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6218A - 정전 용량 터치 패널용 입력 디바이스, 입력 방법 및 집합체 - Google Patents

정전 용량 터치 패널용 입력 디바이스, 입력 방법 및 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6218A
KR20130086218A KR1020137008905A KR20137008905A KR20130086218A KR 20130086218 A KR20130086218 A KR 20130086218A KR 1020137008905 A KR1020137008905 A KR 1020137008905A KR 20137008905 A KR20137008905 A KR 20137008905A KR 20130086218 A KR20130086218 A KR 20130086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touch panel
insulating layer
conductive lay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5014B1 (ko
Inventor
겐지 시노자키
마사히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6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Abstract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로서, 가요성과 광투과성을 가지는 절연층(11)과, 절연층(11)에 적층되어 있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도전층(12)을 구비하고, 절연층(11) 및 도전층(12)이, 터치 패널에 접촉시키는 부위가 되도록 일체로 하여 통 모양의 형상으로 된 입력 디바이스(10)에 의해 사용자가 손가락의 마멸감을 느끼기 어려워짐과 아울러, 터치 패널 상에서의 입력 디바이스가 나타내는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 쉽고, 터치 패널이 검출하는 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고, 또 분실해도 입력의 수단을 잃기 어려운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용의 입력 디바이스 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전 용량 터치 패널용 입력 디바이스, 입력 방법 및 집합체{INPUT DEVICE FOR CAPACITIVE TOUCH PANEL, INPUT METHOD AND ASSEMBLY}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에 이용되는 입력 디바이스 등에 관한 것이다.
근년,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접촉함으로써, 정보의 입력을 행할 수가 있는 터치 패널이 중요도를 더하고 있다. 터치 패널에는 접촉을 검출하는 센서가 표시 화면에 장착되어 있고, 이 센서가 표시 화면 상에서 손가락 등이 접촉된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정보의 입력을 행한다. 그리고, 센서로서 손가락 등과 도전막과의 사이에서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파악한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의 것을 사용한 이른바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이 보급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쥠부를 대략 원형 단면의 막대 모양으로 하고, 그 좌우에 각각 움푹 팬 오목홈(concave groove)(유지 수단)을 형성하여 원주 방향에 대해서 방향성이 있는 단면 형상으로 하는 터치 펜(touch pen)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컴퓨터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켜 장치에 정보 입력을 행하기 위한 터치 펜으로서, 손가락에 장착이 가능한 치구와, 그 치구에 장착된 펜 선단부를 구비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9-23017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9-259062호 공보
여기서 터치 패널에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을 행하는 경우, 터치 패널과 손가락이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터치 패널면이 피지(皮脂)로 더러워져 표시가 보기 나빠지거나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 사용자가 손가락의 마멸감을 느끼는 경우 등이 있다. 또, 손가락을 사용하는 경우는, 손가락과 터치 패널과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곤란하여 터치 패널이 검출하는 위치의 정밀도가 저하하기 쉽다.
