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2403A - 스케이팅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스케이팅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2403A
KR20130072403A KR1020110139796A KR20110139796A KR20130072403A KR 20130072403 A KR20130072403 A KR 20130072403A KR 1020110139796 A KR1020110139796 A KR 1020110139796A KR 20110139796 A KR20110139796 A KR 20110139796A KR 20130072403 A KR20130072403 A KR 20130072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unit
circular rotating
outer r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6662B1 (ko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1020110139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662B1/ko
Priority to PCT/KR2012/008243 priority patent/WO2013094863A1/ko
Publication of KR2013007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1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feet or to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6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inclined wheel, i.e. not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it rolls 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5/00Stilts or the like
    • A63B25/04Stilts or the like with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single-wheel type with single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는 내면 원주표면을 갖는 원형회전부, 원형회전부의 내면 원주표면에 부착되는 고정레일, 고정레일을 따라서 상하운동을 하는 신발고정부, 신발고정부에 연결된 제동페달을 포함하며, 제동페달에 의해서 원형회전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동부 및 신발고정부의 하면에 부착되고, 원형회전부의 내면 원주표면에 연결되어 상기 신발고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케이팅 운동기구{skate sporting goods}
본 발명은 스케이팅 운동기구에 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탑승에 의해 주행이 가능하고 상하 움직임도 가능한 주행 가능한 스케이팅 운동기구에 관한 발명이다.
현대인들은 여가시간을 이용하여 취미생활을 즐긴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무수히 많은 취미가 존재한다. 취미와 운동을 접목시킨 레져활동은 시간이 부족한 현대인에게 자신의 취미를 즐기면서 건강을 챙길 수 있는 유용한 활동이다.
취미와 운동을 접목시킨 레져활동의 대표격인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 롤러 스케이트(roller skate)는 사용자가 속도를 즐길 수 있으며, 원하는 장소에 빠른 시간에 도달할 수 있으며, 유산소운동으로서 각광 받고 있다.
현대인들은 레저활동시간이 많아짐으로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취미를 즐기고자 한다. 그러나 인라인 스케이트와 롤러스케이트, 자전거하이킹과 같은 레져활동은 주행성과 이동성은 보장될 수 있으나 다양한 형태의 움직임(상하운동)은 불가능하고, 특히 인라인 스케이트와 롤러스케이트는 이동하는 장소가 매우 제한적이다. 가령 울퉁불퉁한 비포장길을 이동하기는 불가능하고, 자체적인 제동장치가 따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노면과 맞닿는 마찰을 이용하여 정지하거나 사용자의 숙련된 스킬에 의해서만 제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은 사용자의 안전상의 문제 뿐만 아니라 인라인 스케이트 또는 롤러스케이트를 착용하고 경사로를 오르는데 제약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직선운동 뿐만 아니라 상하운동이 가능한 스케이팅 운동기구가 제공되며, 운동장소에 제약이 없고, 안정성이 확보된 스케이팅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내면 원주표면을 갖는 원형회전부, 상기 원형회전부의 내면 원주표면에 부착되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을 따라서 상하운동을 하는 신발고정부, 상기 신발고정부에 연결된 제동페달을 포함하며, 상기 제동페달에 의해서 상기 원형회전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동부 및 상기 신발고정부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원형회전부의 내면 원주표면에 연결되어 상기 신발고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형회전부는 지면과 닫는 타이어, 상기 타이어에 의해 감싸지는 외륜, 상기 외륜의 내부원주와 결합하는 내륜, 상기 외륜과 상기 내륜이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외륜과 상기 내륜 사이에 형성된 베어링부를 포함할 수 이Tekk.
