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244A -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 - Google Patents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244A
KR20130091244A KR1020127027930A KR20127027930A KR20130091244A KR 20130091244 A KR20130091244 A KR 20130091244A KR 1020127027930 A KR1020127027930 A KR 1020127027930A KR 20127027930 A KR20127027930 A KR 20127027930A KR 20130091244 A KR20130091244 A KR 20130091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linear motor
jig
packing
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8199B1 (ko
Inventor
히로아키 구사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28Electr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리니어 모터(2)를 구성하는 전기자(3) 및 계자부(4)의 유지와, 전기자(3) 및 계자부(4)의 장치로의 조립에 겸용되는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로서, 비자성재료로 형성되고, 전기자(3)를 유지하는 홈부를 가지며, 홈부에 유지한 전기자(3)와 계자부(4)에 발생하는 자기흡인력에 의해서 전기자(3)와 계자부(4)에 끼워 지지되는 치구 본체로서의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를 구비하고,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는 홈부의 영역 내에서 분할된 분할구조이다.

Description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 {BALING·ASSEMBLY JIG OF LINEAR MOTOR}
본 발명은 리니어 모터의 곤포(梱包, baling)·조립 치구(治具)에 관한 것이다.
리니어 모터의 장치로의 조립에 있어서, 종래,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기흡인력에 의한 영향을 회피하기 위해서, 전기자와 계자부가 대향하지 않는(자기흡인력이 발생하지 않는) 스페이스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어쩔 수 없이 전기자와 계자부가 대향한 상태에서 조립하는 경우는, 머터리얼 핸들링 장치(material handling device)가 필요했다. 종래기술로서는, 소정의 치구를 사용하여 미리 전기자와 계자부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조립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1-21163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소60-139162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치구 자체에 레일을 마련하는 등, 치구의 구조를 복잡하게 해야 하기 때문에, 리니어 모터의 제조비용이 높아진다. 또, 조립 후의 전기자와 계자부와의 틈새와 같은 치수의 스페이서를 이용하는 경우는, 장치 조립 후의 스페이서의 제거가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소화된 구조로 리니어 모터의 장치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는 전기자 및 계자부의 유지와, 전기자 및 계자부의 장치로의 조립에 겸용되는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로서, 비자성재료로 형성되고, 전기자를 유지하는 홈부를 가지고, 홈부에 유지한 전기자와 계자부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흡인력에 의해서 전기자와 계자부에 끼워 지지되는 치구 본체를 구비하며, 치구 본체는 홈부의 영역 내에서 분할된 분할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는 구조가 단순하고, 리니어 모터의 장치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의 실시형태로서의 출하(出荷)곤포겸 조립 치구 및 리니어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를 이용하여 리니어 모터를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를 이용하여 리니어 모터를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를 이용하여 리니어 모터를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를 이용하여 리니어 모터를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의 실시형태로서의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의 사시도이다. 리니어 모터(2)는 전기자(3)와 계자부(4)로 이루어지고, 전기자(3)와 계자부(4)와의 사이에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를 설치함으로써, 전기자(3)와 계자부(4)가 소정의 틈새를 유지하고 있다. 리니어 모터(2) 및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는, 출하 곤포시에는 리니어 모터 유니트(1)로 하여 하나의 유니트로서 취급된다.
전기자(3)의 상면(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와 반대 측의 면)에는 나사구멍(3a)이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의 치구 본체는 비자성재료 혹은 약자성재료(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stainles ssteel)이나 수지, 알루미늄)로 형성된다.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는 전기자(3)가 배치되는 홈부(5a)와 구멍(5b)을 구비하고 있다. 