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108B1 -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및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 Google Patents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및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108B1
KR101038108B1 KR1020090044940A KR20090044940A KR101038108B1 KR 101038108 B1 KR101038108 B1 KR 101038108B1 KR 1020090044940 A KR1020090044940 A KR 1020090044940A KR 20090044940 A KR20090044940 A KR 20090044940A KR 101038108 B1 KR101038108 B1 KR 101038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sum
horizontal
vertical
image file
bit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958A (ko
Inventor
유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일태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일태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일태그
Priority to KR102009004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108B1/ko
Priority to US13/321,846 priority patent/US8690049B2/en
Priority to PCT/KR2010/002023 priority patent/WO2010134692A1/en
Priority to CN201080029129.5A priority patent/CN102804750B/zh
Priority to JP2012511748A priority patent/JP5572880B2/ja
Publication of KR2010012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56Preventive measures
    • H04N1/00864Modifying the reproduction, e.g. outputting a modified copy of a scanned original
    • H04N1/00867Modifying the reproduction, e.g. outputting a modified copy of a scanned original with additional data, e.g. by adding a warning mess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203Spatial or amplitude domain methods
    • H04N1/32251Spatial or amplitude domain methods in multilevel data, e.g. greyscale or continuous ton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30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in colour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33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digital signature, watermark
    • H04N2201/3236Details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33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digital signature, watermark
    • H04N2201/3236Details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 H04N2201/3238Details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sing a coded or compressed version of the image data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33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digital signature, watermark
    • H04N2201/323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digital signature, watermark u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authenti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achine readable codes or marks, e.g. bar codes or gly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1Printing or st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스캐너 등의 장치들에 의해서 생성된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및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본 발명에 의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은 이미지파일의 비트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트맵으로부터 가로 체크로직, 세로 체크로직, 및 영역별 체크로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로 체크로직, 세로 체크로직, 및 영역별 체크로직으로부터 이차원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차원바코드가 삽입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은 이차원바코드가 삽입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의 비트맵을 생성하여, 상기 비트맵으로부터 제 1 가로 체크로직, 제 1 세로 체크로직, 제 1 영역별 체크로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차원바코드로부터 제 2 가로 체크로직, 제 2 세로 체크로직,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가로 체크로직과 제 2 가로 체크로직, 상기 제 1 세로 체크로직과 제 2 세로 체크로직, 상기 제 1 영역별 체크로직과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미지파일, 위변조, 이차원바코드

Description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및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METHOD OF GENERATING IMAGE FILE FOR FORGERY VERIFICATION AND METHOD OF FORGERY VERIFICA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스캐너 등의 장치들에 의해서 생성된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및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디지털카메라, 스캐너 등과 같은 장치들에 의해서 많은 이미지파일이 생성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서 많이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포토샵과 같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등에 의해서 많은 이미지가 수정되고 있으며, 디지털화된 이미지파일이 실제 장치에서 최초로 생성된 원본인지, 아니면 수정작업을 한 파일인지를 구별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종래에 전자문서의 경우 문서 안에 있는 글자들의 코드값을 이차원바코드에 담아서 유통시켜, 유통된 문서의 글자의 코드값과 이차원바코드를 비교하여 유통된 문서의 위조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었다.
