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798B1 -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798B1
KR101867798B1 KR1020170114835A KR20170114835A KR101867798B1 KR 101867798 B1 KR101867798 B1 KR 101867798B1 KR 1020170114835 A KR1020170114835 A KR 1020170114835A KR 20170114835 A KR20170114835 A KR 20170114835A KR 101867798 B1 KR101867798 B1 KR 101867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ton
stage
sensor
distance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텍
Priority to KR1020170114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무대장치에 설치되는 바튼(10); 상기 바튼(10)의 상면에 구비되어 바튼(10)과 천장골조(20) 사이의 거리(L1)를 감지할 수 있는 제1센서부(30); 상기 바튼(10)의 하면에 구비되어 바튼(10)과 무대바닥(90) 사이의 거리(L2)를 감지할 수 있는 제2센서부(40); 상기 바튼(10)과 와이어(61)로 연결되고, 바튼(10)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60); 및 상기 구동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튼의 높이를 감지하여 바튼의 상승시 천장골조와 충돌하지 않게 하며, 바튼의 정확한 높이를 감지할 수 있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A SAFETY DEVICE FOR BATTEN OF STAGE}
본 발명은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대장치에 설치되는 바튼(10); 상기 바튼(10)의 상면에 구비되어 바튼(10)과 천장골조(20) 사이의 거리(L1)를 감지할 수 있는 제1센서부(30); 상기 바튼(10)의 하면에 구비되어 바튼(10)과 무대바닥(90) 사이의 거리(L2)를 감지할 수 있는 제2센서부(40); 상기 바튼(10)과 와이어(61)로 연결되고, 바튼(10)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60); 및 상기 구동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바튼(10)의 승강시, 제1센서부(30)에서 감지된 천장골조(20)와의 거리(L1)를 전송받아 기설정범위 이하일 경우, 바튼(10)의 승강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일반적으로 무대에서는 공연 연출을 위해 복수 개의 조명과 스크린 등 많은 무대 시설물이 설치된다. 이때 무대시설들은 세트장에 바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천정에 매달려 있는 바튼(Batten)에 고정되어 승ㆍ하강하게 된다.
바튼(Batten)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프레임에 무대시설물을 설치하고, 동시에 천장에 설치되어 고정프레임에 구동장치 및 휠 장치를 설치하여 와이어에의해 바튼이 들려지거나 내려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고정 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휠 장치를 설치하고 동시에 구동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휠 장치에 감겨저 있는 와이어가 구동장치에 의해 감겨졌다 풀어졌다 하며 바튼이 승하강하는 것이다.
상기 바튼에 매달려지는 무대시설물들은 그 종류(스크린, 조명, 빔 등) 및 크기와 무게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바튼전체에 걸리는 하중이 일정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특정 부위의 와이어에 하중이 집중되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어 바튼의 승ㆍ하강이 정확한 위치에 이루어지지 않아 무대장치의 손상이나 무대 위의 사람이 다칠 우려가 있었다.
