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407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407A
KR20130089407A KR1020120010738A KR20120010738A KR20130089407A KR 20130089407 A KR20130089407 A KR 20130089407A KR 1020120010738 A KR1020120010738 A KR 1020120010738A KR 20120010738 A KR20120010738 A KR 20120010738A KR 20130089407 A KR20130089407 A KR 20130089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de
information
mobile terminal
additi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3750B1 (ko
Inventor
김규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750B1/ko
Priority to US13/757,611 priority patent/US9621498B2/en
Publication of KR20130089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미디어 컨텐츠에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부가 정보를 삽입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영상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부가 정보를 광학 판독 가능한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코드 및 상기 영상을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멀티 미디어 컨텐츠에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부가 정보를 삽입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말기 형태의 영상표시 장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최근 이동 단말기를 통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감상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다 편리하게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거나, 삽입된 부가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하게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컨텐츠에 부가 정보를 삽입함에 있어,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디지털 코드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메모리; 및 영상 및 상기 영상에 대한 부가 정보가 획득하면, 상기 획득한 부가 정보를 광학 판독 가능한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코드 및 상기 영상을 연관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영상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부가 정보를 광학 판독 가능한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코드 및 상기 영상을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제공한다.
첫째,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부가정보를 삽입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광학판독 가능한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배치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부가 정보를 외부 장치로 업로드하고, 업로드 정보를 다양한 종류의 광학판독 가능한 디지털 코드에 포함시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미디어 컨텐츠에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코드를 삽입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진에 부가 정보가 삽입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진에 부가 정보가 삽입될 때 실행될 수 있는 프리뷰 기능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진에 부가 정보가 삽입될 때 QR 코드의 크기/위치가 변경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진이 외부로 공유되는 경우, 공유 정보가 삽입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진에 부가 정보가 삽입되는 형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 촬영시에 부가 정보가 삽입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QR 코드가 삽입된 사진을 통해 부가 정보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QR 코드가 삽입된 사진이 복수개 표시되는 경우 부가 정보를 확인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QR 코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검색이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QR 코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정렬이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QR 코드가 삽입된 동영상 재생 중 부가 정보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QR 코드가 삽입된 동영상 재생 중 부가 정보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QR 코드가 삽입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매체 재생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기구 설명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라 불릴 수 있다.
도 2b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가상 키패드(151c)가 출력된다. 가상 키패드(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가상 키패드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에서 특정 객체(오브젝트)를 가리키거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 또는 손가락 형태의 그래픽은 포인터(pointer) 또는 커서(cursor)로 호칭된다. 그러나, 포인터의 경우 터치 조작 등을 위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커서라 칭하고,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터치, 근접터치, 제스쳐(gesture)를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 수단을 포인터라 칭한다.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부가 정보 삽입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부가 정보를 삽입하거나 편집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멀티미디어 파일에 삽입하거나 오버레이시킬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한 간단한 예로, 사용자는 사진 파일에 텍스트 정보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추가 희망 텍스트를 이동 단말기에 입력하면, 이동 단말기는 해당 텍스트를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코드를 사진 위에 오버레이시킴으로써 사진 뿐만 아니라 관련 텍스트를 저장 할 수 있다. 따라서, 코드의 특성을 고려할 때 멀티 미디어 컨텐츠는 정지영상(still image)이나 동영상과 같이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코드라 함은, 일반적인 바코드와 같이 1차원 코드 및 QR(Quick Response) 코드와 같이 2차원 코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1차원 코드 및 2차원 코드를 간단히 설명한다.
1차원 코드는 바코드(bar code)와 동일한 의미로 인식될 수 있으며, 인식 속도와 정확성, 쉬운 조작성 등의 특징으로 널리 보급되어 왔다. 바코드가 보급되어 그 편리함이 널리 인식됨에 따라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코드", "보다 많은 문자종류를 표현할 수 있는 코드", "더 작은 공간에 인쇄" 등 시장에서는 다양한 요구가 있었다. 따라서 정보량을 높이기 위하여 바코드의 자릿수를 늘리거나 여러 바코드를 나열한 대안책도 있었으나 이러한 대안은 표시 면적을 크게 하거나, 복잡한 독해 작업의 수반, 인쇄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도 야기했다. 이러한 요구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2차원코드가 출현했다. 바코드는 한 방향으로만 정보를 가지고 있는 반면 QR코드(2차원코드)은 가로, 세로 두 방향으로 정보를 가짐가짐으로 기록할 수 정보량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킨 코드이다. 이러한 2차원 코드는 바코드를 적층/중복한 타입(stack barcode방식)에서 보다 정보밀도를 높인 매트릭스(Matrix)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아래 표 1은 대표적인 2차원코드 네 종류의 이름 및 특징을 나타낸다.
