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388B1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388B1
KR101807388B1 KR1020160019020A KR20160019020A KR101807388B1 KR 101807388 B1 KR101807388 B1 KR 101807388B1 KR 1020160019020 A KR1020160019020 A KR 1020160019020A KR 20160019020 A KR20160019020 A KR 20160019020A KR 101807388 B1 KR101807388 B1 KR 101807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ct
connection terminal
terminal por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939A (ko
Inventor
사토루 다구치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2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2개의 배선 기판을 연결하는 한 쌍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전자 쉴드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각 커넥터의 배선 기판에의 장착 작업에 복잡화와 번잡함을 초래하지 않고, 충분한 전자 쉴드 작용이 얻어지는 것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저부에 투공(14)을 가지는 감합 오목부(13)가 설치된 하우징(12)과, 접촉 접속 단자부(17a)가 하우징(12)의 오목부 형성부(12a)에 배치됨과 아울러 기판 접속 단자부(17b)가 투공(14)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12)에 고착된 콘택트(17)와, 하우징(12)의 외주면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18)을 가진 커넥터(11), 및 투공(23)이 형성되고 커넥터(11)의 감합 오목부(13)에 내삽 감합되는 하우징(22)과, 접촉 접속 단자부(26a)가 하우징(22)의 외면부(22a)에 배치됨과 아울러 기판 접속 단자부(26b)가 투공(23)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22)에 고착된 콘택트(26)를 가진 커넥터(2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ELECTRICAL CONNECTOR}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2개의 배선 기판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의 배선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된 상태를 취하게 하여, 양쪽 배선 기판을 연결하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 등의 비교적 소형인 전자기기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의 전자 부품이 다수 내장되지만, 이들 전자 부품의 대부분은 복수의 배선 기판에 실장되어 각각의 기능을 하게 된다. 각종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복수의 배선 기판은, 예를 들면, 이들 중의 2개에 대해서 보면, 비교적 소형인 전자기기의 내부라고 하는 제한된 스페이스(space)에 수용되는데 즈음하여 점유 용적을 가능한 한 작게 하는 배치를 취하게 되어 상호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배선 기판의 상호 연결은, 각 배선 기판에 커넥터가 장착되고, 이들 커넥터가 상호 접속됨으로써 행해지는 것이 많고, 2개의 배선 기판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2개의 배선 기판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커넥터가 이용된다. 이때에, 각 배선 기판에 장착되는 커넥터는, 예를 들면, 배선 기판에 고정되는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배치되어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는 도전성의 콘택트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2개의 배선 기판 중의 일방에 장착된 커넥터와 2개의 배선 기판 중의 타방에 장착된 커넥터가, 각각에 있어서의 하우징을 상호 계합(係合)시켜 연결됨으로써, 양쪽 하우징에 각각 배치된 콘택트를 상호 접속시키는 상태로 두고, 이에 의해, 2개의 배선 기판 중의 일방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와 2개의 배선 기판 중의 타방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가, 2개의 커넥터의 각각에 있어서의 콘택트를 통해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2개의 배선 기판이 상호 연결되는데 즈음하여, 특히, 각 배선 기판이 고주파 신호를 다루는 것인 경우에는, 2개의 배선 기판에 각각 장착되어 연결되는 2개의 커넥터의 각각은, 그것에 전자 쉴드(shield) 작용이 미치는 상태 하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된 2개의 커넥터로부터의 불필요한 전파 방사를 가능한 한 작게 함과 아울러, 연결된 2개의 커넥터가 받는 외부로부터의 불필요한 전파 간섭을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에 있어서는, 2개의 배선 기판의 연결에 이용되는 커넥터로서 전자 쉴드 작용을 가져오는 수단(전자 쉴드 수단)을 구비한 것이 몇 개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커넥터는,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에 감합(嵌合)하는 감합부(1a)가 설치된 하에서 배선 기판(기판(7)) 상에 고정되는 하우징(인슐레이터(insulator)(1)),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어 각각이 상대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촉부(3a)와 배선 기판의 도전부에 접속되는 단자부(3b)를 가지게 되는 복수의 콘택트(3), 및, 배선 기판 상의 하우징 및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복수의 단자부(3b)를 전체적으로 덮는 것으로서 배선 기판에 고정되는 도전성의 쉘(shell)(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콘택트(3)의 각각의 접촉부(3a)는,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부(1a) 내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콘택트(3)의 각각의 단자부(3b)는 하우징으로부터 그 외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또, 쉘(5)은 배선 기판에 형성된 접지(ground)용 도전부에 접속된다.