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738B1 -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정보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정보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738B1
KR101873738B1 KR1020110092526A KR20110092526A KR101873738B1 KR 101873738 B1 KR101873738 B1 KR 101873738B1 KR 1020110092526 A KR1020110092526 A KR 1020110092526A KR 20110092526 A KR20110092526 A KR 20110092526A KR 101873738 B1 KR101873738 B1 KR 101873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c
information
mobile terminal
external devic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243A (ko
Inventor
윤이랑
이춘재
송유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2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738B1/ko
Priority to US13/612,281 priority patent/US8913954B2/en
Priority to EP12183971.6A priority patent/EP2571233B1/en
Publication of KR20130029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하게 단말기 간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외부 장치와 인접 자장 통신(NFC)을 수행하기 위한 NFC 모듈; 및 상기 NFC를 수행하기 위한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되고 상기 외부 장치와 NFC 연결이 발생한 경우, 상기 NFC 연결의 횟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횟수에 따라 상기 NFC 송수신 모드에 관련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단계적으로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정보 전송방법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하게 단말기 간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태블릿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보급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 상호간의 일반적인 정보 교환이나, 결제용 단말기에 결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양방향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모듈이 구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하게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정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을 통한 정보 교환에 있어 단계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외부 장치와 인접 자장 통신(NFC)을 수행하기 위한 NFC 모듈; 및 상기 NFC를 수행하기 위한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되고 상기 외부 장치와 NFC 연결이 발생한 경우, 상기 NFC 연결의 횟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횟수에 따라 상기 NFC 송수신 모드에 관련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단계적으로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외부 장치와 인접 자장 통신(NFC)을 수행하기 위한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와 NFC 연결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NFC 연결이 상기 외부 장치와의 최초 연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최초 연결인 경우 상기 NFC 송수신 모드와 관련된 제 1 순위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최초 연결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NFC 연결 이전 마지막 연결의 다음 순위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외부 장치와 인접 자장 통신(NFC)을 수행하기 위한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와 최초 NFC 연결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NFC 송수신 모드와 관련된 제 1 순위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와 두 번째 NFC 연결이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NFC 송수신 모드와 관련된 제 2 순위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보다 편리하게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의 트리거 횟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서로 다른 정보를 전송하므로 사용자는 트리거 횟수의 변경만으로 편리하게 원하는 정보만을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NFC 모듈을 통한 단계적 정보 송수신 방법이 수행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부의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로그인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텍스트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웹페이지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웹페이지 히스토리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전시물 관련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NFC 접촉을 통해 결제가 수행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NFC 송수신 모드 설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NFC 송수신 모드 설정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될 때 단계적으로 전송되는 정보가 표시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플릿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인접자장통신(NFC)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기구 설명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한편,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라 불릴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한편, 디스플레이부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가리키거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 또는 손가락 형태의 그래픽은 포인터(pointer) 또는 커서(cursor)로 호칭된다. 그러나, 포인터의 경우 터치 조작 등을 위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커서라 칭하고,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터치, 근접터치, 제스쳐(gesture)를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 수단을 포인터라 칭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도 1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편의상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하며,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한 통신 방식의 일례로, 인접자장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들 수 있다. NFC는 근접한 기기 간에 자장 유도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접속 규격으로 관련 표준은 Ecma 340, ISO/IEC 18092 등이 있다. 본 방식은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스마트 카드와 유사하게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나, 단방향 통신만을 지원하는 스마트 카드와는 달리 양방향 통신을 지원한다는 큰 차이점이 있다. 즉, 특정 정보를 저장하여 리더기에 전송해주는 태그(Tag) 역할만을 수행하는 스마트카드와는 달리, NFC는 필요에 따라 태그 역할 뿐만 아니라 태그의 정보는 읽거나 쓰는 리더/라이터(reader/writer) 역할도 할 수 있으며, NFC가 양측 단말기 모두에 구비된 경우 P2P(Point to Point) 정보교환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기술은 블루투스와 비교시 높은 보안수준이 구현될 수 있으며, 빠른 연결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비록 블루투스 방식에 비해 통신거리가 짧으나(최대 10~20cm), 역으로 복잡한 공간에서 혼동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말간 별도의 사용자 인식이 필요없이 근거리에 있는 것만으로도 곧바로 통신 설정이 가능하며, 통신시간이 비교적 짧아 보안에도 유리하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근거리 정보 교환은 NFC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며, 이동 단말기(100)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의 하나로 NFC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NFC 모듈이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NFC 모듈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정보를 근거리에 위치한 다른 NFC 모듈을 구비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NFC 모듈은, NFC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특정 모드에서 다른 외부 장치의 NFC 모듈과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할 때 활성화(즉, 정보의 송수신 동작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NFC 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외부 장치의 NFC 모듈과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를 편의상 "NFC 접촉"이라 칭하기로 한다. 아울러, NFC 모듈을 구비하는 외부 장치를 편의상 "외부 NFC 장치"라 칭한다.
