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711A -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711A
KR20130090711A KR1020120012044A KR20120012044A KR20130090711A KR 20130090711 A KR20130090711 A KR 20130090711A KR 1020120012044 A KR1020120012044 A KR 1020120012044A KR 20120012044 A KR20120012044 A KR 20120012044A KR 20130090711 A KR20130090711 A KR 20130090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enemy
gamer
gamers
game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경모
신봉철
Original Assignee
나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경모 filed Critical 나경모
Priority to KR102012001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0711A/ko
Publication of KR2013009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8Trade or exchange of good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9Incentive being awarded or redeemed in connection with the playing of a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인터넷 접속 수단,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수단, 위치추적 수단, 사운드 조절 수단, 컬러 표시창, 스피커, 문자/음성/지문입력수단 및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고 위치 추적 위성을 이용하여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단말기로 게이머가 무선인터넷상에서 게임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multi-person shooter game)을 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 발명의 방법은, 게임을 이용하기 위한 사전 준비 단계(A); 및 위 사전 준비 단계가 이루어지면, 전투 모드 게임을 하기 위한 전투 모드 단계(C), 위 전투 모드에 필요한 각종 설정값을 선택하는 옵션 모드 선택 단계(D), 및 게임을 마치기 위한 휴식모드 단계(E)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위 사전 준비 단계(A)는, 게이머가 위 휴대단말기로 이 게임을 사용하기 위해 게임제공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운로드하는 단계(S10); 게이머가 위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위 휴대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S20); 게이머가 위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게임제공자의 회원으로 가입하는 단계(S30); 게이머가 게임제공자의 회원으로 가입하면 게임제공자에 의해 게이머는 게임에 참여하는 다수의 소속 부대 가운데 하나로 배치받는 단계(S40); 및 게이머가 게임제공자의 회원으로 가입하는 절차를 완료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위 전투 모드 단계(C)는, 위 사전 준비 단계(A)를 마친 게이머가 게임을 통해 전투에 참여하기 위해 로그인하는 단계(S60); 위 로그인 단계(S60)를 거치면 단말기는 표시화면을 자동으로 일반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S90); 위 단계(S90)에서 일반화면으로 전환하면 게이머는 적 출현 및 미션 알림 단계(S100) 또는 안내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S110)를 선택하는 단계(S95); 위 안내 화면으로의 전환을 선택한 경우 게이머는 위치추적 시스템을 가동하는 단계(S120) 또는 광고 선택을 통해 포인트를 누적하는 단계(S130)를 선택하는 단계(S115); 위 위치추적 시스템이 가동되면 게이머는 자신의 적립된 포인트로 무기를 구입하는 단계(S180) 또는 무기 및 화기 선택 단계(S190)를 선택하는 단계(S175); 게이머가 위 무기 및 화기를 선택한 경우 실탄을 장전하는 단계(S200); 및 위 실탄을 장전한 뒤 게이머가 사격을 하는 단계(S2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위 옵션 모드 선택 단계(D)는, 게이머가 게임을 위한 옵션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위 휴식모드 단계(E)는, 게이머가 게임을 마치기 위해 로그아웃하는 단계(S80); 및 게이머가 위 로그아웃하는 단계(S80)를 선택하면 단말기는 자동으로 표시화면을 일반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위 게임은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실행가능하고, 다중 접속 방식의 쌍방향 네비게이션 방식의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작용이 용이하도록 하여 스마트폰 화면상에는 게이머 사이의 위치 추적을 위한 지도가 형성되며 이 지도 위에는 레이어 방법으로 게이머와 적 간의 위치 표시가 이루어지고 레이더 기능을 추가하여 실제 전투를 위한 요소들을 첨가하며 미션 수행 공지 시에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되도록 하고, 게이머는 이를 활용하여 적 또는 미션 수행자를 추적 및 탐색하고 적 또는 미션수행자는 게이머를 추적 및 탐색하기 위하여 상호간에 동적으로 대치하도록 하여 게이머와 적 모두가 동적으로 대치하며 다인칭 방식으로 상호 작용을 일으켜 상호 추적하여 전투를 수행하도록 하고, 설정 및 옵션 모드를 이용하여 그래픽 구현에 따른 지도(MAP)의 내용물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An activation method of multi-person shooting game using wireless Internet}
이 발명은 무선 인터넷 및 위치 추적 위성을 이용한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휴대용 전화기기인 스마트폰 및 노트패드(아이패드, 갤럭시탭, 킨들파이어 등)을 사용하는 게이머에게 제공되는 유료 및 무료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기존 PC를 활용한 전투게임인 FPS(First-person shooter) 게이머 또는 스마트폰을 보유중이며 기존 FPS 게임을 즐기던 게이머들의 실전 전투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 서바이벌 게임의 게이머들을 위해 발명된 것이다.
종래의 PC용 FPS 게임은 주로 1인칭 전투 또는 추적, 추격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고, PC 게임 게이머들은 정적인 게임 환경을 실내 또는 제한된 공간 안에서 즐겼다. PC 게임이라 실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관계로 실외에서 이루어지는 놀이문화를 제공할 필요가 있었고, 특히 정적이었던 게임문화를 동적으로 발전시켜서 게이머들의 건강을 위해서도 움직임이 활발해지게끔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실행 가능할 것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종래 게임기(PC 포함)에는 단방향 네비게이션 기능만이 보편화 되어 있었고 쌍방향 다중 접속 방식의 네비게이션 기능은 보편화 되어 있지 않았다. 특히 위치 추적 장치가 장착된 네비게이션을 구비하여 임의의 게이머(적)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주어진 목적(전투)을 이행하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이때에 현재의 위치 안내 기반 네비게이션과 같이 단순한 안내기능보다는 복합 기능과 동시에 기존 지도 기반 서비스의 오차범위를 보다 더 줄이기 위해 스마트폰 또는 노트패드에 장착되는 상호 작용이 용이한 별도의 도구를 활용할 필요성이 있었다.
현재 이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05-0001037 "축구게임 운영 시스템 및 방법",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08-0077030 "온라인을 이용한 게이머 저작게임 제작시스템" 및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05-0101283 "모바일 네트워크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서비스 제공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기술들은 이 발명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아니하다.