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부(1a)는, 하우징이 고정된 배선 기판과는 다른 배선 기판에 장착된 상대 커넥터에 감합하고, 이때에는, 감합부(1a) 내에 배치된 접촉부(3a)가 상대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상태로, 하우징이 고정된 배선 기판과 상대 커넥터가 장착되는 배선 기판이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하에서, 배선 기판 상의 하우징 및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복수의 단자부(3b)를 전체적으로 덮는 도전성의 쉘(5)이, 커넥터에 대한 전자 쉴드 수단의 역할을 한다.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내는 커넥터(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1))는, 상대측 커넥터(플러그(plug) 커넥터(12))에 있어서의 상대측 감합부(플러그측 감합부(142))와 감합하는 감합부(리셉터클측 감합부(32))가 설치되어 배선 기판(제1의 프린트 기판(21))에 고정되는 하우징(레셉터클측 하우징(3)), 각각이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신호용 패드(21a)에 접속되는 단자부(5d)를 가지고 상대측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대측 콘택트(플러그측 콘택트(16))에 접촉하게 되는 복수의 리셉터클측 신호 콘택트(5S)를 포함하고, 하우징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리셉터클측 콘택트(5)), 및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쉘(shell) 본체(71)를 가지고 하우징의 외주면부에 장착되는 도전성의 쉘(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측 신호 콘택트(5S)의 각각의 일부분은,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부 내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리셉터클측 신호 콘택트(5S)의 각각의 단자부(5d)는 하우징으로부터 그 외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또, 쉘(7)은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접지용 패드에 접속된다.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부는, 하우징이 고정된 배선 기판과는 다른 배선 기판( 제2의 프린트 기판)에 장착된 상대측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대측 감합부에 감합하고, 이때에는, 감합부 내에 배치된 복수의 리셉터클측 신호 콘택트(5S)의 각각의 일부분이 상대측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대측 콘택트에 접촉하는 상태로, 하우징이 고정된 배선 기판과 상대측 커넥터가 장착되는 배선 기판이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하에서, 하우징의 외주면부에 장착된 쉘(7)이, 커넥터에 대한 전자 쉴드 수단의 역할을 한다.
일본국 특허공개 1998-17268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8-218095호 공보
상술과 같은, 종래 제안되어 있는, 몇 개와 같이, 2개의 배선 기판의 연결에 이용되는 커넥터로서 전자 쉴드 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는, 이들 각각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보인다.
먼저,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있어서는, 하우징과 전자 쉴드 수단을 이루는 쉘이 서로 독립한 다른 부품으로서 준비되고, 커넥터의 배선 기판에의 장착시에는, 복수의 콘택트가 조립된 하우징이 배선 기판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으로부터 그 외부로 돌출하는 복수의 콘택트의 각각에 있어서의 단자부가 배선 기판의 도전부에 납땜되어 배선 기판에 고정된 후, 쉘이 배선 기판 상의 하우징 및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복수의 단자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것으로서 배선 기판에 장착된다. 따라서, 배선 기판에 대한 복수의 콘택트가 조립된 하우징의 고정과 하우징을 덮는 쉘의 장착마다, 개별의 작업 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의해, 커넥터의 배선 기판에의 장착 작업 공정에 복잡화와 번잡함을 초래하게 되어 버린다.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있어서는, 전자 쉴드 수단을 이루는 쉘이,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쉘 본체를 가지고 하우징의 외주면부에 장착되게 되어 있고, 복수의 콘택트에 각각 설치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복수의 단자부를 덮을 수는 없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배선 기판의 도전부에 납땜된 복수의 단자부는, 전자 쉴드 작용을 받지 않게 되고, 불필요한 전파 방사 및 외부로부터의 불필요한 전파 간섭이 억제되지 않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즉, 특허 문헌 2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있어서는, 충분한 전자 쉴드를 도모할 수가 없게 되어 버린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2개의 배선 기판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의 배선 단자부에 전기적 상호 접속 상태를 취하게 하여 양쪽 배선 기판을 연결할 때에 이용되는, 한 쌍의 커넥터를 포함한 전자 쉴드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각 커넥터의 배선 기판에의 장착 작업 공정에 복잡화와 번잡함을 초래할 우려가 없고,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충분한 전자 쉴드 작용이 얻어지는 것을 제공한다.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로부터 청구항 6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이하, 본원 발명이라고 한다.)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감합 오목부가 설치되고 당해 감합 오목부의 저부(底部)에 제1의 투공이 형성된 제1의 하우징, 제1의 접촉 접속 단자부 및 제1의 기판 접속 단자부를 가지고, 제1의 접촉 접속 단자부가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제1의 기판 접속 단자부가 제1의 투공 내에 배치되는 상태로 제1의 하우징에 고착된 제1의 콘택트, 및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를 포위하는 외주면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을 가진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투공이 형성되고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에 내삽(內揷) 감합시켜지는 제2의 하우징, 및, 제2의 접촉 접속 단자부 및 제2의 기판 접속 단자부를 가지고, 제2의 접촉 접속 단자부가 제2의 하우징의 외면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제2의 기판 접속 단자부가 제2의 투공 내에 