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194A -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194A
KR20130083194A KR1020120003830A KR20120003830A KR20130083194A KR 20130083194 A KR20130083194 A KR 20130083194A KR 1020120003830 A KR1020120003830 A KR 1020120003830A KR 20120003830 A KR20120003830 A KR 20120003830A KR 20130083194 A KR20130083194 A KR 20130083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usk
barley
ric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3111B1 (ko
Inventor
이용규
너루나비 모하메드
라마둘라 모하메드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3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111B1/ko
Priority to PCT/KR2012/001263 priority patent/WO2013105693A1/ko
Publication of KR20130083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 다수의 병원체에 의해 유발된 질병에 노출된 가금류, 어류 및 가축류의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된 다수의 가금류 질병을 포함하여, 어류 및 가축류의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의 병원체에 의해 유발된 감염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고 건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항암 활성, 면역증강 및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paddy husk and barley husk extract as activeingredient}
본 발명은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 다수의 병원체에 의해 유발된 질병에 노출된 가금류, 어류 및 가축류의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래 전부터 식물은 인류 복지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천연물질들의 공급원이 되어 왔으며, 특히 일부 특정 식물의 잎, 껍질, 뿌리 등은 다양한 질병 및 감염의 치료에 사용되었다. 개발도상국에서 뿐 아니라 선진국에서도 현재까지 치료적 목적으로 널리 사용중인 수천 가지의 식물들이 존재한다.
이들 물질들은 대부분 이차대사산물로서 의약품, 식품 첨가물, 화장품 원료, 향료, 색소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유기합성 분야의 발달에 의한 수많은 새로운 화합물들의 합성에도 불구하고 식물은 아직도 신물질의 근원으로 인정받고 있다. 매년 식물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화학구조를 갖는 신물질이 수천 가지 이상이며, 그 중 상당수는 생리활성을 갖고 있음을 고려한다면 식물은 중요한 원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식물에 의해 생산되는 많은 화학물질이 그들이 세포 기능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1차 대사산물로 분류되어 있다. 1차 식물대사산물은 식물 집단 중에 보편적으로 존재하고 식물에 의해서 생산되는 화학물질의 대부분을 구성하지만, 다른 화합물은 2차 대사산물로 분류되고 그들의 여러 가지 용도 때문에 과학적 연구 및 상업적 이용의 양자의 초점이 되어 있다.
한편, 벼(Oryza sativa L.)는 일년생 초본으로, 벼의 종류는 많으나 미입(米粒)의 점성에 따라 벼, 밭벼, 찰벼 등의 종류로 구별된다. 벼에는 약 75%의 전분, 8% 전후의 회백질, 0.5~1%의 지방이 함유되어 있다. 이외에 소량의 비타민 B류를 함유하는데, 비타민의 함량은 벼의 종류와 재배지에 따라서 다르다. 지방부분에는 에스테르형 콜레스테롤과 유리 콜레스테롤, 브라시카스테롤(brassica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시토스테롤(sitosterol), 모노글리세라이드(monoglyceride), 디클리세라이드(diglyceride),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인지질, 유리지방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의 약리효과로는 보중익기(補中益氣), 제번갈(除煩渴), 지사리(止瀉痢)의 효능이 있다.
