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917A - 토수마개 - Google Patents

토수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917A
KR20130073917A KR1020127032442A KR20127032442A KR20130073917A KR 20130073917 A KR20130073917 A KR 20130073917A KR 1020127032442 A KR1020127032442 A KR 1020127032442A KR 20127032442 A KR20127032442 A KR 20127032442A KR 20130073917 A KR20130073917 A KR 20130073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raw water
inlet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이치 가와카미
아키야스 가와카미
Original Assignee
요이치 가와카미
아키야스 가와카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이치 가와카미, 아키야스 가와카미 filed Critical 요이치 가와카미
Publication of KR2013007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16K11/085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having all the connecting conduits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lu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10Device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drinking-water pipes, e.g. means for aerating self-closing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4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adapted for attachment of washing machines or heating or 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정수기 및 순수기의 막힘을 해소하고, 막힘을 일으키는 원인인 필터에서 처리한 미립자를 역세정, 세정을 하여, 필터로부터 제거해 세정하여 기외로 배출하며, 필터를 재생하여, 역세정 없음을 위해 필터는 아직 충분히 그 능력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막히므로 필터 교환을 피할 수 없게 되어 있는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함과 아울러, 수처리기에서의 배수를 현상의 개수대의 하부 배수로관에 호스를 삽입하여 배수하고 있는 위생면으로부터의 과제와, 향후 심각화하는 담수 부족의 면으로부터도 개수대의 위로부터 배수 토수하여 잡용수로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수마개 {SPOUT FAUCET}
본 발명은 수도관으로부터 분기수(分岐水) 마개로 공급되는 물과, 수처리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전환하는 밸브장치를 내장한 토수마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와 같은 전환밸브장치가 부착된 토수마개는 시장에는 볼 수 없다.
역침투막 수처리기(이하 'RO기'로 칭함)로 막투과수(이하 'RO수'로 칭함)를 생성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RO수 1에 비해 1 내지 3의 수량(水量)을 배수하고, 그리고 막표면을 강류(强流)로 막세정을 하여 배수할 필요가 있지만, 이 배수를 요리대의 하부에 RO기를 수납하고 있으므로, 요리대의 개수대의 배수관에 구멍을 내어 수관을 넣어 배수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문제화하고 있는 담수(淡水) 부족은 향후 더욱 심각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 과제상으로부터도 배수를 개수대의 위로부터 토수시켜 생활용수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RO막 표면 측을 급속류로 막을 세정할 필요도 있고, 이 세정(이하 '플러싱'(flushing)이라 칭함)수도 이와 같이 배수관으로부터 배수하고 있지만, 개수대의 배수관은 비위생적인 곳이며, 배수 수관은 RO기와 연통하고 있으므로, 위생면에서도 문제가 있다.
사람들이 환경이나 건강 등을 고려함에 이르러, 맑고 깨끗하고 안전한 물의 요구가 높아져, 정수기나 역침투막 순수기 등의 수요는 높아지지만, 한편으로 그들 기기를 구입 사용하는 사용자의 불편함도 현시(顯示)되고 있다.
그 최다 문제는 기기 내의 필터의 막힘 문제이다. 막힘에 의해 필터 교환을 피할수 없게 되지만, 그 필터 교환이 대단히 번잡하다. 특히 개수대의 하부에 거치 한 기구의 필터 교환은, 소비자에게는 무리한 일로 업자에게 의뢰하게 된다.
개수대의 하부에 수납하기 위해, 혹은 다른 곳에 거치한다고 해도 소형화가 요구되며, 소형화는 수처리기기의 필터의 처리 수량의 소량화를 초래하며, 다음으로 막힘 비율을 높이는 결과로 되고 있지만, 소형화는 절대 조건이므로 빈번한 여과재 교환은 피할 수 없게 되어 있다.
RO막 사용 등의 순수(純水)제조기기는, 사전 처리로서, 탁물(濁物)의 제거, 다음으로 활성탄 등에 의한 유기물 제거 처리한 물을 RO막으로 완전 처리하도록 하는 기기이지만, 제거라고 칭하여도 제거가 아니고, 오탁물의 흐름 멈춤이므로 RO막 사전 처리적 정수기 내는 제거물의 유적장(溜積場)이 되어, 많은 필터 전면(前面)은 그들 유적물에 폐색(閉塞)되어 유량 저하를 초래하고 있지만, 이들 처리물 및 유적물 내에서 증식하는 세균군을 기기 밖으로 방출하고, 또한 RO막 표면의 세정을 하는 것이다.
