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516A -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516A
KR20130083516A KR1020120004126A KR20120004126A KR20130083516A KR 20130083516 A KR20130083516 A KR 20130083516A KR 1020120004126 A KR1020120004126 A KR 1020120004126A KR 20120004126 A KR20120004126 A KR 20120004126A KR 20130083516 A KR20130083516 A KR 20130083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nonwoven fabric
aqueous
gravure printing
ink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872B1 (ko
Inventor
주상열
이의영
이선도
Original Assignee
한양잉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잉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잉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4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87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90Methods of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에멀젼 수지,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수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 30∼50중량%와, 무기질충진재 25∼50중량%와,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디스퍼젼 0.5∼12중량%와, 티타늄디옥사이드 0.5∼12중량%와, 발포제 0.1∼12중량%와,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 0.01∼5중량%와,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001∼3중량% 및 물 3∼8중량%를 포함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직포 벽지 제조에 적합하고 저장성, 안정성, 환경친화성 등이 개선된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얻을 수 있고, 잉크의 전이성, 인쇄성, 잉크의 발색성 등이 개선된 부직포 벽지를 제조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Water based foaming-ink composite for gravure prin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non-woven fabrics wallpaper using the water based foaming-ink composite}
본 발명은 발포성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직포 벽지 제조에 적합하고 저장성, 안정성, 환경친화성 등이 개선된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라비아 인쇄는 오목판 인쇄의 일종이다. 오목판 인쇄는 지폐, 유가증권, 각종 포장재 등에 사용되는 인쇄방식이며, 그라비아 인쇄는 사진술을 응용한 오목판의 대표적인 인쇄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라비아 인쇄는 잡지, 주간지 등의 출판물 인쇄 분야와 벽지, 장판, 나염인쇄, 전사지, 플라스틱, 패키지 등의 산업 인쇄 분야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가치변화 및 환경에 대한 규제, 고품질화, 저가격화, 제품에 대한 환경친화성 및 안정성 등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맞춰 그라비아 인쇄는 프리프레스의 디지털화, 인쇄결점 감시장치, 잉크자동공급 및 자동조색장치 등 첨단기술 등이 도입되고 있으며, 환경친화적인 면에서 용제 자동회수, 재활용장치, 수성잉크 사용 등 다각적인 인쇄 기술 개발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라비아 인쇄는 내쇄력이 좋고 인쇄기구가 간단하므로 고속, 대로트 인쇄에 적합하지만, 제판 공정이 길고 제판 코스트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그라비아 인쇄는 연속 무늬의 인쇄가 가능하고,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가 용제형이며, 망점의 크기 및 깊이에 따른 잉크 도막 두께에 따라 농담이 표현되므로 연색 범위가 타 인쇄 방식보다 넓어서 보다 중후하고 미려한 인쇄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장점들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을 이용하여 부직포 벽지를 제조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며, 따라서 부직포 벽지 제조에 적합하고 저장성, 안정성, 환경친화성 등이 개선된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직포 벽지 제조에 적합하고 저장성, 안정성, 환경친화성 등이 개선된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에멀젼 수지,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수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 30∼50중량%와, 무기질충진재 25∼50중량%와,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디스퍼젼 0.5∼12중량%와, 티타늄디옥사이드 0.5∼12중량%와, 발포제 0.1∼12중량%와,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 0.01∼5중량%와,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001∼3중량% 및 물 3∼8중량%를 포함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은 디에틸렌 글리콜 0.1∼12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계 왁스 0.01∼3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은 폴리우레탄계 증점제 0.001∼2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은 항균제 0.001∼2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균제는, 1,2-벤즈아이소티아졸-3-원(1,2-benzisothiazol-3-one) 5∼60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0.1∼20중량% 및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25∼80중량%를 포함하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는 소수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이소-부탄(iso-Butane) 또는 이소-펜탄(iso-Pentane)의 액화가스가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재질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발포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에멀젼 수지,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수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 30∼50중량%, 무기질충진재 