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065A - 고품질 버섯 생산을 위한 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고품질 버섯 생산을 위한 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065A
KR20130076065A KR1020110144477A KR20110144477A KR20130076065A KR 20130076065 A KR20130076065 A KR 20130076065A KR 1020110144477 A KR1020110144477 A KR 1020110144477A KR 20110144477 A KR20110144477 A KR 20110144477A KR 20130076065 A KR20130076065 A KR 20130076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kenaf
medium
culture medium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3983B1 (ko
Inventor
김대석
Original Assignee
김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석 filed Critical 김대석
Priority to KR102011014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983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품질 버섯 생산을 위한 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나프 톱밥을 사용한 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배지는 친환경적이면서도 저렴한 케나프 톱밥을 사용하여 배지를 구성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종래의 절반 정도로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의 버섯 배지용 톱밥 보다 버섯의 생육이 촉진되고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고품질 버섯 생산을 위한 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Production method of high quality Medium for cultivating a mushroom using them}
본 발명은 고품질 버섯 생산을 위한 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나프 톱밥을 사용한 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독특한 향기와 맛, 영양가치 때문에 누구에게나 친근하게 널리 상용된다. 특히 식용 버섯에는 아미노산, 마니트, 트레하로오스 등이 많이 들어 있으며 비타민 B₂와 D와 같은 여러 비타민류와 효소가 존재하고 있어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어 그 수효가 급증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버섯의 재배를 위한 연구개발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8110호에서는 버섯 배양용 배지 조성물에 홍삼박을 적정량 첨가하여 사포닌이 다량 함유된 버섯의 재배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부 제 10-0783489호 “미네랄 함유 버섯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미네랄 함유버섯의 재배방법”에서는 다양한 미네랄을 함유하는 버섯을 재배하기 위하여, 조직 배양용 배지 조성물의 식염 첨가량을 순차적으로 높여 버섯 종균이 식염의 짠 염분성분에 적응할 수 있는 1차, 2차 및 3차 조직 배양용 배지 조성물과 미네랄 함유 버섯의 재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케나프(Kenaf , Hibiscus cannabbinus L.)는 아열대 일년생 초본식물로써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양마라고 불렸다. 케나프는 기후와 토양에 대한 광범위한 적응성, 재배용이성, 내병충해성, 높은 생산량과 짧은 생육기간, 빠른 성장에 따른 높은 탄소고정성, 재생가능성 그리고 생분해성 등에 있어서 경제적이다.
이러한 케나프는 탄닌, 사포닌, 폴리페놀, 알칼로이드, 스테로이드 화합물을 과량 함유하고 있으며 인후염 장애, 타박상, 담즙분리 과다조절, 열과 산복의 치료(Duke, 1983; Lawton, 2004) 를 위해 인도와 아프리카에서 민간요법에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gbor et al., 2005; Kobaisy et al., 2001); Agbor et al., 2004).