단계적 정보 전송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NFC 접촉이 있을 때마다 단계적으로 서로 다른 정보가 전송되거나, 동일한 정보가 누적적으로 전송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NFC 모듈을 통한 단계적 정보 송수신 방법이 수행되는 절차의 일례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된다(S310). 여기서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된다고 함은, NFC 모듈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운영체제(OS)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NFC 접촉이 있는 경우 데이터를 송수신할 준비가 완료된 상태를 말한다. 이때, NFC 접촉의 횟수에 따라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나 수량은 미리 결정이 완료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NFC 장치에서도 이동 단말기 상으로 활성화된 NFC 모드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실행될 준비가 완료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외부 NFC 장치와 NFC 접촉이 발생됨을 NFC 모듈을 통하여 제어부(180)가 감지한 경우(S320), 해당 NFC 접촉이 상기 외부 NFC 장치와의 최초 접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여기서 최초 접촉의 판단 기준은 외부 NFC 장치의 동일성 여부, 활성화된 NFC 송수신 모드의 종류, 이전 NFC 접촉으로부터의 경과시간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된 이후 다른 NFC 접촉이 있었다하여도 외부 NFC 장치가 상이하면, 해당 외부 NFC 장치에 대해서는 최초 접촉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른 예로, 동일 외부 NFC 장치에 대하여 전화번호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NFC 접촉이 있었더라도, 사진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새로운 NFC 접촉이 있는 경우 해당 NFC 접촉은 최초 접촉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외부 NFC 장치 및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하더라도 이전 NFC 접촉이 있은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해당 접촉은 최초 접촉이 될 수 있다. 상술한 각 최초 접촉의 판단 기준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둘 이상의 기준이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가 해당 NFC 접촉을 최초의 접촉으로 판단한 경우, 현재 활성화된 NFC 송수신 모드에서 제 1 순위로 설정된 정보가 외부 NFC 장치로 전송되도록 NFC 모듈을 제어한다(S340).
반대로, 제어부(180)가 해당 NFC 접촉이 최초 접촉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현재 활성화된 NFC 송수신 모드에서 마지막 접촉의 다음 순위로 설정된 정보가 외부 NFC 장치로 전송되도록 NFC 모듈을 제어한다(S350). 예를 들어, 마지막 접촉이 최초 접촉인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NFC 접촉을 2번째 접촉으로 인식하고 제 2 순위로 설정된 정보가 외부 NFC 장치로 전송되도록 NFC 모듈을 제어한다. 다른 예로, 마지막 접촉이 3번째 접촉인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NFC 접촉을 4번째 접촉으로 인식하고, 제 4순위로 설정된 정보가 외부 NFC 장치로 전송되도록 NFC 모듈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NFC 접촉이 발생할 때마다 단계적으로 정보가 송수신되는 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부의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에서는 전화번호부(또는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한 사람의 연락처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다. 보다 상세히, 상단에는 이름과 사진(410)이 표시되고, 그 아래 전화번호(420), 이메일 주소(430) 및 직장 및 생일 정보(440)가 표시된다. 이때, 제 1순위 정보는 이름, 사진, 및 전화번호로, 제 2순위 정보는 이메일, 제 3순위 정보로 직장 및 생일 정보가 미리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외부 NFC 장치와 NFC 접촉이 최초로 발생한 경우, 도 4의 (b)와 같이 외부 NFC 장치에 제 1순위 정보인 이름/사진(410'), 및 전화번호(420') 정보가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어 외부 NFC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표시된다.
두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도 4의 (c)와 같이 외부 NFC 장치에 제 2순위 정보인 이메일(430') 정보가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어 외부 NFC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표시된다.