그러나, 이미지파일의 경우 모든 픽셀의 정보를 이차원바코드에 담고자 하는 경우 그 데이터 크기가 매우 커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예를 들어 최근 많이 사용하는 디지털카메라의 경우 약 500만화소 이상의 픽셀 수를 가지고 있는데, RGB컬러값까지 포함하면 데이터의 양은 약 15 메가바이트이상이 된다. 따라서 아무리 많은 용량을 담을 수 있는 이차원바코드라 하더라도 이미지파일의 모든 픽셀 정보를 담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디지털 카메라, 스캐너 등의 장치들에 의해서 생성된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및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 스캐너 등의 장치들에 의해서 생성된 이미지파일이 위변조된 부분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는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및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은 이미지파일의 비트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트맵으로부터 가로 체크로직, 세로 체크로직, 및 영역별 체크로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로 체크로직, 세로 체크로직, 및 영역별 체크로직으로부터 이차원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차원바코드가 삽입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은 이차원바코드가 삽입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의 비트맵을 생성하여, 상기 비트맵으로부터 제 1 가로 체크로직, 제 1 세로 체크로직, 제 1 영역별 체크로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차원바코드로부터 제 2 가로 체크로직, 제 2 세로 체크로직,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가로 체크로직과 제 2 가로 체크로직, 상기 제 1 세로 체크로직과 제 2 세로 체크로직, 상기 제 1 영역별 체크로직과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이미지 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은 이차원바코드가 삽입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의 상기 이차원바코드로부터 제 1 가로 체크로직, 제 1 세로 체크로직, 제 1 영역별 체크로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의 비트맵을 생성하여, 상기 비트맵으로부터 제 2 가로 체크로직, 제 2 세로 체크로직,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가로 체크로직과 제 2 가로 체크로직, 상기 제 1 세로 체크로직과 제 2 세로 체크로직, 상기 제 1 영역별 체크로직과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및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및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 스캐너 등의 장치들에 의해서 생성된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및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 스캐너 등의 장치들에 의해서 생성된 이미지파일이 위변조된 부분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체크로직'이라는 용어는 의 한 형태로 을 통해 공간이나 시간 속에서 송신된 자료의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한 체크썸(checksum)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에 따라 생성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 파일 생성방법에 따르면 이미지 파일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이차원바코드가 삽입된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면 이미지파일이 생성된다.(S102)
생성된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저장 형태를 달리하는 비트맵을 생성한다.(S104)
비트맵(bitmap)이란, 컴퓨터 분야에서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하는 데 쓰이는 이미지 파일 포맷 또는 메모리 저장 방식의 한 형태로써, 보다 일반적으로는 래스터 그래픽스(점방식)라고 한다. 화면상의 각 점들을 직교좌표계를 사용하여 화소 단위로 나타내는 방식이다. 그림을 확대하면 각 점이 그대로 커져 경계선 부분이 오돌도돌하게 보이는 계단 현상이 나타나며, 이를 좀더 부드럽게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들(쌍삼차 필터링, 이중선형 필터링 등)이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비트맵으로부터 가로 체크로 직(122)을 생성한다.(S106)
이는 비트맵의 가로 좌표들의 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해쉬코드를 출력값으로 구한다. 이렇게 구한 각 가로 좌표들의 출력값들이 가로 체크로직이 되는 것이다.
해쉬함수(hash function)란 주어진 입력에 대해서 고정된 짧은 출력으로 변환시켜주는 함수로써, 단방향 함수(one-way function)라고 불리기도 한다. 즉, 역함수가 존재하지 않는 함수로써, 해쉬 함수는 ①주어진 출력에 대하여 입력값을 구하는 것이 계산상 불가능할 것(일방향성) ②주어진 입력에 대하여 같은 출력을 내는 또 다른 입력을 찾아내는 것이 계산상 불가능할 것 ③같은 출력을 내는 임의의 서로 다른 두 입력 메세지를 찾는 것이 계산상 불가능할 것(강한 충돌 회피성)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
이러한 해쉬함수는 데이터의 무결성, 인증, 부인 방지 등에서 응용되는 중요한 함수 중의 하나로써, 예를 들어 전자서명의 경우 몇 바이트에서 수 기가바이트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메세지를 해쉬코드로 압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서명값을 생성한다. 이때 또다른 어떤 메세지가 동일한 해쉬코드를 생성한다면 위의 전자서명값은 또다른 메세지에 대한 서명도 되므로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되나, 실제로 이러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해쉬함수가 강한 충돌회피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현실적으로 동일한 해쉬코드를 가지는 한 쌍의 메세지를 찾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해쉬함수로는 1993년 NSA에 의해 설계된 SHA를 1995년에 수정, 보 완한 SHA-1이 있으며, 이는 미연방 표준으로 채택되어 현재는 충돌회피성을 위하여 160비트 이상의 해쉬함수를 사용하도록 권장되고 있다. 또한, HAS-160은 국내 표준 해쉬함수로 개발된 것으로 SHA-1과 마찬가지로 160비트의 출력길이를 가지며, 국내 표준 서명 알고리즘인 KCDSA에 사용된다.
