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876B1 -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876B1
KR102333876B1 KR1020210061089A KR20210061089A KR102333876B1 KR 102333876 B1 KR102333876 B1 KR 102333876B1 KR 1020210061089 A KR1020210061089 A KR 1020210061089A KR 20210061089 A KR20210061089 A KR 20210061089A KR 102333876 B1 KR102333876 B1 KR 102333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nnector base
card
mounting sp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선희
Original Assignee
윤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선희 filed Critical 윤선희
Priority to KR1020210061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 H05K5/0278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of USB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Abstract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일면에 복수의 접촉핀이 노출된 직사각형 형상의 회로보드; 및 상기 회로보드에 대응하는 형상의 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에 상기 회로보드를 수용하는 커넥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제1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회로보드가 상기 장착공간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상기 접촉핀이 노출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베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장착공간 위로 돌출하여 상기 회로보드가 상기 개방된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로보드의 상면과 접촉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제조 과정 중에 접착제가 사용되지 않아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 및 접착제의 건조 또는 경화를 위한 대기 시간이 생략될 수 있어 제조를 위한 비용이 절감되고 기간이 단축되며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및 그 제조방법{CARD-MOUNTED USB FLASH DRIV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래시 드라이브란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한 저장장치를 지칭하며, 하드웨어 기술의 발달과 함께 플래시 드라이브는 매우 작은 크기로도 상당한 양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USB 플래시 드라이브는 USB 포트에 꽂아 쓰는 플래시 드라이브이며, 근래의 USB 플래시 드라이브는 USB 커넥터보다 약간만 더 큰 정도에 불과하는 소형 크기로 제조되고 있다.
일반적인 USB 커넥터는 회로보드에 접촉핀이 노출되어 있고, 접촉핀 부위를 금속쉘이 에워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금속쉘은 접촉핀을 보호하는 동시에 USB 커넥터가 US 포트에 삽입될 때 접촉핀이 US 포트의 대응 접점에 위치하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접촉핀이 형성된 회로보드보다 더 큰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통상적인 USB 플래시 드라이브는 금속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 접촉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쉘 전체 또는 적어도 금속쉘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도록 하는 분리형 또는 일체형의 덮개를 사용한다.
한편, USB 연결을 위한 금속쉘이 실제 회로보드보다 상당히 큰 크기를 차지하므로, 일부 USB 플래시 드라이브는 접촉핀에 대한 보호를 희생하고 금속쉘을 생략하기도 한다. 이러한 USB 플래시 드라이브에서는 특정 크기의 플라스틱 성형물의 장착공간 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회로보드를 장착공간 내에 삽입하여 접착시킨다. 여기서의 플라스틱 성형물은 그 두께가 USB 포트의 일면과 USB 포트의 접점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금속쉘이 없어도 USB 커넥터의 접촉 핀이 USB 포트의 접점에 접촉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USB 플래시 드라이브에서는 제조 과정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 및 접착제의 건조 또는 경화를 위한 대기 시간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제조를 위한 비용이 증가하고, 기간이 지연되며,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USB 커넥터를 연결할 때마다 압력 및 충격이 가해지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제의 접착력이 약해져 회로보드가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는 접촉핀을 보호하는 금속쉘을 생략한 것이므로 별도로 접촉핀을 보호하지 않는 이상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내구성도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금속쉘을 포함하지 않고도 USB 커넥터의 접촉핀을 보호할 수 있는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제조할 수 있어 제조를 위한 비용이 절감되고 기간이 단축되며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는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일면에 복수의 접촉핀이 노출된 직사각형 형상의 회로보드; 및 상기 회로보드에 대응하는 형상의 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에 상기 회로보드를 수용하는 커넥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제1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회로보드가 상기 장착공간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상기 접촉핀이 노출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베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장착공간 위로 돌출하여 상기 회로보드가 상기 개방된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로보드의 상면과 접촉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면의 모서리가 챔퍼링 또는 라운딩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경사면의 시작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로보드의 길이의 2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경사면의 시작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로보드의 두께의 4배 이하일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장착공간 위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과 상기 경사면 사이의 경계는 챔퍼링 또는 라운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베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회로보드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장착공간 위로 돌출하여 그 아래로 상기 회로보드의 후단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후단고정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단고정부 역시 상기 장착공간 위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베이스가 결합되는 카드부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베이스는 상기 카드부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카드부의 일면에는 상기 