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489A - 신규한 티오펜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티오펜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489A
KR20130082489A KR1020130076409A KR20130076409A KR20130082489A KR 20130082489 A KR20130082489 A KR 20130082489A KR 1020130076409 A KR1020130076409 A KR 1020130076409A KR 20130076409 A KR20130076409 A KR 20130076409A KR 20130082489 A KR20130082489 A KR 20130082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formula
photoelectric conversion
compound
titanium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2024B1 (ko
Inventor
이종찬
양회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ublication of KR2013008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9/00Sulfur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333/24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95/1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11/00Diaryl- or thriarylmethane dyes
    • C09B11/04Diaryl- or thriarylmethane dyes derived from triarylmethanes, i.e. central C-atom is substituted by amino, cyano, alkyl
    • C09B11/10Amino derivatives of triarylmethanes
    • C09B11/12Amino derivatives of triarylmethanes without any OH group bound to an aryl nucle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0008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substituted on the polymethine chain
    • C09B23/005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substituted on the polymethine chain the substituent being a COOH and/or a functional derivative thereof
    • C09B23/0058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substituted on the polymethine chain the substituent being a COOH and/or a functional derivative thereof the substituent being C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10The polymethine chain containing an even number of >CH- groups
    • C09B23/105The polymethine chain containing an even number of >CH- groups two >C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9/00Sulfur dyes
    • C09B49/06Sulfur dyes from azines, oxazines, thiazines or 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3Hetero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sulfur or selene, e.g. polythioph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59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rganic dye as the active light absorbing material, e.g. adsorbed on an electrode or dissolved in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티오펜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염료 화합물들은 염료감응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DSSC)에 사용되어 종래의 염료보다 향상된 몰흡광계수, Jsc(단회로 광전류 밀도) 및 광전기 변환효율을 나타내어 태양전지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티오펜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NOVEL THIOPHENE-BASED DYE AND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염료감응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DSSC)에 사용되는 신규한 티오펜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991년도 스위스 국립 로잔 고등기술원(EPFL)의 마이클 그라첼(Michael Gratzel) 연구팀에 의해 염료감응 나노입자 산화티타늄 태양전지가 개발된 이후 이 분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염료감응태양전지는 기존의 실리콘계 태양전지에 비해 효율이 높고 제조단가가 현저히 낮기 때문에 기존의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실리콘 태양전지와 달리 염료감응태양전지는 가시광선을 흡수하여 전자-홀(hole) 쌍을 생성할 수 있는 염료분자와, 생성된 전자를 전달하는 전이금속 산화물을 주 구성 재료로 하는 광전기화학적 태양전지이다.
염료감응태양전지에 사용되는 염료로서 높은 광전기 전환효율을 나타내는 루테늄 금속 착체가 널리 사용되어 왔는데, 이 루테늄 금속 착체는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 흡광효율, 산화환원 반응 안정성 및 분자내 전하-전달(charge-transfer, CT)계 흡수의 측면에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금속을 함유하지 않은 유기염료가, 고가의 루테늄 금속 착체를 대체할 수 있는 태양전지용 염료로서 사용될 수 있음이 발견되어, 금속이 결여된 유기염료에 대한 연구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유기염료는 일반적으로 π-결합 유닛에 의해 연결되는 전자 공여체(electron donor)-전자 수용체(electron acceptor) 잔기의 구조를 갖는다. 대부분의 유기염료에서, 아민 유도체가 전자 공여체의 역할을 하고, 2-시아노아크릴산 또는 로다닌 잔기가 전자 수용체의 역할을 하며, 이 두 부위는 메타인 유닛 또는 티오펜 체인과 같은 π-결합 시스템에 의해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전자 공여체인 아민 유닛의 구조적 변화는 전자 특성의 변화, 예를 들어 청색 쪽으로 쉬프트(shift)된 흡광 스펙트럼을 가져오고, π-결합 길이를 변화시켜 흡광 스펙트럼과 산화환원 전위(redox potential)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유기염료는 루테늄 금속 착체 염료에 비해 낮은 변환효율과 낮은 구동 안정성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전자 공여체와 수용체의 종류 또는 π-결합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기존의 유기염료 화합물들에 비해 향상된 몰흡광계수를 가지며 높은 광전기 변환효율을 나타내는 새로운 염료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금속 착체 염료보다 향상된 몰흡광계수 및 광전기 변환효율을 나타내어 태양전지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염료를 포함하여 현저히 향상된 광전기 변환효율을 나타내며, Jsc(단회로 광전류 밀도, short circuit photocurrent density)와 몰흡광계수가 우수한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 및 효율이 현저히 향상된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오펜계 염료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Figure pat00002