이어, 생성된 비트맵으로부터 세로 체크로직(124)을 생성한다.(S108)
이는 비트맵의 세로 좌표들의 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해쉬코드를 출력값으로 구한다. 이렇게 구한 각 세로 좌표들의 출력값들이 세로 체크로직이 되는 것이다.
이어, 생성된 비트맵으로부터 영역별 체크로직(126)을 생성한다.(S110)
이는 비트맵을 일정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별 가로 및 세로 좌표들의 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해쉬코드를 출력값으로 구한다. 이렇게 구한 각 영역별 가로 및 세로 좌표들의 출력값들이 영역별 체크로직이 되는 것이다.
이때 비트맵을 일정 영역으로 나눔에 있어서 사각 영역으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원, 다이아몬드, 삼각형 등의 형태의 영역으로 나누는 것도 가능하며, 그 크기 또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생성된 비트맵으로부터 가로 체크로직(122), 세로 체크로직(124), 영역별 체크로직(126)의 순서대로 값을 생성하였으나, 이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할 뿐 세로 체크로직(124)을 가장 먼저 생성하고, 가로 체크로직(122), 영역별 체크로직(126)의 순서대로 값을 생성하는 등 그 순서는 변형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가로 체크로직(122), 세로 체크로 직(124), 영역별 체크로직(126)을 포함하는 이차원바코드(128)를 생성한다.(S112)
이차원바코드(128)란, 양방향(X,Y)으로 정보를 배열해 평면화한 점자식, 모자이크식 코드로 1차원 바코드가 가진 정보 표현의 제한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1차원 바코드의 약 100배 이상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바코드 자체에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어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하지 않고 해당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작은 사각형 안에 문자, 숫자 등의 텍스트는 물론 그래프, 사진, 음성, 지문, 서명 등의 다양한 형태의 정보 저장이 가능하다.
현재 국내에는 QR-Code, PDF417, Data Matrix, Maxi Code 등 4개 바코드 형식을 표준으로 인정하고 있다.
생성된 이차원바코드(128)를 이미지파일의 좌측 하단에 삽입하여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을 생성한다.(S114) 이때, 이차원바코드(128)는 우측 하단, 좌측 상단 등 다양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생성된 이차원바코드(128)가 삽입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이 디지털 카메라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을 예로 들어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캔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 페인터, 포토샵, 그림판 등과 같은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파일 등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파일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의 경우 촬영과 동시에 이에 따른 이차원바코드가 생성되어 삽입되고, 스캔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파일의 경우 스캔됨과 동시에 이에 따른 이차원바코드가 생성되어 삽입되며,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파일의 경우 저장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이에 따른 이차원바코드가 생성되어 삽입된다.
이러한 이차원바코드는 그 이미지파일 고유의 정보를 가지고 있고 이차원바코드 자체의 위변조는 불가능하므로, 이차원바코드가 삽입된 이미지파일은 위변조의 검증이 가능하다.
이러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은 인터넷이나, 기타 EDMS(전자문서관리시스템)를 통해서 유통된다. 이때 유통되는 과정에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을 누군가가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받아서 변조한 다음 다시 업로드 시킴으로써 변조된 이미지파일이 유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의 UFO가 찍힌 디지털 카메라 사진이 인터넷에서 유통되는 경우, 이러한 사진이 원본인지 아니면 위조되어 유통되고 있는 것인지 여부는 큰 논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유통된 이미지파일의 원본성 여부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에 따라 생성된 이차원 바코드(228)가 삽입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을 이용하여 비트맵을 생성한다.(S202)
다음으로, 생성된 비트맵으로부터 제 1 가로 체크로직(222), 제 1 세로 체크로직(224), 제 1 영역별 체크로직을 생성한다.(S204)
이는 비트맵의 가로 좌표, 세로 좌표, 및 비트맵을 일정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별 가로 및 세로 좌표들의 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해쉬코드를 각각의 출력값으로 구한다. 이렇게 구한 각 가로 좌표들의 출력값들이 제 1 가로 체크로직(222), 각 세로 좌표들의 출력값들이 제 1 세로 체크로직(224), 각 영역별 가로 및 세로 좌표들의 출력값들이 제 1 영역별 체크로직이 되는 것이다.
