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742A -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742A
KR20130090742A KR1020127001809A KR20127001809A KR20130090742A KR 20130090742 A KR20130090742 A KR 20130090742A KR 1020127001809 A KR1020127001809 A KR 1020127001809A KR 20127001809 A KR20127001809 A KR 20127001809A KR 20130090742 A KR20130090742 A KR 20130090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lever
longitudinal direction
rubber blade
connecting portion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621B1 (ko
Inventor
타카오 요시모토
Original Assignee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24924A external-priority patent/JP54572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54864A external-priority patent/JP5576247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3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60S2001/3815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chacterised by the joint betwee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 B60S2001/3841Squeegee modifications to prevent longitudinally sliding of squeegee in support structure

Abstract

와이퍼 블레이드(13)는 메인 레버(31), 가동 부재(32) 및 고무 블레이드(22)를 포함한다. 메인 레버(31)는 와이퍼 암(12)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레버(31)는 길이 방향 중간부, 두 개의 길이 방향 단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정의되는 제1 단부, 및 제1 홀딩부(31n)를 포함한다. 제1 홀딩부(31n)는 상기 길이 방향 중간부보다 제1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동 부재(32)는 상기 제1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홀딩부(32n)를 포함한다. 고무 블레이드(22)는 제1 홀딩부(31n)와 제2 홀딩부(32n)에 의해 고정된다. 메인 레버(31)와 가동 부재(32) 사이의 연결부는 메인 레버(31)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홀딩부(31n)으로부터 외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앞유리 표면 등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114746호 공보(도 8 내지 도 10 참조)는 차량에 설치되는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를 개시하고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암에 연결되는 메인 레버를 포함한다. 커버(가동 부재)는 메인 레버(main lever)의 그 길이 방향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메인 레버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설치되는 두 개의 홀딩 후크(holding hook)는 고무 블레이드(blade rubber)를 고정한다. 메인 레버는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하부 방향(와이핑(wiping) 면)으로 개방되어 사실상 U자 형상 단면을 갖는다. 두 개의 홀딩 후크는 메인 레버의 각 길이 방향 단부에서 고무 블레이드의 윗부분을 고정하도록 메인 레버의 두 개의 측벽으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도록 연장된다. 또한, 메인 레버는 두 개의 측벽을 연결하는 윗벽을 구비하고, 상기 윗벽은 홀딩 후크가 형성되는 위치에 있어서 하부로 연장되는 상부 연결부를 포함한다. 커버는 상부 연결부가 삽입되는 하부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상부 연결부와 하부 연결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메인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부와 홀딩 후크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설치된다. 홀딩 후크는 메인 레버와 커버를 조립함에 있어 방해가 되기 쉽다. 이것으로 조립 공정이 제한되고 조립이 번잡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더 나아가, 상기 연결부와 홀딩 후크에 의해 고정되는 고무 블레이드의 일 부분이 블레이드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쌓여 2층 구조를 갖게 된다. 이것으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11474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블레이드의 높이가 낮아지면서도, 메인 레버와 가동 부재를 서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암에 연결된 메인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레버는 길이 방향 중간부, 두 개의 길이 방향 단부 중 하나 이상으로 정의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길이 방향 중간부보다 상기 제1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홀딩부를 포함한다. 가동 부재는 제1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홀딩부를 포함한다. 고무 블레이드는 제1 홀딩부와 제2 홀딩부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메인 레버와 가동 부재 사이의 연결부는 메인 레버의 길이 방향에서 제1 홀딩부로부터 외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과 그 목적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와이퍼의 사시도이고,
도 2a 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고무 블레이드의 정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2C-2C 선을 따라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2d는 도 2a의 2D-2D 선을 따라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a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3B-3B 선을 따라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3a의 3C-3C 선을 따라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메인 레버의 상부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5a는 도 1의 가동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5B-5B 선을 따라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7a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제1 단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제2 단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8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8B-8B 선을 따라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레버의 상부 연결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 부재의 하부 연결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와이퍼의 고무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a는 도 11의 고무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면도이고,
도 12b는 기단부에서 제1 홀딩부 부근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자동차의 앞유리(방풍 유리)(1)의 와이핑 면(1a)에 부착된 빗방울 등을 닦는 차량용 와이퍼(11)를 나타낸다. 차량용 와이퍼(11)는 와이퍼 암(12)과 와이퍼 블레이드(13)를 포함한다. 와이퍼 암(12)의 기단부(basal end)는 와이퍼 모터(wiper motor)(미도시)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소정 각도로 앞뒤로 회전하도록 회전축(미도시)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와이퍼 블레이드(13)를 회전축에 대하여 앞뒤로 회전시키게 된다. 와이퍼 블레이드(13)는 와이퍼 암(12)의 선단부에 연결클립(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프링(미도시)은 와이퍼 블레이드(13)를 와이핑(wiping) 면(1a)에 대하여 누르는 압력을 부여하도록 와이퍼 암(12)에 장착된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와이퍼 블레이드(13)는 와이퍼 레버(21)와 고무 블레이드(22)를 포함한다. 도 2a는 평면을 따라 놓인 와이퍼 블레이드(13)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즉, 고무 블레이드(22)의 와이핑 면측 단부(하단부)가 평면에 접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와이퍼 레버(21)는 메인 레버(31)와 두 개의 가동 부재(32)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레버(31)는 기단부, 상기 기단부에 대향하는 선단부 및 중간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부는 연결 클립(14)에 의하여 와이퍼 암(12)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메인 레버(31)에서 상기 기단부는 와이퍼 암(12)의 회전 중심에 인접한다. 상기 가동 부재(32)들의 기단부들은 상기 메인 레버(31)의 두 개의 단부에 (도 2a의 축 X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레버(31)는 수지로 만들어진다. 길이 방향에 직교한 메인 레버(31)의 단면은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에서 전체 길이에 대하여 와이핑 면(1a) 쪽으로 개방된다. 수직 방향(와이핑 면(1a)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개구(31a)(도 1 참조)가 메인 레버(31)의 길이 방향에서 중간부의 상부에 (와이핑 면(1a)으로부터 먼 부분에) 형성된다. 측벽(31b, 31c)들을 연결하는 금속 연결축(31d)(도 2a 참조)이 두 개의 측벽(31b, 31c)(도 2c 및 도 2d 참조)들 사이에서 메인 레버(31)의 상부 개구(3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서트(insert) 성형된다. 와이퍼 암(12)의 선단부는 연결 클립(14)(도 1 참조)에 의해 연결축(31d)에 연결된다.
