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122A - 연결 부품 - Google Patents

연결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122A
KR20130079122A KR1020120103936A KR20120103936A KR20130079122A KR 20130079122 A KR20130079122 A KR 20130079122A KR 1020120103936 A KR1020120103936 A KR 1020120103936A KR 20120103936 A KR20120103936 A KR 20120103936A KR 20130079122 A KR20130079122 A KR 20130079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uxiliary board
board
auxiliary
connection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1233B1 (ko
Inventor
켄타로 토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9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3Snap means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8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e.g. pivoting, camming or translating parallel to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Abstract

연결 부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하우징 연결 단자들, 상기 하우징 연결 단자들 아래에 위치하는 교대(abutment), 상기 보조 보드의 저면의 위치를 규제하며 상기 하우징 연결 단자들 아래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부, 상기 보조 보드의 상면의 위치를 규제하며, 상기 보조 보드 삽입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가이드 부 앞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부들, 및 상기 제1 가이드 부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들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서 상기 보조 보드 삽입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2 가이드 부들 앞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 보드의 전체 길이보다 긴 거리만큼 상기 교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 보드가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될 때 상기 보조 보드의 저면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3 가이드 부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결 부품{CONNECTING COMPONENT}
본 발명은 연결 부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 단자들을 상면에 갖는 보조 보드(board)를 예를 들어, 커넥터 부분 혹은 메인 보드 상으로 실장하기 위한 연결 부품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당해 기술 분야에서 내부에 전자 회로들을 포함하는 IC 카드와 같은 보조 보드를 메인 보드에 실장하여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 2000-306621호에는 보조 보드를 메인 보드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는 메인 보드(1)의 상면 상에 실장된 하우징(2)을 포함한다. 하우징(2)에는 보조 보드 역할을 하는 카드(3)의 말단으로 형성된 그루브(groove)(4)가 제공된다. 그루브(4)는 카드(3)의 양측에 제공된 카드 연결 단자들(5)에 연결된 커넥터 연결 단자들(6)과 함께 하우징(2) 내부에 제공된다.
카드(3)를 상기 커넥터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카드(3)는 그루브(4)의 개구로 일정한 각도로 삽입되고, 이후 그루브(4)를 따라 제1 방향(D1)을 이동하며, 카드(3)의 전단이 그루브(4)의 말단과 접촉한 후, 카드(3)는 메인 보드(1)의 상면을 향해 제2 방향(D2)으로 함입된다(depressed). 카드(3)는 이제 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메인 보드(1)의 상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반면, 커넥터 연결 단자들(6)은 각 카드 연결 단자들(5)에 의해 밀려 탄성 변형을 겪으며, 이들 사이에 탄성 연결이 형성된다.
커넥터 연결 단자들(6)은 완만하게 굴곡되고 거꾸로 뒤집힌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카드(3)의 부드러운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카드(3)가 메인 보드(1)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위치하고 커넥터 연결 단자들(6)이 카드 연결 단자들(5)에 탄성 접촉하면, 커넥터 연결 단자들(6)의 말단들(tips)은 카드 연결 단자들(5)로부터 멀어지도록 뒤집힌다. 이에 따라, 커넥터 연결 단자들(6) 말단들의 상기 뒤집힌 부분들은 고주파 특성을 열화시키는 단주들(stubs)을 형성하며, 대략 10Gbps 이상의 고속에서 고정밀로 신호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만약 단주들이 형성되지 않도록 커넥터 연결 단자들(6)의 상기 말단들이 각각 뒤집힌 형상 대신 직선 형상을 가지면, 카드(3)가 삽입되자마자 커넥터 연결 단자들(6)이 카드(3)의 전단을 칠 수도 있으며, 커넥터 연결 단자들(6)에 손상을 주거나 혹은 커넥터 연결 단자들(6)의 에지들이 카드(3)의 표면들을 마모시켜 카드(3)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여, 보조 보드를 부드럽게 부착시킬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주파수 특성을 갖도록 하는 연결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부품은 상기 보조 보드의 상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보조 보드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에 연결되기 위해 제공되는 하우징 연결 단자들; 상기 하우징 연결 단자들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보조 보드의 전단이 접촉하는 교대(abutment); 상기 보조 보드가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될 때 상기 보조 보드의 저면의 위치를 규제하며, 상기 하우징 연결 단자들 아래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부; 