커넥터베이스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베이스가 회전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베이스의 일측 또는 양측 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벽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은 그 내부에 추가로 함몰된 함몰공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로보드는 기재, 상기 복수의 접촉핀 및 상기 기재로부터 상기 장착공간 위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접촉핀은 상기 기재의 상면에 배열된 제1 접촉핀 및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회로보드의 선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접촉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베이스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될 때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제2 접촉핀은 상기 함몰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일면에 복수의 접촉핀이 노출된 직사각형 형상의 회로보드 및 상기 회로보드에 대응하는 형상의 장착공간이 형성된 커넥터베이스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핀이 상기 장착공간의 개방된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로보드를 임계각도 이하의 경사진 각도로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커넥터베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장착공간 위로 돌출하여 상기 회로보드가 상기 개방된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로보드의 상면과 접촉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임계각도는 상기 경사면의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USB 플래시 드라이브가 금속쉘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접촉핀을 보호할 수 있어 금속쉘을 포함한 경우에 비해 더 작은 크기로 더 향상된 내구성을 가진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제조 과정 중에 접착제가 사용되지 않아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 및 접착제의 건조 또는 경화를 위한 대기 시간이 생략될 수 있어 제조를 위한 비용이 절감되고 기간이 단축되며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에서 커넥터베이스가 카드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커넥터베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커넥터베이스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커넥터베이스 및 회로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커넥터베이스의 상면 및 회로보드의 측면을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커넥터베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에서 커넥터베이스(200)가 카드부(100)에 수납된 상태를 각각 상측 및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의 커넥터베이스(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의 커넥터베이스(200)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는 크게 카드부(100), 커넥터베이스(200), 가이드부(300) 및 회로보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묘사된 카드부(100), 커넥터베이스(200) 및 회로보드(400)의 주요 표면을 각 구성요소의 '상면'이라 지칭하기로 하며, 각 구성요소의 상면이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즉, 도 1 및 도 2에서는 카드부(100), 커넥터베이스(200) 및 회로보드(400) 각각의 상면이 곧 제1 방향을 향하는 일면이다.
카드부(100)는 후술되는 커넥터베이스(200)의 개방된 부분을 덮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커넥터베이스(20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카드부(100)의 일측에는 연결공간(110)이 홈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커넥터베이스(200)를 수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부(100)의 연결공간(110)에는 회전돌기(160)가 형성될 수 있고, 커넥터베이스(200)가 연결공간(110)에 삽입 장착될 때 회전돌기(160)는 커넥터베이스(200)의 회전홈(260)에 삽입되어 커넥터베이스(200)가 카드부(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회전돌기(160)는 약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여 커넥터베이스(200)를 연결공간(110)에 압입하는 것만으로 커넥터베이스(200)와 카드부(100)가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카드부(100)의 상면에는 수납공간(120)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120)은 커넥터베이스(2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넥터베이스(2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넥터베이스(200)가 수납공간(120)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커넥터베이스(200)가 회전하여 수납공간(120)에 수납되면, 커넥터베이스(200)의 하면이 제1 방향을 향하여 카드부(100)의 상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된다. 커넥터베이스(200)가 수납공간(120)에 수납된 상태에서 커넥터베이스(200)의 하면은 카드부(100)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일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커넥터베이스(200)의 하면이 카드부(100)의 상면 위로 돌출할 수도 있다. 물론, 커넥터베이스(200)의 하면이 카드부(100)의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수납공간(120)에는 그 내부에 추가로 함몰된 함몰공간(150)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함몰공간(150)은 하측으로도 개방되어 관통홀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의 (b)는 카드부(100)의 하면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필요에 따라 카드부(100)의 하면에는 수용돌출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돌출부(125)는 커넥터베이스(200)의 두께와 수납공간(120)(및 함몰공간(150))의 하부의 두께의 합이 카드부(100)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큰 경우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카드부(100)의 재질 및 카드부(100)의 크기, 수납공간(120)의 깊이, 함몰공간(150)의 유무 및 깊이, 등에 따라 커넥터베이스(200)의 두께와 수납공간(120)의 하부의 두께의 합이 카드부(100)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크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수용돌출부(125)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3에는 카드부(100)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함, 신용카드 등의 크기에 대응하는 길이 및 너비의 카드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납공간(120)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로(즉, 도 3(b)의 수용돌출부(125)의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고, 후술되는 접촉핀(410, 420)을 커버하는 부분 및 이를 커넥터베이스(200)에 연결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카드부(100) 자체가 생략될 수도 있다.