또는
Figure pat00003
이고, 상기 X,Y 및 Z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30 인 알킬, 알콕시 또는 헤테로알콕시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아미드, 시아노, 하이드록실, 니트로, 아실, C1-30 알킬, C1-30 알콕시, C1-30 알킬카보닐 또는 C6-20 아릴이며, C1-30 알콕시인 경우 이들은 서로 결합하여 산소-함유 헤테로환을 형성할 수 있고;
Ar1은 C1-50의 알킬, 알콕시, 할로겐, 아미드, 시아노, 하이드록실, 니트로, 아실,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Figure pat00004
또는
Figure pat00005
이며;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며, n이 2 이상일 경우 임의적으로 하나의 티오펜 유닛 중의 황은 Se 또는 NH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n-부틸리튬과 반응시킨 후 이어서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2]
Ar1-H1
[화학식 3]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R1, R2, R3, Ar1 및 n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H1 및 H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담지시킨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티오펜계 염료는 종래의 금속 착체 염료보다 향상된 몰흡광계수, Jsc(단회로 광전류 밀도) 및 광전기 변환효율을 나타내어 태양전지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고가의 칼럼을 사용하지 않고도 정제가 가능하여 염료 합성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유기염료 구조를 갖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오펜계 염료 화합물을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에 담지시켜 염료감응태양전지를 제조할 경우 광전기 변환효율, Jsc(단회로 광전류 밀도) 및 몰흡광계수가 높아 기존 염료감응태양전지보다 우수한 효율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유기염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합물들 중 하나인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상기 식에서, R1, R2, R3, Ar1 및 n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Ar1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10 알킬, 또는 모노, 디 또는 트리페닐메틸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Figure pat00008
, 또는
Figure pat00009
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하나인 것이 좋다.
Figure pat00010
.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2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9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2
Figure pat00053
Figure pat00054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6
Figure pat00057
Figure pat00058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Figure pat00061
Figure pat00062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6
Figure pat00067
Figure pat00068
Figure pat00069
Figure pat00070
Figure pat00071
Figure pat00072
Figure pat00073
Figure pat00074
Figure pat00075
Figure pat00076
Figure pat00077
Figure pat00078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80
Figure pat00081
Figure pat00082
Figure pat0008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는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n-부틸리튬과 반응시킨 후 이어서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2]
Ar1-H1
[화학식 3]
Figure pat00084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R1, R2, R3, Ar1 및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H1 및 H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유기용매(예: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녹인 후 저온에서 n-부틸리튬과 반응시킨 후 이어서 같은 온도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목적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화학식 1의 염료의 제조에 출발물질로서 사용되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은 Ar1의 종류에 따라 각각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를 제공하는 바, 상기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는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를 담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 종래 염료를 이용하여 태양전지용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를 제조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는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를 이용해서 기판상에 산화물 반도체의 박막을 