상기 보조 보드가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될 때 상기 보조 보드의 상면의 위치를 규제하며, 상기 보조 보드 삽입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가이드 부 앞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부들; 및 상기 제1 가이드 부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들을 통과하는 직선상에서 상기 보조 보드 삽입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2 가이드 부들 앞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 보드의 전체 길이보다 긴 거리만큼 상기 교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 보드가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될 때 상기 보조 보드의 저면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3 가이드 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 상기 제2 가이드 부들 및 상기 제3 가이드 부들은 상기 보조 보드가 상기 하우징 연결 단자들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기 보조 보드를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보조 보드의 전단이 상기 교대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보조 보드가 상기 삽입 경로를 따라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된 후, 상기 보조 보드의 후단을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 부를 향해 함입시킴으로써(depressing), 상기 보조 보드가 피벗되어 상기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이 상기 하우징 연결 단자들의 저면들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연결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보조 보드가 실장될 때 실시예 1에 따른 연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보조 보드가 실장될 때 실시예 1에 따른 연결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보조 보드를 실시예 1에 따른 연결 부품에 부착시키는 단계들을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보조 보드의 실장이 시작되었을 때 실시예 1에 따른 연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보조 보드의 실장이 시작되었을 때 실시예 1에 따른 연결 부품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보조 보드의 실장이 완성되었을 때 실시예 1에 따른 연결 부품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연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보조 보드가 실장된 실시예 2에 따른 연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보조 보드가 실장된 실시예 2에 따른 연결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보조 보드의 실장이 시작되었을 때 실시예 2에 따른 연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보조 보드의 실장이 완성되었을 때 실시예 2에 따른 연결 부품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3에 따른 연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보조 보드가 실장된 실시예 3에 따른 연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종래 카드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결 부품의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연결 부품은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커넥터 부분들의 플러그 커넥터 부의 일부를 구성하며, 일반적으로 트레이 유사한 형상을 갖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에 부착된 복수의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을 포함한다.
하우징(11)은 한 쌍의 장측 및 한 쌍의 단측을 갖는 직사각형 베이스 부(13), 베이스 부(13)의 상기 장측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수직 측벽들(14), 및 베이스 부(13)의 상기 한 쌍의 단측 중 하나를 따라 똑바로 서서 한 쌍의 측벽들(14)에 연결된 말단 벽(15)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13)의 상면(16)은 한 쌍의 측벽들(14) 및 말단 벽(15)에 의한 세 개의 측부들에 둘러싸이며, 보조 보드를 위한 리세스 수용부(17)를 형성한다. 말단 벽(15)에 대향하는 베이스 부(13)의 다른 단측 상에는 벽이 형성되지 않는 대신 개구(18)가 형성된다.
하우징(11)의 베이스 부(13)의 상면은 본 발명에서 보조 보드 지지부를 형성한다.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은 베이스 부(13)의 상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말단 벽(15)을 관통하며, 이에 따라 말단 벽(15)에 의해 지지된다.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의 한 말단은 갈매기 날개(gull-wing) 형상(상기 보드에 평행하도록 누운 납땜부를 가지면서 계단식으로 굴곡된 단자 형상)을 가지고 보조 보드 수용부(17)로 돌출되며, 접촉부들(12a)은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의 말단들 하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의 접촉부들(12a)은 베이스 부(13)의 상면에 평행한 직선 상에 배열되며 보조 보드 수용부(17) 내 측벽들(14)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말단 벽(15)을 향하여 주어진 경사(θ)로 아래로 경사진 제1 경사(19)는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의 접촉부들(12a)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베이스 부(13)의 상면 부분 상에 형성된다. 제1 경사(19)는 측벽들(14) 사이의 보조 보드 수용부(17)의 전체 두께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제1 경사(19)의 하부 말단에 연결된 말단 벽(15)의 벽면과 이에 대향하는 보조 보드 수용부(17)는 교대(abutment)를 형성한다.