세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도 4의 (d)와 같이 외부 NFC 장치에 제 3순위 정보인 직장 및 생일 정보(440')가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어 외부 NFC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에서는 이미지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이미지 뷰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특정 이미지 파일(510)이 표시된다. 이때, 제 1순위 정보는 해당 이미지 파일의 썸네일, 제 2순위 정보는 해당 이미지 파일의 원본, 제 3순위 정보로 해당 이미지 파일의 태그 정보가 미리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여기서 태그 정보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입력한 텍스트 정보, 이미지 파일 헤더 정보 및 메타(meta)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때, 외부 NFC 장치와 NFC 접촉이 최초로 발생한 경우, 도 5의 (b)와 같이 외부 NFC 장치에 제 1순위 정보인 이미지의 썸네일(511) 정보가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어 외부 NFC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표시된다.
두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도 5의 (c)와 같이 외부 NFC 장치에 제 2순위 정보인 원본 이미지 파일(510')이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어 외부 NFC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표시된다.
세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도 5의 (d)와 같이 외부 NFC 장치에 제 3순위 정보인 태그 정보(520)가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어 외부 NFC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표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에서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지도(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 및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610)이 표시된다. 이때, 제 1순위 정보는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 제 2순위 정보는 정확한 현재 위치 정보, 제 3순위 정보로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 정보가 미리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외부 NFC 장치와 NFC 접촉이 최초로 발생한 경우, 도 6의 (b)와 같이 외부 NFC 장치에 제 1순위 정보인 지도 정보가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어 외부 NFC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표시된다.
두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도 6의 (c)와 같이 외부 NFC 장치에 제 2순위 정보인 정확한 현재 위치 정보가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어 외부 NFC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인디케이터(610')를 통해 표시된다.
세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도 6의 (d)와 같이 외부 NFC 장치에 제 3순위 정보인 주소 정보(620)가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추가로 수신되어 외부 NFC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로그인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SNS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로그인을 수행하여 초기(default)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도 7의 (b)와 같이 외부 NFC 장치에서도 SNS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로그인 화면이 표시된다. 로그인 화면에는 NFC 로그인 옵션(710)이 선택됨에 따라 외부 NFC 장치에서도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된다.
이동 단말기와 외부 NFC 장치 간의 NFC 접촉이 최초로 발생한 경우, 도 7의 (c)와 같이 외부 NFC 장치의 디바이스 정보 및 NFC 로그인을 요청함을 나타내는 팝업창(720)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표시된다. 이때,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락 버튼(721)을 선택하면, 도 7의 (d)와 같이 이동단말기(100)로부터 로그인 정보가 외부 NFC 장치로 전송되어 외부 NFC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 한 것과 같이 초기 화면이 표시된다.
두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로그인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외부 NFC 장치에 저장될 수 있고, 세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외부 NFC 장치에 영구적으로 로그인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텍스트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에서는 메모장(notepad)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메모장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810)가 표시된다.
이때, 도 8의 (b)와 같이 외부 NFC 장치에서도 메모장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어떠한 텍스트도 입력되지 않은 초기 화면이 표시되고, 그와 함께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된다.
이동 단말기와 외부 NFC 장치 간의 NFC 접촉이 최초로 발생한 경우, 도 8의 (c)와 같이 외부 NFC 장치로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표시되던 텍스트(810) 정보가 외부 NFC 장치로 전송되어 외부 NFC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해당 텍스트(810')가 표시된다. 만일, 두 번째 NFC 접촉이 발생하면, 도 8의 (d)와 같이 해당 텍스트(810)가 한 번 더 외부 NFC 장치로 전송되어 외부 NFC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해당 텍스트(810")가 추가로 표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에서는 외부 NFC 장치에서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가 NFC 접촉이 있을 때마다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분할화면으로 이동 단말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다. 이때, NFC 송수신 모드는 외부 NFC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활성화된다.
외부 NFC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1')에서 도 9의 (b)와 같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NFC 접촉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도 9의 (c)와 같이 화면이 분할(Split view)되어 하단에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910)이 실행된다. 만일, 외부 NFC 장치에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두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도 9의 (d)와 같이 화면이 한번 더 분할되어 하단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920)이 실행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웹페이지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에서는 외부 NFC 장치와 이동 단말기(100) 모두에서 웹브라우저가 실행되고 있을 때, 외부 NFC 장치에서 현재 표시되는 웹페이지의 정보가 NFC 접촉이 있을 때마다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해당 웹페이지가 새로운 창으로 표시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디폴트 페이지가 표시된다. 이때, NFC 송수신 모드는 외부 NFC 장치로부터 웹페이지 정보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활성화된다.