상술의 RO막 플러싱 및 RO 생성시의 배수와 역세정수의 전부를 요리대의 위로부터 토수시키고, 사용자가 잡용수로서 이용할 수 있는 토수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전 처리용으로 이용되는 정수기의 정밀 여과막 및 한계 여과막 등은 역세정하여 유량 저하가 없을 때까지 필터의 재생은 가능하고, 역세정을 이용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수 배의 여과량 능력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며, 이에 더하여 역세정함으로써, 세균도 기기 밖으로 방출되므로, 세균에 의한 RO막 저해도도 감소하고, RO막을 역세정함으로써 그 처리 총량을 수 배까지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RO수 생성시의 배수, RO막 표면 플러싱 배수 및 역세정수의 배수 등을 개수대의 위로부터 토수마개를 이용하여 토수하므로, 그 배수도 버리는 물로 하지 않고, 잡용수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RO수 및 세정수, 역세정수 토수관을 부착한 토수마개를 개수대에 장착한 입방체도.
도 2는 도 1과 동일한 토수마개이지만, 토수관을 단축해 노즐 커버를 제거한 입방체도.
도 3은 토수마개의 정면도.
도 4는 토수마개의 이면도.
도 5는 토수마개의 표면도.
도 6은 토수마개의 저면도.
도 7은 토수마개의 우측면도.
도 8은 토수마개의 좌측면도.
도 9는 토수마개의 토수관을 제거한 토수마개 표면도에 A-A선 단면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토수관을 제거한 토수마개 정면도에 B-B선, C-C선, D-D선의 단면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A-A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전환밸브의 RO 생성시에서의, 도 10의 B-B선상 단면도를 좌측, C-C선상 단면도를 중앙에, D-D선상 단면도를 우측으로 하여 상부에 두고, 하부에 분기수 마개, 수관, 정수기, 역침투막기를 그려 둔 설명용 도면.
도 13은 도 9에 나타내는 A-A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밸브의 정수위치에서의, 도 12와 동일한, 도 10의 B-B, C-C, D-D선에 따른 단면과 각종 기구를 설명용으로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9에 나타내는 A-A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16은 밸브의 세정위치에서의, 도 12와 동일한, 도 10의 B-B, C-C, D-D선에 따른 단면과 각종 기구를 설명용으로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9에 나타내는 A-A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18은 도 10에 나타내는 B-B, C-C, D-D선에 따른 단면과 각종 기구를 설명용으로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9에 나타내는 A-A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20은 도 10에 나타내는 B-B, C-C, D-D선상에 따른 단면과 각종 기구를 설명용으로 나타낸 도면.
도 21은 도 9에 나타내는 A-A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22는 도 10에 나타내는 B-B, C-C, D-D선상에 따른 단면과 각종 기구를 설명용으로 나타낸 도면.
도 23은 도 9에 나타내는 A-A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24는 도 10에 나타내는 B-B, C-C, D-D선상에 따른 단면과 다른 각종 기구를 설명용으로 나타낸 도면.
도 25는 도 32(토수마개 표면도)에 나타내는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 26은 전환밸브의 RO 생성시에서의, 도 33(토수마개 정면도)의 F-F선상에 따른 단면도를 좌측으로, G-G선에 따른 단면도를 중앙에, H-H선에 따른 단면도를 우측으로 하여 상부에 두고, 하부에 분기수 마개, 수관, 정수기, 역침투막기를 그려 둔 설명용 도면.
도 27은 도 32에 나타내는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 28은 전환밸브의 RO 생성시에서의, 도 33(토수마개 정면도)의 F-F선상에 따른 단면도를 좌측으로, G-G선에 따른 단면도를 중앙에, H-H선에 따른 단면도를 우측으로 하여 상부에 두고, 하부에 분기수 마개, 수관, 정수기, 역침투막기를 그려 둔 설명용 도면.
도 29는 도 32(토수마개 표면도)에 나타내는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 30은 전환밸브의 RO 생성시에서의, 도 33(토수마개 정면도)의 F-F선상에 따른 단면도를 좌측으로, G-G선에 따른 단면도를 중앙에, H-H선에 따른 단면도를 우측으로 하여 상부에 두고, 하부에 분기수 마개, 수관, 정수기, 역침투막기를 그려 둔 설명용 도면.
도 31은 토수마개의 이면도.
도 32는 토수마개의 표면도.
도 33은 토수마개의 정면도.
도 34는 밸브(2)의 입체도.
도 35는 일반 RO기의 배수관 및 배수비 및 전자밸브 및 방수를 나타낸 도면.
도 36은 일반 RO기와 RO기의 배수를 개수대의 하수관에 넣은 도면.
