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252A - 우산 구조 - Google Patents

우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252A
KR20130081252A KR1020130001061A KR20130001061A KR20130081252A KR 20130081252 A KR20130081252 A KR 20130081252A KR 1020130001061 A KR1020130001061 A KR 1020130001061A KR 20130001061 A KR20130001061 A KR 20130001061A KR 20130081252 A KR20130081252 A KR 20130081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rib
wheel
potter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테루시마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테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테루코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테루코
Publication of KR2013008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2019/008Umbrellas having upward pointing rib ends when closed, i.e. the lower dry side of the cover facing the outside when clos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고비용을 초래하는 일 없이, 통상의 형태로 열린 우산천을 내측 표면이 외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한 우산을 제공한다.
우산천(20)을 연 상태에서, 하 녹로(13)를 우산대(10)에 대해 하부로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받침살(14) 및 제1 리브(11A)가 우산대에 대해 도중까지 닫겨지고, 연계 리브(15)가 제2 리브(11B)를 제1 리브에 대해 위쪽으로 향하도록 도중까지 절첩시킨다. 하 녹로가 계속하여 하부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상 녹로는 계지부(10B)로부터 이탈해 하부로 슬라이드되어 우산대 중단의 계지단부(10A)에 의해 하부로의 슬라이드가 제한되며, 하 녹로가 계속하여 하부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받침살이 우산대에 대해 닫기는 것에 의해, 연계 리브가 제2 리브를 제1 리브에 대해 위쪽을 향하도록 절첩시키고, 이것에 의해 우산살이 닫겨지고 우산천을 내측 표면이 외측으로 접히게 한다.

Description

우산 구조{UMBRELLA}
본 발명은 우산 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고비용을 초래하는 일 없이, 통상의 형태로 열린 우산천을 내측 표면이 외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한 우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열차나 버스 등 혼잡한 장소에, 젖은 우산을 가지고 오르면, 우산의 물방울에 의해 타인의 의복 등을 적셔 폐를 끼칠 우려가 있다. 물론, 우산 전용 비닐 봉투나 폴리에틸렌 봉투를 휴대해, 젖은 우산을 비닐 봉투나 폴리에틸렌 봉투에 수납하면, 타인을 적실 걱정은 없지만, 비닐 봉투나 폴리에틸렌 봉투는 휴대하는 것을 잊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해, 닫았을 때에 우산천(커버)를 내측 표면이 외측으로 접히게 하여, 우산천의 젖은 면이 타인에게 닿는 일이 없게 한 우산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특개 평 11-16471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특개 2006-33434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우산은 구조상 무리가 있어, 통상의 형태로 열린 우산천을 내측 표면이 외측으로 접히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우산은 우산살의 구조가 복잡하여, 고비용을 초래해, 실제의 제품화는 어렵다.
이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주목하여, 고비용을 초래하는 일 없이, 통상의 형태로 열린 우산천을 내측 표면이 외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한 우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우산 구조는, 열린 우산천을 내측 표면이 외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한 우산 구조에 있어서, 우산천을 지지한 복수의 각 우산살이 제1 리브와 제2 리브를 접을 수 있게 연결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우산살의 제1 리브 기초부가 상 녹로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 녹로가 우산대 끝단에 계지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우산대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또한 우산대의 계지단부에 의해 계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하 녹로는 상기 우산대에 대해 계지단부를 넘어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 녹로에는 받침살의 기초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받침살의 첨단이 상기 우산살의 제1 리브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살의 첨단부 근방과 제2 리브의 후단이 연계 리브로 서로 연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상 녹로를 우산대 끝단에 계탈 가능하게 설치해 상 녹로를 우산대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우산살을 제1 리브와 제2 리브에 의해 절첩할 수 있게 구성하고, 받침살 첨단을 제1 리브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받침살의 첨단 근방과 제2 리브 후단을 연계 리브로 연계하고, 상 녹로를 하 녹로에 의해 밀리고 당기게 되어 우산대에 대해 슬라이드 하게 한 점에 있다.
