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776A -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8776A
KR20130078776A KR1020110147895A KR20110147895A KR20130078776A KR 20130078776 A KR20130078776 A KR 20130078776A KR 1020110147895 A KR1020110147895 A KR 1020110147895A KR 20110147895 A KR20110147895 A KR 20110147895A KR 20130078776 A KR20130078776 A KR 20130078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amide resin
resin compositio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봉
김창규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7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8776A/ko
Publication of KR20130078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77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8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kyl-substituted st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아미드 수지, 유리섬유, 글라스버블, 할로겐을 함유한 폴리스티렌, 산화안티몬 및 산변성 고무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강도, 내열성, 치수안정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POLYAMID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 및 난연성이 우수하여, 전기, 전자, 자동차 부품에 적용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일론 수지로 널리 알려져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는 강성, 유연성, 내마모성, 내용제성, 도장성 등에 있어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우수한 특성을 갖추고 있어 자동차, 전기, 전자부품 등의 각종 분야에 대량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UL94 방법에 의한 난연성 평가에서 V-0등급 수준의 강한 난연성이 요구될 경우에 난연제를 배합할 필요가 있다.
근래에는 화재 안정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증대되고, 규제가 강력해짐에 따라 자동차, 전기, 전자부품의 난연화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난연화 방법으로 난연제와 보조난연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비활성원소인 할로겐 또는 인 등을 함유한 난연제를 첨가하여 난연화를 달성한다. 이때, 주로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난연제는 주로 할로겐 함유 유기화합물과 안티몬 함유 무기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UL94 방법에 의한 난연성 평가에서 V-0등급 수준의 난연성을 만족하기 위해서 할로겐 화합물과 안티몬 함유 무기화합물이 과량으로 투입되어야 하며, 이는 기계적 물성 및 흐름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 방안으로 폴리아미드 난연수지를 제조할 때 옥시에틸렌 공중합체와 테플론(Teflon), 그리고 스테아린산 금속염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흐름성 및 난연성을 개선한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이 한국 특허공고 1996-0022834호 공보에 있고, 폴리아미드 난연수지를 제조할 때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수지, 브롬화 디페닐에탄 혼합물, 산화안티몬을 첨가하여 난연성 및 유동성이 우수하면서 향상된 충격강도를 갖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이 한국 특허공고 2010-0068982호 공보에 있다.
그러나, 기계적물성과 난연성이 우수하면서도 낮은 비중을 갖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개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난연성을 가지면서도, 낮은 비중을 가져 전기, 전자, 자동차부품에 적합하게 사용가능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1 구현예로서, 상대점도 2.3~3.6 (20 ℃ 96% 황산 100㎖ 중 나일론 6 수지 1g 용액으로 측정한 값을 기준으로 함)인 폴리아미드 수지;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 10 내지 50중량부; 글라스버블 5내지 15중량부; 할로겐을 함유한 폴리스티렌 20내지 50중량부; 산화안티몬 5 내지 20중량부; 및 산변성 고무 탄성체 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글라스 버블은 그 비중이 0.3 내지 0.7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산변성 고무 탄성체는 에틸렌을 포함하는 α-올레핀류, 아크릴산과 그 유도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디엔계 단량체로 이뤄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제조되는 고무 탄성체에 α,β-불포화카르본산이 그라프트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인장강도가 900 ~ 1500 kg/㎠, 충격강도가 5.0 ~ 10.0 kg㎝/㎝, UL94 난연등급이 1/32inch 두께 기준 V-0, 비중이 1.2~1.5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면서 비중이 감소되어 경량화 특성을 나타내며, 유동성이 높아 두께가 얇은 사출물의 사출성형에 유리하며, 강성이 뛰어나고, 사출성형으로 가공되는 전기, 전자, 자동차부품에 적합하게 사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대점도 2.3~3.6 (20 ℃ 96% 황산 100㎖ 중 나일론 6 수지 1g 용액으로 측정한 값을 기준으로 함)인 폴리아미드 수지;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 