커넥터베이스(200)는 크게 지지부(210)와 커넥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10)는 커넥터베이스(200)를 전반적으로 지지하고 카드부(100)에 연결되는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지지부(210)의 측면에는 회전홈(260)이 형성되어 지지부(210)가 카드부(100)의 연결공간(110)에 삽입될 때 카드부(100)의 회전돌기(160)가 지지부(210)의 회전홈(260)에 삽입되어 커넥터베이스(200)가 카드부(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면에는 회전돌기(160)가 카드부(100)에 형성되고 회전홈(260)이 커넥터베이스(200)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회전돌기(160)와 회전홈(260)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에서와 같이 커넥터베이스(200)가 카드부(100)에 수납된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는 지지부(210)를 가압하여 커넥터베이스(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베이스(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벤딩모멘트를 생성하는 데 과도한 힘이 요구되지 않도록, 회전돌기(160) 및 회전홈(260)는 다소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210)는 카드부(100)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돌기(160) 및 회전홈(260)는 각각 연결공간(110) 내 및 지지부(210) 상에서 중간에 대응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터베이스(200)가 수납된 상태 및 인출된 상태 모두의 경우 커넥터베이스(200)의 상하면이 카드부(100)의 상하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지지부(210)에는 다수의 중공홈(27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격자 형태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중공홈(270)이 형성됨에 따라 그 사이의 리브들이 커넥터베이스(200)을 요구되는 정도의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면서도 지지부(210)에 사용되는 재료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210)에는 또한 관통홀(28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커넥터베이스(200)가 카드부(100)에 수납되었을 때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제조 과정 중에서 커넥터베이스(200)의 휴대, 운반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중공홈(270)이 관통홀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관통홀(280)이 막힌 홈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중공홈(270)과 관통홀(280) 중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도 있다.
커넥터부(220)는 커넥터베이스(200)의 선단부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장착공간(240)을 형성할 수 있다. 장착공간(240)은 회로보드(4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면이 개방되어(즉, 제1 방향으로 개방되어) 회로보드(400)에서 접촉핀(410, 420)이 형성된 면이 상기 개방된 면으로 노출되도록 회로보드(400)를 수용할 수 있다.
커넥터부(22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고정홈(230)이 형성될 수 있고, 카드부(100)의 수납공간(120)의 내측벽에는 고정홈(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돌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베이스(200)가 회전되어 수납공간(120)에 수납될 때, 고정돌기(130)는 고정홈(230)에 삽입되어 커넥터베이스(200)를 수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돌기(130)는 약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여 커넥터베이스(200)를 가압하는 것만으로 커넥터베이스(200)가 수납 및 인출되게 할 수 있다.
회로보드(400)는 직사각형 형상의 기재(405) 및 기재(405)의 제1 방향을 향하는 일면(즉,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접촉핀(410, 420)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보드(400)는 커넥터베이스(200)의 장착공간(240) 내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접촉핀(410, 420)들은 USB 표준에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기재(405) 또한 USB 커넥터에 대응하는 너비 및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베이스(200)에 결합된 회로보드(400)는 USB 포트의 내면과 접점 사이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가 USB 포트에 연결되면 접촉핀(410, 420)들이 USB 포트의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보드(400)는 기재(405)의 상면에서 장착공간(240) 위로 돌출하는 돌출부(4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가 USB 3.0 표준을 채용하는 경우, 회로보드(400)의 접촉핀(410, 420)들은 제1 열에 배열된 제1 접촉핀(410) 및 제2 열에 배열된 제2 접촉핀(42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접촉핀(410)들은 기재(405)의 상면에 배열될 수 있고, 제2 접촉핀(420)들은 돌출부(450)의 측면에서 회로보드(400)의 선단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명백히 확인되듯이, 돌출부(450)는 기재(405)의 제1 방향을 향하는 일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고, 제1 접촉핀(410)은 기재(405)의 일면에 노출되어 기재(405)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접촉핀(420)은 돌출부(450)의 측면의 소정 높이에서 기재(405)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로보드(400)의 선단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는 USB 2.0 표준을 채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회로보드(400)는 상면에 노출된 접촉핀(410)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도 6 참조).