배치되는 상태로 제2의 하우징에 고착된 제2의 콘택트를 가진 제2의 커넥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제2의 하우징이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에 내삽 감합시켜졌을 때, 제1의 접촉 접속 단자부와 제2의 접촉 접속 단자부가 상호 접촉 접속되고 제1의 콘택트와 제2의 콘택트가 도전성 쉘에 의해 포위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상술과 같은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제1의 커넥터가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를 포위하는 외주면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을 구비하고 있고, 제1의 접촉 접속 단자부와 제1의 기판 접속 단자부를 가지고 제1의 하우징에 고착된 제1의 콘택트가, 제1의 접촉 접속 단자부 및 제1의 기판 접속 단자부가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부 및 제1의 투공 내에 각각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1의 콘택트의 전체가 도전성 쉘에 의해 포위된 상태에 놓여 있다. 또, 제2의 커넥터의 제2의 하우징이, 그것에 고착된 제2의 콘택트에 있어서의 제2의 접촉 접속 단자부 및 제2의 기판 접속 단자부가 제2의 하우징의 외면부 및 제2의 투공 내에 각각 배치된 하에서, 그 전체가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에 내삽 감합시켜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의 커넥터의 제2의 하우징이 제1의 커넥터의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에 내삽 감합시켜졌을 때에는, 제1의 콘택트에 있어서의 제1의 접촉 접속 단자부와 제2의 콘택트에 있어서의 제2의 접촉 접속 단자부가 상호 접촉 접속됨과 아울러, 제1의 콘택트와 제2의 콘택트가, 각각의 전체가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를 포위하는 외주면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에 의해 포위된 상태에 놓인다.
또,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제1 및 제2의 커넥터가 2개의 배선 기판에 각각 장착되고, 일방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와 타방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전기적 상호 접속 상태를 취하게 하여 양쪽 배선 기판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실용에 제공되지만, 이러한 때에는, 제1의 커넥터가 일방의 배선 기판에 장착되는데 즈음하여,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제1의 콘택트에 있어서의 제1의 기판 접속 단자부가, 제1의 하우징에 형성된 제1의 투공 내에 있어서 일방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접속되고, 또, 제2의 커넥터가 타방의 배선 기판에 장착되는데 즈음하여,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제2의 콘택트에 있어서의 제2의 기판 접속 단자부가, 제2의 하우징에 형성된 제2의 투공 내에 있어서 타방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제1의 콘택트가, 일방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제2의 콘택트가, 타방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예에 있어서는, 제1의 커넥터가, 제1의 콘택트의 복수개가 제1의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게 됨과 아울러, 제2의 커넥터가, 제2의 콘택트의 복수개가 제2의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게 된다.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의 커넥터를 구비한 하에 있어서, 제2의 커넥터의 제2의 하우징이 제1의 커넥터의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에 내삽 감합시켜졌을 때에는, 제1의 콘택트에 있어서의 제1의 접촉 접속 단자부와 제2의 콘택트에 있어서의 제2의 접촉 접속 단자부가 상호 접촉 접속됨과 아울러, 제1 및 제2의 콘택트가, 각각의 전체가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를 포위하는 외주면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에 의해 포위된 상태에 놓인다. 이에 의해, 제1의 커넥터에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를 포위하는 외주면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이 구비된 만큼의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1의 접촉 접속 단자부와 제2의 접촉 접속 단자부가 상호 접촉 접속되게 되는 제1의 콘택트와 제2의 콘택트에 대한 전자 쉴드가, 제1 및 제2의 기판 접속 단자부를 포함한 제1 및 제2의 콘택트의 전체에 대해서, 충분히 행해지게 된다.
또, 상술과 같이, 제1 및 제2의 콘택트의 전체에 대해서의 전자 쉴드 작용을 가져오는 도전성 쉘은,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를 포위하는 외주면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것으로서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것이고, 제1의 커넥터와 일체화된 것으로서 제1의 커넥터와는 별체(別體)로 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제1의 커넥터를 배선 기판에 장착하는데 즈음하여, 예를 들면, 제1의 커넥터의 제1의 하우징을 배선 기판에 고정한 후, 도전성 쉘을 배선 기판에 장착하는 것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은 불필요해지고, 제1의 커넥터의 배선 기판에의 장착 작업 공정에 복잡화와 번잡함이 초래될 우려가 없다.
또한,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제1의 콘택트에 있어서의 제1의 기판 접속 단자부에 대해서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와의,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한 접속은, 제1의 하우징에 형성된 제1의 투공을 통해서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게 되고, 또,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제2의 콘택트에 있어서의 제2의 기판 접속 단자부에 대해서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와의,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한 접속도, 제2의 하우징에 형성된 제2의 투공을 통해서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의 커넥터의 각각의 배선 기판에의 장착 작업 공정에 복잡화와 번잡함이 초래될 우려는 없다.