25∼50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디스퍼젼 0.5∼12중량%, 티타늄디옥사이드 0.5∼12중량%, 발포제 0.1∼12중량%,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 0.01∼5중량%,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001∼3중량% 및 물 3∼8중량%를 포함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에 부직포를 장착하고 인쇄할 문양에 따라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의 인쇄 도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인쇄될 부직포의 면을 매끄럽게 하고 잉크 전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 상부에 부직포용 프라이머를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가 코팅된 상부에 수성 잉크를 도포하여 상기 문양이 부여된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층 상부에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에 부직포를 장착하기 전에 또는 상기 발포시키는 단계 후에, 부직포의 흐느적거리는 질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가 코팅되는 면의 반대쪽 부직포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백상지 또는 합지용부직포를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에 부직포를 장착하기 전에 또는 상기 발포시키는 단계 후에, 인쇄성과 부직포의 질감을 개선하고 백상지 또는 합지용부직포 합지 시에 접착제가 배어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가 코팅되는 면의 반대쪽 부직포에 부직포용 코팅제를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용 코팅제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백상지 또는 합지용부직포를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부직포용 코팅제는 아크릴 에멀젼 수지 40∼70중량%, 물 15∼50중량%, 백색 잉크 1∼30중량%,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 0.01∼5중량%, 폴리우레탄계 증점제 0.01∼5중량% 및 습윤제 0.0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로는 이소프로필 알콜을 사용하거나 이소프로필 알콜 10∼60중량%, 에틸 알콜 20∼80중량% 및 물 1∼20중량%가 혼합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1㎡당 70∼130g의 중량인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발포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부직포의 표면 온도가 60∼120℃로 설정되게 하여 발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에멀젼 수지,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수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 30∼50중량%와 물 3∼8중량%를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001∼3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디스퍼젼 0.5∼12중량% 및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 0.01∼5중량%를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가 혼합된 용액에 발포제 0.1∼12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발포제가 혼합된 용액에 티타늄디옥사이드 0.5∼12중량%와 무기질충진재 25∼50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은 점도가 3,000∼6,000cps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수지와 물이 혼합된 용액에 디에틸렌 글리콜 0.1∼12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수지와 물이 혼합된 용액에 폴리에틸렌계 왁스 0.01∼3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수지와 물이 혼합된 용액에 폴리우레탄계 증점제 0.001∼2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수지와 물이 혼합된 용액에 1,2-벤즈아이소티아졸-3-원(1,2-benzisothiazol-3-one) 5∼60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0.1∼20중량% 및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25∼80중량%를 포함하는 항균제 0.001∼2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이소-부탄(iso-Butane) 또는 이소-펜탄(iso-Pentane)의 액화가스가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재질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발포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직포 벽지 제조에 적합하고 저장성, 안정성, 환경친화성 등이 개선된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잉크의 전이성, 인쇄성, 잉크의 발색성 등이 개선된 부직포 벽지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은,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에멀젼 수지,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수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 30∼50중량%와, 무기질충진재 25∼50중량%와,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디스퍼젼 0.5∼12중량%와, 티타늄디옥사이드 0.5∼12중량%와, 발포제 0.1∼12중량%와,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 0.01∼5중량%와,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001∼3중량% 및 물 3∼8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은 디에틸렌 글리콜 0.1∼12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에틸렌 글리콜은 유연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계 왁스 0.01∼3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왁스는 슬립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은 폴리우레탄계 증점제 0.001∼2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은 항균제 0.001∼2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균제는 1,2-벤즈아이소티아졸-3-원(1,2-benzisothiazol-3-one) 5∼60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0.1∼20중량% 및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25∼80중량%를 