원수(原水) 입수구, 원수 출수구, 배수 입수구, 배수 출수구, RO수 입수구, RO수 출수구를 가진 밸브상자의 중앙에 각 구(口)와 연통하는 원통형의 밸브실을 마련하고, 그 밸브실 내에 원수 유통부 및 그 유통부와 연통한 원수 입수구멍 및 원수 출수구멍, RO수 유통부와 연통하는 RO수 입수구멍 및 RO수 출수구멍, 배수 유통부와 연통하는 복수의 배수 입수구멍 및 복수의 배수 출수구멍, 축심 내동(內洞) 내를 배수 연통로로 하고, 그 배수 연통로와 연통한 복수의 배수 지로(枝路)를 가지며, 통 모양으로 하여 안에 격벽을 가진 밸브와, 상기 밸브에 연결하여 밸브를 회동 조작하는 핸들을 구비하며, 그 핸들에 회동되어, 원수 입수구로부터 입수한 원수를 전환하여 유출하고, RO 생성위치에서는 원수를 정수기 RO기 모두 유순한 수류(水流)경로를 취하며, 역세정위치에서는 반대인 수류경로를 취하고, 세정위치에서는 정수기 RO기 모두 유순한 수류경로를 취하며, 현재까지 요리대의 배수관으로 수관을 넣어 흐르고 있던 배수를 요리대의 상부 개수부로 토수하여 배수도 잡용수로서 이용할 수 있는 전환밸브를 내장한 RO수 배수토수마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상에 나타낸 부호는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또한 씰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토수마개의 입방체도, 도 2는 부호 33 및 34의 토수 파이프를 짧게 간략화하고,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부호 35의 통부분을 제거하여, 부호 32에 나타내는 노즐만으로 하고 있다. 부호 36은 본 토수마개(1)를 설치하여 구비하는 요리대의 스테인리스를 나타낸다.
도 3은 정면도, 도 4는 이면도, 도 5는 표면도, 도 6은 저면도, 도 7은 우측면도, 도 8은 좌측면도, 도 9는 토수 파이프(33 및 34)를 제거한 토수마개(1)의 표면도이며, 도 10은 도 9와 마찬가지로 RO수 출수 파이프(34)와 배수 파이프(33)를 제거한 토수마개(1)의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토수마개 밸브상자(1) 내의 밸브(2)의 조작에 의한 RO수 생성위치, 원수 정수(停水)위치, 세정위치에서의 물의 경로를 설명한다.
도 11상의 격벽(27C)은 밸브(2)의 통 내벽과 밸브축 외벽을 판 모양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밸브(2)와 일체의 격벽(27C)이며, 격벽 부품(27)은 밸브(2)의 통 내에 넣어지고 고착부(48)는 밸브축에 고착하여, 밸브(2)의 회동과 함께 회동한다.
RO수 생성토수 및 배수토수를 하는, RO수 생성위치에서의 물의 경로를 설명한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A-A선상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B-B선상에 따른 단면도를 좌측에 두어 RO수 물경로를 화살표로 나타내고, 중앙에 C-C선상에 따른 단면도를 두어 원수의 물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며, 우측에 D-D선상에 따른 단면도를 두어 배수의 경로를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고, 하부에 정수기(6), 역침투막기(9), 호스 또는 수관(28), 원수를 송급(送給)하는 분기마개(15)를 두고 있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그린 도면이며, RO수 생성위치에서의 물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고, 분기마개(15)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는 수관(28)을 거쳐 밸브상자(1)의 원수 입수구(3), 다음으로 밸브(2)의 원수 입수구멍(16)으로부터 원수 유통부(26)로 입수하여 밸브(2)의 원수 입출수구멍(17A)으로부터 밸브상자(1)의 원수 출수구(4)로부터 출수하며, 수관(28)을 거쳐 정수기(6)의 입구(5)로부터 정수기(6)를 경과하여, 정수기 출구(7)로부터 출수하고, 수관(28)을 흘러 RO기(9)의 입구(8)로부터 RO기(9)로 유입하며, RO기(9)에서 생성된 RO수는 RO기(9)의 RO수 출구(10)로부터 수관(28)을 거쳐 밸브상자(1)의 RO수 입수구(11)를 통과하여, 밸브(2)의 RO수 입수구멍(19)으로부터 RO수 유통부(21)로부터 밸브(2)의 RO수 출수구멍(20), 다음으로 밸브상자(1)의 RO수 출수구(12)로부터 출수하고, 도 2에 나타내는 RO수 토수 파이프(34)로부터 토수하며, RO기(9)의 배수 출구(37)로부터 출수하는 배수는 수관(28)을 흘러 밸브상자(1)의 배수 입수구(18), 다음으로 밸브(2)의 배수 입수구멍(23A)으로부터 배수 유통부(22)를 흘러 밸브(2)의 배수 출수구멍(24A)으로 다음으로 밸브상자(1)의 배수 출수구(13)로부터 출수하고, 도 2의 토수 파이프(33)로부터 토수하는 RO수 생성위치에서의 물의 경로이다.
정수(停水)위치에서의 밸브(2)의 설명을 한다.
도 13은 정수위치에서의 도 9에 나타내는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4는 정수위치에서의 도 10에 나타내는 B-B선상 단면도를 좌측에, 중앙에 C-C선상에 따른 단면도, 우측은 D-D선상에 따른 단면도이고, 하면은 상술한 RO수 생성위치와 마찬가지로 다종의 기구를 그린 설명도이다.
