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929A -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929A
KR20130084929A KR1020120005895A KR20120005895A KR20130084929A KR 20130084929 A KR20130084929 A KR 20130084929A KR 1020120005895 A KR1020120005895 A KR 1020120005895A KR 20120005895 A KR20120005895 A KR 20120005895A KR 20130084929 A KR20130084929 A KR 20130084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ignal pin
main body
impe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1738B1 (ko
Inventor
이용구
전정일
강경일
Original Assignee
(주)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120005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7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8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는, 본체신호핀을 가지며,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형성된 신호선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의 반대면인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 방향에 위치한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을 상기 본체신호핀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동축 구조의 본체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장착되어,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고 상기 본체부의 몸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임피던스에 매칭시키는 고정몸체를 가지는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CONNECTOR COMBINED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COMBINING BETWEEN PI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어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된 신호를 외부 전자기기로 전송하거나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신호선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형성된 신호선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로 구성되어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교환국 장비, 기지국장비 및 중계기 등의 통신기기와 부품에 주파수가 높은 RF신호와 같은 특정신호를 상호 송수신하기 위해 각종 통신장비의 고주파 전송을 위한 케이블 간 또는 인쇄회로기판(PCB) 간 또는 동일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에 형성된 신호선들 간 접속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기기 내의 임의의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한 신호는, 예를 들어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 또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암수커넥터가 구비된 케이블을 통해서 전송된다. 따라서 통신기기를 구성하는데, 상기 암수커넥터가 구비된 케이블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통신기기의 전체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에 관통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의 신호를 외부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이 제안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신호선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형성된 신호선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는, 본체신호핀을 가지며,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형성된 신호선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의 반대면인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 방향에 위치한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을 상기 본체신호핀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동축 구조의 본체부; 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장착되어,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고 상기 본체부의 몸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임피던스에 매칭시키는 고정몸체를 가지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신호핀은, 제1신호핀 및 제2신호핀이 90도 각도로 결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중공 기둥형상을 가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면이 상기 고정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면이 상기 외부 전자기기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본체부의 몸체; 일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신호핀;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내부 중공에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신호핀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2신호핀; 및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제2신호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몸체와 상기 제2신호핀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신호핀은, 상기 제1신호핀 및 상기 제2신호핀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신호핀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신호핀의 일단에서, 상기 제2신호핀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신호핀의 타단으로 향할수록 단차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몸체는, 상기 본체부의 몸체 하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 상면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몸체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본체부의 몸체가 상기 외부 전자기기에 대한 접촉 탄성을 갖도록 적어도 하나의 탄성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몸체는, 상기 본체부의 몸체 상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 하면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몸체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신호핀과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1접촉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고정몸체의 하면에서 상기 고정몸체의 하면의 반대면인 상기 고정몸체의 상면 방향으로 상기 고정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신호핀과 상기 고정몸체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2접촉방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접촉방지홈은 상기 제1접촉방지홈과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제1신호핀의 타단 및 상기 제2신호핀의 타단의 접촉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노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노출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신호핀의 타단 및 상기 제2신호핀의 타단의 접촉부분의 임피던스, 상기 제1신호핀의 임피던스 및 상기 제2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임피던스에 매칭시키기 위한 임피던스매칭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노출홀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뚜껑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에 대응되게 대응비아홀이 형성되는 전도성매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 및 상기 대응비아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본체신호핀을 통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선과 상기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전도성매개부의 두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두께의 2 내지 20배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몸체와 상기 고정몸체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고정수단이 관통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비동축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는, 본체신호핀을 가지며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형성된 제1신호선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의 반대면인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에 형성된 제2신호선을 상기 본체신호핀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동축 구조의 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장착되어 제1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고 상기 본체부의 몸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제1고정몸체를 가지는 제1고정부; 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에 장착되어 제2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고 상기 본체부의 몸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제2고정몸체를 가지는 제2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본체신호핀은, 중심신호핀의 일단 및 제1신호핀이 90도의 각도로 결합되고 상기 중심신호핀의 타단 및 제2신호핀이 90도의 각도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중공 기둥형상을 가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면이 상기 제1고정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면이 상기 제2고정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본체부의 몸체; 일단이 상기 제1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중심신호핀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신호핀; 일단이 상기 제2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중심신호핀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2신호핀;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내부 중공에 형성되는 상기 중심신호핀; 및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중심신호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몸체와 상기 중심신호핀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신호핀 및 상기 중심신호핀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2신호핀 및 상기 중심신호핀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신호핀은, 상기 제1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신호핀의 일단에서, 상기 중심신호핀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신호핀의 타단으로 향할수록 단차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신호핀은, 상기 제2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2신호핀의 일단에서, 상기 중심신호핀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2신호핀의 타단으로 향할수록 단차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몸체는, 상기 제1신호핀의 타단 및 상기 중심신호핀의 일단의 접촉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제1노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노출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신호핀의 타단 및 상기 중심신호핀의 일단의 접촉부분의 임피던스, 상기 제1신호핀의 임피던스, 상기 제2신호핀의 임피던스 및 상기 중심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임피던스에 매칭시키기 위한 제1임피던스매칭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노출홀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제1뚜껑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몸체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제1고정수단이 관통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몸체는, 상기 제2신호핀의 타단 및 상기 중심신호핀의 타단의 접촉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제2노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2노출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2신호핀의 타단 및 상기 중심신호핀의 타단의 접촉부분의 임피던스, 상기 제1신호핀의 임피던스, 상기 제2신호핀의 임피던스 및 상기 중심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임피던스에 매칭시키기 위한 제2임피던스매칭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2노출홀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제2뚜껑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몸체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제2고정수단이 관통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1고정몸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2고정몸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몸체는,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하면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신호핀과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1접촉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몸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연결되는 상기 제1고정몸체의 하면에서 상기 제1고정몸체의 하면의 반대면인 상기 고정몸체의 상면 방향으로 상기 제1고정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신호핀과 상기 제1고정몸체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3접촉방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3접촉방지홈은 상기 제1접촉방지홈과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몸체는,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하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상면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2신호핀과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2접촉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몸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에 연결되는 상기 제2고정몸체의 하면에서 상기 제2고정몸체의 하면의 반대면인 상기 제2고정몸체의 상면 방향으로 상기 제2고정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2신호핀과 상기 제2고정몸체의 전기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4접촉방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4접촉방지홈은 상기 제2접촉방지홈과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는, 비동축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상기 일 양상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비아홀에 상기 동축 구조의 본체부를 관통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몸체를 이용하여 상기 동축 구조의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상기 다른 양상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비아홀에 상기 동축 구조의 본체부를 관통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고정몸체 및 상기 제2고정몸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동축 구조의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에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동축 구조의 본체부를 관통 삽입시키고,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신호선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 방향에 위치한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을 상기 동축 구조의 본체부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암수커넥터가 구비된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인쇄회로기판의 신호를 외부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어서 통신기기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에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동축 구조의 본체부를 관통 삽입시키고,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신호선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형성된 제2신호선을 상기 동축 구조의 본체부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암수커넥터가 구비된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동일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및 타면 간에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어서 통신기기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고정부 중 고정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도 5의 제1신호핀과 제2신호핀 간 결합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제2신호핀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인쇄회로기판과 전도성 매개체의 결합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인쇄회로기판과 전도성 매개체의 결합구조에 대한 사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본체부를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에 대한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제1고정부와 본체부의 결합을 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1고정부와 본체부의 결합을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ㄷ다.