홈부(5a)에서 전기자(3)를 유지함으로써, 전기자(3)를 소정의 위치에서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홈부(5a)의 부분에서의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의 두께(t), 즉,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에 의해서 유지되는 전기자(3)와 계자부(4)와의 틈새의 소정 치수는 장치로의 조립 후의 틈새 치수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니어 모터(2)를 장치에 고정한 상태에서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를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멍(5b)은 후술하는 계자부 고정용 볼트(9)의 머리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를 이용하여 리니어 모터(2)를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계자부(4)의 상면에는 구멍(5b)과 연통하도록 릴링(reeling)구멍(4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리니어 모터(2)가 조립되는 장치는 전기자 장착 베이스(6) 및 계자부 장착 베이스(7)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자 장착 베이스(6)의 상면에는 나사구멍(3a)과 동일한 간격으로 릴링구멍(6a)이 형성되어 있다.
우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자 장착 베이스(6)와 계자부 장착 베이스(7)와의 사이에 리니어 모터 유니트(1)를 삽입한다. 전기자 장착 베이스(6)와 계자부 장착 베이스(7)와의 거리보다도 약간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자(3)가 전기자 장착 베이스(6)에 걸리지 않고 소정의 위치에 리니어 모터 유니트(1)를 세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니어 모터 유니트(1)를 장치의 소정의 위치에 세팅한다. 여기서의 소정의 위치란, 계자부 장착 베이스(7)에 형성된 나사구멍(7a)과 릴링구멍(4a)이 겹치는 위치이다. 그 후, 구멍(5b)을 통하여 나사구멍(7a)을 향하여 릴링구멍(4a)에 계자부 고정용 볼트(9)를 통과시키고, 계자부(4)를 계자부 고정용 볼트(9)에 의해 계자부 장착 베이스(7)에 나사고정한다. 이 때, 전기자(3)와 계자부(4)는 자기흡인력에 의해,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를 통하여 흡착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자(3)는 용이하게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전기자(3)와 전기자 장착 베이스(6)와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새가 생겨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구멍(3a)을 향하여 릴링구멍(6a)에 전기자 고정용 볼트(8)를 통과시키고, 전기자(3)를 전기자 고정용 볼트(8)에 의해 전기자 장착 베이스(6)에 나사고정한다. 이 때, 전기자(3)와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의 홈부(5a)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된다. 또, 전기자(3)와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의 홈부(5a)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형성됨으로써, 여태까지 자기흡인력에 의해서 전기자(3)와 계자부(4)에 의해서 끼워 지지되어 있던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가 해방된다.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는 비자성재료 혹은 약자성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흡인력에 의해 계자부(4)에 흡인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의 떼어내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는 홈부(5a)의 부분에서 분할된 분할구조로 되어 있으며, 장치에 리니어 모터(2)를 조립한 후에,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만을 용이하게 장치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는 2 이상으로 분할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길이방향 및 폭방향 각각으로 2분할되어, 합해서 4분할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방된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를 전기자 장착 베이스(6)와 계자부 장착 베이스(7)와의 사이부터 뽑아내어 리니어 모터(2)의 장치로의 조립이 완료한다.
이와 같이,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를 이용함으로써, 전기자(3)와 계자부(4)가 대향하지 않는(자기흡인력이 발생하지 않는) 스페이스를 마련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리니어 모터(2)의 조립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조립과 반대의 순서를 행함으로써, 장치로부터 리니어 모터(2)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가 구멍(5b)을 가지고, 구멍(5b)을 통하여 나사구멍(7a)을 향하여 릴링구멍(4a)에 계자부 고정용 볼트(9)를 통과시키는 구성을 예로 했지만, 계자부(4)와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가 겹치지 않는 부분에 릴링구멍(4a)을 마련하고,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5)에 구멍(5b)을 구비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리니어 모터의 전기자와 계자부를 출하 곤포으로부터 장치 조립까지 동안, 상시 대향시킬 수 있다. 또, 출하 곤포에 이용한 치구를 그대로 이용하여 장치에 리니어 모터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장치에 리니어 모터를 조립한 후, 곤포·조립 치구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는 단순한 구조로 전기자와 계자부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리니어 모터를 유지하고, 그대로 조립에도 사용할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1 리니어 모터 유니트 2 리니어 모터
3 전기자 3a, 7a 나사구멍
4 계자부 4a, 6a 릴링구멍
5 출하 곤포겸 조립 치구 5a 홈부
5b 구멍 6 전기자 장착 베이스
7 계자부 장착 베이스 8 전기자 고정용 볼트
9 계자부 고정용 볼트

Claims (2)

