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771A - 조전지의 제조 방법 및 조전지 - Google Patents

조전지의 제조 방법 및 조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771A
KR20130090771A KR1020127031829A KR20127031829A KR20130090771A KR 20130090771 A KR20130090771 A KR 20130090771A KR 1020127031829 A KR1020127031829 A KR 1020127031829A KR 20127031829 A KR20127031829 A KR 20127031829A KR 20130090771 A KR20130090771 A KR 20130090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welding
connection member
welded
en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오따
신스께 후꾸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90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셀에 발생하는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조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접속 부재(5A)를 셀(4b)에 저항 용접하는 제1 용접 공정과, 상기 제1 용접 공정 후에 접속 부재(5A)를 셀(4a)에 용접하는 제2 용접 공정을 포함하고, 제1 용접 공정 및 제2 용접 공정 중 적어도 제2 용접 공정에서는, 셀(4a)의 외측면에 접속 부재(5A)를 접촉시켰을 때에 당해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rise) 접속 부재(5A)의 단부면을 용융시켜서 당해 접속 부재(5A)를 가압(pressing)하지 않고 셀(4a)에 용접한다.

Description

조전지의 제조 방법 및 조전지{BATTERY ASSEMBLY PRODUCTION METHOD AND BATTERY ASSEMBLY}
본 발명은,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셀을 갖는 조전지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부터,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단전지(셀)와, 인접하는 단전지 사이에 설치된 연결판을 구비한 조전지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의 조전지는, 연결판의 일단부를 한쪽의 단전지(셀)의 정극에 용접함과 함께, 연결판의 타단부를 다른 쪽의 단전지의 부극에 용접하고, 상기 연결판을 2번 접어서 각 단전지를 직렬로 배치함으로써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의 조전지의 제조 시에는, 이면에 용접용 비드가 형성된 연결판을 표측(表側)으로부터 단전지의 단부면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당해 연결판에 전류를 흘린다. 이에 의해, 상기 비드가 용융해서 연결판과 단전지가 용접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조전지를 제조하는 경우, 연결판의 이면(비드)을 용융시켜서 당해 연결판을 단전지에 용접하기 위해서, 저항 용접 시에 연결판을 단전지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로 인해, 양쪽의 단전지에 있어서 각각 상기 가압력에 기인하는 기계적인 스트레스가 발생하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1629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1개의 셀에 발생하는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조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전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정극과 부극이 대향하도록 직렬로 배치된 제1 셀 및 제2 셀과,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양 셀의 대향하는 정극과 부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갖는 조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접속 부재를 상기 제1 셀에 용접하는 제1 용접 공정과, 상기 제1 용접 공정 후에 상기 접속 부재를 상기 제2 셀에 용접하는 제2 용접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접 공정 및 제2 용접 공정 중 적어도 상기 제2 용접 공정에서는, 상기 제2 셀의 외측면에 접속 부재를 접촉시켰을 때에 당해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면을 용융시켜서 당해 접속 부재를 가압하지 않고 상기 제2 셀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렬로 배치된 제1 셀 및 제2 셀과, 이들 제1 셀과 제2 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양 셀의 대향하는 정극과 부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셀과 상기 접속 부재가 용접된 제1 용접부, 및 상기 제2 셀과 상기 접속 부재가 용접된 제2 용접부는,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의 영역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용접부 및 상기 제2 용접부 중 적어도 제2 용접부는, 상기 제2 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면에 대한 레이저 용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에 발생하는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팩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속 부재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접속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셀과 접속 부재를 저항 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접속 부재에 대하여 셀을 레이저 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접속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 일부 단면도이며, 셀에 접속 부재를 저항 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도 7의 접속 부재에 대하여 셀을 레이저 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성격의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팩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지 팩(1)은, 조전지(2)와, 이 조전지(2)를 피복하는 피복 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피복 부재(3)는, 조전지(2)를 수납하는 바닥이 있는 용기(3b)와, 이 바닥이 있는 용기(3b)의 개구부를 덮음과 함께, 바닥이 있는 용기(3b)의 측벽을 둘러싸는 덮개(3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피복 부재(3) 내에는, 상기 조전지(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안전 장치도 수납되어 있다.