외부 NFC 장치에서 제 1 웹페이지가 표시되고 있을 때 최초 NFC 접촉이 있는 경우 외부 NFC 장치로부터 제 1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이동단말기로 전송되어 도 10의 (b)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제 1 웹페이지(1010)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외부 NFC 장치에서 제 2 웹페이지가 표시되고 있을 때 두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외부 NFC 장치로부터 제 2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이동단말기로 전송된다. 그에 따라, 도 10의 (c)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제 2 웹페이지(1020)가 새로운 창(new window), 또는 웹브라우저가 탭(tab)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새로운 탭에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 2 웹페이지(1020)가 새로운 창으로 열리는 경우 제 1 웹페이지(1010)는 이전 창에 그대로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제 2 웹페이지(1020)가 새로운 탭에서 열리는 경우 제 1 웹페이지(1010)는 이전 탭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즉,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는 제 2 웹페이지(1020)만 표시되는 것으로 보이나, 실제로 제 1 웹페이지(1010)는 다른 탭이나 다른 창의 형태로 남아있어 창/탭 전환 명령(예를 들어, 우측 방향으로 입력되는 플리킹 터치나 드래그 터치)이 입력되면 바로 제 1 웹페이지(1010)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 10의 (c)와 같은 상황에서 외부 NFC 장치에서 제 3 웹페이지가 표시되고 있을 때 세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외부 NFC 장치로부터 제 3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이동단말기로 전송된다. 그에 따라, 도 10의 (d)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제 3 웹페이지(1030)가 새로운 창 또는 새로운 탭에서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제 3 웹페이지(1030)가 새로운 창으로 열리는 경우 제 1 웹페이지(1010) 및 제 2 웹페이지(1020)는 이전 창들에 그대로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제 3 웹페이지(1030)가 새로운 탭에서 열리는 경우 제 1 웹페이지(1010) 및 제 2 웹페이지(1020)는 이전 탭들에 남아 있을 수 있다.
도 10에서는 새로운 웹페이지가 새로운 창이나 탭을 통해 표시되록 하였으나, 화면 분할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b)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제 1 페이지(1010)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페이지(1020)의 좌측(또는 우측이나 상/하단)에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은 외부 NFC 장치의 현재 웹페이지 정보를 전송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나, 현재 웹페이지 이전의 히스토리(즉, 이전 웹페이지) 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웹페이지 히스토리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에서는 외부 NFC 장치와 이동 단말기(100) 모두에서 웹브라우저가 실행되고 있을 때, 외부 NFC 장치에서 현재 표시되는 웹페이지의 히스토리 정보가 NFC 접촉이 있을 때마다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해당 웹페이지가 새로운 창이나 탭으로 표시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외부 NFC 장치에서는 웹페이지 A-2 -> 웹페이지 A-1 -> 웹페이지 A의 순서로 웹페이지 이동이 발생하여 현재는 웹페이지 A가 표시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디폴트 페이지가 표시된다. 이때, NFC 송수신 모드는 외부 NFC 장치로부터 웹페이지 히스토리 정보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활성화된다.