케나프는 아욱과에 속하는 섬유작물로서 줄기는 종이와 펄프로 이용되거나 다양한 식품과 제품에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는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케나프를 식물체의 재배를 위한 용도에 응용한 기술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KR 10-2006-0035128 B1, 2006년 04월 26일 KR 10-2007-0065960 B1, 2007년 12월 07일
이에 본 발명자들은 케나프를 식물체의 배양에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던 중, 케나프가 종균 배지의 기본재료서 버섯의 생육이 촉진되고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나프(Hibiscus cannabbinus L.)와 비트펄프(Beet pulp) 또는 면실박을 포함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의 버섯 배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나프(Hibiscus cannabbinus L.)와 비트펄프(Beet pulp) 또는 면실박을 포함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버섯 재배용 배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버섯 재배용 배지를 이용한 고품질의 버섯 배양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버섯배지 주재료에 수확량이나 버섯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첨가제 혹은 영양제를 혼합하여 수분을 조정한다. 톱밥의 재료로서는 활엽수가 선호되고 있는데, 침엽수가 송진이나 페놀화합물과 같은 버섯 생장에 저해되는 요소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수종은 너도밤나무, 단풍나무, 구실잣밤나무 등이 적합하며, 졸참나무, 굴참나무, 물참나무 등도 심재부가 적은 어린 나무는 아주 좋은 수종으로 양질의 버섯이 발생된다. 활엽수 이외로는, 미송톱밥을 주로 사용하는데 침엽수계의 미송톱밥을 생톱밥 상태로 사용하면 수분조절이 안되고, 버섯이 이용할 수 있는 양분이 부족하게 되어 일정기간 가수, 퇴적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케나프를 버섯배지의 주재료로 케나프(Hibiscus cannabbinus L.)를 사용하고 영양원으로 비트펄프(Beet pulp) 또는 면실박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고품질의 버섯을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케나프(Hibiscus cannabbinus L.)와 비트펄프(Beet pulp) 또는 면실박이 9:1 내지 5:5 부피비로 배합되고, 수분 함량이 40 내지 80 중량%인 버섯 재배용 배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버섯 재배용 배지는 케나프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영양원이 되는 다른 성분이 없으므로 버섯이 충분히 생육할 수 없는 조건으로 결국, 버섯의 맛과 향을 충분히 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케나프를 버섯배지의 주재료로 케나프(Hibiscus cannabbinus L.)를 사용하고 영양원으로 비트펄프(Beet pulp) 또는 면실박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고품질의 버섯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분 함량은 40 내지 80 중량%인 것으로, 이는 성장을 돕기 위해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수분 함량이 40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재배 버섯에 공급되는 수분의 함량이 부족할 때는 재배 버섯의 생육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수분 함량이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량의 수분이 버섯에 공급될 때는 버섯의 육질이 물러질 뿐만 아니라 버섯의 맛과 향기가 희석되어 그 맛을 잃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나프는 가열처리 또는 원적외선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나프 특히, 케나프 잎은 5 개월 동안 10톤/ha의 생산량을 얻을 수 있어, 경제적으로 큰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의 케나프는 별도의 가공을 거치지 않고 건조한 상태로 이용할 수 있으나 열처리 또는 원적외선 처리를 가할 경우, 버섯의 생장이 촉진되는 효과가 있어 더욱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나프의 가열처리는 50 내지 100℃에서 10 내지 50분 동안 수행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의 온도에서 45분 동안 수행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나프의 원적외선 처리는 1.0 내지 1.6 kw에서 원적외선을 50 내지 100℃에서 10 내지 50분 동안 조사하여 수행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kw 조사에 의하여 그 온도가 60℃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시간은 45분 동안 조사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섯은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표고버섯(Lentinus edodes),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및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버섯의 재배 방식은 원목재배(原木栽培), 볏짚의 균상재배(菌床栽培), 톱밥을 이용한 병재배(甁栽培), 폐면을 이용한 균상 또는 상자재배로 나뉜다. 상기 버섯들은 톱밥을 이용한 병재배, 폐면을 이용한 상자 또는 균상재배가 가능한 버섯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1) 가열처리 또는 원적외선 처리된 케나프를 준비하는 단계;
2) 비트펄프(Beet pulp) 또는 면실박을 준비하는 단계;
3) 상기 1) 단계의 케나프와 상기 2) 단계의 비트펄프(Beet pulp) 또는 면실박을 9:1 ~ 5:5 부피비로 배합하고, 수분함량이 40 내지 80 중량%인 버섯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제조된 버섯배지를 살균 후, 냉각하는 단계;
5) 냉각된 버섯배지에 버섯종균을 접종하는 단계; 및
6) 상기 버섯종균이 접종된 버섯배지를 온도 15 내지 30℃, 습도 50 내지 90%로 배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버섯의 배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케나프 가열처리는 50 내지 100℃에서 10 내지 50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케나프 원적외선 처리는 1.0 내지 1.6 kw에서 원적외선을 50 내지 100℃에서 10 내지 50분 동안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다.