조전지(2)는, 6개의 셀(4a 내지 4f)과, 이들 셀(4a 내지 4f)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5A 내지 5C)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셀(4a 내지 4c)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셀(4d 내지 4f)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직렬로 배치된 2열의 셀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접속 부재(5A)는, 셀(4a)의 부극과 셀(4b)의 정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함께, 셀(4d)의 부극과 셀(4e)의 정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한 셀(4a) 및 셀(4d)의 부극끼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접속 부재(5B)는, 셀(4b)의 부극과 셀(4c)의 정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함께, 셀(4e)의 부극과 셀(4f)의 정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한 셀(4b) 및 셀(4e)의 부극끼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접속 부재(5C)는, 셀(4c)의 부극과 셀(4f)의 부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조전지(2)의 접속 부재(5C)와 반대측 단부면에는, 셀(4a)의 정극과 셀(4d)의 정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조전지(2)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셀(4a 내지 4f)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이며,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4는 셀(4a)의 정극측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셀(4b)의 부극측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셀(4a, 4b)의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셀(4a, 4b)은, 원통 형상의 바닥이 있는 케이스(6a)와, 이 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개구단부에 설치된 저판(6b)과, 상기 바닥이 있는 케이스(6a)와 저판(6b) 사이의 실내에 설치된 전극군(6c), 절연판(6d, 6h), 밀봉판(6e) 및 배기 밸브(6g)를 구비하고 있다. 전극군(6c)은, 정극 시트, 부극 시트 및 세퍼레이터가 권회된 것이다. 전극군(6c)의 최외주면은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다. 이 전극군(6c)에는, 정극 리드(6f)가 접속되고, 이 정극 리드(6f)가 밀봉판(6e)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밀봉판(6e)과 저판(6b)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저판(6b)은 정극을 구성하는 셀(4a, 4b)의 단부면이 된다. 한편, 전극군(6c)에는, 부극 리드(6i)가 접속되고, 이 부극 리드(6i)가 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저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저면은, 부극을 구성하는 셀(4a, 4b)의 단부면이 된다. 절연판(6d)은 전극군(6c)과 저판(6b)을 절연시키기 위해서 전극군(6c)과 저판(6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절연판(6h)은, 전극군(6c)과 바닥이 있는 케이스(6a)를 절연시키기 위해서 전극군(6c)과 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저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밀봉판(6e)은, 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개구를 막도록 절연판(6d)과 저판(6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배기 밸브(6g)는, 밀봉판(6e)과 저판(6b) 사이에 설치되고, 밀봉판(6e)에 형성된 구멍을 막도록 당해 밀봉판(6e)에 고정되어 있다. 이 배기 밸브(6g)는, 바닥이 있는 케이스(6a) 내에서 발생한 가스를 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외부로 도출하도록, 상기 가스의 압력이 소정압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개방한다.
이러한 셀(4a 내지 4f)에 있어서는, 정극측의 단부면(저판(6b)) 또는 부극측의 단부면(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저면)과 전극군(6c) 사이의 거리가 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측면과 전극군(6c) 사이의 거리보다도 크다. 구체적으로, 저판(6b)과 전극군(6c) 사이에는, 정극 리드(6f), 절연판(6d), 밀봉판(6e) 및 배기 밸브(6g)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또한, 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저면과 전극군(6c) 사이에는, 부극 리드(6i), 절연판(6h)을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해, 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측면과 전극군(6c) 사이에는 이러한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최근에는, 셀(4a 내지 4f)의 소형화 요청에 따르기 위해, 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측면과 전극군(6c) 사이의 거리가 좁게 설계된다. 그로 인해, 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측면과 전극군(6c) 사이의 거리와 정극측 또는 부극측의 단부면으로부터 전극군(6c)까지의 거리와의 차가 더욱 커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정극측의 단부면(저판(6b))과 전극군(6c) 사이의 거리는, 부극측의 단부면(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저면)과 전극군(6c) 사이의 거리보다도 크다. 구체적으로, 정극측의 단부면과 전극군(6c) 사이에는, 부극측의 단부면과 전극군(6c) 사이에 설치되는 부극 리드(6i) 및 절연판(6h)에 상당하는 구성 외에, 밀봉판(6e), 배기 밸브(6g)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요구된다. 그로 인해, 정극측의 단부면과 전극군(6c) 사이의 거리는, 부극측의 단부면과 전극군(6c) 사이의 거리보다도 커진다.