종류 QR코드 PDF417 DataMatrix Maxi Code
개발사(국가) DENSO WAVE(일본) Symbol(미국) CI Matrix(영국) UPS(미국)
방식 Matrix Stack barcode Matrix Matrix
숫자용량 7,089 2,710 3,116 138
영문자용량 4,296 1,850 2,355 93
Binary용량 2,953 1,018 1,556
한자용량 1,817 554 778
주요 특징 대용량/적은공간
고속인식
대용량 적은 공간 고속독해
주요 용도 모든 분야 사무자동화(OA) 공장자동화(FA) 물류

규격화
AIM International
JIS /ISO
AIM International
ISO
AIM International
ISO
AIM International
ISO
표 1을 참조하면, 다양한 2차원 코드들 중 QR 코드가 비교적 우수한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아래 표 2는 QR코드 개요사양을 나타낸다.
코드 크기 21X21cell ~ 177X177cell(4cell/변 씩 증가)
정보 종류 및
정보량(혼합가능)
숫자 최대 7,089문자
영숫자 최대 4,296문자
8bit byte(baniry) 최대 2,953문자
영자 최대 1,817문자
오류복원능력
(데이터 복원기능)
Level L Codewords 약 7%가 복원 가능
Level M Codewords 약 15%가 복원 가능
Level Q Codewords 약 25%가 복원 가능
Level H Codewords 약 30%가 복원 가능
코드 연결 기능 최대 16분할(좁고 긴 공간에 인쇄)
QR코드의 버전은 1~4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버전마다 셀 구성(셀 수)이 정해져 있다. 여기서 셀은 QR코드를 구성하고 있는 사각의 흑백의 점을 의미한다.
"셀 구성"은 코드 내부의 셀의 수로, 버전1은 21×21cell로 시작하여 가로/세로 각각 4cell씩 늘어, 버전40에서는 177×177cell로 설정된다.
QR코드의 버전은 데이터량/문자 종류 또한 오류복원 레벨에 대응하여 최대 입력문자수가 설정됩니다.
각 버전에 따른 최대입력수는 아래 표 3에 나타나 있다.
버전 셀 수 오류 복원 레벨 데이터 bit수 숫자 영숫자 binary 한자
31 141x141 L 14,744 4,417 2,677 1,840 1132
M 11,640 3,486 2,113 1,452 894
Q 8,264 2,473 1,499 1,030 634
H 6,344 1,897 1,150 790 486
32 145x145 L 15,640 4,686 2,840 1,952 1,201
M 12,328 3,693 2,238 1,538 947
Q 8,920 2,670 1,618 1,112 684
H 6,760 2,022 1,226 842 518
33 149x149 L 16,568 4,965 3,009 2,068 1,273
M 13,048 3,909 2,369 1,628 1,002
Q 9,368 2,805 1,700 1,168 719
H 7,208 2,157 1,307 898 553
34 153x153 L 17,528 5,253 3,183 2,188 1,347
M 13,800 4,134 2,506 1,722 1,060
Q 9,848 2,949 1,787 1,228 756
H 7,688 2,301 1,394 958 590
35 157x157 L 18,448 5,529 3,351 2,303 1,417
M 14,496 4,343 2,632 1,809 1,113
Q 10,288 3,081 1,867 1,283 790
H 7,888 2,361 1,431 983 605
36 161x161 L 19,472 5,836 3,537 2,431 1,496
M 15,312 4,588 2,780 1,911 1,176
Q 10,832 3,244 1,966 1,351 832
H 8,432 2,524 1,530 1,051 647
37 165x165 L 20,528 6,153 3,729 2,563 1,577
M 15,936 4,775 2,894 1,989 1,224
Q 11,408 3,417 2,071 1,423 876
H 8,768 2,625 1,591 1,093 673
38 169x169 L 21,616 6,479 3,927 2,699 1,661
M 16,816 5,039 3,054 2,099 1,292
Q 12,016 3,599 2,181 1,499 923
H 9,136 2,735 1,658 1,139 701
39 173x173 L 22,496 6,743 4,087 2,809 1,729
M 17,728 5,313 3,220 2,213 1,362
Q 12,656 3,791 2,298 1,579 972
H 9,776 2,927 1,774 1,219 750
40 177x177 L 23,648 7,089 4,296 2,953 1,817
M 18,672 5,596 3,391 2,331 1,435
Q 13,328 3,993 2,420 1,663 1,024
H 10,208 3,057 1,852 1,273 784
표 3을 참조하면, 데이터 량이 증가하면 QR코드를 구성하는 셀(cell)이 많이 필요하며, 그만큼 QR코드는 커짐을 알 수 있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광학 판독 가능한 디지털 코드는 QR코드인 것으로 가정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광학 판독 가능한 디지털 코드라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적용가능이 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이동 단말기에는 임의의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생성/판독하기 위한 정보가 미리 구비된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QR 코드를 생성하거나 판독하는 방법은, 이미 소스가 공개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부가 정보 삽입을 위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미디어 컨텐츠에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코드를 삽입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코드가 삽입될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드가 삽입될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동영상일 수도 있고 정지영상(예를 들어, 사진)일 수도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카메라(121)를 활성화시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또는 열람(재생) 어플리케이션이나 파일 탐색기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S310).