이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44351호에는 무대장치용 승강기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기재되어 있다.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무대장치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어 공연 내용에 맞게 무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무대장치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무대장치용 승강기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승강구조물(바튼, 플라이덕트 등)이 설정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만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승강구조물의 구체적인 높이를 감지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승강구조물의 하강시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무대공연을 관람하는 관객들의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무대장치의 높이를 정확히 감지하고 제어하여 완성도 높은 공연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4351호(2012.01.16. 공고)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대장치에서 바튼이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여 다른 설비물과 충돌하여 바튼이나 기타 설비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바튼이 천장골조와 일정거리 이하로 가까워지면, 바튼의 상승을 정지할 수 있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바튼의 하강시 무대바닥의 무대 장치를 감지하면 바튼의 하강을 정지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바튼의 높이를 정확히 감지하여 공연 내용에 적합하게 무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무대장치에 설치되는 바튼(10); 상기 바튼(10)의 상면에 구비되어 바튼(10)과 천장골조(20) 사이의 거리(L1)를 감지할 수 있는 제1센서부(30); 상기 바튼(10)의 하면에 구비되어 바튼(10)과 무대바닥(90) 사이의 거리(L2)를 감지할 수 있는 제2센서부(40); 상기 바튼(10)과 와이어(61)로 연결되고, 바튼(10)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60); 및 상기 구동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바튼(10)의 승강시, 제1센서부(30)에서 감지된 천장골조(20)와의 거리(L1)를 전송받아 기설정범위 이하일 경우, 바튼(10)의 승강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를 제공하여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센서부(30)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로 구성되고, 발광센서에서 발광된 광이 천장골조(20)에 의해 반사되고, 그 광이 다시 수광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바튼(10)과 천장골조(20) 사이의 거리(L1)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2센서부(40)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를 포함하고, 발광센서에서 발광된 광이 무대바닥(90)에 의해 반사되고, 그 광이 다시 수광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바튼(10)과 무대바닥(90)과의 사이의 거리(L2)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1센서부(30) 및 제2센서부(40)에서 감지된 바튼(10)과 천장골조(20)사이의 거리(L1) 및 바튼(10)과 무대바닥(90)사이의 거리(L2)를 통해 바튼(10)의 높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60)는, 와이어(61)의 이동량을 감지할 수 있는 이동량감지센서(8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0)는, 와이어(61)의 이동량을 계산하여 바튼(10)의 높이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는, 바튼이 일정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여 바튼이 과도하게 높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바튼이 천장골조에 부딪혀 바튼에 매달린 무대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대연출중 바튼이 하강할 시 바튼이 과도하게 하강하여 무대바닥이나 사람에게 떨어지는 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튼의 높이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어 공연 내용에 적합하게 무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튼에 보더라이트가 장착된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참조예 및 도면에 기술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튼에 보더라이트가 장착된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튼(Batten)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는 무대장치는 바튼(10), 천장골조(20), 제1센서부(30), 제2센서부(40), 구동부(6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튼(10)은 무대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봉으로, 바튼(10)에는 현수막, 보더라이트(71), 서스펜션라이트, 모형막, 태극기, 무대 커튼(72) 등의 무대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무대장치들은 바튼(10)의 높이 제어를 통해 공연에 적합한 무대연출을 하게 된다.
천장골조(20)는 무대의 천장을 지지하는 골조로 상측에는 바튼(10)의 제어를 위한 구동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바튼(10)은 천장골조(20) 하부에 구비된다.
제1센서부(30)는 바튼(10)과 천장골조(20)사이의 거리(L1)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센서부(30)는 제1발광센서(31) 및 제2수광센서(3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센서부(30)는 제1발광센서(31)에서 발광된 광이 천장골조(20)에 부딪혀 반사되고 제1수광센서(33)로 수광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천장골조(20)와 바튼(10)사이의 거리(L1)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제1센서부(30)는 바튼(10)의 상측, 천장골조(20)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센서부(40)은 바튼(10)과 무대바닥(90)사이의 거리(L2)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센서부(40)는 제1센서부와 같이, 제2발광센서(41) 및 제2수광센서(43)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센서부(40)는 제2발광센서(41)에서 발광된 광이 무대바닥(90)에 부딪혀 반사되고 제2수광센서(43)로 수광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무대바닥(90)과 바튼(10)사이의 거리(L2)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센서부(40)는 무대 위의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제2센서부(40)는 바튼(10)의 하측에 무대바닥(90)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무대 위의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경우 바튼(10)의 하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센서부(30)와 제2센서부(40)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튼(10)과 천장골조(20) 사이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을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센서부(30)와 제2센서부(40)는 감지된 높이를 제어부(100)로 전송하고, 이를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동부(60)는 와이어(61), 구동장치(63) 및 활차(6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는 바튼(10)을 승ㆍ하강할 수 있다. 바튼(10)은 와이어(61)에 의해 구동장치(63)와 연결되고, 구동장치(63)의 구동에 의해 승ㆍ하강할 수 있다.