한편, 예를 들면 스타일러스 펜 등의 펜 방식의 입력 디바이스는 분실하기 쉽고, 분실한 경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의 수단을 잃는 일이 있다. 또한, 이들 펜 방식의 입력 디바이스는, 터치 패널에의 접촉 부분이 볼펜 등과 비교하면 크고, 터치 패널 상에서 입력 디바이스가 나타내는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 어렵다.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손가락의 마멸감을 느끼기 어려워짐과 아울러, 터치 패널 상에서의 입력 디바이스가 나타내는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 쉽고, 터치 패널이 검출하는 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고, 또한 분실해도 입력의 수단을 잃기 어려운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용의 입력 디바이스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입력 디바이스는,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로서, 가요성과 광투과성을 가지는 절연층과, 절연층에 적층되어 있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도전층을 구비하고, 절연층 및 도전층이, 터치 패널에 접촉시키는 부위(이하, 단지 「접촉면」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가 되도록 일체로 하여 통 모양의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절연층 및 도전층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점착층(粘着層)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통 모양의 형상은, 도전층보다도 절연층을 외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 형상은 손가락에 장착하기 위한 형상으로서 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절연층 및 도전층의 적어도 일방에 터치 패널에의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도형이 그려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 디바이스는,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로서, 가요성을 가지는 절연층과, 절연층에 적층되는 도전층을 구비하고, 절연층 및 도전층은, 일체로 하여 통 모양의 형상이 됨과 아울러 적어도 터치 패널에 접촉하는 부위에서 광투과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 디바이스는,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로서, 가요성과 광투과성을 가지는 절연층과, 절연층에 적층되어 있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도전층을 구비하고, 절연층 및 도전층은, 접촉면이 됨과 아울러 지지체의 형상에 맞추기 위해서 일체로 하여 만곡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절연층 및 도전층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점착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지지체는, 손가락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절연층 및 도전층은, 일체로 하여 5각형 또는 6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은 다각형상은, 정점이 모따기 된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 방법은, 상기의 입력 디바이스를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에 입력 디바이스의 적어도 접촉면은 광투과성이며,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집합체는,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를 집합시킨 집합체이며, 입력 디바이스는, 접촉면에 가요성과 광투과성을 가지는 절연층과, 절연층에 적층되어 있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도전층을 구비하고, 이하의 (1)~(3)의 어느 하나에 의해 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입력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점착층을 더 구비하고, 입력 디바이스를 점착층을 통해 적층시키는 것
(2) 입력 디바이스를 평면 형상으로 결합시키는 것
(3) 입력 디바이스를 통 모양의 형상으로 하고, 통 모양의 형상의 입력 디바이스를 적층시키는 것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의 마멸감을 느끼기 어려워짐과 아울러, 터치 패널 상에서의 입력 디바이스가 나타내는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 쉽고, 터치 패널이 검출하는 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고, 또 분실해도 입력의 수단을 잃기 어려운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용의 입력 디바이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도 1(b)는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입력 디바이스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 도이다.
도 2(a)~도 2(b)는 실제로 입력 디바이스를 터치 패널에 접촉시킨 경우의 상태를 설명한 도이다.
도 3(a)~도 3(c)는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도형의 예에 대해 설명한 도이다.
도 4(a)~도 4(c)는 입력 디바이스의 사용 형태의 제1~제3의 예에 대해 설명한 도이다.
도 5(a)~도 5(c)는 입력 디바이스의 집합체의 제1~제3의 예에 대해 설명한 도이다.
<입력 디바이스의 설명>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도 1(b)는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입력 디바이스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 도이다.
입력 디바이스(10)는 정전 용량식(정전 용량 방식,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이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이다. 여기서 도 1(a)는 입력 디바이스(10)의 전체를 설명한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Ib-Ib 단면도이다.
도 1(a)~도 1(b)에 나타내듯이 입력 디바이스(10)는 가요성을 가지는 절연층(11)과, 절연층(11)에 적층하여 형성되는 도전층(12)과, 도전층(12) 상의 일부에 설치되는 점착층(13)을 구비한다. 그리고, 절연층(11) 및 도전층(12)은 일체로 하여 평면 형상의 6각형을 이룬다.
절연층(11)은 도전층(12)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로 되는 것으로 절연성이다. 또, 가요성을 가지고 만곡이 자유롭다. 이 때문에 입력 디바이스(10)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체의 형상에 맞출 수가 있다. 여기서 지지체란, 자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손가락이나 필기구이다. 그리고, 이 손가락이나 필기구에, 예를 들면 입력 디바이스(10)를 휘감음으로써 지지체의 형상에 입력 디바이스(10)의 형상을 맞출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10)는 절연층(11) 및 도전층(12)이 터치 패널에 접촉하는 부위(접촉면)를 광투과성으로 하고 있다.
도 2(a)~도 2(b)는 실제로 입력 디바이스(10)를 터치 패널(40)에 접촉시킨 경우의 상태를 설명한 도이다. 여기서 도 2(a)는 입력 디바이스(10)를 터치 패널(40)에 접촉시킨 경우의 상태를 상방향으로부터 본 도이다. 또, 도 2(b)는 입력 디바이스(10)를 터치 패널(40)에 접촉시킨 경우의 상태를 횡방향으로부터 본 도이다.