원수공급 분기마개(15)에서의 물은 수관(28)과 연통하고 있고, 밸브상자(1)의 원수 입수구(3)에도 연통하고 있지만, 밸브상자(1)의 원수 입수구(3)는 밸브(2)에 의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물의 흐름은 정수하고 있다. 이 때, 밸브상자(1)의 배수 입수구(18)와 연통하는 위치와 밸브(2)에 배수 입수구멍(23) 및 밸브상자(1)의 배수 출수구(13)와 연통하는 위치에 배수 출수구멍(24)을 마련하면, 정수 직후의 정수기(6) 및 RO기(9)의 잔압(殘壓) 빼기를 할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세정위치로 회동된 밸브(2)를 중심으로 세정위치에서의 물의 경로를 설명한다.
도 15는 세정위치에서의 도 9에 나타내는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6은 세정위치에서의 도 10에 나타내는 B-B선상의 단면도를 좌측, 중앙에 C-C선상에 따른 단면도, 우측에 D-D선상에 따른 단면도, 하면에 수관(28)을 시작으로 복수의 기구를 그리고, 물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어 설명한다.
분기마개(15)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는 수관(28)을 흘러, 밸브상자(1)의 원수 입수구(3)에 이르고, 다음으로 밸브(2)의 원수 입출수구멍(17A)을 거쳐 원수 유통부(26)로 입수하며, 밸브(2)의 원수 출수구멍(17)으로부터 밸브상자(1)의 원수 출수구(4)로부터 출수하고, 수관(28)을 흘러 정수기 입구(5)로부터 정수기(6)로 입수하며, 정수기 출구(7)로부터 수관(28)을 흘러 연통한 RO기 입구(8)로부터 RO기로 유입하여, RO막 표면을 세정하여 RO기의 배수 출구(37)로부터 수관(28)을 거쳐, 밸브상자(1)의 배수 입수구(18), 다음으로 밸브(2)의 배수 입수구멍(23)으로부터 배수 유통부(22)로 유입하여 밸브(2)의 배수 출수구멍(24), 다음으로 밸브상자(1)의 배수 출수구(13)로부터 유출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배수 토수 파이프(33)로부터 토수한다. 이 위치에서는, 밸브상자(1)의 RO수 입수구(11)는 밸브(2)에 의해서 폐구(閉口)되어 있어 RO수의 출수는 없다.
이와 같이 통 모양 밸브(2)의 통 내벽과, 밸브(2)의 축심 외벽을 연결하여 마련한 격벽과, 마찬가지로 밸브(2)의 통 내벽에 밸브(2)의 회동과 함께 회동하는 격벽 부품(27)을 고착하여, 원수 입수구(3) 및 원수 출수구(4)를 토수마개 밸브상자(1)의 중심에 형성하여 원수 유통부(2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밸브 장치를 내장한 RO수, 세정수 토수마개를 제공한다.
실시예 2
제2 실시예를 도 17 내지 도 24를 중심으로 하여, 제1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RO수 생성위치, 도 19는 정수위치, 도 21은 세정위치, 도 23은 역세정위치에서의 도 9에 나타내는 A-A선상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RO수 생성위치, 도 20은 정수위치, 도 22는 세정위치, 도 24는 역세정위치에서의 도 10에 나타내는 B-B선상에 따른 단면도를 좌측에 두고, C-C선상에 따른 단면도를 중앙에 두며, D-D선상에 따른 단면도를 우측에 두고, 하부에 분기수 마개(15), 수관(28), 정수기(6), RO기(9)를 하부에 묘사하여, 화살표로 물의 경과를 나타낸 설명용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RO 생성위치에서의 밸브(2)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밸브(2)의 중앙까지 밸브(2)의 축심을 연장하고, 그 축심 내에 통 모양 공동(空洞)을 마련하며, 상술한 통 모양 공동(이하 '내통(內筒)'이라 칭함)의 선단과 밸브(2)의 통벽에 밀착하는 격벽 부품(27)을 마련하여, RO수 유통부(21)와 원수 유통부(26)를 각각 독립시키고 있다.
RO수 생성위치에서의 물의 흐름은 분기마개(15)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는 수관(28)을 흘러 밸브상자(1)의 원수 입수구(3), 다음으로 밸브(2)의 원수 입수구멍(16)-원수 유통부(26)-밸브(2)의 원수 입출수구멍(17A)-밸브상자(1)의 원수 출수구(4)-수관(28)-정수기(6)의 입구(5)-정수기 출구(7)-수관(28)-RO기 입구(8)-RO기(9)-RO수 출구(10)-수관(28)-밸브상자(1)의 RO수 입수구(11)-밸브(2)의 RO수 입수구멍(19)-RO수 유통부(21)-밸브(2)의 RO수 출수구멍(20)-밸브상자(1)의 RO수 출수구(12)로 흘러 출수하고, RO수 생성시에서의 배수는 RO기 배수 출구(37)-수관(28)-밸브상자(1)의 배수 입수구(18)-밸브(2)의 배수 입수구멍(23A)-배수 유통부(22)-밸브(2)의 배수 출수구멍(24A)-밸브상자(1)의 배수 출수구(13)로부터 출구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밸브(2)의 정수위치를 설명한다.