이 발명은 기존에 보편화 되어 있던 단방향 네비게이션 기능을 보다 더 업그레이드시켜서 쌍방향 다중 접속 방식의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시행함과 동시에 당 네비게이션 기능에 복합적으로 위치 추적 장치를 설정하여 임의의 게이머(적)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주어진 목적(전투)을 이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에는 실내에서 또는 개인용 PC의 인터넷 환경을 통해 다중 접속 방식으로 진행되는 FPS게임을 개인용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개인적 및 정적으로 즐겨왔으나, 이 발명은 그동안 정적으로 진행된 게임의 방식을 동적으로 전환하는 것과 함께 게이머들이 주로 지정된 자리 또는 PC가 설치된 특정 자리에 정착된 것을 움직이며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이 발명은 복합 기능과 동시에 기존 지도 기반 서비스의 오차 범위를 더 줄이기 위해 스마트폰 또는 노트 패드에 장착하는 상호 작용이 용이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하기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이 발명에 따라, 인터넷 접속 수단,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수단, 위치추적 수단, 사운드 조절 수단, 컬러 표시창, 스피커, 문자/음성/지문입력수단 및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고 위치 추적 위성을 이용하여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단말기로 게이머가 무선인터넷상에서 게임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multi-person shooter game)을 활성화하는 방법에서
위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을 활성화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게임을 이용하기 위한 사전 준비 단계(A); 및
위 사전 준비 단계가 이루어지면, 전투 모드 게임을 하기 위한 전투 모드 단계(C), 위 전투 모드에 필요한 각종 설정값을 선택하는 옵션 모드 선택 단계(D), 및 게임을 마치기 위한 휴식모드 단계(E)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위 사전 준비 단계(A)는,
게이머가 위 휴대단말기로 이 게임을 사용하기 위해 게임제공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운로드하는 단계(S10);
게이머가 위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위 휴대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S20);
게이머가 위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게임제공자의 회원으로 가입하는 단계(S30);
게이머가 게임제공자의 회원으로 가입하면 게임제공자에 의해 게이머는 게임에 참여하는 다수의 소속 부대 가운데 하나로 배치받는 단계(S40); 및
게이머가 게임제공자의 회원으로 가입하는 절차를 완료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위 전투 모드 단계(C)는,
위 사전 준비 단계(A)를 마친 게이머가 게임을 통해 전투에 참여하기 위해 로그인하는 단계(S60);
위 로그인 단계(S60)를 거치면 단말기는 표시화면을 자동으로 일반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S90);
위 단계(S90)에서 일반화면으로 전환하면 게이머는 적 출현 및 미션 알림 단계(S100) 또는 안내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S110)를 선택하는 단계(S95);
위 안내 화면으로의 전환을 선택한 경우 게이머는 위치추적 시스템을 가동하는 단계(S120) 또는 광고 선택을 통해 포인트를 누적하는 단계(S130)를 선택하는 단계(S115);
위 위치추적 시스템이 가동되면 게이머는 자신의 적립된 포인트로 무기를 구입하는 단계(S180) 또는 무기 및 화기 선택 단계(S190)를 선택하는 단계(S175);
게이머가 위 무기 및 화기를 선택한 경우 실탄을 장전하는 단계(S200); 및
위 실탄을 장전한 뒤 게이머가 사격을 하는 단계(S2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위 옵션 모드 선택 단계(D)는,
게이머가 게임을 위한 옵션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위 휴식모드 단계(E)는,
게이머가 게임을 마치기 위해 로그아웃하는 단계(S80); 및
게이머가 위 로그아웃하는 단계(S80)를 선택하면 단말기는 자동으로 표시화면을 일반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위 게임은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실행가능하고,
다중 접속 방식의 쌍방향 네비게이션 방식의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작용이 용이하도록 하여 스마트폰 화면상에는 게이머 사이의 위치 추적을 위한 지도가 형성되며 이 지도 위에는 레이어 방법으로 게이머와 적 간의 위치 표시가 이루어지고 레이더 기능을 추가하여 실제 전투를 위한 요소들을 첨가하며 미션 수행 공지 시에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되도록 하고, 게이머는 이를 활용하여 적 또는 미션 수행자를 추적 및 탐색하고 적 또는 미션수행자는 게이머를 추적 및 탐색하기 위하여 상호간에 동적으로 대치하도록 하여 게이머와 적 모두가 동적으로 대치하며 다인칭 방식으로 상호 작용을 일으켜 상호 추적하여 전투를 수행하도록 하며,
설정 및 옵션 모드를 이용하여 그래픽 구현에 따른 지도(MAP)의 내용물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게임제공자의 회원으로 가입하는 단계(S30)는,
게임제공자가 게이머에게 이용약관에 동의하는지 여부를 물어서 게이머가 이용약관에 동의하는 경우 게이머가 체크하기 위한 수단을 게임제공자가 게이머에게 제공하는 단계(S31);
위 체크하기 위한 수단을 체크한 게이머가 단말기 표시창의 '확인' 버튼을 눌러서 위 동의 사실을 게임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S32);
게임제공자는 게이머가 다른 게이머의 게임정보를 도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 메시지를 게이머에게 제공하고 게이머가 이 경고 메시지를 읽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체크 수단도 게이머에게 제공하는 단계(S33);
게임제공자가 게임 이용과 관련하여 게이머에게 이메일을 전송하고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게이머가 자신의 이메일 주소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창을 제공하는 단계(S34);
게이머가 게임 이용과 관련하여 필요시 사용할 자신의 이메일 주소와 전화번호를 위 게임제공자가 제공하는 입력창을 통해 입력하고 전송하는 단계(S35); 및
게임제공자로부터 전송받은 회원가입 승인번호를 게이머가 게임제공자의 확인을 위해 게임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S3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게이머의 회원가입 완료 단계(S50)는,
게임제공자가 게이머에게 회원가입이 완료되었음을 게이머 단말기에 생성되는 창으로 통지하는 단계(S51);
위 통지를 받으면 게이머 단말기의 표시화면은 게이머의 부대 및 개인 아이디 생성 화면으로 자동으로 전환되는 단계(S52); 및
게이머의 개인 아이디가 생성되면 게임제공자는 게이머에게 개인 아이디를 통지하고, 소정의 중대로 배치되엇음을 통지하는 단계(S5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소속부대 배치단계(S40)는,
게이머가 자신의 단말기에 생성되는 '부대배치 받기' 버튼을 누르는 단계(S41); 및
게이머 자신의 개인 아이디 생성 단계(S4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개인 아이디 생성 단계(S42)는,
게이머의 사진을 등록하는 단계(S43);
게이머가 사용할 아이디를 입력하는 단계(S44); 및
위 입력한 아이디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사진을 등록하는 단계(S43)는,
게이머가 자신이 미리 찍어놓은 사진을 찾아서 선택하는 단계(S46);
게이머가 자신의 사진을 직접 촬영하는 단계(S47);
게이머가 위 선택한 또는 직접 촬영한 사진을 확인을 위해 미리 보는 단계(S48); 및
게이머가 자신의 등록된 사진을 소정의 창을 통해 확인하는 단계(S49)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전투 모드 선택시 게이머가 휴식 모드로 전환하기 전까지 계속 전투 태세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휴식 모드는 일종의 로그아웃으로서 게이머의 위치 근처에서 적이 출현해도 상호 작용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옵션 모드 선택 단계(D)는,
게이머가 맵으로서 지도와 스카이뷰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71);
게이머가 소리로서 진동 모드와 전투 사운드 모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72); 및