이것에 의해, 우산살을 연 상태에서, 하 녹로를 하부로 슬라이드시키면, 받침살이 우산대에 대해 닫히고, 제1 리브가 우산대에 대해 닫혀지기 시작하고 연계 리브는 제2 리브를 제1 리브에 대해 위쪽으로 절첩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은 우산대의 중단에 계지단부를 형성해, 상 녹로의 하부로의 슬라이드를 제한하도록 한 점에 있다.
이것에 의해, 상 녹로의 하부 슬라이드를 제한해 하 녹로만을 하부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하 녹로를 계속하여 하부로 슬라이드시키면, 우산대의 중단에서 상 녹로의 하부 슬라이드가 제한되어, 하 녹로의 하부 슬라이드에 수반해 받침살이 거의 전부 닫힌 상태(실질적으로는 전부 닫힌 상태)로 닫히고 제1 리브가 우산대에 대해 거의 전부 닫힌 상태(실질적으로는 전부 닫힌 상태)로 닫혀지며 연계 리브가 제2 리브를 제1 리브에 대해 거의 전부 닫힌 상태(실질적으로는 전부 닫힌 상태)로 절첩시켜, 우산살은 닫히고 우산천은 내측 표면이 외측으로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은 상 녹로를 우산대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해, 상부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우산대 끝단의 계지부에 계탈 가능하게 계지되도록 한 점에 있다.
이것에 의해, 하 녹로를 상부로 슬라이드시켰을 때, 받침살이 위쪽으로 경사지게 향해 제1 리브를 펴는 것과 동시에, 연계 리브가 제1 리브와 제2 리브를 우산천의 장력에 저항해 신전하게 하므로 우산살과 우산천을 열 수 있는 한편, 하 녹로를 하부로 슬라이드시켰을 때, 받침살, 제1 리브 및 제2 리브의 닫힘 동작을 개시시켜 어느 정도까지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우산은 상술의 특징을 갖추고 있으면 좋지만,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된 우산은, 기초부에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고 첨단에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물미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단측반부가 중간의 계지단부를 통해 큰 직경으로 형성된 우산대와, 해당 우산대의 첨단측반부에 대해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계지단부에 의해 계지되어 상기 우산대의 후단측반부로의 슬라이드가 제한된 상 녹로와, 상기 우산대에 대해 상기 계지단부를 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는 하 녹로와, 제1 리브의 첨단을 제2 리브의 후단부 근방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었으며 상기 제1 리브의 기초부가 상기 상 녹로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 개의 우산살과, 첨단이 상기 제1 리브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었으며 기초부가 하 녹로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 개의 받침살과, 해당 받침살의 첨단 근방과 상기 제2 리브의 후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계 리브와, 상기 복수 개의 우산살에 장착된 우산천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산살의 제2 리브는 우산천의 내측 표면이 외측으로 접혔을 때 프리로 해도 괜찮지만, 갑자기 열리지 않게 주의할 필요가 있다. 때문에, 끈 등으로 우산살을 졸라 매도 괜찮지만, 물미에 고정 기능을 부여해 보관 유지할 수도 있다. 즉, 물미는 하부가 개구된 중공형태로 형성되고, 우산살이 닫혀졌을 때에 물미 내에 우산살의 제2 리브의 첨단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 녹로와 하 녹로는 받침살과 우산살의 제1 리브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있으므로, 하 녹로를 위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 녹로도 밀려 위쪽으로 슬라이드하고, 하 녹로를 하부로 슬라이드시키면, 상 녹로도 끌려 하부로 슬라이드 하지만, 받침살과 우산살의 제1 리브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 녹로의 슬라이드가 안정적이지 않다. 때문에, 상 녹로와 하 녹로의 사이에 용수철 부재를 개재시켜 상 녹로를 하 녹로에 의해 밀리고 당기게 되도록 구성하면, 상 녹로 및 하 녹로의 슬라이드가 안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고비용을 초래하는 일 없이, 통상의 형태로 열린 우산천을 내측 표면이 외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한 우산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우산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열린 상태(a), 여는 도중의 상태(b) 및 닫은 상태(c)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우산천을 생략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우산살을 닫은 상태의 전체 구성 및 주요부를 확대한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우산천을 생략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우산살을 열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우산천을 생략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우산살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5는 우산천을 생략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우산살을 닫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구체적인 예에 근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구조에 의한 우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예의 우산은 기본적으로 우산대(10)에 복수 개의 우산살(11)을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고, 우산살(11)에 우산천(20)을 장착해 구성되지만, 우산천(20)은 닫았을 때에 내측 표면이 외측으로 접히게 되어 있다.