보리(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는 주요 재배작물의 하나로 숙취에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숙취의 예방과 치료에는 갈색심이 있는 시커먼 보리를 선택하여 완전한 보리밥이나 보리가 아주 많이 섞인 밥을 항시 지어 먹으면 좋다고 했다(신재용 저, 동의 민간요법, 116-117). 보리는 폴리페놀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이들 화합물은 보리의 내부 배유조직보다 껍질을 포함하는 외층부 및 배아부위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보리 추출물 중에는 높은 항산화성 및 활성산소 소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보리는 콜레스테롤 억제, 당뇨, 심장병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717996호 국내등록특허 제10-0375366호 미국특허 제7,550,584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 다수의 병원체에 의해 유발된 질병에 노출된 가금류, 어류 및 가축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면역 증강 효과가 있으며,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의 양을 감소시켜 콜레스테롤 저하제로의 사용이 가능하고, TNF-α 유도체에 대한 우수한 효과를 보여 강력한 항암제로의 사용이 가능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의 병원체에 의해 유발된 감염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고, 암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러스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이 1:0.5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로부터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중 0.01 내지 99.9중량%로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의 혼합물을 증류수에 담근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원료에 NaOH 수용액을 첨가하고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원료를 냉각하여 NaOH 수용액에 용해된 용액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용액에 HCl 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여 조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조추출물을 진공건조한 후 냉동건조하여 수용성 추출물과 불용성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쌀, 귀리, 콩껍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항암, 면역증강 및 콜레스테롤 억제 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가금류, 어류, 가축류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뉴캐슬병, 감보로병, 계두, 가금 콜레라 또는 마레크병에 대하여 활성을 나타내고, 특히 H1N1(신종플루) 바이러스 및 H5N1(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해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 다수의 병원체에 의해 유발된 질병에 노출된 가금류, 어류 및 가축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이고,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의 병원체에 의해 유발된 감염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고 건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항암 활성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면역 증강 효과가 있으며,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의 양을 감소시켜 콜레스테롤 저하제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TNF-α 유도체에 대한 우수한 효과를 보여 강력한 항암제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의 FT-IR, H-NMR, 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의 TGA, UV, DSC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로부터 추출한 수용성 추출물과 조추출물의 LC-MS 분광법에 의한 LC 질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뉴캐슬병에 걸린 닭에게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회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뉴캐슬병에 걸린 닭에게 투여한 1일 후, 6일 후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감보로병에 걸린 닭에게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회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계두에 걸린 닭에게 투여한 1일 후, 5일 후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마레크병에 걸린 닭에게 투여한 1일 후, 5일 후의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H1N1 바이러스 성장 억제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행성 궤양 증후군에 감염된 등목어에게 투여한 3일 후, 7일 후의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의 비브리오 불리피쿠스 박테리아에 대한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코감기에 감염된 닭에게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회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의 TNF-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병아리에게 투여한 후, 질병에 감염된 닭에게 노출시켜 질병에 감염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부 종 벼의 경우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는 벼가 존재하는데, 이에 본 발명자들은 벼 겉껍질에 바이러스에 내성을 가지거나 항바이러스제의 작용을 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이 성분에 의해 벼가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지 않거나 감염되더라도 쉽게 바이러스가 공격할 수 없는 것이라 생각하고, 이러한 생각을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벼와 보리는 일반적으로 재배되어 수확되거나 야생으로 자라는 모든 종류의 벼와 보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벼와 보리의 품종이나 생산지역 등을 명시하지 않더라도 국내 뿐 아니라 국외 모든 곳에서 재배되어 수확되거나, 야생으로 얻을 수 있는 모든 종의 벼와 보리를 의미하는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내용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로부터 추출, 분획 및 정제 처리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 희석액 또는 농축액, 그 건조물 등을 모두 의미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벼는 통상의 벼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안벼(Oryza sativa cv. Juanbyeo), 일품벼(Oryza sativa cv. Ilpumbyeo), 적진주(Oryza sativa cv. Jugjinjubyeo), 흑진주(Oryza sativa cv. Heugjinjubyeo), 동진벼 1호(Oryza sativa cv. Dongjinjubyeo-1ho)를 포함하는 재배벼(Oryza sativa)와 야생벼인 오리자 콜리나(Oryza collina), 오리자 알타(Oryza alta), 오리자 오스트라리엔시스(Oryza australiensis), 오리자 미누타(Oryza minuta), 오리자 오피시날리스(Oryza officinalis), 오리자 브라치안타(Oryza brachyantha) 및 오리자 브라티(Oryza brathii)를 포함하는 벼 속(Oryz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유전적 변형이 없는 벼 품종을 사용하는 것이 유효한 추출물을 얻는데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보리 또한 통상의 보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올보리, 대백보리, 큰알보리 1호 등의 겉보리, 새쌀보리, 흰찹쌀보리, 새찹쌀보리 등의 쌀보리, 진양보리, 호품보리, 오름보리 등의 맥주보리, 영양보리, 유연보리, 우호보리 등의 청보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벼와 보리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겉껍질을 수득한 후, 상기 벼 겉껍질과 보리 겉껍질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후, 이 혼합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한다.