게이머가 안내 음성으로서 남성 음성과 여성 음성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면 게임제공자는 게이머에게 게이머가 선택한 음성으로 게임 정보를 안내하는 단계(S7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휴식 모드 단계(E)를 선택하면, 게임제공자가 게이머에게 적 출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전투 모드 단계(C) 선택시, 게이머의 단말기의 표시창이 평상시에는 일반 화면으로 전화되고, 적 출현시에만 전투 모드 단계(C)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적이 출현하면 게임제공자는 무빙 텍스트로 게이머에게 적 출현 사실을 알려줌과 동시에 진동과 음성으로도 적 출현 사실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게임제공자가 게이머에게 적 출현 사실을 알려줄 때 몇 시 방향으로 몇 미터 전방에서 적을 발견했다는 형식으로 알려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게이머가 위 적 출현 사실을 알리는 내용을 클릭하면 라이프(life)와 쉴드(shield) 창과 여러 가지 무기를 구매하기 위한 상점용 배너창과 지리정보와 적의 위치 정보를 게임제공자가 게이머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게임제공자는 게이머의 적이 사용하는 단말기에도 게이머의 근접거리와 시계 방향 정보를 지리정보와 함께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게이머가 단말기에서 적의 위치를 클릭하여 게임제공자에게 적의 정보 제공을 요청하면 게이머의 단말기에 적의 등록 사진이 뜨고, 적의 정보가 제공되고, 이때 무기 상점, 무기 창고, 부대 복귀 및 이전 화면으로 이동시 사용하는 버튼도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적을 추적 중인 게이머의 단말기 화면에는 적과의 예상치 거리가 지속적으로 표시되고, 적과의 거리가 좁혀지면 화면상의 지도도 자동적으로 축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적과 게이머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 기능에 의해 주변 배경 화면과 표적 이미지가 합성되어져서 해당 표적 이미지로 적 포착시 사격(shot) 버튼으로 발포하며, 이때 해당 화기의 잔여 실탄량이 표시되고, 방아쇠 수단이 제공되며, 게임제공자가 제공하는 표적판에는 해당 표적판 안에 적이 포착되었을 경우 발포하도록 하며, 발포 방법에 따른 기술로는 적의 단말기 및 게임에 사용되는 기기를 향하여 발포하되 발포시 발포에 따른 주파수를 위치추적에 사용되는 wifi, GPS, 기지국에서 적 발포에 따른 신호를 접수하여 적의 단말기에 표기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적을 향하여 발포를 하지만 발포시 발포에 따른 신호는 통신사의 기지국 또는 게임제공자의 서버 등에서 접수한 후 게임 제공자의 서버를 경유한 후에 저격받은 적의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게이머가 단말기를 좌우, 상하 또는 전후로 흔들면 소진된 실탄이 실탄창에 장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사격의 명중률에 따라서 적의 라이프를 빼앗을 수 있으며, 적의 목숨을 빼앗은 수가 라이프 바에 표시되며, 라이프 바의 한칸은 저격 a발에 해당하고, 적으로부터 a발의 명중 사격을 당하면 한 칸이 소멸되고, 적을 명중하여 적의 라이프를 빼앗을 경우에는 적의 라이프 바의 한 칸이 b등분 되어져서 계산되며 이때 a < b가 성립하고, a와 b는 자연수이며, 상기 라이프 바를 빼앗는 방법은 발포와 동시에 통신사의 기지국 또는 wifi, GPS를 경유하여 게임제공자의 서버에서 게임 진행에 따른 연산을 한 후 적의 라이프바를 게임제공자의 서버로 빼앗아온 후 게임진행자의 게임을 진행하는 기기에 전송하는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게이머가 쉴드바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에는 적의 사격으로부터 일정 정도 보호받을 수 있는 기능이 있고, 적의 사격시 1차적으로 쉴드바가 소진되고, 2차적으로 라이프바가 소진되며 사격을 시도한 적의 라이프바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도록 하며, 무조건 적에게는 명중의 경우 3발 이상의 사격이 금지되며, 불발인 경우에는 상대편 또는 게이머 본인의 라이프 바에 변화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게이머의 표시창에는 경험치에 의한 게이머의 계급장이 표시되며, 적의 위치가 깜빡임에 의해 표시되고, 회전용 레이더 장치가 제공되며, 적과의 거리 환산용 측정기가 제공되고, 사용가능한 무기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 제공되고, 라이프 바는 게이머의 생명 수치를 나타내며 총격 c회까지 사용 가능 수치를 나타내고, 쉴드 바는 방어막 보충제이고, 유료 서비스이며 라이프 바의 사용수치를 보강하는 장치이며, 무기를 구매하기 위한 상점정보를 제공할 시 쉴드 아이템과 무기 아이템으로 구분지어 제공하며, 이때 c > b의 관계가 있고 c는 자연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단말기에는 스마트폰 및 노트패드가 포함되고, 위 노트패드에는 아이패드, 갤럭시탭, 킨들파이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 게임은 1개월 주기로 게임 통계를 합산하여 게임제공자의 홈페이지와 게이머의 단말기를 통해 전체 게이머의 순위를 알려주며 게임제공자가 제한해놓은 일정 정도의 라이프바를 적으로부터 취하였을 경우에 게임제공자는 게이머에게 소정의 단말기 사용 요금 및 별도의 모바일 쿠폰을 지원해주고 해당 모바일 쿠폰은 인터넷 상품권과 같은 효력을 발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스마트폰 MPS게임 및 위치추적 미션수행게임을 포함한 위 게임은 스마트폰과 노트패드 기종 MPS게임의 사용자로 등록되어있는 게임제공자의 회원간 위치추적 및 임의의 지령을 통하여 상호 위치 알림과 동시에 적의 추적 및 접선 스파이와의 접선과 동태 파악, 지령전달과 상호 간의 실질적인 스마트폰 서바이벌 게임 및 미션 수행게임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실시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또는 노트패드 소지자라면 누구나 이 발명에 따른 게임을 이용할 수 있다.
둘째, 게임을 움직이며 동적으로 즐길 수 있다.
셋째, 이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MPS(Multi-person shooter)게임 및 위치추적 미션수행게임은 스마트폰과 노트패드 기종 MPS게임의 게이머로 등록되어있는 회원간의 위치추적 및 임의의 지령을 통하여 상호 위치 알림과 동시에 적의 추적 및 접선 스파이와의 접선과 동태 파악, 지령전달과 상호 간의 실질적인 스마트폰 서바이벌 게임 및 미션 수행게임이 가능하다.
넷째, 이 발명에 따른 게임은 특정 지역에서만 게임 진행이 되는 것이 아니고 장소 불문하고 어느 지역에서든지 게임의 활용이 가능하다.
다섯째, 이 발명에서는 설정 및 옵션 모드를 이용하여 그래픽 구현에 따른 지도(MAP)의 내용물을 설정할 수 있다.
여섯째, 이 발명에서는 다중 접속 방식의 쌍방향 네비게이션 방식의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작용이 용이하도록 하여 스마트폰 화면상에는 게이머간의 위치 추적을 위한 지도가 형성되며 이 지도 위에는 레이어 방법으로 게이머와 적 간의 위치 표시가 이루어지고 레이더 기능을 추가하여 실제 전투를 위한 요소들을 첨가하며 미션수행 공지 시에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되므로 게이머는 이를 활용하여 적 또는 미션 수행자를 추적 및 탐색하고 적 또는 미션수행자는 게이머를 추적 및 탐색하기 위하여 상호간에 동적으로 대치하여야 한다. 즉 이 발명에서는 게이머와 적 모두가 동적으로 대치하며 다인칭 방식으로 상호 작용을 일으켜 상호 추적하여 전투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보다 고난도의 실제 상황에 가까운 전투 수행이 가능하다.
이 밖에도 이 발명의 효과는 매우 많으며 그 상세한 내용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의 일 실시예의 초기화면.
도 3은 도 2에서 회원가입 및 부대배치 완료화면의 예시도.
도 4는 도 2에서 옵션 설정 화면의 예시도.
도 5는 도 2에서 휴식모드 및 전투모드의 예시도.
도 6은 도 2에서 게임모드시의 게이머 및 적의 스마트폰 화면 예시도.
도 7은 도 2에서 적의 정보공개화면 예시도.
도 8은 도 2에서 적 추적중인 스마트폰 화면 및 적과 근거리 위치시 화면 예시도.
도 9는 도 2에서 실탄 장전방법의 예시도.
도 10은 도 2에서 적 발견시 사격 예시도 및 라이프 바와 쉴드 바의 예시도.
도 11은 도 2에서 무기상점 예시도.
이 발명은 스마트폰(스마트 폰 기종에서 구동되는 모든 OS 기반 제품들. 대표적으로 아이폰 방식과 안드로이드 방식으로 구분되는 스마트폰과 함께 노트패드 기종들. 예로서 아이패드, 삼성 갤럭시 탭, 아마존 킨들 파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 등)을 이용한 MPS(Multi-person shooter)게임 또는 다중 접속 방식에 의한 게임이다. 이하 위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동작원리 및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의 일 실시예의 초기화면을 나타낸다. 이 발명에 따른 다중 접속 슈팅 게임(multi-person shooter game)의 활성화 방법의 일 실시예는, 인터넷 접속 수단,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수단, 위치추적 수단, 사운드 조절 수단, 컬러 표시창, 스피커, 문자/음성/지문입력수단 및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고 위치 추적 위성을 이용하여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단말기로 게이머가 무선인터넷상에서 게임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을 활성화한다.