상기 메인 레버(31)에서, 제1 홀딩부(31n)는 중간부보다 기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제1 홀딩부(31o)는 중간부보다 선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 홀딩부(31n, 31o)는 각각 고무 블레이드(22)(그 상부(22a))를 고정하도록 두 개의 홀딩 후크부(holding hook portion)(31e)를 포함한다. 두 개의 제1 홀딩 후크부(31e) 사이의 간격은 길이 방향으로 상부 개구(31a)(도 1 참조)의 길이 보다 더 길다. 더 나아가, 두 개의 제1 홀딩 후크부(31e)는 메인 레버(31)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딩 후크부(31e)는 상기 메인 레버(31)의 두 개의 측벽(31b, 31c)들의 하부 에지(edge)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가까워지게 연장되도록 구부러진 선단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메인 레버(31)는 고무 블레이드(22)의 상부(22a)를 고정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bridge) 부(31f)는 상기 메인 레버(31)에 제1 홀딩 후크부(31e)가 형성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 부(31f)는 고무 블레이드(22)가 와이핑 면(1a)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블레이드(22)의 상부(22a)(그 윗면)에 접촉한다. 또한, 상기 브리지 부(31f)는 상기 제1 홀딩 후크부(31e)의 강성을 확보하도록 두 개의 측벽(31b, 31c)을 연결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리지 부(31f)는 두 개의 측벽(31b, 31c)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윗벽(31g)과 틈(S)을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도 3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벽(31g)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결부(31h)는 메인 레버(31)의 길이 방향에서 제1 홀딩 후크부(31e)로부터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도 3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상부 연결부(31h)는 체결 플레이트(31i)와 회전축(31j)을 포함한다. 체결 플레이트(31i)는 윗벽(31g)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메인 레버(3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회전축(31j)은 체결 플레이트(31i)의 길이 방향에서 중간부의 선단에 위치하고 메인 레버(31)의 두께 방향으로 (와이핑 방향, 도 3c의 왼쪽과 오른쪽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j)은 대략 원통 형상이고, 체결 플레이트(31i)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 절반부를 포함한다. 돌출부는 두께 방향 폭이 하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진(taperd) 형상을 갖는다.
각각의 가동 부재(32)는 수지로 만들어지고, 길이 방향에 직교한 방향에서 전체적으로 와이핑 면(1a) 쪽으로 개방된 대략 U자 형상 단면을 갖는다. 가동 부재(32)의 길이 방향 기단부는 메인 레버(31)의 두 개의 길이 방향 단부에서 축 X(도 2a 참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메인 레버(31)에 연결된다. 가동 부재(32)는 메인 레버(31)에 대해 연속적인 (길이 방향으로 단차가 작은) 외관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3a 내지 도 3c,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연장부(32a)가 가동 부재(32)의 기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32a)는 두 개의 측벽(31b, 31c)과 메인 레버(31)의 윗벽(31g)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메인 레버(31)의 제1 홀딩 후크부(31e)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외측에 설치된다. 연장부(32a)는 위쪽으로 개방되는 오목부가 형성된 하부 연결부(32b)를 포함한다. 상부 연결부(31h)는 하부 연결부(32b)와 상부 연결부(31h)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위로부터 하부 연결부(32b)에 삽입된다. 제1 실시예의 하부 연결부(32b)는 가동 부재(32)의 두께 방향(와이핑 방향, 도 3b에서 왼쪽과 오른쪽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오목부에 설치되는 체결 플레이트 지지부(32c)와 축 지지부(32d)를 포함한다. 체결 플레이트(31i)는 체결 플레이트 지지부(32c)가 두께 방향으로 체결 플레이트(31i)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플레이트 지지부(32c)로 삽입된다. 회전축(31j)은 축 지지부(32d)가 회전축(31j)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축 지지부(32d)에 삽입된다. 제1 실시예의 축 지지부(32d)는 가동 부재(32)를 수지-성형하는 하부 몰드(미도시)에 의해 형성된다.
도 3c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몰드가 통과하여 지나가는 몰드 분리홀(32e)(미도시)이 축 지지부(32d)의 하측에 형성된다. 회전축(31j)이 축 지지부(32d)에 삽입되는 경우, 축 지지부(32d)는 회전축(31j)의 상부 절반과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하면서) 메인 레버(31)에 대하여 가동 부재(32)가 아래 방향 움직이는 것(메인 레버(3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활 모양으로 굽은 오목부 형상의 단면을 갖는 지지면(32g)은 하부 연결부(32b)의 바닥(32f)의 윗면에 축 지지부(32d)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에서 중간 부분에 형성된다. 지지면(32g)은 회전축(31j)의 하부 절반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하는 동시에 가동 부재(32)가 메인 레버(31)에 대하여 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가동 부재(32)는 회전축(31j)의 X 축에 대하여 메인 레버(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실시예에서, 상부 연결부(31h)와 하부 연결부(32b)는 연결부(41)를 구성한다. 회전축(31j)은 테이퍼 진(tapered) 형상을 갖고, 하부 연결부(32b)의 두 개의 측벽은 가요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부 연결부(31h)와 하부 연결부(32b)는 수직 방향을 따르는 상대적 운동에 의한 하나의 동작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연결부(31h)와 하부 연결부(32b)는 상부 연결부(31h)와 하부 연결부(32b)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메인 레버(31)에 대하여 가동 부재(32)를 위로 움직임으로써 연결된다.
제1 실시예에서, 바닥(32f)은 메인 레버(31)에 대한 가동 부재(32)의 회전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32f)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축 지지부(32d)로부터 멀어질수록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2h)을 구비한다. 축 지지부(32d)가 하부 연결부(32b)(체결 플레이트 지지부(22c))의 길이 방향으로 중간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경사면(32h)은 길이 방향에서 축 지지부(32d)의 양쪽에 형성된다.
도 3a,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바닥(32f)은 외부로 (도 3a의 하부로) 개방된 배수홀(32i)을 포함한다. 배수홀(32i)은 각각의 경사면(32h)의 가장 아래 위치에 설치되고, 구체적으로 하부 연결부(32b)의 두 개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된다.
제2 홀딩부(32n)는 메인 레버(31)의 기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된 가동 부재(32)의 길이 방향 선단측에 설치된다. 제2 홀딩부(32o)는 메인 레버(31)의 선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동 부재(32)의 길이 방향 선단측에 설치된다.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홀딩부(32n, 32o)들은 각각 제1 홀딩 후크부(31e)와 동일한 방식으로 고무 블레이드(22)(그 상부(22a))를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제2 홀딩 후크부(32j)를 포함한다. 제2 홀딩 후크부(32j)는 가동 부재(32)의 하단부에서부터 와이핑 면(1a) 쪽으로 돌출된다.