외부 NFC 장치에서 웹페이지 A가 표시되고 있을 때 최초 NFC 접촉이 있는 경우 외부 NFC 장치로부터 웹페이지 A에 대한 정보가 이동단말기로 전송되어 도 11의 (b)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웹페이지 A(1110)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두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외부 NFC 장치에서 웹페이지 A 이전에 표시된 웹페이지 A-1에 대한 정보가 이동단말기로 전송된다. 그에 따라, 도 10의 (c)와 같이 웹페이지 A-2(1120)가 이동 단말기(100)의 새로운 창(new window), 또는 웹브라우저가 탭(tab)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새로운 탭에 추가될 수 있다. 이때, 현재 표시되는 웹페이지는 변경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탭이나 창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전에는 웹페이지 A-1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이전 웹페이지 정보가 수신되어 새로운 창이나 탭이 열림을 나타내기 위하여, 화면 분할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b)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웹페이지 A-1(1120)의 적어도 일부가 웹페이지 A(1110)의 좌측(또는 우측이나 상/하단)에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 11의 (c)와 같은 상황에서 세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외부 NFC 장치로부터 웹페이지 A-1의 이전에 방문한 웹페이지인 웹페이지 A-2에 대한 정보가 이동단말기(100)로 전송된다. 그에 따라, 도 11의 (d)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 웹페이지 A-2(1130)가 새로운 창이나 탭에 추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에서는, 이동 단말기(100)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예를 들어, 음악 관련 정보를 보유한 외부 NFC 장치에 NFC 접촉시켜 단계적으로 미리 듣기 및 구매 절차 진행하는 과정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먼저 최초 NFC 접촉시 이동 단말기(100)에 특정 음악을 일정 시간동안 재생할 수 있도록 음악 파일 또는 스트리밍 데이터가 전달되어 도 12의 (a)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고, 해당 음악이 재생된다. 이때, 외부 NFC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앨범 쟈켓 이미지 등이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미리듣기 버전임을 알리는 문구(1210)가 표시될 수도 있다. 두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해당 음악의 구매관련 정보가 수신되어 도 12의 (b)와 같이 구매절차가 진행을 위한 기능(1220)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미술관이나 박람회 등과 같이 전시물이 배치되고, 각 전시물 앞에 해당 전시물의 정보를 저장한 키오스크(kiosk)와 같은 외부 NFC 장치에 이동 단말기가 NFC 접촉되는 경우에도 해당 전시물의 정보가 단계적으로 이동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이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전시물 관련 정보가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에서는 미술관의 그림에 대한 정보가 이동 단말기에 단계적으로 NFC 접촉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외부 NFC 장치와 최초 NFC 접촉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에는 특정 그림의 작가/작품명 정보(1310) 및 이미지 정보(1320)가 1순위 정보로 수신되어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표시된다. 두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제 2 순위 정보로 해당 그림에 대한 상세한 텍스트 정보(1330)가 수신되어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세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해당 그림에 대한 음성해설 정보가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어 음향출력부(152)를 통해 재생될 수도 있다.
NFC 접촉을 통한 다단계 결제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FC 접촉을 통한 다양한 다단계 결제 방법들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NFC 접촉을 통해 결제가 수행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에서는 외부 NFC 장치가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과금되는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도 14의 (a)를 참조하면, NFC 모듈을 통한 전자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지갑 어플리케이션이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결제 메뉴들이 표시된다. 결제 메뉴는 결제액수 선택 메뉴(1410)와 구매형식 선택 메뉴(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결제액수 선택메뉴(1410)에서 1000원(1411)을 선택한 경우,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외부 NFC 장치와 NFC 접촉이 있을 때마다 1000원씩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NFC 접촉이 있는 경우 도 14의 (b)와 같이 1000원이 결제되어 이를 알리는 팝업창(1430)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두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도 14의 (c)와 같이 2000원이 결제되어 이를 알리는 팝업창(1440)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대중교통 요금을 결제하는 경우 개찰구(또는 버스카드 결제 단말기 등)의 NFC 장치와 NFC 접촉이 있을 때마다 탑승인원 1인에 대한 결제가 추가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구매형식 선택메뉴(1420)에서 할부구매를 선택한 경우, 일정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NFC 접촉이 있을 때마다 할부 개월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2만원 액수의 상품에 대한 결제를 위해 할부구매 메뉴를 선택하고, 2회 연속으로 결제를 위한 외부 NFC 장치에 NFC 접촉을 발생시키면, 도 14의 (d)와 같이 2개월 할부로 결제됨을 나타내는 팝업창(1450)이 표시될 수 있다.
만일, 구매형식 선택메뉴(1420)에서 더치페이 메뉴를 선택한 경우, 일정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NFC 접촉이 있을 때마다 나눠 결제할 사람 수가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동 단말기가 일정 시간 내에 3회 연속 NFC 접촉되는 경우, 3인에 대하여 균등한 금액으로 결제가 시작된다. 즉, 제 1 이동 단말기는 1/3을 결제하게 되고, 이후 제 2/제 3 이동 단말기가 순차적으로 NFC 접촉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 각각 1/3씩 결제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에 해당 결제 대상 상품에 대하여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할인율을 가진 전자 신용카드정보가 있을 경우, 구매형식 선택메뉴(1420)에서 할인구매 메뉴를 선택하면, 일정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NFC 접촉이 있을 때마다 높은 할인율에서 낮은 할인율을 갖는 카드 순서(또는 반대)로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최초 NFC 접촉시에는 20% 할인되는 카드로 결제를 시도하고, 일정 시간이내 두 번째 NFC 접촉이 있는 경우 10% 할인되는 카드로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에 이동 단말기의 놓인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 센서)가 구비된 경우, 이동 단말기를 거꾸로 든 상태에서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외부 NFC 장치에 NFC 접촉을 시도하는 경우, 결제가 취소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결제액수를 선택한 경우, 예를 들어, 선택메뉴(1410)에서 1000원(1411)을 선택한 경우 이동 단말기가 뒤집한 상태로 NFC 접촉이 있을 때마다 1000원씩 결제가 취소될 수 있다.