위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을 활성화하는 방법은,
게임을 이용하기 위한 사전 준비 단계(A); 및
위 사전 준비 단계가 이루어지면, 전투 모드 게임을 하기 위한 전투 모드 단계(C), 위 전투 모드에 필요한 각종 설정값을 선택하는 옵션 모드 선택 단계(D), 및 게임을 마치기 위한 휴식모드 단계(E)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위 사전 준비 단계(A)는,
게이머가 위 휴대단말기로 이 게임을 사용하기 위해 게임제공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운로드하는 단계(S10);
게이머가 위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위 휴대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S20);
게이머가 위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게임제공자의 회원으로 가입하는 단계(S30);
게이머가 게임제공자의 회원으로 가입하면 게임제공자에 의해 게이머는 게임에 참여하는 다수의 소속 부대 가운데 하나로 배치받는 단계(S40); 및
게이머가 게임제공자의 회원으로 가입하는 절차를 완료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위 전투 모드 단계(C)는,
위 사전 준비 단계(A)를 마친 게이머가 게임을 통해 전투에 참여하기 위해 로그인하는 단계(S60);
위 로그인 단계(S60)를 거치면 단말기는 표시화면을 자동으로 일반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S90);
위 단계(S90)에서 일반화면으로 전환하면 게이머는 적 출현 및 미션 알림 단계(S100) 또는 안내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S110)를 선택하는 단계(S95);
위 안내 화면으로의 전환을 선택한 경우 게이머는 위치추적 시스템을 가동하는 단계(S120) 또는 광고 선택을 통해 포인트를 누적하는 단계(S130)를 선택하는 단계(S115);
위 위치추적 시스템이 가동되면 게이머는 자신의 적립된 포인트로 무기를 구입하는 단계(S180) 또는 무기 및 화기 선택 단계(S190)를 선택하는 단계(S175);
게이머가 위 무기 및 화기를 선택한 경우 실탄을 장전하는 단계(S200); 및
위 실탄을 장전한 뒤 게이머가 사격을 하는 단계(S2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위 옵션 모드 선택 단계(D)는,
게이머가 게임을 위한 옵션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위 휴식모드 단계(E)는,
게이머가 게임을 마치기 위해 로그아웃하는 단계(S80); 및
게이머가 위 로그아웃하는 단계(S80)를 선택하면 단말기는 자동으로 표시화면을 일반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위 게임은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실행가능하고,
다중 접속 방식의 쌍방향 네비게이션 방식의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작용이 용이하도록 하여 스마트폰 화면상에는 게이머 사이의 위치 추적을 위한 지도가 형성되며 이 지도 위에는 레이어 방법으로 게이머와 적 간의 위치 표시가 이루어지고 레이더 기능을 추가하여 실제 전투를 위한 요소들을 첨가하며 미션 수행 공지 시에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되도록 하고, 게이머는 이를 활용하여 적 또는 미션 수행자를 추적 및 탐색하고 적 또는 미션수행자는 게이머를 추적 및 탐색하기 위하여 상호간에 동적으로 대치하도록 하여 게이머와 적 모두가 동적으로 대치하며 다인칭 방식으로 상호 작용을 일으켜 상호 추적하여 전투를 수행하도록 하고,
설정 및 옵션 모드를 이용하여 그래픽 구현에 따른 지도(MAP)의 내용물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게임제공자의 회원으로 가입하는 단계(S30)는,
게임제공자가 게이머에게 이용약관에 동의하는지 여부를 물어서 게이머가 이용약관에 동의하는 경우 게이머가 체크하기 위한 수단을 게임제공자가 게이머에게 제공하는 단계(S31);
위 체크하기 위한 수단을 체크한 게이머가 단말기 표시창의 '확인' 버튼을 눌러서 위 동의 사실을 게임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S32);
게임제공자는 게이머가 다른 게이머의 게임정보를 도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 메시지를 게이머에게 제공하고 게이머가 이 경고 메시지를 읽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체크 수단도 게이머에게 제공하는 단계(S33);
게임제공자가 게임 이용과 관련하여 게이머에게 이메일을 전송하고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게이머가 자신의 이메일 주소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창을 제공하는 단계(S34);
게이머가 게임 이용과 관련하여 필요시 사용할 자신의 이메일 주소와 전화번호를 위 게임제공자가 제공하는 입력창을 통해 입력하고 전송하는 단계(S35); 및
게임제공자로부터 전송받은 회원가입 승인번호를 게이머가 게임제공자의 확인을 위해 게임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S3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2에서 회원가입 및 부대배치 완료화면의 예시도를, 도 4는 도 2에서 옵션 설정 화면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위 게이머의 회원가입 완료 단계(S50)는,
게임제공자가 게이머에게 회원가입이 완료되었음을 게이머 단말기에 생성되는 창으로 통지하는 단계(S51);
위 통지를 받으면 게이머 단말기의 표시화면은 게이머의 부대 및 개인 아이디 생성 화면으로 자동으로 전환되는 단계(S52); 및
게이머의 개인 아이디가 생성되면 게임제공자는 게이머에게 개인 아이디를 통지하고, 소정의 중대로 배치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S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 소속부대 배치단계(S40)는,
게이머가 자신의 단말기에 생성되는 '부대배치 받기' 버튼을 누르는 단계(S41); 및
게이머 자신의 개인 아이디 생성 단계(S4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위 개인 아이디 생성 단계(S42)는,
게이머의 사진을 등록하는 단계(S43);
게이머가 사용할 아이디를 입력하는 단계(S44); 및
위 입력한 아이디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위 사진을 등록하는 단계(S43)는,
게이머가 자신이 미리 찍어놓은 사진을 찾아서 선택하는 단계(S46);
게이머가 자신의 사진을 직접 촬영하는 단계(S47);
게이머가 위 선택한 또는 직접 촬영한 사진을 확인을 위해 미리 보는 단계(S48); 및
게이머가 자신의 등록된 사진을 소정의 창을 통해 확인하는 단계(S4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위 옵션 모드 선택 단계(D)는,
게이머가 맵으로서 지도와 스카이뷰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71);
게이머가 소리로서 진동 모드와 전투 사운드 모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72); 및
게이머가 안내 음성으로서 남성 음성과 여성 음성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면 게임제공자는 게이머에게 게이머가 선택한 음성으로 게임 정보를 안내하는 단계(S7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MPS게임이란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MPS 게임은 기존 PC 환경에서 구동되는 FPS(First-person shooter)게임(1인칭 슈팅 게임)과 유사한 것으로서, 대중들이 많이 활용하고 있는 PC용 FPS와는 차별화되는 것으로서 PC용 단방향 활용개념이 아닌 일체형 다중 접속 방법에 의한 게임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기존 PC용 FPS의 이용자와 실전 서바이벌 게임을 활용할 줄 아는 사람 중에 스마트폰 또는 노트패드 기종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한 게임이다.
이 스마트폰 MPS게임 및 위치추적 미션수행게임은 스마트폰과 노트패드 기종 MPS게임의 게이머로 등록되어있는 회원간의 위치추적 및 임의의 지령을 통하여 상호 위치 알림과 동시에 적의 추적 및 접선 스파이와의 접선과 동태 파악, 지령전달과 상호간의 실질적인 스마트폰 서바이벌 게임 및 미션 수행게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도 6은 도 2에서 게임모드시의 게이머 및 적의 스마트폰 화면 예시도를 나타내고 적의 위치 추적 시작하는 화면을 보여준다.