고무가 연장되어 형성된 고무 블레이드(22)는 기단부와, 길이 방향으로 상기 기단부에 대향하는 선단부를 포함한다. 기단부는 고무 블레이드(22)에서 와이퍼 암(12)의 회전 중심에 인접한다. 고무 블레이드(22)는 제1 홀딩 후크부(31e)와 제2 홀딩 후크부(32j)에 의해 고정되는(움켜쥐어 지는) 상부(22a)와 와이핑(wiping)부(22b)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핑 부(22b)는 상부(22a)에서 아래 방향(와이핑 면(1a)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22a)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와이핑 방향에서 외부로(도 2c에서 왼쪽과 오른쪽으로) 개방되는 두 개의 수용 홈(22c)은 고무 블레이드(22)의 상부(22a)의 면측에 형성된다. 판 스프링 부재로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평판 형상의 백킹(backing)(33)이 그의 표면과 와이핑 면이 평행하도록 수용홈(22c)에 (수용되고 고정되어) 부착된다. 백킹(33)은 고무 블레이드(22)가 와이퍼 암(12)으로부터 받는 와이핑 면(1a)에 대한 압력을 길이 방향으로 분산시킨다. 제1 홀딩 후크부(31e)로부터 두 개의 길이 방향 단부 쪽으로 돌출되는 고무 블레이드(22)의 종동 단부(22d)(도 2a 참조)는 와이핑 면(1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종동 단부(22d)에서의 와이핑 부(22b)는 와이핑 면(1a)에 대하여 눌러질 수 있다. 제1 홀딩 후크부(31e)와 제2 홀딩 후크부(32j)는 백킹(33)(수용홈(22c))을 포함하는 상부(22a)를 고정하고 수용홈(22c)으로부터 백킹(3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실시예의 수용홈(22c)은 상기 수용홈(22c)이 부분적으로 얇아지도록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체결 돌출부(22e)를 포함한다. 체결 돌출부(22e)는 제2 홀딩 후크부(32j)들 중 하나(도 2a에서는, 가동 부재(32)의 좌측의 제2 홀딩 후크부(32j))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두 개의 체결 돌출부(22e)는 제2 홀딩 후크부(32j)에 대응하는 위치의 범위 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다. 백킹(33)의 체결 돌출부(22e)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체결 돌출부(22e)가 끼워지는 체결 오목부(33a)가 형성된다. 따라서, 복잡한 만곡 형상을 갖는 백킹(33)의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는 체결 돌출부(22e)가 체결 오목부(33a)에 끼워지는지 또는 안 끼워지는 지에 따라 거꾸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 나아가, 두 개의 백킹(33)들은 같은 부재이기 때문에, 상기 백킹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정확하게 연결되는 한은 두 개의 수용홈(22c) 중 어느 쪽에도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체결 오목부(33a)는 각각의 백킹(33)에 형성된다. 체결 돌출부(22e)와 체결 오목부(33a)는 또한 수용홈(22c)에서 길이 방향으로 백킹(33)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체결된다. 체결 돌출부(22e)와 체결 오목부(33a)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고무 블레이드(22)의 잠금 돌출부(22f, 22g)들 사이에 체결된 제2 홀딩 후크부(32j)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폭 방향에서 백킹(33)의 움직임이 체결 돌출부(22e)와 체결 오목부(33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직접적으로 저지되고, 체결 돌출부(22e)와 체결 오목부(33a)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a에서, 수용홈(22c)의 우측에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32)의 제2 홀딩 후크부(32j)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 돌출부(22e)가 형성되지 않고, 백킹(33)의 같은 위치에 체결 오목부(33a)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2a에서 제2 홀딩 후크부(32j)와 길이 방향으로 체결된 잠금 돌출부(22f, 22g)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고무 블레이드(22)의 좌측에 가동 부재(32)에 제2 홀딩 후크부(32j)에 대응하는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된다. 길이 방향에서 고무 블레이드(22)의 가운데에 인접한 잠금 돌출부(22f)는 좌측으로 가까워질수록 정면도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 홀딩 후크부(32j)는 길이 방향으로 매끄럽게 움직이고 고무 블레이드(22)의 잠금 돌출부(22f, 22g)들 사이에 일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홀딩 후크부(32j)는 상기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잠금 돌출부(22f)를 강하게 체결한다.
도 2b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22c)(수용홈(22c)의 윗벽)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변형 억제부로서 작용하는 후육부(22h)가 제1 실시예의 길이 방향에서 고무 블레이드(22)의 양측으로 제1 홀딩 후크부(31e)들 사이에 형성된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육부(22h)는 위쪽으로 수용홈(22c)의 윗면에 벽이 볼록해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후육부(22h)의 두께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딩 후크부(31e)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껍다.
도 2a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방지 돌출부(31k)가 메인 레버(31)의 길이 방향으로 두 개의 제1 홀딩 후크부(31e) 사이에 배치된다. 분리 방지 돌출부(31k)는 와이핑 면(1a) 쪽으로 메인 레버(31)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된다. 분리 방지 돌출부(31k)는 보이드(void)(K)(메인 레버(31)의 내면과 고무 블레이드(22)의 상부(22a) 사이의 공간)에서 와이핑 면(1a)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무 블레이드(22)의 움직임(상하 운동)을 허용하도록 고무 블레이드(22)를 안내한다. 또한, 분리 방지 돌출부(31k)가 측벽에 마련되며, 즉, 측벽(31b)은 와이퍼(11)가 와이퍼 정지 위치로부터 움직이기 시작할 때 고무 블레이드(22)에 작용하는 처음 운동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받는다. 분리 방지 돌출부(31k)는 수용홈(22c)로부터 백킹(3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와이퍼 정지 위치는 앞유리(1)(와이핑 면(1a))의 하단부를 따라서 놓여있게 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분리 방지 돌출부(31k)는 두 개의 제1 홀딩 후크부(31e) 사이의 길이 방향으로 중심부를 연결하는 위치에, 그리고 두 개의 제1 홀딩 후크부(31e) 사이의 길이 방향에서 중심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복수 개가 마련된다. 제1 실시예에서, 두 개의 분리 방지 돌출부(31k)는 길이 방향으로 중심부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차량 주행 시 주행풍을 받는 경우 와이핑 면(1a) 쪽으로 고무 블레이드(22)를 누르는 힘을 발생시키는 핀(fin) 표면(31l, 32k)(도 2c 및 도 2d 참조)이 제1 실시예의 와이퍼 레버(21)(메인 레버(31)와 가동 부재(32))의 외측 표면에 차량의 앞면(부착된 상태에서 앞면)에 형성된다. 핀 표면(31l, 32k)은 길이 방향으로 대략 와이퍼 레버(21)의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도 2c, 도 2d,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레버(31)의 핀 표면(31l)은, 와이퍼(11)의 왕복 운동 방향에서 선단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측벽(31b)에서부터 윗벽(31g)으로 연장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가동 부재(32)의 핀 표면(32k)은 메인 레버(31)의 핀 표면(31l)과 연속적인 (길이 방향으로 단차가 작은) 외관을 형성한다.