이것으로부터,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2개의 배선 기판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의 커넥터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일방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와 타방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전기적 상호 접속 상태를 취하게 하여 양쪽 배선 기판을 연결하는데 즈음하여, 제1 및 제2의 커넥터의 각각의 배선 기판에의 장착 작업 공정에 복잡화와 번잡함을 초래할 우려가 없고,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충분한 전자 쉴드 작용이 얻어지게 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底面)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배선 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배선 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가 배선 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가 배선 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상호 계합(係合)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상호 계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상호 계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XIII-XIII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는, 이하에 기술되는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의 실시예로 설명된다.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제1의 커넥터를 이루는 리셉터클 커넥터(11)를 나타내고, 도 3은 리셉터클 커넥터(11)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1~도 3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11)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12)(제1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2)에는, 직사각형 오목부를 이루는 감합 오목부(13)가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12)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13)의 네 변(邊)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부(12a)는, 직사각형 프레임(frame) 형상체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감합 오목부(13)의 저부(底部)(13a)에는, 하우징(12)의 중앙 부분으로 되는 위치에 직사각형의 투공(14)(제1의 투공)이 형성되고, 또한, 저부(13a)로부터 감합 오목부(13) 내로 돌출하는 한 쌍의 융기부(15)가, 투공(14)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융기부(15)의 각각에는, 맞닿음면부(16)(제1의 맞닿음면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맞닿음면부(16)는 감합 오목부(13)의 저부(13a)로부터 감합 오목부(13) 내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게 된다.
또, 리셉터클 커넥터(11)는, 하우징(12)에 고착된 복수의 콘택트(17)(제1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콘택트(17)는, 한 쌍의 콘택트군을 이루는 것으로서 하우징(12)에 배열 배치되어 있고, 각각이 복수의 콘택트(17)를 포함하여 이루는 한 쌍의 콘택트군은, 감합 오목부(13) 내에 있어서 투공(14)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위치를 취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콘택트(17)의 각각은, 탄성을 가진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접촉 접속 단자부(17a)(제1의 접촉 접속 단자부), 기판 접속 단자부(17b)(제1의 기판 접속 단자부), 및 접촉 접속 단자부(17a)와 기판 접속 단자부(17b)의 사이에 설치된 고정부(17c)를 가지고 있고, 접촉 접속 단자부(17a)가, 하우징(12)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13)의 한 변부를 이루는 오목부 형성부(12a)의 부분에 그것에 형성된 홈에 계합하여 배치되게 되고, 기판 접속 단자부(17b)가, 감합 오목부(13)의 저부(13a)에 형성된 투공(14)의 한 변부로부터 돌출하여 투공(14) 내에 배치되게 되고, 또한, 고정부(17c)가, 감합 오목부(13)의 저부(13a)로부터 돌출하는 융기부(15)에 저부(13a)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져 고정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콘택트(17)의 각각은, 하우징(12)에 있어서의 오목부 형성부(12a) 및 그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12)으로부터 그 외부로 돌출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게 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1)는, 하우징(12)에 있어서의 오목부 형성부(12a)의 외주면을 포위하는 도전성 쉘(18)을 구비하고 있다. 도전성 쉘(18)은, 도전성 판재에 의해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2)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13)을 포위하는 외주면부를 전체적으로 덮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전성 쉘(18)에는, 복수의 기판 접속부(18a)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1)는, 실용에 제공될 때에 배선 기판에 장착된다. 도 4 및 도 5는, 리셉터클 커넥터(11)가 배선 기판(2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리셉터클 커넥터(11)가 배선 기판(20)에 장착되는데 즈음해서는,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17)가 고착됨과 아울러 오목부 형성부(12a)의 외주면이 도전성 쉘(18)에 의해 포위된 하우징(12)이, 투공(14) 내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17)의 각각의 기판 접속 단자부(17b)를 배선 기판(20)에 맞닿게 하는 상태로 배선 기판(20) 상에 배치된 하에서, 복수의 콘택트(17)의 각각에 있어서의 기판 접속 단자부(17b)가, 하우징(12)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13)의 저부(13a)에 형성된 투공(14) 내에 있어서, 배선 기판(20)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도시가 생략되어 있다.)에,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또, 이에 더하여, 하우징(12)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13)를 포위하는 외주면부를 전체적으로 덮게 되는 도전성 쉘(18)에 설치된 복수의 기판 접속부(18a)의 각각이, 하우징(12)의 외부에 있어서, 배선 기판(20)에 설치된 접지 전위부(도시가 생략되어 있다.)에,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콘택트(17)의 각각에 있어서의 기판 접속 단자부(17b)가 배선 기판(20)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예를 들면, 납땜되어 장착됨과 아울러, 도전성 쉘(18)에 설치된 복수의 기판 접속부(18a)의 각각이 배선 기판(20)에 설치된 접지 전위부에, 예를 들면, 납땜되어 장착되는 하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1)의 전체가 배선 기판(20)에 고정된다.