도 14는 도 12의 제1고정부와 본체부의 결합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제1고정부 중 제1고정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본체부와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제2고정부의 결합을 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제2고정부와 본체부의 결합을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ㄷ다.
도 18은 도 16의 제2고정부와 본체부의 결합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제2고정부 중 제2고정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2 내지 도19의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와 인쇄회로기판 간 결합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본체부를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에 대한 플로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고정부 중 고정몸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320)에 관통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300)의 제1면(301)에 형성된 신호선(310)과 상기 제1면(301)의 반대면인 인쇄회로기판(300)의 제2면(302) 방향에 위치한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도시하지 않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10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외부 전자기기는 인쇄회로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신호선 및 접지가 구비된 타 인쇄회로기판 또는 동축 커넥터일 수 있으나, 인쇄회로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신호선 및 접지가 구비된 형태의 전자기기라면 어느 것이라도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1000)의 본체부(100)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1000)는 동축 구조의 본체부(100)와 비동축 구조의 고정부(200)를 구비한다.
이때, 동축 구조는 신호핀을 절연체로 감싸고 절연체를 감싸는 외부도체로 이루어진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제2신호핀(130)을 절연체(120)로 감싸고 절연체(120)를 몸체(110)로 감싸는 형태를 가지므로, 동축 구조이다.
비동축 구조는 상기 동축 구조가 아닌 구조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00)는, 동축 구조를 갖는 본체부(100)와 달리, 신호핀에 대응되는 구성을 구비하지 않으며 또한 신호핀을 감싸는 절연체에 대응되는 구성을 구비하지 않으며 또한 절연체를 감싸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동축 구조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00)는 인쇄회로기판(300)의 제1면(301)에 장착되고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본체부(100)를 인쇄회로기판(300)에 고정하고 상기 본체부(100)를 도 5의 인쇄회로기판(300)의 접지(3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후술된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고정몸체(210)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고정몸체(210)는 동축 구조에서 신호핀과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며 판 형상을 갖기 때문에 상기 동축 구조의 외부 도체와 달리 신호핀을 감싸는 절연체를 감쌀 수 없는 구조이다. 고정부(200)는 후술될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임피던스매칭부(220)를 더 구비하지만, 임피던스매칭부(220)는 후술된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임피던스에 임피던스 매칭을 하는데 이용되기 때문에 상기 동축 구조의 절연체와 상이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200)는 본체부(100)와 달리 동축 구조가 아니다. 이하에서도 고정부(200)는 비동축 구조를 가지며, 본체부(100)는 동축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본체부(100)와 고정부(2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된 후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본체신호핀을 가지며 인쇄회로기판(300)의 비아홀(320)에 관통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300)의 제1면(301)에 형성된 신호선(310)과 상기 제1면(301)의 반대면인 인쇄회로기판(300)의 제2면(302) 방향에 위치한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도시하지 않음)을 상기 본체신호핀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촉시킨다. 이때, 상기 본체신호핀은 제1신호핀(140) 및 제2신호핀(130)이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신호핀(140) 및 제2신호핀(130)의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체부(100)는 몸체(110), 제1신호핀(140), 제2신호핀(130) 및 절연체(120)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110)는 중공 기둥형상을 가지고 인쇄회로기판(300)의 비아홀(320)에 관통 삽입되며, 몸체(110)의 상면이 상기 고정부(200)의 고정몸체(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몸체(110)의 하면이 상기 외부 전자기기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몸체(110)의 상면은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고정몸체(210)의 노출홀(212) 내주면에 형성된 제1단차면(217)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몸체(110)의 상면과 상기 제1단차면(217)간 결합은 납땜 등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몸체(110)의 하면은 외부 전자기기의 접지(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국 몸체(110)의 상면은 인쇄회로기판(300)의 제1면(301)에 형성된 접지(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몸체(21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300)의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몸체(110)의 하면은 외부 전자기기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몸체(110)를 통해서 인쇄회로기판(300)과 외부 전자기기 간 접지가 완벽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절연체(120)는 몸체(110)의 내주면과 제2신호핀(130) 사이에 형성되어, 몸체(110)와 제2신호핀(13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몸체(110)는 몸체(110)의 하면에 절연체(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를 참고하면 몸체(110)는 몸체(110)의 하면 내측 방향으로 걸림턱(11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12)은 몸체(110)의 하면 방향에서 몸체(110)의 상면 방향으로 절연체(120)를 지지하므로, 절연체(120)가 몸체(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몸체(110)는 몸체(110)의 하면에서 몸체(110)의 상면 방향으로 몸체(110)의 일부가 절개되어, 몸체(110)가 외부 전자기기에 대해 접촉 탄성을 갖도록 적어도 하나의 탄성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예시한 도면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탄성홈이 형성된 몸체의 사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몸체(110)에는 몸체(110)의 하면에서 몸체(110)의 상면 방향으로 몸체(1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적어도 하나의 탄성홈(118)이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홈(118)은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1000)가 외부 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촉시, 몸체(110)가 외부 전자기기에 대해서 접촉 탄성을 갖게 한다. 상기 몸체(110)가 갖는 접촉 탄성으로 인해서 상기 본체부(100)의 본체신호핀과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 간 전기적인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몸체(110)는 몸체(110)의 상면에서 몸체(110)의 하면 방향으로 몸체(1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신호핀(140)과 몸체(110)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1접촉방지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몸체(110)의 상면이 고정부(200)의 고정몸체(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결국 인쇄회로기판(300)의 접지(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몸체(110)의 하면이 외부 전자기기의 접지에 연결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300)의 신호선(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신호핀(140)이 몸체(110)에 접촉되는 경우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인쇄회로기판(300)의 신호선(310)과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 간에 신호가 송수신 될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몸체(110)의 상면에서 몸체(110)의 하면 방향으로 몸체(1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접촉방지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접촉방지홈(114)이 제1신호핀(140)과 몸체(110)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게 되므로, 인쇄회로기판(300)의 신호선(310) 및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 간에 신호가 정상적으로 송수신 될 수 있다.
