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437B1 -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437B1
KR102231437B1 KR1020200121720A KR20200121720A KR102231437B1 KR 102231437 B1 KR102231437 B1 KR 102231437B1 KR 1020200121720 A KR1020200121720 A KR 1020200121720A KR 20200121720 A KR20200121720 A KR 20200121720A KR 102231437 B1 KR102231437 B1 KR 102231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uenza virus
avian influenza
highly pathogenic
preparing
pathogenic av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원
송재준
김소리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Priority to KR102020012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437B1/ko
Priority to PCT/KR2021/012919 priority patent/WO2022060198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귀리 껍질 및 모링가 뿌리를 혼합한 혼합물을 진공농축기로 진공 저온 농축 추출한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10);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모나스커스 루버(Monascus ruber)를 포함하는 종균 준비단계(S20); 및 상기 추출액, 상기 종균 및 당밀을 혼합한 배합물에 아세틸글루코사민을 투입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virus an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vir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는 오르소믹소 계통(Family Orthomyxovirid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서 혈청형은 A형, B형, C형 등 3가지로 구분된다. 그 중 B형과 C형은 사람에서만 감염이 확인되고 있으며, A형은 사람, 말, 돼지, 기타 포유류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가금과 야생조류에서 감염이 확인되고 있다 (Selmons etal, Avian Dis, 18(1), p119-124, 1974; Webster RG et al, Microbiol Rev, 56(1), p152-179, 1992).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혈청형은 바이러스 표면의 두 가지 단백질인 햄어글루티닌(Hemagglutinin: HA), 뉴라미니다제(Neuraminidase: NA)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며, 혈청형에 따라 144종류(HA형 16종과 NA형 9종)로 분류할 수 있다. HA 단백질은 바이러스가 체세포에 부착하는 역할을 하며, NA 단백질은 바이러스가 세포 내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한다(Alexander DJ, Vet Microbiol, 74(1-2), p3-13, 2000).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정상적인 자연숙주는 오리, 갈매기 등과 같은 야생 물새류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야생조류에 대한 인플루엔자 감염 역학 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존하는 모든 16종의 HA형과 9종의 N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야생조류에서 감염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Selmons et al, Avian Dis, 18(1), p119-124, 1974).
A형으로 분류되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수(人獸) 공통 전염병 바이러스로, 병원성에 따라 닭에 감염 시 가벼운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비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1∼30% 내외의 폐사와 산란 저하를 유발하는 저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Low pathogenic avian influenza: LPAI), 그리고 95% 이상의 높은 치사성을 보이고 “조류독감 (버드플루: Bird flu)”이라고도 불리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등 크게 3가지 병형으로 구분하고 있다(Alexander DJ, Vet Microbiol, 74(1-2), p3-13, 2000). 이중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는 국제수역사무국 (OIE)에서 A 등급으로, 그리고 국내에서는 제 1종 가축전염병으로 분류하고 있다.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PAI)는 1980년도 이후 미국(1983년), 호주(1985, 1992, [0023] 1994, 1997년), 멕시코(1994년), 파키스탄(1994, 2004년), 홍콩(1997, 2001년), 이탈리아(1997, 1999년), 네덜란드(2003년), 벨기에(2003년), 독일(2003년), 캐나다(2004년) 등 전 세계적으로 발생이 확인되고 있다. 특히 가금류에 대한 H5N1 혈청형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은 2003년 이후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등을 포함한 넓은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 또한, 2014년에는 H5N8이, 2016년에는 H5N6가 전국 대부분 지역의 가금류에서 발생하여 축산 농가가 막대한 경제적 손해를 발생시켰다.
