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4125A -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4125A
KR20130074125A KR1020110142008A KR20110142008A KR20130074125A KR 20130074125 A KR20130074125 A KR 20130074125A KR 1020110142008 A KR1020110142008 A KR 1020110142008A KR 20110142008 A KR20110142008 A KR 20110142008A KR 20130074125 A KR20130074125 A KR 20130074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ight emitting
closing
elevator
accident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125B1 (ko
Inventor
정응택
Original Assignee
정응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응택 filed Critical 정응택
Priority to KR1020110142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125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를 상하층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추락사고에 의한 인명사고를 막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PREVEN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VATOR FOR FALLING ACCIDENT}
본 발명은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물건을 위층이나 아래층으로 운반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승강기는 자동 제어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승강기에 탑승하기 위해서는 탑승 대기홀에 설치된 외부 개폐도어와 승강기에 설치된 내부 개폐도어가 모두 개방되어야 탑승이 가능하다.
그러나 간혹 오작동에 의해 승강기가 위치하지 아니한 층에서도 탑승 대기홀에 설치된 개폐도어가 개방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사용자는 무의식중에 승강기에 탑승하려고 진입하여 추락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추락사고는 승강기의 오작동 뿐만 아니라 개폐도어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아동의 장난 등)나 전문가에 의한 승강기 보수작업 중에도 발생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추락사고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작동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승강기 대기홀의 외부 개폐도어가 임의로 개방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를 상하층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개폐부는 일측이 힌지 결합된 도어부재와, 상기 도어부재의 타측에 연결된 와이어부재와, 상기 와이어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부재의 타측을 승강시키는 드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도어부재 일측과 힌지 결합된 지지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도어부재 폐쇄 시 상기 도어부재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개폐부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 설치공간의 내면과 상기 이송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발광부재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수광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부재와 상기 수광부재는 상기 이송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각 층마다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발광부재는 상호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송부의 상향 이동 시 개폐부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측 수광부재로부터 상측 발광부재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이송부의 상향 이동 신호와 상측 수광부재로부터 상측 발광부재 이탈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송부의 진행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개폐부를 개방하는 제2 단계와, 하측 수광부재로부터 하측 발광부재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송부 하단과 인접한 상기 개폐부를 폐쇄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송부의 하향 이동 시 개폐부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측 수광부재로부터 상측 발광부재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이송부의 하향 이동 신호와 하측 수광부재로부터 상측 발광부재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송부의 진행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개폐부를 개방하는 제2 단계와, 상측 수광부재로부터 상측 발광부재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송부 상단과 인접한 상기 개폐부를 폐쇄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추락사고에 의한 인명사고를 막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개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승강기 상승 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승강기 하강 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개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를 상하층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100)와, 상기 이송부(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개폐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즉, 이송부(100)가 위치한 층에 구비된 개폐부(200)를 제외하고 나머지 층의 개폐부(200)가 폐쇄되어 승강기 탑승홀에 설치된 외부 개폐도어가 임의로 개방되어도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개폐부(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힌지 결합된 도어부재(210)와, 상기 도어부재(210)의 타측에 연결된 와이어부재(220)와, 상기 와이어부재(220)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부재(210)의 타측을 승강시키는 드럼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어부재(210)의 타측은 도어부재(210)의 일측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도어부재(21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도어부재(210) 일측에는 와이어부재(220)가 연결되며, 와이어부재(2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철사 등을 꼬아서 만든 줄이다. 와이어부재(220)의 일측은 도어부재(210)의 타측과 연결되며, 와이어부재(220)의 타측은 드럼부재(230)의 외주면에 연결된다. 드럼부재(230)가 회전하면 와이어부재(220)는 드럼부재(230)의 외주면에 감기게 되고, 드럼부재(2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도어부재(210)의 타측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드럼부재(2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모터와 같은 구동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200) 폐쇄 시 도어부재(210)는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외부 개폐도어가 임의로 열려서 사용자가 도어부재(210)에 올라선 상황에서도 도어부재(210)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도어부재(210) 타측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와이어부재(220)와 드럼부재(230)는 도어부재(210) 타측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개폐부(2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재(210) 일측과 힌지 결합된 지지부재(240)가 더 포함되고, 지지부재(240)에는 도어부재(210) 폐쇄 시 도어부재(21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면(24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어부재(210)가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이송부(100) 설치공간의 내면(110)에는 지지부재(240)가 설치된다. 도어부재(210)는 이러한 지지부재(240)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지지부재(240)에는 도어부재(210) 폐쇄 시 도어부재(210)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면(241)이 형성되어 도어부재(21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송부(10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300)와, 이러한 감지부(3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서 개폐부(20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감지부(300)가 구비됨으로써 이송부(100)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개폐부(200)의 개폐 동작을 더욱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감지부(300)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재(310)와, 발광부재(31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발광부재(310)는 빛을 방출하는 레이저(laser)가 사용될 수 있으며, 수광부재(320)는 이러한 발광부재(310)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감지하도록 센서(sensor)가 사용될 수 있다.