이 발명은 기존의 PC용 FPS 게임과 야외 지정되어진 특정 장소에서만 게임이 가능했던 서바이벌 게임과 일종의 술래잡기 놀이의 결합과 유사한 방식이다. 하지만 특정 지역에서만의 게임 진행이 아니고 장소를 불문하고 어느 지역에서든지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발명은 게임의 활용이 가능한 기본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통해 전국 또는 전 세계 스마트 폰 게이머들 간의 상호 작용을 일으키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스마트폰과 노트패드 기종을 이용해 해당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은 후에 기본적인 내용(회원가입을 위한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등)을 입력한 후 정식 회원가입을 신청하면 해당 서버로부터 본인 여부 확인을 위한 인증번호를 제공하고 해당 인증번호를 본인확인 창에 입력하면 1차적인 회원가입이 완료된다. 1차 회원가입 후에 이 게임 진행을 위해 게이머 본인의 노출 정보 (닉네임과 사진 등)에 필요한 내용을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소속 부대 및 비밀부대, 특수부대 등을 배정받을 수 있다. 이는 게이머 간의 지원 소속 부대가 많아지게 되면 특정부대 및 임의의 부대가 게임을 주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수 부대원 간의 게임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도 2에서 휴식모드 및 전투모드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이 발명에서 게이머는 소속 부대배치 및 임의의 특수부대 배치가 완료된 후에 게이머 본인의 게임 참여를 본인 의지에 의해 스스로 설정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일종의 로그인 로그아웃과 같은 기능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설정화면에서 전투참여 및 미션수행과 휴식모드를 설정하여 이 게임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 이때 별도로 제공되는 서비스로는 설정 및 옵션 모드로 이 옵션모드를 이용하여 그래픽 구현에 따른 지도(MAP)의 내용물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으로 구현된 지도와 인공위성에서 촬영한 지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적의 출현에 따른 안내 메시지와 적 위치까지의 안내모드에서 음성신호 또는 텍스트 신호와 사운드, 진동 등을 설정하여 게이머 개개인에 맞는 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휴식모드로 설정한 게이머의 경우에는 일반 스마트폰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이때 게이머에게는 게임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미션 및 적 출현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며 어떠한 상호작용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게이머가 전투모드 및 미션모드로 설정할 경우에는 적 출현에 따른 상호 작용 및 미션수행을 위한 미션 공지가 제공된다. 하지만, 주변에 적 출현 감지가 되지않거나 미션 공지가 제공되지 않을 시에는 일반 스마트폰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적 출현시 또는 미션공지시에만 게임의 시작을 알리는 안내기능을 시작한다.
이 발명에서 채택한 방법은 기존 차량에서 활용하는 단방향 네비게이션 방법이 아니라 다중 접속 방식의 쌍방향 네비게이션 방식을 채택하여 상호 작용이 용이하도록 하여 스마트폰 화면상에는 게이머간의 위치 추적을 위한 지도가 형성되며 이 지도 위에는 레이어 방법으로 게이머와 적 간의 위치 표시가 이루어지고 레이더와 같은 기능을 추가하여 실제 전투를 위한 요소들을 첨가하며 미션수행 공지 시에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된다. 게이머는 이를 활용하여 적 또는 미션 수행자를 추적 및 탐색하고 적 또는 미션수행자는 게이머를 추적 및 탐색하기 위하여 상호간에 동적으로 대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부분들이 기존의 PC용 FPS게임과의 차별화 되는 것들이다. 기존 FPS 게임은 주로 PC 앞에서 1인칭 방식이라면 이 발명인 스마트폰 MPS 게임은 게이머와 적 모두가 동적으로 대치하며 다인칭 방식으로 상호 작용을 일으켜 상호 추적하여 전투를 시행하여야 한다.
이 발명의 주요 내용으로는 상호 게이머와 적 또는 임의의 미션수행자 간의 위치 및 거리감지가 일정 정도의 거리 이내에 접근하였을 때에만 상호 작용을 일으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방 90미터 주변 3시 방향 적 감지 또는 전방 80미터 주변 9시 방향 적 감지와 같이 텍스트 또는 음성 안내를 제공한다. 그리고 스마트폰 본연의 기술인 진동으로도 적 출현 및 미션수행에 대한 알림을 해주기도 하며 노트패드 기종의 경우 안내 텍스트 및 사운드로 알려준다. 게이머는 평상시와 같이 스마트폰을 전화용도 이외 용도로 활용하던 중에도 본 적 감지 메시지를 전달받게 되고, 이때에 적 감지 메시지 전달과 함께 특정 기업의 광고창을 동시에 열어준다. 이것이 본 사업아이템의 첫 번째 수익성이 된다. 광고화면은 스마트폰 화면의 80% 가량을 할애하고 나머지 20% 가량엔 상기 미션 및 적 감지 안내 메시지가 나타나게 되고, 광고화면을 클릭하게 되면 광고주에서는 광고노출효과를 볼 수 있게되고 게이머는 광고화면 클릭과 동시에 무기 및 화기를 구입할 수 있는 일정 정도의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게 된다. 또는 광고주가 제공하는 이벤트성 무기 및 화기를 게이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게이머는 광고화면의 클릭없이 화면의 20%정도 노출된 적 출현 및 미션 안내 메시지를 스마트폰의 전화 착신 기능과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손가락을 이용해 드래그를 하던 우측에서 좌측으로 드래그를 함으로써 이 게임에 참여를 할 수 있다. 광고 창 하단부에 적 출현 메시지와 함께 전투참여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드래그하게 되면 직접적인 전투참여 및 미션수행 메시지가 제공되고 본 게임이 진행된다. 이때 게이머의 여건에 따라 직접적인 참여가 될 수도 있고 드래그 후 옵션을 통해 근무, 수업, 업무, 회의 중일 경우에는 전투 참여가 불가능한 관계로 휴식모드로 설정하면 적 또는 미션수행을 위해 만나야하는 미셔수행 참가자에 대한 정보가 소멸한다. 만약 전투참여 및 미션수행 게임을 희망하게 되면 드래그를 함과 동시에 스마트폰 화면에는 지도와 함께 미션수행 안내 메시지가 나타나고 화면 상단에는 본인의 전투승리에 따른 계급장과 함께 본인의 생명을 나타내는 [라이프바_LIFE BAR] 또는 적립해뒀었던 코인이 나타난다. 도 10은 도 2에서 적 발견시 사격 예시도 및 라이프 바와 쉴드 바의 예시도이다.
1. 실시예 1(화면 구성예).
그 바로 밑에는 [쉴드바_SHIELD BAR]도 나타나게 된다. 이번 아이템이 두 번째 수익모델이다. [라이프바]는 이 발명 게임을 게이머의 스마트폰에 설치와 동시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라이프바]이며 이 [라이프바]는 적으로부터 사격 또는 총격을 받을 때 조금씩 소멸하고 총격 및 사격을 가한 게이머의 [라이프바]는 총격을 받은 게이머로부터 일정정도의 [라이프바]를 빼앗아오는 방식이다. 이 [라이프바]는 기본 1/30 방식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1/30이란 적으로부터 사격받는 회수를 의미하며 총 30번의 총격 또는 공격을 받게 되면 게이머의 라이프 바는 모두 소진되고 본 게임에 참여할 수가 없게 됨을 뜻한다. 또는 미션 수행 중에도 이 라이프 바는 유사한 형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쉴드바] 기능이다. 이 [쉴드바]는 유료로 제공되는 아이템으로 기본 [라이프바]를 한번 더 방어해주는 서비스이다. 적의 공격시 [라이프 바]의 1/30 기능을 1/60 기능 이상으로 업그레이드시켜주게 된다. 이 [쉴드바]는 게임화면 하단에 나타나는 상점을 활용하여 구매할 수 있다. 화면 하단에는 상점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점과 게이머가 사용하고자 하는 무기 또는 화기를 선택할 수가 있다. 본 무기 및 화기 부분에 있어서도 초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와 동시에 제공되는 무기 및 화기를 통해서도 본 게임을 활용할 수 있다. 도 11은 도 2에서 무기상점 예시도를 보여준다. 하지만 본 게임의 취지인 수익성 발생의 세 번째 아이템이 바로 무기 및 화기판매에 있다. 기본적으로 제공되어지는 무기 및 화기는 기본 사격거리를 최소화시켜서 제공한다. 예를 들어 기본 무기 및 화기의 사정거리를 일정거리 이내로 책정하여 제공한다고 하면 근접 사거리를 시행하여야 하지만 판매되는 무기 및 화기로는 사정거리가 일정 정도의 거리 이상이 가능한 용품부터 저격이 가능한 화기, 원거리 사격이 가능한 화기, 대량살상이 가능한 수류탄과 같은 폭탄, 연속 사격이 가능한 다발용 화기 등을 판매하는 것이다. 이로써 게이머는 기본 화기로도 본 게임을 즐길 수 있고 상점을 활용하여 본인의 취향에 맞는 무기를 구매하여 더욱 더 업그레이드되어진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하지만 본 무기 및 화기도 구입과 동시에 사용은 가능하지만 일정기간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화기에 따라 실탄도 제공받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진다. 구입한 실탄만큼만 구매용 화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실탄이 모두 소진되었을 경우에는 상점에서 구매한 무기 및 화기를 사용할 수 없다. 이렇게 될 경우에는 기본 무기로 자동 설정된다. 또한 구입한 무기 및 화기의 실탄을 보유 중이나 탄창에는 기본 5발 ~ 8발만 삽입할 수 있는 관계로 본 5발 ~ 8발을 모두 소진할 경우에는 스마트 폰의 특성인 흔드는 기능을 채택하여 스마트폰을 흔들게 되면 자동으로 탄창을 낄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2에서 실탄 장전방법의 예시도를 보여준다.