포함하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에멀젼 수지는 물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가 분산된 물질로서 고형분이 40∼70% 정도인 에멀젼 형태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는 물에 아크릴계 수지가 분산된 물질로서 고형분이 30∼70% 정도인 에멀젼 형태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용매에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분산된 수지로서 고형분이 25∼6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계 디스퍼젼(dispersion)은 물에 용해된 고분자량(high molecular weight)의 물질로서 고형분이 30∼7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디스퍼젼은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에 0.5∼12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타늄디옥사이드는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에 0.5∼12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타늄디옥사이드는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의 백색도를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포제는 이소-부탄(iso-Butane) 또는 이소-펜탄(iso-Pentane)의 액화가스가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재질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발포제이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에 0.1∼12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는 소포제의 역할을 하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에 0.0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는 소수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실리카는 상기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에 0.01∼3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은 분산제의 역할을 하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에 0.001∼3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은 물에 용해되어 있는 물질로서 고형분이 25∼6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질충진재는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각섬석, 황산바륨, 규조토, 탈크, 실리카 등의 광물질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무기질충진재는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에 25∼5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에 부직포를 장착하고 인쇄할 문양에 따라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의 인쇄 도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인쇄될 부직포의 면을 매끄럽게 하고 잉크 전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 상부에 부직포용 프라이머를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가 코팅된 상부에 수성 잉크를 도포하여 상기 문양이 부여된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층 상부에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은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에멀젼 수지,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수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 30∼50중량%, 무기질충진재 25∼50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디스퍼젼 0.5∼12중량%, 티타늄디옥사이드 0.5∼12중량%, 발포제 0.1∼12중량%,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 0.01∼5중량%,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001∼3중량% 및 물 3∼8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에 부직포를 장착하기 전에 또는 상기 발포시키는 단계 후에, 부직포의 흐느적거리는 질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가 코팅되는 면의 반대쪽 부직포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백상지 또는 합지용부직포를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에 부직포를 장착하기 전에 또는 상기 발포시키는 단계 후에, 인쇄성과 부직포의 질감을 개선하고 백상지 또는 합지용부직포 합지 시에 접착제가 배어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가 코팅되는 면의 반대쪽 부직포에 부직포용 코팅제를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용 코팅제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백상지 또는 합지용부직포를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부직포용 코팅제는 아크릴 에멀젼 수지 40∼70중량%, 물 15∼50중량%, 백색 잉크 1∼30중량%,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 0.01∼5중량%, 폴리우레탄계 증점제 0.01∼5중량% 및 습윤제 0.0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로는 이소프로필 알콜을 사용하거나 이소프로필 알콜 10∼60중량%, 에틸 알콜 20∼80중량% 및 물 1∼20중량%가 혼합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1㎡당 70∼130g의 중량인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발포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부직포의 표면 온도가 60∼120℃로 설정되게 하여 발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에멀젼 수지,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수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 30∼50중량%와 물 3∼8중량%를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001∼3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디스퍼젼 0.5∼12중량% 및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 0.01∼5중량%를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가 혼합된 용액에 발포제 0.1∼12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발포제가 혼합된 