이때 비트맵을 일정 영역으로 나눔에 있어서 사각 영역으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 하나, 원, 다이아몬드, 삼각형 등의 형태의 영역으로 나누는 것도 가능하며 그 크기 또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비트맵으로부터 제 1 가로 체크로직(222), 제 1 세로 체크로직(224), 제 1 영역별 체크로직을 구하는 순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에 삽입된 이차원바코드(228)로부터 제 2 가로 체크로직, 제 2 세로 체크로직,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을 생성한다.(S206)
제 2 가로 체크로직, 제 2 세로 체크로직,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은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에 삽입된 이차원바코드(228)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구할 수 있다.
이차원바코드(228)에 저장된 정보는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고유의 정보 로써, 이차원바코드 자체의 위변조는 불가능하며, 현재 국내에는 QR-Code, PDF417, Data Matrix, Maxi Code 등 4개 바코드 형식을 표준으로 인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 1 가로 체크로직(222)과 제 2 가로 체크로직, 제 1 세로 체크로직(224)과 제 2 세로 체크로직, 제 1 영역별 체크로직과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을 서로 비교한다.(S208)
이때, 제 1 가로 체크로직(222)과 제 2 가로 체크로직이 일치하고, 제 1 세로 체크로직(224)과 제 2 세로 체크로직이 일치하며, 제 1 영역별 체크로직과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이 일치하면,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은 원본으로 인정되어 변조되지 않은 이미지파일임을 검증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가로 체크로직(222)과 제 2 가로 체크로직이 일치하지 않거나, 제 1 세로 체크로직(224)과 제 2 세로 체크로직이 일치하지 않거나, 제 1 영역별 체크로직과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이 일치하지 않으면,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은 변조된 이미지 파일로 판명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로 체크로직(222)과 제 2 가로 체크로직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과 제 1 세로 체크로직(224)과 제 2 세로 체크로직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교차하는 지점이 하나 있는 경우, 그 교차하는 지점이 변조 영역(230)으로 판명된다.
따라서 변조 영역(230)으로 판명된 지점에 있는 UFO는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 파일이 유통되는 과정에서 누군가에 의해 조작된 이미지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변조 영 역이 하나인 경우를 알아보았으나, 제 2 실시예에서는 변조 영역이 복수 개인 경우에 변조 여부 및 변조 영역을 찾아내는 방법을 알아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에 따라 생성된 이차원바코드(328)가 삽입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을 이용하여 비트맵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생성된 비트맵으로부터 제 1 가로 체크로직(322), 제 1 세로 체크로직(324), 제 1 영역별 체크로직(326)을 생성한다.
이는 비트맵의 가로 좌표, 세로 좌표, 및 비트맵을 일정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별 가로 및 세로 좌표들의 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해쉬코드를 각각의 출력값으로 구한다. 이렇게 구한 각 가로 좌표들의 출력값들이 제 1 가로 체크로직(322), 각 세로 좌표들의 출력값들이 제 1 세로 체크로직(324), 각 영역별 가로 및 세로 좌표들의 출력값들이 제 1 영역별 체크로직(326)이 되는 것이다.
이때 비트맵을 일정 영역으로 나눔에 있어서 사각 영역으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나, 원, 다이아몬드, 삼각형 등의 형태의 영역으로 나누는 것도 가능하며, 그 크기 또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비트맵으로부터 제 1 가로 체크로직(322), 제 1 세로 체크로직(324), 제 1 영역별 체크로직(326)을 구하는 순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에 삽입된 이차원바코드(328)로부터 제 2 가로 체크로직, 제 2 세로 체크로직,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을 생성한다.
제 2 가로 체크로직, 제 2 세로 체크로직,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은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에 삽입된 이차원바코드(328)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구할 수 있다.
이차원바코드(328)에 저장된 정보는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고유의 정보로써, 이차원바코드 자체의 위변조는 불가능하며, 현재 국내에는 QR-Code, PDF417, Data Matrix, Maxi Code 등 4개 바코드 형식을 표준으로 인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 1 가로 체크로직(322)과 제 2 가로 체크로직, 제 1 세로 체크로직(324)과 제 2 세로 체크로직, 제 1 영역별 체크로직(326)과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을 서로 비교한다.