2. 실시예 2 (근거리 화면 전환 예)
이때 도 7은 도 2에서 적의 정보공개화면의 예시도를, 도 8은 도 2에서 적 추적중인 스마트폰 화면 및 적과 근거리 위치시 화면 예시도를 보여준다. 화면의 좌 우측에 나타난 거리표시(50M, 40M, 30M...)는 적 또는 미션 수행자와의 거리를 알아보게 하기 위한 일종의 안내 스케일제도이다. 적과의 거리가 멀어지고 가까워짐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마트 폰 화면에 구성되는 지도(맵)를 기반으로 게이머는 적을 추적하고 적은 게이머를 추적하여 일정 정도의 거리(예를 들어 30미터 이내...)에 접어들면 기본 스마트 폰 화면이 지도(맵) 방식이 아닌 카메라 방식으로 전환된다. 이 전까지는 게이머나 적은 스마트폰을 들고 바라만 보며 쫓아갔었으나 일정 정도의 거리인 근거리에 접어들면 카메라 촬영하듯이 카메라 화면 위에 제작된 레이어 화면을 씌워서 스마트폰을 게이머의 눈과 일치하게 들고는 스마트 폰의 화면을 투영해서 적을 추적해야 한다. 이때 스마트 폰 화면에는 표적과 함께 스마트 폰 카메라로 투영된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화면 하단에는 사격 발사를 위한 격발 장치와 탄알이 장전돼 있도록 한다.
3. 실시예 3 (적 확인 후 격발)
게임 중 적이 표적 안에 들어오면 게이머가 선택한 화기를 활용하여 격발한다. 이때 총상을 입은 적은 스마트폰으로 총상을 입었음을 알 수 있다. 스마트폰 화면상에 적으로부터 총격을 당했으며 보유 중인 [라이프바]에서 1/30만큼 소진되었다는 안내를 하며 [라이프바]는 소진된다. 적에게 총상을 입힌 게이머에게는 적에게 총상을 입혔음을 스마트 폰 화면상으로 알려주고 게이머의 [라이프바]에 적으로부터 빼앗은 라이프바가 충전된다. 충전되는 [라이프바]는 1/60 기준으로 제공받는다. 빼앗기는 것은 1/30이지만 빼앗아오는 것은 1/60로 설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4. 실시예 4 (라이프바와 쉴드바 화면 구성)
모든 전투의 기본은 한달 30일을 기본으로 하며 게이머가 보유 중인 라이프 30을 제외한 적으로부터 빼앗은 [라이프바]를 합산하여 익익월 일정정도의 핸드폰 요금을 지급 또는 감면시켜주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예로 [라이프바] 30을 기본으로 할 때 1/30을 100원으로 정의하게 되면 30 모두를 빼앗을 경우엔 3,000원의 현금을 지급 또는 요금 감면 혜택을 제공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모바일 쿠폰 내지는 모바일 상품권을 발행하여 게이머가 필요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추가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서는 게임 초기 화면인 적 출현 안내 메시지 때 동시에 제공되는 광고창을 활용할 수도 있다. 이 광고창 제공을 통해 광고주와의 협의에 따라 무기 및 화기 제공 및 쉴드 제공과 같이 게이머가 광고 창 접속 시에 따른 혜택도 부과하여 준다.
또한, 지도를 활용하여 적 또는 미션수행자를 쫓거나 추적하는 중에도 지도 화면상에 근거리 지역 광고를 탑재하여 중간 중간 게이머는 지역 광고를 클릭하여 해당 지역의 광고를 열람하면 일정 정도의 포인트를 적립시킬 수 있다.
이 발명은 초기버전부터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제공하여 초기에는 스마트폰(아이폰 또는 안드로이드)으로만 이 발명 게임을 활용할 수 있지만 이와 동시에 노트패드(아이패드, 아마존의 킨들 파이어, 삼성의 갤럭시 탭 등과 같은 노트 패드 기반의 제품)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실질적인 주요 매니아 층을 위하여 무기 및 화기를 일종의 장난감 또는 프라모델과 같이 제작하여 직접 무기 및 화기를 사용하여 적을 저격 또는 사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스마트폰(아이폰 또는 안드로이드 기반)과 노트패드 기반은 일종의 위치추적 안내 레이더로 활용할 수 있다. 그 후 제작하는 무기 및 화기류는 일종의 대형 화기로서 스마트폰(아이폰 및 안드로이드 폰)을 직접 무기 및 화기류에 착탈식으로 꽂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서는 위치추적 및 레이더의 역할을 수행한 후에 게이머가 사용하는 무기 및 화기를 격발 및 사격을 목적으로 사용할 시에 스마트폰의 화면에는 실제 탄알이 나타나며 이때 격발시 스마트폰에서는 탄알이 실제 탄알과 같이 소진되며 무기 및 화기류와 스마트폰이 상호작용을 한다. 또한 헤드셋 또는 이어폰을 착용하여 실제 시가전투와 같은 느낌을 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 발명 중 미션수행 버전은 1차적으로 게이머에게 일정 정도의 미션을 제공한다. 이때 1차 미션은 게이머의 반경 이내에 있는 회원과의 접선을 안내한다. 이때 게이머 반경 안의 미션 안내 회원은 게이머에게 다음 미션을 지령한다. 게이머는 미션 지령을 받은 후에 2차 3차... 식으로 계속적으로 미션 수행을 위한 지령을 접수하면서 일종의 보물찾기와 같이 게임을 진행한다. 하지만 이 미션수행 게임의 최종은 마지막 특정회원을 암살하고 암살방식은 전투모드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이에 따라 게이머는 전투게임과 미션수행게임을 선택하여 즐길 수 있다.
이 발명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모든 게임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폰 및 테블렛 PC에 적합하다.