돌출부(450)는 여러 가지 기능을 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커넥터베이스(200)가 수납공간(120)에 수납될 때 돌출부(450)가 수납공간(120)의 바닥면을 먼저 접촉하여 회로보드(400)의 접촉핀(410, 420)들이 수납공간(120)의 바닥면에 접촉하지 않게 하고 이로써 접촉핀(410, 420)들이 마모 및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납공간(120) 내에 함몰공간(150)이 더 형성된 경우, 돌출부(450)와 제2 접촉핀(420)들이 함몰공간(15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함몰공간(150)이 하부로도 개방된 경우, 커넥터베이스(200)가 수납공간(120)에 수납될 때 돌출부(450)의 일부가 개방된 함몰공간(150) 하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커넥터베이스(200)를 인출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노출된 돌출부(450)를 가압하여 지지부(210)를 가압하는 경우에 비해 더 쉽게 커넥터베이스(200)를 인출할 수 있을 것인데, 돌출부(450)로부터 커넥터베이스(200)의 회전축(회전돌기(160)과 회전홈(260)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지지부(210)로부터 회전축까지의 거리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가 제2 접촉핀(420)을 포함하지 않고 제1 접촉핀(410)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돌출부(45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베이스(200)에는 가이드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커넥터베이스(200)의 장착공간(240)의 가장자리에서 장착공간(240) 위로 돌출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회로보드(400)가 장착공간(240) 내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한편 회로보드(400)가 장착공간(240) 내에 삽입된 후에는 장착공간(240)의 개방된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부(300)는 지지면(340)과 경사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면(340)은 가이드부(300)의 하면에 해당하며 회로보드(400)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면(340)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로보드(40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표면을 이룰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사면(3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340)으로부터 커넥터베이스(200)의 선단부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경사면(320)의 각도는 회로보드(400)를 커넥터베이스(200)의 장착공간(240)에 삽입할 때의 각도에 대응할 수 있다.
회로보드(400)를 접착제에 의해 커넥터베이스(200)에 결합하는 경우,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의 제조과정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이 포함되고, 접착제의 건조 또는 경화를 위한 대기 시간이 소요되므로 제조에 필요한 비용, 시간 및 노력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의 제조에서 접착제 없이 회로보드(400)를 커넥터베이스(200)에 결합할 수 있게 하여 제조의 비용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가이드부(300) 및 후단고정부(350)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의 커넥터베이스(200) 및 회로보드(4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의 커넥터베이스(200)의 상면 및 회로보드(400)의 측면을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회로보드(400)가 커넥터베이스(200)의 장착공간(240)에 결합될 때, 회로보드(400)의 후단부는 가이드부(300)의 전방에서 소정의 각도로 장착공간(240)에 삽입될 수 있다. 회로보드(400)의 삽입은 가이드부(300)의 경사면(320)의 각도를 임계각도로 하여 상기 임계각도 이하의 각도로 삽입될 수 있다.
회로보드(400)가 양측 가이드부(300)의 경사면(320)에 접촉하며 장착공간(240)에 삽입되면서, 회로보드(400)의 후단부가 장착공간(240)의 바닥면을 만나게 되며 회로보드(400)는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진입할 수 있다.