셀(4a 내지 4f)의 상기와 같은 구조적 특성을 고려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셀(4b, 4c, 4e, 4f)의 정극측의 단부면(저판(6b))에 대하여 접속 부재(5A) 또는 접속 부재(5B)를 저항 용접한다. 한편, 셀(4a, 4b, 4d, 4e)의 부극측의 단부면(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저면)에 대하여 접속 부재(5A) 또는 접속 부재(5B)를 레이저 용접한다.
도 2는, 도 1의 접속 부재(5A, 5B)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접속 부재(5A, 5B)의 측면도이다. 각 접속 부재(5A, 5B)는,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하 접속 부재(5A)의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접속 부재(5A)는, 금속판을 적소에서 절곡한 것이다. 이 접속 부재(5A)는, 서로 대향하는 셀(4a)의 부극과 셀(4b)의 정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접속부(5a)와, 서로 대향하는 셀(4d)의 부극과 셀(4e)의 정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부(5b)와, 이들 제1 접속부(5a)와 제2 접속부(5b)를 연결하는 연결부(5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접속부(5a)와 제2 접속부(5b)는, 좌우 대칭인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하, 제1 접속부(5a)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제1 접속부(5a)는, 셀(4a)의 부극측의 단부면(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저면)과 셀(4b)의 정극측의 단부면(저판(6b)) 사이에 설치되고, 양단부면에 대하여 용접되어 있다. 제1 접속부(5a)와 셀(4a)의 용접 부분(도 5의 화살표 M2로 지시하는 부분) 및 제1 접속부(5a)와 셀(4b)의 용접 부분(도 4의 화살표 M1로 지시하는 부분)은, 당해 셀(4a)과 셀(4b) 사이의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속부(5a)는, 셀(4a, 4b)의 길이 방향(축선 방향)을 따라 투영했을 때에, 셀(4a, 4b)의 단부면의 투영 형상의 범위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속부(5a)는, 한 쌍의 기초부(5d)와, 이들 기초부(5d) 사이에서 당해 각 기초부(5d)로부터 표측으로 돌출된 돌출부(5e)를 일체로 갖는 금속판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5e)가 셀(4b)에 용접되어 있는 한편, 기초부(5d)가 셀(4a)에 용접되어 있다. 돌출부(5e)의 표면과 각 기초부(5d)의 이면 사이의 거리(D1)(도 3 참조)는, 후술하는 레이저 용접을 하는데 필요한 거리(예를 들어, 1mm)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속부(5a)에는, 기초부(5d)와 돌출부(5e)에 걸쳐서 제1 접속부(5a)를 관통하는 슬릿(5f)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5f)은, 후술하는 저항 용접 시의 전류의 경로를 길게 함으로써 접속 부재(5A)를 효과적으로 용융시키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5c)는, 제1 접속부(5a)의 돌출부(5e)와 제2 접속부(5b)의 돌출부(5e)를 연결한다. 도 3에 명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5c)의 이면과 각 기초부(5d)의 이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연결부(5c)는 각 돌출부(5e)로부터 이측으로 되접혀져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돌출부(5e)끼리 연결하는 연결부(5c)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부(5d)끼리 연결하는 연결부(5g)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지 팩(1)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셀(4b)과 접속 부재(5A)를 저항 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접속 부재(5A)에 대하여 셀(4a)을 레이저 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일부 단면도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돌출부(5e)의 표면과 각 기초부(5d)의 이면과의 사이의 거리 D1이 레이저 용접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정 거리(예를 들어, 1mm)가 되는 접속 부재(5A)를 준비한다(이격 공정). 