제2신호핀(130)은 몸체(110)의 내부 중공에 형성되며, 제2신호핀(130)의 일단(132)이 상기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신호핀(130)의 타단(134)이 상기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2신호핀(130)은 일반핀 또는 탄성을 제공하는 포고핀(pogo pin)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단이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형태의 핀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1신호핀(140)은 일단(142)이 인쇄회로기판(300)의 신호선(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144)이 제2신호핀(130)의 타단(1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신호핀(140) 및 제2신호핀(130)은 상기 본체부(100)가 인쇄회로기판(300)에 관통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300)의 신호선(310)과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서로 90도 각도를 가지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과 제2신호핀(130)의 타단(134)은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신호핀(140) 및 제2신호핀(130)은 90도 이외의 각도로도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제1신호핀(140)과 제2신호핀(130)간 결합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그러나, 제1신호핀(140)과 제2신호핀(130)을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상기 도 6a 내지 도 6e의 실시예 이외의 다른 종류의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도 6a는 제1신호핀(140)과 제2신호핀(130)이 일체형으로 결함됨을 나타낸다. 즉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과 제2신호핀(130)의 타단(134)이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 6b 및 도 6c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제1신호핀(140)과 제2신호핀(130)을 결합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의 상면 부분에서 억지 끼움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를 참고하면, 제2신호핀(130)의 타단(134)의 상면 부분에 억지 끼움을 위한 끼움 돌기(131)가 형성되어 있고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에 억지 끼움을 위한 끼움 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신호핀(130)의 타단(134) 상면에 형성된 끼움 돌기(131)를 제1신호핀(140)의 끼움 홈(141)에 억지 끼움 함으로써 제1신호핀(140)과 제2신호핀(130)이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결합 될 수 있다.
도 6c는 제2신호핀(130)의 타단(134)의 일 측면에 형성된 끼움 홈(135)에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이 억지 끼움 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c를 참고하면 제2신호핀(130)의 타단(134)의 일 측면에 형성된 끼움 홈(135)에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을 억지 끼움 함으로써 제1신호핀(140)과 제2신호핀(130)이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결합 될 수 있다.
도 6d는 리벳팅 방식으로 제1신호핀(140)과 제2신호핀(130)을 결합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d를 참고하면, 제2신호핀(130)의 타단(134)의 상면 부분에는 리벳(135)이 형성되어 있고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에는 리벳 홈(145)이 형성되어 있다. 제2신호핀(130)의 리벳(135)을 제1신호핀(140)의 리벳 홈(145)에 억지 끼움을 한 후, 리벳(135)의 꼬리부분에 리벳팅 머신(도시하지 않음)의 외부 힘을 가하여 리벳 머리(136)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신호핀(140)과 제2신호핀(130)이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결합 될 수 있다.
도 6e는 납땜 방식으로 제1신호핀(140)과 제2신호핀(130)을 결합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e를 참고하면, 제2신호핀(130)의 타단(134)의 상면 부분에는 납땜을 위한 돌기(137)가 형성되어 있고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에는 홈(147)이 형성되어 있다. 제2신호핀(130)의 돌기(137)를 제1신호핀(130)의 홈(147)에 억지 끼움을 한 후, 납땜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제2신호핀(130)의 돌기(137) 및 제1신호핀(140)의 홈(147)이 결합 고정되도록 납땜을 함으로써, 제1신호핀(140)과 제2신호핀(130)이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결합 될 수 있다.
