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903A - 미백효과가 있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미백효과가 있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1903A
KR20130071903A KR1020110139381A KR20110139381A KR20130071903A KR 20130071903 A KR20130071903 A KR 20130071903A KR 1020110139381 A KR1020110139381 A KR 1020110139381A KR 20110139381 A KR20110139381 A KR 20110139381A KR 20130071903 A KR20130071903 A KR 20130071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lactobacillus
fermentation
ginseng leaf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8778B1 (ko
Inventor
최상윤
김성수
이영철
김경탁
노정해
홍희도
김영찬
조장원
이영경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9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7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효과가 있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잎 추출 발효물은 미백 활성이 뛰어나고 세포 독성이 낮다.

Description

미백효과가 있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Fermented extract of ginseng leaf having whitening effect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백효과가 있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예부터 한약의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신농본초본'과 같은 한방 의서에는 인삼은 오장, 즉 간장, 심장, 폐장, 신장, 비장의 양기를 돋우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눈을 밝게 한다고 나와있다. 최근 인삼의 효능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인삼의 효과로 피로 회복, 혈액 순환 개선, 빈혈 치료, 혈압 조절, 심장 강화, 당뇨 치료, 위 기능 강화 및 설사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한편, 이와 같은 활성은 주로 사포닌인 것으로 알려져 왔는데, 비 사포닌 성분으로 알카로이드 성분, 안토시아닌 색소, 함 질소 화합물 펩티드, 다당체 성분, 정유 성분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살리실 산(salicylic acid) 및 바닐 산(vanillic acid)과 같은 항산화성 페놀성 물질들 또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페놀성 성분 중 일부는 미백 활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는 폴리페놀 옥시다아제(polyphenol oxidase)의 일종이며 구리를 함유하는 효소로서 색소세포에서 티로신(tyrosine)을 3,4-디하이드로페닐알라닌(dihydroxypheylalanine)(DOPA)으로 변환하고 효소적 산화반응에 의해 단계적으로 도파퀴논(dopaquinone), 도파크롬(dopachrome)으로 변환하여 멜라닌(melanin)을 생합성한다. 이와 같이 티로시나아제는 멜라닌(melanin) 중합체를 생성하는 중요 효소로서, 세포 내 색소세포에서 활성화되어 멜라닌이 과잉 생산되면 기미 주근깨, 점, 검버섯 등 색소침착이 일어나 피부노화 및 손상을 초래하므로, 티로시나아제 활성억제 실험을 통하여 미백 원료로 사용 가능한 것인지 확인 가능하다.
본 발명은 미백효과가 있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삼 잎을 마쇄하는 단계; 상기 마쇄된 인삼 잎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삼 잎 추출물을 Lactobacillus 속으로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추출 단계는 증류수로 교반추출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에서 Lactobacillus 속은 Lactobacillus rhamnosus KCTC5033 또는 Lactobacillus sakei K080701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Lactobacillus 속에 의하여 발효된 인삼 잎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삼 잎 추출물은 에스큘레틴(esculetin)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Lactobacillus 속은 Lactobacillus rhamnosus KCTC5033 또는 Lactobacillus sakei K080701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Lactobacillus 속에 의하여 발효된 인삼 잎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삼 잎 추출물은 에스큘레틴(esculetin)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Lactobacillus 속은 Lactobacillus rhamnosus KCTC5033 또는 Lactobacillus sakei K080701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잎 물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미백 활성이 뛰어나면서도 세포 독성이 낮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부위별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부위별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에 함유된 페놀성 성분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와 기술적 특징을 다음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부위별 인삼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한 인삼 잎 및 인삼뿌리는 인삼으로부터 각각의 부위를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시료는 증류수로 세척 후, 50oC에서 36시간 열풍 건조하여 마쇄하고, 각각 에탄올과 증류수로 3회 교반 추출하여 얻어진 상등액을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인삼 잎 및 인삼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인삼 추출물의 활성 측정
2.1 항산화 효과
피부 손상 보호효과 관련한 기초 활성으로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를 측정하였다. 사용한 자유 라디칼은 ABTS이었다.
측정결과(도 1) 인삼 잎 물 추출물은 뿌리에 비하여 가장 높은 ABTS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2.2 피부 색소 억제 효과
피부 색소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 3일간 시료를 처리 후 세포 생존율 및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표 1).