한 쌍의 측벽들(14) 각각은 말단 벽(15)에 인접한 보조 보드 수용부(17) 안쪽으로 세워진 제1 돌기(21)와, 개구(18)에서 보조 보드 수용부(17)의 안쪽으로 세워진 제2 돌기(22)를 갖는다. 측벽들(14)의 제1 돌기들(21) 사이 거리 및 제2 돌기들(22) 사이 거리는 보조 보드 수용부(17) 내에 수용된 보조 보드의 폭보다 작은 반면, 돌기들(21, 22)이 형성되지 않은 측벽들(12)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보조 보드의 폭보다 약간 크다.
말단 벽(15)을 향해 제1 경사(19)와 동일한 각도(θ)로 아래로 경사진 제2 경사(23)는 말단 벽(15)에 인접하도록 위치한 제1 돌기들(21)의 각 저면들 상에 형성된다. 제2 경사들(23) 각각은 제1 경사(19)에 평행하며, 보조 보드 수용부(17) 내에 수용될 보조 보드의 두께보다 약간 큰 길이만큼 제1 경사(19)로부터 연장된 부분 상에 위치한다.
말단 벽(15)을 향해 제1 경사(19) 및 제2 경사들(23)과 동일한 각도(θ)로 아래로 경사진 제3 경사(24)는 개구(18)에 인접하도록 위치한 제2 돌기들(22)의 각 상면들 상에 형성된다. 제3 경사들(24) 각각은 제1 경사(19)의 연장된 부분 상에 위치한다. 개구(18)에 보다 가까운 제1 경사(19)의 말단으로부터 말단 벽(15)에 보다 가까운 제3 경사들(24)의 말단들까지의 거리는 보조 보드 수용부(17) 내에 수용될 보조 보드의 전체 길이보다 짧은 반면, 교대(20)로부터 말단 벽(15)에 보다 가까운 제3 경사들(24)의 말단들까지의 거리는 보조 보드 수용부(17) 내에 수용될 보조 보드의 전체 길이보다 길다.
제1 경사(19), 제2 경사들(23) 및 제3 경사들(24)은 본 발명에서 각각 제1 가이드 부, 제2 가이드 부들 및 제3 가이드 부들을 구성하며, 하우징(11)이 제조될 때 하우징(11)과 하나의 피스(piece)로 몰딩된다. 제1 경사(19), 제2 경사들(23) 및 제3 경사들(24)은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보조 보드를 하우징(11)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경로를 형성한다.
제1 돌기(21)와 제2 돌기(22) 사이의 각 측벽들(14) 상에는 캔틸레버(cantilever)(즉, 탄성 피스(elastic piece))로 형성된 잠금부(lock member)(25)가 형성되며, 잠금부(25)의 하부 말단부는 보조 보드 수용부(17)로 돌출된다. 각 잠금부들(25)은 상기 보조 보드의 두께보다 약간 큰 거리만큼 하우징(11)의 베이스 부(13)의 상면 위에 위치하며, 보조 보드 수용부(17)로의 돌출된 양이 잠금부(25)의 하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의 다른 말단들은 하우징(11) 바깥으로 연장되어 플러그 커넥터 부를 위한 플러그 콘택을 제공한다. 도 1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에 결합된 용기 커넥터 부(R)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보조 보드(B)가 실장된 연결 부품을 도시한다. 보조 보드(B)는 가운데에 실장된 반도체 칩(31) 및 전단에 인접한 보조 보드(B)의 표면 상에 배열된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32)을 갖는다. 보조 보드(B)의 후단은 케이블(33)에 연결된다.