컨텐츠(이하, 편의상 "이미지"로 가정)가 선택되면, 소정의 명령 입력에 따라 제어부(180)는 부가 정보 입력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 사진 촬영 직후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기 전에 소정의 메뉴 선택에 따라 부가 정보 입력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고, 파일 탐색기에서 메모리(160)에 미리 저장된 이미지를 선택한 후 부가 정보 입력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부가 정보 입력모드가 실행되면,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30)를 통한 입력으로 해당 이미지에 삽일될 부가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S330).
여기서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입력은 하드웨어 키버튼이나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를 통한 텍스트 정보 입력을 포함한다.
부가 정보의 작성이 완료되면, 작성된 부가 정보 및 이미지가 외부로 전송(업로드)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S340). 여기서 업로드 여부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입력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고,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를 수도 있다.
업로드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작성된 부가 정보를 바로 QR 코드로 변환할 수 있으며(S360a), 업로드하는 경우에는 부가 정보 및/또는 이미지를 외부로 업로드하고(S350), 업로드 정보를 QR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S360).
여기서 업로드의 대상 위치는 본 명세서에서는 비록 편의상 웹페이지로 기재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접속될 수 있는 일반적인 웹페이지, 웹서버, SNS 서버,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cloud) 서버, 다른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로드 정보는 업로드 대상위치의 URL 정보, 서버나 다른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부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물론, 부가 정보 작성단계를 건너뛰고 바로 웹으로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도 있으며(즉, QR코드가 삽입될 이미지가 선택된 후 바로 업로드 결정), 웹으로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과정에서 부가 정보가 작성될 수도 있다.
QR 코드가 생성되면, 생성된 코드가 이미지 상에서 어떠한 크기 및/또는 위치에 저장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S370).
위치의 예로, 생성된 QR 코드는 사진이나 동영상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예를 들어, 컨텐츠 영상의 일 가장자리 또는 정중앙)에 배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입력부(130)를 통해 지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의 크기는 표 3을 통해 예시한 부가 정보의 크기에 따른 셀 수가 아닌, 이미지 상에서의 상대적인 크기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코드를 구성하는 셀의 크기는 부가 정보의 크기에 의해 S360/S360a 단계에서 결정되고, 본 과정에서는 한 셀이 이미지 내에서 몇 픽셀을 차지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상술한 S370단계는 도 4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저장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S380).
저장 형태의 예로는, QR 코드가 해당 이미지의 영상 정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저장될 수도 있고, 해당 이미지와 별도의 파일로 저장될 수도 있다. 별도로 저장되는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때 이미지 상의 특정 위치에 QR 코드가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즉, 전자의 경우에는 QR 코드가 이미지나 동영상의 일부를 구성하게 되어 결국에는 하나의 멀티미디어 파일이 생성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QR코드가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되어 결국에는 두 개의 멀티미디어 파일(QR 코드 파일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생성된다. 전자의 경우 QR 코드가 해당 컨텐츠에서 차지하는 만큼 원본 영상에서 결손되는 정보가 발생할 수 있으나 파일이 하나이기 때문에 이동성/보관성이 우수하며, 후자의 경우 원본 영상의 결손이 없으나 파일이 두개가 생성되므로 관리에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될 수 있다. 물론, 후자의 경우 QR 코드가 멀티미디어 컨텐츠에서 표시되는 위치(예를 들어, 좌표)나 표시 시점/구간(동영상의 경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파일이 하나 더 생성될 수도 있다.
QR 코드의 저장형태, 위치, 크기 등이 모두 결정되면, 결정된 바에 따라 QR 코드가 삽입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QR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이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S390).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QR 코드를 이용한 부가 정보 삽입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진에 부가 정보가 삽입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a의 (a)를 참조하면, 카메라 촬영모드가 실행되어 터치스크린(151) 상으로 프리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셔터 아이콘(410)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카메라(121)를 통한 피사체의 영상이 촬영될 수 있다.