제1신호핀(140)은 제1신호핀(140)의 일단(142)에서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으로 향할수록 단차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신호핀(140)과 제2신호핀(130)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며, 제1신호핀(140)의 일단(142)이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다. 제1신호핀(140)의 일단(142)과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 간 단차 차이로 인해, 제1신호핀(140)이 인쇄회로기판(300)의 신호선(310)에 접촉시 제1신호핀(140)의 일단(142)에 눌리는 힘에 의해 가압 되어, 인쇄회로기판(300)의 신호선(310)에 제1신호핀(140)의 일단(142)이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200)는 인쇄회로기판(300)의 제1면(301)에 장착되어,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본체부(100)를 인쇄회로기판(300)에 고정하고 본체부(100)의 몸체(110)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접지(3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고정몸체(21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몸체(210)는 본체부(100)를 인쇄회로기판(300)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고정수단, 예를 들어 도 10의 볼트(215) 등이 관통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214)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몸체(210)는 고정몸체(210)의 하면에서 고정몸체(210)의 상면 방향으로 고정몸체(2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신호핀(140)과 고정몸체(210)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2접촉방지홈(216)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몸체(210)가 인쇄회로기판(300)의 접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1신호핀(140)이 고정몸체(210)에 접촉되는 경우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300)의 신호선(310)의 신호가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으로 전달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몸체(210)의 하면에서 고정몸체(210)의 상면 방향으로 고정몸체(2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2접촉방지홈(2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신호핀(140)과 고정몸체(210)의 전기적 접촉이 방지되어, 인쇄회로기판(300)의 신호선(310) 및 상기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 간에 신호가 정상적으로 송수신 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0)의 몸체(110)에 형성된 제1접촉방지홈(114) 및 고정몸체(210)에 형성된 제2접촉방지홈(216)은 도 2,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 본체부(100)의 몸체(110) 및 고정몸체(210)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몸체(210)에는 도 1,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 및 제2신호핀(130)의 타단(134)의 접촉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노출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고정부(200)는 노출홀(212)에 삽입되어,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 및 제2신호핀(130)의 타단(134)의 접촉부분의 임피던스, 제1신호핀(140)의 임피던스 및 제2신호핀(130)의 임피던스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기 위한 임피던스매칭부(2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임피던스매칭부(220)는 도 3,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노출홀(2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단차면(217) 및 제2단차면(218)을 관통하는 단차홀(219)에 전부 삽입되는 유전체일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매칭부(220)는 유전체와 공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임피던스매칭부(220)는 상기 단차홀(219)에 유전체가 일부 삽입되어 상기 단차홀(219)의 나머지 공간이 공기에 노출되는 형태이다. 한편, 상기 노출홀(212)에 임피던스매칭부(220)를 삽입하지 않고 공기만으로도 상기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고정부(200)가 임피던스매칭부(220)를 더 구비하는 이유는, 제1신호핀(140)의 임피던스, 제2신호핀(130)의 임피던스와 달리,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 및 제2신호핀(130)의 타단(134)의 접촉부분에서 임피던스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상기 본체신호핀을 통해서 전송되는 신호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피던스매칭부(220)를 이용하여 제1신호핀(140)의 타단(144) 및 제2신호핀(130)의 타단(134)의 접촉부분 임피던스를 제1신호핀(140)의 임피던스와 제2신호핀(130)의 임피던스와 함께 인쇄회로기판(300)의 임피던스에 매칭시킴으로써, 인쇄회로기판(300)의 신호선(310)과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 간에 전송되는 신호가 변형되지 않고 전송될 수 있다.
고정몸체(210)는 노출홀(212)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뚜껑(2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뚜껑(230)은 고정몸체(210)의 노출홀(212) 내주면에 형성된 제2단차면(218)에 안착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노출홀(212)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1000)는 도 9 및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를 가지고 인쇄회로기판(300)의 제2면(302)에 연결되고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320)에 대응되게 대응비아홀(410)이 형성되는 전도성매개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본체부(100)가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320) 및 상기 대응비아홀(410)에 관통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300)의 제1면(301)에 형성된 신호선(31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의 제2면(302) 방향에 위치한 외부 전자기기(500)의 신호선(도시하지 않음)을 전기적으로 상기 본체신호핀을 통해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전도성매개부는 금속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도성 매개부(400)의 두께는, 인쇄회로기판(300) 두께의 2 내지 20배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에 대한 플로차트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동축 구조의 본체부가 관통 삽입되기 위한 비아홀을 형성한다(S1). 인쇄회로기판에 비아홀이 형성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동축 구조의 본체부를 상기 형성된 비아홀에 관통 삽입한다(S2).
이후, 상기 비아홀에 관통 삽입된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본체부를 상기 고정부의 고정몸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한다(S3).
도 1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제1고정부와 본체부의 결합을 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제1고정부와 본체부의 결합을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제1고정부와 본체부의 결합을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제1고정부 중 제1고정몸체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제2고정부와 본체부의 결합을 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제2고정부와 본체부의 결합을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제2고정부와 본체부의 결합을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제2고정부 중 제2고정몸체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와 인쇄회로기판 간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인쇄회로기판(900)의 비아홀(920)에 관통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900)에 고정되고,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면(901)에 형성된 신호선(910)과 상기 제1면(901)의 반대면인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면(302)에 형성된 제2신호선(9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는 동축 구조의 본체부(600)를 구비하며, 이에 더하여 비동축 구조의 제1고정부(800) 및 제2고정부(7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본체부(600)는 상기 제1고정부(800)에 의해서 인쇄회로기판(900)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2고정부(700)에 의해서 인쇄회로기판(900)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1고정부(800) 및 제2고정부(700) 모두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9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동축 구조는 신호핀을 절연체로 감싸고 절연체를 감싸는 외부도체로 이루어진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600)는 중심신호핀(630)을 절연체(620)로 감싸고 절연체(620)를 몸체부(610)로 감싸는 형태인 동축 구조를 갖는다.