NFC 송수신 모드의 설정
이하에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된 NFC 송수신 모드를 활성화시킬 어플리케이션, 전송 횟수나 범위를 설정하는 방법들을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NFC 송수신 모드 설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소정의 메뉴 조작을 통해 NFC 설정메뉴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NFC 설정 메뉴는 송신 기능 사용여부 설정메뉴(1510), 송신 범위(즉, 허용 횟수) 설정메뉴(1520), 수신 기능 사용여부 설정메뉴(1530), 수신 범위 설정메뉴(1540) 및 어플리케이션 설정 메뉴(155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기능 사용여부 설정메뉴(1510) 및 수신 기능 사용여부 설정메뉴(1530)는 NFC 모듈을 통한 송/수신 기능 자체를 켜고 끄는 기능을 한다.
송신 범위 설정메뉴(1520)가 선택되면 도 15의 (b)와 같이 몇 번까지 NFC 접촉을 통한 송신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된다. 유사하게, 수신 범위 설정메뉴(1530)가 선택되면 도 15의 (c)와 같이 몇 번까지 NFC 접촉을 통한 수신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된다. 도 15에서는 1회에서 3회 및 무제한 허용 중 어느 하나를 선택가능하도록 각 메뉴가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보다 단순히, 또는 보다 복잡한 단계로 허용 횟수가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어플리케이션 설정 메뉴(1550)가 선택되면, 전술된 설정 메뉴들의 설정값이 적용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미도시)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15의 메뉴 구성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설정 메뉴(1550)를 통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에 일괄적으로 송/수신 사용여부 및 허용횟수를 적용하게된다.
한편, 송수신 횟수의 허용범위나 송수신될 정보의 순위가 어플리케이션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NFC 송수신 모드 설정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6의 (a)를 참조하면, 송신 범위 설정메뉴(1520)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별 설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1610)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전화번호부(1611)를 선택하면, 도 16의 (b)와 같은 순위 설정 메뉴(62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의 (b)에서는 1순위 정보로 이름과 사진이, 2순위 정보로 전화번호가, 3순위 정보로 이메일 주소가 각각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경우, 전화번호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되면, 최초 NFC 접촉시 이름과 사진 정보과 외부 NFC 장치로 전송되고, 두 번째 NFC 접촉시 전화번호가 전송된다. 도 16의 (b)와 같은 설정에서는 NFC 접촉 횟수와 관계없이 주소 정보는 전송되지 않는다.
한편, 송신 범위 설정메뉴(1520)가 선택되면 도 16의 (c)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별 설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1660)가 표시될 수도 있다. 리스트(1660)에는 NFC 모듈을 통한 송신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만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스트(1660)의 우측으로는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최대 허용 전송횟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167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의 (c)와 같은 설정에서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NFC 송수신 모드는 활성화되지 않으며,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은 1회의 NFC 접촉만 허용한다. 즉,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되면 복수회 NFC 접촉을 하더라도 동일한 정보만이 외부 NFC 장치로 전송된다. 또한 웹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되면 최대 3회까지 단계적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웹페이지 정보나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히스토리 정보가 외부 NFC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아울러, 메모장(notepad)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되면 제어부(180)는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NFC 접촉이 있을 때마다 횟수에 관계없이 반복적으로 메모장의 텍스트가 외부 NFC 장치로 전송되도록 NFC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적 전송 정보의 표시
이하에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될 때 단계적으로 전송될 정보의 종류나 전송상태가 표시되는 형태를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될 때 단계적으로 전송되는 정보가 표시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7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전화번호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또는 전화번호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NFC 송수신 모드가 활성화될 때 NFC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팝업창(1710)이 표시될 수 있다. 팝업창(1710)에는 최대 NFC 전송 횟수 및 각 횟수별로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즉, 순위별 전송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최초 NFC 접촉이 발생하면, 도 17의 (b)와 같이 팝업창(1720)이 표시되면서 전송상황을 나타내는 프로그레스바(1721)가 함께 표시된다. 최초 NFC 접촉에 따른 1순위 정보(이름, 사진, 전화번호)의 전송이 완료되면, 도 17의 (c)와 같이 전송 상태, 외부 NFC 장치 정보 및 차순위 정보들을 포함하는 팝업창(1730)이 표시된다. 이후 두 번째 NFC 접촉이 발생하면, 도 17의 (d)와 같이 2회까지 전송됨을 나타내는 프로그레스바(1721')를 포함하는 팝업창(172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레스바에는 전송 중인 경우와 전송 완료된 경우의 색상이 서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NFC 접촉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특정 하드웨어 키버튼이나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되는 가상 키버튼을 조작한 상태만 NFC 접촉을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로그 정보를 시각화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6)