정수위치에서의 밸브(2)의 외통 일부(29)에 의해 밸브상자(1)의 원수 입수구(3)에서의 물을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물의 흐름은 정수하고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RO막 강세정위치에서의 물의 흐름을 설명한다.
분기마개(15)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는 수관(28)-밸브상자(1)의 원수 입수구(3)-밸브(2)의 원수 입출수구멍(17A)-원수 유통부(26)-밸브(2)의 원수 입출수구멍(17A)-밸브상자(1)의 원수 출수구(4)-수관(28)-정수기 입구(5)-정수기 출구(7)-수관(28)-RO기 입구(8)-RO기(9)-RO기 배수 출구(37)-밸브상자(1)의 배수 입수구(18)-밸브(2)의 배수 입수구멍(23)-배수 유통부(22)-밸브(2)의 배수 출수구멍(24)-밸브상자(1)의 배수 출수구(13)로부터 출수한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역세정(역류 세정)위치에서의 물의 경과를 설명한다. 밸브(2) 내통의 배수 유통로(30)는 양단에 배수 지로(31)를 가지고 있다.
분기마개(15)로부터 공급된 원수는 수관(28)-밸브상자(1)의 원수 입수구(3)-밸브(2)의 원수 입출수구멍(17A)으로부터 원수 유통부(26)에 입수하며,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 유통부로 돌출된 일부의 돌출 원수 유통부(26)의 일부 돌출부 선단구멍(29)으로부터 밸브상자(1)의 배수 입수구(18)로부터 출수하고-(도 24 상부 우측 도 참조)-수관(28)-RO기 배수 출구(37)로 입수하며, RO기(9) 내에서 RO막 표면을 역류 세정하고, RO기 입구(8)로부터 출수하여 수관(28)-정수기 출구(7)-정수기(6) 내의 필터재를 역류 세정하여 정수기 입구(5)-수관(28)-밸브상자(1)의 원수 출수구(4)로 입수하며, 밸브(2)의 배수 유통로(30)의 배수 지로(31)로 입수하여 배수 유통로(30)로부터 타단의 배수 지로(31)로부터 밸브상자(1)의 배수 출수구(13)로부터 출수하는 물의 경과를 취한다.
실시예 3
제3 실시예를 도 25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 도 27, 도 29는 도 32의 토수마개의 표면도상에 나타내는 E-E선상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 도 27, 도 30은 도 33의 밸브(2) 및 핸들(14)을 가진 밸브상자(1)의 정면도에 나타내는 F-F선상에 따른 단면도를 좌측에, G-G선에 따른 단면도를 중심에 두고, 우측에 H-H선에 따른 단면도를 늘어놓아 나타내며, 하부에 당 수처리기의 물경로를 화살표로 하여 나타낸 설명용 도면이다.
당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토수마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25, 도 26에 나타내는 RO수 생성위치, 도 27, 도 28에 나타내는 정수위치, 도 29, 도 30에 나타내는 세정위치에서 이용하는 효능을 가진다. 그러나, 당 실시예의 정수위치에서의 수단은 전자밸브(43)로 행하고 있다.
실시예 1의 밸브상자(1)의 원수 입수구(3) 및 원수 출수구(4) 및 그들 노즐(32)을 삭제하고, 밸브(2)의 원수 입수구멍(16), 원수 출수구멍(17), 원수 유통부(26), 밸브(2)에 고착된 격벽 부품(27) 등을 삭제하여 격벽(27C)으로서, RO수 유통부(21)와 배수 유통부(22)를 각각 독립 구성하며, 밸브(2) 내에 자석(38)을 설치하고, 정수위치에는 핸들(14)에 의해 회동된 밸브(2) 내의 상술의 자석(38)에 감응하는 리드 스위치(39)를 밸브상자(1)에 고착하여, 자석(38)에 감응한 리드 스위치(39)는 전선(40)으로 전압 변압기 그 외의 부품으로 구성된 컴퓨터판 상자(42)로부터, 변압된 전력을 전선(40)으로 보내 전자밸브(43)를 폐구(閉口)시킨다.
도 31은 당 토수마개의 저면도이며, RO수 입수구(11)와 배수 입수구(18)의 사이에 리드 스위치(39) 및 스위치 고정판(44)을 나타내고 있다.