촬영이 완료됨에 따라 도 4a의 (b)와 같이 팝업창이 표시될 수 있는데, 팝업창에는 부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즉, 부가 정보 입력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 메뉴(421),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공유 메뉴(423),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파일로 메모리(160)에 바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 메뉴(425) 및 재촬영/촬영모드 종료를 위한 취소 메뉴(427)가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 메뉴(421)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부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미도시).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터치스크린 기반의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등에서 텍스트 입력을 위한 가상 키패드 및 그를 통해 입력되는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하드웨어 키패드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윈도우에는 하드웨어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부가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도 4a의 (c)와 같이 팝업창 상으로 입력된 부가 정보(여기서는 텍스트, 430)가 표시되고, 입력된 부가정보를 변환하여 QR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저장 메뉴(431) 및 부가 정보 입력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 메뉴(433)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 메뉴(431)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입력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생성하고, 도 4a의 (d)와 같이 촬영된 영상(440)을 생성된 QR 코드(450)와 함께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설정에 QR 코드는 별도의 파일로 저장될 수도 있고, 촬영된 영상의 일부 이미지 정보를 덮어쓰는 형태로, 즉, 촬영된 영상의 일부를 대체하여 촬영된 영상과 함께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 또한, QR 코드의 셀 크기는 표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입력된 부가 정보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도 4a의 (d)와 같은 상황에서는 QR 코드의 위치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는데, 이는 도 4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부가 정보의 크기에 따른 실제 QR 코드의 크기를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프리뷰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진에 부가 정보가 삽입될 때 실행될 수 있는 프리뷰 기능의 일례를 나타낸다.
프리뷰 기능은 도 4a의 (c)에서 도 4a의 (d)로 넘어가는 과정, 예를 들어 도 4의 (c)에서 저장 메뉴(431)가 선택된 경우나, 도 4b의 (a)에 도시된 팝업창에 프리뷰 메뉴(435)가 선택됨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프리뷰 기능이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최종 입력된 부가 정보에 대응되는 QR 코드를 생성하고, 도 4b의 (b)와 같이 촬영된 영상 상으로 생성된 QR 코드를 오버레이시켜 사용자에게 QR 코드의 크기를 미리 보여줄 수 있다. 프리뷰 기능이 실행될 때 확인(461)/취소(463) 메뉴가 표시될 수 있으며, 확인 메뉴(461)가 선택되면 도 4a의 (d)로 진행될 수 있다. 반대로, 취소 메뉴(463)가 선택되면 다시 부가 정보를 입력/수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프리뷰 기능의 다른 예로는, 부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도 4b의 (c) 및 (d)와 같이 팝업창의 일 영역에, 현재까지 입력된 부가 정보에 대응되는 QR코드의 크기를 표시해줄 수도 있다. 도 4b의 (c)와 (d)를 비교하면, 부가 정보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표시되는 QR 코드의 크기(471->473)도 증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c를 참조하여 QR 코드의 크기/위치 변경을 설명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진에 부가 정보가 삽입될 때 QR 코드의 크기/위치가 변경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S360 또는 S360a 단계에 따라 QR 코드가 생성된 경우(프리뷰 기능을 거친 경우 포함), 도 4c의 (a)에서와 같이 QR 코드(450)가 디폴트 위치(여기서는 우측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디폴트 위치는 미리 정해질 수도 있고, 일정 조건에 따라 제어부(180)가 결정할 수도 있다. 일정 조건의 예로 안면인식, 숫자/텍스트, 포커스지점 인식을 들 수 있다. 안면인식의 경우, 제어부(180)가 촬영된 이미지에 안면인식을 수행하고, 디폴트로 정해진 위치에 사람의 얼굴로 인식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위치를 피해 QR 코드의 초기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숫자/텍스트가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알고리즘 등을 통해 검출된 위치도 QR 코드의 초기 위치에서 제외될 수 있다. 아울러, 사진 촬영 모드의 프리뷰 영상에서 선택된 일 지점에 초점이 맞춰지도록 구현되는 경우, 포커스를 위해 선택된 지점 또한 QR 코드의 초기 위치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이는 포커스를 맞춘 지점은 사용자가 촬영시 가장 선명히 나오도록 의도한 부분이기 때문에 QR코드에 의해 가려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QR 코드가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결정된 초기 위치에 표시될 때, QR 코드 상으로 포인터(490)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드래그 입력이 터치스크린에서 감지되면, 그에 대응하여 이미지 상에서 QR 코드가 배치된 위치가 도 4c의 (b)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QR 코드의 크기는 핀치 인/아웃(즉, 서로 다른 두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을 동시에 가한 상태에서 두 터치 지점 사이의 거리를 넓히거나 좁히는 터치 입력 패턴) 동작을 통해 QR 코드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c의 (c)에서와 같이 두 포인터(490, 491) 각각의 터치 지점이 서로 멀어지는 경우, 도 4c의 (d)와 같이 QR코드의 크기(450")가 확대될 수 있다.