이러한 접속 부재(5A)를 준비함으로써, 후술하는 공정에서 셀(4a)과 셀(4b) 사이에 레이저 용접에 필요한 거리 D1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셀(4b)의 정극측의 단부면(저판(6b))에 대하여 제1 접속부(5a)의 돌출부(5e)의 표면을 접촉시키고, 이 돌출부(5e)의 이면에 대하여 저항 용접용 한 쌍의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접촉시킨다. 이때, 저항 용접용 각 전극은, 돌출부(5e)의 이면에 대하여 슬릿(5f)을 끼운 양측에서 접촉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계속해서, 화살표 M1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전극을 셀(4b)측에 가압하면서 각 전극 사이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제1 접속부(5a)(돌출부(5e))의 표면을 용융시켜서 당해 제1 접속부(5a)를 셀(4b)(저판(6b))에 저항 용접한다(제1 용접 공정).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군(6c)으로부터의 거리가 비교적 긴 셀(4b)의 단부면(저판(6b))에 대하여 저항 용접을 실시한다. 그로 인해, 전극군(6c)으로부터의 거리가 비교적 짧은 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측면에 저항 용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저항 용접 시의 가압에 의해 전극군(6c)이 받는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군(6c)으로부터의 거리가 부극측의 단부면보다도 긴 정극측의 단부면에 대하여 저항 용접을 실시한다. 그로 인해, 부극측의 단부면에 저항 용접을 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저항 용접 시의 가압력에 의해 전극군(6c)이 받는 기계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용접 공정에서 저판(6b)에 용접된 제1 접속부(5a)의 각 기초부(5d)의 이측면에 대하여 셀(4a)의 부극측의 단부면(바닥이 있는 케이스(6a)의 저면)이 접촉하도록, 셀(4a)을 배치한다(배치 공정). 이 배치 공정에 의해, 돌출부(5e)의 표면으로부터 각 기초부(5d)의 이면까지의 거리 D1에 대응하는 간극이 셀(4a)과 셀(4b) 사이에 자동으로 형성된다.
계속해서, 셀(4a)의 부극측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기초부(5d)의 단부면에 대하여 레이저 용접을 행한다(제2 용접 공정). 구체적으로, 이 제2 용접 공정에서는, 화살표 M2로 도시한 바와 같이, 셀(4a)과 셀(4b)의 간극을 통해서 기초부(5d)의 단부면에 대하여 레이저를 조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이저의 조사 범위는 한쪽의 기초부(5d)의 긴 변(도 2의 상측의 기초부(5d)의 상변)의 일부이고, 레이저의 출력은, 50W 내지 300W이며, 레이저의 조사 시간은, 0.01sec 내지 0.5sec이고, 셀(4a)의 단부면에 대한 레이저의 광축의 각도는, 5°내지 30°이다. 이 조건으로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기초부(5d)의 단부면이 용융하고, 그것이 재 경화해서 제1 접속부(5a)가 셀(4a)에 용접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2 용접 공정에서는, 한쪽의 기초부(5d)의 긴 변의 일부에 대해서만 레이저 용접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기초부(5d)의 긴 변의 전체 범위에 대해서 레이저 용접을 행해도 좋다. 또한, 기초부(5d)의 짧은 변(도 2의 좌우의 변)이나 다른 쪽의 기초부(5d)(도 2의 하측의 기초부(5d))에 대해서 레이저 용접을 행할 수도 있다.
