612 A KR20130091612 A KR 20130091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gate
door
cam
output signal
pcb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학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3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1612A/ko
Publication of KR20130091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arm or disarm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폐를 위해 도어 래치 장치 내부에 설치된 PCB 기판에 테일게이트 제어용 패턴을 추가하여 단일 링크(캠)을 이용하여 2가지 신호, 예를 들면 도어 및 테일게이트의 개폐를 위한 신호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BCM에 테일게이트 개폐 관련 회로 및 와이어를 별도로 추가할 필요 없기 때문에 부품수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는 도어 래치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PCB 기판; 상기 PCB 기판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PCB 기판에 형성된 스위칭 패턴에 중첩 또는 중첩해제됨에 따라 도어 및 테일게이트를 동시에 락 또는 언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된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Multi-output signal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회 운동으로 2가지 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도어의 외부 및 내부에는 각각 도어의 잠금, 잠금해제, 열림 작동을 위한 아웃사이드 핸들, 키 실린더(key cylinder), 인사이드 핸들, 세이프티 락 노브(safty lock knob) 등이 구비되어 있다.
자동차의 도어 래치(door latch)는 연결로드(케이블)에 의해 키 실린더와 세이프티 락 노브, 인사이드 핸들 및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결된다.
키 실린더에 키를 넣고 회전시키거나 인사이드 핸들 및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길 때 이러한 동작이 연결 로드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도어 래치의 구성 요소들을 회전시켜 도어를 열거나 닫는다.
리모콘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거나, 세이프티 락 노브를 작동하는 동작 역시 연결 로드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도어 래치의 구성 요소들을 회전시켜 도어를 로킹하거나 언로킹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모콘에는 도어 뿐만 아니라 트렁크 또는 테일게이트를 잠금, 잠금해제시키기 위한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만약, 사용자가 도어 또는 테일게이트를 개방하기 위해 차량에서 소정 거리 범위 내에서 리모콘에 구비된 도어 또는 테일게이트용 버튼을 누르면 차량 내의 BCM(Body Control Unit)은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액추에이터에 제어신호를 보냄으로써 도어 또는 테일게이트를 잠금해제 또는 개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리모콘에 도어 개폐용 버튼 이외에 트렁크(또는 테일게이트) 개폐용 버튼을 도어 개폐용 버튼의 바로 옆에 더 설치함에 따라, BCM에 테일게이트 개폐 관련 회로 및 와이어를 추가로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하고, 관련 회로 및 와이어 추가로 인해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도어 개폐를 위해 도어 래치 장치 내부에 설치된 PCB 기판에 테일게이트 제어용 패턴을 추가하여 단일 링크(캠)을 이용하여 2가지 신호, 예를 들면 도어 및 테일게이트의 개폐를 위한 신호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BCM에 테일게이트 개폐 관련 회로 및 와이어를 별도로 추가할 필요 없기 때문에 부품수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는 도어 래치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PCB 기판; 상기 PCB 기판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PCB 기판에 형성된 스위칭 패턴에 중첩 또는 중첩해제됨에 따라 도어 및 테일게이트를 동시에 락 또는 언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된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은 스위칭 패턴과 접촉 또는 비접촉식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의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CB 기판에 도어용 패턴과 테일게이트용 패턴을 형성하고, 한 개의 캠을 이용하여 1회의 운동만으로 도어 및 테일게이트를 동시에 개폐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BCM에서 테일게이트 개폐를 위한 관련 회로 및 와이어를 삭제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의 언락 신호 발생시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의 락 신호 발생시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의 언락 신호 발생시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의 락 신호 발생시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리모콘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및 테일게이트를 개폐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기존에는 리모콘에 의한 도어 및 테일게이트 개폐 시 별개의 링크를 이용하여 도어 및 테일게이트의 개폐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어 래치에서 도어 및 테일게이트의 개폐동작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는 PCB 기판(10)과, PCB 기판(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 및 테일게이트의 락(Lock)/언락(unlock)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캠(11)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는 도어 래치 장치 내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도어 래치 장치는 리모콘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를 락 또는 언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캠(11)을 사용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캠(11)으로 도어 뿐만 아니라 테일게이트 개폐용 액추에이터에 락/언락 신호를 보내어 테일게이트를 락 또는 언락시키는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다.
본 출원인이 본 발명의 출원일과 동일자로 출원한 도어 래치 통합 링크 장치에 상기 도어 래치 장치가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리모콘에 구비된 테일게이트 개폐용 버튼을 누르면 캠(11)이 작동하여 도어 및 테일게이트를 락 또는 언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캠(11)은 도어 뿐만 아니라 테일게이트 개폐용 액추에이터에 락/언락 신호 송신하기 위한 스위치 역할을 한다.
이때, 캠(11)은 별도로 설치된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캠(11)으로부터 테일게이트 개폐용 액추에이터에 락/언락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PCB 기판(10)의 일측에 원호상으로 캠(11)의 회전반경 내에 스위칭 패턴(12), 즉 도어 제어용 패턴(12b)과 테일게이트 제어용 패턴(12a)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11)은 스위칭 패턴(12)과 중첩된 경우에 비접촉식 또는 접촉식으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중첩 시 도어 및 테일게이트를 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캠(11)이 스위칭 패턴(12)에서 중첩해제, 즉 패턴(12) 밖으로 완전히 벗어난 경우에 도어 및 테일게이트를 언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PCB 기판(10)의 일측 단부에는 커넥터(13)가 설치되어, 커넥터(13)를 통해 외부 부품, 예를 들면 테일게이트 개폐용 액추에이터와 PCB 기판(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일체형 테일게이트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 또는 테일게이트를 개방하기 위해 예를 들어 리모콘에 구비된 테일게이트 개폐용 버튼을 누르면, 도어 래치 장치에서 테일게이트의 락/언락 신호를 테일게이트 개폐용 액추에이터에 보낸다.
즉, 도어 래치 장치는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장치 내부에 설치된 캠(11)이 PCB 기판(10)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테일게이트 제어용 패턴(12a) 위에서 패턴(12a) 밖으로 완전히 벗어나며, 도어 래치의 링크부재를 통해 도어를 언락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테일게이트 개폐용 액추에이터에 언락 신호를 보냄으로써 테일게이트를 언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테일게이트를 닫은 후 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리모콘에 구비된 테일게이트 개폐용 버튼을 누르면, 캠(1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테일게이트 제어용 패턴(12a) 위에 중첩되며, 테일게이트 개폐용 액추에이터에 락 신호를 보냄으로써, 테일게이트 개폐용 액추에이터에 의해 테일게이트를 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BCM에서 제어하던 테일게이트의 락/언락 신호를 도어 래치에서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BCM에서 테일게이트 개폐를 위한 관련 회로 및 와이어를 삭제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10 : PCB 기판
11 : 캠
12 : 테일게이트 제어용 패턴
13 : 커넥터