본 예의 우산의 구조를 설명하면, 우산대(10)의 기초부에는 예를 들면 J자 모양의 손잡이(17)가 고정되어 있고 우산대(10)의 첨단부에는 물미(16)가 설치되고 물미(16)는 하부가 개구된 중공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부에 스펀지 등의 흡수 부재(16A)가 채워져 있어 우산을 닫았을 때에 우산천의 물방울을 흡수해 주위를 적시지 않게 되어 있다.
또, 우산대(10)의 첨단에는 상 녹로(12)가 감합해 계지될 수 있는 큰 직경의 계지부(10B)가 설치되어 있고 우산대(10)의 후단측(손잡이측) 반부는 계지단부(10A)를 통해 첨단측반부와 비교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산대(10)에는 상 녹로(12) 및 하 녹로(13)가 우산대(1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 녹로(12)와 하 녹로(13)의 사이의 우산대(10)에는 코일 용수철(18)이 외장되어 있고 코일 용수철(18)의 양단은 상 녹로(12) 및 하 녹로(13)에 계지되어 있다.
상 녹로(12)는 우산대(10)의 첨단측반부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의 관통구멍에 우산대(10)를 관통시켜 우산대(10)에 장착되어 있고 우산대(10)의 첨단측반부에 대해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지만, 우산대(10)의 계지단부(10A)에 의해 계지되어 우산대(10)의 후단측반부로의 슬라이드는 제한되어 있다.
한편, 하 녹로(13)는 우산대(10)의 후단측반부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의 관통구멍에 우산대(10)를 관통시켜 우산대(10)에 장착되어 있고 우산대(10)에 대해 계지단부(10A)를 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복수의 각 우산살(11)은 제1 리브(11A)의 첨단을 제2 리브(11B)의 후단부 근방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1 리브(11A)의 기초부는 상 녹로(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우산살(11)의 제1 리브(11A)의 중간에는 받침살(14)의 첨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받침살(14)의 기초부는 하 녹로(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받침살(14)의 첨단 근방과 제2 리브(11B)의 후단의 각각에는 연계 리브(15)의 양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연계 리브(15)는 받침살(14)의 기울림 움직임에 따라 우산살(11)의 제2 리브(11B)를 제1 리브(11A)에 대해 신전/절곡되도록 되어 있다.
우산천(20)을 닫은 상태에서는 도 1의 (c)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우산살(11)의 제1 리브(11A)는 받침살(14)과 함께 우산대(10)에 대해 닫히고 제2 리브(11B)는 제1 리브(11A)에 대해서 위쪽으로 절첩되고 우산천(20)은 내측 표면이 외측으로 접힌다. 상 녹로(12)는 우산대(10)의 계지단부(10A)에 의해 계지되어 하부로의 슬라이드가 제한되며 하 녹로(13)는 우산대(10)의 하부 근방에 있어, 하부 돌기(21)가 하 녹로(13)의 계지 구멍에 끼여 계지되고 우산살(11)의 제2 리브(11B)의 첨단은 물미(16) 내에 삽입된다.