상기 베어링부는 복수개의 베어링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상기 베어링이 장착되는 베어링 윤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레일은 상기 내륜의 내부원주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신발고정부는 상기 고정레일과 연결되는 연결부재, 발을 고정시키는 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발판의 하부에는 상기 신발고정부와 연결되는 상기 탄성부의 제1끝단이 이동 가능하도록 유도트랙이 형성되며, 상기 발판은 신발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륜의 내측표면에 상기 탄성부의 제2끝단이 고정되도록 탄성부 고정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동페달과 연결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의해서 상기 제동페달과 연결된 제동암, 상기 제동암과 연결된 제동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동패드는 상기 제동페달에 의해서 상기 와이어가 당겨진 경우 상기 외륜의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원형회전부를 제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 또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형회전부는 지면의 수직방향으로부터 5°내지 25°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에 열거된 효과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첫째, 직선 운동 뿐만 아니라 상하운동이 가능하다.
둘째, 장소 제약 없이 운동기구의 활용이 가능하다.
셋째, 제동에 따른 안정성이 확보된다.
넷째, 경사로 이동이 용이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의 일부구성인 원형회전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의 일부구성인 원형회전부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의 일부구성인 고정레일과 고정레일에 부착된 신발고정부, 제동부, 탄성부의 결합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의 일부 구성인 발판 하부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의 일부구성인 제동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들로 구체화되어질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되는 양태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양태들은 실시예들을 더욱 철저하고 완전하게 되도록 해주며, 당업자에게 실시예들의 영역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단지 이러한 용어들은 어떤 구성 요소로부터 다른 구성 요소를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질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는 신발을 고정시키는 신발 고정부 하부에 부착된 탄성부에 의해서 직선운동 뿐만 아니라 상하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신발 고정부와 연결된 제동부에 의해서 자체제동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는 지면에 직접 닿아 회전하는 원형회전부(100)와 원형회전부(10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고정레일(200), 사용자가 올라탈 수 있는 발판과 고정레일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신발고정부(30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원형회전부(100)의 회전상태를 중지시키는 제동부(400), 사용자의 발판에 연결되어 발판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500)를 포함한다.
원형회전부(100)의 내측면에 부착된 고정레일(200)을 따라서 신발고정부(300)는 상하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하운동에 의한 복원력은 신발고정부(300) 하부에 연결된 탄성부(500)에 의해 발생한다. 탄성부(500) 자체는 원형회전부(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신발고정부(300)와도 연결되어 있다. 다만 탄성부(500)의 상하운동에 의해서 신발고정부(300)와 연결된 탄성부(500)의 끝단이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는 제동부(400)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동부(400)는 제동페달(410), 와이어(420), 제동암(430), 제동패드(440)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자전거의 V브레이크의 원리와 같다.
제동부의 동작원리에 대해서는 하기 하도록 한다.
또한 원형회전부(100)는 지면과 소정의 각도(θ)를 이루면서 회전한다. 이러한 원형회전부(100)의 지면과 이루는 소정의 각도(θ)는 신발고정부(300)가 상하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이트 운동기구를 다양한 노면상태에서 활용가능하도록 원형회전부(100)를 크게 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와 자칫 닿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원형회전부(100)를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하면 그러한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무게중심을 바퀴에 둘 수 있어, 사용자의 구동력이 그대로 원형회전부(10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원형회전부(100)와 탄성부(500)를 연결하는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그만큼 기구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원형회전부(100)가 지면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 짐으로서 고정레일(200) 또한 소정의 각도(θ)를 형성한다. 신발고정부(300)는 평형상태에서 지면과 평행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의 각 구성부분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의 일부구성인 원형회전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의 일부구성인 원형회전부의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회전부(100)는 타이어(110), 외륜(120), 내륜(140), 베어링부(130)를 포함한다. 타이어(110)는 고무, 합성수지의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충격과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외륜(120)은 외부 원주표면과 내부원주표면을 갖는다. 외부 원주표면은 타이어(110)에 의해서 감싸진다. 또한 외륜(120)의 측부(122)은 노출된다. 외륜(120)의 측부(122)에 하기할 제동패드(440)가 맞닿아 원형회전부(100)를 제동한다. 외륜(120)은 타이어(110)와 같이 회전한다. 또한 외륜(120)은 단단한 금속재질이며 바람직하게는 티탄 또는 알루미늄합금, 카본합금일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륜(120)의 외부 원주표면과 내부 원주표면에는 원주를 따라서 홈이 형성된다. 외부 원주표면은 타이어(110)가 장착될 공간으로서 원형회전부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서 외륜의 외부원주표면의 패인 각도가 결정된다. 앞서 도시한 도1에서와 같이 지면에 수직인 성분과 원형회전부(100)가 이루는 각도가 θ인 경우 도3의 외륜(120)의 외부 원주표면 홈도 θ만큼 기울어져 형성된다.