QR 코드의 위치나 크기가 변경된 이후, 촬영된 이미지에서 QR 코드가 위치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터치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QR 코드의 위치/크기 변경을 마친 것으로 판단하고, 촬영된 영상에 최종 변경된 QR코드의 위치/크기를 반영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촬영된 이미지가 공유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진이 외부로 공유되는 경우, 공유 정보가 삽입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a의 (b)와 같은 상황에서 공유 메뉴(423)가 선택됨에 따라 도 5의 (a)와 같이 업로드 수단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팝업창(510)이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팝업창 상에서 업로드 수단을 선택한 후, 도 5의 (b)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텍스트를 작성한 후 업로드 메뉴(520)를 선택하면, 촬영된 이미지 및 텍스트가 함께 선택된 업로드 수단에서 미리 결정된 형태로 업로드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업로드 수단은, SNS, MMS, 근거리 무선통신, 이메일, 메신저, 클라우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업로드가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업로드 수단을 통해 업로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업로드 정보를 QR코드로 변환하게 된다. 이후의 과정은 도 4a의 (d)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업로드 정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업로드 수단에 따라 URL 정보, 서버나 다른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업로드시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업로드 정보는, 업로드 수단이 트위터나 블로그 등과 같이 새로이 업로드하여 생성한 게시물에 독자적인 URL이 부여되는 경우 새로이 부여된 URL이 될 수 있고, 해당 업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대표 URL일 수도 있다. 만일, 업로드 수단이 MMS/메신저나 근거리 통신인 경우, 업로드 정보는 MMS/메신저 수신자 정보(전화번호, 전화번호부 상의 이름, 아이디), 근거리 통신 연결 정보(기기 식별 번호: MAC 어드레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a에서는 촬영 후 표시되는 팝업창을 통해 부가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먼저 입력받을지 또는 업로드할지 여부를 먼저 선택받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런데, 먼저 부가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바로 QR 코드로 변환할지, 또는 입력된 부가정보를 촬영된 영상과 함께 업로드할지 여부가 선택될 수도 있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진에 부가 정보가 삽입되는 형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의 (a)에서와 같이 이미지가 촬영되면, 도 6의 (a)와 같이 팝업창이 표시될 수 있는데, 팝업창에는 부가 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입력 메뉴(611),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파일로 메모리(160)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 메뉴(613) 및 재촬영을 위한 취소 메뉴(615)가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 메뉴(611)를 선택하는 경우,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부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미도시).
부가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도 6의 (b)와 같이 입력된 부가 정보(여기서는 텍스트)가 표시되고, 입력된 부가정보를 변환하여 QR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저장 메뉴(621), 촬영된 이미지 및 입력된 부가 정보를 함께 업로드 수단을 통해 업로드하기 위한 공유 메뉴(623), 및 부가 정보 작성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 메뉴(625)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 메뉴(621)가 선택되면 도 4a의 (d) 과정으로 진행되고, 공유 메뉴(623)가 선택되면 도 5의 (a)와 유사하게 업로드 수단 선택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물론, 공유 메뉴(623)가 선택된 경우 이미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텍스트는 작성완료된 상태이므로 도 5의 (b)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a내지 도 6은 카메라를 통해 정지 영상촬영시 QR 코드로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동영상 촬영시 QR 코드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가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 촬영시에 부가 정보가 삽입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동영상 촬영모드가 실행되어 터치스크린(151) 상으로 프리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녹화 아이콘(710)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카메라(121)를 통한 동영상 촬영이 시작될 수 있다.
촬영 중,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도 7의 (b)와 같이 프리뷰 영상에서 희망 위치(720)에 소정 패턴의 터치 입력(예를 들어, 단순 터치 또는 롱터치)을 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7의 (c)와 같이 부가 정보를 입력할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확인받기 위한 팝업창(730)이 표시된다. 여기서 지금 입력할 것을 선택하면, 촬영이 계속됨과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부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미도시). 촬영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위치에 입력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삽입할 수 있다. 물론, 삽입한다 함은 전술된 바와 같이 설정에 따라, QR 코드가 동영상의 영상 정보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삽입됨을 의미할 수도 있고, QR 코드를 별도의 파일로 생성한 후 재생시 해당 위치 및 해당 시점에 동영상 위로 오버레이 되도록 삽입함을 의미할 수도 있다.