보조 보드(B)는 전단이 하우징(11)의 교대(20)에 접촉하도록 베이스 부(13)의 상면을 따라 배치되며, 보조 보드 연결 단자부들(32)은 각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의 접촉부들(12a)과 접촉한다. 보조 보드(B)는 이제 잠금부들(25)에 결합되어 잠금 위치에 있게 된다. 보조 보드(B)의 후단에 연결된 케이블(33)은 상기 연결 부품으로부터 하우징(11)의 개구(18)를 통해 바깥으로 연장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은 남땜에 의해 각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32)에 연결된다. 보조 보드(B)가 잠금부들(25)에 의해 잠금 위치에 있으므로, 납땜은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32)이 하우징 연결 단자들(12)과의 정렬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수행될 수 있으며, 납땜이 수행되는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납땜 이후에, 보조 보드(B)가 잠금부들(25)에 의해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보조 보드(B)로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케이블(33)을 통해 스트레스가 가해지더라도, 상기 스트레스는 납땜한 부분들에 전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 연결 단자들(12)과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32) 사이에 신뢰할 만한 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조 보드(B)를 연결 부품에 실장하는 방법이 기술될 것이다.
먼저, 보조 보드(B)의 전단이 하우징(11)의 베이스 부(13)의 상면(16)에 접촉하고 보조 보드(B)의 후단의 저면이 하우징(11)의 제2 돌기들(22)의 상면들 상에 형성된 제3 경사들(24)에 접촉할 때까지, 보조 보드(B)의 전단이 낮춰지도록 보조 보드(B)가 경사져 하우징(11)의 보조 보드 수용부(17)로 삽입된다. 보조 보드(B)의 전단이 베이스 부(13)의 상면(16)에 접촉하고 보조 보드(B)의 후단의 저면이 제3 경사들(24)과 접촉하도록 유지된 상태에서, 보조 보드(B)가 하우징(11)의 말단 벽(15)을 향해 미끄러질 때, 보조 보드(B)의 전단의 저면은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1)의 제1 경사(19) 위로 올라가기 시작한다. 보조 보드(B)는 이제 양측에서 전단의 상면이 하우징(11)의 제1 돌기들(21)의 저면들 상에 형성된 제2 경사들(23)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따라서 보조 보드(B)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조 보드(B) 전단의 저면 위치는 제1 경사(19)에 의해 규제되고, 보조 보드(B) 전단의 상면 위치는 제2 경사들(23)에 의해 규제되며, 보조 보드(B) 후단의 저면의 위치는 제3 경사들(24)에 의해 규제된다. 이에 따라, 보조 보드(B)는 이제 보조 보드(B)를 하우징(11)의 보조 보드 수용부(17)로 삽입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경사(19), 제2 경사들(23) 및 제3 경사들(24)에 의해 정의되는 삽입 경로 상에만 위치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보드(B)의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32)은 하우징(11)의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에 아직 도달하지 않는다.
보조 보드(B)가 하우징(11)의 말단 벽(15)을 향한 삽입 경로를 따라 더 삽입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보드(B)의 전단은 하우징(11)의 교대(20)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삽입 경로를 형성하는 제1 경사(19)가 베이스 부(13)의 상면으로부터 주어진 각도(θ)로 말단 벽(15)을 향해 아래로 경사지므로, 상기 삽입 경로를 따라 경사진 보조 보드(B)의 전단은 하우징 연결 단자들(12)보다 아래의 위치에 있으며, 이에 따라 보조 보드(B)가 삽입되자마자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전단에 인접한 보조 보드(B)의 상면에 형성된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32)은 아직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에 접촉하지 않는다.