최근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 효능이 있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등록특허 제2049179호는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은 식물 추출물에 이온화된 미네랄 나노입자를 혼합후 초음파 분쇄 및 나노화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천연식물 추출액을 복합미생물로 발효시킴으로써 항바이러스 효능을 개선시키는 기술에 대하여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천연식물 추출액 및 아세틸글루코사민을 혼합한 혼합물에 복합미생물을 접종후 발효시킨 발효물이 우수한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이 있음을 최초로 규명하였으며, 특히 고병원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 억제 효능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49179호 (공고 2019.12.3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H5N1, H5N6 및 H5N8 바이러스 증식 감소 및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귀리 껍질 및 모링가 뿌리를 혼합한 혼합물을 진공농축기로 진공 저온 농축 추출한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10);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모나스커스 루버(Monascus ruber)를 포함하는 종균을 준비하는 단계(S20); 및 상기 추출액, 상기 종균 및 당밀을 혼합한 배합물에 아세틸글루코사민을 투입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30)는, 상기 추출액, 상기 종균, 당밀, 수용성 규소 및 수소수를 혼합한 배합물에 아세틸글루코사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은 귀리 껍질 및 모링가 뿌리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이고, 상기 종균은 황국균, 백국균, 낫토균 또는 호염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H5N1, H5N6 또는 H5N8 바이러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예방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H5N1, H5N6 및 H5N8 바이러스 증식 감소 및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조류 인플루엔자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등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바람직하게는 H5N1, H5N6 및 H5N8 바이러스 증식 감소 및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조류 인플루엔자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시키거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병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H5N1, H5N6 또는 H5N8 바이러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10), 종균 준비단계(S20) 및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10)는 귀리 껍질 및 모링가 뿌리를 혼합한 혼합물을 진공농축기로 진공 저온 농축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액은 귀리 껍질 및 모링가 뿌리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귀리는 벼과의 두해살이풀로 학명은 Avena sativa이다. 연맥(燕麥)이라고도 한다. 밑부분에서 뭉쳐나며 높이 1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줄기는 곧게 서고 거의 털이 없으나 마디에는 아래로 향한 털이 있다. 잎은 길이 15-30cm, 너비 6-12㎜로 밀보다 너비가 좀 넓고 짙은 녹색이다. 잎집은 길고 잎혀는 짧으며 잘게 갈라진다. 꽃은 5-6월에 피고 원추꽃차례로 길이 20-30cm이다. 작은 이삭은 대가 있고 녹색이며 2개의 작은 꽃이 들어 있고 밑으로 처진다. 귀리는 섬유질이 풍부해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변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해 혈압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귀리의 성분 중 하나인 베타글루칸은 수용성 식이섬유로서 인체 내 면역기능의 향상과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프로스타글란딘은 염증반응을 억제해 주는 효과가 있다(Skendi, A., et al. "Structure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water soluble β-glucans from oat cultivars of Avena sativa and Avena bysantina." Journal of Cereal Science 38.1 (2003): 15-31.).
본 발명의 귀리껍질은 귀리의 가공 후 나오는 알곡을 제외한 부산물을 의미한다.
모링가는 높이가 5~10 m에 이르는 나무로 아시아, 아프리카, 아라비아 등에서 재배된다.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해 영양가가 높고, 의약적으로 과혈당증과 항염증, 항암 등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모링가의 꽃, 뿌리, 씨, 잎, 열매에는 다른 식물들에 비해 비타민, 플라보노이드, 아미노산 등과 같은 phytochemical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Bharali R, et a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링가 뿌리는 모링가 나무의 뿌리로서, 모링가 나무는 모링가과(Moringaceae Family), 모링가속(Moringa Genus)의 식물로서 학명은 모링가 올레이페라(Moringa Oleifera)이다.
종균을 준비하는 단계(S20)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모나스커스 루버(Monascus ruber)를 동일 중량비로 혼합하여 종균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균은 황국균, 백국균, 낫토균 또는 호염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각각의 미생물은 모두 미생물 기탁기관(KCCM, KCTC 등)으로부터 종균을 분양받거나,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미생물 획득방법에 의해 얻은 다음 배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30)는 상기 추출액, 상기 종균 및 당밀을 혼합한 배합물에 아세틸글루코사민을 투입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30)는, 상기 추출액, 상기 종균, 당밀, 수용성 규소 및 수소수를 혼합한 배합물에 아세틸글루코사민을 첨가하여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제조된 발효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발병되는 증상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상기 발효물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0.001~99.9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투여받을 대상이 갖고 있는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약학 조성물에 대한 특징은 조류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약품에 적용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물 사료 첨가제로서 적용될 수 있는데, 동물 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10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 실시예 1>
귀리 껍질 및 모링가 뿌리를 혼합한 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귀리 껍질 및 모링가 뿌리를 혼합한 혼합물을 진공농축기로 진공 저온(60~70℃) 농축 추출하였다. 이때 상기 혼합물은 귀리 껍질 및 모링가 뿌리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혼합물 20 중량부와 수소수 8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진공 저온(60~70℃) 농축 추출하였다. 수소수는 출원인의 보유특허 기술(등록특허 제1594279호)인 수소 처리 방식의 냉,온수 공급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모나스커스 루버(Monascus ruber)를 동일 중량비로 혼합하여 종균을 준비하였다.