만일, 도 7의 (c)에서 나중에 입력할 것을 선택하면, 동영상 촬영이 완료된 후 부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보다 촬영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a 내지 도 7에서는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 과정 상에서 코드를 생성 및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미리 촬영되거나 다운로드 등을 통해 메모리부에 구비된 멀티미디어 파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코드를 생성 및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파일을 관리할 수 있는 파일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소정의 메뉴 조작을 통해 특정 이미지/동영상 파일을 선택하고, 부가 정보를 입력받아 QR 코드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미리 저장된 파일에도 QR 코드가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으로 삽입된 QR코드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감상 및 활용하는 방법들을 설명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QR 코드가 삽입된 사진을 통해 부가 정보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을 포함하는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QR 코드 인식 기능이 내장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에 QR 코드가 삽입될 때 파일명에 특정 문자열이 삽입되도록 하거나, 멀티미디어 파일의 헤더에 QR 코드가 삽입됨을 지시하는 비트가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어플리케이션 자체에서 각 멀티미디어 파일을 검색하여 QR코드 유무를 검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 자체가 아닌 별도의 파일로 QR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파일명의 유사성 또는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에서 QR 코드가 배치되는 위치/크기정보를 포함하는 배치 정보를 참조하여 QR 코드 파일이 어떠한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진보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QR 코드가 삽입된 특정 이미지(810)가 표시될 때 우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QR 코드 부분(820)을 터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80)는 터치된 지점의 QR 코드를 해석하여 그에 포함된 정보를 도 8의 (b)와 같이 팝업창(830)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QR 코드에 포함된 부가 정보를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팝업창(830)의 편집(modify)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부가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미도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텍스트 편집 기능(예를 들어, 원본 텍스트 표시,삭제,추가 기능 및 삭제/추가를 위한 가상 키패드 등의 입력수단)을 갖춘다면 어떠한 형태에도 제한되지 않는다.
부가 정보의 편집이 완료된 후, 도 8의 (c)에서와 같이 팝업창(840)에서 저장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편집된 부가 정보에 따라 새로이 QR 코드를 생성하여 원래 QR 코드가 배치된 위치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편집에 따라 부가 정보의 용량이 변경되는 경우, QR 코드의 크기도 표 3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만일, 도 8의 (b)에서 공유(share)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전술된 도 5의 (a)와 같이 업로드 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선택된 수단을 통해 업로드가 완료되면, 해당 이미지의 QR 코드는 전술된 업로드 정보에 대응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한 화면에 한장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도 9에서는 복수의 이미지가 한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QR 코드가 삽입된 사진이 복수개 표시되는 경우 부가 정보를 확인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사진 보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복수의 사진에 대한 정보가 한 화면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910)은 썸네일 이미지 영역(911) 및 해당 파일에 삽입된 QR 코드의 내용을 표시하는 영역(913)을 포함한다. 물론, QR코드가 삽입되지 않은 이미지 파일이 있는 경우에는 QR 코드의 내용을 표시하는 영역이 생략되거나, 해당 영역에 파일 정보(이미지 용량, 해상도, 컬러 정보 등)가 대신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특정 파일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 영역이 선택되면, 도 9의 (b)와 같이 해당 파일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전체화면으로 표시되는 이미지 파일에서 QR코드(920)가 터치되거나, 도 9의 (a)에서 삽입된 QR 코드의 내용을 표시하는 영역이 선택되면, 도 9의 (c)와 같이 QR 코드의 전체 내용이 팝업창(930)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9의 (c)와 같은 상태에서는 전술한 QR 코드에 포함되는 부가 정보의 편집이 가능하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8의 (b)에서와 같이 팝업창(930)은 공유 메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의 (a)와 같은 사진 보기 어플리케이션은 QR 코드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 검색 및 정렬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서 사진 보기 어플리케이션은 도 9와 유사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QR 코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검색이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 또는 키버튼을 통한 소정의 메뉴 조작에 따라 사진 보기 어플리케이션 하단에 검색 메뉴(1010) 및 정렬 메뉴(1020)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메뉴(1010)가 선택되면, 도 10의 (b)와 같이 검색어를 입력받기 위한 팝업창(1030)이 표시될 수 있다. 팝업창(1030)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도 10의 (c)와 같이 입력된 검색어를 QR 코드 정보에 포함하는 이미지들만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QR 코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정렬이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의 (a)에서 정렬 메뉴(1020)가 선택되는 경우, 도 11의 (a)와 같이 정렬 기준을 선택받기 위한 팝업창(1110)이 표시될 수 있다. 각 이미지에 삽입된 QR코드에 날짜가 입력되어 있고, 날짜순 정렬이 팝업창(1110)에서 선택된 경우, 도 11의 (b)와 같이 QR 코드에 포함된 날짜 순서로 이미지들의 정렬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QR 코드가 삽입된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2의 (a)와 같이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을 때, 도 12의 (b)와 같이 특정 시점에서 삽입된 QR 코드(1210)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을 통해 QR코드(1210)가 표시되는 영역이 터치되면, 도 12의 (c)와 같이 QR 코드에 포함된 텍스트가 팝업창(1220) 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재생중이던 동영상은 확인(ok) 메뉴가 선택될 때까지 일시 정지될 수도 있고, 팝업창(1220) 표시와 관계 없이 계속하여 재생될 수도 있다. 물론, 팝업창(1220)에서 편집(Modify) 메뉴가 선택되면 QR 코드에 포함된 텍스트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도 있으며,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팝업창(1220)에 전술된 공유(Share) 메뉴가 추가로 표시될 수도 있다.