더 효과적으로는, 상기 a)의 케나프와 b)의 비트펄프(Beet pulp) 또는 면실박의 부피비는 9:1 내지 8:2의 비율로 배합되고, 수분함유량이 약 60 중량%인 버섯 배지를 제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조된 버섯 배지를 버섯재배용 병에 그 입병량이 480 내지 550 g/850 cc병 또는 610 내지 700 g/1100 cc 병이 되도록 충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섯재배용 병은 일정한 크기의 플라스틱 용기, 상자나 비닐 봉지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병 주둥이를 깨끗이 닦고 솜으로 면전하여 배지 내 균사가 공기 유통으로 잘 자랄 수 있도록 하고 잡균의 침투를 막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의 살균은 버섯배지를 100 내지 130℃에서 20 내지 50분 동안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은 여러 가지 멸균방법이 적용된다. 한 방법은 고압 살균기인 보일러를 이용한 살균 방법으로 배합된 배지를 살균 솥 속에 넣고 압력이 새지 않게 완전 밀착하여야 한다. 처음에는 보일러로 압력을 서서히 올리면서 온도가 70 내지 80℃가 될 때까지는 증기가 외부로 빠지게 하면서 안에 고여 있던 찬 공기도 함께 밖으로 흘러가게 하고 온도가 계속 상승하면 배기 밸브를 잠가서 압력이 오르게 하여 온도 121℃에서 30 내지 40분 유지시켰다가 그대로 식히고 압력솥의 문을 열어 완성된 배지를 꺼내 냉각시킨다.
다른 방법으로 자외선 살균법이 있다. 280 내지 315 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대상 물질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간헐 멸균법이 있다. 이는 100℃ 증기에서 30 내지 60분 24시간 간격으로 3회 실시하여 멸균하는 방법이다.
상기 버섯배지를 냉각한 후 버섯종균을 접종하는 단계는, 무균상태에서 상기 버섯배지에 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버섯은,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표고버섯(Lentinus edodes),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또는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중 선택된 종균을 접종한다.
상기 버섯종균이 접종된 버섯배지를 온도 15 내지 30℃, 습도 50 내지 90%로 배양하는 상기 6) 단계는, 접종이 완료되면 온도 15 내지 30℃, 습도 50 내지 90%의 배양실에서 5 내지 30일간 버섯 종균을 배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는 자연상태에서 버섯이 발생하는 기주가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톱밥을 이용한 배지에 비하여 버섯의 생육이 촉진되고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배지는 친환경적이면서도 저렴한 케나프 톱밥을 사용하여 배지를 구성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종래의 절반 정도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조예 1]
전북 익산 지역에서 재배하여 채취한 케나프(Hibiscus cannabbinus L.) 잎과, 케나프 가지(잎과 줄기의 사이 부분) 1 ㎏을 생체중의 10% 무게가 되도록 자연건조 하였다.
[제조예 2]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곳에서 채취한 케나프(Hibiscus cannabbinus L.) 잎과, 케나프 가지(잎과 줄기의 사이 부분) 1 ㎏을 60℃에서 45분 동안 가열처리 하였다.
[제조예 3]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곳에서 채취한 케나프(Hibiscus cannabbinus L.) 잎과, 케나프 가지(잎과 줄기의 사이 부분) 1 ㎏을 1.6 kw로 원적외선을 45분 동안 조사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의 케나프 톱밥(분말)과 면실박을 9: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입병량이 520 g/850 cc 병이 되도록 충전하였다. 상기 충전된 배지를 고압살균하여 곰팡이를 멸균시켰다. 멸균된 버섯배지에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버섯 종균을 무균하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완료한 후 온도 25℃, 습도 80%의 배양실에서 배양시켰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2의 케나프 톱밥(분말)과 면실박을 9: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입병량이 520 g/850 cc 병이 되도록 충전하였다. 멸균된 버섯배지에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버섯 종균을 무균하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완료한 후 온도 25℃, 습도 80%의 배양실에서 배양시켰다.
[ 실시예 3]
상기 제조예 3의 케나프 톱밥(분말)과 면실박을 9: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입병량이 520 g/850 cc 병이 되도록 충전하였다. 멸균된 버섯배지에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버섯 종균을 무균하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완료한 후 온도 25℃, 습도 80%의 배양실에서 배양시켰다.
