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798B1 -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798B1
KR102403798B1 KR1020190148369A KR20190148369A KR102403798B1 KR 102403798 B1 KR102403798 B1 KR 102403798B1 KR 1020190148369 A KR1020190148369 A KR 1020190148369A KR 20190148369 A KR20190148369 A KR 20190148369A KR 102403798 B1 KR102403798 B1 KR 10240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ginsenoside
strain
present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864A (ko
Inventor
최양애
류정기
원도연
정지윤
김승한
장명환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48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7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3/00Preparation of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44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08Denaturation, e.g. denaturation of prot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의 잎에 미생물 균주를 접종 및 배양하여 수득되는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삼 잎 현탁액에 본 발명자에 의하여 신규하게 분리된 미생물 균주를 접종하고, 특정 배양 조건하에서 배양하여 수득되는 컴파운드 K, F2, F1 및 Rd 등의 진세노사이드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른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은 인삼 잎에 존재하는 사포닌 전구물질 등으로부터 컴파운드 K는 물론 F2, F1 및 Rd 등 생물 활성이 높은 진세노사이드의 전체 함량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른 발효액에 포함된 진세노사이드 F2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2.6배, F1은 2배, Rd는 2배 정도 높은 함량 증가를 보였고, 전체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대조군 함량 454ppm에서 619ppm으로 약 36%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물은 건강 기능 식품 및 의약품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FERMENTED BROTH COMPRISING GINSENOSIDE ORIGINATED THE LEAF OF GINSE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삼의 잎에 미생물 균주를 접종 및 배양하여 수득되는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삼 잎 현탁액에 본 발명자에 의하여 신규하게 분리된 미생물 균주를 접종하고, 특정 배양 조건하에서 배양하여 수득되는 컴파운드 K, F2, F1 및 Rd 등의 진세노사이드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반음지성 식물로서 오가피과(Araliaceae) 인삼속(Panax)에 속하는 식물로 오래 전부터 동양뿐만 아니라 서양에서도 효능 및 유효성이 잘 알려져 온 한약재이다.
일반적으로 인삼은 사포닌 함량 3~6%, 질소 화합물 12~15%, 지용성 성분 1~2%, 탄수화물계 50~60% 및 기타 4~6%로 구성되며, 이 중 인삼의 종(種) 특이적인 성분으로서 생리 활성 물질인 진세노사이드는 사포닌의 일종으로 약 3~6% 함유되어 있다. 사포닌의 일종인 진세노사이드는 분자 구조에 따라 파낙사디올계(Protopanaxadiol: PPD)와 파낙사트리올계(Protopanaxatriol: PPT), 올레아난계(Oleanane)로 나뉘며 약 33종이 보고되고 있다[최신고려인삼, 한국인삼연초연구원, 1996년].
인삼의 약리 효능 연구는 인삼 특유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순수 분리하여 그 화학 구조식을 밝혀 인삼의 유효성분과 약리효능의 구명에 주력하여 왔고, 국내외 많은 수의 연구 보고서 및 논문 등을 통하여 밝혀져 왔다. 인삼의 효능연구 부분의 결과로서는 중추신경계질환, 항불안, 신경계, 마약중독해독 효능, 혈관작용, 알콜해독, 지질 대사와 피로회복, 항당뇨, 고지혈증, 항바이러스, 면역증강, 성기능 개선, 항암 및 암예방 효능 등이 과학적으로 속속들이 밝혀졌으며, 특히, 파낙사디올계(PPD)계 사포닌의 대표적인 진세노사이드 Rb1은 중추신경에 대한 억제작용을 나타내 정신안정, 신경이완, 진통, 항암, 항경련, 혈압강하 작용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파낙사트리올계(PPT)계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1으로 대표되는 중추신경에 작용하여 항피로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최신고려인삼연구, 고려인삼학회, 2007].
한편, 인삼 잎은 조사포닌 함량이 19.58%로 줄기(2.38%)나 뿌리(4.78%)에 비해서 다량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인삼 잎의 진세노사이드 함량도 10.84%로 줄기(0.64%) 및 뿌리(2.37%)에 비해 다량 함유되어 있다(Korean J. Ginseng Sci. 11(2). 118-112, 1987). 또한, 진세노사이드에는 다양한 형태의 성분이 존재하며, 각기 다른 효능을 나타내고 있어 연구의 주요 타깃이 되어 왔다.