상기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은 벼 겉껍질과 보리 겉껍질을 1:05 내지 1: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상기 벼 겉껍질과 보리 겉껍질의 혼합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벼 겉껍질에 있는 주요성분들의 효능이 오히려 보리 ??껍질 성분에 의해 방해되어 효능이 없어질 수 있으며, 목적하는 정도의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및 항암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상기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의 추출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1~15배의 부피, 바람직하게는 약 5~10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또는 약 1:0.1~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을 가하고 20~100℃, 바람직하게는 50~100℃의 추출온도에서 약 0.5시간~2일, 바람직하게는 1시간~1일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약탕기 추출 등이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약탕기 추출법으로 1~12회, 바람직하게는 3~4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100℃, 바람직하게는 40~70℃에서 감압농축한 후 추출된 잔사를 진공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물,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가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의 혼합물을 증류수에 담근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원료에 NaOH 수용액을 첨가하고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원료를 냉각하여 NaOH 수용액에 용해된 용액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용액에 HCl 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여 조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조추출물을 진공건조한 후 냉동건조하여 수용성 추출물과 불용성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1kg의 원료를 기준으로 하여 5L 증류수에 30분 동안 담근 후 펌프(pump)를 이용하여 물을 제거하고, 상기 젖은 원료에 15L의 NaOH 수용액(0.2~1.0N)을 첨가하여 환류 온도하(80~95℃)에서 60~5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 후 30~35℃로 30~60분간 냉각시키는데, 이때 NaOH 수용액에 용해되지 않은 물질들은 바닥에 침전된다. 그 다음, 펌핑을 통해 용해된 용액을 새로운 반응기로 분리하고, 분리된 용액에 pH 1~2.5에 도달할 때까지 1.5L HCL용액(1~2N)을 빠르게 추가하여 5~10초동안 교반한다. 이때, 침전이 발생하는데, 약 30분간 침전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층의 맑은 액체들은 펌핑을 통해 제거한다. 그리고 나머지 침전물이 포함된 용액(조추출물)은 0.45㎛ 멤브레인 필터로 걸러 진공건조(약 90℃ 정도)시킨 후, 10~20℃에서 냉동건조(FREEZE DRYING)하여 용해된 부분(수용성 추출물)과 침전물(불용성 추출물)을 얻는다. 이때, 침전물 형태로 활성 성분을 얻기 위해서는 pH는 3.5가 넘지 않도록 주의한다.
본 발명에서는 현시점에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로부터 이상적으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방법을 상술하였으나, 상기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분리하는 방법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이 포함하는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과거 또는 향후 개선 및 개발될 방법에 의하여 분리 수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분자량이 300gram/mole 내지 40,000gram/mole 정도이며, 추출물에는 베타글루칸과 같은 단당류, 다당류 등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항바이러스 활성, 항박테리아 활성, 항암 활성, 면역증강 및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가금류, 어류 및 가축류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활성과 항박테리아 활성을 나타내며, 뉴캐슬병, 감보로병, 계두, 가금 콜레라, 마레크병, 유행성 궤양 증후군, 코감기 등에 대하여 강력한 활성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H1N1(신종플루) 바이러스 및 H5N1(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어 매우 강력한 치료제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항암, 면역증강 및 콜레스테롤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n vitro 및 in vivo 상에서의 항바이러스 활성, 항박테리아 활성, 항암 활성, 면역자극특성 및 콜레스테롤 제거 특성을 확인하고 검정하였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0.01 내지 99.9중량%로 포함한다. 조성물 중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목적하는 정도의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및 항암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 이외에 쌀, 귀리, 콩껍질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쌀, 귀리, 콩껍질 등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추출한 추출물 형태, 분쇄한 분말 형태, 파쇄하여 과립화한 형태 등으로 첨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얻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것이면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성분들은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본 발명이 목적하는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항암 활성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어 더욱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은 약제학적 유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전술한 본 발명 유효성분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점막 투여 및 점안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반응 감응성 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체중)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이 가금류, 어류, 가축류에 투여될 때에는 가금류의 경우 0.01~0.4g/마리, 어류의 경우 0.01~0.1g/마리, 가축류의 경우 0.01~0.4g/마리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벼 겉껍질 추출물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인체에 안전하여 그대로 음식물 중에 첨가하여 바이러스성 질병, 박테리아성 질병, 암 질환 등의 예방 및 치료용의 음식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항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0중량%로 포함된다. 