제조하고, 이어서 상기 박막에 본 발명의 염료를 담지시킨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산화물 반도체의 박막을 설치하는 기판으로서는 그 표면이 도전성인 것이 바람직하며,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일예로 글라스의 표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혹은 폴리에테르설폰 등의 투명성이 있는 고분자 재료의 표면에 인듐, 불소, 안티몬을 도포한 산화주석 등의 도전성 금속산화물이나 강, 은, 금 등의 금속 박막을 형성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도전성은 보통 1000 Ω 이하가 바람직하며, 특히 100 Ω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의 미립자로서는 금속산화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티탄, 주석, 아연, 텅스텐, 지르코늄, 갈륨, 인듐, 이트륨, 니오브, 탄탈, 바나듐 등의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티탄, 주석, 아연, 니오브, 인듐 등의 산화물이 바람직하고, 이들 중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주석이 더욱 바람직하며, 산화티탄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혼합하거나 반도체의 표면에 코팅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산화물 반도체의 미립자의 입경은 평균 입경으로서 1 - 500 nm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00 nm인 것이 좋다. 또한 이 산화물 반도체의 미립자는 큰 입경의 것과 작은 입경의 것을 혼합하거나, 다층으로 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 박막은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를 스프레이 분무 등으로 직접 기판상에 박막으로 형성하는 방법, 기판을 전극으로 하여 전기적으로 반도체 미립자 박막을 석출시키는 방법, 반도체 미립자의 슬러리 또는 반도체 알콕사이드 등의 반도체 미립자의 전구체를 가수분해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미립자를 함유하는 페이스트를 기판상에 도포한 후, 건조, 경화 혹은 소성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페이스트를 기판상에 도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의 경우, 슬러리는 2차 응집하고 있는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를 통상의 방법에 의해 분산매 중에 평균 1차 입경이 1 - 200 nm이 되도록 분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슬러리를 분산시키는 분산매로서는 반도체 미립자를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물, 에탄올 등의 알코올, 아세톤, 아세틸아세톤 등의 케톤 또는 헥산 등의 탄화수소를 이용할 수 있고, 이것들은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고, 이 중 물을 이용하는 것이 슬러리의 점도변화를 적게 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의 분산 상태를 안정화시킬 목적으로 분산 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분산 안정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초산, 염산, 질산 등의 산, 또는 아세틸아세톤, 아크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슬러리를 도포한 기판은 소성할 수 있고, 그 소성온도는 1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이고, 또 상한은 대체로 기재의 융점(연화점) 이하로서 통상 상한은 900 ℃이며, 바람직하게는 600 ℃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소성시간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대체로 4시간 이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기판상의 박막의 두께는 1 - 200 ㎛인 것이 적합하며, 바람직하게는 1 - 50 ㎛이다. 소성을 실시하는 경우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의 박층이 일부 용착하지만, 그러한 용착은 본 발명을 위해서는 특별하게 지장은 없다.
또한 상기 산화물 반도체 박막에 2차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반도체와 동일한 금속의 알콕사이드, 염화물, 질소화물, 황화물 등의 용액에 직접, 기판별로 박막을 침적시켜서 건조 혹은 재소성 함으로써 반도체 박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금속 알콕사이드로서는 티탄에톡사이드, 티탄니움이소프로에폭사이드, 티탄 t-부톡사이드, n-디부틸-디아세틸 주석 등을 들 수 있고, 그것들의 알코올 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염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4염화 티탄, 사염화주석, 염화아연 등을 들 수 있고, 그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산화물 반도체 박막은 산화물 반도체의 미립자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박막 상으로 형성된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에 염료를 담지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를 용해할 수 있는 용매로 용해해서 얻은 용액, 또는 염료를 분산시켜서 얻은 분산액에 상기 산화물 반도체 박막이 설치된 기판을 침지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용액 또는 분산액 중의 농도는 염료에 의해 적당하게 결정할 수 있다. 침적시간은 대체로 상온에서 용매의 비점까지이고, 또 침적시간은 1분에서 48시간 정도이다. 염료를 용해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톤, t-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용액의 염료 농도는 보통 1×10-6 M ∼ 1 M이 적합하고, 바람직하게는 1×10-5 M ∼ 1×10-1 M 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염료로 증감된 박막 상의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를 가진 본 발명의 광전변환소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담지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는 1종류일 수도 있고, 수 종류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혼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염료와 함께 다른 염료나 금속 착체 염료를 혼합할 수 있다. 