각도θ는 0° 내지 30° 일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일수 있다
이러한 점은 타이어(110)가 노면에 닿는 면적을 크게 하여 추진력이 그대로 전달되고, 제동력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베어링부(1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원형베어링(131)과 복수의 원형 베어링을 연결하는 베어링 윤자(132)를 포함한다. 베어링부(131)는 외륜(120)과 내륜(140)을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타이어(110)가 회전함으로서 외륜(120)도 함께 회전하고 내륜(140)은 신발고정부(300)와 연결되어 신발고정부(300)의 하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한다. 즉 외륜(120)은 회전하고 내륜(140)은 회전 하지 않는 상태를 만든다.
내륜(14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부(130)가 상부에 결합되고 베어링부(130)가 결합되는 내륜(140)의 원주표면은 반원형형상으로 베어링(131)의 일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내륜(140)의 내측표면에는 탄성부 고정단(142)이 형성되어 탄성부(500)의 제2끝단이 고정된다. 내륜(140)의 내측원주표면에는 하기할 고정레일(200)이 부착된다. 내륜(140)은 외륜(12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회전하지 않으며, 타이어(110), 외륜(120)의 회전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륜과 외륜은 베어링부를 감싸고 있으며, 베어링부의 회전은 내륜과 외륜을 분리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륜의 측부(122)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내륜은 외륜의 측부(122)에 의해서 감싸진다. 내륜의 내측원주표면에는 고정레일(200)이 부착된다. 고정레일(200)은 외륜과는 분리되어 있으며, 외륜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고정레일(200)은 내륜과 함께 고정된다. 이하 도5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의 일부구성인 고정레일(20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의 일부구성인 고정레일(200)과 고정레일(200)에 부착된 신발고정부(300), 제동부(400), 탄성부(500)의 결합사시도이다.
고정레일(200)은 원통형상, 다각형상을 갖는 입체 파이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개의 파이프가 서로 대칭되어 형성되었으나 파이프의 개수는 실시예와 같이 제한되지 않으며 1개 내지는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앞서 도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정레일(200)은 내륜내부표면에 부착된다. 고정레일(200)의 재료는 경량합금재료일 수 있다.
고정레일(200)을 따라서 움직이는 신발고정부(300)는 고정레일(200)과 연결되는 연결부재(310)와 사용자의 발이 놓이게 되는 발판(320)을 포함한다. 발판(320)은 신발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밴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레일(2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일(200)의 단면과 같은 형상과 크기의 단면홀을 포함하며, 단면홀에 고정레일(200)이 끼워진다. 신발고정부(300)가 상하로 움직이면 단면홀이 고정레일(200)을 따라서 이동한다.
고정레일(200)에 의해서 신발고정부(300)는 레일을 따라 상하운동만 가능할 뿐 고정레일(200)을 이탈하는 운동을 할 수 없다. 발판(320)과 연결부재(310)는 결합되어 있으며 발판(320)의 하부에는 유도트랙(330)이 형성된다. 유도트랙(330)에 대해서는 도6을 참고하여 하기 설명한다.
제동부(400)는 외륜(120)의 측부(122)에 마찰을 가하여 움직이는 스케이팅 운동기구를 멈추게 한다. 제동부(400)는 제동페달(410), 와이어(420), 제동암(430), 제동패드(440)를 포함한다. 제동페달(410)은 발판(320)에 연결되어 있으며 발판(320)의 앞쪽 끝단에 상하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동페달(410)은 와이어(420)와 연결된다.