Sample 농도
(ppm)
멜라닌 생성저해율
(%)
세포 생존율
(%)
잎 물 추출물 100 35.3 104.7 
  10 18.4  99.3 
  1 15.5  92.6 
잎 에탄올 추출물 100 25.1  84.4 
  10 14.6  100.8 
  1 11.7  93.6 
뿌리 물 추출물 100 32.2  85.7
  10 18.4  95.3 
  1 15.5  106.2 
뿌리 에탄올 추출물 100 82.8  30.5
  10 23.8  70.3 
  1 16.3  94.8 
알부틴 100 27.2  96.4 
  10 18.4  97.0 
측정결과, 상피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인삼뿌리는 고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데 비하여 인삼 잎 물 추출물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멜라닌 생성량을35 % 감소시켰다.
또한 멜라닌 생합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도 2), 멜라노사이트 실험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던 잎 물 추출물에서의 억제활성이 높아 티라노시나아제 활성 억제가 하나의 활성기전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3. 인삼 추출물 활성 성분의 동정
3.1 진세노사이드
각 시료에 함유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HPLC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분석 조건은 bondpack C18 column (10 ㎛, 300 × 3.9 mm)을 사용하여 이동상은 water (용매 A)와 아세토니트릴(용매 B)를 초기에 용매 A 80%에서 70분 후 0%로 기울기를 주어 용출하였다. 용출속도는 1.0 ㎖/min이었고, 컬럼의 온도는 25℃로 유지 하였으며 시료의 검출은 203nm에서 측정하였다. 분석용 시료는 완전 농축된 추출물을 10 ㎎/㎖로 메탄올에 녹인 후 0.45 ㎛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Millipore)로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표 2), 진세노사이드는 대체로 뿌리에서의 함량이 높았고, 멜라닌 생성량 실험에서 우수한 억제활성을 나타낸 잎 물 추출물에서의 함량은 낮아 진세노사이드는 멜라닌 생성억제 활성성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단위(%)
Rg1 Re  Rf  Rg2+
Rh1
Rb1 Rc Rb2 Rb3 Rd Rg3
(S,R)
Rh2
잎DW 0.33 0.90 0.01 0.09 0.01 0.03 0.05 0.01 0.17 0.00 0.00
잎EtOH 3.62 6.13 0.06 1.74 0.31 0.61 0.52 0.05 3.80 0.22 0.00
뿌리DW 0.44 0.76 0.13 0.12 0.79 0.69 0.40 0.06 0.23 0.00 0.00
뿌리EtOH 1.94 5.49 0.70 0.63 2.92 3.18 1.87 0.30 1.27 0.00 0.00
3.2 페놀성 성분
인삼 시료내 페놀성 성분 6종 (Maltol, esculetin, coumaric acid, quercetin, cinnamic acid) 의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페놀성 성분의 HPLC 정량분석 조건은 bondpack C18 column (4 ㎛, 300 × 3.9 mm)을 사용하여 이동상은 2% 아세트산이 함유된 물(용매 A)과 0.5% 아세트산이 함유된 50% 아세토니트릴(용매 B)을 초기 용매A 100% 에서 70 분 후 45%로 기울기를 주어 용출하였다. 용출속도는 0.8 ㎖/min, column의 온도는 40℃로 유지 하였으며 시료의 검출은 280 nm에서 측정하였다. 분석용 시료는 농축된 추출물을 10 ㎎/㎖로 메탄올에 녹인 후 0.45 ㎛ 시린지 필터(Millipore)로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의 멜라닌 생성량 실험에서 우수한 억제활성을 나타낸 잎 물 추출물 에서의 에스큘레틴 함량이 특이적으로 높았다.
단위(μg/g)
  Matol Esculetin Coumaric acid Quercetin Cinnamic acid
 잎 물 추출물 - 1622.0 658.6 - 27.0
 잎 에탄올 추출물 - 86.4 965.9 - 46.4
 뿌리 물 추출물 - - 8.6 34.0 72.8
 뿌리 에탄올 추출물 - - 14.8 45.8 69.9
3.3 페놀성 성분의 활성
상기 실시예 3.2의 페놀성 성분의 멜라닌 생합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티로시나아제 억제효과(도 3), 멜라노사이트에서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표 4)를 측정한 결과, 에스큘레틴이 두 가지 모두에서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어, 인삼 잎 물 추출물의 주요활성성분은 에스큘레틴으로 판단되었다.