조성물 중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목적하는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및 항암 효과를 최대로 발현할 수 있고,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 다른 성분과의 제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구용/정맥주사용 같은 경로를 통해 약물투입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그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통상적인 기호성 식품 즉, 라면, 생면 등의 면류, 두부, 시리얼, 빵류, 츄잉 껌, 사탕, 과자류 등에 첨가하여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각종 식품으로 제조할 수 있고, 식용가능한 색소로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정제, 과립제, 환제, 경질캅셀제, 연질캅셀제 또는 액제 제형 등 일반적인 제형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생즙, 파우치, 음료, 또는 다류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한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은 제형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산화에 의해서 일어나는 식품의 냄새나 풍미의 변화, 유지의 산패, 그리고 식품의 변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통상의 각종 식품류에 배합함으로써 이들 식품류를 보존하거나 식품의 신선도 및 품질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식품류로는 전형적인 식품뿐만 아니라, 음료(알콜성 음료도 포함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 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오스 등) 등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상술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폴리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이나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을 사용할 수 있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 제조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을 1:2의 중량비(w/w)로 혼합하여 블렌딩에 의해 적절히 혼합하였다. 1㎏의 원료를 5L 증류수에 30분 동안 담근 후, pump를 이용하여 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젖은 원료에 0.2N NaOH 용액 15L를 첨가하고 95℃에서 90분간 가열한 후, 30~35℃에서 30~60분간 냉각시켰다. 이때, 용해되지 않은 물질들은 바닥에 침전되며, 펌핑을 통해 용해된 물질들은 새로운 반응기로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용액(12L 정도)에 2N HCL 용액 1.5L를 pH 1~2.5에 도달할 때까지 빠르게 추가하고 5~10초간 교반하였다. 이때, 침전물이 발생하게 되는데 30분동안 방치하여 침전물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층의 맑은 액체들은 펌핑을 통해 제거하였다. 그 다음, 나머지 침전물이 포함된 용액(약 3L, 조추출물)은 0.45㎛ 멤브레인 필터로 걸러 진공건조(약 90℃ 정도)시킨 후, 10~20℃에서 냉동건조(FREEZE DRYING)하여 용해된 부분(수용성 추출물)과 침전물(불용성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벼 겉껍질과 보리 겉껍질을 1:1.5의 중량비(w/w)로 혼합하고, 0.3N NaOH 용액을 첨가하고, 2N HCl 용액을 1.0L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벼 겉껍질과 보리 겉껍질을 1:1의 중량비(w/w)로 혼합하고, 0.1N NaOH 용액을 첨가하고, 2N HCl 용액을 0.3L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벼 겉껍질과 보리 겉껍질을 1:3의 중량비(w/w)로 혼합하고, 0.1N NaOH 용액을 첨가하고, 2N HCl 용액을 0.3L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벼 겉껍질과 보리 겉껍질을 대신하여 벼 겉껍질, 보리 겉껍질 및 쌀 분말을 1:2:0.1의 중량비(w/w)로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예 1. 추출물의 특징화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한 갈색 색상의 추출물을 FT-IR, H-NMR, C-NMR, TGA, UV, DSC, LC-MS 분광법에 의해 특징화하여 특성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추출물의 가능한 구조를 확인하고,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은 LC-MS 분광법에 의한 분석으로부터 얻어진 자료로, 표 1의 예상되는 구조식이 실시예 1의 추출물의 구조이다.
보유시간(분) m/z [M+H]+ 계산된 구조식 MW 예상되는 구조식
2.63 165.0544 C9H9O3 164 C9H8O3
2.77 639.1909 C26H27O10N10
C42H27O5N2
638 C26H26O10N10
C42H26O5N2
3.28 361.0917 C18H17O8 360 C18H16O8
3.65 331.0810 C17H15O7 330 C17H14O7
3.72 527.1544 C40H19N2
C27H27O11
526 C40H18N2
C27H26O11
도 1은 (a)FT-IR, (b)H-NMR, (c)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a)TGA, (b)UV, (c)DSC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a)수용성 추출물과 (b)조추출물의 LC-MS 분광법에 의한 LC 질량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 1의 갈색 색상의 추출물은 탈염수/PBS에서 약 10% 용해성 및 0.2N NaOH 용액에서 약 90% 용해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출물의 UV 흡광도 피크는 272㎚에서 나타났다.