이러한 때에, 복수의 콘택트(17)의 각각에 있어서의 기판 접속 단자부(17b)의 배선 기판(20)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대한 납땜 접속은, 하우징(12)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13)의 저부(13a)에 형성된 투공(14)을 통해서 행할 수가 있으므로,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 배선 기판(20)에 고정된 리셉터클 커넥터(11)는, 복수의 콘택트(17)의 각각을 부분적으로 도전성 쉘(18)로부터 그 외부로 돌출시키는 상태에 놓이는 일이 없고, 그 전체가 도전성 쉘(18)에 의해 포위되는 것이 되므로, 도전성 쉘(18)에 의한 전자 쉴드 작용을 충분히 가져오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함께 구성하는 제2의 커넥터를 이루는 플러그 커넥터(21)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21)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22)(제2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2)은, 직사각형 외형을 가지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가,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13)에 내삽 감합시켜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22)에는, 그 중앙 부분에 직사각형의 투공(23)(제2의 투공)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투공(23)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여 투공(23)을 형성하는 한 쌍의 투공 형성부(24)의 각각에 맞닿음면부(25)(제2의 맞닿음면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플러그 커넥터(21)는, 하우징(22)에 고착된 복수의 콘택트(26)(제2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콘택트(26)는, 한 쌍의 콘택트군을 이루는 것으로서 하우징(22)에 배열 배치되어 있고, 각각이 복수의 콘택트(26)를 포함하여 이루는 한 쌍의 콘택트군은, 한 쌍의 투공 형성부(24)의 사이에 형성된 투공(23)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위치를 취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콘택트(26)의 각각은, 탄성을 가진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접촉 접속 단자부(26a)(제2의 접촉 접속 단자부), 기판 접속 단자부(26b)(제2의 기판 접속 단자부), 및 접촉 접속 단자부(26a)와 기판 접속 단자부(26b)의 사이에 설치된 고정부(26c)(도 13에 나타나 있다.)를 가지고 있고, 접촉 접속 단자부(26a)가, 하우징(22)에 있어서의 외면부(22a)에 배치되게 되고, 기판 접속 단자부(27b)가, 한 쌍의 투공 형성부(24)의 사이에 형성된 투공(23)의 한 변부로부터 돌출하여 투공(23) 내에 배치되게 되고, 또한, 고정부(26c)가, 투공 형성부(24)에 끼워 넣어져 고정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콘택트(26)의 각각은, 하우징(22)으로부터 그 외부로 돌출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게 된다.
상술과 같이 구성되는 플러그 커넥터(21)는, 리셉터클 커넥터(11)와 마찬가지로, 실용에 제공될 때에 배선 기판에 장착된다. 도 8 및 도 9는, 플러그 커넥터(21)가 배선 기판(3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플러그 커넥터(21)가 배선 기판(30)에 장착되는데 즈음해서는,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26)가 고착된 하우징(22)이, 투공(23) 내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26)의 각각의 기판 접속 단자부(26b)를 배선 기판(30)에 맞닿게 하는 상태로 배선 기판(30) 상에 배치된 하에서, 복수의 콘택트(26)의 각각에 있어서의 기판 접속 단자부(26b)가, 하우징(22)에 형성된 투공(23) 내에 있어서, 배선 기판(30)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도시가 생략되어 있다.)에,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콘택트(26)의 각각에 있어서의 기판 접속 단자부(26b)가 배선 기판(30)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예를 들면, 납땜되어 장착되는 하에서, 플러그 커넥터(21)의 전체가 배선 기판(30)에 고정된다.
이러한 때에, 복수의 콘택트(26)의 각각에 있어서의 기판 접속 단자부(26b)의 배선 기판(30)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대한 납땜 접속은, 하우징(22)에 형성된 투공(23)을 통해서 행할 수가 있으므로,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해진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배선 기판(20)에 장착된 리셉터클 커넥터(11)와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배선 기판(30)에 장착된 플러그 커넥터(21)는, 플러그 커넥터(21)의 하우징(22)을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13)에 내삽 감합시켜 상호 계합시켜지고, 배선 기판(20)과 배선 기판(30)이, 상호 계합한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플러그 커넥터(21)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면하는 상태를 취한다. 이에 의해, 배선 기판(20)과 배선 기판(30)이, 배선 기판(20)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와 배선 기판(30)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리셉터클 커넥터(11)에 있어서의 콘택트(17) 및 플러그 커넥터(21)에 있어서의 콘택트(26)를 통해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된 상태를 취하게 한 하에서 연결된다. 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2에 있어서의 XIII-XIII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13은,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플러그 커넥터(21)가 상호 계합시켜진 상태를, 배선 기판(20) 및 배선 기판(30)의 각각에 대해서의 도시를 생략한 하에서 나타낸다.