커넥터베이스(200)에서 장착공간(240)의 후단부의 위치, 즉 회로보드(400)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장착공간(240) 위로 돌출하는 후단고정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후단고정부(350)는 그 하면이 회로보드(400)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로보드(400)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회로보드(400)의 후단부는 지지면(340) 아래를 거쳐 장착공간(240)의 후단부에 도달할 수 있고, 이 때 후단고정부(350)의 아래로 진입할 수 있다. 장착공간(240)은 회로보드(40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것이므로 회로보드(400)의 후단부가 후단고정부(350) 아래에 삽입되어 장착공간(240)의 후단부에 도달하면, 회로보드(400)의 전단부를 포함하여 회로보드(400) 전체가 장착공간(24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부(300)가 경사면(320)을 포함하지 않고 지지면(340)을 포함하는 경우, 회로보드(400)가 경사진 각도로 장착공간(240)에 진입하더라도 가이드부(300)의 예각으로 인해 회로보드(400)가 쉽게 삽입되지 않고 회로보드(400)의 상면이 손상되거나 심지어는 회로보드(400)의 기재가 부러질 수 있다. 가이드부(300)가 경사면(320)을 구비함에 따라, 가이드부(300)는 소정 면적의 표면에 걸쳐 회로보드(400)에 접촉하므로, 회로보드(400)의 손상 없이 회로보드(400)의 삽입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에서 지지면(340)과 경사면(320) 사이의 경계가 챔퍼링 또는 라운딩되어 예각이 없도록 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회로보드(400)가 장착공간(24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후단고정부(350)의 하면 및 가이드부(300)의 지지면(340)이 회로보드(400)의 기재(405)의 상면을 접촉하여 회로보드(4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와 후단고정부(350)는 상면, 즉 제1 방향을 향하는 면의 모서리가 챔퍼링 또는 라운딩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이드부(300)와 후단고정부(350)의 상면은 회로보드(400)의 결합과는 큰 관련이 없고 외부 물체와 접촉이 가능한 부분이므로 해당 부위에서 예각을 없애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회로보드(400)를 커넥터베이스(200)에 결합함에 있어 가이드부(300)의 위치가 일종의 트레이드오프를 제시하는데, 가이드부(300)가 장착공간(240)의 중간에 가까울수록 장착된 후의 회로보드(400)를 더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지만 회로보드(400)의 삽입 자체는 어려워질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장착공간(240)의 후단부로부터 경사면(320)의 시작점까지의 거리(d)는 회로보드(400)의 두께(t)의 4배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관계는 일반적으로 회로보드(400)의 기재(405)에 사용되는 재질을 감안하여 도출한 것으로서, 회로보드(400)에 허용되는 휨의 정도, 회로보드(400)가 온전히 삽입되기까지 휘어진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거리 및 회로보드(400)의 선단부가 장착공간(24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효과를 감안하여 도출한 것이다. 장착공간(240)의 후단부로부터 경사면(320)의 시작점까지의 거리(d)가 회로보드(400)의 두께(t)의 4배를 초과하는 경우 회로보드(400)가 쉽게 삽입되지 않거나 회로보드(400)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장착공간(240)의 후단부로부터 경사면(320)의 시작점까지의 거리(d)는 회로보드(400)의 길이(l)의 20%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관계는 일반적으로 회로보드(400)의 기재(405)에 사용되는 재질과 표준 USB 커넥터의 치수를 감안하여 도출한 것이며, 역시 회로보드(400)에 허용되는 휨의 정도, 회로보드(400)가 온전히 삽입되기까지 휘어진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거리 및 회로보드(400)의 선단부가 장착공간(24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효과를 감안하여 도출한 것이다. 장착공간(240)의 후단부로부터 경사면(320)의 시작점까지의 거리(d)가 회로보드(400)의 길이(l)의 20%를 초과하는 경우 회로보드(400)가 쉽게 삽입되지 않거나 회로보드(400)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위에서 제시한 가이드부(300)의 위치, 특히 경사면(320)의 시작점의 위치는 회로보드(400)가 손상 없이 장착공간(240)에 삽입된 후 이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최적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는 가이드부(300)와 후단고정부(350)가 각각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이드부(300)와 후단고정부(350)가 연결되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의 커넥터베이스(20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커넥터베이스(202)에서는 가이드부(302)가 장착공간(240) 위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302)가 경사면(322)과 지지면을 포함하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다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장착공간(240) 위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는 가이드부(302)가 적어도 일부분에서는 지지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분에서는 경사면(322)을 포함하는 한, 지지면과 경사면(322)이 반드시 가이드부(302) 전체에 결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회로보드(400)가 소정의 경사로 장착공간(240)에 삽입될 때 경사면(322)은 마찬가지로 회로보드(400)의 진입을 돕고, 가이드부(302)의 지지면은 횡방향 전체에 걸쳐 회로보드(40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회로보드(400)가 예를 들어 횡방향으로 변형되어 장착공간(24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커넥터베이스(202)에서는 또한 후단고정부(352)가 장착공간(240) 위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장착공간(240)의 후단부를 가리는 커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공간(240)에 삽입된 회로보드(400)는 그 후단부가 후단고정부(352) 아래로 삽입될 수 있고, 후단고정부(352)의 하면은 횡방향 전체에 걸쳐 회로보드(40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8에는 가이드부(302)와 후단고정부(352)가 각각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이드부(302)와 후단고정부(352)가 연결되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제조방법(9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제조방법(900)은 회로보드(400), 커넥터베이스(200) 및 카드부(100)를 제작하는 단계(S91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보드(400), 커넥터베이스(200) 및 카드부(100)를 제작하는 순서에는 제한이 없다. 