실험예 2. 뉴캐슬병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뉴캐슬병에 걸린 닭 5마리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조추출물을 0.5g/㎏/일의 투여량으로 8일간 치료하도록 하고, 다음 2일간은 10.5g/㎏/일의 과량으로 투여량을 늘렸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닭들은 10일째에 건강하게 회복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a)뉴캐슬병에 걸린 닭(1일째), (b)추출물 투여 후 뉴캐슬병이 치료된 닭(6일째)의 사진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뉴캐슬병에 걸린 가금류에 대하여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감보로병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닭들을 감보로병에 감염시키고, 감보로병에 감염된 닭 10마리를 대상으로 하여 5마리씩 두개의 군으로 구분하고, 한개의 군에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0.4g/닭/12시간의 양으로 10일간 경구투여하고, 나머지 군에는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았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여 본 발명의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닭들은 모두 완전히 회복된데 반하여,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군의 닭들은 모두 폐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감보로병에 걸린 가금류에 대하여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계두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계두에 걸린 닭 5마리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조추출물을 0.4g/닭/12시간으로 3일간 경구투여하여 치료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도 7은 (a)계두에 걸린 닭(1일째), (b)추출물 투여 후 계두가 치료된 닭(5일째)의 사진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계두에 걸린 가금류에 대하여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마레크병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마레크병에 걸린 닭 5마리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조추출물을 0.4g/닭/12시간으로 3일간 경구투여하여 치료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도 8은 (a)마레크병에 걸린 닭(1일째), (b)추출물 투여 후 마레크병이 치료된 닭(5일째)의 사진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마레크병에 걸린 가금류에 대하여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H1N1(신종플루) 바이러스에 대한 활성
국립보건원에서 분양받은 바이러스주(A/Beijing/H1N1/95)의 역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2 fold dilution을 실시하였다.
먼저, 96 well V형 플레이트에 희석된 바이러스주(H1N1)를 5ul씩 넣은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의 조추출물 및 수용성 추출물을 50ul씩 넣었다. 이때, RBC 대조구에는 PBS 50ul 넣었고, 0.5% GP 혈구를 50ul씩 넣어주었다. 그리고, 잘 섞이도록 흔들어(shaking)준 후, 실온에 한 시간 정치하였다. 그 다음, 바이러스 역가를 산정하여, 4 HA Unit 바이러스를 찾았다.
HI Test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의 불용성 추출물을 2배수로 계단 희석한 후, 바이러스주(H1N1)가 5ul씩 담긴 V형 96 well plate에 25ul로 넣었다. 그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정치하고, 0.5% GP 혈구를 50ul씩 넣어준 후, 실온에서 정치한 뒤 판독하였다.
실험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의 조추출물, 수용성 추출물 및 불용성 추출물에서 모두 H1N1 바이러스 성장 억제에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용성 추출물은 16㎎/㎖까지, 조추출물은 63㎎/㎖까지, 불용성 추출물은은 0.25㎎/㎖까지 H1N1 바이러스를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유행성 궤양 증후군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유행성 궤양 증후군에 감염된 등목어(ANABAS TESTUDINEUS, 방글라데시: KOI)에게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0.05g/일의 투여량으로 5일간 투여하여 치료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도 10은 (a)유행성 궤양 증후군에 걸린 등목어의 대표 표본, (b)추출물 투여 후 3일째, (c)추출물 투여 후 7일째로 유행성 궤양 증후군이 완전히 치료된 등목어의 사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유행성 궤양 증후군에 걸린 어류에 대하여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in vitro 상의 항박테리아 특성
비브리오 불리피쿠스(V. vulnificus) 박테리아를 갖는 RAW264.7 세포주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의 조추출물(수용성 성분과 불용성 성분을 함께 혼합한 것, crude), 수용성 추출물(water soluble) 및 불용성 추출물(IS)을 각각 0.01%의 농도로 가하여 비브리오 불리피쿠스로 인해 발생되는 NO 생성 억제정도를 관찰하였다. 이때, 대조구로는 PBS 완충용액을 사용하였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NO 생성을 완벽하게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은 비브리오 불리피쿠스 박테리아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9. 코감기에 대한 항박테리아 활성