상기 각 공정은, 셀(4d)과 셀(4e) 사이의 접속 작업과 병행해서 행해진다. 그리고, 상술한 작업을 셀(4b)과 셀(4c) 사이 및 셀(4e)과 셀(4f) 사이에서도 마찬가지로 행함으로써, 조전지(2)가 제조된다. 계속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전지(2)를 도시하지 않은 안전 장치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한 후, 피복 부재(3) 내에 수납함으로써, 전지 팩(1)이 완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접속 부재(5A)의 단부면을 용융시켜서 당해 접속 부재(5A)를 가압하지 않고 셀(4a)에 용접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당해 셀(4a)에 대한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셀(4b)과 접속 부재(5A)를 용접시킨 후에, 이 접속 부재(5A)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한 셀(4a)과 접속 부재(5A)를 용접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종래의 제조 방법과 비교해서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가로로 늘어놓은 2개의 단전지 상에 연결판의 양단부를 각각 배치하고, 연결판의 양단부를 각 단전지에 각각 용접한 후에, 이 연결판을 2번 접음으로써 양 단전지를 세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시키는 공정을 필요로 한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제조 방법에서는, 셀(4b)과 접속 부재(5A)의 용접 후에 셀(4b)에 대하여 셀(4a)을 세로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접속 부재(5A)에 셀(4a)을 용접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종래의 제조 방법과 같이 연결판을 2번 접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셀(4a)이 접속되기 전의 단계, 즉, 셀(4b)의 단부면(제1 단부면) 상의 스페이스가 셀(4a)에 의해 구속되기 전의 단계에 있어서, 이 스페이스를 이용해서 셀(4b)의 단부면 상에 배치한 접속 부재(5A)에 대하여 전극을 내려서 저항 용접을 유효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용접 공정에 있어서, 셀(4b)의 단부면과 셀(4a)의 단부면(제2 단부면) 사이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배치된 기초부(5d)의 단부면에 대하여, 셀(4a) 및 셀(4b)의 단부면 사이(셀(4a, 4b)의 측방)로부터 레이저를 조사한다. 이에 의해 접속 부재(5A)를 셀(4a)의 단부면에 확실하게 용접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각 기초부(5d)의 이면과 돌출부(5e)의 표면 사이의 거리 D1이 레이저 용접에 필요한 거리로 된 접속 부재(5A)를 준비한다. 그로 인해, 이 접속 부재(5A)를 양 셀(4a, 4b) 사이에서 끼움으로써, 기초부(5d)의 단부면에 레이저를 조사 가능하게 하는 간극을 셀(4b)의 단부면과 셀(4a)의 단부면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2)에 의하면, 저항 용접부 및 레이저 용접부가 셀(4a)과 셀(4b) 사이의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각 용접부가 셀(4a)과 셀(4b) 사이의 영역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콤팩트한 조전지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 부재(5A)와 셀(4a, 4b)의 용접부가 각 셀(4a, 4b) 사이의 영역 내에 배치된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레이저 용접부는, 셀(4a, 4b) 사이의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 일부 단면도이며, 셀(4b)에 접속 부재(5D)를 저항 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도 7의 접속 부재(5D)에 대하여 셀(4a)을 레이저 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일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 부재(5D)는, 원판 형상의 저부(5h)와, 이 저부(5h)의 주연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세워 설치된 측벽부(5i)를 갖는 바닥이 있는 용기 형상의 금속 부재이다. 이 접속 부재(5D)를 사용해서 셀(4a)과 셀(4b)을 접속하기 위한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우선, 셀(4b)의 정극측의 단부면에 대하여 접속 부재(5D)의 저부(5h)의 표면을 접촉시키고, 이 저부(5h)의 이면에 대하여 저항 용접용 한 쌍의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접촉시킨다. 계속해서, 화살표 M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전극을 셀(4b)측에 가압하면서 각 전극 사이에 전류를 흘린다. 이에 의해, 저부(5h)의 표면을 용융시켜서 당해 저부(5h)를 셀(4b)에 저항 용접한다(제1 용접 공정).
도 8을 참조하여, 이어서, 상기 제1 용접 공정에서 저부(5h)에 용접된 접속 부재(5D)의 측벽부(5i)의 내측에 셀(4a)을 삽입함으로써, 셀(4a)과 셀(4b)을 일렬로 배치한다. 또한, 측벽부(5i)의 내경 치수는, 당해 측벽부(5i) 내에 삽입된 셀(4a)의 외측면과 측벽부(5i)의 내측면이 미끄럼 접촉하도록, 셀(4a)의 외주 치수에 대응해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촉에 의해 셀(4a)의 부극과 측벽부(5i)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셀(4a)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케이스(6a) 자체가 전극군(6c)의 부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 바닥이 있는 케이스(6a)와 접촉함으로써, 측벽부(5i)는 셀(4a)의 부극과 접속되게 된다.