도 2(b)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의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10)를 터치 패널(40)에 접촉시킨 경우, 입력 디바이스(10)의 선단부(14)로부터 대체로 일정한 길이의 부분에서 굴곡하고,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접촉면을 형성한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서는 입력 디바이스(10)의 접촉면의 범위를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a)에 나타내듯이, 입력 디바이스(10)의 선단부(14)로부터 굴곡부까지의 3각형의 부분이 접촉면이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10)의 경우, 스타일러스 펜 등과 비교하여 터치 패널(40)과의 접촉하는 면적은 커지기 쉽다. 이 때문에 터치 패널(40) 상에서의 입력 디바이스(10)의 입력 위치를 시인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10)는 적어도 접촉면에서 광투과성으로 함으로써, 터치 패널(40) 상에서의 입력 디바이스(10)의 입력 위치를 시인하기 쉽게 한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10) 전체가 광투과성이라도 좋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10)의 광투과성인 부분의 광의 투과율로서는 평면 형상으로 한 입력 디바이스(10)를 터치 패널(40) 상에 두었을 때, 입력 디바이스(10) 하의 화상의 명암을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이면 좋다. 배경이 어두운 실내 환경하에서 이용하는 경우 등은, 광의 투과율이 5% 이상이면 좋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옥외 등의 배경이 밝은 환경하에서는 가능한 한 광의 투과율이 높은 것이 시인하기 쉽기 때문에, 예를 들면 6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접촉면은, 반투명이라도 좋지만, 투명한 쪽이 접촉면 하의 터치 패널(40)의 화상을 알 수 있기 쉬워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절연층(1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 시트를 이용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시트를 이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지 시트의 두께로서는, 예를 들면 10㎛~300㎛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전술의 조건을 만족하는 도전층(12)의 재료로서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금속의 박막, 도전성 산화물, 도전성 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으로서는 알루미늄, 은, 티타늄, 금 등을 들 수 있다. 또, 도전성 산화물로서는 산화인듐주석, 산화인듐아연, 산화니오븀, 산화티타늄 등을 들 수 있고, 도전성 집합체로서는 불순물을 포함하는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층(12)은 도전성이며, 터치 패널과 인체의 사이에 미약 전류를 흘리기 위해서 설치된다. 그리고, 이에 의해 입력 디바이스(10)는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용의 입력 디바이스로서 기능한다.
도전층(12)의 두께는, 너무 얇으면 도전성을 확보할 수 없지만, 너무 두꺼운 경우는, 광투과성이 저하하거나 입력 디바이스(10)를 지지체의 형상에 맞추었을 때에 굴곡하여 소성 변형이 생기기 쉬워진다. 실제로는, 입력 디바이스(10)를 사용했을 때에 이 굴곡에 기인하여 주름이 생긴다. 그리고, 입력 디바이스(10)와 터치 패널의 접촉하는 개소인 선단부(14)에 있어서 이 굴곡이 생기면, 입력 디바이스(10)와 터치 패널의 사이가 점접촉이 되기 쉽다. 그렇지만 입력 디바이스(10)와 터치 패널의 사이는 면접촉인 쪽이 접촉 불량이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도전성을 확보하면서 접촉 불량이 보다 생기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전층(12)은 전술의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두께는,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10㎚~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0㎚로 할 수가 있다. 또한,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도전층(12)은 절연층(11)의 일부에만 설치해도 좋다.
이러한 도전층(12)은 절연층(11) 상에 증착 등에 의해 코팅함으로써 형성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절연층(11)과 도전층(12)은 아울러 라미네이트(laminate) 필름으로서 파악할 수가 있다.
점착층(13)은 입력 디바이스(10)를 지지체의 형상에 맞추었을 때에, 입력 디바이스(1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혹은 지지체에 입력 디바이스(10)를 접착할 때에 지지체와 입력 디바이스(10)를 고정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이러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점착층(13)은 감압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착 개소를 접착시킨 순간에 접착이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지지체에 입력 디바이스(10)를 접착하여 고정하는 경우, 지지체와 입력 디바이스(10)와의 접착은 강고할 필요는 없고, 입력 디바이스(10)를 지지체로부터 간단하게 이탈시킬 수가 있는 쪽이 오히려 바람직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입력 디바이스(10)의 6각 형상의 하나의 변을 따른 위치와 그 변에 대향하는 변을 따른 위치의 2개소에 점착층(13)을 배치하고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입력 디바이스(10)의 접촉면에 터치 패널(40)에의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도형이 그려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도 3(c)는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도형의 예에 대해 설명한 도이다.