용액에 티타늄디옥사이드 0.5∼12중량%와 무기질충진재 25∼50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은 점도가 3,000∼6,000cps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수지와 물이 혼합된 용액에 디에틸렌 글리콜 0.1∼12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수지와 물이 혼합된 용액에 폴리에틸렌계 왁스 0.01∼3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수지와 물이 혼합된 용액에 폴리우레탄계 증점제 0.001∼2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수지와 물이 혼합된 용액에 항균제 0.001∼2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균제는, 1,2-벤즈아이소티아졸-3-원(1,2-benzisothiazol-3-one) 5∼60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0.1∼20중량% 및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25∼80중량%를 포함하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무기질충진재는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각섬석, 황산바륨, 규조토, 탈크, 실리카 등의 광물질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무기질충진재는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에 25∼5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여 준비한다.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에멀젼 수지,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수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 30∼50중량%와 물 3∼8중량%를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001∼3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디스퍼젼 0.5∼12중량% 및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 0.01∼5중량%를 첨가한다. 이때,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및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디스퍼젼이 충분히 습윤될 수 있도록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1,500∼1800rpm 정도로 설정한다. 상기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는 기포를 제거하여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디스퍼젼이 수지에 충분히 습윤되어 안정된 조성물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여기에 분말(파우더) 타입의 폴리에틸렌계 왁스를 첨가하게 되면 수지의 끈적임(tack)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기에 디에틸렌 글리콜 0.1∼12중량%, 폴리우레탄계 증점제 0.001∼2중량% 또는 항균제 0.001∼2중량%를 투입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가 혼합된 용액에 발포제 0.1∼12중량%를 서서히 투입하면서 교반한다. 이때 교반기의 회전속도가 너무 높을 경우에 열이 발생하여 배합하는 과정에서 발포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과도한 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1,800∼2,200rpm 정도로 유지하면서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제가 혼합된 용액에 백색도 및 발포배율을 유지하기 위해 티타늄디옥사이드 0.5∼12중량%와 무기질충진재 25∼50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한다. 상기 무기질충진재를 급격히 다량 투입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수지와 엉김 현상이 발생하여 수지가 석출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무기질충진재를 서서히 투입하여 분산이 충분히 이루어지는 지를 확인하면서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배합이 완료된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은 점도가 3,000∼6,000cps 범위의 점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지 제조에 사용될 부직포(10)를 준비한다. 상기 부직포는 1㎡당 20~150g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1㎡당 70~130g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인쇄성, 인쇄 질감, 잉크 절약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백상지 또는 합지용부직포와 합지하는 경우의 부직포의 중량은 1㎡당 70~90g인 것이 바람직하고, 백상지 또는 합지용부직포와 합지하지 않고 부직포 단독으로 사용 시에는 1㎡당 90~130g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방법에 따라 부직포를 선택하여 벽지를 제조한다.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에 부직포(10)를 장착하고 인쇄할 문양에 따라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의 인쇄 도수를 설정한다.
인쇄될 부직포의 면을 매끄럽게 하고 잉크 전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 상부에 부직포용 프라이머(20)를 코팅한다.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로는 이소프로필 알콜을 사용하거나 이소프로필 알콜 10∼60중량%, 에틸 알콜 20∼80중량% 및 물 1∼20중량%가 혼합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중량에 따라 흡수율이 다르기 때문에 이소프로필 알콜이나 이소프로필 알콜 10∼60중량%, 에틸 알콜 20∼80중량% 및 물 1∼20중량%가 혼합된 조성물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소프로필 알콜은 부직포에 대한 침투력이 우수하여 잉크의 전이성이 개선될 수 있게 한다. 알콜의 증발 속도가 너무 빠르면 잉크가 전이되기 전에 건조되어 부직포용 프라이머를 코팅하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소프로필 알콜과 에틸 알콜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여기에 물이 첨가됨으로써 친환경적인 요소가 증가되어 이소프로필 알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이때 물의 사용량은 20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의 사용량이 2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부직포에 대한 침투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부직포용 프라이머를 코팅 시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의 실린더의 선수는 60∼100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0선 미만으로 코팅하게 되면 부직포용 프라이머의 도포량이 너무 많아서 색조의 효과를 오히려 떨어뜨릴 수 있고, 반대로 100선을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부직포용 프라이머의 도포량이 너무 작아서 인쇄 표면이 거칠게 나타날 수가 있다.