계속해서, 셀(4a)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측벽부(5i)의 단부면에 대하여 레이저 용접을 행한다(제2 용접 공정). 구체적으로, 이 제2 용접 공정에서는, 화살표 M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부(5i)의 단부면에 대하여 레이저를 조사한다. 레이저의 조사 조건은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 제2 용접 공정에서 레이저 용접을 채용할 수 있는 이유는, 저항 용접과 상이하고, 가압하지 않고 용접 할 수 있기 때문에, 셀(4a)의 측면이라도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줄 가능성이 낮은 것에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셀(4b)과 접속 부재(5A, 5B, 5D)를 저항 용접하는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들 용접을 레이저 용접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즉, 제1 용접 공정에서 행해지는 용접은, 저항 용접에 한정되지 않고, 레이저 용접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구체적 실시 형태에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 발명이 주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정극과 부극이 대향하도록 직렬로 배치된 제1 셀 및 제2 셀과,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양 셀의 대향하는 정극과 부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갖는 조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접속 부재를 상기 제1 셀에 용접하는 제1 용접 공정과, 상기 제1 용접 공정 후에 상기 접속 부재를 상기 제2 셀에 용접하는 제2 용접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접 공정 및 제2 용접 공정 중 적어도 상기 제2 용접 공정에서는, 상기 제2 셀의 외측면에 접속 부재를 접촉시켰을 때에 당해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면을 용융시켜서 당해 접속 부재를 가압하지 않고 상기 제2 셀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 부재의 단부면을 용접시켜서 당해 접속 부재를 가압하지 않고 제2 셀에 용접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2 셀에 대한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압하지 않고』란, 접속 부재에 대하여 제2 셀측을 향한 힘을 전혀 부여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2 셀과 접속 부재를 밀착 상태로 유지하는 정도의 힘이 접속 부재에 부여되는 것을 허용하는 취지이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셀의 전극을 구성하는 제1 단부면에 대하여 상기 접속 부재를 용접하고, 상기 제1 용접 공정 후의 상기 접속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1 셀의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제2 셀의 전극을 구성하는 제2 단부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제2 셀을 배치하는 배치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용접 공정에서는, 상기 제2 단부면이 접속 부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면을 용융시킴으로써 상기 제2 단부면에 상기 접속 부재를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셀과 접속 부재를 용접한 후에, 이 접속 부재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한 제2 셀과 접속 부재를 용접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종래의 제조 방법과 비교해서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가로로 늘어놓은 2개의 단전지 상에 연결판의 양단부를 각각 배치하고, 연결판의 양단부를 각 단전지에 각각 용접한 후에, 이 연결판을 2번 접음으로써 양 단전지를 세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시키는 공정을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해, 상기 제조 방법에서는, 제1 셀과 접속 부재의 용접 후에 제1 셀에 대하여 제2 셀을 세로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접속 부재에 제2 셀을 용접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종래의 제조 방법과 같이 연결판을 2번 접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접 공정에서는, 상기 제2 단부면에 대하여 상기 접속 부재를 레이저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2 용접 공정에 있어서, 제1 단부면과 제2 단부면 사이가 한정된 스페이스에 배치된 접속 부재의 단부면에 대하여, 각 셀의 단부면의 사이(각 셀의 측방)로부터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부재를 제2 단부면에 확실하게 용접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접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면에 대하여 레이저를 조사 가능하도록, 상기 배치 공정에서 배치되는 상기 제1 단부면과 상기 제2 단부면 사이를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는 이격 공정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제1 셀과 제2 셀 사이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배치된 접속 부재의 단부면에 대하여 유효하게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 부재로서, 상기 제1 셀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셀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이 상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것을 준비함으로써, 상기 이격 공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용접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을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단부면에 대하여 상기 접속 부재를 저항 용접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2 셀이 접속되기 전의 단계, 즉, 제1 단부면 상의 스페이스가 제2 셀에 의해 구속되기 전의 단계에 있어서, 이 스페이스를 이용해서 제1 단부면 상에 배치된 접속 부재에 대하여 전극을 내려 저항 용접을 유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서는, 제1 셀의 제1 단부면에 대하여 저항 용접을 행하고 있지만, 이 저항 용접이 제1 셀에 부여하는 기계적 스트레스는 작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셀의 전극을 구성하는 단부면은, 당해 단부면과 내용물(예를 들어, 전극군)과의 절연을 도모하기 위해서, 또는 안전 장치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서, 통상, 셀의 측면과 비교해서 내용물까지의 거리가 크게 확보되어 있다. 