우산을 펼 경우, 버튼(22)을 손가락으로 눌러 하부 돌기(21)를 몰입시키고 하 녹로(13)를 조금 하부로 슬라이드시켜 우산살(11)의 제2 리브(11B)의 첨단을 물미(16)로부터 뽑아낸 후, 도 3에 나타내듯이, 하 녹로(13)를 위쪽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상 녹로(12)는 하 녹로(13)의 상부 슬라이드에 수반해 받침살(14) 및 우산살(11)의 제1 리브(11A)의 연계에 의해 밀리는 것과 동시에, 코일 용수철(18)의 작용력에 의해도 밀려 상 녹로(12)는 위쪽으로 슬라이드되어 우산대(10) 첨단까지 달하면 우산대(10) 첨단의 계지부(10B)에 감합해 계지된다.
상 녹로(12)가 계지부(10B)에 감합해 계지된 후, 하 녹로(13)를 계속하여 위쪽에 슬라이드시키면, 이번에는 받침살(14)이 위쪽으로 밀려 도 4의 화살표 A로 나타내듯이 기초부를 중심으로 경사되도록 열리며, 거기에 따라 받침살(14)이 우산살(11)의 제1 리브(11A)를 밀어 도 4의 화살표 B로 나타내듯이 상 녹로(12)를 중심으로 위쪽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연계 리브(15)가 도 4의 화살표 C로 나타내듯이 우산살(11)의 제1 리브(11A)와 제2 리브(11B)를 우산천(20)의 장력에 저항해 서로 신장시켜, 우산살(11)은 도 4에 나타내듯이 하향 원호형태를 이루고, 우산천(20)은 도 1의 (a)에 나타내듯이 열리고 하 녹로(13)는 그 하단이 상부 돌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계지되어 우산은 연 상태로 보관 유지된다.
우산을 닫을 경우, 손가락으로 눌러 상부 돌기를 몰입시켜 하 녹로(13)의 계지를 해제한 후, 하 녹로(13)를 하부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상 녹로(12)는 우산대(10) 첨단의 계지부(10B)에 감합 계지되고 있으므로, 받침살(14)은 도 5의 화살표 D로 나타내듯이 하 녹로(13)의 하부 슬라이드에 수반해 우산대(10)에 대해 접히기 시작하고 우산살(11)의 제1 리브(11A)도 도 5의 화살표 E에 나타내듯이 상 녹로(12)를 중심으로 어느 정도까지 접히며 제2 리브(11B)는 도 5의 화살표 G로 나타내듯이 제1 리브(11A)에 대해 어느 정도까지 절첩되어 우산천(20)은 도 1의 (b)에 나타내듯이 어느 정도까지 닫힌 상태가 된다.
하 녹로(13)가 계속하여 하부로 슬라이드되면, 받침살(14)과 제1 리브(11A)의 연계 및 코일 용수철(18)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 녹로(12)가 우산대(10) 첨단의 계지부(10B)로부터 탈락되어 우산살(11)이 도 5에 나타내듯이 어느 정도 닫힌 상태에서 상 녹로(12)는 하부로 슬라이드되어 상 녹로(12)가 우산대(10)의 계지단부(10A)에 이르면, 계지되어 상 녹로(12)의 하부로의 슬라이드를 제한한다.
그 상태에서 하 녹로(13)가 계속하여 하부로 슬라이드되면, 받침살(14)이 하 녹로(13)를 중심으로 우산대(10)에 대해 거의 전부 닫힌 상태로 되고 이 받침살(14)은 우산살(11)의 제1 리브(11A)를 상 녹로(12)를 중심으로 우산대(10)에 대해 거의 전부 닫힌 상태로 접고 제2 리브(11B)는 연계 리브(15)에 의해 제1 리브(11A)에 대해 거의 전부 닫힌 상태로 절첩된다.
하 녹로(13)의 우산대(10)에 따른 하부 슬라이드가 완료하면, 우산살(11)은 완전히 절첩되어 우산천(20)을 내측 표면이 외측으로 접히게 하므로, 하 녹로(13)를 조금 위쪽으로 슬라이드시켜 우산살(11)의 제2 리브(11B)의 첨단을 물미(16) 내에 삽입시켜 보관 유지하며, 또 하 녹로(13)를 하부 돌기(21)에 의해 계지하면, 도 1의(c) 및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로 닫을 수 있다.