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20)가 코팅된 상부에 수성 잉크를 도포하여 상기 문양이 부여된 인쇄층(30)을 형성한다. 수성 잉크를 이용하여 원하는 문양(또는 무늬)을 부여하며, 바람직하게는 1∼6도 무늬를 갖는 인쇄층을 형성한다. 상기 수성 잉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성의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30) 상부에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40)을 코팅하고,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40)을 발포시킨다.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코팅시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의 실린더의 선수는 20~60선(도포량으로 40~160㎛ 두께 정도)을 사용하여야 발포에 적절한 도포량이 형성될 수 있다. 발포 시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의 건조챔버 온도는 60~190℃정도로 설정(setting)하여 부직포의 표면온도가 60℃ 이상에 도달했을 때 적절한 발포가 발생되게 한다. 만일 온도가 약하거나(60℃ 미만) 너무 강하면(120℃ 초과) 미발포 내지는 과발포가 일어나 원하는 발포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에 부직포(10)를 장착하기 전에 또는 상기 발포시키는 단계 후에, 부직포의 흐느적거리는 질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20)가 코팅되는 면의 반대쪽 부직포(1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백상지(50)를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에 부직포(10)를 장착하기 전에 또는 상기 발포시키는 단계 후에, 부직포의 흐느적거리는 질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20)가 코팅되는 면의 반대쪽 부직포(1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합지용부직포(60)를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에 부직포(10)를 장착하기 전에 또는 상기 발포시키는 단계 후에, 인쇄성과 부직포의 질감을 개선하고 백상지(50) 합지 시에 접착제가 배어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20)가 코팅되는 면의 반대쪽 부직포(10)에 부직포용 코팅제(70)를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용 코팅제(7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백상지(50)를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에 부직포(10)를 장착하기 전에 또는 상기 발포시키는 단계 후에, 인쇄성과 부직포의 질감을 개선하고 합지용부직포(60) 합지 시에 접착제가 배어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20)가 코팅되는 면의 반대쪽 부직포(10)에 부직포용 코팅제(70)를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용 코팅제(7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합지용부직포(60)를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용 코팅제는 아크릴 에멀젼 수지 40∼70중량%, 물 15∼50중량%, 백색 잉크 1∼30중량%,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 0.01∼5중량%, 폴리우레탄계 증점제 0.01∼5중량% 및 습윤제 0.0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용 코팅제에 사용되는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40∼7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70℃를 초과하면 아크릴 에멀젼 수지가 너무 하드(hard)하여 부직포의 질감을 떨어뜨릴 수 있고 부직포에 대한 부직포용 코팅제의 흡수도가 미흡하여 인쇄 표면 개선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색 잉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부직포에 대한 흡수도가 떨어지고, 상기 백색 잉크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인쇄 시에 잉크의 전이성이 떨어지고 잉크의 발색이 선명하지 않는 단점이 있으므로, 백색 잉크의 함량은 1∼30중량% 정도인 것이 인쇄성, 잉크 발색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용 코팅제는 콤마코터 또는 리버스 코터 방식을 이용하여 25∼45㎛ 정도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용 코팅제는 부직포의 섬유조직을 조밀하게 나타내도록 하여, 부직포의 두께가 얇아서 흐느적거리는 질감을 좀더 견고하게 하거나, 인쇄성을 개선하고, 부직포 인쇄 이면에 백상지 또는 합지용부직포를 합지 시 접착제가 배어나오는 것을 보완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의 실시예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다음에 제시하는 실시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성분 함량(중량%)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 37
5.3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2
항균제 0.1
폴리디메틸실록산 디스퍼젼 5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 1
폴리에틸렌 왁스 1
발포제(이소-펜탄 액화가스가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재질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발포제) 2.4
발포제(이소-부탄 액화가스가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재질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발포제) 4
티타늄디옥사이드 5
수산화알루미늄 무기질충진재 39
상기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는 고형분이 55%이고,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은 고형분이 42%이며,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 디스퍼젼은 고형분이 40%이고, 상기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는 소수성 실리카 5중량%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실시예 2>
성분 함량(중량%)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 37
5.3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2
항균제 0.1
폴리디메틸실록산 디스퍼젼 5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 1
폴리에틸렌 왁스 1
발포제(이소-펜탄 액화가스가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재질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발포제) 2