나아가, 교대(20)로부터, 말단 벽(15)에 보다 가까운 제3 경사들(24)까지의 거리(L1)가 보조 보드(B)의 전체 길이(L2)보다 크므로, 보조 보드(B)의 전단이 교대(20)에 접촉할 때까지 보조 보드(B)가 삽입될 때, 보조 보드(B)의 후단은 하우징(11)의 제3 경사들(24)로부터 분리되어 제2 돌기(22) 및 말단 벽(15)에 보다 가까운 제3 경사들(24)로부터 떨어지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보조 보드(B)의 후단의 저면은 이제 제3 경사들(24)에 의한 위치 제한으로부터 자유로워지며, 이에 따라 보조 보드(B)는 제1 경사(19)와 베이스 부(13)의 상면(16) 사이의 경계(C) 상에 피벗(pivot)되어 보조 보드(B)의 전단이 상승하고 후단이 하강할 준비가 된다. 따라서, 보조 보드(B)의 후단이 하우징(11)의 베이스 부(13)를 향해 함입되어 보조 보드(B)가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피벗될 때, 보조 보드(B)의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32)은 아래로부터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에 근접하고, 보조 보드(B)의 후단에 연결된 케이블(33)은 하우징(11)의 개구(18)로 삽입된다.
이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보드(B)의 저면이 하우징(11)의 베이스 부(13)의 상면(16)에 접촉할 때까지 보조 보드(B)가 피벗될 때, 보조 보드(B)는 잠금부들(25)에 결합되어 잠금 위치에 있게 되며, 하우징(11)의 베이스 부(13)의 상면(16)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3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의 접촉부들(12a)에 접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경사(19), 제2 경사들(23) 및 제3 경사들(24)은 보조 보드(B)를 하우징(11)의 보조 보드 수용부(17)로 가이드하기 위한 단일 삽입 경로를 구성하며, 보조 보드(B)를 상기 삽입 경로를 따라 삽입하고 삽입된 보조 보드(B)의 후단을 하우징(11)의 베이스 부(13)를 향해 함입시켜 보조 보드(B)를 피벗시킴으로써,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32)은 아래로부터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의 접촉부들(12a)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말단들이 뒤집히지 않은 형상인 갈매기 날개 형상의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이 사용되더라도, 보조 보드(B)가 상기 연결 부품에 부드럽게 부착될 수 있으며,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32)이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에 어떠한 단주도 형성하지 않으면서 접촉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따른 연결 부품은 보조 보드를 플러그 커넥터 부분에 부착시키는 데에 적용되는데 반해, 실시예 2에서는 연결 부품이 보조 보드를 메인 보드에 부착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연결 부품을 도시한다.
상기 연결 부품은 메인 보드(P)에 결합된 하우징(41) 및 하우징(41)에 연결된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을 포함한다.
하우징(41)은 메인 보드(P)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놓여 하우징(41)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들(42)을 포함하나, 그 이외에는 실시예 1에 따른 연결 부품의 하우징(1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베이스 부(13)의 상면(16)은 한 쌍의 측벽들(14) 및 말단 벽(15)에 의한 세 개의 측부들에 둘러싸이며, 리세스 형상을 갖는 보조 보드 수용부(17)를 형성한다. 베이스 부(13)의 상면(16)의 나머지 하나의 측부는 개구(18)를 갖는다. 제1 경사(19)는 말단 벽(15)에 보다 가까운 측의 베이스 부(13)의 상면 상에 형성된다. 제2 경사들(23) 및 제3 경사들(24)은 각각 말단 벽(15)에 인접한 한 쌍의 측벽들(14)의 제1 돌기들(21)의 저면 상에, 그리고 개구(18)에서 한 쌍의 측벽들(14)의 제2 돌기들(22)의 상면 상에 형성된다. 말단 벽(15)의 벽면은 교대(20)를 형성한다. 잠금부(25)는 제1 돌기(21) 및 제2 돌기(22) 사이의 각 측벽들(14) 상에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보조 보드(B)가 실장된 실시예 2에 따른 연결 부품을 도시한다. 보조 보드(B)는 전단이 하우징(41)의 교대(20)에 접촉하도록 베이스 부(13)의 상면을 따라 놓이며,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32)은 각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의 저면에 접촉한다. 보조 보드(B)는 잠금부(25)에 의해 잠금 위치에 있다. 보조 보드(B)의 후단에 연결된 케이블(33)은 상기 연결 부품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41)의 개구(18)를 관통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은 납땜을 통해, 각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32)에 연결된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도 12에 도시된 대로, 보조 보드(B)는 제1 경사(19), 제2 경사들(23) 및 제3 경사들(24)에 의해 구성되는 삽입 경로를 따라 삽입되며, 보조 보드(B)의 전단이 교대(20)에 접촉한 후, 보조 보드(B)의 후단이 하우징(41)의 베이스 부(13)를 향해 함입되어 보조 보드(B)를 피벗시키며, 이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보드(B)가 상기 연결 부품에 부착되는 것이 완성된다.