비동축 구조는 상기 동축 구조가 아닌 구조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800)는, 동축 구조를 갖는 본체부(600)와 달리, 신호핀에 대응되는 구성을 구비하지 않으며 또한 신호핀을 감싸는 절연체에 대응되는 구성을 구비하지 않으며 또한 절연체를 감싸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동축 구조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800)는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면(901)에 장착되고 제2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본체부(600)를 인쇄회로기판(900)에 고정하고 상기 본체부(600)를 도 20을 참고하면 인쇄회로기판(900)의 접지(9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후술된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인쇄회로기판(900)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제1고정몸체(810)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제1고정몸체(810)는 동축 구조에서 신호핀과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며 판 형상이기 때문에 동축 구조의 외부 도체와 달리 신호핀을 감싸는 절연체를 감쌀 수 없는 구조를 가진다. 제1고정부(800)는 후술될 제1임피던스매칭부(820)를 더 구비하지만, 상기 제1임피던스매칭부(820)는 후술된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인쇄회로기판(900)의 임피던스 매칭을 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동축 구조의 절연체와 상이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부(800)는 본체부(600)와 달리 동축 구조가 아니다. 이하에서도 제1고정부(800)는 비동축 구조를 가지며, 본체부(600)는 동축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700)는, 동축 구조를 갖는 본체부(600)와 달리, 신호핀에 대응되는 구성을 구비하지 않으며 또한 신호핀을 감싸는 절연체에 대응되는 구성을 구비하지 않으며 또한 절연체를 감싸는 외부 도체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동축 구조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700)는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면(902)에 장착되고 제2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본체부(600)를 인쇄회로기판(900)에 고정하고 상기 본체부(600)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900)의 접지(9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후술된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인쇄회로기판(900)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제2고정몸체(710)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제2고정몸체(710)는 동축 구조에서 신호핀과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며 판 형상이기 때문에 동축 구조의 외부 도체와 달리 신호핀을 감싸는 절연체를 감쌀 수 없는 구조를 가진다. 제2고정부(700)는 후술될 제2임피던스매칭부(720)를 더 구비하지만, 상기 제2임피던스매칭부(720)는 후술된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인쇄회로기판(900)의 임피던스 매칭을 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동축 구조의 절연체와 상이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부(700)는 본체부(600)와 달리 동축 구조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부(700)는 본체부(600)와 달리 동축 구조가 아닌 비동축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 제2고정부(700)도 비동축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체부(600)와 제1고정몸체(8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된 후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600)와 제2고정몸체(7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된 후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600)는 본체신호핀을 가지며 인쇄회로기판(900)의 비아홀(920)에 관통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면(901)에 형성된 제1신호선(910)과 상기 제1면(901)의 반대면인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면(902)에 형성된 제2신호선(940)을 본체신호핀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본체신호핀은, 중심신호핀(630)의 일단(634) 및 제1신호핀(640)이 90도의 각도로 결합되고 상기 중심신호핀(630)의 타단(632) 및 제2신호핀(670)이 90도의 각도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600)는 몸체(610), 제1신호핀(640), 제2신호핀(670), 중심신호핀(630) 및 절연체(620)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610)는 중공 기둥형상을 가지고 인쇄회로기판(900)의 비아홀(920)에 관통 삽입되며, 상면이 상기 제1고정부(800)의 제1고정몸체(8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면이 상기 제2고정부(700)의 제2고정몸체(7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몸체(610)의 상면은 제1고정몸체(810)의 제1노출홀(812) 내주면에 형성된 제1단차면(817)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몸체(610)의 상면과 상기 제1단차면(817)간 결합은 납땜 등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몸체(610)의 하면은 제2고정몸체(710)의 제2노출홀(712) 내주면에 형성된 제3단차면(717)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몸체(610)의 하면 상기 제3단차면(717)간 결합은 납땜 등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결국 몸체(610)는 인쇄회로기판(900)의 접지(9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절연체(620)는 몸체(610)의 내주면과 중심신호핀(630) 사이에 형성되어 본체부(600)의 몸체(610)와 중심신호핀(63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몸체(610)는 몸체(610)의 상면에서 몸체(610)의 하면 방향으로 몸체(6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신호핀(640)과 몸체(610)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1접촉방지홈(614)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610)의 상면이 제1고정부(800)의 제1고정몸체(8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900)의 접지(9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신호선(9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신호핀(640)이 몸체(610)에 접촉되는 경우 접지에 연결되는 결과를 가져와서,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신호선(910)으로부터 신호가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신호선(940)으로 전송될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몸체(610)의 상면에서 몸체(610)의 하면 방향으로 몸체(6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접촉방지홈(6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접촉방지홈(614)이 제1신호핀(640)과 몸체(610)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신호선(910) 및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신호선(940) 간에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몸체(610)에 제1접촉방지홈(614)가 형성됨과 동시에 몸체(610)는 몸체(610)의 하면에서 몸체(610)의 상면 방향으로 몸체(6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2신호핀(670)과 몸체(610)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2접촉방지홈(612)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610)의 하면이 제2고정부(700)의 제2고정몸체(7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900)의 접지(9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신호선(9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신호핀(670)이 몸체(610)에 접촉되는 경우 접지에 연결되는 결과를 가져와서,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신호선(910)으로부터 신호가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신호선(910)으로 전송될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몸체(610)의 하면에서 몸체(610)의 상면 방향으로 몸체(6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2접촉방지홈(6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접촉방지홈(612)이 제2신호핀(670)과 몸체(610)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신호선(910) 및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신호선(940) 간에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제1신호접촉방지홈(614) 및 제2신호접촉방지홈(612) 중 하나만 몸체(610)에 형성되는 것보다 둘 다 몸체(610)에 형성되는 것이 제1신호핀(640) 및 제2신호핀(670)이 몸체(610)에 접촉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하기 때문에, 상기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신호선(910) 및 제2신호선(940) 간에 신호가 안정적으로 전송될 수 있게 된다.