제1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1) 메인 레버(31)와 가동 부재(32)의 연결부(41)(상부 연결부(31h)와 하부 연결부(32b))는 메인 레버(31)의 제1 홀딩 후크부(31e)로부터 메인 레버(31)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메인 레버(31)와 가동 부재(32)의 연결은 제1 홀딩 후크부(31e)에 방해받지 않고, 조립 방법에 더 적게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레버(31)와 가동 부재(32)는 쉽게 연결된다. 더 나아가, 메인 레버(31)와 가동 부재(32)의 연결부(41)와 메인 레버(31)의 제1 홀딩 후크부(31e)에 의한 고무 블레이드(22)의 고정 구조가 길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분리되기 때문에 와이퍼 블레이드(13)의 높이가 낮아진다. 제1 실시예에서, 메인 레버(31)와 가동 부재(32)의 연결부(41)는 메인 레버의 윗벽(31g)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결부(31h)와 하부 연결부(31b)를 포함한다. 상부 연결부(31h)는 하부 연결부(32b)와 상부 연결부(31h)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위로부터 하부 연결부(32b)로 삽입된다. 메인 레버(31)와 가동 부재(32)의 연결부(41)(상부 연결부(31h)와 하부 연결부(32b))는 수직 방향을 따르는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서 연결된다. 따라서, 메인 레버(31)와 가동 부재(32)가 연결되는 경우 제1 홀딩 후크부(31e)가 방해가 되지 않고, 메인 레버(31)와 가동 부재(32)가 쉽게 연결된다.
(2) 메인 레버(31)는 제1 홀딩 후크부(31e)가 설치되는 길이 방향 위치에 고무 블레이드(22)의 윗면에 접촉하고 두 개의 측벽(31b, 31c)을 연결하는 브리지 부(31f)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홀딩 후크부(31e)의 강성은 향상되고 두 개의 제1 홀딩 후크부(31e)는 고무 블레이드(22)를 강하게 고정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벌어지기 어렵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윗벽(31g)으로부터의 거리가 멀고 제1 홀딩 후크부(31e)가 쉽게 벌어지는 경우 제1 홀딩 후크부(31e)는 낮은 강성을 갖기 때문에 고무 블레이드(22)가 쉽게 분리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홀딩 후크부(31e)의 강성이 보강되면 고무 블레이드(22)의 분리가 브리지 부(31f)에 의하여 방지된다. 즉, 메인 레버와 가동 부재의 연결부가 홀딩 후크부와 길이 방향으로 같은 위치에 설치되는 2층 구조에서는 연결부가 있기 때문에 와이퍼 블레이드(13)의 높이가 낮아지게 누르면서 브리지 부를 공간상에 설치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본 구성의 연결부(41)는 제1 홀딩 후크부(31e)보다 메인 레버(31)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와이퍼 블레이드(13)의 높이를 낮게 누르면서 브리지 부(31f)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3) 브리지 부(31f)와 윗벽(31g) 사이에 틈(S)이 형성되기 때문에, 필요한 강성을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4) 브리지 부(31f)를 포함하는 메인 레버(31)는 수지로 일체 성형(integrally molded)되기 때문에, 메인 레버(31)의 표면에 싱크(sink)(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브리지 부(31f)와 윗벽(31g) 사이에 형성된 틈(S)이 형성되기 때문에 수지로 채워지고 틈(S)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싱크에 의한 변형이 줄어든다.
(5) 메인 레버(31)에는 일 측벽(31b)으로부터 윗벽(31g)까지 주행풍을 받는 경우 와이핑 면(1a) 쪽으로 고무 블레이드(22)를 누르는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핀 표면(31l)이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핑 면(1a)으로부터 고무 블레이드(22)가 올라가는 것이 핀 표면(31l)에 의하여 줄어들고, 고무 블레이드(22)는 와이핑 면(1a)을 따라서 만족스러운 와이핑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윗벽(31g)으로부터 제1 홀딩 후크부(31e)까지의 거리(수직 방향에서의 거리)가 핀 표면(31l)을 형성하기 위하여 자연스럽게 커지게 된다. 그러나 제1 홀딩 후크부(31e)의 강성이 브리지 부(31f)에 의해서 보강되기 때문에 두 개의 홀딩 후크부(31e)는 서로에 대하여 벌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고무 블레이드(22)는 강하게 고정된다.
제1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활 모양으로 굽어진 오목부 형상의 단면을 갖는 지지면(32g)이 바닥(32f)에 형성된다. 지지면(32g)은 메인 레버(31)에 대하여 가동 부재(32)가 위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대략적으로 회전축(31j)의 하부 절반부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된다. 지지면(32g)의 구성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기능을 다른 구성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32g)의 구성이 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 도 8b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지지 돌출부(31m)는 메인 레버(31)의 윗벽(31g)에 회전축(31j)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두 개의 지지 돌출부(31m)는 와이핑 방향(메인 레버의 폭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고, 각각의 지지 돌출부(31m)는 윗벽(31g)으로부터 하부로 약간 돌출된다. 도 8a, 도 8b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32)의 연장부(32a)에서, 위로 돌출되는 활 형상을 갖는 활 모양 지지 돌출부(32l)는 회전축(31j)을 축 지지부(32d)에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 돌출부(31m)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활 모양 지지 돌출부(31l)는 지지 돌출부(31m)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함으로서 메인 레버(31)에 대하여 가동 부재(32)의 윗 방향 움직임을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성으로, 가동 부재(32)는 메인 레버(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 실시예에서 얻은 장점과 동일한 장점을 얻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8a 내지 도 10 참조), 하부 연결부(32b)의 바닥(32f)은 회전축(31j)에 접촉(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바닥(32f)은 제1 실시예의 경사면(32h)이 없이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판 두께를 갖는 단순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수홀(32i)이 길이 방향으로 양측 단부에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서, 메인 레버(31)는 제1 홀딩 후크부(31e)가 설치된 길이 방향 위치에서, 두 개의 측벽(31b, 31c)을 연결하고, 고무 블레이드(22)의 윗면에 접촉하는 브리지 부(31f)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 구성은 브리지 부(31f)를 생략하도록 변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았지만, 가동 부재(32)의 두 개의 측벽을 연결하는 브리지 부는 메인 레버(31)의 브리지 부(31f)와 같이, 가동 부재(32)에 제2 홀딩 후크부(32j)가 형성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제2 홀딩 후크부(32j)는 제2 홀딩 후크부(32j)의 강성이 보강됨에 따라 서로에 대하여 벌어지지 않게 되고 고무 블레이드(22)는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2 홀딩 후크부(32j)를 고무 블레이드(2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제1 실시예처럼 잠금 돌출부(22f)의 경사면에 대하여 올리고, 제2 홀딩 후크부(32j)를 개방시키는(두께 방향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힘이 가해진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제2 홀딩 후크부(32j)의 변형이 브리지 부의 형성으로 억제되고, 고무 블레이드(22)는 제2 홀딩 후크부(32j)에 의하여 강하게 고정된다.