도 26은 RO수 생성위치를 나타내며, 물의 흐름을 화살표로, 분기마개(15)-전자밸브(43)-수관(28)-정수기(6)-수관(28)-RO기(9)-RO수 출구(10)-밸브상자(1)의 RO수 입수구(11)-밸브(2)의 RO수 입수구멍(19)-RO수 유통부(21)-RO수 출수구멍(20)-밸브상자(1)의 RO수 출수구(12)로부터 RO수를 출수하고, 한편 RO기(9)의 배수 출구(37)로부터 출수하는 배수는 수관(28)-밸브상자(1)의 배수 입수구(18)-밸브(2)의 배수 입수구멍(23A)-배수 유통로(22)-배수 출수구멍(24A)-밸브상자(1)의 배수 출수구(13)로부터 출수하는, RO수 생성위치에서의 물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낸 위치의 도면이다. 이 때 리드 스위치(39)는 자석(38)의 감응을 받지 않고 전자밸브(43)는 개구하고 있다.
도 28은 상술한 정수위치이며, 자석(38)의 감응에 의해 리드 스위치(39)는 PC보드 상자(42)에 탐지를 보고하여, 전자밸브(43)를 폐구시키고 있다.
도 30은 자석(38)과 리드 스위치(39)는 감응하지 않고, 개구한 전자밸브(43)-정수기(6)-수관(28)-RO기(9)-RO기의 배수 출구(37)-밸브상자(1)의 배수 입수구(18)-밸브(2)의 배수 입수구멍(23)-배수 유통로(22)-배수 출수구멍(24)-밸브상자(1)의 배수 출수구(13)로부터 배수하는 세정위치에서의 물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실시예 1의 밸브(2)의 입체도이며, 배수 출수구멍(24A 및 24)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부호 45는 실시예 중 생략한 씰재에 이용하는 홈이다. 부호 21은 RO수 유통부, 부호 27은 격벽 부품이다.
도 35는 일반적 가정용 RO기의 배수로에 이용하는 배수량을 줄여 소량으로 하는 기구(배수비로 불리는 기구)(46)와, 배수량을 다량으로 하여 RO막 표면을 세정하기 위한 전자밸브(43)를 나타내고 있고, RO기의 배수 출구(37)로부터 수관(28)으로 흐르는 물은, RO수 생성시에는 전자밸브(43)는 폐구하고 있으며, 막을 세정할 때에는 전자밸브(43)는 개구하여 다량의 배수를 하지만, 이 배수관(28)의 선단은 방수용으로 개방되어 있고, 도 36에 나타내는 개수대에서의 배수로관(47)에 구멍을 뚫어 수관(28)을 삽입하여 방수하고 있지만, 상술의 당 토수마개는 개수대의 위로부터 토수하여 잡용수로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역침투막 순수기는 전체 프로세스로서의 정수(정수 프로세스)가 어떻게 맑고 깨끗한 정수를 막에 송수하는지, 또 어떻게 막표면을 강세정하는지에서 큰 차이가 나온다. 정수 여과를 보다 정밀한 여과로 하면 할수록, 막힘을 일으켜, 빈번하게 필터의 교환을 피할 수 없게 되어 있는 현상의 순수기를, 장기간 필터 교환 없이 순수를 보다 다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은, 소비자에 있어서도 요망되고 있는 것으로 상기(想起)하면, 이 토수마개의 이용 가능성은 고도이고, 또한 RO기로부터의 배수를 개수대의 위로부터 토수하는 것은, 「오폐수 방출」이라고 전해지고 있는 오명을 불식할 수 있어, 잡용수로서 이용 가능하다.
1 토수마개 밸브상자, 밸브상자로 칭하기도 한다.
2 밸브 3 원수 입수구
4 원수 출수구 5 정수기 입구
6 정수기(정수 프로세스) 7 정수기 출구
8 RO기 입구 9 역침투막 처리기, RO기
10 RO기의 RO수 출구 11 RO수 입수구
12 RO수 출수구 13 배수 출수구
14 핸들 15 분기마개
16 원수 입수구멍 17 원수 출수구멍
17A 원수 입출수구멍 18 배수 입수구
19 RO수 입수구멍 20 RO수 출수구멍
21 RO수 유통실, RO수 유통부 22 배수 유통실, 배수 유통부
23 배수 입수구멍 23A RO 생성위치의 배수 입수구멍
24 배수 출수구멍 24A RO 생성위치의 배수 출수구멍
25 밸브 빠짐방지 덮개 26 원수 유통실, 원수 유통부
27 격벽 부품 27C 격벽
28 수관 29 일부 돌출부 선단구멍
30 배수 유통로 31 배수 지로
32 노즐 33 배수 토수관
34 RO수 토수 파이프 35 노즐 커버
36 요리대 37 RO기의 배수 출구
38 자석 39 리드 스위치(감응 스위치)
40 전선 41 소켓
42 PC보드(컴퓨터) 상자, 변압기 43 전자밸브