도 11~도 13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21)의 하우징(22)은, 그것에 고착된 복수의 콘택트(26)의 각각의 기판 접속 단자부(26b)를 도 10에 있어서의 상방으로 향하고, 하우징(22)에 있어서의 외면부(22a)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26)의 각각의 접촉 접속 단자부(26a)를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2)에 있어서의 오목부 형성부(12a)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17)의 각각의 접촉 접속 단자부(17a)에 대접(對接)시킨 상태로, 그 전체가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2)에 있어서의 오목부 형성부(12a)에 내삽 감합되어 있다. 이러한 하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1)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트(17) 및 플러그 커넥터(21)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트(26)의 모두가,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13) 내에 넣어져 있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내듯이,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2)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13)의 저부(13a)로부터 감합 오목부(13) 내로 돌출하는 맞닿음면부(16)가, 플러그 커넥터(21)의 하우징(22)에 있어서의 투공 형성부(24)에 설치된 맞닿음면부(25)에 맞닿아 맞닿음면부(25)를 위치 규제하고 있음과 아울러, 리셉터클 커넥터(11)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트(17)의 각각의 접촉 접속 단자부(17a)와 플러그 커넥터(21)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트(26)의 각각의 접촉 접속 단자부(26a)가 상호 접촉 접속되게 되어 있고, 또, 리셉터클 커넥터(11)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트(17)와 플러그 커넥터(21)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트(26)의 전부가,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2)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13)를 포위하는 외주면부를 전체적으로 덮게 되는 도전성 쉘(18)에 의해 포위된 상태에 놓여 있다.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21)의 하우징(22)이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2)에 있어서의 오목부 형성부(12a)에 내삽 감합된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되는 하에서, 상호 계합시켜진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플러그 커넥터(21)의 양자에 대해서, 리셉터클 커넥터(11)가 구비하는 도전성 쉘(18)에 의한 전자 쉴드 작용을 충분히 가져오게 된다.
상술과 같은 리셉터클 커넥터(11)와 플러그 커넥터(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21)의 하우징(22)이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2)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13)에 내삽 감합시켜졌을 때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1)에 있어서의 콘택트(17)의 접촉 접속 단자부(17a)와 플러그 커넥터(21)에 있어서의 콘택트(26)의 접촉 접속 단자부(26a)가 상호 접촉 접속됨과 아울러, 리셉터클 커넥터(11)에 있어서의 콘택트(17)와 플러그 커넥터(21)에 있어서의 콘택트(26)가, 각각의 전체가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2)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13)를 포위하는 외주면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18)에 의해 포위된 상태에 놓인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2)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13)을 포위하는 외주면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18)이 구비되는 만큼의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접촉 접속 단자부(17a)와 접촉 접속 단자부(26a)가 상호 접촉 접속되게 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1)에 있어서의 콘택트(17)와 플러그 커넥터(21)에 있어서의 콘택트(26)에 대한 전자 쉴드가, 기판 접속 단자부(17b) 및 기판 접속 단자부(26b)를 포함한 리셉터클 커넥터(11)에 있어서의 콘택트(17)와 플러그 커넥터(21)에 있어서의 콘택트(26)의 전체에 대해서, 충분히 행해지게 된다.
또, 상술과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1)에 있어서의 콘택트(17)와 플러그 커넥터(21)에 있어서의 콘택트(26)의 전체에 대해서의 전자 쉴드 작용을 가져오는 도전성 쉘(18)은,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2)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13)를 포위하는 외주면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것으로서 리셉터클 커넥터(11)가 구비하는 것이고, 리셉터클 커넥터(11)와 일체화된 것으로서, 리셉터클 커넥터(11)와는 별체로 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리셉터클 커넥터(11)를 배선 기판(20)에 장착하는데 즈음하여, 예를 들면,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2)을 배선 기판(20)에 고정한 후, 도전성 쉘(18)을 배선 기판(20)에 장착한다고 하는 것 같은, 번거로운 작업은 불필요하게 되고, 리셉터클 커넥터(11)의 배선 기판(20)에의 장착 작업 공정에 복잡화와 번잡함이 초래될 우려가 없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1)가 구비하는 콘택트(17)의 기판 접속 단자부(17b)에 대해서의 배선 기판(20)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와의 납땜에 의한 접속은, 리셉터클 커넥터(11)의 하우징(12)에 형성된 투공(14)을 통해서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게 되고, 또, 플러그 커넥터(21)가 구비하는 콘택트(26)의 기판 접속 단자부(26b)에 대해서의 배선 기판(30)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와의 납땜에 의한 접속도, 플러그 커넥터(21)의 하우징(22)에 형성된 투공(23)을 통해서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1)의 배선 기판(20)에의 장착 작업 공정 및 플러그 커넥터(21)의 배선 기판(30)에의 장착 작업 공정에 복잡화와 번잡함이 초래될 우려는 없다.