제1 실시예에서, 주행풍이 형성되는 경우 와이핑 면(1a) 쪽으로 고무 블레이드(22)를 누르는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핀 표면(31l, 32k)이 와이퍼 레버(21)(메인 레버(31)와 가동 부재(32))에 형성되나, 제1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핀 표면(31l, 32k)은 와이퍼 레버에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홀(32i)은 하부 연결부(32b)의 바닥(32f)에 설치되나, 제1 실시예는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배수홀(32i)이 반드시 바닥(32f)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제1 실시예에서, 연결부(41)는 상부 연결부(31h)(체결 플레이트(31i)와 회전축(31j))와 하부 연결부(32b)(체결 플레이트 지지부(32c)와 축 지지부(32d))로 구성되나, 제1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41)는 메인 레버(31)의 길이 방향에서 제1 홀딩 후크부(31e)로부터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한은 다른 구성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41)는 체결 플레이트(31i)와 체결 플레이트 지지부(32c)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부(41)는 반드시 두께 방향(즉, 와이핑 방향)으로 흔들림을 제한하기 위한 구조로 되어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 더 나아가, 메인 레버(31)는 하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가동 부재(32)는 상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수용홈(22h)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변형 억제부(후육부(22h))가 고무 블레이드(22)의 길이 방향으로 대향 하도록 제1 홀딩 후크부(31e) 사이에 설치되나, 제1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변형 억제부가 제외될 수 있고, 또는 변형 억제부가 고무 블레이드(22)의 전체 길이 방향에 대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변형 억제부는 수용홈(22c)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면, 다른 부재로 후육부(22h)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접착제 등으로 상부(22a) 뒤에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수용홈(22c)으로부터 백킹(3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 방지 돌출부(31k)가 메인 레버(31)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제1 홀딩 후크부(31e) 사이에 설치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분리 방지 돌출부(31k)가 제외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와이퍼 레버(21)는 메인 레버(31)와 두 개의 가동 부재(32)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와이퍼 레버(21)는 오직 하나의 가동 부재(32)를 하나의 길이 방향 단부에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동 부재(32)는 메인 레버(31)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메인 레버(31)와 가동 부재(32)는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 레버(31)와 가동 부재(32)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금속으로 일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도 11 내지 도 12b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1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 돌출부(51)와 제2 체결 돌출부(52)가 고무 블레이드(22)의 상부(22a)의 윗면(22i)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51, 52)는 고무 블레이드(22)의 길이 방향 중간부보다 기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 돌출부(51)와 제2 체결 돌출부(52)는 메인 레버(31)의 기단부 쪽으로 브리지 부(31f)에 대응하는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정렬된다. 제1 체결 돌출부(51)와 제2 체결 돌출부(52) 중 제1 체결 돌출부(51)는 기단부 쪽으로 위치하고, 제2 체결 돌출부(52)는 길이 방향으로 중간부 쪽으로 위치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레버(31)의 브리지 부(31f)는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51, 52) 사이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브리지 부(31f)는 길이 방향에서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51, 52)에 체결된다.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51, 52)는 고무 블레이드(22)의 선단부에 근접한 위치의 제1 홀딩부(31o)의 브리지 부(31f)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치되지 않고, 브리지 부(31f)는 길이 방향으로 고무 블레이드(22)와 체결되지 않는다.
제1 체결 돌출부(51)의 접촉면(51a)은 길이 방향에서 브리지 부(31f)의 기단부(외측 단부)에 접촉하고, 제2 체결 돌출부(52)의 접촉면(52a)은 길이 방향에서 브리지 부(31f)의 선단부(내측 단부)에 접촉한다. 접촉면(51a, 52a)은 고무 블레이드(2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평면이다. 접촉면(51a, 52a) 사이의 간격은 브리지 부(31f)의 길이 방향 치수에 비하여 조금 작다. 제2 체결 돌출부(52)의 높이(H2)(수직 방향에서 접촉면(52a)의 치수)는 제1 체결 돌출부(51)의 높이(H1)(수직 방향에서 접촉면(51a)의 치수)보다 작다. 제1 체결 돌출부(51)는 고무 블레이드(22)의 길이 방향에서 중간부 쪽으로 높이가 증가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51b)을 포함하고, 제2 체결 돌출부(52)는 고무 블레이드(22)의 길이 방향의 기단부 쪽으로 높이가 증가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52b)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52b)의 경사는 경사면(51b)의 경상보다 더 완만하다.
더 나아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 돌출부(51)의 폭 방향 치수(W1)는 상부(22a)의 윗면(22i)의 폭 방향 치수(WR)와 같다. 다시 말해, 제1 체결 돌출부(51)는 윗면(22i)의 전체 폭 방향에 걸쳐 형성된다. 제2 체결 돌출부(52)의 폭 방향 치수(W2)는 제1 체결 돌출부(51)의 폭 방향 치수(W1)보다 작다. 제2 체결 돌출부(52)의 경사면(52b)은 폭 방향 치수가 선단부에서 기단부 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고무 블레이드(22)를 메인 레버(31)에 연결하는 경우, 고무 블레이드(22)의 상부(22a)는 선단부에서부터 제1 홀딩부(31n) 및 제1 홀딩부(31o)의 순서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삽입된다. 이 경우, 삽입 방향에서 앞면에 위치한 제2 체결 돌출부(52)가 제1 체결 돌출부(51)의 앞서 제1 홀딩부(31n)의 브리지 부(31f)에 다가간다. 브리지 부(31f)는 경사면(52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면서 제2 체결 돌출부(52)를 지나가고,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51, 52) 사이에 끼워진다. 삽입 방향에서 앞면의 제2 체결 돌출부(52)의 높이(H2)는 제1 체결 돌출부(51)의 높이(H1)보다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제1 홀딩부(31n)의 브리지 부(31f)는 쉽게 제2 체결 돌출부(52)를 지나갈 수 있다. 삽입 방향에서 앞면의 제2 체결 돌출부(52)의 폭 방향 치수(W2)는 제1 체결 돌출부(51)의 폭 방향 치수(W1)보다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제1 홀딩부(31n)의 브리지 부(31f)가 제2 체결 돌출부(52)를 지나갈 때의 마찰이 감소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브리지 부(31f)는 더욱 쉽게 제2 체결 돌출부(52)를 지나갈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고무 블레이드(22)는 위에서 설정된 치수에 의하여 메인 레버(31)에 더욱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동작은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고무 블레이드(22)의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51, 52)는 고무 블레이드(22)의 길이 방향 운동이 구속되도록 제1 홀딩부(31n)의 브리지 부(31f)의 길이 방향으로 양쪽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접하게 된다. 따라서, 고무 블레이드(22)가 제1 홀딩부(31n, 31o)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길이 방향에서 고무 블레이드(2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구성은 와이핑 면(1a)에 대하여 고무 블레이드(22)를 누르기 위한 브리지 부(31f)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13)에서, 움직임의 제한은 메인 레버(31)에 대한 움직임을 제한하는 구성을 독립하여 부가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윗면(22i)은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51, 52)가 윗면(22i)에서 폭 방향으로 쉽게 연장되도록 고무 블레이드(22)의 홀딩홈(41c)의 내부에 비하여 형상과 사이즈의 구성상 자유도가 높아진다. 길이 방향에서 고무 블레이드(2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은 제1 홀딩 후크부(31e)의 선단부로 고무 블레이드(2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구성으로 보다 확실히 보장된다.