발포제(이소-부탄 액화가스가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재질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발포제) 4.4
티타늄디옥사이드 5
수산화알루미늄 무기질충진재 39
상기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는 고형분이 55%이고,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은 고형분이 42%이며,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 디스퍼젼은 고형분이 40%이고, 상기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는 소수성 실리카 5중량%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실시예 3>
성분 함량(중량%)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 34
5.7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2
디에틸렌 글리콜 6
항균제 0.1
폴리디메틸실록산 디스퍼젼 5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 1
발포제(이소-부탄 액화가스가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재질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발포제) 5
티타늄디옥사이드 5
수산화알루미늄 무기질충진재 38
상기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는 고형분이 55%이고,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은 고형분이 42%이며,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 디스퍼젼은 고형분이 40%이고, 상기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는 소수성 실리카 5중량%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실시예 4>
성분 함량(중량%)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 34
5.7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2
디에틸렌 글리콜 6
항균제 0.1
폴리디메틸실록산 디스퍼젼 5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 1
발포제(이소-부탄 액화가스가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재질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발포제) 5
티타늄디옥사이드 5
탄산칼슘 무기질충진재 8
수산화알루미늄 무기질충진재 30
상기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는 고형분이 55%이고,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은 고형분이 42%이며,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 디스퍼젼은 고형분이 40%이고, 상기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는 소수성 실리카 5중량%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실시예 5>
성분 함량(중량%)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42
5.47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2
항균제 0.1
폴리디메틸실록산 디스퍼젼 6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 1
발포제(이소-부탄 액화가스가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재질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발포제) 6
티타늄디옥사이드 6
수산화알루미늄 무기질충진재 33
폴리우레탄계 증점제 0.23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고형분이 40%이고,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은 고형분이 42%이며,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 디스퍼젼은 고형분이 40%이고, 상기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는 소수성 실리카 5중량%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실시예 6>
성분 함량(중량%)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30
5.7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2
항균제 0.1
폴리디메틸실록산 디스퍼젼 6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 1
발포제(이소-부탄 액화가스가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재질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발포제) 5
티타늄디옥사이드 5
탄산칼슘 무기질충진재 47
상기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는 고형분이 62%이고,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은 고형분이 42%이며,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 디스퍼젼은 고형분이 40%이고, 상기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는 소수성 실리카 5중량%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부직포 20: 부직포용 프라이머
30: 인쇄층 40: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
50: 백상지 60: 합지용부직포
70: 부직포용 코팅제

Claims (19)

  1.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에멀젼 수지,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수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 30∼50중량%;
    무기질충진재 25∼50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디스퍼젼 0.5∼12중량%;
    티타늄디옥사이드 0.5∼12중량%;
    발포제 0.1∼12중량%;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 0.01∼5중량%;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001∼3중량%; 및
    물 3∼8중량%를 포함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디에틸렌 글리콜 0.1∼12중량%를 더 포함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계 왁스 0.01∼3중량%를 더 포함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계 증점제 0.001∼2중량%를 더 포함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항균제 0.001∼2중량%를 더 포함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1,2-벤즈아이소티아졸-3-원(1,2-benzisothiazol-3-one) 5∼60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0.1∼20중량% 및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25∼80중량%를 포함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는 소수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이소-부탄(iso-Butane) 또는 이소-펜탄(iso-Pentane)의 액화가스가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재질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발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