여기서 도 3(a)는 이 도형(51)으로서 십자 형상의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는, 십자의 중심부가 입력 위치인 것을 의미한다. 또, 도 3(b)는 이 도형(51)으로서 원형상의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는 원의 내부가 입력 위치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3(c)는 이 도형(51)으로서 화살표 형상의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는, 화살표의 선단부가 입력 위치인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도형(51)을 입력 디바이스(10)의 접촉면에 그림으로써 사용자가 입력 디바이스(10)에 의한 터치 패널(40)에의 입력 위치를 더욱 시인하기 쉬워진다. 실제로는, 자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인쇄 등에 의해 절연층(11) 및 도전층(12)의 적어도 일방에 도형(51)을 그린다.
이러한 입력 디바이스(10)를 사용함으로써, 터치 패널을 조작할 때에, 사용자는 터치 패널에 직접 손가락을 접촉시킬 필요가 없어 손가락의 마멸감을 느끼기 어려워진다. 또한, 접촉면 하의 터치 패널의 상황을 목시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 디바이스(10)의 입력 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절연층(11) 및 도전층(12)의 2층 구조로 함으로써 입력 디바이스(10)를 구성한다. 이것이 절연층(11)뿐이면 터치 패널과 인체와의 사이에 미약 전류를 흘리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입력 디바이스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또, 도전층(12)뿐이면 도전층(12)을 금속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단부(14)에 있어서 점접촉이 되기 쉬워 접촉 불량이 생기기 쉽다. 한편, 본 실시의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10)에서는 절연층(11)은 가요성을 가지는 수지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단부(14)에 있어서 탄성 변형하고 만곡하여 터치 패널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면접촉으로 되기 쉽고, 미약 전류를 보다 흘리기 쉽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10)에서는 딱딱한 선단부를 가지는 스타일러스 펜 등에 대해, 터치 패널 표면에 흠집 등이 생기기 어렵고, 터치 패널을 손상시키기 어렵다.
또한, 근년의 터치 패널은 복수의 접촉점을 검지할 수가 있는 것이 많다. 즉, 이른바 멀티 터치가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에 대해 미리 정해진 동작을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화면의 확대나 축소 등의 여러 가지의 기능을 실현시킬 수가 있다. 그렇지만 입력 디바이스로서 스타일러스 펜 등을 사용한 경우, 터치 패널의 복수의 개소를 동시에 터치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본 실시의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10)에서는 복수의 손가락에 입력 디바이스(10)를 장착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복수의 개소를 동시에 터치하는 것은 용이하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10)를 이용함으로써 이른바 일회용의 입력 디바이스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입력 디바이스(10)의 집합체는 운반은 용이하고, 필요한 때에 필요 매수를 꺼내 펜이나 손가락에 장착하여 사용하면 좋다. 사용이 끝난 입력 디바이스(10)는 폐기해도 좋다.
혹은, 사용하고 싶은 장소에 이 입력 디바이스(10)를 미리 장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 디바이스(10)를 가지고 다닐 필요성이 낮아진다. 또, 분실해도 대신의 입력 디바이스(10)를 준비하는 것은 스타일러스 펜 등과 비교하여 보다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10)는 절연층(11)으로서 수지 시트를 이용한 경우에 인쇄가 가능하다. 즉, 입력 디바이스(10)에, 그 지시 위치를 나타내는 도형(51)을 인쇄할 수 있다. 또, 입력 디바이스(10)의 상품명이나 사용 방법, 혹은 여러 가지의 모양 등을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의장으로서 뛰어난 것을 제작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절연층(11) 및 도전층(12)은 각각 1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지만, 2층 이상이라도 좋다. 즉, 절연층(11) 및 도전층(12)을 교대로 적층한 구조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점착층(13)은 도전층(12)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연층(11)에 설치해도 좋다.