실시예 2에서,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32)에 연결된 말단들에 대향하는 측의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의 말단들은 하우징(41)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되어 메인 보드(P) 상에 형성된 전기 회로의 배선 패턴에 연결된다.
따라서 하우징(41)이 메인 보드(P)에 결합되는 실시예 2에 있어서도, 보조 보드(B)는 뒤집히지 않은 말단들을 갖는 갈매기 날개 형상의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을 사용하여 상기 연결 부품에 부드럽게 부착될 수 있으며,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32)은 하우징 연결 단자들(12)에 단주를 형성하지 않고 접촉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4는 실시예 3에 따른 연결 부품을 도시한다. 상기 연결 부품은 2개의 멤버들로 나뉘는 하우징(41)을 제외하고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 2에 따른 연결 부품과 동일하다.
상기 연결 부품은 메인 보드(P)에 결합된 하우징(41a), 하우징(41a)에 연결된 하우징 연결 단자들(12) 및 하우징(41a)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된 보조 멤버(41b)를 포함한다.
하우징(41a)은 베이스 부(13a), 한 쌍의 측벽들(14a) 및 말단 벽(15)을 포함한다. 제1 경사(19)는 말단 벽(15)에 보다 가까운 베이스 부(13a) 측부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1 돌기들(21)은 말단 벽(15)에 인접한 한 쌍의 측벽들(14a) 상에 형성된다. 제1 돌기들(22) 각각은 저면에 형성된 제2 경사들(23)을 갖는다. 말단 벽(15)의 벽면은 교대(20)를 형성한다. 측벽들(14a) 각각은 외측에 지지 부재(42)를 갖는다.
보조 멤버(41b)는 베이스 부(13b) 및 한 쌍의 측벽들(14b)을 포함한다. 측벽들(14b)은 말단에서 제2 돌기들(22)을 가지며, 제3 경사들(24)은 제2 돌기들(22)의 상면에 형성된다. 개구(18)는 제2 돌기들(22) 사이에 형성된다.
하우징(41a) 및 보조 멤버(41b)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 메커니즘을 갖는다. 하우징(41a)이 보조 멤버(41b)와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41a)의 측벽들(14a)은 보조 멤버(41b)의 측벽들(14b)에 연결되어 확장된 측벽을 형성한다. 하우징(41a)의 베이스 부(13a)는 보조 멤버(41b)의 베이스 부(13b)에 연결되어 확장된 베이스 부를 형성하며, 상면들(16a, 16b)은 편평한 연속 평면을 형성한다.
하우징(41a) 및 보조 멤버(41b)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실시예 1 및 2에서와 같이, 보조 보드(B)가 삽입되며, 보조 보드(B)의 전단이 교대(20)에 접촉한 후, 보조 보드(B)의 후단은 보조 멤버(41b)의 베이스 부(13b)를 향해 함입되어 보조 보드(B)를 피벗시키고, 보조 보드(B)를 연결 부품에 부착시키는 것이 완성된다.