  9.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에멀젼 수지,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수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 30∼50중량%, 무기질충진재 25∼50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디스퍼젼 0.5∼12중량%, 티타늄디옥사이드 0.5∼12중량%, 발포제 0.1∼12중량%,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 0.01∼5중량%,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001∼3중량% 및 물 3∼8중량%를 포함하는 제1항에 기재된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에 부직포를 장착하고 인쇄할 문양에 따라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의 인쇄 도수를 설정하는 단계;
    인쇄될 부직포의 면을 매끄럽게 하고 잉크 전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 상부에 부직포용 프라이머를 코팅하는 단계;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가 코팅된 상부에 수성 잉크를 도포하여 상기 문양이 부여된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 상부에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에 부직포를 장착하기 전에 또는 상기 발포시키는 단계 후에,
    부직포의 흐느적거리는 질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가 코팅되는 면의 반대쪽 부직포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백상지 또는 합지용부직포를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장치에 부직포를 장착하기 전에 또는 상기 발포시키는 단계 후에,
    인쇄성과 부직포의 질감을 개선하고 백상지 또는 합지용부직포 합지 시에 접착제가 배어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가 코팅되는 면의 반대쪽 부직포에 부직포용 코팅제를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용 코팅제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백상지 또는 합지용부직포를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용 코팅제는 아크릴 에멀젼 수지 40∼70중량%, 물 15∼50중량%, 백색 잉크 1∼30중량%,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 0.01∼5중량%, 폴리우레탄계 증점제 0.01∼5중량% 및 습윤제 0.01∼5중량%를 포함하는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용 프라이머로는 이소프로필 알콜을 사용하거나 이소프로필 알콜 10∼60중량%, 에틸 알콜 20∼80중량% 및 물 1∼20중량%가 혼합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1㎡당 70∼130g의 중량인 부직포를 사용하며, 상기 발포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부직포의 표면 온도가 60∼120℃로 설정되게 하여 발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수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에멀젼 수지, 수성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수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 30∼50중량%와 물 3∼8중량%를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용액 0.001∼3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디스퍼젼 0.5∼12중량% 및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 0.01∼5중량%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테르실록산계 공중합체가 혼합된 용액에 발포제 0.1∼12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발포제가 혼합된 용액에 티타늄디옥사이드 0.5∼12중량%와 무기질충진재 25∼50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은 점도가 3,000∼6,000cps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와 물이 혼합된 용액에 디에틸렌 글리콜 0.1∼12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와 물이 혼합된 용액에 폴리에틸렌계 왁스 0.01∼3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와 물이 혼합된 용액에 폴리우레탄계 증점제 0.001∼2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와 물이 혼합된 용액에 1,2-벤즈아이소티아졸-3-원(1,2-benzisothiazol-3-one) 5∼60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0.1∼20중량% 및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25∼80중량%를 포함하는 항균제 0.001∼2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이소-부탄(iso-Butane) 또는 이소-펜탄(iso-Pentane)의 액화가스가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재질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발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KR1020120004126A 2012-01-13 2012-01-13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KR101405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126A KR101405872B1 (ko) 2012-01-13 2012-01-13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126A KR101405872B1 (ko) 2012-01-13 2012-01-13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516A true KR20130083516A (ko) 2013-07-23
KR101405872B1 KR101405872B1 (ko) 2014-06-18

Family

ID=4899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126A KR101405872B1 (ko) 2012-01-13 2012-01-13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87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3910A (zh) * 2013-09-27 2014-01-01 广东玉兰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手绘画效果的墙纸及其制作工艺