또한 우산살(11)을 완전히 닫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1 리브(11A)와 제2 리브(11B)의 연결부에 코일 용수철을 개재시켜, 제2 리브(11B)가 제1 리브(11A)에 대해 완전히 절첩되도록 회동작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 우산대(10)는 신축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버튼(22)을 없애 손가락으로 하부 돌기(21)를 몰입 조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10 우산대
10A 계지단부
10B 계지부
11 우산살
11A 제1 리브
11B 제2 리브
12 상 녹로
13 하 녹로
14 받침살
15 연계 리브
18 코일 용수철
20 우산천

Claims (5)

  1. 열린 우산천을 내측 표면이 외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한 우산에 있어서,
    우산천(20)을 지지하는 복수의 각 우산살(11)이 제1 리브(11A)와 제2 리브(11B)를 절첩 가능하게 연결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우산살(11)의 제1 리브(11A)의 기초부가 상 녹로(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 녹로(12)가 우산대(10)의 첨단에 계탈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우산대(10)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또한 우산대(10)의 계지단부(10A)에 의해 계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편,
    하 녹로(13)는 상기 우산대(11)에 대해서 계지단부(10A)를 넘어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 녹로(13)에는 받침살(14)의 기초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받침살(14)의 첨단이 상기 우산살(11)의 제1 리브(11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받침살(14)의 첨단부 근방과 제2 리브(11B)의 후단이 연계 리브(15)로 서로 연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기초부에 손잡이(17)가 설치되어 있고 첨단에 큰 직경의 계지부(10B)가 형성됨과 동시에 물미(16)가 설치되어 있고 후단측반부가 중간의 계지단부(10A)를 통해 큰 직경으로 형성된 우산대(10)와,
    해당 우산대(10)의 첨단측반부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계지단부(10A)에 의해 계지되어 상기 우산대(10)의 후단측반부로의 슬라이드를 제한하는 상 녹로(12)와,
    상기 우산대(10)에 대해 상기 계지단부(10A)를 넘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는 하 녹로(13)와,
    제1 리브(11A)의 첨단을 제2 리브(11B)의 후단부 근방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리브(11A)의 기초부가 상기 상 녹로(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 개의 우산살(11)과,
    첨단이 상기 제1 리브(11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기초부가 하 녹로(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 개의 받침살(14)과,
    해당 받침살(14)의 첨단 근방과 상기 제2 리브(11B)의 후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계 리브(15)와,
    상기 복수 개의 우산살(11)에 장착된 우산 천(20)을 구비한 우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 녹로(13)가 상기 우산대(10)의 하부로부터 상기 우산대(10)를 따라 상부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상기 상 녹로(12)가 위쪽으로 밀려 슬라이드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우산대(10) 첨단의 계지부(10B)에 계지되며, 상기 하 녹로(13)가 계속하여 상부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상기 받침살(14)이 위쪽으로 경사지게 열리는 것에 의해, 제1 리브(11A)가 우산대(10)에 대해 열림과 동시에, 상기 연계 리브(15)가 제2 리브(11B)를 우산천(20)의 장력에 저항해 제1 리브(11A)에 대해 신전시켜, 이것에 의해 상기 우산살(11)이 하향 원호형태를 이루어 우산천(20)을 여는 한편,