고무 블레이드(22)는 와이핑 면(1a)을 닦는 경우 그 길이 방향에 전체에 걸치는 와이핑 위치에 대응하는 와이핑 면(1a)의 곡선을 따라간다. 제2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의 고무 블레이드(22)의 운동은 곡선에 대한 고무 블레이드(22)의 아래와 같은 특성이 보강되도록 오로지 기단부에 제1 홀딩부(31n)에 의해 제한되고 선단부의 제1 홀딩부(31o)에 의해 허용된다.
잠금 백 상태(와이퍼 암(12)이 와이핑 면(1a)에 대하여 서있는 상태)로부터 차량 외이퍼(10)의 위치를 정상 사용 상태(고무 블레이드(22)가 와이핑 면(1a)에 접촉해 있는 상태)로 변화시키는 경우, 고무 블레이드(22)의 기단부는 와이핑 면(1a)에 부딪힐 수 있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서, 와이퍼 암(12)으로 눌러지는 고무 블레이드(22)의 기단부로부터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 홀딩부(31n)까지의 거리는, 길이 방향에서의 운동을 선단부가 아닌 기단부에서 제1 홀딩부(31n)로 제한하기 때문에 짧아질 수 있다. 그 결과, 고무 블레이드(22)의 기단부가 와이핑 면(1a)을 치는 경우 기단부에서 받는 제1 홀딩부(31n)의 충격은, 길이 방향에서 고무 블레이드(22)의 운동이 선단부에서 제1 홀딩부(31o)에 의하여 제한되는 경우에 비하여 작아진다. 따라서, 고무 블레이드(22)는 제1 홀딩부(31n)로부터 더욱 분리되지 않게 된다.
제2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갖는다.
(6) 제1 실시예에 대응하는 특징들을 참고하여 사용하는 제2 실시예에서 브리지 부(31f)는 각각의 제1 홀딩부(31n, 31o)에 형성된다. 제1 홀딩부(31n)의 길이 방향에서 브리지 부(31f)의 길이 방향 양쪽 단부들을 체결하는 제1 체결 돌출부(51)와 제2 체결 돌출부(52)는 고무 블레이드(22)의 윗면(22i)에 설치된다. 길이 방향에서 고무 블레이드(22)의 운동은 길이 방향에서 브리지 부(31f)와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51, 52)의 체결에 의하여 제한된다. 다시 말해, 운동의 제한은 와이핑 면(1a)에 대하여 고무 블레이드(22)를 누르기 위한 브리지 부(31f)의 사용에 의해 메인 레버(31) 쪽으로 길이 방향에서 고무 블레이드(22)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을 독립적으로 부가하지 않을 수 있다. 고무 블레이드(22)의 윗면(22i)이 고무 블레이드(22)의 홀딩홈(41c)보다 구조적으로 더 큰 자유도를 갖기 때문에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51, 52)가 윗면(22i)에서 길이 방향으로 쉽게 연장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구성은 제1 홀딩 후크부(31e)의 선단부에 고무 블레이드(22)의 운동을 제한하는 구성에 비하여 길이 방향에서 고무 블레이드(22)의 운동을 더 강력하게 제한한다.
(7) 제2 실시예에서, 고무 블레이드(22)의 삽입 방향에서 앞면에 설치된 제2 체결 돌출부(52)의 높이(H2)는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51, 52)에서 제1 체결 돌출부(51)의 높이(H1)보다 작다. 따라서, 고무 블레이드(22)를 길이 방향에서 제1 홀딩 부(31n, 31o)로 삽입하는 경우, 브리지 부(31f)는 고무 블레이드(22)가 쉽게 메인 레버(31)에 연결되도록 삽입 방향으로 앞면에 제2 체결 돌출부(52)를 쉽게 지나가게 된다.
(8) 제2 실시예에서, 고무 블레이드(22)의 삽입 방향에서 앞면에 설치된 제2 체결 돌출부(52)의 폭 방향 치수(W2)는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51, 52)에서 제1 체결 돌출부(51)의 폭 방향 치수(W1)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고무 블레이드(22)를 길이 방향으로 메인 레버(31)의 제1 홀딩부(31n, 31o)에 삽입하는 상태에서 브리지 부(31f)가 삽입 방향에서 앞면으로 제2 체결 돌출부(52)를 지나가는 때의 마찰은 줄어들게 되어 브리지 부(31f)는 제2 체결 돌출부(52)를 쉽게 지나가게 된다. 따라서, 고무 블레이드(22)는 메인 레버(31)에 쉽게 연결된다.