또, 점착층(13)은 개개의 지지체의 형상에 맞추기 위해서 사용자가 통 모양의 입력 디바이스(10)의 형상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는 설치한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입력 디바이스(10)를 미리 통 모양의 형상으로 한 상태로 유통시키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점착층(13)을 설치하지 않고, 압착 등에 의해 접착하여 통 모양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방식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층(13)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입력 디바이스의 사용 형태의 설명>
다음에 상술한 입력 디바이스(10)의 구체적인 사용 형태에 대해 설명을 한다.
도 4(a)~도 4(c)는 입력 디바이스(10)의 사용 형태의 제1~제3의 예에 대해 설명한 도이다.
여기서 도 4(a)는 입력 디바이스(10)의 사용 형태의 제1의 예를 설명한 도이다.
도 4(a)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입력 디바이스(10)를 필기구(20)의 형상에 맞추어 돌려 감음으로써 통 모양의 형상으로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이 통 모양의 형태로 한 입력 디바이스(10)를 구별을 위해 편의상 입력 디바이스(10a)라고 부른다. 이 입력 디바이스(10a)는 입력 디바이스(10)를 절연층(11)을 외측으로 하고, 도전층(12)을 내측으로 하여 돌려 감고, 그리고 입력 디바이스(10)의 단부에 배치된 점착층(13)에 의해 접착하여 고정을 행함으로써 통 모양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또, 입력 디바이스(10a)는 필기구(20)를 선단부(14)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선단부(15)측으로부터 삽입하고, 필기구(20)에 장착한 상태로 사용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입력 디바이스(10)를 통 모양의 형상으로 할 때에 선단부(15)로부터 선단부(14)에 걸쳐 조임 형상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필기구(20)는 선단부(15)로부터 삽입하는 데는 여유를 가지고 삽입이 가능하지만, 필기구(20)는 선단부(14)쪽으로는 관통할 수가 없다. 이에 의해 입력 디바이스(10a)를 안정되게 필기구(20)에 장착할 수가 있다. 또, 이 때에 점착층(13)을 도전층(12)의 전면에 설치해 두면, 이 점착층(13)과 필기구(20)가 접착함으로써 고정되어 더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10)를 필기구(20)에 장착하고 나서 감아 돌려 통 모양의 형태로 하여 얻은 입력 디바이스(10a)라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에 입력 디바이스(10)를 필기구(20)에 장착할 때, 입력 디바이스(10)에 위치 결정용의 마크(mark)(예를 들면, 필기구(20)의 선단 위치를 맞추는 마크 등)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필기구(20)에 장착한 입력 디바이스(10a)를 파지하고, 입력 디바이스(10a)의 선단부(14)를 터치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터치 패널에 정보의 입력을 행할 수가 있다. 이 때에 입력 디바이스(10a)의 적어도 일부는 필기구(20)를 파지하는 손에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필기구(20)는 볼펜 등의 통상의 필기구라도 좋다. 이 때문에 이 형태의 경우, 사용자는 익숙해진 필기구, 또는 손 가까이에 있는 필기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에의 정보의 입력을 행할 수가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널에의 입력과 통상의 필기를 양쪽 모두 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얻어진다.
또, 도 4(b)는 입력 디바이스(10)의 사용 형태의 제2의 예를 설명한 도이다.
도 4(b)에서는 도 4(a)에서 나타낸 입력 디바이스(10a)를 도 4(a)에 있어서의 IVb-IVb에 있어서 절단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이 입력 디바이스(10)를 구별을 위해 편의상 입력 디바이스(10b)라고 부른다. 입력 디바이스(10b)는 손가락(30)을 절단부의 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손가락(30)에 장착한 상태로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입력 디바이스(1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부에서 선단부(14)에 걸쳐 조임 형상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손가락(30)은, 선단부(14)쪽으로는 관통할 수가 없다. 이에 의해 입력 디바이스(10b)를 안정되게 필기구(20)에 장착할 수가 있다. 또한, 점착층(13)을 도전층(12)의 전면에 설치해 두면, 이 점착층(13)과 손가락(30)이 접착함으로써 고정되어 더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손가락(30)에 장착한 입력 디바이스(10b)의 선단부(14)를 터치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터치 패널에 정보의 입력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도 4(c)는 입력 디바이스(10)의 사용 형태의 제3의 예를 설명한 도이다.