  1. 외부 장치와 인접 자장 통신(NFC)을 수행하는 NFC 모듈; 및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NFC를 수행하기 위한 NFC 송수신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외부 장치와 NFC 연결이 발생된 경우 상기 NFC 연결 횟수를 판단하고, 상기 NFC 송수신 모드와 관련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단계적으로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NFC 송수신 모드는, 둘 이상의 입력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성화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NFC 연결의 횟수에 따라 상기 입력 항목들 중 기 설정된 순서대로 적어도 하나의 입력 항목을 상기 외부 장치로 단계적으로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연결이 상기 외부 장치와의 최초 연결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최초 연결인 경우 상기 NFC 송수신 모드와 관련된 정보 중 제 1 순위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판단 결과 최초 연결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NFC 연결 이전 마지막 연결의 다음 순위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 연결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이 경과된 후 상기 NFC 연결이 발생한 경우, 상기 NFC 연결을 최초 연결로 판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외부 장치에 대해서는 기 설정된 횟수만큼만 상기 NFC 연결을 허용하고,
    상기 기 설정된 횟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설정되는, 이동 단말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전화번호부 및 주소록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FC 송수신 모드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성화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NFC 연결의 횟수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단축형 정보, 원본 파일 및 부가 정보를 단계적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형 정보는, 상기 원본 파일의 재생시간을 적어도 일부 감소시킨 파일 및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 정보는, 태그 정보 및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FC 송수신 모드는, 로그인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성화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NFC 연결의 횟수에 따라 상기 로그인을 위한 로그인 정보의 유효기간을 달리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NFC 송수신 모드는, 둘 이상의 페이지를 열람하기 위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성화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NFC 연결의 횟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표시되는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단계적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10092526A 2011-09-14 2011-09-14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정보 전송방법 KR101873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526A KR101873738B1 (ko) 2011-09-14 2011-09-14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정보 전송방법
US13/612,281 US8913954B2 (en) 2011-09-14 2012-09-12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EP12183971.6A EP2571233B1 (en) 2011-09-14 2012-09-12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526A KR101873738B1 (ko) 2011-09-14 2011-09-14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정보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243A KR20130029243A (ko) 2013-03-22
KR101873738B1 true KR101873738B1 (ko) 2018-07-03

Family

ID=4693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526A KR101873738B1 (ko) 2011-09-14 2011-09-14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정보 전송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13954B2 (ko)
EP (1) EP2571233B1 (ko)
KR (1) KR1018737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04973T3 (es) 2010-01-29 2014-10-09 Avery Dennison Corporation Panel y/o conjunto RFID/NFC usados en aplicaciones de señalización inteligente y método de uso
US10977965B2 (en) 2010-01-29 2021-04-13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Smart sign box using electronic interactions
BR112014017152B8 (pt) 2012-10-18 2022-08-30 Avery Dennison Corp Método e sistema para segurança de nfc
CN104471969B (zh) 2012-11-19 2019-07-30 艾利丹尼森公司 禁用未经授权的nfc安全系统和方法
CN103411778A (zh) * 2013-07-15 2013-11-27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蓝牙扩音功能的汽车诊断设备及方法
KR101595804B1 (ko) * 2013-09-11 2016-02-22 임원일 휴대용 단말기 탈착모듈을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US10813142B2 (en) * 2013-10-11 2020-10-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of paging mobile devices
US20150103158A1 (en) * 2013-10-14 2015-04-16 Joshua Cornelius Burris Attachable wireless micro-camera and software
CN103596046A (zh) * 2013-11-07 2014-02-19 深圳创维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电视终端与手持终端的通信方法及系统
KR101673539B1 (ko) * 2014-05-27 2016-11-07 인터테크(주) 단말, 그 제어 방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47893B1 (ko) * 2014-08-08 202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통신 시스템
US9667354B2 (en) * 2014-11-24 2017-05-30 Sony Corporation Situational based communication
CN104602110A (zh) * 2015-01-22 2015-05-06 海信集团有限公司 设置电视机参数的方法和系统、及终端、遥控器和电视机
FR3032184B1 (fr) * 2015-02-03 2017-02-10 Qualipac Sa Systeme et procede de communication mettant en oeuvre un recipient pour un produit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ou un vin ou un spiritueux et deux equipements mobiles de telecommunication
US20180046891A1 (en) * 2015-03-02 2018-02-15 Je Young JUNG Nfc tag having dual mode
WO2017142104A1 (ko) * 2016-02-16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백업 및 복원 방법