10 내지 50중량부; 글라스버블 5내지 15중량부; 할로겐을 함유한 폴리스티렌 20내지 50중량부; 산화안티몬 5 내지 20중량부; 및 산변성 고무 탄성체 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은 상대점도 2.5 내지 3.3(20℃ 96% 황산 100㎖ 중 폴리머 1g 용액으로 측정한 값을 기준으로 함)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대점도가 2.5 이상이면 강성, 치수안정성 향상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3.3 이하에서는 유동성의 저하로 인한 표면 불량 및 미성형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의 평균 중합도는 200 내지 20,000인 것을 사용하여 최종 수지 조성물의 우수한 기계적 강성, 치수안정성, 표면 특성 및 내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제조를 위하여, 칩(chip) 형태로 만들어 제습형 건조기에서 충분히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B] 유리섬유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성형, 조립 공정 및 사용 중 깨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700 내지 1500 kg/㎠의 인장강도, 1000 내지 2000kg/㎠의 굴곡강도가 요구되는데 이러한 강성의 보강을 위하여 폴리아미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강화 섬유 1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리섬유는 평균 직경이 9 내지 13㎛이고 평균 길이는 3 내지 5㎜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유리섬유의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강성의 보강 효과가 미미하여 인장강도가 700 kg/㎠ 미만, 충격강도 1000 kg/㎠ 미만이 되어 성형품의 조립 및 사용시 크랙(Crack), 깨짐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50중량부를 초과하면 성형품의 표면에 유리강화 섬유가 표출되어 미관이 좋지 못하게 되어 상품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유리섬유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나 강성의 효과적인 발현을 위하여 글라스 화이버(Glass Fib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글라스버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비중 감소에 의한 경량화를 위해 폴리아미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글라스버블 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한다. 글라스버블의 경우 비중이 0.3~0.7 인것을 사용할수 있다.
비중이 0.3 미만인 경우 글라스버블의 크기와 내부 빈공간이 커지고 두께는 얇아져
경량화 효과는 높아지지만 압출 및 사출성형시 글라스버블이 깨어지기 쉽고, 비중이 0.7보다 큰 경우는 글라스버블이 내부의 빈 공간이 적어 압출 및 사출가공시 쉽게 깨어지지는 않으나 폴리아미드 수지와 비중차이가 줄어들게되어 경량화 효과가 줄어들게 되어 글라스버블의 비중이 0.3~0.7 인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글라스버블의 상품명은 Scotchlite (제조사: 3M)로 산화나트륨(Na2O), 산화칼슘(CaO), 산화붕소(B2O3), 이산화규소(SiO2)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이 화합물은 유리공 모양으로 생겨 그 내부가 텅 빈 공간으로 구성된 보강재로 조성에 첨가시 폴리아미드 수지의 기계적 강도를 강화시키고 단위면적에서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역할 및 수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량에 있어 5.0중량부 미만의 경우 무게감소 및 수축 방지의 효과가 미비하고 20중량부 초과시 표면 불량 및 충격강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D] 할로겐을 함유한 폴리스티렌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화재 및 발화에 의한 성형물의 연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UL94 방법에 따른 난연성 평가에서 1/32inch 두께에서 V-0 등급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난연성의 발현을 위하여 폴리아미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할로겐을 함유한 폴리스티렌을 20 내지 50중량부로 포함한다. 상기 할로겐을 함유한 폴리스티렌의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이면 난연성 발현 효과가 미미하여 1/32inch 두께에서 V-0 등급의 난연성이 발현되지 않으며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인장강도의 하락을 동반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수지 성형물의 깨짐, 갈라짐 등의 파손 등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할로겐을 함유한 폴리스티렌에 함유된 할로겐은 브롬이 바람직하며, 브롬의 함량이 67~69%를 함유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할로겐을 함유한 폴리스티렌은 화학식 I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x는 2000, y은 2.7 이다.
[E] 산화안티몬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서 난연제의 상승효과를 위하여 산화안티몬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산화안티몬은 단독으로 사용될 시 자체로는 플라스틱에 난연성을 부여할 수는 없으나 상기 할로겐을 함유한 폴리스티렌과 같이 사용되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본 발명이 목적한 수준 이상의 난연성을 획득하게 되어 종래 난연성 향상을 위하여 다량 사용된 할로겐계 난연제의 함량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요구되는 할로겐의 농도가 너무 높아서 고분자의 기계적 물성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주 유용하다.