[ 실시예 4]
상기 제조예 2의 케나프 톱밥(분말)과 면실박을 5: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입병량이 520 g/850 cc 병이 되도록 충전하였다. 멸균된 버섯배지에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버섯 종균을 무균하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완료한 후 온도 25℃, 습도 80%의 배양실에서 배양시켰다.
[ 실시예 5]
상기 제조예 3의 케나프 톱밥(분말)과 면실박을 5: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입병량이 520 g/850 cc 병이 되도록 충전하였다. 멸균된 버섯배지에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버섯 종균을 무균하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완료한 후 온도 25℃, 습도 80%의 배양실에서 배양시켰다.
[ 실시예 6]
상기 제조예 2의 케나프 톱밥(분말)과 비트펄프(Beet pulp)를 9: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입병량이 520 g/850 cc 병이 되도록 충전하였다. 멸균된 버섯배지에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버섯 종균을 무균하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완료한 후 온도 25℃, 습도 80%의 배양실에서 배양시켰다.
[ 실시예 7]
상기 제조예 3의 케나프 톱밥(분말)과 비트펄프(Beet pulp)를 5: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입병량이 520 g/850 cc 병이 되도록 충전하였다. 멸균된 버섯배지에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버섯 종균을 무균하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완료한 후 온도 25℃, 습도 80%의 배양실에서 배양시켰다.
[ 비교예 1]
미송 야외 발효 톱밥과 미강(쌀겨)을 9: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입병량이 520 g/850 cc 병이 되도록 충전하였다. 멸균된 버섯배지에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버섯 종균을 무균하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완료한 후 온도 25℃, 습도 80%의 배양실에서 배양시켰다.
[ 비교예 2]
미송 야외 발효 톱밥과 면실박을 9: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입병량이 520 g/850 cc 병이 되도록 충전하였다. 멸균된 버섯배지에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버섯 종균을 무균하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완료한 후 온도 25℃, 습도 80%의 배양실에서 배양시켰다.
[ 비교예 3]
미송 야외 발효 톱밥과 면실박을 5: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입병량이 520 g/850 cc 병이 되도록 충전하였다. 멸균된 버섯배지에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버섯 종균을 무균하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완료한 후 온도 25℃, 습도 80%의 배양실에서 배양시켰다.
[ 비교예 4]
미송 야외 발효 톱밥과 비트펄프(Beet pulp)를 9: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입병량이 520 g/850 cc 병이 되도록 충전하였다. 멸균된 버섯배지에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버섯 종균을 무균하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완료한 후 온도 25℃, 습도 80%의 배양실에서 배양시켰다.
[ 비교예 5]
미송 야외 발효 톱밥과 비트펄프(Beet pulp)를 5: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입병량이 520 g/850 cc 병이 되도록 충전하였다. 멸균된 버섯배지에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버섯 종균을 무균하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완료한 후 온도 25℃, 습도 80%의 배양실에서 배양시켰다.
[ 비교예 6]
미송 야외 발효 톱밥과 면실박, 비트펄프(Beet pulp)를 5:3:2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입병량이 520 g/850 cc 병이 되도록 충전하였다. 멸균된 버섯배지에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버섯 종균을 무균하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완료한 후 온도 25℃, 습도 80%의 배양실에서 배양시켰다.