  1.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는 전기자 및 계자부의 유지와, 상기 전기자 및 상기 계자부의 장치로의 조립에 겸용되는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로서,
    비자성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전기자를 유지하는 홈부를 가지며, 상기 홈부에 유지한 상기 전기자와 상기 계자부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흡인력에 의해서 상기 전기자와 상기 계자부에 끼워 지지되는 치구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치구 본체는 상기 홈부의 영역 내에서 분할된 분할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부분에서의 상기 치구 본체의 두께 치수는 상기 장치로 조립한 상태에서의 상기 전기자와 상기 계자부와의 간격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
KR1020127027930A 2012-01-11 2012-01-11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 KR101418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0367 WO2013105227A1 (ja) 2012-01-11 2012-01-11 リニアモータの梱包・組付治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244A true KR20130091244A (ko) 2013-08-16
KR101418199B1 KR101418199B1 (ko) 2014-07-10

Family

ID=4743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930A KR101418199B1 (ko) 2012-01-11 2012-01-11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079178B1 (ko)
KR (1) KR101418199B1 (ko)
CN (1) CN103314512B (ko)
TW (1) TWI523379B (ko)
WO (1) WO2013105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2235A (zh) * 2014-07-08 2014-09-17 秦皇岛国能石油装备有限公司 直线电机动子滑套的改进结构
EP3255765A1 (en) * 2016-06-09 2017-12-1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method for servicing a linear motor device and a method for preparing a linear motor device
EP3254999A1 (en) * 2016-06-09 2017-12-1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method for servicing a linear motor device and a method for preparing a linear motor device
CN111564941B (zh) * 2020-06-15 2021-07-20 中车株洲电机有限公司 一种直线电机长定子电缆绕组端部弯形装置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162A (ja) * 1983-12-27 1985-07-23 Fujitsu Ltd リニアパルスモ−タのギヤツプ設定方法
JP3486146B2 (ja) * 2000-01-21 2004-01-13 株式会社ソディック リニアモータおよびリニアモータ組み付け方法
CN1244195C (zh) * 2003-06-12 2006-03-01 国家磁浮交通工程技术研究中心 线性同步电机长定子的连续制造方法
JP4285317B2 (ja) * 2004-04-23 2009-06-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ニアモータ駆動直動機構の組立方法および組立用治具
JP2010098780A (ja) * 2008-10-14 2010-04-30 Juki Corp リニアモータの組立治具
CN201726277U (zh) * 2010-07-19 2011-01-26 余姚市兰山电机企业有限公司 电枢滴漆机磁性夹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5227A1 (ja) 2013-07-18
TWI523379B (zh) 2016-02-21
JP5079178B1 (ja) 2012-11-21
TW201330461A (zh) 2013-07-16
JPWO2013105227A1 (ja) 2015-05-11
CN103314512B (zh) 2016-03-30
KR101418199B1 (ko) 2014-07-10
CN103314512A (zh) 201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1244A (ko) 리니어 모터의 곤포·조립 치구
CN107735844B (zh) 空心线圈绕线治具和空心线圈制造方法
JP2018064417A (ja) 着磁装置
KR101011889B1 (ko) 개폐기용 전자 조작 장치
JP6224380B2 (ja) リニアコンベア用のカバー部材及びリニアコンベア
JP6381791B2 (ja) ワイヤロープ探傷装置
JP2011193641A (ja) リニアモータおよび往復動ロッドの製造方法
JP2010080513A (ja) インダクタ
US2007023455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near Motor
TWI505606B (zh) 線性馬達及該線性馬達所具備之可動子
JP5670782B2 (ja) 型締装置
KR102533895B1 (ko) 짧은 스트로크 선형 모터
JP2014087208A (ja) リニアモータ組立治具及び組立方法
US20070205672A1 (en) Linear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near Motor
JP7106433B2 (ja) 位置付け治具
KR100568121B1 (ko) 영구자석 전자석 복합 마그네트
JP2008289324A (ja) リニアモータ
JP6187869B2 (ja) 鋳型造型装置における移動部材の移動量検出装置
JP5991286B2 (ja) リニアモータの電機子及びリニアモータ
JP2012094558A (ja) 自己保持型ソレノイド
CN112697695A (zh) 材料摩擦异响试验台激振器电磁式快拆结构
JP2016112608A (ja) マグネットフロータ
JP2009293354A (ja) マグネットキャッチ
KR200479514Y1 (ko) 전자석 척 블록 사이를 막는 틈새 막음 부재
JP2013225985A (ja) リニアスライ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