상기 산화안티몬은 폴리아미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안티몬의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인 경우 난연제의 상승효과 특성을 발현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F] 산변성 고무 탄성체
통상의 폴리아미드 수지의 내충격성 혹은 내수성 개질제로 많이 알려진 것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α,β-불포화디카르본산이 0.5 내지 5 중량부가 그라프트된 산변성 고무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조성물의 내충격성을 개선하며 부가적으로 내수성 등의 개질제로 첨가되는데, 에틸렌을 포함하는 α-올레핀류, 아크릴산 및 그 유도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디엔계 단량체로 이뤄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제조되는 고무 탄성체에 α,β-불포화카르본산이 그라프트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류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1-펜텐,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1-헥센, 1,3-헥사디엔 및 1-헤텐과, 비닐아세테이트 및 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포화 카르본산의 비닐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산 및 그 유도체는 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그리시딜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릴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미노메타크릴레이트 및 그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와, N-페닐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스틸렌, α-메틸스틸렌, o-메틸스틸렌, p-메틸스틸렌, 테트라부틸스틸렌, 디메틸스틸렌, 클로로스틸렌, 디클로로스틸렌, 및 비닐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푸마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엔계 단량체는 부타디엔, 1.3-사이클로헥사디엔, 1,4-사이클로헥사디엔, 사이클로펜타디엔 및 2,4-헥사디엔을 포함한다.
또한, 그라프팅되는 α,β-불포화카르본산 또는 α,β-불포화무수물 및 그 유도체는 아미드기와 반응성이 뛰어난 관능기로서 말레인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릴숙신산, 2-디카르본산, 푸말산, 및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좀더 구체적으로는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콘산, 무수시트라콘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릴숙신산, 2-디카르본산, 말레인산, 푸말산, 말레인산디에틸, 말레인산디메틸,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알릴숙신산 무수물 및 4-메틸-4-사이클로헥센-1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산변성 고무 탄성체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스틸렌에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α,β-불포화카르본산 또는 α,β-불포화무수물 및 그 유도체로 0.5 내지 5중량부 그라프팅한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폴리아미드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지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높은 점도 상승을 수반하여 혼련이 어렵게 되고 성형품의 외관 표면 품질이 불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그라프팅은 방법은 통상 용매상 또는 과산화물의 존재 하에 용융된 올레핀류 상에서 수행되며 이러한 그라프팅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산변성 고무 탄성체의 함량은 폴리아미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5중량부 미만이면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미비하고, 15 중량%를 초과하면 내열성 및 강성이 저하되고 성형수축율이 커지며 제품 성형시 표면이 불량해지는 단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폴리아미드 수지, 유리강화 섬유, 글라스버블, 할로겐을 함유한 폴리스티렌, 산화안티몬 및 산변성 고무 탄성체 이외에도 윤활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이형제, 안료(구체적인 예로 카본블랙 등), 대전방지제, 커플링제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20~290℃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내에서 [A]폴리아미드 수지100중량부에 대하여 , [B]유리섬유 19.6중량부 ,[C]글라스버블 5.4중량부, [D]할로겐을 함유한 폴리스티렌 35.7중량부, [E]산화안티몬 12.5중량부 및 [F] 산변성 고무 탄성체 5.4중량부를 용융 혼련공정을 통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이를 100℃, 6시간 제습형 건조기를 이용 건조하여 용융 혼련때와 동일한 온도로 각각의 ASTM 규격시편 시험편을 제작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
폴리아미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B]유리 섬유, [D]할로겐을 함유한 폴리스티렌 [E]산화안티몬 [C]글라스버블 [F] 산변성 고무 탄성체 함량을 변화시키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으로 동일하게 통상의 방법대로 실시한 후 아래의 평가방법에 의해 결과를 측정 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단위 : 중량부]
구분 조 성
[A] [B] [C] [D] [E] [F]
실시예1 100 19.6 5.4 35.7 12.5 5.4
실시예2 100 20.8 11.3 37.7 13.2 5.7
실시예3 100 20.8 5.7 37.7 13.2 11.3
비교예1 100 18.6 5.1 33.9 11.9 0.0
비교예2 100 22.0 6.0 40.0 14.0 18.0
비교예3 100 18.6 0.0 33.9 11.9 5.1
비교예4 100 22.4 20.4 40.8 14.3 6.1
[A] 폴리아미드 수지
: N66
[출처] |작성자
[B] 유리섬유
: KCC사 Glass fiber CS311
[C] 글라스버블
: 3M사 Scotchlite S60HS
[D] 할로겐을 함유한 폴리스티렌
[E] 산화안티몬
[F] 산변성 고무 탄성체
(평가 방법)
인장강도 : ASTM D638에 의거하여 만능재료실험기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율 : ASTM D790에 의거하여 만능재료실험기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IZOD 충격강도 : ASTM D256에 의거하여 1/4”아이조드 시편에 노치를
만들어 평가 하였다
4) 난연성 : UL94에 의거하여 1/32inch 두께의 막대 시험편을 연소성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비중 : ASTM D79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Kg/cm2)
굴곡강도
(Kg/cm2)
굴곡탄성율
(Kg/cm2)
충격강도
(Kgcm/ cm)
난연성 비중
실시예 1 980 1550 57440 5.6 V0 1.38
실시예 2 1050 1630 58650 5.3 V0 1.34
실시예 3 930 1500 56540 6.2 V0 1.37
비교예 1 1000 1570 59110 4.2 V0 1.40
비교예 2 840 1250 43000 11.0 V2 1.36
비교예 3 950 1510 55060 5.7 V0 1.43
비교예 4 1150 1700 61000 2.5 V0 1.29

상기 표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3과 같이 실시한 조성에서는 비교예 1~4 경우와 비교하여 강도특성 및 경량화에 의한 비중감소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4와 같이 글라스버블을 초과사용한 경우 충격강도가 부족한 단점이 있다.