Sample 농도
(ppm)
멜라닌 생성저해율
(%)
세포 생존율
(%)
Maltol 100 29.6  69.6
  10  -0.8 104.6 
  1  1.2  108.6
Esculetin 100 94.9 46.5
  10 16.9 96.3
  1 3.8 101.3
Coumaric acid 100 15.5 93.8
  10 -3.0 98.5
  1 -1.0 101.3
Quercetin 100 ND ND
  10 25.0 61.9
  1 -4.1 102.5
Cinnamic aicd 100 29.0 90.0
  10 15.8 101.0
  1 1.9 101.9
실시예 4. 인삼 추출물의 발효
4.1 발효 적성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삼 뿌리 및 인심 잎의 물 추출물을 Lactobacillus rhamnosus KCTC 5033, Pediococcus pentosaceus K031011 및 Lactobacillus sakei K080701를 이용하여 시료의 발효 적성을 확인하였다.
동결 건조된 각각의 시료를 증류수에 희석하여 1 % 농도의 용액으로 만든 것을 121℃, 15분간 멸균하여 발효 기질로 사용하였다. 여기에 MRS broth에서 배양한 3종의 균주 배양액을 각각 1 % 농도로 접종한 후, 37℃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또한 대조구인 3종의 균주 시료 또한 제조하였다. 각각의 균주를 MRS broth로 37℃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한 것을 5,000 rpm에서 10분 원심 분리하였고, 침전물을 다시 증류수에 현탁하여 배지에 존재하는 염류 등을 제거하기 위해 원심 분리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여 그 침전물을 동결 건조하였다. 각각의 기질의 발효 전 pH는 인삼 뿌리 및 인삼 잎 추출물이 6.18 및 6.88 이었고, 이를 서로 다른 3가지 균주로 발효시켰을 때, 인삼뿌리 추출물은 pH 3.78~3.94, 인삼 잎 추출물은 pH 4.17~4.19로, pH 저하를 통해 기질에서 각각의 유산균이 정상적으로 생육하였음을 확인하였다.
4.2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 측정
발효 균주 및 인삼 추출 발효물의 멜라노사이트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 측정 결과(표 5), 발효 균주 자체는 억제효과가 없었고, KCTC 5033 잎 추출 발효물 및 K08071 잎 추출 발효물이 잎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Sample 멜라닌 생성저해율
(%)
세포 생존율
(%)
K031011 0.5 85.8
KCTC5033 0.2 91.7
K080701 -7.1 84.3
뿌리 -1.4 93.4
뿌리K031011발효 -1.5 86.9
뿌리KCTC5033발효 7.9 97.7
뿌리K080701발효 6.8 90.7
17.0 83.2
잎K031011발효 4.1 89.7
잎KCTC5033발효 31.6 94.6
잎K080701발효 22.7 89.4
Arbutin 14.0 92.2
4.3 인삼 잎 추출 발효물 에스큘레틴 함량
인삼 잎 KTCT5033 발효 시료 내 에스큘레틴의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HPLC 정량분석 조건은 bondpack C18 컬럼(4 ㎛, 300 × 3.9 mm)을 사용하여 이동상은 2% 아세트산이 함유된 물(용매 A)과 0.5% 아세트산이 함유된 50% 아세토니트릴(용매 B)을 초기 용매A 100% 에서 70 분 후 45%로 기울기를 주어 용출하였다. 용출속도는 0.8 ㎖/min이고, 컬럼의 온도는 40℃로 유지 하였으며 시료의 검출은 280nm에서 측정하였다. 분석용 시료는 농축된 추출물을 10 ㎎/㎖로 메탄올에 녹인 후 0.45 ㎛ 시린지 필터(Millipore)로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인삼잎 KTCT5033 발효 시료 내 에스큘레틴 함량은 발효 전에 비하여 11.5%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인삼 잎은 우수한 피부미백활성과 ABTS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물 추출물의 활성이 더 우수하였고, 인삼 잎을 KCTC5033 또는 K080701균주로 발효시키는 경우, 인삼 잎 물 추출물 및 다른 균주 발효물에 비하여 우수한 미백활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10)

  1. 인삼 잎을 마쇄하는 단계;
    상기 마쇄된 인삼 잎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삼 잎 추출물을 Lactobacillus 속으로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는 증류수로 교반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에서 Lactobacillus 속은 Lactobacillus rhamnosus KCTC5033 또는 Lactobacillus sakei K080701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
  4. Lactobacillus 속에 의하여 발효된 인삼 잎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잎 추출물은 에스큘레틴(esculet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Lactobacillus 속은 Lactobacillus rhamnosus KCTC5033 또는 Lactobacillus sakei K080701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7. Lactobacillus 속에 의하여 발효된 인삼 잎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잎 추출물은 에스큘레틴(esculet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7항에 있어서,
    Lactobacillus 속은 Lactobacillus rhamnosus KCTC5033 또는 Lactobacillus sakei K080701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0. Lactobacillus 속에 의하여 발효된 인삼 잎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
KR1020110139381A 2011-12-21 2011-12-21 미백효과가 있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18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381A KR101418778B1 (ko) 2011-12-21 2011-12-21 미백효과가 있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381A KR101418778B1 (ko) 2011-12-21 2011-12-21 미백효과가 있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903A true KR20130071903A (ko) 2013-07-01
KR101418778B1 KR101418778B1 (ko) 2014-07-16

Family