물론,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파일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될 때 표시되는 QR 코드는, QR 코드를 판독 가능한 외부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스캔하는 방법을 통해서도 도 12의 (d)와 같이 그 내용이 확인될 수 있다. 도 12의 (d)는 QR 코드 판독이 가능한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삽입된 멀티미디어 파일이 재생될 때, 재생 영상에 표시되는 QR 코드를 스캔한 결과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다.
한편, QR 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는 전화번호부 어플리케이션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이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QR 코드가 삽입된 동영상 재생 중 부가 정보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전화번호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연락처 항목의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좌측 상단에는 연락처에 대하여 설정된 이미지(1310)가 표시된다. 터치입력을 통해 이미지(1310)가 선택되면, 도 13의 (b)와 같이 해당 연락처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는 기능들을 포함하는 팝업창이 표시된다. 만일, 선택된 이미지에 QR 코드가 삽입된 경우에는 이러한 팝업창에 QR 코드 항목(1320)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QR 코드 항목(1320)이 터치되면, 도 13의 (c)와 같이 해당 이미지가 전체화면으로 표시됨과 함께 QR 코드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팝업창(1330)이 표시될 수 있다. 팝업창에 구비되는 편집(Modify) 메뉴를 통해 QR 코드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호출할 수 있으며, 도시되진 않았으나 전술된 공유(share) 메뉴가 팝업창에 추가로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 음악 파일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는 앨범자켓 이미지에 곡 정보(가사, 가수 정보, 발매일 정보등)를 QR 코드로 삽입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메모장 어플리케이션의 각 메모 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해당 메모에 대응되는 QR 코드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달력에서 각 스케쥴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해당 스케쥴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양상에 의하면, 생성된 QR코드의 활용에 있어 QR 코드가 원본 멀티미디어 파일에서 손실없이 분리될 수 있는 경우(즉, QR 코드가 원본과 별도의 파일로 저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원본 멀티미디어 파일의 출력 형태에 따라 QR 코드 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형태라 함은,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QR 코드를 수반하는 컨텐츠가 표시되는지 또는 다른 장치를 통해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이 출력되는지 여부를 말한다. 다른 장치의 예로는, DLNA(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UPnP(Universal Plug & Play), BT, Wi-Fi와 같은 무선 공유 프로토콜이나 USB/S-Video/HDMI 등의 유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는 TV, 모니터, 컴퓨터, 이동 단말기, 프린터 등을 들 수 있다.
파일의 출력 형태에 따라 QR 코드 표시 여부가 결정되는 형태의 일례를 도 14를 참조해 예시해 보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QR 코드가 삽입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명령 입력이나 다른 트리거 조건(예를 들어, 외부기기의 연결 탐지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QR 코드를 수반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소정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1410).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QR 코드를 수반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이 출력되는 경우(S1420), 이동 단말기 내부 설정에 따라 QR 코드를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아닌 외부 장치를 통해 해당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외부 장치가 인쇄출력을 위한 장치인지 디스플레이를 위한 장치인지 여부에 따라 QR코드 표시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S1440).
외부 장치가 인쇄 출력을 위한 장치인 경우, 제어부(180)는 QR 코드가 오버레이된 상태로 해당 컨텐츠가 인쇄(즉, 외부 장치에 QR 코드가 오버레이된 영상을 제공)되도록 할 수 있고(S1450), 외부 장치가 인쇄 기능 없이 디스플레이를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QR 코드를 제외하고 이미지 정보만을 외부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S1460).