이때, 제 1 가로 체크로직(322)과 제 2 가로 체크로직이 일치하고, 제 1 세로 체크로직(324)과 제 2 세로 체크로직이 일치하며, 제 1 영역별 체크로직(326)과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이 일치하면,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은 원본으로 인정되어 변조되지 않은 이미지파일임을 검증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가로 체크로직(322)과 제 2 가로 체크로직이 일치하지 않거나, 제 1 세로 체크로직(324)과 제 2 세로 체크로직이 일치하지 않거나, 제 1 영역별 체크로직(326)과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이 일치하지 않으면,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은 변조된 이미지 파일로 판명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로 체크로직(322)과 제 2 가로 체크로직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과 제 1 세로 체크로직(324)과 제 2 세로 체크로직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교차하는 지점이 네 군데 있는 경우, 그 교차하는 지점이 변조 영역 후보(330)로 선정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하는 지점 네 군데의 제 1 영역별 체크로직(326)과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두 군데 지점은 변조되지 않은 영역으로 판명되고, 제 1 영역별 체크로직(326)과 제 2 영역별 체크로직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두 군데 지점은 변조 영역(332)으로 판명된다.
따라서 변조 영역(332)으로 판명된 두 지점에 있는 UFO는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 파일이 유통되는 과정에서 누군가에 의해 조작된 이미지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원바코드가 삽입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로부터 비트맵을 생성하여 비트맵으로부터 제 1 가로, 세로, 영역별 체크로직을 생성한 후에 이차원바코드로부터 제 2 가로, 세로, 영역별 체크로직을 생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은 상기 순서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차원바코드가 삽입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의 이차원바코드로부터 제 1 가로, 세로, 영역별 체크로직을 생성한 후에 이차원바코드가 삽입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로부터 비트맵을 생성하여 비트맵으로부터 제 2 가로, 세로, 영역별 체크로직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에서 이미지파일은 디지 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 스캔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 페인터, 포토샵, 그림판 등과 같은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파일 등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파일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경, 변형할 수 있는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 내로 볼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에 따라 생성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Claims (15)

  1. 이미지파일의 비트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트맵으로부터 가로 체크썸, 세로 체크썸, 및 영역별 체크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로 체크썸, 세로 체크썸, 및 영역별 체크썸으로부터 이차원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차원바코드가 삽입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으로부터 가로 체크썸, 세로 체크썸, 및 영역별 체크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트맵의 가로 좌표들의 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나온 출력값을 가로 체크썸으로 하고,
    상기 비트맵의 세로 좌표들의 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나온 출력값을 세로 체크썸으로 하며,
    상기 비트맵을 일정 영역으로 나누어 상기 영역별 가로 및 세로 좌표들의 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나온 출력값을 영역별 체크썸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파일은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 스캔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파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파일이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인 경우,
    촬영과 동시에 상기 이차원바코드가 생성되어 상기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파일이 스캔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인 경우,
    스캔됨과 동시에 상기 이차원바코드가 생성되어 상기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파일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파일인 경우,
    저장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상기 이차원바코드가 생성되어 상기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7. 이차원바코드가 삽입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의 비트맵을 생성하여, 상기 비트맵으로부터 제 1 가로 체크썸, 제 1 세로 체크썸, 제 1 영역별 체크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차원바코드로부터 제 2 가로 체크썸, 제 2 세로 체크썸, 제 2 영역별 체크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가로 체크썸과 제 2 가로 체크썸, 상기 제 1 세로 체크썸과 제 2 세로 체크썸, 상기 제 1 영역별 체크썸과 제 2 영역별 체크썸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으로부터 제 1 가로 체크썸, 제 1 세로 체크썸, 제 1 영역별 체크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트맵의 가로 좌표들의 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나온 출력값을 제 1 가로 체크썸으로 하고,
    상기 비트맵의 세로 좌표들의 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나온 출력값을 제 1 세로 체크썸으로 하며,