혼합할 수 있는 금속 착체 염료의 예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지만, 루테늄 착체나 그 4급염, 프탈로시아닌, 포르피린 등이 바람직하고, 혼합 이용하는 유기염료로는 무금속의 프탈로시아닌, 포르피린이나 시아닌, 메로시아닌, 옥소놀, 트리페닐메탄계, WO2002/011213호에 제시되는 아크릴산계 염료 등의 메틴계 염료나, 크산텐계, 아조계, 안트라퀴논계, 페릴렌계 등의 염료를 들 수 있다(문헌[M.K.Nazeeruddin, A.Kay, I.Rodicio, R.Humphry-Baker, E.Muller, P.Liska, N.Vlachopoulos, M.Gratzel, J. Am . Chem . Soc ., 제115권, 6382쪽(1993년)] 참조). 염료를 2종 이상 이용하는 경우에는 염료를 반도체 박막에 차례로 흡착시킬 수도, 혼합 용해해서 흡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의 박막에 염료를 담지할 때, 염료끼리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서 포섭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염료를 담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포섭화합물로서는 데옥시콜산, 데히드로데옥시콜산, 케노데옥시콜산, 콜산메틸에스테르, 콜산나트륨 등의 콜산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콜산 등의 스테로이드계 화합물, 크라운에테르, 사이클로덱스트린, 캘릭스아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료를 담지시킨 후, 4-t-부틸 피리딘 등의 아민 화합물이나 초산, 프로피온산 등의 산성기를 가지는 화합물 등으로 반도체 전극표면을 처리할 수 있다. 처리방법은 예를 들면 아민의 에탄올 용액에 염료를 담지한 반도체 미립자 박막이 설치된 기판을 담그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염료감응 광전변환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를 제공하는 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를 담지시킨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를 이용한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 종래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구체적인 예로 상기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에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를 담지시킨 광전변환소자 전극(음극), 대전극(양극), 산화환원 전해질, 정공수송 재료 또는 p형 반도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염료감응태양전지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의 일예로는 전도성 투명 기판 위에 산화티타늄 페이스트를 코팅하는 단계, 페이스트가 코팅된 기판을 소성하여 산화티타늄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산화티타늄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가 용해된 혼합용액에 함침시켜 염료가 흡착된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그 상부에 대전극이 형성된 제2의 유리기판을 구비하는 단계, 제2 유리기판 및 대전극을 관통하는 홀(hole)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대전극 및 상기 염료가 흡착된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 사이에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을 두고, 가열 압착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대전극 및 산화티타늄 필름전극을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홀을 통하여 대전극과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 사이의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에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를 실링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산화환원 전해질, 정공수송 재료, p형 반도체 등의 형태는 액체, 응고체(겔 및 겔상), 고체 등 일 수 있다. 액상의 것으로서는 산화환원 전해질, 용해염, 정공수송재료, p형 반도체 등을 각각 용매에 용해시킨 것이나 상온 용해염 등이, 응고체(겔 및 겔상)의 경우에는 이것들을 폴리머 매트릭스나 저분자 겔화제 등에 함유시킨 것 등을 각각 들 수 있다. 고체의 것으로서는 산화환원 전해질, 용해염, 정공수송재료, p형 반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정공수송 재료로서는 아민 유도체나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등의 도전성 고분자, 트리페닐렌계 화합물 등의 디스코테크 액정상을 이용하는 물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형 반도체로서는 CuI, CuSC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대전극으로는 도전성을 가지고 있으며, 산화환원 전해질의 환원 반응을 촉매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글라스 또는 고분자 필름에 백금, 카본, 로듐, 루테늄 등을 증착하거나, 도전성 미립자를 도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에 이용하는 산화환원 전해질로서는 할로겐 이온을 대이온으로 하는 할로겐 화합물 및 할로겐 분자로 구성되는 할로겐 산화환원계 전해질, 페로시안산염-페로시안산염이나 페로센-페리시늄 이온, 코발트 착체 등의 금속착체 등의 금속 산화환원계 전해질, 알킬티올-알킬디설피드, 비올로겐 염료, 하이드로퀴논-퀴논 등의 유기산화 환원계 전해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할로겐 산화환원계 전해질이 바람직하다. 할로겐 화합물-할로겐 분자로 구성되는 할로겐 산화환원계 전해질에 있어서의 할로겐 분자로서는 요오드 분자가 바람직하다. 또한 할로겐 이온을 대이온으로 하는 할로겐 화합물로서는 LiI, NaI, KI, CaI2, MgI2, CuI 등의 할로겐화 금속염, 또는 테트라알킬암모늄요오드, 이미다졸리움요오드, 피리디움요오드 등의 할로겐의 유기 암모늄염, 또는 I2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산화환원 전해질은 이를 포함하는 용액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그 용매로는 전기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아세토니트릴,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 메톡시아세토니트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부틸로락톤, 디메톡시에탄, 디메틸카보네이트, 1,3-디옥소란, 메틸포르메이트,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3-메톡시-옥사졸리딘-2-온, 설포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물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아세토니트릴,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 에틸렌글리콜, 3-메톡시-옥사졸리딘-2-온, 부틸로락톤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들은 1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겔상 양전해질의 경우에는 올리고머 및 폴리머 등의 매트릭스에 전해질 또는 전해질 용액을 함유시킨 것이나, 전분자 겔화제 등에 동일하게 전해질 또는 전해질 용액을 함유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산화환원 전해질의 농도는 0.01 - 99 중량%인 것이 좋으며, 0.1 - 30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는 기판상의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에 염료를 담지한 광전변환소자(음극)에 그것과 대치하도록 대전극(양극)을 배치하고 그 사이에 산화환원 전해질을 함유하는 용액을 충전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염료의 합성