CN105515618B (zh) * 2016-02-17 2019-02-01 中国工商银行股份有限公司 近场通讯装置及近场通讯系统
CN105848091A (zh) * 2016-03-31 2016-08-10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无钥匙的车辆控制方法及装置
US10270953B2 (en) * 2016-10-03 2019-04-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onymous electronic communication with the owner of physical property
KR102638750B1 (ko) 2018-11-22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들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0213085B (zh) * 2019-05-14 2022-08-3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nfc配置参数的设置方法、储存介质及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5115A2 (en) * 2008-02-22 2009-08-27 T-Mobile Usa, Inc. Data exchange initiated by tapp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4848A (en) * 1992-04-30 1995-08-22 Bull Hn Information Systems Inc. Distribution of communications connections over multiple service access points by choosing remote and local access points having lowest number of connections
JP2005184727A (ja) * 2003-12-24 2005-07-07 Hitachi Ltd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ノード、無線通信システムの構築方法及びノードの位置測定方法
US20130072114A1 (en) * 2011-09-20 2013-03-21 Raj Vasant Abhyanker Near-field communication enabled wearable apparel garment and method to capture geospatial and socially relevant data of a wearer of the wearable apparel garment and/or a user of a reader device associated therewith
US20120029990A1 (en) * 2007-12-13 2012-02-02 Blaze Mobile Social Media Marketing Based on Transactions Using a Mobile Device and Associated Secure Element
US8190214B2 (en) * 2008-02-19 2012-05-29 Denso Corporation In-vehicle handsfree apparatus
JP4613969B2 (ja) * 2008-03-03 2011-01-19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645709B2 (ja) * 2008-09-12 2011-03-09 株式会社デンソー 近距離無線通信機能付きストリーミングデータ再生装置
US9070149B2 (en) * 2008-09-30 2015-06-30 Apple Inc. Media gifting devices and methods
US8131645B2 (en) * 2008-09-30 2012-03-06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dia gifts
US8131214B2 (en) 2009-03-02 2012-03-06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for selecting content for transfer or synchronization between devices
US20120252558A1 (en) * 2011-03-28 2012-10-04 Ravi Shankar Mishra Method for distributing promotional offers using an electronic game application
US20120257245A1 (en) * 2011-04-08 2012-10-11 Mccoog Phillip A Autoselected print paths
US9113284B2 (en) * 2011-08-26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management of NFC logical connections
US20130163417A1 (en) * 2011-12-27 2013-06-27 Mitel Networks Corporation Application level admission overload control
US20130303085A1 (en) * 2012-05-11 2013-11-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data management
EP2680526A1 (en) * 2012-06-26 2014-01-01 Certicom Corp. Methods and devices for establishing trust on first use for close proximity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5115A2 (en) * 2008-02-22 2009-08-27 T-Mobile Usa, Inc. Data exchange initiated by tapp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243A (ko) 2013-03-22
US20130065523A1 (en) 2013-03-14
EP2571233B1 (en) 2020-02-26
US8913954B2 (en) 2014-12-16
EP2571233A1 (en) 201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73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정보 전송방법
US8427511B2 (en) Mobile terminal with image projection
KR10166074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0161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87373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69182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917666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pplication execution in a mobile terminal
KR10185305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66757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69581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208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2729B1 (ko) 이동 단말기, 및 외부 객체에 대한 메시지 생성 및 획득 방법
KR10198070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428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40108858A (ko) Nfc 태그를 이용한 액세스 포인트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0019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036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336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95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320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84019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18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461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리스트 관리 방법
KR10163418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환전 정보 제공 방법
KR1017118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