도 4(c)에서는 도 4(b)에서 나타낸 입력 디바이스(10b)를 도 4(b)에 있어서의 IVc-IVc에 있어서 더 절단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이 입력 디바이스(10)를 구별을 위해 편의상 입력 디바이스(10c)라고 부른다. 입력 디바이스(10c)는 손가락(30) 전체를 감아 돌릴만큼의 폭은 아니고 손가락(30)의 일부에 접촉하여 장착한 상태로 사용한다. 이 경우, 점착층(13)에 의해 입력 디바이스(10c)와 손가락(30)은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손가락(30)에 장착한 입력 디바이스(10c)의 선단부(14)를 터치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터치 패널에 정보의 입력을 행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10)는 절연층(11) 및 도전층(12)은 일체로 하여 만곡이 자유롭기 때문에, 용이하게 지지체의 형상에 맞출 수가 있다. 또한,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보다 행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상술한 입력 디바이스(10b, 10c)와 같이 절단 등에 의해 그 길이를 맞추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10b, 10c)를 전개한 경우는, 예를 들면 도 1(a)에 있어서 Ib-Ib로 절단한 형상으로 되고, 이 경우, 5각형의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전층(12)을 내측으로 하여 돌려 감고 있기 때문에, 절연층(11)은 외측으로 된다. 이 때문에 터치 패널과 직접 접촉하는 것은 절연층(11)이 되지만, 이 경우에서도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로부터 입력 디바이스(10a, 10b, 10c) 및 인체를 통해 미약 전류를 흘리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입력 디바이스(10a, 10b, 10c)에 의해 터치 패널에 정보의 입력을 행하는 것에 지장은 없다.
또, 입력 디바이스(10a, 10b, 10c)는 도 1에 나타낸 입력 디바이스(10)를 절연층(11)을 외측으로 하고, 도전층(12)을 내측으로 하여 돌려 감음으로써 제작하였지만, 절연층(11)을 내측으로 하고, 도전층(12)을 외측으로 하여 돌려 감음으로써 제작해도 좋다.
또한, 이상과 같은 입력 디바이스(10a, 10b, 10c)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에 정보의 입력을 행하는 방법은, 입력 디바이스(10a, 10b, 10c)를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으로서 파악할 수가 있다.
<입력 디바이스의 집합체의 설명>
다음에 입력 디바이스(10)를 집합시킨 집합체에 대해 설명을 한다.
도 5(a)~도 5(c)는 입력 디바이스의 집합체의 제1~제3의 예에 대해 설명한 도이다.
여기서 도 5(a)는 입력 디바이스(10)의 집합체의 제1의 예를 설명한 도이다.
도 5(a)에 나타낸 집합체(100)는 입력 디바이스(10)를 그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킨 것이다. 그리고, 입력 디바이스(10)를 점착층(13)을 통해 적층시킴으로써 집합체(100)로 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함으로써 입력 디바이스(10)를 유통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집합체(100)로서 모은 형태로 유통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입력 디바이스(1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집합체(100)에서 1매씩 입력 디바이스(10)를 벗겨 내어 지지체인 필기구(20)나 손가락(30)에 장착함으로써 입력 디바이스(10)를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도 5(b)는 입력 디바이스(10)의 집합체의 제2의 예를 설명한 도이다.
도 5(b)에 나타낸 집합체(200)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한 입력 디바이스(10)를 평면 형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집합체(200)로 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입력 디바이스(10)의 사이는, 재봉틀 눈으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각 입력 디바이스(10)는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입력 디바이스(1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집합체(200)로부터 재봉틀 눈의 부분을 찢음으로써 입력 디바이스(10)를 분리하고, 지지체인 필기구(20)나 손가락(30)에 장착함으로써 입력 디바이스(10)를 사용할 수가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입력 디바이스(10)의 방향을 서로 반대로 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집합체(200)를 테이프 형상으로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테이프 형상의 집합체(200)를 감은 형태로 집합체(200)를 유통시킬 수가 있다.