[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재배한 큰느타리버섯 균사 생장량을 조사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6이 미송 야외 발효 톱밥에 미강, 또는 비트펄프, 또는 면실박, 또는 면실박과 비트펄프 혼합물을 혼합하고, 입병하여 고온고압 살균을 거쳐 종균을 접종한 비교예에 비하여 빠른 속도로 균사 생장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시예 2 및 3의 가열처리 또는 원적외선 처리된 케나프와 면실박을 9:1 부피비로 배합된 배지에서 큰느타리버섯으로 생장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재배한 큰느타리버섯의 외관에 대한 신선도를 육안 및 입안으로 씹히는 식감에 의해 측정한 결과를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버섯 외관의 신선도 및 입안에서 씹히는 식감에 대한 평가방법은 건장한 성인 남녀 각 20명이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한 점수를 10으로 나눈 값으로 평가하였으며, 평가기준은 점수에 따라 5점은 매우 신선함, 4점은 약간 신선함, 3점은 보통임, 2점은 신선하지 않음, 1점은 매우 신선하지 않음으로 하였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6에서 재배한 큰느타리버섯은 버섯 외관의 신선도 및 입안에서 씹히는 식감이 매우 신선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비교예 1 내지 7의 경우에는 큰느타리버섯은 버섯 외관의 신선도 및 입안에서 씹히는 식감에 대한 평가가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일반적으로 종균 배지의 기본재료서 버섯균의 생장이 필요한 각종 영양분이 들어 있는 자연상태에서 버섯이 발생하는 기주가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톱밥에 비하여 케나프 톱밥을 이용함으로써 버섯의 생육이 촉진되고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나프는 생산성이 좋아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비용의 절감효과 뿐 아니라 친환경적이면서도 저렴한 대체재료를 사용하여 배지를 구성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종래의 절반 정도로 줄일 수 있는 장점 역시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케나프(Hibiscus cannabbinus L.)와 비트펄프(Beet pulp) 또는 면실박이 9:1 내지 5:5 부피비로 배합되고, 수분 함량이 40 내지 80 중량%인 버섯 재배용 배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나프는 가열처리 또는 원적외선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처리는 50 내지 100℃에서 10 내지 50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원적외선 처리는 1.0 내지 1.6 kw에서 원적외선을 50 내지 100℃에서 10 내지 50분 동안 조사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4. 제 1 내지 제 3항에 따른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은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표고버섯(Lentinus edodes),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및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5. 1) 가열처리 또는 원적외선 처리된 케나프를 준비하는 단계;
    2) 비트펄프(Beet pulp) 또는 면실박을 준비하는 단계;
    3) 상기 1) 단계의 케나프와 상기 2) 단계의 비트펄프(Beet pulp) 또는 면실박을 9:1 ~ 5:5 부피비로 배합하고, 수분함량이 40 내지 80 중량%인 버섯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제조된 버섯배지를 살균 후, 냉각하는 단계;
    5) 냉각된 버섯배지에 버섯종균을 접종하는 단계; 및
    6) 상기 버섯종균이 접종된 버섯배지를 온도 15 내지 30℃, 습도 50 내지 90%로 배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버섯의 배양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가열처리는 50 내지 100℃에서 10 내지 50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원적외선 처리는 1.0 내지 1.6 kw에서 원적외선을 50 내지 100℃에서 10 내지 50분 동안 조사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의 살균은 버섯배지를 100 내지 130℃에서 20 내지 50분 동안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방법.
  8. 제 5항 내지 제 7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은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표고버섯(Lentinus edodes),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및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방법.
KR1020110144477A 2011-12-28 2011-12-28 고품질 버섯 생산을 위한 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KR101423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477A KR101423983B1 (ko) 2011-12-28 2011-12-28 고품질 버섯 생산을 위한 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477A KR101423983B1 (ko) 2011-12-28 2011-12-28 고품질 버섯 생산을 위한 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065A true KR20130076065A (ko) 2013-07-08