CN103694788A (zh) * 2013-11-28 2014-04-02 林国良 一种墙纸凹版印刷专用水性发泡油墨及其制备方法
CN104358372A (zh) * 2014-10-14 2015-02-18 邱有英 一种立体彩色植绒墙纸的制作方法
KR101628926B1 (ko) * 2015-12-17 2016-06-21 주식회사 제일벽지 수지층 및 그라비아인쇄층을 발포하여 입체무늬를 갖는 벽지제조방법
CN106703355A (zh) * 2017-02-24 2017-05-24 四川金路高新材料有限公司 可产生负氧离子墙面装饰材料的生产方法
CN107618281A (zh) * 2017-10-14 2018-01-23 海宁市天祥包装机械厂 一种3d立体浮雕产品包装及其制造方法
CN108505351A (zh) * 2018-03-31 2018-09-07 江苏奥力广告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工艺专用艺术布及其生产方法
KR20190007363A (ko) * 2017-12-21 2019-01-2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발포 프린팅 방법
KR20200021325A (ko) * 2018-08-20 2020-02-28 이병찬 필름용 수성 그라비아 잉크 및 그 제조방법
CN110964376A (zh) * 2019-12-02 2020-04-07 快思瑞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水性发泡油墨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2090888A1 (en) * 2020-11-02 2022-05-05 Alma Mater Studiorum - Universita' Di Bologna Liquid foams of ethylene vinyl acetate resin/s for the restoration of paintings on canvas
CN116694142A (zh) * 2023-08-07 2023-09-05 晋江厚德印花有限公司 着色效果好的转印膜打印用颜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350B1 (ko) 2021-08-11 2022-05-16 주식회사 삼호코퍼레이션 벽지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5765A (ja) * 2003-04-21 2004-11-11 Idemitsu Kosan Co Ltd 印刷インキ
KR100836590B1 (ko) * 2006-01-18 2008-06-10 한양잉크 주식회사 천연고무계 라텍스 코팅제와 이를 이용한 수용성 발포벽지및 그 제조방법
KR100859817B1 (ko) * 2007-12-31 2008-09-23 곽노윤 무독성 마커펜용 수성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0241964A (ja) * 2009-04-06 2010-10-28 Midori Hokuyo Kk 発泡プリント及び発泡体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3910A (zh) * 2013-09-27 2014-01-01 广东玉兰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手绘画效果的墙纸及其制作工艺
CN103694788A (zh) * 2013-11-28 2014-04-02 林国良 一种墙纸凹版印刷专用水性发泡油墨及其制备方法
CN104358372A (zh) * 2014-10-14 2015-02-18 邱有英 一种立体彩色植绒墙纸的制作方法
KR101628926B1 (ko) * 2015-12-17 2016-06-21 주식회사 제일벽지 수지층 및 그라비아인쇄층을 발포하여 입체무늬를 갖는 벽지제조방법
CN106703355B (zh) * 2017-02-24 2020-04-14 四川金路高新材料有限公司 可产生负氧离子墙面装饰材料的生产方法
CN106703355A (zh) * 2017-02-24 2017-05-24 四川金路高新材料有限公司 可产生负氧离子墙面装饰材料的生产方法
CN107618281A (zh) * 2017-10-14 2018-01-23 海宁市天祥包装机械厂 一种3d立体浮雕产品包装及其制造方法
KR20190007363A (ko) * 2017-12-21 2019-01-2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발포 프린팅 방법
CN108505351A (zh) * 2018-03-31 2018-09-07 江苏奥力广告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工艺专用艺术布及其生产方法
KR20200021325A (ko) * 2018-08-20 2020-02-28 이병찬 필름용 수성 그라비아 잉크 및 그 제조방법
CN110964376A (zh) * 2019-12-02 2020-04-07 快思瑞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水性发泡油墨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2090888A1 (en) * 2020-11-02 2022-05-05 Alma Mater Studiorum - Universita' Di Bologna Liquid foams of ethylene vinyl acetate resin/s for the restoration of paintings on canvas
CN116694142A (zh) * 2023-08-07 2023-09-05 晋江厚德印花有限公司 着色效果好的转印膜打印用颜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5872B1 (ko)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872B1 (ko) 그라비아 인쇄용 수성발포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부직포 벽지의 제조방법
EP2820056B1 (en) Polyurethane-based primer for enhancing adhesion of liquid toner
KR101764656B1 (ko) 수성 염료계 인쇄 잉크, 및 이 수성 염료계 인쇄 잉크를 사용하는 인쇄 방법 및 날염법
CN1863966A (zh) 经涂覆的纸张作为印刷材料
CN107674494A (zh) 一种使包装印刷呈立体感的环保油墨及制备方法
MXPA04012026A (es) Composiciones de impresion y revestimiento que comprenden poliestireno expansible.
CN105505051A (zh) 可印刷的阻燃聚合物膜
JP2007100289A (ja) 皮革状物の製造方法
MX2007000301A (es) Composiciones de revestimiento de sustrato y su uso.
CN102292392A (zh) 可印刷的阻燃聚合物膜
KR102062044B1 (ko) 인쇄가능한 매체
KR101486266B1 (ko) 인쇄용 발포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코팅 용기.
WO2001053070A1 (en) Paper coating for ink jet printing
US20030180523A1 (en) Water resistant ink jet printable sheet
CN1484585A (zh) 基本耐水微孔基材的聚合物处理
CN108025579B (zh) 可印刷介质
MXPA04010324A (es) Sustrato registrable por chorro de tinta resistente al agua.
JP3842440B2 (ja) 装飾シート
CN109415871B (zh) 织物印刷介质
TW200414924A (en) Dispersion, coating composition,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silica mixture
JP6147724B2 (ja) 水変色性積層体の製造方法
CN1435325A (zh) 喷墨记录片材
KR101965156B1 (ko) 발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863047A (zh) 一种铜版纸用水性喷墨涂布液、其制备方法与应用
DE102004008360A1 (de) Aufzeichnungs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