본발명은 상시 실시예 들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 될 수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4)

  1. 상대점도 2.3~3.6 (20 ℃ 96% 황산 100㎖ 중 나일론 6 수지 1g 용액으로 측정한 값을 기준으로 함)인 폴리아미드 수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 10 내지 50중량부;
    글라스버블 5내지 15중량부;
    할로겐을 함유한 폴리스티렌 20내지 50중량부;
    산화안티몬 5 내지 20중량부; 및
    산변성 고무 탄성체 5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버블은 그 비중이 0.3 내지 0.7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변성 고무 탄성체는 에틸렌을 포함하는 α-올레핀류, 아크릴산과 그 유도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디엔계 단량체로 이뤄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제조되는 고무 탄성체에 α,β-불포화카르본산이 그라프트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인장강도가 900 ~ 1500 kg/㎠, 충격강도가 5.0 ~ 10.0 kg㎝/㎝, UL94 난연등급이 1/32inch 두께 기준 V-0, 비중이 1.2~1.5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20110147895A 2011-12-30 2011-12-30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130078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895A KR20130078776A (ko) 2011-12-30 2011-12-30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895A KR20130078776A (ko) 2011-12-30 2011-12-30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776A true KR20130078776A (ko) 2013-07-10

Family

ID=4899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895A KR20130078776A (ko) 2011-12-30 2011-12-30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87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239A1 (ko) * 2013-12-10 2015-06-18 (주) 엘지화학 할로겐계 난연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제조방법
EP3135731A1 (de) * 2015-08-31 2017-03-01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und daraus herstellbare formkörp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239A1 (ko) * 2013-12-10 2015-06-18 (주) 엘지화학 할로겐계 난연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50067735A (ko) * 2013-12-10 2015-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할로겐계 난연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제조방법
US9670361B2 (en) 2013-12-10 2017-06-06 Lg Chem, Ltd. Halogen based flame retardant glass fiber reinforced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3135731A1 (de) * 2015-08-31 2017-03-01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und daraus herstellbare formkörper
JP2017048382A (ja) * 2015-08-31 2017-03-09 エーエムエス−パテ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ポリアミド成形材料及びそれから製造できる成形品
US11186716B2 (en) 2015-08-31 2021-11-30 Ems-Patent Ag Polyamide moulding compound and moulded articles producible therefro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5954B1 (en) Composite of nylon polymer
JP6326332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6487808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CA2489511C (en) Glass fiber fill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good surface appearance
KR20130078776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1776990B1 (ko)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난연수지 얼로이 조성물 및 성형품
US6756439B2 (en) Filled weatherable compositions having a good surface appearance
KR20060005571A (ko) 내열성 및 표면평활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993824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150076619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160062858A (ko)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스티렌계 삼중합체 얼로이 조성물 및 성형품
JP6383245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100658447B1 (ko) 유리섬유 강화 난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조성물
JP3295979B2 (ja) 強化結晶性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70066829A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94000486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조성물
KR101447352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646945B1 (ko) 고강도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20089966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US20220340752A1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
KR20180075095A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KR100546769B1 (ko) 내그리스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JP3199856B2 (ja) ガラス繊維強化熱可塑性abs組成物
KR100648807B1 (ko) 무기물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KR19980084808A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