코감기에 감염된 48마리의 닭을 각각 24마리씩 두 개의 군으로 구분하고, 한개의 군에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0.02g/일의 양으로, 나머지 군에는 0.4g/일의 양으로 3일간 투여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0.4g/일의 양으로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닭들은 모두 회복된데 반하여, 0.02g/일의 양으로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닭들은 약 50% 정도의 회복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코감기와 같은 박테리아에 의한 질병에 걸린 가금류에 대하여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0. TNF-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의 종양 괴사 인자인 TNF-α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Exp. Geront., 37, 235-247, 2002)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대상으로 랫트 말초혈액 단핵구(PBMC)에서의 TNF-α 생산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먼저, ACD(산/시트레이트/덱스트로스)로 처리하면서 복부 정맥으로부터 채취된 랫트 혈액 6㎖을 피콜 1077(Ficoll 1077) 6㎖이 담긴 튜브에 조심스럽게 가하고, 튜브를 상온에서 1,500rpm(415G)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세포 분획(중간 분획)을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가 담긴 50㎖ 튜브에 현탁시켰다. 이 튜브를 2,000rpm(737G)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얻어진 펠렛을 PBS 6㎖ 및 피콜 1077 6㎖ 중에 현탁시키고, 실온에서 1,500rpm(415G)으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잔여 혈장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세포 분획을 PBS에 현탁시키고 2,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이러한 세척 공정을 2회 반복하였다. 그 후, 회수된 세포를 10% FBS 함유 RPMI-1640 10㎖에 현탁시킨 후, ㎖ 당 4× 106 세포를 포함하도록 희석하였다. 세포 현탁액을 96-웰 플레이트의 웰당 100㎕씩 분주하고, 여기에 DMSO(placebo) 또는 지정된 농도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DMSO 표준 용액 1㎕씩을 전처리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5% CO2 및 95% O2 조건하에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웰에 0.1㎍/㎖ LPS, 5U/㎖ IFN-γ 및 10% FBS를 함유하는 RPMI-1640 100㎕를 가하였다. 그 후, 상기 플레이트를 5% CO2 및 95% O2 조건하에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각 웰로부터 회수된 상등액을 ELISA로 분석하여 TNF-α 수준을 측정하여 실시하였다.
도 13의 Mock는 어떠한 성분도 추가하지 않은 대조군이고, NBML-C50은 50㎍/㎖의 조추출물을 첨가한 것이고, NBML-C100은 100㎍/㎖의 조추출물을 첨가한 것이고, LPS는 lipopolysaccharide로 TNF-α을 강력하게 촉진하는 물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결과,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의 경우 TNF-α의 생성을 저해하여 세포 내 TNF-α 수준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1. 면역증강 효과
태어난지 1일째된 병아리 30마리를 각각 10마리씩 세 개의 군으로 구분하고, 한개의 군에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0.02g/일의 양으로, 다른 군에는 0.4g/일의 양으로 8일간 투여하였다. 나머지 군에는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았다. 그 후, 모든 병아리들을 감보로병에 감염된 닭과 함께 두어 질병에 노출시켰다.
그 결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0.4g/일로 투여한 군의 병아리들은 감보로병의 감염 없이 모두 생존한데 반하여, 0.02g/일로 투여한 군의 병아리들은 약 50% 정도의 생존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군의 경우에는 모두 폐사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우수한 면역 효과로 바이러스성, 박테리아성 질병으로부터 가금류를 보호할 수 있을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2. 콜레스테롤 억제 활성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의 콜레스테롤 억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고지방 식이가 공급된 랫트에서 혈청 중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수준을 측정하였다.
양성 위스터 랫트(Wistar rat)는 약 80~100g 중량으로, 방글라데시의 설사질환 연구를 위한 국제 센터(International Center for Diarrheal Disease Research)로부터 공급받았다. 또한, 식이의 조성은 소고기(3㎏), 전분(2.4㎏), 수크로오스(2.25㎏), 밀가루(2㎏), 경화유(1㎏), 비타민믹스(10㎏), 상기 실시예 1의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식이 총 중량에 대하여 0중량%, 0.1중량%, 0.33중량%, 1중량%)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이다(총 112.5g).
먼저, 양성의 위스터 랫트 40마리를 10마리씩 4개의 군으로 분리한 후, 그룹 1에는 식이 중 추출물을 0중량%로, 그룹 2~4에는 추출물을 각각 0.1, 0.33, 1중량%로 첨가한 식이를 28일간 무제한(ad libitum)으로 공급하였다. 또한 물의 공급도 제한하지 않았다. 28일간 식이를 공급한 후, 랫트의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트리글리세라이드) 수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의 수치는 평균± SEM 값이다.