그로 인해, 각 단부면에 대하여 다소 가압력이 부여되어도, 셀의 내용물에 끼치는 영향은 비교적 작다. 환언하면, 셀의 측면으로부터 내용물까지의 거리는, 최근 셀의 소형화 요청에 따르기 위해 최대한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셀의 측면에 대해서는, 셀의 단부면과 비교해서 가압력에 대한 영향이 커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조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렬로 배치된 제1 셀 및 제2 셀과, 이들 제1 셀과 제2 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양 셀의 대향하는 정극과 부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셀과 상기 접속 부재가 용접된 제1 용접부 및 상기 제2 셀과 상기 접속 부재가 용접된 제2 용접부는,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의 영역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용접부 및 상기 제2 용접부 중 적어도 제2 용접부는, 상기 제2 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면에 대한 레이저 용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조전지에 의하면, 제1 용접부 및 제2 용접부가 제1 셀과 제2 셀 사이의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용접부 또는 제2 용접부가 각 셀 사이의 영역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콤팩트한 조전지로 할 수 있다.
이렇게 콤팩트한 조전지를 제공할 수 있는 이유는, 양 셀의 영역 내에 설치된 제1 용접부 및 제2 용접부 중, 적어도 제2 용접부가 레이저 용접부인 것에 기인한다. 예를 들어, 접속 부재를 제1 셀의 단부면에 저항 용접(제1 용접부를 형성)한 후에, 이 접속 부재를 사이에 두도록 제2 셀을 배치하고, 양 셀 사이의 영역 내에서 제2 셀과 접속 부재를 저항 용접하는 것은 곤란하다. 왜냐하면, 양 셀 사이의 스페이스에 저항 용접용 전극을 내리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양 셀 사이의 영역 내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양 용접부가 양 셀 사이에 배치된 본 발명에 관한 조전지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조전지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제2 용접부가 레이저 용접부이다. 그로 인해, 이 제2 용접부를 형성할 때에 접속 부재를 가압하지 않고 제2 셀에 용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셀에 대한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제2 용접부가 레이저 용접부이다』란, 제1 용접부 및 제2 용접부의 양쪽이 레이저 용접부인 것을 포함하는 취지이다.
또한, 『가압하지 않고』의 의미는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조전지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셀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셀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면에 대하여 레이저를 조사 가능하게 되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셀과 제2 셀 사이에 접속 부재를 사이에 둠으로써 레이저 용접에 필요한 스페이스가 필연적으로 형성된다. 그로 인해, 이 스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해서 각 셀을 오목하게 하는 등의 설계 변경이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에 발생하는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1: 전지 팩
2: 조전지
3: 피복 부재
4a 내지 4f: 셀
5A, 5B, 5D: 접속 부재
5a: 제1 접속부
5b: 제2 접속부
5d: 기초부
5e: 돌출부

Claims (9)

  1. 정극과 부극이 대향하도록 직렬로 배치된 제1 셀 및 제2 셀과,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양 셀의 대향하는 정극과 부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갖는 조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접속 부재를 상기 제1 셀에 용접하는 제1 용접 공정과,
    상기 제1 용접 공정 후에 상기 접속 부재를 상기 제2 셀에 용접하는 제2 용접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접 공정 및 제2 용접 공정 중 적어도 상기 제2 용접 공정에서는, 상기 제2 셀의 외측면에 접속 부재를 접촉시켰을 때에 당해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면을 용융시켜서 당해 접속 부재를 가압하지 않고 상기 제2 셀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셀의 전극을 구성하는 제1 단부면에 대하여 상기 접속 부재를 용접하고,
    상기 제1 용접 공정 후의 상기 접속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1 셀의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제2 셀의 전극을 구성하는 제2 단부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제2 셀을 배치하는 배치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용접 공정에서는, 상기 제2 단부면이 접속 부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면을 용융시킴으로써 상기 제2 단부면에 상기 접속 부재를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접 공정에서는, 상기 제2 단부면에 대하여 상기 접속 부재를 레이저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접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면에 대하여 레이저를 조사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배치 공정에서 배치되는 상기 제1 단부면과 상기 제2 단부면 사이를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는 이격 공정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공정에서는, 상기 접속 부재로서, 상기 제1 셀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셀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이 상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것을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의 제조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단부면에 대하여 상기 접속 부재를 저항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전지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조전지.