중심신호핀(630)은 몸체(610)의 내부 중공에 형성되며, 중심신호핀(630)의 일단(634)이 제1신호핀(6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중심신호핀(630)의 타단(632)이 상기 제2신호핀(6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신호핀(640)은 일단(642)이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신호선(9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644)이 중심신호핀(630)의 일단(6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신호핀(670)은 일단(672)이 인쇄회로기판(00)의 제2신호선(9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674)이 중심신호핀(630)의 타단(6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신호핀(640) 및 중심신호핀(630)은 본체부(600)가 인쇄회로기판(900)에 관통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신호선(9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 서로 90도 각도를 가지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신호핀(640)의 타단(644)과 중심신호핀(630)의 일단(134)은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신호핀(640) 및 중심신호핀(630)은 90도 이외의 각도로도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신호핀(670) 및 중심신호핀(630)은 본체부(600)가 인쇄회로기판(900)에 관통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신호선(9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 서로 90도 각도를 가지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신호핀(670)의 타단(674)과 중심신호핀(630)의 타단(634)은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신호핀(670) 및 중심신호핀(630)은 90도 이외의 각도로도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신호핀(640) 및 중심신호핀(630) 간 결합과 제2신호핀(670) 및 중심신호핀(630) 간 결합은 도 6a 내지 도 6e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억지끼움 방식, 리벳팅 방식 또는 납땜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제1신호핀(640) 및 중심신호핀(6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2신호핀(670) 및 중심신호핀(6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신호핀(640)은 제1신호핀(640)의 일단(642)에서 제1신호핀(640)의 타단(644)으로 향할수록 단차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신호핀(640)의 일단(642)과 제1신호핀(640)의 타단(644) 간 단차 차이로 인해, 제1신호핀(640)이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신호선(910)에 접촉시 제1신호핀(640)의 일단(642)에 눌리는 힘에 의해서 가압되어,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신호선(910)에 제1신호핀(640)의 일단(642)이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2신호핀(670)은 제2신호핀(670)의 일단(672)에서 제2신호핀(670)의 타단(674)으로 향할수록 단차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신호핀(670)의 일단(672)과 제2신호핀(670)의 타단(674) 간 단차 차이로 인해, 제2신호핀(670)이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신호선(940)에 접촉시 제2신호핀(670)의 일단(672)에 눌리는 힘에 의해서 가압되어,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신호선(940)에 제2신호핀(670)의 일단(672)이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제1고정부(800)는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면(901)에 장착되어, 제1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본체부(600)를 인쇄회로기판(900)에 고정하고 본체부(600)의 몸체(110)를 인쇄회로기판(900)의 접지(9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인쇄회로기판(900)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제1고정몸체(8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고정몸체(810)는 본체부(600)를 인쇄회로기판(900)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제1고정수단, 예를 들어 도 10의 볼트(215) 등이 관통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홀(8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몸체(810)는 제1고정몸체(810)의 하면에서 제1고정몸체(810)의 상면 방향으로 제1고정몸체(8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신호핀(640)과 제1고정몸체(810)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3접촉방지홈(8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몸체(810)가 인쇄회로기판(900)의 접지(9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1신호핀(640)이 제1고정몸체(810)에 접촉되는 경우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신호선(910)의 신호가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신호선(940)으로 전달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제1고정몸체(810)의 하면에서 제1고정몸체(810)의 상면 방향으로 제1고정몸체(8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3접촉방지홈(8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신호핀(640)과 제1고정몸체(810)의 전기적 접촉이 방지되므로,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신호선(910) 및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신호선(940) 간에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600)의 몸체(610)에 형성된 제1접촉방지홈(614) 및 제1고정몸체(810)에 형성된 제3접촉방지홈(816)은 도 13, 도 14 및 도 20을 참고하면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 본체부(600)의 몸체(610) 및 제1고정몸체(8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몸체(810)에는 도 12, 도 14 및 도 20을 참고하면, 제1신호핀(640)의 타단(644) 및 중심신호핀(630)의 일단(634)의 접촉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제1노출홀(8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고정부(800)는 제1노출홀(812)에 삽입되어, 제1신호핀(640)의 타단(644) 및 중심신호핀(630)의 일단(634)의 접촉부분의 임피던스, 제1신호핀(640)의 임피던스, 중심신호핀(630)의 임피던스 및 제2신호핀(670)의 임피던스를 인쇄회로기판(900)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기 위한 제1임피던스매칭부(8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임피던스매칭부(820)는 제1신호핀(640), 중심신호핀(630) 및 제2신호핀(67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인쇄회로기판(900)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임피던스매칭부(820)는 도 14, 도 15 및 도 20을 참고하면, 제1노출홀(8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단차면(817) 및 제2단차면(818)을 관통하는 제1단차홀(819)에 전부 삽입되는 유전체일 수 있다. 또한 제1임피던스매칭부(820)는 유전체와 공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임피던스매칭부(820)는 상기 제1단차홀(819)에 유전체가 일부 삽입되어 상기 제1단차홀(819)의 나머지 공간이 공기에 노출되는 형태이다. 한편, 상기 제1노출홀(812)에 제1임피던스매칭부(820)를 삽입하지 않고 공기만으로 상기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
이렇게 제1고정부(800)가 제1임피던스매칭부(820)를 더 구비하는 이유는, 제1신호핀(640)의 임피던스, 중심신호핀(630)의 임피던스 및 제2신호핀(670)의 임피던스와 달리, 제1신호핀(640)의 타단(644) 및 중심신호핀(630)의 일단(634)의 접촉부분에서 임피던스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제1신호핀(640), 중심신호핀(630) 및 제2신호핀(67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본체신호핀을 통해서 전송되는 신호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임피던스매칭부(820)를 이용하여 제1신호핀(640)의 타단(644) 및 중심신호핀(630)의 일단(634)의 접촉부분 임피던스를 제1신호핀(640)의 임피던스, 중심신호핀(630)의 임피던스 및 제2신호핀(6700)의 임피던스와 함께 인쇄회로기판(900)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지는 경우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신호선(910)과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신호선(940) 간에 신호가 변형되지 않고 전송될 수 있다.