또, 도 5(c)는 입력 디바이스(10)의 집합체의 제3의 예를 설명한 도이다.
도 5(c)에 나타낸 집합체(300)는 통 모양의 형상의 입력 디바이스(10b)를 적층시킴으로써 집합체(300)로 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함으로써 입력 디바이스(10b)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입력 디바이스(10b)를 집합체(300)에서 1개씩 떼어내어 지지체인 필기구(20)나 손가락(30)에 장착함으로써 입력 디바이스(10b)를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이 형태에서는 지지체인 필기구(20)나 손가락(30)에 장착할 때에 감아 돌리게 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즉석에서 입력 디바이스(10b)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입력 디바이스(10)를 집합체로 하고, 사용자가 이 집합체를 가지고 다님으로써 입력 디바이스(10)를 분실해도 대신의 입력 디바이스(10)를 곧바로 준비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입력 디바이스(10)를 분실해도 터치 패널에의 입력의 수단을 보다 잃기 어려워진다.
10…입력 디바이스 11…절연층
12…도전층 13…점착층
20…필기구 30…손가락
40…터치 패널 51…도형
100, 200, 300…집합체

Claims (12)

  1.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당해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로서,
    가요성과 광투과성을 가지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에 적층되어 있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도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도전층이, 상기 터치 패널에 접촉시키는 부위가 되도록 일체로 하여 통 모양의 형상으로 된 입력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도전층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점착층을 더 구비하는 입력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통 모양의 상기 형상은, 상기 도전층보다 상기 절연층을 외측으로 하는 입력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은, 손가락에 장착하기 위한 형상으로서 결정되는 입력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도전층의 적어도 일방에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도형이 그려져 있는 입력 디바이스.
  6.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당해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로서,
    가요성을 가지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에 적층되는 도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도전층은, 일체로 하여 통 모양의 형상이 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터치 패널에 접촉하는 부위에서 광투과성을 가지는 입력 디바이스.
  7.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당해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로서,
    가요성과 광투과성을 가지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에 적층되어 있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도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도전층은, 상기 터치 패널에 접촉하는 부위가 됨과 아울러 지지체의 형상에 맞추기 위해서 일체로 하여 만곡이 자유로운 입력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도전층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점착층을 더 구비하는 입력 디바이스.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손가락인 입력 디바이스.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도전층은, 일체로 하여 5각형 또는 6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입력 디바이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입력 디바이스를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당해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입력하는 입력 방법.
  12.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킴으로써 당해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를 집합시킨 집합체로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상기 터치 패널에 접촉시키는 부위에,
    가요성과 광투과성을 가지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에 적층되어 있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도전층을 구비하고,
    이하의 (1)~(3)의 어느 하나에 의해 집합시키는 집합체.
    (1)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점착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당해 점착층을 통해 적층시키는 것
    (2)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평면 형상으로 결합시키는 것
    (3)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통 모양의 형상으로 하고, 통 모양의 형상의 당해 입력 디바이스를 적층시키는 것
KR1020137008905A 2010-11-02 2011-09-05 정전 용량 터치 패널용 입력 디바이스, 입력 방법 및 집합체 KR101455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46120 2010-11-02
JPJP-P-2010-246120 2010-11-02
PCT/JP2011/070156 WO2012060149A1 (ja) 2010-11-02 2011-09-05 静電容量タッチパネル用入力デバイス、入力方法および集合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218A true KR20130086218A (ko) 2013-07-31
KR101455014B1 KR101455014B1 (ko) 2014-10-27

Family

ID=4602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905A KR101455014B1 (ko) 2010-11-02 2011-09-05 정전 용량 터치 패널용 입력 디바이스, 입력 방법 및 집합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34863B2 (ko)
JP (1) JP5016741B2 (ko)
KR (1) KR101455014B1 (ko)