모든 반응은 아르곤 분위기에서 진행되었고, 용매는 시그마-알드리치(Sigma-Adrich)사에서 구입한 적합한 시약으로 증류되었다. 1H NMR 스펙트럼은 Varian Mercury 300 스펙트로미터로 측정하였다. 흡광 및 발광스펙트럼은 각각 Perkin-Elmer Lambda 2S UV-visible 스펙트로미터 및 Perkin LS 형광 스펙트로미터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화합물 1의 합성
화합물 1
Figure pat00085
[반응식 1]
Figure pat00086
1-브로모-4-브로모메틸벤젠(5 g, 20 mmol)을 트리에틸 포스파이트(25 g, 150 mmol)와 함께 교반기에 넣고 2시간 동안 120 ℃에서 반응시켜 트리에틸 4-브로모벤질포스파이트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트리에틸 4-브로모벤질포스파이트(6.74 g, 20 mmol), 벤조페논(5.13 g, 29.16 mmol) 및 포타슘 tert-부톡사이드(3.27 g, 29.16 mmol)를 반응기에 넣고 THF 50 ml에 녹여 4시간 동안 120 ℃에서 반응시켜 1-브로모-4-(2,2-디페닐비닐)벤젠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1-브로모-4-(2,2-디페닐비닐)벤젠(6.03 g, 18 mmol)을 THF 50 ml에 녹인 후 -78 ℃에서 2 M n-BuLi(10 ml, 20 mmol)을 서서히 적가 후 1시간동안 저온 교반하였다. 다시 여기에 (Z)-3-(5-브로모티오펜-2-일)-2-시아노아크릴산(5.16 g, 20 mmol)을 -78 ℃에서 서서히 적가한 후 1시간동안 저온에서 교반한 다음 추가로 30분간 0 ℃에서 교반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반응 후 디클로로메탄과 증류수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한 후 용매를 증류기를 통해 제거한 뒤 n-헥산을 사용하여 재결정을 하고 침전물을 여과하여 회수한 다음 건조하여 정제하였다(수율 52%).
1H NMR(CDCl3) : [ppm] = 8.04 (s, 1H), 7.67 (s, 1H), 7.60 (d, 3JHH = 3.6Hz, 2H), 7.52 (d, 3JHH = 8.4Hz, 2H), 7.43 (m, 3H), 7.34 (m, 5H), 7.19 (dd, 3JHH = 8Hz, 2H), 7.14 (s, 1H), 7.07 (d, 3JHH = 8.4Hz, 2H).
[실시예 2] 화합물 3의 합성
화합물 3
Figure pat00087
[반응식 2]
Figure pat00088
4-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5 g, 27 mmol)와 N1-페닐벤젠-1,2-디아민(5.47 g, 29.7 mmol) 및 옥손(18.25 g, 29.7 mmol)을 반응기에 넣고 DMF 80 ml에 녹인 후 120 ℃에서 12시간 교반하여 2-(4-브로모페닐)-1-페닐-1H-벤조[d]이미다졸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2-(4-브로모페닐)-1-페닐-1H-벤조[d]이미다졸(6.98 g, 20 mmol)을 THF 50 ml에 녹인 후 -78 ℃에서 2 M n-BuLi(11 ml, 22 mmol)을 서서히 적가 후 1시간동안 저온 교반하였다. 다시 여기에 (Z)-3-(5-브로모티오펜-2-일)-2-시아노아크릴산(5.16 g, 20 mmol)을 -78 ℃에서 서서히 적가한 후 1시간동안 저온에서 교반한 후 추가로 30분간 0 ℃에서 교반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반응 후 디클로로메탄과 증류수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한 후 용매를 증류기를 통해 제거한 뒤 n-헥산을 사용하여 재결정을 하고 침전물을 여과하여 회수한 다음 건조하여 정제하였다(수율 48%).
1H NMR(CDCl3) : 11.0 (s, 1H), 8.16 (s, 1H), 7.70 (m, 3H), 7.54 (dd, 3JHH = 8Hz, 4H), 7.3 (s, 1H), 7.26 (m, 7H).
[실시예 3 내지 4] 화합물 2 및 4의 합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2 각각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화합물 2, 및 4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염료감응태양전지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화합물의 전류-전압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12+8 ㎛ TiO2 투명층을 이용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TiO2 페이스트(Solaronix, 13 nm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하여 12 ㎛ 두께의 제1 TiO2 층을 제조하고, 광산란을 위해 다른 페이스트(CCIC, HWP-400)로 8 ㎛ 두께의 제2 TiO2 산란층을 제조하였다. 이 TiO2 이중층 필름을 40 mM TiCl4 용액으로 처리하고 500 ℃에서 30분간 건조하였다. 처리된 필름을 60 ℃로 냉각한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염료 화합물 각각의 용액 (10 mM의 케노디옥시콜산 함유 에탄올 중에 0.3 mM 염료)에 함침시켰다. 염료-흡착된 TiO2 전극과 백금-대전극 사이에 스페이서로서 고온용융 필름(Surlyn 1702, 25 ㎛ 두께)을 놓고 가열하여 밀봉된 샌드위치 전지를 조합하였다. 전해질 용액으로는 아세토니트릴 중에 0.6 M 3-헥실-1,2-디메틸이미다졸리움 요오드, 0.04 M I2, 0.025 M LiI, 0.05 M 구아니디움 티오시아네이트 및 0.28 M tert-부틸피리딘을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 제조된 염료 및 염료감응태양전지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태양전지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Voc (V) Isc (A) Jsc (mA/cm2) Fill Factor (%) 테스트 소자 면적 (cm2) 효율 (%)
화합물 1 0.603 0.0010669 4.559 73.60 0.234 2.02
화합물 2 0.595 0.0016780 6.726 70.56 0.249 2.83
화합물 3 0.518 0.0035876 1.429 73.84 0.251 0.55
화합물 4 0.523 0.0001490 0.558 57.75 0.267 0.17
Ref.
(N-719)
0.775 0.00390 18.04 68 0.216 9.51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신규 염료는 우수한 몰흡광계수, Jsc(단회로 광전류 밀도) 및 광전기 변환효율을 나타내어 태양전지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오펜계 염료:
    [화학식 1]
    Figure pat00089