제1고정몸체(810)는 제1노출홀(812)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제1뚜껑(8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뚜껑(830)은 제1고정몸체(810)의 제1노출홀(812) 내주면에 형성된 제2단차면(818)에 안착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제1노출홀(812)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2고정부(700)는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면(902)에 장착되어, 제2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본체부(600)를 인쇄회로기판(900)에 고정하고 본체부(600)의 몸체(110)를 인쇄회로기판(900)의 접지(9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인쇄회로기판(900)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제2고정몸체(7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고정몸체(710)는 본체부(600)를 인쇄회로기판(900)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제2고정수단, 예를 들어 도 10의 볼트(215) 등이 관통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홀(7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몸체(710)는 제2고정몸체(710)의 하면에서 제2고정몸체(710)의 상면 방향으로 제2고정몸체(7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2신호핀(740)과 제2고정몸체(710)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4접촉방지홈(7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몸체(710)가 인쇄회로기판(900)의 접지(9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2신호핀(670)이 제2고정몸체(710)에 접촉되는 경우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신호선(940)의 신호가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신호선(910)으로 전달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제2고정몸체(710)의 하면에서 제2고정몸체(710)의 상면 방향으로 제2고정몸체(7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4접촉방지홈(7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신호핀(670)과 제2고정몸체(710)의 전기적 접촉이 방지되므로,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신호선(910) 및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신호선(940) 간에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600)의 몸체(610)에 형성된 제2접촉방지홈(612) 및 제2고정몸체(710)에 형성된 제4접촉방지홈(716)은 도 17, 도 18 및 도 20을 참고하면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 본체부(600)의 몸체(610) 및 제2고정몸체(7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몸체(710)에는 도 16, 도 18 및 도 20을 참고하면, 제2신호핀(670)의 타단(674) 및 중심신호핀(630)의 타단(632)의 접촉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제2노출홀(7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고정부(700)는 제2노출홀(712)에 삽입되어, 제2신호핀(670)의 타단(674) 및 중심신호핀(630)의 타단(632)의 접촉부분의 임피던스, 제1신호핀(640)의 임피던스, 중심신호핀(630)의 임피던스 및 제2신호핀(670)의 임피던스를 인쇄회로기판(900)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기 위한 제2임피던스매칭부(7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제2임피던스매칭부(720)는 제1신호핀(640), 중심신호핀(630) 및 제2신호핀(67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인쇄회로기판(900)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임피던스매칭부(720)는 도 18, 도 19 및 도 20을 참고하면, 제2노출홀(7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3단차면(717) 및 제4단차면(718)을 관통하는 제2단차홀(719)에 전부 삽입되는 유전체일 수 있다. 또한 제2임피던스매칭부(720)는 유전체와 공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임피던스매칭부(720)는 상기 제2단차홀(719)에 유전체가 일부 삽입되어 상기 제2단차홀(719)의 나머지 공간이 공기에 노출되는 형태이다. 한편, 상기 제2노출홀(712)에 제2임피던스매칭부(720)를 삽입하지 않고 공기만으로 상기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
이렇게 제2고정부(700)가 제2임피던스매칭부(720)를 더 구비하는 이유는, 제1신호핀(640)의 임피던스, 중심신호핀(630)의 임피던스 및 제2신호핀(670)의 임피던스와 달리, 제2신호핀(670)의 타단(674) 및 중심신호핀(630)의 타단(632)의 접촉부분에서 임피던스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제1신호핀(640), 중심신호핀(630) 및 제2신호핀(67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본체신호핀을 통해서 전송되는 신호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임피던스매칭부(720)를 이용하여 제2신호핀(670)의 타단(674) 및 중심신호핀(630)의 타단(632)의 접촉부분 임피던스를 제1신호핀(640)의 임피던스, 중심신호핀(630)의 임피던스 및 제2신호핀(6700)의 임피던스와 함께 인쇄회로기판(900)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지는 경우 인쇄회로기판(900)의 제1신호선(910)과 인쇄회로기판(900)의 제2신호선(940) 간에 신호가 변형되지 않고 전송될 수 있다.
제2고정몸체(710)는 제2노출홀(712)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제2뚜껑(7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뚜껑(730)은 제2고정몸체(710)의 제2노출홀(712) 내주면에 형성된 제4단차면(718)에 안착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제2노출홀(712)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에 대한 플로차트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인쇄회로기판에, 도 12 내지 도 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동축 구조의 본체부가 관통 삽입되기 위한 비아홀을 형성한다(S10). 인쇄회로기판에 비아홀이 형성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동축 구조의 본체부를 상기 형성된 비아홀에 관통 삽입한다(S20).
이후,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의 제1고정부의 제1고정몸체 및 제2고정부의 제2고정몸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관통 삽입된 동축 구조의 본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한다(S3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6)

  1. 본체신호핀을 가지며,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형성된 신호선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의 반대면인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 방향에 위치한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을 상기 본체신호핀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동축 구조의 본체부; 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장착되어,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고 상기 본체부의 몸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임피던스에 매칭시키는 고정몸체를 가지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신호핀은, 제1신호핀 및 제2신호핀이 90도 각도로 결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중공 기둥형상을 가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면이 상기 고정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면이 상기 외부 전자기기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본체부의 몸체;
    일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신호핀;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내부 중공에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신호핀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2신호핀; 및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제2신호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몸체와 상기 제2신호핀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신호핀은, 상기 제1신호핀 및 상기 제2신호핀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핀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신호핀의 일단에서, 상기 제2신호핀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신호핀의 타단으로 향할수록 단차가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는,
    상기 본체부의 몸체 하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 상면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몸체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본체부의 몸체가 상기 외부 전자기기에 대한 접촉 탄성을 갖도록 적어도 하나의 탄성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는,
    상기 본체부의 몸체 상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 하면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몸체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신호핀과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1접촉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고정몸체의 하면에서 상기 고정몸체의 하면의 반대면인 상기 고정몸체의 상면 방향으로 상기 고정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신호핀과 상기 고정몸체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2접촉방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접촉방지홈은 상기 제1접촉방지홈과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제1신호핀의 타단 및 상기 제2신호핀의 타단의 접촉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노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노출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신호핀의 타단 및 상기 제2신호핀의 타단의 접촉부분의 임피던스, 상기 제1신호핀의 임피던스 및 상기 제2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임피던스에 매칭시키기 위한 임피던스매칭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노출홀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뚜껑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에 대응되게 대응비아홀이 형성되는 전도성매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 및 상기 대응비아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본체신호핀을 통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선과 상기 외부 전자기기의 신호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매개부의 두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두께의 2 내지 2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와 상기 고정몸체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고정수단이 관통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비동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16. 본체신호핀을 가지며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형성된 제1신호선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의 반대면인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에 형성된 제2신호선을 상기 본체신호핀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동축 구조의 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장착되어 제1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고 상기 본체부의 몸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제1고정몸체를 가지는 제1고정부; 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에 장착되어 제2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고 상기 본체부의 몸체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본체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임피던스로 매칭시키는 제2고정몸체를 가지는 제2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본체신호핀은, 중심신호핀의 일단 및 제1신호핀이 90도의 각도로 결합되고 상기 중심신호핀의 타단 및 제2신호핀이 90도의 각도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중공 기둥형상을 가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면이 상기 제1고정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면이 상기 제2고정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본체부의 몸체;