S10: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단계
S20: 어플리케이션 설치 단계
S30: 회원가입단계
S40: 소속부대 배치 단계
S50: 회원가입 완료 단계
S60: 전투참여(로그인) 단계
S70: 옵션모드(설정) 단계
S80: 휴식모드(로그아웃) 단계
S90: 일반화면 전환 단계
S100: 적 출현 및 미션 알림 단계
S110: 안내 화면으로 전환단계
S120: 위치추적 시스템 가동 단계
S130: 광고 선택(포인트 누적) 단계
S140: 지도 선택 단계
S150: 사운드 선택 단계
S160: 음성 안내 선택 단계
S170: 일반화면 전환 단계
S180: 적립포인트로 무기 구입 단계
S190: 무기 및 화기 선택 단계
S200: 실탄 장전 단계
S210: 사격 단계

Claims (25)

  1. 인터넷 접속 수단,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수단, 위치추적 수단, 사운드 조절 수단, 컬러 표시창, 스피커, 문자/음성/지문입력수단 및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고 위치 추적 위성을 이용하여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단말기로 게이머가 무선인터넷상에서 게임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multi-person shooter game)을 활성화하는 방법에서,
    위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을 활성화하는 방법은,
    게임을 이용하기 위한 사전 준비 단계(A); 및
    위 사전 준비 단계가 이루어지면, 전투 모드 게임을 하기 위한 전투 모드 단계(C), 위 전투 모드에 필요한 각종 설정값을 선택하는 옵션 모드 선택 단계(D), 및 게임을 마치기 위한 휴식모드 단계(E)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위 사전 준비 단계(A)는,
    게이머가 위 휴대단말기로 이 게임을 사용하기 위해 게임제공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운로드하는 단계(S10);
    게이머가 위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위 휴대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S20);
    게이머가 위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게임제공자의 회원으로 가입하는 단계(S30);
    게이머가 게임제공자의 회원으로 가입하면 게임제공자에 의해 게이머는 게임에 참여하는 다수의 소속 부대 가운데 하나로 배치받는 단계(S40); 및
    게이머가 게임제공자의 회원으로 가입하는 절차를 완료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위 전투 모드 단계(C)는,
    위 사전 준비 단계(A)를 마친 게이머가 게임을 통해 전투에 참여하기 위해 로그인하는 단계(S60);
    위 로그인 단계(S60)를 거치면 단말기는 표시화면을 자동으로 일반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S90);
    위 단계(S90)에서 일반화면으로 전환하면 게이머는 적 출현 및 미션 알림 단계(S100) 또는 안내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S110)를 선택하는 단계(S95);
    위 안내 화면으로의 전환을 선택한 경우 게이머는 위치추적 시스템을 가동하는 단계(S120) 또는 광고 선택을 통해 포인트를 누적하는 단계(S130)를 선택하는 단계(S115);
    위 위치추적 시스템이 가동되면 게이머는 자신의 적립된 포인트로 무기를 구입하는 단계(S180) 또는 무기 및 화기 선택 단계(S190)를 선택하는 단계(S175);
    게이머가 위 무기 및 화기를 선택한 경우 실탄을 장전하는 단계(S200); 및
    위 실탄을 장전한 뒤 게이머가 사격을 하는 단계(S2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위 옵션 모드 선택 단계(D)는,
    게이머가 게임을 위한 옵션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위 휴식모드 단계(E)는,
    게이머가 게임을 마치기 위해 로그아웃하는 단계(S80); 및
    게이머가 위 로그아웃하는 단계(S80)를 선택하면 단말기는 자동으로 표시화면을 일반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위 게임은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실행가능하고,
    다중 접속 방식의 쌍방향 네비게이션 방식의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작용이 용이하도록 하여 스마트폰 화면상에는 게이머 사이의 위치 추적을 위한 지도가 형성되며 이 지도 위에는 레이어 방법으로 게이머와 적 간의 위치 표시가 이루어지고 레이더 기능을 추가하여 실제 전투를 위한 요소들을 첨가하며 미션 수행 공지 시에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되도록 하고, 게이머는 이를 활용하여 적 또는 미션 수행자를 추적 및 탐색하고 적 또는 미션수행자는 게이머를 추적 및 탐색하기 위하여 상호간에 동적으로 대치하도록 하여 게이머와 적 모두가 동적으로 대치하며 다인칭 방식으로 상호 작용을 일으켜 상호 추적하여 전투를 수행하도록 하고,
    설정 및 옵션 모드를 이용하여 그래픽 구현에 따른 지도(MAP)의 내용물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2. 제 1 항에서, 위 게임제공자의 회원으로 가입하는 단계(S30)는,
    게임제공자가 게이머에게 이용약관에 동의하는지 여부를 물어서 게이머가 이용약관에 동의하는 경우 게이머가 체크하기 위한 수단을 게임제공자가 게이머에게 제공하는 단계(S31);
    위 체크하기 위한 수단을 체크한 게이머가 단말기 표시창의 '확인' 버튼을 눌러서 위 동의 사실을 게임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S32);
    게임제공자는 게이머가 다른 게이머의 게임정보를 도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 메시지를 게이머에게 제공하고 게이머가 이 경고 메시지를 읽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체크 수단도 게이머에게 제공하는 단계(S33);
    게임제공자가 게임 이용과 관련하여 게이머에게 이메일을 전송하고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게이머가 자신의 이메일 주소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창을 제공하는 단계(S34);
    게이머가 게임 이용과 관련하여 필요시 사용할 자신의 이메일 주소와 전화번호를 위 게임제공자가 제공하는 입력창을 통해 입력하고 전송하는 단계(S35); 및
    게임제공자로부터 전송받은 회원가입 승인번호를 게이머가 게임제공자의 확인을 위해 게임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S3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서, 위 게이머의 회원가입 완료 단계(S50)는,
    게임제공자가 게이머에게 회원가입이 완료되었음을 게이머 단말기에 생성되는 창으로 통지하는 단계(S51);
    위 통지를 받으면 게이머 단말기의 표시화면은 게이머의 부대 및 개인 아이디 생성 화면으로 자동으로 전환되는 단계(S52); 및
    게이머의 개인 아이디가 생성되면 게임제공자는 게이머에게 개인 아이디를 통지하고, 소정의 중대로 배치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S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4. 제 1 항에서, 위 소속부대 배치단계(S40)는,
    게이머가 자신의 단말기에 생성되는 '부대배치 받기' 버튼을 누르는 단계(S41); 및
    게이머 자신의 개인 아이디 생성 단계(S4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5. 제 4 항에서, 위 개인 아이디 생성 단계(S42)는,
    게이머의 사진을 등록하는 단계(S43);
    게이머가 사용할 아이디를 입력하는 단계(S44); 및
    위 입력한 아이디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6. 제 5 항에서, 위 사진을 등록하는 단계(S43)는,
    게이머가 자신이 미리 찍어놓은 사진을 찾아서 선택하는 단계(S46);
    게이머가 자신의 사진을 직접 촬영하는 단계(S47);
    게이머가 위 선택한 또는 직접 촬영한 사진을 확인을 위해 미리 보는 단계(S48); 및
    게이머가 자신의 등록된 사진을 소정의 창을 통해 확인하는 단계(S49)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7. 제 1 항에서, 위 전투 모드 선택시 게이머가 휴식 모드로 전환하기 전까지 계속 전투 태세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8. 제 1 항에서,위 휴식 모드는 일종의 로그아웃으로서 게이머의 위치 근처에서 적이 출현해도 상호 작용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9. 제 1 항에서, 위 옵션 모드 선택 단계(D)는,
    게이머가 맵으로서 지도와 스카이뷰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71);
    게이머가 소리로서 진동 모드와 전투 사운드 모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72); 및