    상기 식에서,
    R1
    Figure pat00090
    또는
    Figure pat00091
    이고, 상기 X,Y 및 Z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30 인 알킬, 알콕시 또는 헤테로알콕시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아미드, 시아노, 하이드록실, 니트로, 아실, C1-30 알킬, C1-30 알콕시, C1-30 알킬카보닐 또는 C6-20 아릴이며, C1-30 알콕시인 경우 이들은 서로 결합하여 산소-함유 헤테로환을 형성할 수 있고;
    Ar1은 C1-50의 알킬, 알콕시, 할로겐, 아미드, 시아노, 하이드록실, 니트로, 아실,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Figure pat00092
    , 또는
    Figure pat00093
    이며;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며, n이 2 이상일 경우 임의적으로 하나의 티오펜 유닛 중의 황은 Se 또는 NH 일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펜계 염료:
    Figure pat00094
    .
    Figure pat00095

    Figure pat00096
    Figure pat00097


    Figure pat00098
    Figure pat00099

    Figure pat00100
    Figure pat00101

    Figure pat00102
    Figure pat00103

    Figure pat00104
    Figure pat00105

    Figure pat00106
    Figure pat00107

    Figure pat00108
    Figure pat00109

    Figure pat00110
    Figure pat00111

    Figure pat00112
    Figure pat00113

    Figure pat00114
    Figure pat00115

    Figure pat00116
    Figure pat00117

    Figure pat00118
    Figure pat00119

    Figure pat00120
    Figure pat00121

    Figure pat00122
    Figure pat00123

    Figure pat00124
    Figure pat00125

    Figure pat00126
    Figure pat00127

    Figure pat00128
    Figure pat00129

    Figure pat00130
    Figure pat00131

    Figure pat00132
    Figure pat00133

    Figure pat00134
    Figure pat00135

    Figure pat00136
    Figure pat00137

    Figure pat00138
    Figure pat00139

    Figure pat00140
    Figure pat00141

    Figure pat00142
    Figure pat00143

    Figure pat00144
    Figure pat00145

    Figure pat00146
    Figure pat00147

    Figure pat00148
    Figure pat00149

    Figure pat00150
    Figure pat00151

    Figure pat00152
    Figure pat00153

    Figure pat00154
    Figure pat00155

    Figure pat00156
    Figure pat00157

    Figure pat00158
    Figure pat00159

    Figure pat00160
    Figure pat00161

    Figure pat00162
    Figure pat00163

    Figure pat00164
    Figure pat00165

    Figure pat00166
    Figure pat00167
  3.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n-부틸리튬과 반응시킨 후 이어서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오펜계 염료의 제조방법:
    [화학식 2]
    Ar1-H1
    [화학식 3]
    Figure pat00168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R1, R2, R3, Ar1 및 n은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H1 및 H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이다.
  4. 제1항 기재의 염료를 담지시킨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포섭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상기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에 티오펜계 염료를 담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가 이산화티탄을 필수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반도체 미립자가 평균 입경이 1 - 5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
  8. 제4항 기재의 염료증감 광전변환소자를 전극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감응태양전지가, 전도성 투명 기판 위에 산화티타늄 페이스트를 코팅하는 단계, 페이스트가 코팅된 기판을 소성하여 산화티타늄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산화티타늄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료가 용해된 혼합용액에 함침시켜 염료가 흡착된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그 상부에 대전극이 형성된 제2의 유리기판을 구비하는 단계, 제2 유리기판 및 대전극을 관통하는 홀(hole)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대전극 및 상기 염료가 흡착된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 사이에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을 두고, 가열 압착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대전극 및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을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홀을 통하여 대전극과 산화티타늄 필름 전극 사이의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에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를 실링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
KR1020130076409A 2007-10-15 2013-07-01 신규한 티오펜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2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3629 2007-10-15
KR1020070103629 2007-10-15
KR20070137908 2007-12-26
KR1020070137908 2007-12-26
KR20080038731 2008-04-25
KR1020080038731 2008-04-25
KR1020080062482 2008-06-30
KR20080062482 2008-06-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967A Division KR101330601B1 (ko) 2007-10-15 2008-10-15 신규한 티오펜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489A true KR20130082489A (ko) 2013-07-19
KR101352024B1 KR101352024B1 (ko) 2014-01-22