전술된 바와 같이, 회로보드(400)는 커넥터베이스(200)의 장착공간(240)에 삽입되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고, 커넥터베이스(200)는 회로보드(400)와 결합되었을 때 USB 포트에 연결이 가능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카드부(100)는 그 연결공간(110)이 커넥터베이스(200)의 지지부(210)와 결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회로보드(400)가 커넥터베이스(200)에 결합될 수 있는데, 복수의 접촉핀(410, 420)이 장착공간(240)의 개방된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회로보드(400)를 임계각도 이하의 경사진 각도로 커넥터베이스(200)의 장착공간(240)에 삽입될 수 있다(S920). 전술한 바와 같이, 회로보드(400)가 삽입될 때의 경사진 각도는 가이드부(300)의 경사면(320)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임계각도로 할 수 있다.
회로보드(400)가 장착공간(240)에 삽입되는 것만으로 회로보드(400)는 커넥터베이스(200)와 결합되는데, 장착공간(240)이 회로보드(40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좌우전후 및 하측에서 회로보드(400)를 고정하고 이에 더해 가이드부(300)가 회로보드(400)를 상측에서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회로보드(400)가 결합된 커넥터베이스(200)는 카드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S930).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베이스(200)의 지지부(210)를 카드부(100)의 연결공간(110)에 압입하면 카드부(100)의 회전돌기(160)가 지지부(210)의 회전홈(260)에 삽입되어 커넥터베이스(200)가 회전가능하게 카드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조의 편의를 고려하여 커넥터베이스(200)를 카드부(100)에 결합하는 단계(S930)가 회로보드(400)를 커넥터베이스(200)의 장착공간(240)에 삽입하는 단계(S920)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묘사하였으나, 커넥터베이스(200)를 카드부(100)에 결합한 후 커넥터베이스(200)에 회로보드(400)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를 사용하기 위해 커넥터베이스(200)를 인출할 때 이외에는 커넥터베이스(200)가 카드부(100)의 수납공간(120) 내에 수납되어 접촉핀(410, 4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쉘을 포함하지 않고도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의 접촉핀(410, 420)을 보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금속쉘이 차지하는 부피에 비해 훨씬 작은 두께로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1000)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단지 회로보드(400)를 커넥터베이스(200)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이는 커넥터베이스(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이드부(300)가 회로보드(400)의 삽입을 돕고 삽입 후에는 이탈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접착제의 사용이 배제되므로 이를 위한 접착제 도포 공정 및 접착제 건조/경화 시간을 생략할 수 있고,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카드부 110: 연결공간
120: 수납공간 160: 회전돌기
200: 커넥터베이스 210: 지지부
240: 장착공간 260: 회전홈
300: 가이드부 320: 경사면
340: 지지면 350: 후단고정부
400: 회로보드 450: 돌출부

Claims (13)

  1.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제1 방향을 향하는 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회로보드;
    상기 기재의 일면에 노출되고 상기 기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접촉핀;
    상기 돌출부의 측면의 소정 높이에서 상기 기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회로보드의 선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접촉핀;
    상기 회로보드에 대응하는 형상의 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에 상기 기재를 수용하는 커넥터베이스; 및
    상기 커넥터베이스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납공간 및 상기 수납공간 내부에 추가로 함몰된 함몰공간이 일면에 형성된 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베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장착공간 위로 돌출하여 상기 회로보드가 상기 장착공간의 개방된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로보드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커넥터베이스의 선단부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베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회로보드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장착공간 위로 돌출하여 그 아래로 상기 회로보드의 후단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후단고정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장착공간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경사면의 시작점까지의 거리가 상기 