프린터와 같은 인쇄 출력을 위한 장치를 통해 컨텐츠가 출력될 때 QR 코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경우, 출력물 상의 QR 코드를 스캔함에 따라 손쉽게 해당 정보가 디지털화될 수 있으며, 출처 표시를 위한 워터마크 기능을 기대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이는 영상 자체를 공유하는 목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QR 코드를 제외한 컨텐츠 자체만이 표시되는 경우 QR 코드로 인한 시각적 불편함이 야기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특히 멀티미디어 파일의 콘텐츠가 디지털 환경에서 아날로그 환경으로 전환되는 경우(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을 종이로 출력한 경우)에도 여전히 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는, QR 코드 판독 가능한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다시 손쉽게 디지털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지털 코드를 멀티 미디어 파일에 삽입하고 해독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3)

  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영상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부가 정보를 광학 판독 가능한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코드 및 상기 영상을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일 영역을 상기 디지털 코드로 대체하여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소정의 업로드 수단을 통하여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업로드 수단에 따라 획득된 업로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수단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블로그, 메시지, 인스턴트 메신저, 이메일, 클라우드 서비스 및 근거리 통신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정보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 정보, 상기 업로드하는 단계에 의해 생성된 웹페이지의 URL 정보 및 상기 업로드 수단의 대표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영상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중 상기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과 상기 디지털 코드를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되, 소정의 연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연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대응되는 파일과 상기 디지털 코드에 연계되는 파일 각각의 명칭의 적어도 일부를 통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가 상기 영상 상에서 배치되는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3. 메모리; 및
    영상 및 상기 영상에 대한 부가 정보가 획득하면, 상기 획득한 부가 정보를 광학 판독 가능한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코드 및 상기 영상을 연관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일 영역이 상기 디지털 코드로 대체되어 하나의 파일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영상 상에서 상기 대체되는 일 영역이 결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3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이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소정의 업로드 수단으로 업로드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업로드 수단에 따라 획득된 업로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수단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블로그, 메시지, 인스턴트 메신저, 이메일, 클라우드 서비스 및 근거리 통신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로드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 정보, 상기 업로드하는 단계에 의해 생성된 웹페이지의 URL 정보 및 상기 업로드 수단의 대표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정보는,
    이메일, 메시지, 인스턴트 메신저 및 근거리 통신의 상대방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 13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3.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20010738A 2012-02-02 2012-02-0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3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738A KR101873750B1 (ko) 2012-02-02 2012-02-0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3/757,611 US9621498B2 (en) 2012-02-02 2013-02-01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738A KR101873750B1 (ko) 2012-02-02 2012-02-0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407A true KR20130089407A (ko) 2013-08-12
KR101873750B1 KR101873750B1 (ko) 2018-07-03

Family

ID=4890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738A KR101873750B1 (ko) 2012-02-02 2012-02-0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21498B2 (ko)
KR (1) KR101873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0643B2 (en) * 2012-05-11 2016-03-08 Netgear, Inc. Establishing access to a secure network based on user-created credential indicia
KR20160090183A (ko) * 2015-01-21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160239641A1 (en) * 2015-02-18 2016-08-18 Jean Lafleur Method and System for Scan and Matching Media for Streaming Authorization
US9811706B2 (en) 2015-04-23 2017-11-07 Vatche PAPAZIAN System for anonymous communication from a user to the publisher of a scannable label
CN106257875A (zh) * 2015-06-18 2016-12-2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信息处理的方法及装置
US10238277B2 (en) * 2016-05-26 2019-03-26 Dental Smartmirror, Inc. Curing dental material using lights affixed to an intraoral mirror, and applications thereof
CN107437269B (zh) * 2017-08-03 2021-10-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处理图片的方法及装置
US10992899B1 (en) 2019-05-20 2021-04-27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capture settings for visual content capture
IT202000007132A1 (it) * 2020-04-03 2021-10-03 Pablo Chepalich Diego Sistema digitale, metodi e apparati per associare un video e imagine a un codice QR
US11543939B2 (en) 2020-06-08 2023-01-03 Snap Inc. Encoded image based messag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4981A2 (en) * 1999-11-10 2001-06-21 Global Market Insite, Inc. Multi-region market research study creation
JP2002074261A (ja) * 2000-08-28 2002-03-15 Denso Corp 情報コード読取装置
JP2002165159A (ja) * 2000-11-24 2002-06-07 Konica Corp プリントシステム、撮像装置、プリント受付処理装置、プリント管理装置、プリント処理装置、記憶媒体、プリントサービス方法、プリント受付処理方法、プリント管理方法およびプリント処理方法
US7502344B2 (en) * 2004-06-25 2009-03-10 Fujifilm Corporation Communications terminal, server, playback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6086858A (ja) * 2004-09-16 2006-03-30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KR20060133389A (ko) * 2005-06-20 200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07166265A (ja) * 2005-12-14 2007-06-28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装置、画像データ生成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撮像方法並びに撮像処理プログラム
JP5020135B2 (ja) * 2008-03-19 2012-09-05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携帯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038108B1 (ko) * 2009-05-22 2011-06-08 주식회사 파일태그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및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JP5540770B2 (ja) * 2009-07-30 2014-07-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01211A1 (en) 2013-08-08
KR101873750B1 (ko) 2018-07-03
US9621498B2 (en)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75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652704B2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ransmission service by using printed matter
KR1018734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600178B2 (en) Mobile terminal
EP2249240B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ognizing fingernail touch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thereof
KR10187373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정보 전송방법
US8400414B2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and mobile terminal thereof
US9195882B2 (en) Mobile terminal and group generating method therein
US20140101588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43555A (ko) 휴대 장치의 잠금 화면 상에서 빠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장치
KR2012013300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2013300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1596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정보 제공 방법
US8406752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5082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7524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2338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61892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EP314483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tagging digital photograph information
WO20141429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a portion of a page in a physical environment into an electronic document
KR1019514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064865B1 (ko) 전자 명함첩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118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32661B1 (ko) 인식 대상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단말기
KR10121868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출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