이송부(100) 설치공간의 내면(110)과 이송부(100) 중 어느 하나에 발광부재(310)가 설치되면, 다른 하나에는 수광부재(32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광부재(310)는 이송부(100) 설치공간의 내면(110)에 설치되고, 수광부재(320)는 이송부(100)에 설치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부재(310) 보다 수광부재(320)가 더 비싸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한 발광부재(310)가 이송부(100) 설치공간의 내면(110)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고, 수광부재(320)는 이송부(100)에만 구비되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발광부재(310)와 수광부재(320)는 이송부(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각 층마다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며, 복수 개의 발광부재(310)는 상호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방출하고, 수광부재(320)는 발광부재(310)로부터 방출되는 상이한 색상의 빛을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발광부재(310)와 수광부재(320)가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고, 각각의 발광부재(310)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색상이 상이할 경우 이송부(100)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이송부(100)의 승강 시 이송부(100)의 위치에 따라 개폐부(20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승강기 상승 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이송부(100)가 상향 이동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송부(100)에 탑승하는 경우 상측 발광부재(311)와 상측 수광부재(321)가 일직선을 이루게 된다. 즉, 상측 수광부재(321)에서 상측 발광부재(311)를 감지(제1 단계)하게 되는 것이다.
n층에 위치한 사용자가 n+1층을 누르게 되면 이송부(100)에는 상향 이동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송부(100)가 상향 이동하게 되면 이송부(100)에 설치된 상측 수광부재(321)도 상향 이동하게 되고, 결국 상측 수광부재(321)에서는 n층에 설치된 상측 발광부재(311)에서 방출되는 빛을 감지할 수 없으므로 상측 발광부재(311) 이탈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00)의 상향 이동 신호와 상측 발광부재(311) 이탈 신호가 입력되면 이송부(100)의 진행 방향(상향)에 위치하는 개폐부(200)가 개방(제2 단계)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00)의 상향 이동이 계속되면 하측 수광부재(322)에서는 하측 발광부재(312)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감지하게 되고, 이때, 이송부(100) 하단과 인접한 개폐부(200)를 폐쇄(제3 단계)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n+1층의 개폐부(200)는 개방되고, 사용자가 위치했던 n층의 개폐부(200)는 폐쇄되는 것이다.
도 4는 승강기 하강 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이송부(100)가 하향 이동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00)가 상향 이동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최초에는 상측 수광부재(321)에서 상측 발광부재(311)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감지(제1 단계)한다.
n층에 위치한 사용자가 n-1층을 누르게 되면 이송부(100)에는 하향 이동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송부(100)가 하향 이동하게 되면 이송부(100)에 설치된 하측 수광부재(322)도 하향 이동하게 되고, 결국 하측 수광부재(322)에서 n-1층에 설치된 상측 발광부재(311)에서 방출되는 빛 감지하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00)의 진행 방향(하향)에 위치하는 개폐부(200)가 개방(제2 단계)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00)의 하향 이동이 계속되면 상측 수광부재(321)에서는 n-1층에 설치된 상측 발광부재(322)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감지하게 되고, 이때, 이송부(100) 상단과 인접한 개폐부(200)를 폐쇄(제3 단계)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n-1층의 개폐부(200)는 개방되고, 사용자가 위치했던 n층의 개폐부(200)는 폐쇄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송부 110 : 설치공간의 내면
200 : 개폐부 210 : 도어부재
220 : 와이어부재 230 : 드럼부재
240 : 지지부재 241 : 지지면
300 : 감지부 310 : 발광부재
311 : 상측 발광부재 312 : 하측 발광부재
320 : 수광부재 321 : 상측 수광부재
322 : 하측 수광부재 400 : 제어부

Claims (10)

  1. 사용자를 상하층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100);
    상기 이송부(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개폐부(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200)는 일측이 힌지 결합된 도어부재(210)와, 상기 도어부재(210)의 타측에 연결된 와이어부재(220)와, 상기 와이어부재(220)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부재(210)의 타측을 승강시키는 드럼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200)에는 상기 도어부재(210) 일측과 힌지 결합된 지지부재(24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지지부재(240)에는 상기 도어부재(210) 폐쇄 시 상기 도어부재(21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면(2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300)와,
    상기 감지부(3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개폐부(20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300)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재(310)와, 상기 발광부재(31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 설치공간의 내면(110)과 상기 이송부(10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발광부재(310)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수광부재(3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310)와 상기 수광부재(320)는 상기 이송부(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각 층마다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발광부재(310)는 상호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9. 이송부(100)의 상향 이동 시 개폐부(20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측 수광부재(321)로부터 상측 발광부재(311)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이송부(100)의 상향 이동 신호와 상측 수광부재(321)로부터 상측 발광부재(311) 이탈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송부(100)의 진행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개폐부(200)를 개방하는 제2 단계;