상기한 와이어(61), 구동장치(63) 및 활차(65)는 무대장치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00)는 구동부(60)를 작동시키고, 제1센서부(30) 및 제2센서부(40)에서 송신된 바튼(10)과 천장골조(20)와의 거리(L1) 및 무대바닥(90)과의 거리(L2)를 통해 바튼(10)의 높이를 판단하고, 사용자로부터 바튼(10)의 높이를 입력받아 바튼(10)을 입력받은 높이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무대장치는 제어부에 입력된 무대장치의 높이와 모터의 구동여부 및 구동정도를 감지하여 무대장치의 높이를 판단하기 때문에 브레이크장치와 와이어 사이에 슬립이 발생 되면 제어부에서 판단하고 있는 무대장치의 높이와 실제 무대장치의 높이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공연에 요구되는 무대장치의 높이를 정확히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에 따른 바튼과 천장골조과 충돌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는 바튼(10)이 상승할 때, 천장골조(20)와 충돌하지 않기 위한 적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바튼(10)과 천장골조(20)의 거리(L1)가 기설정범위 이하가 되면 구동부(6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제2센서부(40)를 통해 바튼(10)과 무대바닥(90)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고, 적외선 센서를 통해 무대 위의 사람도 감지할 수 있어, 바튼(10)의 하강시 사람이 있는 위치까지 하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무대장치의 미숙한 조작 및 오작동시 바튼(10)의 하강으로 인하여,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의 구동부(60)는 와이어(61)의 이동량을 감지할 수 있는 이동량감지센서(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량감지센서(80)는 구동장치(63)와 활차(65)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바튼(10)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와이어(61)가 설치되고, 와이어(61)는 구동장치(63)에 감겨 있으며, 구동장치(63)가 정회전을 하면 바튼(10)이 하강하고 구동장치(63)가 역회전을 하면 바튼(10)이 상승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이동량감지센서(80)로부터 구동장치(63)의 회전량을 전송받아 와이어(61)의 이동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바튼(10)의 높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량감지센서(80)는 바람직하게 회전량을 감지하는 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을 참고하면, 이동량감지센서(80)은 감지된 높이를 제어부(100)로 전송하고, 이를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구성들을 통하여, 바튼(10)이 공연에 적합한 위치에 있도록 제어하여 완성도 있는 공연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바튼(10)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천장골조(2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무대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튼(10)의 하강시 무대 바닥 위 장치들과 충돌을 방지하여 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바튼
20 : 천장골조
30 : 제1센서부
40 : 제2센서부
60 : 구동부
61 : 와이어
63 : 구동장치
65 : 활차
71 : 보더라이트
72 : 모형막
80 : 이동량감지센서
90 : 무대바닥
100 : 제어부

Claims (5)

  1. 무대장치에 설치되는 바튼(10);
    상기 바튼(10)의 상면에 구비되어 바튼(10)과 천장골조(20) 사이의 거리(L1)를 감지할 수 있는 제1센서부(30);
    상기 바튼(10)의 하면에 구비되어 바튼(10)과 무대바닥(90) 사이의 거리(L2)를 감지할 수 있는 제2센서부(40);
    상기 바튼(10)과 와이어(61)로 연결되고, 바튼(10)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60); 및
    상기 구동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부(30)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로 구성되며, 발광센서에서 발광된 광이 천장골조(20)에 의해 반사되고, 그 광이 다시 수광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바튼(10)과 천장골조(20) 사이의 거리(L1)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튼(10)의 승강시, 제1센서부(30)에서 감지된 천장골조(20)와의 거리(L1)를 전송받아 기설정범위 이하일 경우, 바튼(10)의 승강을 정지하며,
    상기 제1센서부(30) 및 제2센서부(40)에서 감지된 바튼(10)과 천장골조(20)사이의 거리(L1) 및 바튼(10)과 무대바닥(90)사이의 거리(L2)를 통해 바튼(10)의 높이를 판단하고, 바튼(10)을 입력받은 높이로 승하강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센서부(40)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를 포함하고, 발광센서에서 발광된 광이 무대바닥(90)에 의해 반사되고, 그 광이 다시 수광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바튼(10)과 무대바닥(90)과의 사이의 거리(L2)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60)는,