(9) 제2 실시예에서, 와이핑 면(1a)에 대하여 고무 블레이드(22)를 누르기 위한 브리지 부(31f)는 대략 U자 형상 단면을 갖는 메인 레버(31)의 내부에 형성되고, 동시에 측벽(31b, 31c)들과 윗벽(31g)에 의해서 덮여지게 된다. 브리지 부(31f)를 사용하여 고무 블레이드(22)의 길이 방향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51, 52)는 또한 메인 레버(31)의 내부에 형성된다. 이것은 와이퍼 블레이드(13)의 외관 형상을 개선하고, 자외선 등에 의해 야기되는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51, 52)에 재료의 변성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51, 52)는 기부 측에 제1 홀딩부(31n)를 체결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51, 52)는 선단부의 제1 홀딩부(31o)를 체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51, 52)의 높이(H1, H2)와 폭 방향에서의 치수(W1, W2), 뿐만 아니라 형상은 필요한 경우 변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두 개의 홀딩부(31n, 31o)가 메인 레버(31)에 설치되나, 3개 이상의 홀딩부들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고무 블레이드(22)와 메인 레버(31)의 형상은 필요한 경우 변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틈(S)은 브리지 부(31f)와 윗벽(31g) 사이에 형성되나, 윗벽(31g)에 연결된 브리지 부(31f)는 틈(S)을 형성하지 않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브리지 부(31f)를 포함하는 메인 레버(31)는 수지로 일체 사출되나, 브리지 부(31f)는 분리형 부재로 형성되고, 접착제, 인서트 사출 등을 통하여 메인 레버(3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홀딩 후크부(31e)는 분리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접착제, 인서트 사출 등을 통하여 메인 레버(3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차량의 앞유리를 닦기 위한 차량 와이퍼(11)에 적용되나, 차량의 뒷유리를 닦기 위한 와이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넘지 않고 많은 다양한 구체적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설명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은 여기서 주어진 세부 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나, 첨부된 청구항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Claims (12)

  1. 와이퍼 암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 중간부, 두 개의 길이 방향 단부 중 하나 이상으로 정의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길이 방향 중간부보다 제1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된 제1 홀딩부를 포함하는 메인 레버;
    상기 제1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홀딩부를 포함하는 가동 부재; 및
    상기 제1 홀딩부와 제2 홀딩부에 의해 고정되는 고무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레버와 상기 가동 부재 사이의 연결부는 상기 메인 레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홀딩부로부터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버와 상기 가동 부재 사이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홀딩부와 상기 제1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버는,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U자 형상 단면을 갖도록,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측벽과 상기 두 개의 측벽들을 연결하는 윗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딩부는 상기 두 개의 측벽들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고무 블레이드를 고정하도록 그 선단부가 서로 가까워지게 연장되어 구부러지는 두 개의 제1 홀딩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레버는 상기 두 개의 측벽을 연결하고 상기 두 개의 제1 홀딩 후크부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에서 위치에서 고무 블레이드의 윗면에 접하는 브리지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부와 상기 윗벽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부를 포함하는 상기 메인 레버는 수지로 일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블레이드의 윗면은 상기 브리지 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메인 레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브리지 부의 양쪽 측면들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체결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부는, 상기 메인 레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한 외측 단부와 상기 중간부에 인접하게 위치한 내측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 돌출부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외측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체결 돌출부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내측 단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블레이드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메인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체결 돌출부는 상기 삽입 방향에서 상기 제1 체결 돌출부로부터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체결 돌출부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블레이드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메인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체결 돌출부는 상기 삽입 방향에서 제1 체결 돌출부로부터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체결 돌출부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버의 제1 단부는 상기 와이퍼 암의 회전 중심에 인접하게 위치한 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1.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버는 하나 이상의 상기 측벽에서 상기 윗벽으로 연장되는 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핀 표면은 바람을 받는 경우 와이핑 면 쪽으로 상기 고무 블레이드를 누르는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부 연결부와 하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부는 상기 메인 레버와 상기 가동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윗벽에서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는 상기 메인 레버와 상기 가동 부재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와 상기 상부 연결부는 상기 상부 연결부를 그 위에서부터 상기 하부 연결부로 삽입하도록 수직 방향을 따라서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여 상기 하부 연결부와 상기 상부 연결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127001809A 2010-05-31 2011-05-27 와이퍼 블레이드 KR101690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24924 2010-05-31
JP2010124924A JP5457275B2 (ja) 2010-05-31 2010-05-31 ワイパブレード
JPJP-P-2010-254864 2010-11-15
JP2010254864A JP5576247B2 (ja) 2010-11-15 2010-11-15 ワイパブレード
PCT/JP2011/062749 WO2011152507A1 (en) 2010-05-31 2011-05-27 Wiper bla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742A true KR20130090742A (ko) 2013-08-14
KR101690621B1 KR101690621B1 (ko) 2016-12-28

Family

ID=4431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809A KR101690621B1 (ko) 2010-05-31 2011-05-27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98850B2 (ko)
KR (1) KR101690621B1 (ko)
CN (1) CN102470827B (ko)
DE (1) DE112011101853T5 (ko)
WO (1) WO20111525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379A (ko) * 2014-07-17 2016-01-27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유선형 플랫 윈드스크린 와이퍼
KR20160010372A (ko) * 2014-07-17 2016-01-27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유선형 플랫 윈드스크린 와이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0694A1 (ja) * 2011-11-30 2013-06-06 アスモ 株式会社 ワイパ、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及びワイパブレード
WO2013090513A1 (en) * 2011-12-14 2013-06-20 Federal-Mogul Corporatio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433220B1 (ko) * 2012-06-25 2014-08-2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FR3023774B1 (fr) * 2014-07-17 2016-08-12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FR3023781B1 (fr) * 2014-07-17 2018-01-26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FR3023768B1 (fr) * 2014-07-17 2016-08-12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EP2985192A1 (fr) * 2014-07-17 2016-02-17 Valeo Systèmes d'Essuyage Balai plat caréné d'essuie-glace
FR3023767B1 (fr) * 2014-07-17 2018-01-19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RU2015129020A (ru) * 2014-07-17 2017-01-20 Валео Систэм Д'Эссюаж Обтекаемая бескаркасная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FR3023806B1 (fr) * 2014-07-17 2018-03-09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FR3023802B1 (fr) * 2014-07-17 2018-04-13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FR3023809B1 (fr) * 2014-07-17 2016-08-12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FR3023803B1 (fr) * 2014-07-17 2018-01-19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RU2015129027A (ru) 2014-07-17 2017-01-20 Валео Систэм Д'Эссюаж Обтекаемая бескаркасная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FR3023783A1 (fr) * 2014-07-17 2016-01-22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US10493959B2 (en) 2014-07-17 2019-12-03 Valeo Systèmes d'Essuyage Streamlined flat windscreen wiper