그룹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혈청 중 LDL-콜레스테롤
1 86.4± 2.2 33.6± 1.9
2 67.9± 2.1 11.6± 1.3
3 64.3± 3.6 9.8± 1.9
4 57.9± 3.3 4.9± 0.7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투여한 2~4그룹의 경우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1그룹과 비교하여 혈청 중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혈청 중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억제 효과 또한 더욱 좋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은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우수한 콜레스테롤 억제제로 사용이 가능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2)

  1.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이 1:0.5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중 0.1 내지 99.9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의 혼합물을 증류수에 담근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원료에 NaOH 수용액을 첨가하고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원료를 냉각하여 NaOH 수용액에 용해된 용액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용액에 HCl 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여 조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조추출물을 진공건조한 후 냉동건조하여 수용성 추출물과 불용성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쌀, 귀리 및 콩껍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항암, 면역증강 및 콜레스테롤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가금류, 어류 또는 가축류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뉴캐슬병, 감보로병, 계두, 가금 콜레라, 마레크병, 유행성 궤양 증후군 및 코감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하여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H1N1(신종플루) 바이러스 및 H5N1(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0.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이 1:0.5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0.01 내지 9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성 질병 예방 및 치료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120003830A 2012-01-12 2012-01-12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363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830A KR101363111B1 (ko) 2012-01-12 2012-01-12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PCT/KR2012/001263 WO2013105693A1 (ko) 2012-01-12 2012-02-20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830A KR101363111B1 (ko) 2012-01-12 2012-01-12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194A true KR20130083194A (ko) 2013-07-22
KR101363111B1 KR101363111B1 (ko) 2014-02-14

Family

ID=4878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830A KR101363111B1 (ko) 2012-01-12 2012-01-12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63111B1 (ko)
WO (1) WO201310569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213A (ko) * 2014-12-31 2016-07-08 (주)아모레퍼시픽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20210003613A (ko) * 2019-07-02 2021-01-12 한국식품연구원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1437B1 (ko) * 2020-09-21 2021-03-24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82570A (ko) * 2020-12-10 2022-06-17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살바이러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8115A (zh) * 2013-12-05 2014-03-19 李德权 防治禽流感纯中药粉
CN104208300A (zh) * 2014-08-19 2014-12-17 广西博士海意信息科技有限公司 治疗鼻炎的中药
CN104547292A (zh) * 2014-12-17 2015-04-29 蒋树侠 一种治疗慢性鼻炎的复方药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2353A (ja) * 1998-09-29 2000-04-11 Hiroshi Kurino 米を精米した後に残るもみがらを粉砕して 家畜等の飼料として再利用する方法
KR100538771B1 (ko) * 2003-05-26 2005-12-23 학교법인 한마학원 천연 항산화용 왕겨 추출물의 제조 및 그 이용방법
KR100701883B1 (ko) * 2005-06-24 2007-04-02 라이스브랜 주식회사 가공된 왕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36568B1 (ko) * 2006-05-09 2008-06-10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왕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213A (ko) * 2014-12-31 2016-07-08 (주)아모레퍼시픽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20210003613A (ko) * 2019-07-02 2021-01-12 한국식품연구원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1437B1 (ko) * 2020-09-21 2021-03-24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82570A (ko) * 2020-12-10 2022-06-17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살바이러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5693A1 (ko) 2013-07-18
KR101363111B1 (ko) 201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111B1 (ko)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EP2438923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related diseases mediated by the activation of ampk and including 2,5-bis-aryl-3,4-dimethyltetrahydrofuran lignans as active ingredients
JP4852683B2 (ja) 大麦を発酵に付したものを有効成分とする血管新生阻害の作用を有する組成物
KR101935500B1 (ko)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A2449943A1 (en) Preventives or remedies for arthritis
KR20130083427A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53455B1 (ko)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894491B1 (ko) 지각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또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84812B1 (ko) 새찰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65419A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45704B1 (ko) 키누레닉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791830B1 (ko)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2316939A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及びそれを含む加工食品、過血糖症用剤、飼料並びに添加剤
KR102485676B1 (ko)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64521A (ko) 죽염 및 쥐눈이콩을 포함하는 발효조성물
WO2007034958A1 (ja) 穀類由来の成分を有効成分とする血管新生阻害の作用を有する組成物
KR20160090662A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06384B1 (ko) 팥순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500869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864575B2 (en) Composition comprising low temperature water extract of hibiscus manihot for anti-obesity
KR101498075B1 (ko) 수수 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101340040B1 (ko) 맥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16962A (ko)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46115B1 (ko) 항암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진 옻나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436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