상기 추출액에 종균을 접종후 발효시키기 위한 추출액 : 수소수 : 당밀 : 종균의 배합은 중량기준으로 1 : 8 : 0.5 : 0.1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상기 배합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아세틸글루코사민 0.2 중량부를 투입하여 35~37℃에서 5일간 발효를 진행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상기 배합물에 수용성 규소를 첨가하여 항바이러스 효능을 개선시켰다. 즉, 상기 추출액에 종균을 접종후 발효시키는 단계에서, 추출액 : 수소수 : 당 : 종균 : 수용성 규소의 배합은 중량기준으로 1 : 8 : 0.5 : 0.1 : 0.2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상기 배합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아세틸글루코사민 0.2 중량부를 투입하여 35~37℃에서 5일간 발효를 진행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7>
비교예 1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나, 귀리 껍질를 제외하였다.
비교예 2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나, 모링가 뿌리를 제외하였다.
비교예 3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나, 모링가 뿌리 대신 모링가 잎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4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나, 귀리 껍질 및 모링가 뿌리 추출액을 발효한 발효물 대신 발효 과정에서 추출액을 제외한 상태에서 발효를 진행한후 최종 발효물에 발효하지 않은 귀리 껍질 및 모링가 뿌리 추출액을 투입하였다.
비교예 5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제외하였다.
비교예 6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나,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를 제외하였다.
비교예 7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나, 모나스커스 루버(Monascus ruber)를 제외하였다.
비교예 8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나, 모나스커스 루버(Monascus ruber) 대신 모나스커스 필로서스(Monascus pilosus)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항바이러스 활성 확인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이 항바이러스 활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혈구응집반응시험(Hemagglutination test)을 수행하였다. MDCK 세포를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고병원성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5N1(A/Chicken/Vietnam/AI-1302/2013)를 100 TCID50/㎖ (Stock용 바이러스의 10-5농도)로 하여 MDCK 세포에 접종하였다. 접종 후 1시간 동안 38℃에서 배양하고 접종된 바이러스 용액을 제거한 후 실시예 조성물 원액 또는 희석액을 500㎕ 용량으로 처리하여 3일 동안 38℃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상기 희석은 실시예 조성물 원액을 대상으로 표 1과 같이 희석(2, 4, 8, 16, 32, 64, 128배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배양 후 상층액을 2진 희석하여 0.5% 칠면조 혈구와 반응시켜 혈구응집억제반응을 확인하였다.
구분 희석배수
원액 2 4 8 16 32 64 128
실시예1 0 0 2 22 22 23 23 24
실시예2 0 0 2 2 22 22 23 23
비교예1 25 25 25 25 26 26 26 26
비교예2 25 25 25 25 26 26 26 26
비교예3 25 25 25 25 26 26 26 26
비교예4 26 26 26 26 26 27 27 27
비교예5 26 26 26 26 26 27 27 27
비교예6 26 26 26 26 26 27 27 27
비교예7 26 26 26 26 26 27 27 27
비교예8 25 25 25 25 26 26 26 26
대조구 28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병원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5N1를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 농도별(원액~128배 희석)로 MDCK 세포에 접종하였을 경우, 실시예의 조성물로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 및 바이러스 증식에 대한 억제 효과가 미미한 비교예 1 내지 8에 비해 바이러스 증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의 조성물을 128배로 희석한 경우는 실시예 1의 경우 바이러스가 24 으로, 실시예 2의 경우 바이러스가 23 으로 증가하여 항바이러스 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반면, 원액의 경우 항바이러스 효과가 강하여 바이러스가 증가하지 않았다.
한편,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6)

  1. 귀리 껍질 및 모링가 뿌리를 혼합한 혼합물을 진공농축기로 진공 저온 농축 추출한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10);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모나스커스 루버(Monascus ruber)를 포함하는 종균을 준비하는 단계(S20); 및
    상기 추출액, 상기 종균 및 당밀을 혼합한 배합물에 아세틸글루코사민을 투입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30);
    를 포함하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30)는,
    상기 추출액, 상기 종균, 당밀, 수용성 규소 및 수소수를 혼합한 배합물에 아세틸글루코사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은 귀리 껍질 및 모링가 뿌리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이고,
    상기 종균은 황국균, 백국균, 낫토균 또는 호염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H5N1, H5N6 또는 H5N8 바이러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6. 귀리 껍질 및 모링가 뿌리를 혼합한 혼합물을 진공농축기로 진공 저온 농축 추출한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10);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모나스커스 루버(Monascus ruber)를 포함하는 종균을 준비하는 단계(S20); 및
    상기 추출액, 상기 종균 및 당밀을 혼합한 배합물에 아세틸글루코사민을 투입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30);
    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사료첨가제.