  8. 직렬로 배치된 제1 셀 및 제2 셀과,
    이들 제1 셀과 제2 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양 셀의 대향하는 정극과 부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셀과 상기 접속 부재가 용접된 제1 용접부, 및 상기 제2 셀과 상기 접속 부재가 용접된 제2 용접부는,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의 영역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용접부 및 상기 제2 용접부 중 적어도 제2 용접부는, 상기 제2 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면에 대한 레이저 용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셀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셀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면에 대하여 레이저를 조사 가능하게 되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
KR1020127031829A 2010-06-14 2011-06-01 조전지의 제조 방법 및 조전지 KR201300907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35034 2010-06-14
JP2010135034 2010-06-14
PCT/JP2011/003074 WO2011158450A1 (ja) 2010-06-14 2011-06-01 組電池の製造方法及び組電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771A true KR20130090771A (ko) 2013-08-14

Family

ID=4534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829A KR20130090771A (ko) 2010-06-14 2011-06-01 조전지의 제조 방법 및 조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095370A1 (ko)
JP (1) JP5176002B2 (ko)
KR (1) KR20130090771A (ko)
CN (1) CN102947973A (ko)
WO (1) WO20111584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0407B2 (ja) * 2010-03-26 2014-08-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電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CN106463685B (zh) * 2014-06-18 2019-10-25 远景Aesc日本有限公司 电池组的极片焊接方法
KR102332338B1 (ko) * 2017-06-01 2021-1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7144489B2 (ja) * 2020-07-30 2022-09-29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1038B2 (ja) * 1999-10-29 2006-11-29 三洋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ール電池
JP2001345086A (ja) * 2000-05-31 2001-12-14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JP4794138B2 (ja) * 2004-04-27 2011-10-19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
JP2006147319A (ja) * 2004-11-18 2006-06-08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
JP5051986B2 (ja) * 2005-06-30 2012-10-17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5015455B2 (ja) * 2005-12-27 2012-08-29 株式会社エムアンドジーエコバッテリー 二次電池単電池間の接続構造
JP5205805B2 (ja) * 2007-05-16 2013-06-0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95370A1 (en) 2013-04-18
JP5176002B2 (ja) 2013-04-03
CN102947973A (zh) 2013-02-27
JPWO2011158450A1 (ja) 2013-08-19
WO2011158450A1 (ja)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6874B2 (en) Prismatic cell and production method for the same
CN107611291B (zh) 电池及其制造方法
JP4446205B2 (ja)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66677B2 (ja)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6915616B2 (ja) 二次電池
JP2006302734A (ja) 二次電池
US7857867B2 (en) Sealed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aled battery
JP6939566B2 (ja) 蓄電素子
WO2015025388A1 (ja) 二次電池
JP7163932B2 (ja) 蓄電素子
JP6593304B2 (ja) 蓄電デバイスおよ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EP1993161B1 (en) Battery, and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KR20130090771A (ko) 조전지의 제조 방법 및 조전지
JP6935798B2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5869435B2 (ja) 角型電池及び角型電池の製造方法
JP2005183360A (ja) 角形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7147576B2 (ja) 組電池、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JP2010118374A (ja) キャパシタ
JP4373049B2 (ja) 蓄電池
JP6108545B2 (ja) 角形二次電池および組電池
JP2007012406A (ja) 組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6750438B2 (ja) 角形二次電池
WO2015115641A1 (ja) 集電体の接続構造及び該接続構造を備えた蓄電器
JP7443321B2 (ja) 二次電池および組電池、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7326677B2 (ja) 正極タブ固定部材を含む円筒型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