    하측 수광부재(322)로부터 하측 발광부재(312)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송부(100) 하단과 인접한 상기 개폐부(200)를 폐쇄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10. 이송부(100)의 하향 이동 시 개폐부(20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측 수광부재(321)로부터 상측 발광부재(311)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이송부(100)의 하향 이동 신호와 하측 수광부재(322)로부터 상측 발광부재(311)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송부(100)의 진행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개폐부(200)를 개방하는 제2 단계;
    상측 수광부재(321)로부터 상측 발광부재(311)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송부(100) 상단과 인접한 상기 개폐부(200)를 폐쇄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사고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10142008A 2011-12-26 2011-12-26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331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008A KR101331125B1 (ko) 2011-12-26 2011-12-26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008A KR101331125B1 (ko) 2011-12-26 2011-12-26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125A true KR20130074125A (ko) 2013-07-04
KR101331125B1 KR101331125B1 (ko) 2013-11-25

Family

ID=4898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008A KR101331125B1 (ko) 2011-12-26 2011-12-26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1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8437A (zh) * 2018-12-15 2019-02-22 康达电梯有限公司 电梯的防坠系统
CN111285218A (zh) * 2020-03-26 2020-06-16 赵霄雯 一种电梯防坠落保护装置
KR102212061B1 (ko) * 2020-09-15 2021-02-04 (주)대륜엘리스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KR102251663B1 (ko) * 2020-12-09 2021-05-13 (주)대륜엘리스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자동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3734B (zh) * 2015-11-20 2017-11-14 河南机电高等专科学校 一种电梯防坠落紧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737Y1 (ko) * 1994-03-11 1996-09-16 엘지산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객 추락 방지장치
KR19980057297U (ko) * 1997-01-31 1998-10-15 이종수 엘리베이터 추락 방지 장치
KR19980059741U (ko) * 1997-03-03 1998-11-0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200389633Y1 (ko) * 2005-04-26 2005-07-14 수림엘리베이터(주)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승강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8437A (zh) * 2018-12-15 2019-02-22 康达电梯有限公司 电梯的防坠系统
CN111285218A (zh) * 2020-03-26 2020-06-16 赵霄雯 一种电梯防坠落保护装置
KR102212061B1 (ko) * 2020-09-15 2021-02-04 (주)대륜엘리스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KR102251663B1 (ko) * 2020-12-09 2021-05-13 (주)대륜엘리스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자동 방지 장치
WO2022124534A1 (ko) * 2020-12-09 2022-06-16 (주)대륜엘리스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자동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125B1 (ko)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125B1 (ko)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2080725B1 (en) Elevator system
JP7151032B2 (ja) エレベータ
KR100742315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 방지 장치
JP2013220895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システム
KR101867798B1 (ko)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JP5268480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WO2007066375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KR20100010939U (ko)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 장치
US20180170710A1 (en) Elevator hover mode operation using sensor-based potential load change detection
JP594495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052293B2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運転装置
JP6218879B2 (ja) エレベータ照明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KR10132409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JP2012162342A (ja) エレベータ安全装置、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2016023019A (ja) エレベータ
JP2007084213A (ja) 着床検出装置
KR100965389B1 (ko) 지하용 엘리베이터
WO2014199517A1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制御装置
JP2019199326A (ja) 荷物掛け部を備える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7124904B2 (ja) エレベータ
JP2016052932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38752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7197048B2 (ja) エレベータ
JP5654958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り口用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