WO (1) WO2012060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835B1 (ko) * 2010-11-02 2014-09-18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입력 디바이스, 입력 방법 및 집합체
US20170086518A1 (en) * 2015-09-30 2017-03-30 Gregorio De Haro Touchscreen Glove Contact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5320A (en) * 1940-02-26 1943-11-30 Teofil T Swietek Glove
JPS57166236U (ko) 1981-04-07 1982-10-20
JPH01102620A (ja) 1987-10-16 1989-04-20 Canon Inc 情報入出力装置
JPH01102620U (ko) * 1987-12-25 1989-07-11
US5217767A (en) 1988-10-28 1993-06-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atic shielding film
US5011186A (en) 1990-02-14 1991-04-30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Hexagonal pad
US5283722A (en) * 1992-08-05 1994-02-01 Koenen Howard P Surgical-type glove and illuminator assembly
JP2509454B2 (ja) * 1993-10-08 1996-06-19 大王電子株式会社 入力用具
TW309498B (en) 1995-06-29 1997-07-01 Sharp Kk Sealed bag and container for accommodat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toring and transporting electronic device using such sealed bag and container
US6497933B1 (en) 2000-04-21 2002-12-24 The Standard Register Company Antistatic composition for use in a label construction
US6618861B2 (en) * 2000-12-28 2003-09-16 Microflex Corporation Medical gloves with watch viewing capabilities
US20050149258A1 (en) * 2004-01-07 2005-07-07 Ullas Gargi Assisting navigation of digital content using a tangible medium
GB2433413C2 (en) * 2005-12-20 2011-08-24 Bm Polyco Ltd Glove suitable for use as a liner
US7495895B2 (en) * 2006-04-19 2009-02-24 Carnevali Jeffrey D Protective cover for device having touch screen
US20090078478A1 (en) 2007-09-24 2009-03-26 Jonathan Newman Finger tip stylus
TWM348999U (en) * 2008-02-18 2009-01-11 Tpk Touch Solutions Inc Capacitive touch panel
JP4140861B1 (ja) 2008-03-19 2008-08-27 智治 北林 タッチペン
JP2009259062A (ja) 2008-04-18 2009-11-05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ペン
US8125469B2 (en) * 2008-04-18 2012-02-28 Synaptics, Inc. Passive stylus for capacitive sensors
US20100090966A1 (en) * 2008-10-14 2010-04-15 Immersion Corporation Capacitive Sensor Gloves
JP5113773B2 (ja) * 2009-01-20 2013-01-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WO2011140119A2 (en) 2010-05-03 2011-11-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lexible and moldable materials with bi-conductive surfaces
KR101680253B1 (ko) * 2010-07-27 2016-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터치패널용 스타일러스펜
KR101441835B1 (ko) 2010-11-02 2014-09-18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입력 디바이스, 입력 방법 및 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60149A1 (ja) 2012-05-10
US20130222342A1 (en) 2013-08-29
KR101455014B1 (ko) 2014-10-27
JP5016741B2 (ja) 2012-09-05
US9134863B2 (en) 2015-09-15
JPWO2012060149A1 (ja)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4965B2 (en) Transparent strain sensors in an electronic device
JP5778130B2 (ja) 湾曲面上における接触の検出
US956901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JP5677423B2 (ja) 湾曲面上における接触の検出
JP5498811B2 (ja) 静電容量式の入力装置
US20130300695A1 (en) Matrix switching type pressure-sensitive touch detecting device
JP2004046792A (ja) 表示入力装置、表示入力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6601803B2 (ja) タッチセンサおよびブレスレット型デバイス
US20100214252A1 (en) Touch panel component for capacitive panel
EP2207079A3 (en) Touch-control structure for a flexible display device
JP2008243622A (ja) 透明面状体及び透明タッチスイッチ
JP2015167611A (ja) 指関節駆動装置
KR20160096267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41835B1 (ko) 입력 디바이스, 입력 방법 및 집합체
KR101455014B1 (ko) 정전 용량 터치 패널용 입력 디바이스, 입력 방법 및 집합체
US20200174516A1 (en) Sports Retronic Wearable Terminal And The Same
US20160224165A1 (en) Touch screen panel
WO2018047619A1 (ja) タッチパネル用部材
US9841856B2 (en) Touch panel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632645B2 (en)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EP3336670B1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267286A1 (en) Display device
US20220365556A1 (en) Sports retronic wearable terminal
JP6904358B2 (ja) センサ、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975196B2 (ja) 入力デバイス、入力方法および集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