하우징 연결 단자들(32)과 각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32)을 납땜을 통해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보조 보드(B)를 메인 보드(P)에 연결시키는 것이 완성되면, 하우징(41a)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결 메커니즘을 통해 연결되는 보조 멤버(41b)가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분리되고 하우징(41a)으로부터 제거된다. 이제 보조 보드(B)가 메인 보드(P)에 벌써 연결되었으므로, 보조 멤버(41b)를 제거하는 것은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하우징(41a) 및 보조 멤버(41b)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이러한 구조에서, 보조 보드(B)를 각 복수의 하우징들(41a)에 부착시키는 것은 복수의 하우징들(41a)에 대해 반복적으로 단일 보조 멤버(41b)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 1 및 2의 잠금부들(25)에 유사한 탄성 피스로 구성된 각 잠금부들이 바람직하게 하우징(41a)의 측벽들(14a) 상에 제공되어, 베이스 부(13a)의 상면 상에 지지되는 보조 보드(B)의 위치를 잠근다.
실시예 2에서와 같이, 보조 보드를 커넥터 부분에 부착시키기 위한 실시예 1에 따른 연결 부품 역시 하우징(11)이 제1 경사(19), 제2 경사들(23) 및 교대(20)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제3 경사들(24)을 포함하는 보조 멤버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 멤버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1 경사(19), 제2 경사들(23) 및 제3 경사(24)에 의해 각각 구체화되는 제1 가이드 부, 제2 가이드 부들 및 제3 가이드 부들은 보조 보드(B)의 상면 혹은 후면과의 면접촉을 통한 삽입에 있어서의 가이드를 제공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가이드 부들은, 만약 보조 보드(B)의 상기 하우징의 보조 보드 수용부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단일 삽입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면,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가 보조 보드(B)의 상면 혹은 후면과의 선접촉 혹은 점접촉을 통해 달성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Claims (10)

  1. 전단에 인접한 상면에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을 갖는 보조 보드를 실장하기 위한 연결 부품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보드의 상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보조 보드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에 연결되기 위해 제공되는 하우징 연결 단자들;
    상기 하우징 연결 단자들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보조 보드의 전단이 접촉하는 교대(abutment);
    상기 보조 보드가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될 때 상기 보조 보드의 저면의 위치를 규제하며, 상기 하우징 연결 단자들 아래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부;
    상기 보조 보드가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될 때 상기 보조 보드의 상면의 위치를 규제하며, 상기 보조 보드 삽입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가이드 부 앞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부들; 및
    상기 제1 가이드 부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들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서 상기 보조 보드 삽입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2 가이드 부들 앞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 보드의 전체 길이보다 긴 거리만큼 상기 교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 보드가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될 때 상기 보조 보드의 저면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3 가이드 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 상기 제2 가이드 부들 및 상기 제3 가이드 부들은 상기 보조 보드가 상기 하우징 연결 단자들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기 보조 보드를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보조 보드의 전단이 상기 교대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보조 보드가 상기 삽입 경로를 따라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된 후, 상기 보조 보드의 후단을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 부를 향해 함입시킴으로써(depressing), 상기 보조 보드가 피벗되어 상기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이 상기 하우징 연결 단자들의 저면들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 상기 제2 가이드 부들 및 상기 제3 가이드 부들은 각각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들(slopes)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조 보드가 피벗(pivot)될 때 상기 보조 보드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 보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은 상기 하우징 연결 단자들의 저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품.
  4.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보조 보드를 상기 보조 보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에 잠그기(lock) 위한 탄성 피스(elastic piece)로 구성된 잠금부(lock member)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하우징 연결 단자들은 갈매기 날개(gull-wing)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연결 단자들은 납땜에 의해 상기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 상기 제2 가이드 부들 및 상기 제3 가이드 부들은 상기 하우징과 함께 하나의 피스(one piece)로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품.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대, 상기 제1 가이드 부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들은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가이드 부들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보조 멤버 내에 형성되며,
    상기 보조 보드가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된 후, 상기 보조 멤버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상기 보조 보드 연결 단자들이 상기 하우징 연결 단자들에 연결되며, 상기 보조 멤버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커넥터 부분들 중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조 보드가 실장되는 메인 보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품.