KR101423983B1 KR101423983B1 (ko) 2014-08-01

Family

ID=4898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477A KR101423983B1 (ko) 2011-12-28 2011-12-28 고품질 버섯 생산을 위한 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98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3025A (zh) * 2013-07-18 2013-10-02 司天戎 一种可培养出肉质紧的杏鲍菇培养基和制备方法
CN103430772A (zh) * 2013-08-29 2013-12-11 赵广峰 一种杏鲍菇和常规食用菌综合工厂化循环生产方法
CN103548572A (zh) * 2013-11-05 2014-02-05 安庆市众鑫农业科技有限公司 金针菇有机培养基及其栽培方法
CN104137733A (zh) * 2014-04-23 2014-11-12 安徽大学 一种富硒杏鲍菇的栽培及成份检测方法
CN104396573A (zh) * 2014-12-19 2015-03-11 苏州市经纬农产品有限公司 一种金针菇的培育方法
CN104496688A (zh) * 2014-12-26 2015-04-08 南京中医药大学 灵芝固体栽培培养基及脉络宁注射液生产废弃物在灵芝栽培中的应用
KR101582972B1 (ko) * 2015-02-24 2016-01-06 (주)명진아이티티 카사바 줄기를 이용한 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그 배지를 이용한 버섯의 재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0152U (ko) * 1989-11-09 1991-07-12
JP3550568B2 (ja) * 1994-02-25 2004-08-04 レンゴー株式会社 きのこ栽培用培養基
JP2001128547A (ja) 1999-11-02 2001-05-15 Yasutoshi Sato アフリカ原産植物ケナフによるきのこ栽培法
KR100808942B1 (ko) * 2006-10-18 2008-03-04 최경환 느타리 버섯 재배용 배지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3025A (zh) * 2013-07-18 2013-10-02 司天戎 一种可培养出肉质紧的杏鲍菇培养基和制备方法
CN103430772A (zh) * 2013-08-29 2013-12-11 赵广峰 一种杏鲍菇和常规食用菌综合工厂化循环生产方法
CN103430772B (zh) * 2013-08-29 2014-11-05 赵广峰 一种杏鲍菇综合工厂化循环生产方法
CN103548572A (zh) * 2013-11-05 2014-02-05 安庆市众鑫农业科技有限公司 金针菇有机培养基及其栽培方法
CN104137733A (zh) * 2014-04-23 2014-11-12 安徽大学 一种富硒杏鲍菇的栽培及成份检测方法
CN104137733B (zh) * 2014-04-23 2016-03-09 安徽大学 一种富硒杏鲍菇的栽培及成份检测方法
CN104396573A (zh) * 2014-12-19 2015-03-11 苏州市经纬农产品有限公司 一种金针菇的培育方法
CN104496688A (zh) * 2014-12-26 2015-04-08 南京中医药大学 灵芝固体栽培培养基及脉络宁注射液生产废弃物在灵芝栽培中的应用
KR101582972B1 (ko) * 2015-02-24 2016-01-06 (주)명진아이티티 카사바 줄기를 이용한 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그 배지를 이용한 버섯의 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983B1 (ko) 201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983B1 (ko) 고품질 버섯 생산을 위한 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KR20150024629A (ko) 약초박을 함유하는 버섯재배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23541B1 (ko)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KR20120121472A (ko) 가시오가피 열수추출액을 이용한 버섯재배방법
CN107047068B (zh) 设施温室香菇增产栽培方法
CN103907476A (zh) 鸡腿菇盆景式栽培的方法及用于栽培鸡腿菇的培养基
KR101239711B1 (ko) 표고버섯 배양물 제조방법
CN106962015A (zh) 一种金针菇的培养工艺
KR100431924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식용버섯의 재배방법
KR100787170B1 (ko) 곡물 또는 약초를 이용한 차가버섯균사체 대량 제조방법
KR101329894B1 (ko) 라이조푸스 균사체를 이용한 된장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08381A (ko) 인삼 성분이 함유된 새송이 버섯의 재배방법
CN106588410B (zh) 一种铁皮石斛栽培基质
CN109874676A (zh) 一种百香果脱毒苗的快速繁育方法
KR20160035372A (ko) 약초박을 포함하는 버섯재배용 배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버섯의 재배방법
KR20090059203A (ko) 사포닌 함유 화고 표고버섯재배용 조성물 및 연중 재배방법
JP5800211B1 (ja) サナギタケ子実体の人工培養方法
KR101373154B1 (ko) 1회용 톱밥 배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3386A (ko) 꾸지뽕과 발아현미를 배지로 한 발효 상황버섯의 제조방법
CN105027976A (zh) 一种滑子菇优质高产栽培方法
CN111386961A (zh) 一种猪肚菇人工种植方法
KR20160065434A (ko) 감귤즙과 포도즙 등 과일배지로 활용한 버섯 균사체 엑기스 제조 방법
CN1178593C (zh) 松茸蘑菇菌大麦茶
JP2016007146A (ja) ハナビラタケ菌糸体の培養方法及びこれによって培養された菌糸体
KR20150072195A (ko) 꽃송이 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