44 스위치 고정판 45 씰재 홈
46 배수비(조리개) 47 개수대의 배수로관
48 고착부

Claims (3)

  1. 수도관에 장착한 분기마개와 수처리기에 접속하여, 분기마개로부터 공급되는 물(이하 이것을 '원수(原水)'라고 칭함)을 전환하는 밸브장치를 내장한 토수마개로서, 원수를 취입(取入)하는 원수 입수구, 원수를 수처리기에 송수(送水)하는 원수 출수구, 역침투막 처리기(이하 이것을 'RO기'로 칭함)로부터 배수하는 배수를 수수(受水)하는 배수 입수구, 배수를 출수하는 배수 출수구, RO기로 생성한 역침투막 투과수(이하 이것을 'RO수'로 칭함)를 수수하는 RO수 입수구, RO수를 출수하는 RO수 출수구를 가지며 또한, 상기 각 구(口)와 연통하는 위치에 축선을 가지는 원형 통 모양의 밸브실을 마련한 밸브상자와, 복수의 원수 출수구멍, 복수의 원수 입수구멍을 가지고 양측면을 격벽으로, 전체 둘레를 밸브의 통으로 독립시킨 원수 유통부, 상기 원수 유통부의 상기 1격벽에 인접하여, 상기 밸브실 바닥벽을 편(片)격벽으로 하고, RO수 입수구멍 및 RO수 출수구멍을 가지고 독립한 RO수 유통부, 마찬가지로 상기 원수 유통부 1격벽에 인접하며, 밸브상자와 고착시킨 밸브 빠짐방지 덮개를 편격벽으로 하여, 복수의 배수 입수구멍 및 복수의 배수 출수구멍을 가지고, 독립한 배수 유통부를 가진 원통형의 밸브와, 상기 밸브에 연결한 핸들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의 각각의 구멍은 상기 핸들에 회동되어, 상기한 분기마개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원수 입수구멍으로부터 상기 원수 유통부로 입수하며, 상기 원수 출수구멍로부터 정수기(淨水器)로 출수하여, 정수기를 거쳐 RO기로 흘러 RO수를 생성 출수하고, 한편으로 RO막으로의 수압을 고압화하는 상기 배수 입수구멍 또는 상기 배수 출수구멍을 세공(細孔)으로서 유량 제어한 농축수를 배수하는 RO수 생성위치와, 상기 RO수 생성과 동일한 물경로로 흘리는 것도, RO수 입수구멍을 상기 밸브상자의 통 내벽에서 상기 밸브가 폐쇄하여 RO수 토수를 멈추며, 강류로 RO막을 세정(플러싱)하여 배수하는 세정위치와,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원수 입수구를 상기 밸브에 의해 폐쇄하여, 지수(止水)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밸브장치를 내장한 토수마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 1에 기재한 상기 밸브의 축심을 상기 원수 유통부 홈형성 부분까지 연장하고, 상기 밸브중심축 안에 공동(空洞)을 뚫어 수류로를 마련하며, 상기 통 모양 동(洞)입구를 상기 1격벽으로 봉쇄하여 배수 유통로로 이루고, 상기 배수 유통로의 상기 밸브의 원수 유통부 측과 상기 밸브의 배수 유통부 측에 상기 배수 유통로와 연통하는 배수 지로(支路)를 각각 마련하며 또한, 원수 유통부 격벽 1부의 축심 외벽과 외통 내벽과의 사이에서, 선단에 원수 출수구멍을 가진 원수 유통부의 1부 돌출부를 마련하여, 원수를 1부 돌출부 선단의 상기 원수 출수구멍으로부터, 상기 밸브상자의 배수 입수구로 출수시켜, 정수기 및 역침투막기를 역류 세정하고,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원수 출수구로 그 역세수를 상기 배수 지로에 입수시켜, 상기 배수 유통로, 다음으로 배수 유통부 측의 배수 지로로부터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배수 출수구로 출수시키는 역세정위치를 부가한 밸브장치를 내장한 토수마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 1에 기재한 상기 토수마개의 상기 밸브상자의 상기 원수 입수구, 상기 원수 출수구 및 상기 밸브의 상기 원수 입수구멍, 상기 원수 출수구멍, 및 원수 유통부와 RO수 유통부를 구획하는 격벽을 말소하고, 상기 밸브 내의 상기 원수 유통부를 구성한 상기 2개의 격벽을 1개로 하며, 상기 RO수 유통부와 상기 배수 유통부로 구분하는 격벽만으로 하고, 상기 밸브의 일부에 자석을 설치하며, 상기 밸브상자의 일부에 리드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자석과 감응시켜, 급수 또는 정수(停水)를 하는 밸브장치를 내장한 토수마개.