KR1020200121720A 2020-09-21 2020-09-21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1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720A KR102231437B1 (ko) 2020-09-21 2020-09-21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21/012919 WO2022060198A1 (ko) 2020-09-21 2021-09-21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720A KR102231437B1 (ko) 2020-09-21 2020-09-21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437B1 true KR102231437B1 (ko) 2021-03-24

Family

ID=7525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720A KR102231437B1 (ko) 2020-09-21 2020-09-21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1437B1 (ko)
WO (1) WO20220601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0198A1 (ko) * 2020-09-21 2022-03-24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910B1 (ko) * 2007-10-25 2008-12-10 두두원발효(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요구르트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조류독감, 독감 및 사스의 호흡기성 급성전염질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US20110027348A1 (en) * 2007-08-27 2011-02-03 Janos Feher Composition and method inhibiting inflammation
JP2012504116A (ja) * 2008-09-29 2012-02-16 アクトジェニックス・エヌブイ 粘膜での微生物のコロニー形成の低減
KR20130083194A (ko) * 2012-01-12 2013-07-2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JP2018008988A (ja) * 2011-01-31 2018-01-18 アイピー サイエンス リミテッド カロテノイド粒子およびその使用
JP2019530446A (ja) * 2016-09-13 2019-10-24 イントレクソン・アクトバイオテイクス・エヌブイIntrexon Actobiotics NV 粘膜付着性微生物
KR102049179B1 (ko) 2018-07-20 2019-12-30 주식회사 씨엘팜텍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018787A (ko) * 2017-05-22 2020-02-20 더 칠드런스 메디칼 센터 코포레이션 마이코박테리움 투버큘로시스에 대한 혼합 백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437B1 (ko) * 2020-09-21 2021-03-24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7348A1 (en) * 2007-08-27 2011-02-03 Janos Feher Composition and method inhibiting inflammation
KR100872910B1 (ko) * 2007-10-25 2008-12-10 두두원발효(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요구르트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조류독감, 독감 및 사스의 호흡기성 급성전염질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JP2012504116A (ja) * 2008-09-29 2012-02-16 アクトジェニックス・エヌブイ 粘膜での微生物のコロニー形成の低減
JP2018008988A (ja) * 2011-01-31 2018-01-18 アイピー サイエンス リミテッド カロテノイド粒子およびその使用
KR20130083194A (ko) * 2012-01-12 2013-07-2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JP2019530446A (ja) * 2016-09-13 2019-10-24 イントレクソン・アクトバイオテイクス・エヌブイIntrexon Actobiotics NV 粘膜付着性微生物
KR20200018787A (ko) * 2017-05-22 2020-02-20 더 칠드런스 메디칼 센터 코포레이션 마이코박테리움 투버큘로시스에 대한 혼합 백신
KR102049179B1 (ko) 2018-07-20 2019-12-30 주식회사 씨엘팜텍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0198A1 (ko) * 2020-09-21 2022-03-24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0198A1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well Medicinal mushrooms-A clinical guide
Sokol et al. Biology, cultivation, and medicinal functions of the mushroom Hericium erinaceum
KR101782532B1 (ko) 백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퓨라노쿠마린을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0332B1 (ko) 천마와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0908738B1 (ko) 황기의 β-글루칸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 β-글루칸을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
KR101718323B1 (ko) 발효옻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위암 및 위점막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31437B1 (ko)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909914A (zh) 由酿酒酶母is2分离的水溶性葡聚糖低聚物用于预防和治疗禽流感的新应用
CN109420046A (zh) 一种中草药组方制备防治猪高热病药物的方法
TWI791941B (zh) 一種菇類及/或其培養基質萃取物用於製備抗憂鬱與舒緩情緒組合物之用途
KR101510673B1 (ko) 인삼 사포닌의 장내 세균 대사 억제용 조성물
KR20150055683A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19191B1 (ko) 독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전염성 위장염 코로나바이러스 억제 활성을 갖는 효모변이주 아이에스2 유래수용성 글루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조성물
JP4109572B2 (ja) 冬虫夏草菌糸体の培養方法及び組成物
KR20130138940A (ko) 관중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플로로글루시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18748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시알엔비-에이3을 이용한 발효인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18745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시알엔비-22를 이용한 발효인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95605A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69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6200B1 (ko) 보리 및 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충하초 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충하초 배양방법
KR102570597B1 (ko)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천연 추출물 및 그 조성물
KR201601436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5017B1 (ko) 인삼열매-홍국 혼합 배양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20190005537A (ko) 인삼열매-목이버섯 균사체 혼합 배양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101866850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