    상기 비트맵을 일정 영역으로 나누어 상기 영역별 가로 및 세로 좌표들의 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나온 출력값을 제 1 영역별 체크썸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9. 이차원바코드가 삽입된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의 상기 이차원바코드로부터 제 1 가로 체크썸, 제 1 세로 체크썸, 제 1 영역별 체크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의 비트맵을 생성하여, 상기 비트맵으로부터 제 2 가로 체크썸, 제 2 세로 체크썸, 제 2 영역별 체크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가로 체크썸과 제 2 가로 체크썸, 상기 제 1 세로 체크썸과 제 2 세로 체크썸, 상기 제 1 영역별 체크썸과 제 2 영역별 체크썸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으로부터 제 2 가로 체크썸, 제 2 세로 체크썸, 제 2 영역별 체크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트맵의 가로 좌표들의 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나온 출력값을 제 2 가로 체크썸으로 하고,
    상기 비트맵의 세로 좌표들의 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나온 출력값을 제 2 세로 체크썸으로 하며,
    상기 비트맵을 일정 영역으로 나누어 상기 영역별 가로 및 세로 좌표들의 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나온 출력값을 제 2 영역별 체크썸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11.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로 체크썸과 상기 제 2 가로 체크썸이 일치하고, 상기 제 1 세로 체크썸과 상기 제 2 세로 체크썸이 일치하며, 상기 제 1 영역별 체크썸과 상기 제 2 영역별 체크썸이 일치하면 상기 이미지파일은 변조되지 않았음을 검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12.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로 체크썸과 상기 제 2 가로 체크썸이 일치하지 않거나, 상기 제 1 세로 체크썸과 상기 제 2 세로 체크썸이 일치하지 않거나, 상기 제 1 영역별 체크썸과 상기 제 2 영역별 체크썸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이미지파일은 변조되었음을 검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13.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로 체크썸과 상기 제 2 가로 체크썸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과 상기 제 1 세로 체크썸과 상기 제 2 세로 체크썸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교차하는 지점이 하나 있는 경우,
    상기 교차하는 지점이 변조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14.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로 체크썸과 상기 제 2 가로 체크썸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과 상기 제 1 세로 체크썸과 상기 제 2 세로 체크썸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교차하는 지점이 복수 개 있는 경우,
    상기 교차하는 지점들 중 상기 제 1 영역별 체크썸과 상기 제 2 영역별 체크썸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변조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15. 제2항 및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좌표는 상기 이미지파일 내 이미지의 가로 한 줄에 대한 x 좌표이고,
    상기 세로 좌표는 상기 이미지의 세로 한 줄에 대한 y 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KR1020090044940A 2009-05-22 2009-05-22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및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KR101038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940A KR101038108B1 (ko) 2009-05-22 2009-05-22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및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US13/321,846 US8690049B2 (en) 2009-05-22 2010-04-01 Method for generating an image file for forgery verification and a method for forgeryverification of an image file
PCT/KR2010/002023 WO2010134692A1 (en) 2009-05-22 2010-04-01 A method for generating an image file for forgery verification and a method for forgery verification of an image file
CN201080029129.5A CN102804750B (zh) 2009-05-22 2010-04-01 用于产生伪造验证图像文件的方法和用于伪造验证的方法
JP2012511748A JP5572880B2 (ja) 2009-05-22 2010-04-01 偽変造検証用イメージファイル生成方法及びイメージファイルの偽変造検証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940A KR101038108B1 (ko) 2009-05-22 2009-05-22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및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958A KR20100125958A (ko) 2010-12-01
KR101038108B1 true KR101038108B1 (ko) 2011-06-08

Family

ID=4312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940A KR101038108B1 (ko) 2009-05-22 2009-05-22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및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90049B2 (ko)
JP (1) JP5572880B2 (ko)
KR (1) KR101038108B1 (ko)
CN (1) CN102804750B (ko)
WO (1) WO20101346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750B1 (ko) * 2012-02-02 201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12418B1 (ko) * 2013-10-15 2015-04-15 주식회사 잉카인터넷 변조 위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US20200076786A1 (en) * 2018-09-04 2020-03-05 Bruce Ha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To Perform Self-Authentic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440Y1 (ko) 2001-11-09 2002-07-13 (주)벧엘테크 이차원바코드를 활용한 위조방지신분증