KR1020120103936A 2011-12-22 2012-09-19 연결 부품 KR101381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80830 2011-12-22
JP2011280830A JP5925484B2 (ja) 2011-12-22 2011-12-22 接続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122A true KR20130079122A (ko) 2013-07-10
KR101381233B1 KR101381233B1 (ko) 2014-04-04

Family

ID=48638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936A KR101381233B1 (ko) 2011-12-22 2012-09-19 연결 부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88534B2 (ko)
JP (1) JP5925484B2 (ko)
KR (1) KR101381233B1 (ko)
CN (1) CN103178383B (ko)
TW (1) TWI5040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876B1 (ko) * 2021-05-12 2021-12-02 윤선희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53879S (ko) * 2015-11-03 2016-07-11
JP1553611S (ko) * 2015-11-03 2016-07-11
JP1552812S (ko) * 2015-11-03 2016-06-27
JP1552813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4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5S (ko) * 2015-11-06 2016-06-27
US11276977B2 (en) 2016-10-04 2022-03-15 Amphenol Fci Connectors Singapore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10756468B2 (en) * 2018-11-07 2020-08-25 Bellwether Electronic Corp. Plug connector assembly, flexible flat cable assembly thereof, and flexible flat cable thereof
TWM588894U (zh) * 2019-04-10 2020-01-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
TWM584035U (zh) * 2019-06-18 2019-09-21 貝爾威勒電子股份有限公司 具有取代電路板金手指之保護件的插頭連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267Y2 (ko) * 1986-12-27 1991-03-07
JPS63194483U (ko) * 1987-05-30 1988-12-14
JP2000306621A (ja) * 1999-04-15 2000-11-02 Molex Inc コネクタ
JP2002334745A (ja) * 2001-05-08 2002-11-22 Kel Corp カードコネクタ
CN2640062Y (zh) * 2003-01-31 2004-09-08 拓洋实业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JP4039408B2 (ja) * 2004-08-18 2008-01-30 松下電工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386811B2 (ja) * 2004-08-19 2009-12-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JP4708001B2 (ja) * 2004-11-18 2011-06-22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M322651U (en) * 2006-12-18 2007-11-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TW200910696A (en) * 2007-08-17 2009-03-01 P Two Ind Inc Electronic card connector and module thereof
CN201112637Y (zh) * 2007-08-17 2008-09-10 蔡周旋 电子卡连接器
TW201103207A (en) * 2009-07-15 2011-01-16 Adv Flexible Circuits Co Ltd Shielded insertion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lat cable connector
CN201752044U (zh) * 2010-04-22 2011-02-23 林雅萍 电连接器
CN202076583U (zh) * 2011-01-10 2011-12-1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876B1 (ko) * 2021-05-12 2021-12-02 윤선희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25484B2 (ja) 2016-05-25
CN103178383B (zh) 2015-04-22
CN103178383A (zh) 2013-06-26
US8888534B2 (en) 2014-11-18
JP2013131422A (ja) 2013-07-04
US20130164988A1 (en) 2013-06-27
TW201334293A (zh) 2013-08-16
TWI504069B (zh) 2015-10-11
KR101381233B1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233B1 (ko) 연결 부품
US7367816B2 (en) Board-to-board connectors
US732060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contacts
KR100303413B1 (ko) 프린트기판용커넥터
KR970002446B1 (ko) 얇은 표면 장착형 전기 커넥터
US8979551B2 (en) Low-profile mezzanine connector
US686357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ock support
KR100531061B1 (ko) 증가된 정전 용량을 가지는 터미널을 구비한 커넥터
US697685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gulation means
JP5751434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を使用した基板接続構造
KR20060005401A (ko) 커넥터
US7985089B2 (en) Card edge connector having cantilevered aligning key
KR101255371B1 (ko)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4659692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KR20170042484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3620833B2 (ja) モジュールコネクタ
US7527504B2 (en) Connector receptacle
JP2010086828A (ja) 電気コネクタ
JP5673786B1 (ja) 電気コネクタ
JPH09266035A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US7056133B2 (en) Surface mounting connector
KR100539835B1 (ko) 전기 컨넥터
KR101606775B1 (ko) 전기 커넥터
JP3106352B2 (ja) エッ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