WO2016009025A1 (fr) * 2014-07-17 2016-01-21 Valeo Systèmes d'Essuyage Balai plat caréné d'essuie-glace
FR3023796B1 (fr) * 2014-07-17 2016-08-05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JP2016028942A (ja) * 2014-07-17 2016-03-03 ヴァレオ システム デシュヤージュValeo Systemes D’Essuyage フロントガラス用流線型フラットワイパー
US20160016556A1 (en) * 2014-07-17 2016-01-21 Valeo Systemes D'essuyage Streamlined flat windscreen wiper
FR3023810B1 (fr) * 2014-07-17 2018-01-19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US20160016546A1 (en) * 2014-07-17 2016-01-21 Valeo Systèmes d'Essuyage Streamlined flat windscreen wiper
FR3023769B1 (fr) * 2014-07-17 2016-08-12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WO2016009011A1 (fr) * 2014-07-17 2016-01-21 Valeo Systè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FR3023811B1 (fr) * 2014-07-17 2016-08-05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WO2016009028A1 (fr) * 2014-07-17 2016-01-21 Valeo Systèmes d'Essuyage Balai plat caréné d'essuie-glace
FR3023808B1 (fr) * 2014-07-17 2021-04-30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US10377349B2 (en) 2014-07-17 2019-08-13 Valeo Systèmes d'Essuyage Streamlined flat windscreen wiper
FR3023805B1 (fr) * 2014-07-17 2018-01-19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US10118595B2 (en) * 2014-07-17 2018-11-06 Valeo Systèmes d'Essuyage Streamlined flat windscreen wiper
FR3023775B1 (fr) * 2014-07-17 2016-08-05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US20160016541A1 (en) * 2014-07-17 2016-01-21 Valeo Systèmes d'Essuyage Streamlined flat windscreen wiper
FR3023807B1 (fr) * 2014-07-17 2016-08-12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FR3023770B1 (fr) * 2014-07-17 2016-08-12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FR3029477B1 (fr) * 2014-12-09 2018-03-02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projection d’un liquide de lavage pour un bras de balai pour systeme d’essuyage d’une vitre d’un vehicule automobile
FR3048663B1 (fr) * 2016-03-14 2019-07-05 Valeo Systemes D'essuyage Carenage pour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FR3055859B1 (fr) * 2016-09-15 2018-09-07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carene
WO2018081791A1 (en) * 2016-10-31 2018-05-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196A (ko) * 2002-12-13 2004-06-22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탈부착가능한 블레이드 러버를 갖춘 와이퍼 블레이드 및이를 구비한 와이퍼 시스템
KR20040107422A (ko) * 2003-06-13 2004-12-20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와이퍼 암에 접속된 레버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WO2006051722A1 (ja) * 2004-11-09 2006-05-18 Mitsuba Corporation ワイパブレード
JP2008114746A (ja) 2006-11-06 2008-05-22 Mitsuba Corp ワイパブレード
WO2010035794A1 (ja) * 2008-09-29 2010-04-01 アスモ 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2733A (en) 1959-01-13 1962-08-09 William Edward O Shei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ndscreen wipers
US4095308A (en) * 1976-12-16 1978-06-20 Tridon Limited Low profile windshield wiper assembly
US4896987A (en) * 1989-03-14 1990-01-30 Trico Products Corporation Pivot joint
US5383248A (en) * 1991-03-29 1995-01-24 Ho; Chang S. Y. Structure of double-blade wind shieldwiper with arm to blade connectors
US5257436A (en) * 1992-10-19 1993-11-02 Yang Ming Tung Dual action self-cleaning windshield wiper
US5325563A (en) * 1993-07-20 1994-07-05 Cayan Lai W Windshield wiper assembly with tiltable blade
US5463790A (en) * 1994-05-31 1995-11-07 Chiou; Xian-Shun Windshield wiper with an automatic pressure means
US5802661A (en) * 1997-10-30 1998-09-08 Choice, Inc. Multiple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FR2788027B1 (fr) * 1998-12-30 2001-02-23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articulation du balai sur le bras d'essuie-glace
EP2258592B1 (en) * 2004-01-30 2012-03-14 Asmo Co., Ltd. Wiper blade
US7603742B2 (en) * 2004-01-30 2009-10-20 Asmo Co., Ltd. Wiper blade and wiper system having the same
JP5123167B2 (ja) * 2006-03-07 2013-01-16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ブレード
DE102006035976A1 (de) 2006-08-02 2008-02-07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DE102006036777A1 (de) 2006-08-07 2008-02-1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US8745813B2 (en) 2006-08-18 2014-06-10 Robert Bosch Gmbh Wiper blade with a supporting element
BRPI0704580A2 (pt) 2007-06-22 2009-02-10 Dyna Electromecanica sistema de encaixe de componentes da palheta
JP4717899B2 (ja) 2008-02-04 2011-07-06 世賢 黄 配列組合せ式ワイパーの構造
CN201264589Y (zh) 2008-06-18 2009-07-01 沈清怀 雨刷胶条的支撑结构
WO2010026967A1 (ja) 2008-09-04 2010-03-11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ブレード及び車両用ワイパ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196A (ko) * 2002-12-13 2004-06-22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탈부착가능한 블레이드 러버를 갖춘 와이퍼 블레이드 및이를 구비한 와이퍼 시스템
KR20040107422A (ko) * 2003-06-13 2004-12-20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와이퍼 암에 접속된 레버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WO2006051722A1 (ja) * 2004-11-09 2006-05-18 Mitsuba Corporation ワイパブレード
JP2008114746A (ja) 2006-11-06 2008-05-22 Mitsuba Corp ワイパブレード
WO2010035794A1 (ja) * 2008-09-29 2010-04-01 アスモ 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379A (ko) * 2014-07-17 2016-01-27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유선형 플랫 윈드스크린 와이퍼
KR20160010372A (ko) * 2014-07-17 2016-01-27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유선형 플랫 윈드스크린 와이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0827B (zh) 2015-08-05
WO2011152507A1 (en) 2011-12-08
US20120096666A1 (en) 2012-04-26
CN102470827A (zh) 2012-05-23
US8898850B2 (en) 2014-12-02
KR101690621B1 (ko) 2016-12-28
DE112011101853T5 (de)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0742A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350276B1 (ko)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KR101503661B1 (ko)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KR101514227B1 (ko)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RU2359850C2 (ru)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с держателем, внутренним стержнем и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деталью
JP5457275B2 (ja) ワイパブレード
US7464471B2 (en) Reciprocation type electric shaver
KR101350275B1 (ko) 와이퍼 블레이드
JP4202940B2 (ja) ワイパブレード
US8474901B2 (en) Cowl-top cover
US9434353B2 (en) Flat wiper blade
KR10124551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JP5101612B2 (ja) ワイパブレード用の接続エレメント及びワイパブレード
US9174610B2 (en) Wiper blade and wiper for vehicle
JP2014506544A (ja) ワイパブレード並びにエンドキャップ
US20040181894A1 (en) Wiper blade assembly for motor vehicle
JP2009535259A (ja) ワイパブレード
US6163922A (en) Wiper blade with wedge shaped neck
CN101795905A (zh) 刮片包括可在结构件中移动的柱的风挡擦拭器刮片保持器
JP2017178158A (ja) 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
KR20130049566A (ko) 와이퍼 블레이드
JP5580114B2 (ja) ワイパブレード
US10968989B2 (en) Chain guide
KR101387134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US9032586B2 (en) Wiper bl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