KR20020081440A (ko) * 2000-03-22 2002-10-26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기능성 적층 필름과 그 제조 방법 및 이 필름이 접착된crt
KR20050102306A (ko) * 2004-04-21 2005-10-26 에이디정보통신 주식회사 이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문서의 위변조 검출을 위한이미지 처리방법
JP2006229874A (ja) 2005-02-21 2006-08-31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080032732A (ko) * 2006-10-10 2008-04-16 주식회사 스타뱅크 스캐닝 원본문서의 위·변조 방지를 위한 보안 관리 시스템및 진본 유지를 위한 보안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3870A (ja) * 1991-12-28 1993-07-23 Sony Corp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記録装置
KR100241349B1 (ko) * 1997-09-11 2000-02-01 정선종 문서의 전자적 공증 방법
JPH11196392A (ja) * 1998-01-06 1999-07-21 Ntt Data Corp 電子画像の改竄検出方法及び改竄検出システム
JP2000305859A (ja) * 1999-04-22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ロセッサ
CN100349168C (zh) * 2003-06-23 2007-11-14 中国科学院研究生院 一种防伪票据、票据防伪方法及系统
JP4144469B2 (ja) * 2003-07-25 2008-09-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透かし検証装置および電子透かし検証方法
JP2005217536A (ja) * 2004-01-27 2005-08-11 Sony Corp 映像配信システム
CN1326383C (zh) * 2004-06-30 2007-07-11 佳能株式会社 图像处理设备和方法
JP2006050551A (ja) * 2004-06-30 2006-02-1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454797B2 (en) * 2004-10-13 2008-11-18 Microsoft Corporation Secure image authentication with discrete level tamper localization
JP4310285B2 (ja) * 2005-02-09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JP4310288B2 (ja) * 2005-04-12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07028529A (ja) * 2005-07-21 2007-02-01 Fuji Xerox Co Ltd 情報記録システム、情報再生システム、および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440A (ko) * 2000-03-22 2002-10-26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기능성 적층 필름과 그 제조 방법 및 이 필름이 접착된crt
KR200281440Y1 (ko) 2001-11-09 2002-07-13 (주)벧엘테크 이차원바코드를 활용한 위조방지신분증
KR20050102306A (ko) * 2004-04-21 2005-10-26 에이디정보통신 주식회사 이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문서의 위변조 검출을 위한이미지 처리방법
JP2006229874A (ja) 2005-02-21 2006-08-31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080032732A (ko) * 2006-10-10 2008-04-16 주식회사 스타뱅크 스캐닝 원본문서의 위·변조 방지를 위한 보안 관리 시스템및 진본 유지를 위한 보안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4692A1 (en) 2010-11-25
CN102804750A (zh) 2012-11-28
JP2012527682A (ja) 2012-11-08
US8690049B2 (en) 2014-04-08
US20120074215A1 (en) 2012-03-29
JP5572880B2 (ja) 2014-08-20
KR20100125958A (ko) 2010-12-01
CN102804750B (zh)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602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6139396B2 (ja) 文書を表す二値画像を圧縮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77372B1 (ko) 워터마크 데이터의 임베딩 및 추출 방법
USRE40477E1 (en) Reliable detection of LSB steganography in color and grayscale images
US845146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Murali et al. Comparision and analysis of photo image forgery detection techniques
US7720288B2 (en) Detecting compositing in a previously compressed image
WO2005093653A1 (ja) 画像補正装置と方法、画像補正データベース作成方法、情報データ提供装置、画像処理装置、情報端末、および情報データベース装置
KR101960290B1 (ko) 워터마크 데이터의 임베딩 및 추출 방법
EP3051790A1 (en) Information insertion method, information extraction method, and information extraction apparatus using dot-based information robust to geometric distortion
US1099283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KR101038108B1 (ko) 위변조 검증용 이미지파일 생성방법 및 이미지파일의 위변조 검증방법
JP2010056827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6025129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US20120218284A1 (en) Dynamic thresholds for document tamper detection
CN110955889A (zh) 基于数字指纹的电子文档溯源方法
Beamsley Securing digital image assets in museums and libraries: A risk management approach
Murali et al. Detection Of digital photo image forgery
JP4958868B2 (ja) 文書特徴量抽出装置及び方法
WO2020247765A1 (en) Method for marking visuals of information for subsequent identification or authentication
JP2017072958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に多重化された情報の復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313221A1 (en) Imaging mail
JP2003338934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Murali et al. Format based photo forgery image detection
WO2023023502A1 (en) Method for marking visuals of information for subsequent identification or authent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