와이어(420)는 제동페달(410)과 제동암(430)을 연결하는 연결매체 역할을 한다. 제동페달(410)의 움직임을 제동암(430)에 전달한다. 제동암(430)은 부분원호형상의 금속편을 의미하고, 제동암(430)은 제동패드(440)와 연결된다. 제동패드(440)는 고무재질 내지는 플라스틱재질이며 앞서 설명한 외륜의 측부(122)과 맞닿아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제동부(400)는 일반적인 자전거의 V브레이크 시스템과 대응된다.
제동부(400)의 상세 동작에 대해서는 도7를 참고하여 하기 설명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일(200), 신발 고정부(300), 제동부(400)는 연결된다. 탄성부(500)는 신발 고정부의 하단 구체적으로는 발판의 하부의 연결된다. 탄성부(500)는 유압실리더 또는 스프링 일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의 일부 구성인 발판 하부의 사시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20)의 하부에는 유도트랙(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도트랙(330)은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500)의 제1끝단은 슬롯에 끼워져 신발 고정부(30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이동을 유도한다. 결국 탄성부(500)는 신발 고정부(300)의 상하 운동에 의해 탄성력 혹은 복원력을 제공한다.
탄성부(500)의 제2끝단은 앞서 도4와 같이 탄성부 고정단(142)과 연결된다. 탄성부 고정단(142)에는 제2끝단이 고정된다. 탄성부 고정단(142)은 내륜(140)의 내부원주표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외륜(120)의 움직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앞서 설명한 고정레일(200), 신발고정부(300), 제동부(400), 탄성부(500)는 모두 원형회전부(100)의 내륜(140)과 연결되어 있어 타이어(110)와 외륜(120)만이 회전하고 내륜(140)과 연결된 각 구성은 회전하지 않고 사용자의 상하움직임에 따라서 상하운동만 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의 일부구성인 제동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7을 참고하여 제동부(400)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본다. 회전하고 있는 외륜의 측부(122)에 마찰력을 작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발끝으로 제동페달(410)을 밟는다. 제동페달(410)이 하향할 때 제동페달(410)에 연결된 와이어(420)는 당겨진다. 당겨진 와이어(420)는 다시 제동암(430)을 당기게 되고 당겨진 제동암(430)은 제동패드(440)를 외륜의 측부(122)로 향하게 하여 부착된다.
이처럼 제동부(400)가 동작함으로서 외륜(120)의 회전을 막는다. 외륜(120)의 회전을 막고 제동력을 부여함으로서 숙련되지 않는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성을 담보하고 경사로를 손쉽게 오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인 스케이팅 운동기구는 오른쪽, 왼쪽 다리 각각에 부착하여 이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팅 운동기구는 왼쪽 다리에 부착하는 한 개기기에 대한 설명이다. 스케이팅 운동기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왼쪽 뿐만 아니라 오른쪽 기구도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원형회전부 110 타이어
120 외륜 130 베어링부
131 베어링 132 베어링 윤자
140 내륜 200 고정레일
300 신발고정부 310 연결부재
320 발판 400 제동부
410 제동페달 420 와이어
430 제동암 440 제동패드
500 탄성부

Claims (11)

  1. 내면 원주표면을 갖는 원형회전부;
    상기 원형회전부의 내면 원주표면에 부착되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을 따라서 상하운동을 하는 신발고정부;
    상기 신발고정부에 연결된 제동페달을 포함하며, 상기 제동페달에 의해서 상기 원형회전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동부;및
    상기 신발고정부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원형회전부의 내면 원주표면에 연결되어 상기 신발고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회전부는 지면과 닿는 타이어, 상기 타이어에 의해 감싸지는 외륜, 상기 외륜의 내부원주와 결합하는 내륜, 상기 외륜과 상기 내륜이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외륜과 상기 내륜 사이에 형성된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복수개의 베어링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상기 베어링이 장착되는 베어링 윤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은 상기 내륜의 내부원주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고정부는 상기 고정레일과 연결되는 연결부재, 발을 고정시키는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하부에는 상기 신발고정부와 연결되는 상기 탄성부의 제1끝단이 이동 가능하도록 유도트랙이 형성되며, 상기 내륜의 내측표면에 상기 탄성부의 제2끝단이 고정되도록 탄성부 고정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신발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동페달과 