KR1020127032442A 2010-05-12 2011-05-10 토수마개 KR201300739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39918 2010-05-12
JP2010139918 2010-05-12
PCT/JP2011/061134 WO2011142476A1 (ja) 2010-05-12 2011-05-10 吐水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917A true KR20130073917A (ko) 2013-07-03

Family

ID=4491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442A KR20130073917A (ko) 2010-05-12 2011-05-10 토수마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056405A1 (ko)
EP (1) EP2570388A1 (ko)
JP (1) JPWO2011142476A1 (ko)
KR (1) KR20130073917A (ko)
CN (1) CN102933501B (ko)
WO (1) WO2011142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12151A0 (fi) 2001-11-05 2001-11-05 Danisco Nestemäinen leivänparannusaine, sen käyttö ja valmistusmenetelmä
CN103845948B (zh) * 2012-12-06 2017-04-05 杜也兵 具有多滤胆反冲切换器的净水器内置管路连接方法
KR102037683B1 (ko) * 2012-12-27 2019-10-29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CN103032603B (zh) * 2013-01-08 2014-07-02 天津大学 配置单压力交换缸的往复运动自密封流体切换器
CN105408259A (zh) * 2013-05-11 2016-03-16 株式会社保美纯 再利水器
CN104174208A (zh) * 2013-05-25 2014-12-03 赵百华 座式水龙头净水器
TWI554697B (zh) * 2013-06-11 2016-10-21 三菱麗陽股份有限公司 淨水系統以及淨水系統所使用的切換閥
CA2940240C (en) 2014-03-07 2022-11-01 Danco, Inc. Smart water filter system
CN104180023B (zh) * 2014-08-14 2017-01-11 杭州淘米水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四通道分质供水水龙头
CN104944525B (zh) * 2014-12-03 2017-06-30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反渗透净水机及其浓缩水回收控制方法
WO2017002980A1 (ja) * 2015-06-29 2017-01-05 株式会社 Permeation 水スイッチ—yya型
CN105114661B (zh) * 2015-09-10 2017-12-22 路达(厦门)工业有限公司 一种组合式双水路暂停结构
CN105299264A (zh) * 2015-12-11 2016-02-03 佛山市恒洁卫浴有限公司 一种防锈水龙头
CN106369190A (zh) * 2016-08-25 2017-02-01 浙江沁园水处理科技有限公司 反冲洗阀
CN107795712B (zh) * 2017-11-27 2024-01-23 浙江万得凯流体设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净水龙头
CN109854782B (zh) * 2019-04-11 2024-01-30 佛山市钻力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水路自动切换阀
JP6968128B2 (ja) * 2019-07-18 2021-11-17 株式会社日本トリム 弁装置及び電解水生成装置
CN115041018B (zh) * 2022-07-05 2023-04-11 重庆朗福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烟气捕集回收二氧化碳系统及其催化剂添加装置
JP2024022910A (ja) * 2022-08-08 2024-02-21 オルガノ株式会社 純水供給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44C (zh) * 1997-09-30 2001-02-21 韩春贵 六通阀门
JP2007309333A (ja) * 2004-12-03 2007-11-29 Koichi Kawakami 五方弁
JP2006233739A (ja) * 2005-02-24 2006-09-07 Koichi Kawakami 逆洗切り替え弁装置付水栓
WO2008056429A1 (fr) * 2006-11-09 2008-05-15 Yoichi Kawakami Robinet à bec d'équipement de traitement d'eau
WO2009022433A1 (ja) * 2007-08-13 2009-02-19 Yoichi Kawakami 八方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33501A (zh) 2013-02-13
WO2011142476A1 (ja) 2011-11-17
JPWO2011142476A1 (ja) 2013-07-22
US20130056405A1 (en) 2013-03-07
CN102933501B (zh) 2014-01-08
EP2570388A1 (en) 201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3917A (ko) 토수마개
WO2006059800A1 (ja) 五方弁
JP4780467B2 (ja) 五方弁
JP2008100123A (ja) 水処理機器
CN106310947A (zh) 一种正反冲洗活塞式储水器、微废水ro系统及膜冲洗方法
KR20220045130A (ko)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JP2006289334A (ja) 廃棄水及び浄水を利用可能な逆浸透膜純水装置
JP2006233739A (ja) 逆洗切り替え弁装置付水栓
CN104906855A (zh) 一种前置式反冲洗过滤器
WO2014184966A1 (ja) 再利水具
JP2009233623A (ja) 水処理ろ過装置
CN108506526A (zh) 三通阀及净水装置
CN204815881U (zh) 一种前置式反冲洗过滤器
WO2009022433A1 (ja) 八方弁
CN104891605A (zh) 一种净化水滤芯及净化水水龙头
CN205616657U (zh) 一种自清洗净水器装置
CN205398288U (zh) 免换滤芯全自动反冲洗净水机
CN204737761U (zh) 一种净化水滤芯及净化水水龙头
CN210332289U (zh) 一种ro膜反渗透净水机的智能反冲洗前置过滤器
CN208599492U (zh) 反渗透膜水处理装置
KR20100137638A (ko) 정수필터장치
KR200328073Y1 (ko) 연수기
JPH11253936A (ja) 浄水器
CN215559048U (zh) 龙头净水器及用于龙头净水器的过滤装置
CN210974000U (zh) 一种超滤净水机的自动冲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