Family

ID=405679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967A KR101330601B1 (ko) 2007-10-15 2008-10-15 신규한 티오펜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30076409A KR101352024B1 (ko) 2007-10-15 2013-07-01 신규한 티오펜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967A KR101330601B1 (ko) 2007-10-15 2008-10-15 신규한 티오펜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3) EP2471784B1 (ko)
JP (2) JP2011500882A (ko)
KR (2) KR101330601B1 (ko)
CN (3) CN103254659B (ko)
TW (2) TWI545160B (ko)
WO (1) WO200905139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8787B (zh) * 2009-05-15 2014-11-01 Ind Tech Res Inst 有機染料及包含其之光電轉換裝置
WO2010147427A2 (ko) * 2009-06-19 2010-12-23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신규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5782220B2 (ja) * 2009-06-24 2015-09-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色素化合物、これを用いた光電変換素子及び色素増感型太陽電池
TWI392775B (zh) * 2009-08-26 2013-04-11 Cheng Tung Glass Co Ltd 單晶奈米棒-聚(3-己基噻吩)(CdS-P3HT)複合物的製造方法及其用途
EP2530132B1 (en) * 2010-01-30 2016-01-06 Ocean's King Lighting Science&Technology Co., Ltd. Quinoid thiophene organic photoelectric material,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EP2400575B1 (de) * 2010-06-24 2016-03-23 heliatek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mit organischen Schichten
DE102010030500A1 (de) 2010-06-24 2011-12-29 Heliatek Gmbh Verdampfbares organisch halbleitendes Material und dessen Verwendung in einem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
JP5722579B2 (ja) * 2010-09-14 2015-05-20 山本化成株式会社 ジテトラアザポルフィリン系化合物、該化合物を用いた色素増感太陽電池
WO2012049167A1 (en) * 2010-10-11 2012-04-19 Universite De La Mediterranee Aix-Marseille Ii Novel oligothiophene derivatives, their process of preparation and their uses
JPWO2013084932A1 (ja) * 2011-12-09 2015-04-27 Jsr株式会社 着色剤、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素子
JP2013181108A (ja) * 2012-03-01 2013-09-12 Kanto Natural Gas Development Co Ltd 色素増感型光電変換素子用の高活性完全有機色素化合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電変換素子
ITMI20120674A1 (it) * 2012-04-23 2013-10-24 Cnrs Ct Nat De La Rech He Scient Colorante organico per cella solare sensibile ai coloranti
JP5515188B2 (ja) * 2012-11-20 2014-06-11 株式会社日本化学工業所 新規なピラゾリン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電変換素子
DE102013101713B4 (de) 2013-02-21 2020-10-01 Heliatek Gmbh Photoaktives, organisches Material für optoelektronische Bauelemente
DE102013101712B4 (de) 2013-02-21 2020-05-28 Heliatek Gmbh Photoaktives organisches Material für optoelektronische Bauelemente
JP6056605B2 (ja) * 2013-03-28 2017-01-11 富士通株式会社 有機色素、及び感光性素子
CN103450700B (zh) * 2013-08-23 2015-12-02 中山大学 一种基于咔唑或三苯胺衍生物的树状有机染料及其在制备染料敏化太阳能电池中的应用
DE102013110693B4 (de) 2013-09-27 2024-04-25 Heliatek Gmbh Photoaktives, organisches Material für optoelektronische Bauelemente
CN103834190B (zh) * 2013-12-09 2015-07-22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含苯并噻二唑-氰基苯丙烯酸受体的有机染料及在染料敏化太阳电池中的应用
WO2016031406A1 (ja) * 2014-08-27 2016-03-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化合物、組成物、膜、光学機器
CN104311549B (zh) * 2014-09-29 2017-07-07 浙江工业大学 一种咔唑类染料敏化剂的合成及应用
DE102015101768A1 (de) 2015-02-06 2016-08-11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Lichtabsorber
DE102015101835A1 (de) 2015-02-09 2016-08-11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Lichtabsorber
JP2018014426A (ja) * 2016-07-21 2018-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化合物及びそれを有する有機光電変換素子
CN108164546B (zh) * 2018-02-27 2021-03-30 华南理工大学 吲哚啉-二噻吩并喹喔啉-二苯并[a,c]吩嗪染料及其在染料敏化太阳电池中的应用
CN109705612B (zh) * 2018-11-27 2020-05-05 西安近代化学研究所 4,4’-二(烷氧基苯)联噻吩桥联硫脲三苯胺光敏染料及其制备方法
CN113200957B (zh) * 2021-04-09 2022-02-22 西安工业大学 一种酸/碱染料共敏体系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2631A1 (de) * 1983-11-25 1985-06-05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Thienothiophenderivate
KR100792381B1 (ko) 2000-07-27 2008-01-08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색소 증감 광전 변환소자
JP4230228B2 (ja) * 2002-01-16 2009-02-25 日本化薬株式会社 色素増感光電変換素子