    게이머가 안내 음성으로서 남성 음성과 여성 음성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면 게임제공자는 게이머에게 게이머가 선택한 음성으로 게임 정보를 안내하는 단계(S7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10. 제 1 항에서, 위 휴식 모드 단계(E)를 선택하면, 게임제공자가 게이머에게 적 출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11. 제 1 항에서, 위 전투 모드 단계(C) 선택시, 게이머의 단말기의 표시창이 평상시에는 일반 화면으로 전화되고, 적 출현시에만 전투 모드 단계(C)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12. 제 11 항에서, 적이 출현하면 게임제공자는 무빙 텍스트로 게이머에게 적 출현 사실을 알려줌과 동시에 진동과 음성으로도 적 출현 사실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13. 제 12 항에서, 게임제공자가 게이머에게 적 출현 사실을 알려줄 때 몇 시 방향으로 몇 미터 전방에서 적을 발견했다는 형식으로 알려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14. 제 13 항에서, 게이머가 위 적 출현 사실을 알리는 내용을 클릭하면 라이프(life)와 쉴드(shield) 창과 여러 가지 무기를 구매하기 위한 상점용 배너창과 지리정보와 적의 위치 정보를 게임제공자가 게이머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15. 제 14 항에서, 게임제공자는 게이머의 적이 사용하는 단말기에도 게이머의 근접거리와 시계 방향 정보를 지리정보와 함께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16. 제 14 항에서, 게이머가 단말기에서 적의 위치를 클릭하여 게임제공자에게 적의 정보 제공을 요청하면 게이머의 단말기에 적의 등록 사진이 뜨고, 적의 정보가 제공되고, 이때 무기 상점, 무기 창고, 부대 복귀 및 이전 화면으로 이동시 사용하는 버튼도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17. 제 13 항에서, 적을 추적 중인 게이머의 단말기 화면에는 적과의 예상치 거리가 지속적으로 표시되고, 적과의 거리가 좁혀지면 화면상의 지도도 자동적으로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18. 제 13 항에서, 적과 게이머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 기능에 의해 주변 배경 화면과 표적 이미지가 합성되어져서 해당 표적 이미지로 적 포착시 사격(shot) 버튼으로 발포하며, 이때 해당 화기의 잔여 실탄량이 표시되고, 방아쇠 수단이 제공되며, 게임제공자가 제공하는 표적판에는 해당 표적판 안에 적이 포착되었을 경우 발포하도록 하며, 발포 방법에 따른 기술로는 적의 단말기 및 게임에 사용되는 기기를 향하여 발포하되 발포시 발포에 따른 주파수를 위치추적에 사용되는 wifi, GPS, 기지국에서 적 발포에 따른 신호를 접수하여 적의 단말기에 표기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적을 향하여 발포를 하지만 발포시 발포에 따른 신호는 통신사의 기지국 또는 게임제공자의 서버에서 접수한 후 게임 제공자의 서버를 경유한 후에 저격받은 적의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19. 제 18 항에서, 게이머가 단말기를 좌우, 상하 또는 전후로 흔들면 소진된 실탄이 실탄창에 장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20. 제 14 항에서, 사격의 명중률에 따라서 적의 라이프를 빼앗을 수 있으며, 적의 목숨을 빼앗은 수가 라이프 바에 표시되며, 라이프 바의 한칸은 저격 a발에 해당하고, 적으로부터 a발의 명중 사격을 당하면 한 칸이 소멸되고, 적을 명중하여 적의 라이프를 빼앗을 경우에는 적의 라이프 바의 한 칸이 b등분 되어져서 계산되며 이때 a < b가 성립하고, a와 b는 자연수이며, 상기 라이프 바를 빼앗는 방법은 발포와 동시에 통신사의 기지국 또는 wifi, GPS를 경유하여 게임제공자의 서버에서 게임 진행에 따른 연산을 한 후 적의 라이프바를 게임제공자의 서버로 빼앗아온 후 게임진행자의 게임을 진행하는 기기에 전송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21. 제 14 항에서, 게이머가 쉴드바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에는 적의 사격으로부터 일정 정도 보호받을 수 있는 기능이 있고, 적의 사격시 1차적으로 쉴드바가 소진되고, 2차적으로 라이프바가 소진되며 사격을 시도한 적의 라이프바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도록 하며, 무조건 적에게는 명중의 경우 3발 이상의 사격이 금지되며, 불발인 경우에는 상대편 또는 게이머 본인의 라이프 바에 변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22. 제 14 항에서, 게이머의 표시창에는 경험치에 의한 게이머의 계급장이 표시되며, 적의 위치가 깜빡임에 의해 표시되고, 회전용 레이더 장치가 제공되며, 적과의 거리 환산용 측정기가 제공되고, 사용가능한 무기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 제공되고, 라이프 바는 게이머의 생명 수치를 나타내며 총격 c회까지 사용 가능 수치를 나타내고, 쉴드 바는 방어막 보충제이고, 유료 서비스이며 라이프 바의 사용수치를 보강하는 장치이며, 무기를 구매하기 위한 상점정보를 제공할 시 쉴드 아이템과 무기 아이템으로 구분지어 제공하며, 이때 c > b의 관계가 있고 c는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23. 제 1항에서, 위 단말기에는 스마트폰 및 노트패드가 포함되고, 위 노트패드에는 아이패드, 갤럭시탭, 킨들파이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24. 제 1항에서, 위 게임은 1개월 주기로 게임 통계를 합산하여 게임제공자의 홈페이지와 게이머의 단말기를 통해 전체 게이머의 순위를 알려주며 게임제공자가 제한해놓은 일정 정도의 라이프바를 적으로부터 취하였을 경우에 게임제공자는 게이머에게 소정의 단말기 사용 요금 및 모바일쿠폰을 지원해주고 해당 모발일 쿠폰은 인터넷 상품권과 같은 효력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25. 제 1항에서, 스마트폰 MPS게임 및 위치추적 미션수행게임을 포함한 위 게임은 스마트폰과 노트패드 기종 MPS게임의 사용자로 등록되어있는 게임제공자의 회원간 위치추적 및 임의의 지령을 통하여 상호 위치 알림과 동시에 적의 추적 및 접선 스파이와의 접선과 동태 파악, 지령전달과 상호 간의 실질적인 스마트폰 서바이벌 게임 및 미션 수행게임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KR1020120012044A 2012-02-06 2012-02-06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KR20130090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044A KR20130090711A (ko) 2012-02-06 2012-02-06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044A KR20130090711A (ko) 2012-02-06 2012-02-06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711A true KR20130090711A (ko) 2013-08-14

Family

ID=49216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044A KR20130090711A (ko) 2012-02-06 2012-02-06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07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156A1 (ko) * 2013-08-16 2015-02-19 Kim Tae Kwan 모션 커맨드 입력 방식의 가상 대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020908A (ko) * 2014-08-14 2016-02-24 김태관 모션 커맨드 입력 방식의 가상 대전 장치
CN113546424A (zh) * 2021-08-04 2021-10-2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虚拟资源的使用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156A1 (ko) * 2013-08-16 2015-02-19 Kim Tae Kwan 모션 커맨드 입력 방식의 가상 대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020908A (ko) * 2014-08-14 2016-02-24 김태관 모션 커맨드 입력 방식의 가상 대전 장치
CN113546424A (zh) * 2021-08-04 2021-10-2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虚拟资源的使用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26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shooting game
US20200394670A1 (en) Computer system, game system, and game device
US8795084B2 (en) Location-based multiplayer gaming platform
CN105935494B (zh) 计算机系统、游戏装置及用于控制游戏画面的显示的方法
CN112717421B (zh) 组队匹配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US111037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based games and employment of the same on location enabled devices
CN112076469A (zh) 虚拟对象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CN112870715B (zh) 虚拟道具的投放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2044084B (zh) 虚拟环境中的虚拟道具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JP5844479B2 (ja) オンライン一人称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でのデュアルモード武器提供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で読み込める記録媒体
CN111744184A (zh) 虚拟场景中的控件展示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WO2022143142A1 (zh) 人机交互界面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2569596B (zh) 视频画面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180181977A1 (en) System for giving entertainment element in return for watching advertisement
CN112316421A (zh) 虚拟道具的装备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2717410A (zh) 虚拟对象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2354180A (zh) 虚拟场景中积分更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30090711A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다중 접속 슈팅 게임의 활성화 방법
CN114130018A (zh) 虚拟物品的获取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CN114130012A (zh) 用户界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CN113769394A (zh) 虚拟场景中的道具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316430A (zh) 基于虚拟环境的道具使用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2090072B (zh) 虚拟道具的遗失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90043846A (ko) 아이템 패키지를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30602B1 (ko)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한 서바이벌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