    와이어(61)의 이동량을 감지할 수 있는 이동량감지센서(8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와이어(61)의 이동량을 계산하여 바튼(10)의 높이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KR1020170114835A 2017-09-08 2017-09-08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KR101867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835A KR101867798B1 (ko) 2017-09-08 2017-09-08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835A KR101867798B1 (ko) 2017-09-08 2017-09-08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798B1 true KR101867798B1 (ko) 2018-06-15

Family

ID=6262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835A KR101867798B1 (ko) 2017-09-08 2017-09-08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7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195B1 (ko) 2018-12-07 2020-01-08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공연장 방화막 비상낙하 시스템
KR102064170B1 (ko) * 2018-11-13 2020-01-09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인체 감지형 리프팅 구조를 가진 조명기구
KR102141975B1 (ko) 2019-12-26 2020-08-06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공연장 방화막 비상낙하 시스템
KR102141972B1 (ko) 2019-12-26 2020-08-06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공연장 방화막 비상낙하 시스템
KR20220100221A (ko)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에이스텍 바튼 승하강 장치의 와이어 로프 안전 가이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351B1 (ko) 2011-06-01 2012-01-16 주식회사 진성 무대장치용 승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71436B1 (ko) * 2015-04-27 2015-11-24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서브웨이트를 이용한 저속착상형 무대방화막장치 및 제어방법
KR101574938B1 (ko) * 2014-11-11 2015-12-08 (주)하온아텍 무대 장치의 가상 위치 운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351B1 (ko) 2011-06-01 2012-01-16 주식회사 진성 무대장치용 승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74938B1 (ko) * 2014-11-11 2015-12-08 (주)하온아텍 무대 장치의 가상 위치 운전 시스템
KR101571436B1 (ko) * 2015-04-27 2015-11-24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서브웨이트를 이용한 저속착상형 무대방화막장치 및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170B1 (ko) * 2018-11-13 2020-01-09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인체 감지형 리프팅 구조를 가진 조명기구
KR102048195B1 (ko) 2018-12-07 2020-01-08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공연장 방화막 비상낙하 시스템
KR102141975B1 (ko) 2019-12-26 2020-08-06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공연장 방화막 비상낙하 시스템
KR102141972B1 (ko) 2019-12-26 2020-08-06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공연장 방화막 비상낙하 시스템
KR20220100221A (ko)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에이스텍 바튼 승하강 장치의 와이어 로프 안전 가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798B1 (ko)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CN110615331B (zh) 用于电梯的位置参考装置
JP6686655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6358117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5621017B1 (ja) エレベータロープ振れ抑制システム
KR101331125B1 (ko) 승강기의 추락사고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90120800A (ko)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층 운행정보 알림, 표시장치
KR20150003476U (ko) 거리측정용 레이저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카의 현재 위치 인식 시스템
US9266699B2 (en) Elevator system and operation thereof
KR101695723B1 (ko)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KR101339936B1 (ko) 무대장치
KR200476751Y1 (ko) 광센서에 의한 전동 블라인드 승강 제어장치
CN111056399B (zh) 长条物挂住检测装置
JP2015231890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419638B2 (ja) 両かごエレベーター
JP4716830B2 (ja) 着床検出装置
JP2020007078A (ja) 報知装置及び報知方法
KR20200130929A (ko)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시스템
JP2016023019A (ja) エレベータ
KR101903646B1 (ko)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KR200452733Y1 (ko) 엘리베이터의 바닥조명 제어장치
JP2008280101A5 (ko)
JP6289291B2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停止位置判断方法
KR20170117351A (ko) 승강기 층수 레이저 표시장치
JP6620600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