이것으로부터, 전술의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의하면, 배선 기판(20) 및 배선 기판(30)에 각각 장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1) 및 플러그 커넥터(21)를 구비한 하에 있어서, 배선 기판(20)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와 배선 기판(30)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전기적 상호 접속 상태를 취하게 하여 배선 기판(20)과 배선 기판(30)을 연결하는데 즈음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1)의 배선 기판(20)에의 장착 작업 공정 및 플러그 커넥터(21)의 배선 기판(30)에의 장착 작업 공정에 복잡화와 번잡함을 초래할 우려가 없고,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충분한 전자 쉴드 작용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2개의 배선 기판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의 배선 단자부에 전기적 상호 접속 상태를 취하게 하여 양쪽 배선 기판을 연결할 때에 이용되는, 한 쌍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전자 쉴드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각 커넥터의 배선 기판에의 장착 작업 공정에 복잡화와 번잡함을 초래할 우려가 없고,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충분한 전자 쉴드 작용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다양한 전자기기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11 :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제1의 커넥터)
12 : 하우징(제1의 하우징)
12a : 오목부 형성부 13 : 감합 오목부
13a : 저부(底部) 14 : 투공(제1의 투공)
15 : 융기부
16 : 맞닿음면부(제1의 맞닿음면부)
17 : 콘택트(제1의 콘택트)
17a : 접촉 접속 단자부(제1의 접촉 접속 단자부)
17b : 기판 접속 단자부(제1의 기판 접속 단자부)
17c, 26c : 고정부 18 : 도전성 쉘(shell)
18a : 기판 접속부 20, 30 : 배선 기판
21 : 플러그(plug) 커넥터(제2의 커넥터)
22 : 하우징( 제2의 하우징)
23 ; 투공(제2의 투공) 24 : 투공 형성부
25 : 맞닿음면부(제2의 맞닿음면부)
26 : 콘택트(제2의 콘택트)
26a ; 접촉 접속 단자부(제2의 접촉 접속 단자부)
26b : 기판 접속 단자부(제2의 기판 접속 단자부)

Claims (6)

  1. 감합 오목부가 설치되고 당해 감합 오목부의 저부에 제1의 투공이 형성된 제1의 하우징, 제1의 접촉 접속 단자부 및 제1의 기판 접속 단자부를 가지고, 상기 제1의 접촉 접속 단자부가 상기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감합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의 기판 접속 단자부가 상기 제1의 투공 내에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제1의 하우징에 고착된 제1의 콘택트, 및 상기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감합 오목부를 포위하는 외주면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을 가진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투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감합 오목부에 내삽 감합시켜지는 제2의 하우징, 및, 제2의 접촉 접속 단자부 및 제2의 기판 접속 단자부를 가지고, 상기 제2의 접촉 접속 단자부가 상기 제2의 하우징의 외면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기판 접속 단자부가 상기 제2의 투공 내에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제2의 하우징에 고착된 제2의 콘택트를 가진 제2의 커넥터,
    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의 하우징이, 상기 감합 오목부의 저부로부터 당해 감합 오목부 내로 돌출하는 제1의 맞닿음면부가 설치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하우징이, 상기 제2의 투공을 형성하는 투공 형성부에 제2의 맞닿음면부가 설치되게 되고, 상기 제2의 하우징이 상기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감합 오목부에 내삽 감합시켜졌을 때, 상기 제1의 맞닿음면부가 상기 제2의 맞닿음면부에 맞닿아 당해 제2의 맞닿음면부를 위치 규제하는 하에서, 상기 제1의 접촉 접속 단자부와 상기 제2의 접촉 접속 단자부가 상호 접촉 접속되고, 상기 제1의 콘택트와 상기 제2의 콘택트가 상기 도전성 쉘에 의해 포위된 상태에 놓이는 커넥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콘택트의 복수개가 상기 제1의 하우징에 배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콘택트의 복수개가 상기 제2의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감합 오목부가 직사각형 오목부를 이룸과 아울러 상기 제2의 하우징이 직사각형 외형을 이루고, 상기 복수의 제1의 콘택트의 각각이 가지는 상기 제1의 접촉 접속 단자부가 상기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직사각형 오목부의 한 변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부의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의 콘택트의 각각이 가지는 상기 제2의 접촉 접속 단자부가 상기 제2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직사각형 외형의 한 변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제1의 투공이 직사각형의 투공을 이룸과 아울러 상기 제2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제2의 투공이 직사각형의 투공을 이루고, 상기 복수의 제1의 콘택트의 각각이 가지는 상기 제1의 기판 접속 단자부가 상기 제1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직사각형의 투공의 한 변부로부터 돌출하여 당해 직사각형의 투공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의 콘택트의 각각이 가지는 상기 제2의 기판 접속 단자부가 상기 제2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직사각형의 투공의 한 변부로부터 돌출하여 당해 직사각형의 투공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의 콘택트가 제1의 콘택트군과 제2의 콘택트군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제1의 콘택트 중의 상기 제1의 콘택트군에 속하는 것의 각각이 가지는 상기 제1의 기판 접속 단자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1의 콘택트 중의 상기 제2의 콘택트군에 속하는 것의 각각이 가지는 상기 제1의 기판 접속 단자부가, 상기 제1의 투공 내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위치를 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의 콘택트가 제3의 콘택트군과 제4의 콘택트군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제2의 콘택트 중의 상기 제3의 콘택트군에 속하는 것의 각각이 가지는 상기 제2의 기판 접속 단자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2의 콘택트 중의 상기 제4의 콘택트군에 속하는 것의 각각이 가지는 상기 제2의 기판 접속 단자부가, 상기 제2의 투공 내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위치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160019020A 2015-03-18 2016-02-18 커넥터 장치 KR101807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55063A JP6436350B2 (ja) 2015-03-18 2015-03-18 コネクタ装置