연결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의해서 상기 제동페달과 연결된 제동암, 상기 제동암과 연결된 제동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패드는 상기 제동페달에 의해서 상기 와이어가 당겨진 경우 상기 외륜의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원형회전부를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 또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회전부는 지면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5°내지 25°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KR1020110139796A 2011-12-22 2011-12-22 스케이팅 운동기구 KR101336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796A KR101336662B1 (ko) 2011-12-22 2011-12-22 스케이팅 운동기구
PCT/KR2012/008243 WO2013094863A1 (ko) 2011-12-22 2012-10-11 스케이팅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796A KR101336662B1 (ko) 2011-12-22 2011-12-22 스케이팅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403A true KR20130072403A (ko) 2013-07-02
KR101336662B1 KR101336662B1 (ko) 2013-12-06

Family

ID=48668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796A KR101336662B1 (ko) 2011-12-22 2011-12-22 스케이팅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36662B1 (ko)
WO (1) WO20130948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773A1 (ko) * 2016-02-29 2017-09-08 주식회사 헬스앤스릴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603B1 (ko) 2021-09-02 2022-12-20 주식회사 티엔이컴퍼니 스케이팅 연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812A (en) * 1885-03-31 James b
US1023882A (en) * 1911-09-19 1912-04-23 Mario Schiesari Monocycle skate.
US5106110A (en) * 1991-03-04 1992-04-21 Williamson Lawrence J Unicycle roller skate
US7090040B2 (en) * 1993-02-24 2006-08-15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otion control of a transporter
KR200325256Y1 (ko) * 2003-05-23 2003-09-02 (주)시마엔터프라이즈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런닝머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773A1 (ko) * 2016-02-29 2017-09-08 주식회사 헬스앤스릴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94863A1 (ko) 2013-06-27
KR101336662B1 (ko)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3493A (en) Uni-wheel skate
DK2022548T3 (da) Fritids- og sportsanordning på hjul
US8925937B2 (en) Toddler walker
US7621541B2 (en) Swiveling and pivoting chassis for skates
KR101336662B1 (ko) 스케이팅 운동기구
US20070278758A1 (en) Avalanche skateboard
KR101890262B1 (ko)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KR101281715B1 (ko) 안전장치를 갖는 온몸근육 운동기구
JP2013504382A (ja) 車輪付きプラットフォーム装置及び車輪付き履物と併せて使用するための方法
JP2010094486A (ja) 三輪ローラースケート
KR200330218Y1 (ko) 보행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회전바퀴 고정.스탠딩장치
KR200330270Y1 (ko) 브레이크장치 겸 보행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회전바퀴 고정.스탠딩장치
GB2454532A (en) Apparatus incorporating rolling balls in place of wheels
JP3937091B2 (ja) 歩行補助具
KR200374190Y1 (ko) 인라인 스케이트에 부착된 브레이크 패드축과 바퀴축을이용한 회전바퀴의 고정.스탠딩장치
KR200328490Y1 (ko) 인라인 스케이트용 회전바퀴 고정기구
KR101190777B1 (ko) 레저 스포츠기구용 무릎 지지기구
KR10094954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스프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 보드.
WO2016153392A2 (ru) Роликовые коньки
JP4597092B2 (ja) 娯楽運動装置
JP2004194707A (ja) 車輪付竹馬
KR20060021568A (ko) 롤러스케이트
KR100470766B1 (ko) 비행기식 스케이트 보드
JP3920841B2 (ja) 肩車補助車輪
KR20070087468A (ko) 횡방향 주행용 인라인 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