US7118692B2 (en) * 2004-10-04 2006-10-1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Substituted thienothiophene monomers and conducting polymers
JP4608869B2 (ja) * 2002-12-12 2011-01-1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電変換材料用半導体、光電変換素子及び太陽電池
JP4841248B2 (ja) * 2003-03-14 2011-12-21 日本化薬株式会社 色素増感光電変換素子
US7390438B2 (en) * 2003-04-22 2008-06-2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Water dispersible substituted polydioxythiophenes made with fluorinated polymeric sulfonic acid colloids
EP1477504A1 (en) * 2003-05-16 2004-11-17 MERCK PATENT GmbH Mono-, oligo- and polymers comprising dithienotiophene and aryl groups
US7838623B2 (en) * 2004-09-14 2010-11-23 Corning Incorporated Fused thiophenes, methods for making fused thiophenes, and uses thereof
JP2006111783A (ja) * 2004-10-15 2006-04-27 Seimi Chem Co Ltd 新規アミノ基含有複素環誘導体および該複素環誘導体を含有する光電変換用増感色素
JP2006232898A (ja) * 2005-02-23 2006-09-07 Ricoh Co Ltd 導電性高分子材料、それを用いた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7446207B2 (en) * 2005-09-27 2008-11-04 Ctci Foundation Organic dye used in dye-sensitized solar cell
JP4986205B2 (ja) * 2005-11-30 2012-07-25 日本化薬株式会社 色素増感光電変換素子
AU2007221706B2 (en) * 2006-03-02 2011-12-22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Dye-sensitized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CN100537566C (zh) * 2006-03-02 2009-09-09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有机染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1405347B (zh) * 2006-03-31 2012-09-12 独立行政法人产业技术综合研究所 有机化合物及使用了它的半导体薄膜电极、光电转换元件、光电化学太阳能电池
CN100384944C (zh) * 2006-04-04 2008-04-30 大连理工大学 一类含有噻吩桥链的四氢喹啉功能染料
JP2009048925A (ja) * 2007-08-22 2009-03-05 Nippon Kayaku Co Ltd 色素増感光電変換素子
CN101240117B (zh) * 2008-02-04 2010-11-10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纯有机染料和由其制备的染料敏化太阳能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0601B1 (ko) 2013-11-18
WO2009051390A3 (en) 2009-07-16
EP2209773A4 (en) 2011-06-22
CN101821250B (zh) 2014-03-26
CN103254659A (zh) 2013-08-21
KR101352024B1 (ko) 2014-01-22
CN103254658A (zh) 2013-08-21
JP5886812B2 (ja) 2016-03-16
CN103254659B (zh) 2015-11-18
JP2014065913A (ja) 2014-04-17
TWI545160B (zh) 2016-08-11
TWI491677B (zh) 2015-07-11
WO2009051390A2 (en) 2009-04-23
CN101821250A (zh) 2010-09-01
EP2209773A2 (en) 2010-07-28
JP2011500882A (ja) 2011-01-06
CN103254658B (zh) 2015-03-11
EP2471785B1 (en) 2017-04-19
EP2471785A1 (en) 2012-07-04
KR20090038377A (ko) 2009-04-20
EP2471784B1 (en) 2015-07-08
EP2471784A1 (en) 2012-07-04
TW200927840A (en) 2009-07-01
TW201520278A (zh)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024B1 (ko) 신규한 티오펜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69675B1 (ko) 신규한 엔-아릴카바졸 잔기-함유 유기염료 및 이의제조방법
JP5623396B2 (ja) 新規な有機染料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08226B1 (ko) 신규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36929A (ko) 신규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0403B1 (ko) 벤조티아다이아졸 발색부-함유 신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71426A (ko)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TWI472512B (zh) 貴金屬釕類感光劑及其製備方法
KR20100136931A (ko) 신규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4230228B2 (ja) 色素増感光電変換素子
KR100969676B1 (ko) 신규한 줄로리딘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6236B1 (ko)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66158A (ko) 트리알콕시실릴기 함유 신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28094A (ko) 신규한 줄로리딘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83863A (ko) 신규한 유기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28096A (ko)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28258A (ko)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28255A (ko) 신규한 스파이로바이플루오렌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3658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스쿠아레인계 염료
KR101940491B1 (ko) 신규한 루테늄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80998A (ko) 플루오렌 유도체 및 그의 염
KR101827546B1 (ko) 신규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81000A (ko) 플루오렌 유도체 및 그의 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