ID=4898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381A KR101418778B1 (ko) 2011-12-21 2011-12-21 미백효과가 있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77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318A (ko) 2015-08-06 2017-02-15 주식회사 코스모코스 수경재배 인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80057278A (ko) * 2016-11-22 2018-05-30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2-6-4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90050627A (ko) * 2017-11-03 2019-05-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피부 미백용 인삼잎 발효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0886B1 (ko) * 2019-06-14 2020-11-19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냉풍 재배 인삼의 뿌리 발효물을 함유하는 전초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46327A (ko) * 2021-09-28 2023-04-06 메디허브바이오 주식회사 인삼잎 추출물의 발효물 및 억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30046326A (ko) * 2021-09-28 2023-04-06 메디허브바이오 주식회사 애기똥풀 추출물, 인삼잎 추출물의 발효물 및 억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798B1 (ko) * 2019-11-19 2022-05-30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318A (ko) 2015-08-06 2017-02-15 주식회사 코스모코스 수경재배 인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80057278A (ko) * 2016-11-22 2018-05-30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2-6-4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90050627A (ko) * 2017-11-03 2019-05-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피부 미백용 인삼잎 발효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0886B1 (ko) * 2019-06-14 2020-11-19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냉풍 재배 인삼의 뿌리 발효물을 함유하는 전초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251139A3 (ko) * 2019-06-14 2021-05-14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냉풍 재배 인삼의 뿌리 발효물을 함유하는 전초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46327A (ko) * 2021-09-28 2023-04-06 메디허브바이오 주식회사 인삼잎 추출물의 발효물 및 억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30046326A (ko) * 2021-09-28 2023-04-06 메디허브바이오 주식회사 애기똥풀 추출물, 인삼잎 추출물의 발효물 및 억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778B1 (ko)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778B1 (ko) 미백효과가 있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03283B1 (ko) 미백 화장품 소재용 알로에 발효물과 이를 이용한 미백 화장품
US20110318397A1 (en) Method for preparing high purity ginsenoside rd using lactobacillus casei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wrinkle comprising the high purity ginsenoside rd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2454B1 (ko) 식물에서 기능성 화장품 성분 추출 방법
KR101686112B1 (ko) 락토바실러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삼 열매 발효 추출물 및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jaoudene et al. Phenolic profile, antioxidant activity and enzyme inhibitory capacities of fruit and seed extracts from different Algerian cultivars of date (Phoenix dactylifera L.) were affected by in vitro simulated gastrointestinal digestion
Zhao et al. Potential application of natural bioactive compounds as skin‐whitening agents: A review
KR20170132388A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963978B1 (ko)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 및 Rh2와 생리활성성분이 증진된 새싹삼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3046B1 (ko)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가공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959861A (zh) 一种含有sod组份的美白口服液及其制备方法
KR101650410B1 (ko) 황칠나무, 섬오갈피나무 및 인삼이 포함된 복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식품 및 한방 화장품
TWI581808B (zh) 蝴蝶蘭活性萃取物、其製備方法及其應用
KR20180008352A (ko) 진세노사이드 Rg3, F1, C-K, Rh21 및 PPT의 함량이 증진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30008823A (ko) 천연 약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산화성 및 항염증성 의약 조성물
KR102057376B1 (ko) 홍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10150763A (ko) 대마 줄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100841276B1 (ko) 미백활성이 우수한 백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함유하는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03470B1 (ko) 고대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6018B1 (ko) 간 손상 예방 또는 개선 활성을 갖는 증숙인삼열매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718351B1 (ko)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속 rmks 72 균주, 이를 이용한 발효인삼 및 이를 이용한 발효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0705747B1 (ko) 떡갈나무 줄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453633B1 (ko) 체내흡수율이 증가된 엘라그산과 갈산을 고함량 포함하는 석류 발효조성물과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항산화 기능을 갖는 용도 및 efc 공법을 이용한 그의 제조방법
KR20140086214A (ko) 피부 미백을 위한 석류농축액을 이용한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