Claims (2)

  1. 도어 래치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PCB 기판(10);
    상기 PCB 기판(10)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PCB 기판(10)에 형성된 스위칭 패턴(12)에 중첩 또는 중첩해제됨에 따라 도어 및 테일게이트를 동시에 락 또는 언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된 캠(1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11)은 스위칭 패턴(12)과 접촉 또는 비접촉식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

KR1020120013024A 2012-02-08 2012-02-08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 KR20130091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024A KR20130091612A (ko) 2012-02-08 2012-02-08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024A KR20130091612A (ko) 2012-02-08 2012-02-08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612A true KR20130091612A (ko) 2013-08-19

Family

ID=49216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024A KR20130091612A (ko) 2012-02-08 2012-02-08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16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7384B2 (en) Motor vehicle door latch device
JP6352779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7206552B2 (ja) 車両の可動部分のための緊急時作動装置
US11035156B2 (en) Automobile door latch apparatus
KR20050021490A (ko) 특히 차량의 도어나 리드 등을 위한 폐쇄 시스템
US11085204B2 (en) Automobile door locking device
US20160024816A1 (en) Vehicle console security system with electrically lockable cover
US10604969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US11021896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device
JP2012041764A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KR101255563B1 (ko) 도어 래치 일체형 테일게이트 제어 장치
KR20130091612A (ko) 자동차용 다출력 신호 제어 장치
CN112302437B (zh) 用于车辆的电动门锁
KR102648756B1 (ko) 방폭형도어래치
JP2015101833A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610928B1 (ko) 자동차 도어 로커 장치
KR100836333B1 (ko) 도어 록 장치
KR100749607B1 (ko) 차량용 트렁크 리드 래치
CN111417762B (zh) 活动门的锁的简化闭锁和解锁
CN104141425B (zh) 一种解锁装置
KR20100011729A (ko) 차량용 연료 도어 개폐장치
KR101198668B1 (ko) 오버라이드 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JP6080518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043996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KR101024986B1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래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