    일단이 상기 제1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중심신호핀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신호핀;
    일단이 상기 제2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중심신호핀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2신호핀;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내부 중공에 형성되는 상기 중심신호핀; 및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중심신호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몸체와 상기 중심신호핀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핀 및 상기 중심신호핀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2신호핀 및 상기 중심신호핀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핀은,
    상기 제1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신호핀의 일단에서, 상기 중심신호핀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신호핀의 타단으로 향할수록 단차가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핀은,
    상기 제2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2신호핀의 일단에서, 상기 중심신호핀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2신호핀의 타단으로 향할수록 단차가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몸체는,
    상기 제1신호핀의 타단 및 상기 중심신호핀의 일단의 접촉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제1노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노출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신호핀의 타단 및 상기 중심신호핀의 일단의 접촉부분의 임피던스, 상기 제1신호핀의 임피던스, 상기 제2신호핀의 임피던스 및 상기 중심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임피던스에 매칭시키기 위한 제1임피던스매칭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노출홀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제1뚜껑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24.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몸체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제1고정수단이 관통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25.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몸체는,
    상기 제2신호핀의 타단 및 상기 중심신호핀의 타단의 접촉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제2노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2노출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2신호핀의 타단 및 상기 중심신호핀의 타단의 접촉부분의 임피던스, 상기 제1신호핀의 임피던스, 상기 제2신호핀의 임피던스 및 상기 중심신호핀의 임피던스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임피던스에 매칭시키기 위한 제2임피던스매칭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2노출홀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제2뚜껑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2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몸체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제2고정수단이 관통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2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1고정몸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2고정몸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3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는,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하면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신호핀과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1접촉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몸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연결되는 상기 제1고정몸체의 하면에서 상기 제1고정몸체의 하면의 반대면인 상기 고정몸체의 상면 방향으로 상기 제1고정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신호핀과 상기 제1고정몸체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3접촉방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3접촉방지홈은 상기 제1접촉방지홈과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3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는,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하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상면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2신호핀과 상기 본체부의 몸체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2접촉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몸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에 연결되는 상기 제2고정몸체의 하면에서 상기 제2고정몸체의 하면의 반대면인 상기 제2고정몸체의 상면 방향으로 상기 제2고정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2신호핀과 상기 제2고정몸체의 전기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4접촉방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4접촉방지홈은 상기 제2접촉방지홈과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34.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는, 비동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35. 청구항 1의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비아홀에 상기 동축 구조의 본체부를 관통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몸체를 이용하여 상기 동축 구조의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
  36. 청구항 16의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비아홀에 상기 동축 구조의 본체부를 관통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고정몸체 및 상기 제2고정몸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동축 구조의 본체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
KR1020120005895A 2012-01-18 2012-01-18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 KR10131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895A KR101311738B1 (ko) 2012-01-18 2012-01-18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895A KR101311738B1 (ko) 2012-01-18 2012-01-18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929A true KR20130084929A (ko) 2013-07-26
KR101311738B1 KR101311738B1 (ko) 2013-09-26

Family

ID=4899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895A KR101311738B1 (ko) 2012-01-18 2012-01-18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7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83A1 (ko) * 2014-06-20 2015-12-2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통신 기기의 연결 장치
KR102496373B1 (ko) * 2021-09-24 2023-02-06 주식회사 기가레인 고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WO2023043141A1 (ko) * 2021-09-16 2023-03-23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3124B2 (en) 2021-08-10 2024-02-13 Rockwell Collins, Inc. Wide band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0430A (ja) 2000-01-27 2001-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信号用コネクタ
KR200290954Y1 (ko) 2002-07-12 2002-10-04 케이. 에이. 이 (주) 2중 접속단자를 구비한 휴대폰용 커넥터
KR100511493B1 (ko) * 2003-07-28 2005-08-31 케이. 에이. 이 (주)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KR20090088717A (ko) * 2008-02-15 2009-08-20 (주)기가레인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783A1 (ko) * 2014-06-20 2015-12-2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통신 기기의 연결 장치
WO2023043141A1 (ko) * 2021-09-16 2023-03-23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KR102496373B1 (ko) * 2021-09-24 2023-02-06 주식회사 기가레인 고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738B1 (ko)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8300B2 (ja) コネクタ
JP7125407B2 (ja) 電気接続用ソケット
JP7169989B2 (ja) 電気接続用ソケット
KR101703419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US733432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radio frequency connector
KR101311738B1 (ko)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
JP2020205255A (ja) 超高周波信号伝送用同軸ケーブル雄コネクタ
JPWO2003028169A1 (ja) 高速伝送用コネクタ
CN102159959A (zh) 测试适配器配置
KR101162659B1 (ko) 동축 케이블 결합 커넥터
US20140273605A1 (en) Connector
JP6027928B2 (ja) 電気コネクタ
JP5557104B2 (ja) コネクタ及び接続経路切換装置
CN111048959A (zh) 连接切换装置
KR101807388B1 (ko) 커넥터 장치
KR20190044493A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JP6252969B2 (ja) 電気コネクタ
CN109586064B (zh) 一种装有弯式1394接触件的混装插座连接器
TW201251219A (en) Connector and electric conduction member
JPH02213064A (ja) 同軸ケーブル接続装置
EP2755281A1 (en) Connector
US4525020A (en) Electrical connector
JP2021140919A (ja) コネクタ装置
KR100593698B1 (ko) 동축콘넥터의 구조
KR10225550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