    상기 하 녹로(13)가 상기 우산대(10)를 따라 하부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상기 받침살(14)이 우산대(10)에 대해 닫히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리브(11A)가 우산대(10)에 대해 도중까지 닫힘과 동시에 상기 연계 리브(15)가 상기 제2 리브(11B)를 제1 리브(11A)에 대해 위쪽을 향하도록 도중까지 절첩시키고, 상기 하 녹로(13)가 계속하여 하부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상기 상 녹로(12)는 하부로 끌려가 상기 계지부(10B)로부터 이탈해, 하부에 슬라이드되어 우산대(10) 중단의 계지단부(10A)에 의해 하부로의 슬라이드가 제한되며, 상기 상 녹로(12)가 계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 녹로(13)가 계속하여 하부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상기 받침살(14)이 우산대(10)에 대해 실질적으로 전부 닫힌 상태로 닫혀지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리브(11A)가 실질적으로 전부 닫힌 상태로 닫혀짐과 동시에, 제2 리브(11B)가 연계 리브(15)에 의해 실질적으로 전부 닫힌 상태로 절첩되어 상기 우산살(11)이 절첩되고 우산천(20)을 내측 표면이 외측으로 접히게 하는 우산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미(16)는 하부가 개구된 중공형태를 이루며, 상기 우산살(11)이 닫혀졌을 때에 상기 물미(16) 내에는 상기 우산살(11)의 제2 리브(11B)의 첨단이 끼워지게 되어 있는 우산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 녹로(12)와 하 녹로(13)와의 사이에는 용수철 부재(18)가 개재되어 상기 상 녹로(12)가 상기 하 녹로(13)의 슬라이드에 의해 밀리고 당기게 되어 있는 우산 구조.
KR1020130001061A 2012-01-06 2013-01-04 우산 구조 KR201300812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1391A JP5912535B2 (ja) 2012-01-06 2012-01-06 雨傘
JPJP-P-2012-001391 2012-0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252A true KR20130081252A (ko) 2013-07-16

Family

ID=4855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061A KR20130081252A (ko) 2012-01-06 2013-01-04 우산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12535B2 (ko)
KR (1) KR20130081252A (ko)
CN (1) CN20298047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16396D0 (en) * 2009-09-18 2009-10-28 Kazim Jenan Improved foldaway umbrella
CN113712353A (zh) * 2021-09-14 2021-11-30 李德义 一种便于对伞骨及伞布进行收纳的雨伞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15732C2 (de) * 1976-04-10 1986-10-02 Kortenbach & Rauh Kg, 5650 Solingen Verkürzbarer Schirm
JPH0315405A (ja) * 1989-06-12 1991-01-23 Yoshihiko Fujita 閉じたとき濡れている部分が内側になる傘
JP2003033212A (ja) * 2001-07-19 2003-02-04 Usui Internatl Ind Co Ltd 雨 傘
JP2006187374A (ja) * 2004-12-30 2006-07-20 Motoharu Furuno 裏返しに閉じる雨傘
US7836903B2 (en) * 2007-12-03 2010-11-23 Lev Kharag Dual folded umbrell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41462A (ja) 2013-07-22
CN202980478U (zh) 2013-06-12
JP5912535B2 (ja)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65013A1 (en) Umbrella
CN101970779B (zh) 一种折叠帐篷结构
KR20130081252A (ko) 우산 구조
KR20130052945A (ko) 역 접힘 우산
US4030515A (en) Telescopic umbrella
WO2015068617A1 (ja) 伸縮式傘
TWM549548U (zh) 手推式旋轉傘具
US9585447B1 (en) Reversible umbrella
JP3184436U (ja) 筒状カバーを備えた雨傘
CN206380832U (zh) 多折自动开收伞伞面可旋转结构
KR200404998Y1 (ko) 폭가변형 파라솔
JP5140391B2 (ja)
JP3173708U (ja) 強風対応折り畳み傘の傘骨構造
US886125A (en) Umbrella.
JP4800758B2 (ja) 雨傘
JP2001104028A (ja) 雨 傘
CN209518392U (zh) 一种可调节伞面的折叠伞
CN203293875U (zh) 伞型汽车遮阳蓬
KR101791814B1 (ko)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우산
JPH0884616A (ja)
KR101706225B1 (ko) 우산
US1007244A (en) Folding umbrella.
JP2002325611A (ja) 雨 傘
KR20050079757A (ko) 양면우산 및 그 사용방법
JP2003024116A (ja) 雨 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