장착공간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고정부의 선단부까지의 거리 이상, 상기 회로보드의 길이의 20% 이하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비해 상기 회로보드의 선단부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함몰공간은 적어도 일부가 타면으로 개방되어 상기 함몰공간이 상기 카드부를 관통하고, 상기 커넥터베이스가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함몰공간을 통해 상기 돌출부의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커넥터베이스와 상기 카드부 중 어느 하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베이스와 상기 카드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돌기와 맞물리는 회전홈을 포함하여 상기 커넥터베이스가 상기 카드부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베이스와 상기 카드부 중 어느 하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베이스와 상기 카드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고정돌기와 맞물리는 고정홈을 포함하여 상기 커넥터베이스가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베이스가 상기 카드부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함몰공간은 상기 회전돌기보다 상기 고정돌기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면의 모서리가 챔퍼링 또는 라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경사면의 시작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로보드의 두께의 4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장착공간 위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과 상기 경사면 사이의 경계는 챔퍼링 또는 라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고정부는 상기 장착공간 위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10061089A 2021-05-12 2021-05-12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및 그 제조방법 KR102333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089A KR102333876B1 (ko) 2021-05-12 2021-05-12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089A KR102333876B1 (ko) 2021-05-12 2021-05-12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876B1 true KR102333876B1 (ko) 2021-12-02

Family

ID=78867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089A KR102333876B1 (ko) 2021-05-12 2021-05-12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8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895A (ko) * 2004-02-23 2004-12-13 주식회사 우영 심 슬라이드 커넥터에 설치되는 접속핀
KR200436136Y1 (ko) * 2007-02-07 2007-06-11 주식회사 아이오셀 유에스비 디바이스
KR20130079122A (ko) * 2011-12-22 2013-07-10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연결 부품
US20180341936A1 (en) * 2017-05-23 2018-11-29 Raj Manansingh USB Data Card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200035246A (ko) * 2013-01-17 2020-04-02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기판 에지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895A (ko) * 2004-02-23 2004-12-13 주식회사 우영 심 슬라이드 커넥터에 설치되는 접속핀
KR200436136Y1 (ko) * 2007-02-07 2007-06-11 주식회사 아이오셀 유에스비 디바이스
KR20130079122A (ko) * 2011-12-22 2013-07-10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연결 부품
KR20200035246A (ko) * 2013-01-17 2020-04-02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기판 에지 커넥터
US20180341936A1 (en) * 2017-05-23 2018-11-29 Raj Manansingh USB Data Card and Method of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61012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8004523A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ハウジングSubAssyの製造方法
TW201448361A (zh) 卡用連接器
US2009029835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nector
JP2004311416A (ja) カード用複合コネクタ
KR101641104B1 (ko) 접촉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CN101071910B (zh) 卡用连接器
KR20100026909A (ko) 메모리 카드 커넥터
KR1014894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커넥터 시스템
TWI360610B (en) Card connector
KR102333876B1 (ko) 카드형 usb 플래시 드라이브 및 그 제조방법
US7153165B2 (en) Terminal-protective card connector
US20120244741A1 (en) Connector
US7040928B1 (en) Terminal-protective card connector
WO2016155615A1 (zh) 一种卡座及包含该卡座的终端
JP6435404B2 (ja) 電子装置のためのカードソケット
JP2005041574A (ja) オープンフレームトレイクリップ
KR101476301B1 (ko) 카드 커넥터
US20080305665A1 (en) Card connector
KR200473311Y1 (ko) 카드 커넥터
JP6585416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7012320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479806Y1 (ko) 나노심 및 마이크로에스디용 복층형 소켓커넥터
JP612868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5035008B2 (ja) カー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