JPJP-P-2015-055063 2015-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939A KR20160112939A (ko) 2016-09-28
KR101807388B1 true KR101807388B1 (ko) 2017-12-08

Family

ID=5692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020A KR101807388B1 (ko) 2015-03-18 2016-02-18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55511B1 (ko)
JP (1) JP6436350B2 (ko)
KR (1) KR101807388B1 (ko)
CN (1) CN105990768B (ko)
TW (1) TWI6066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7856B2 (ja) 2020-01-15 2024-0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N113675651A (zh) * 2020-05-13 2021-11-19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US20230110507A1 (en) 2021-10-01 2023-04-13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pa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8001A (ja) * 2006-03-23 2007-10-04 Hirose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付き電気コネクタ
US20080026609A1 (en) 2006-07-31 2008-01-31 Keisuke Kuwana Low profile connector
US20080139057A1 (en) 2006-12-06 2008-06-12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20130260594A1 (en) 2012-03-29 2013-10-03 Kuo-Ching Lee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2088U (ko) * 1990-08-10 1992-04-09
JPH10172685A (ja) 1996-12-09 1998-06-26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シェル付きコネクタ、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2004103491A (ja) * 2002-09-12 2004-04-02 Honda Tsushin Kogyo Co Ltd 表面実装型コネクタ
JP4349633B2 (ja) * 2005-10-21 2009-10-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7328946A (ja) * 2006-06-06 2007-12-20 Smk Corp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
JP4333884B2 (ja) 2007-03-01 2009-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828559B2 (en) * 2008-12-12 2010-11-0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 board connector assembly
JP5845029B2 (ja) * 2011-09-16 2016-01-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ハウジングレスコネクタ
JP5614549B2 (ja) * 2011-11-30 2014-10-29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端子接続装置
JP5871729B2 (ja) * 2012-06-28 2016-03-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ハウジングレス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8001A (ja) * 2006-03-23 2007-10-04 Hirose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付き電気コネクタ
US20080026609A1 (en) 2006-07-31 2008-01-31 Keisuke Kuwana Low profile connector
US20080139057A1 (en) 2006-12-06 2008-06-12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20130260594A1 (en) 2012-03-29 2013-10-03 Kuo-Ching Lee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6644B (zh) 2017-11-21
KR20160112939A (ko) 2016-09-28
JP2016177884A (ja) 2016-10-06
US9455511B1 (en) 2016-09-27
TW201635650A (zh) 2016-10-01
US20160276766A1 (en) 2016-09-22
CN105990768B (zh) 2018-06-15
JP6436350B2 (ja) 2018-12-12
CN105990768A (zh)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0114B2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US10361519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assembly with sandwiching type shielding plate set
US11824312B2 (en) Board-connecting electric connector device
US9755372B2 (en) Board-connecting electric connector
KR101471283B1 (ko) 커넥터 장치
US1031263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eamless shielding shell and single row of contacts
JP6840840B2 (ja) シールドされた基板対基板コネクタ
CN106410457B (zh) 基板连接用电连接器
KR101655208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실장체
JP2016100190A (ja) 同軸コネクタ組立て
JP7187975B2 (ja) 同軸コネクタ装置
JP7251552B2 (ja) 同軸コネクタ装置
CN214849393U (zh) 连接器组装体
KR101807388B1 (ko) 커넥터 장치
US9385487B2 (en) Active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20160101520A (ko) 리셉터클 커넥터
JP2013089342A (ja) コネクタ装置
CN112351629A (zh) 电子设备
JP6834739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8190600A (ja) 配線基板連結装置
JP2022017698A (ja) コネクタ組立体
CN115706363A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