그러나, 인삼 잎의 진세노사이드 분석에 대한 연구는 뿌리에 비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인삼 잎에 특정 균주를 접종 및 배양하여 유용 사포닌 성분 함량 증대와 같은 인삼 잎 발효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KR 10-2010-0043725 A KR 10-2010-0043723 A
Lee S et al., Bioconversion of Ginsenosides from Red Ginseng Extract Using Candida allociferrii JNO301 Isolated from Meju, Mycobiology, 2014;42(4):368-75 김금숙 등, 인삼의 진세노사이드 분석을 위한 추출 및 전처리법, J Medicinal Crop Sci 2008;16 (6):446-54 Sanada S et al., Studies on the saponins of ginseng, Structures of ginsenoside-Ro, -Rb1, -Rb2, -Rc and -Rd,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1974;22(2):421-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삼 잎을 대상으로 미생물을 이용한 진세노사이드의 당 제거 또는 전환은 물론 생물 활성이 높은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을 개선시킬 수 있는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의 제조 방법과 이로부터 수득되는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인삼 잎 현탁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인삼 잎 현탁액에, 기탁번호 기탁번호 KCTC 13945BP로 표시되는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S7 균주, 기탁번호 KCTC 13945BP로 표시되는 바실로스 속(Bacillus sp.) S9 균주 및 기탁번호 KCTC13946BP로 표시되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 S11 균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미생물 균주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인삼 잎 현탁액을 발효시키는 단계 및 (c) 그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삼 잎 현탁액은 (a-1) 인삼 잎을 건조시키는 단계; (a-2) 건조된 인삼 잎을 분말로 조제하는 단계; (a-3) 분말을 증류수에 넣고 가열하는 단계; 및 (a-4) 살균하는 단계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양은 25℃ 이상, pH 6.5~8.5의 조건에서 1일 이상 진탕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Rb2, Rd, Re, Rf, Rg1, Rg2, Rg3, Rh1, Rh2, 컴파운드 K, F1, F2, F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수득되는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액으로부터 상등액을 준비하는 단계, 그 상등액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단일 성분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진세노사이드 단일 성분은 Rb2, Rd, Re, Rf, Rg1, Rg2, Rg3, Rh1, Rh2, 컴파운드 K, F1, F2, F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단일 성분의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른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은 인삼 잎에 존재하는 사포닌 전구물질 등으로부터 컴파운드 K는 물론 F2, F1 및 Rd 등 생물 활성이 높은 진세노사이드의 전체 함량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물은 건강 기능 식품 및 의약품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재래시장에서 유통되는 식품으로부터 에스쿨린 한천법에 의한 1차 균주 선발 결과이다.
도 2는 선발 균주별 진세노사이드 당 분해 활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3는 Stenotrophomonas sp. S7 및 Bacillus sp. S9 혼합 균주가 온도에 따라 분리 배양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4는 선발 균주의 온도에 따른 배양 특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5 및 도 6은 선발 균주의 조합과 발효 조건에 따른 진세노사이드의 성분 분석 결과이다.
도 7은 선발 균주의 조합과 발효 조건에 따른 생장 정도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인삼 뿌리보다 사포닌 함량이 더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인삼 잎을 대상으로 하여, 이를 현탁액으로 조제하고, 여기에 신규 미생물 균주를 접종 및 배양함으로서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생리 활성이 우수한 당 제거 또는 전환된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다량으로 포함된 발효액을 수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인삼 잎 현탁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인삼 잎 현탁액에, 기탁번호 기탁번호 KCTC 13945BP로 표시되는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S7 균주, 기탁번호 KCTC 13945BP로 표시되는 바실로스 속(Bacillus sp.) S9 균주 및 기탁번호 KCTC13946BP로 표시되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 S11 균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미생물 균주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인삼 잎 현탁액을 발효시키는 단계 및 (c) 그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삼 잎은 인삼의 뿌리와 줄기가 제거된 "잎"만을 대상으로 한다. 인삼 잎 현탁액의 조제는 준비된 인삼 잎을 건조시키고, 이를 미세 분말화시킨 후, 증류수를 첨가하고, 이를 거품이 생길 정도로 가열하고, 이를 실온에 방치하여 식힌 후, 미생물 배지로 사용하기 위하여 고압멸균 방법으로 살균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인삼 잎 현탁액은 (1) 인삼 잎을 건조시키는 단계; (2) 건조된 인삼 잎을 분말로 조제하는 단계; (3) 분말을 증류수에 넣고 끓이는 단계; 및 (4) 살균하는 단계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인삼 잎 현탁액은 준비된 인삼 잎을 50~60℃, 바람직하게는 50~55℃, 가장 바람직하게는 50℃에서 3일 이상 완전히 건조시키고, 이를 미세한 분말상으로 조제한다. 여기에 증류수 100ml 당 미세 분말 1~5g, 바람직하게는, 1.5~3g, 가장 바람직하게는 2g을 현탁시키고, 거품이 생길 정도로 가열한 후, 실온에서 방냉한 후, 가압고온의 조건에서 살균하여 미생물 접종을 위한 인삼 잎 현탁액 배지를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신규 미생물 균주는 재래시장에서 유통되는 버섯류, 장류 및 젖갈류의 식품으로부터 5종이 분리("S7" 내지 "S11"로 명명됨)되었고(표 1), 이 중 활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로서 최종적으로 3종(S7, S9 및 S11)이 선별되었다.
구체적으로, 재래시장으로부터 구입된 버섯류, 장류 및 젖갈류의 식품 총 18종을 준비하여 이를 에스쿨린 한천법(Lee et al., 2014)을 사용하여 흑색을 보이는 콜로니를 β-glucosidase 활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진세노사이드의 당 변화 활성을 갖는 미생물을 1차 선별하였다(표 1 및 도 1).
이후, 1차 선별된 미생물 균주들을 대상으로 진세노사이드 당 전환 활성이 있는 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3종의 신규 미생물을 선별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제된 인삼 잎 현탁액 3ml이 들어있는 코니컬 튜브에 1차로 선발된 균주를 접종하여 30℃에서 5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실온에서 13,000rpm으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세포와 고분자 물질 등을 제거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등액 1ml를 진세노사이드의 성분별 함량 측정에 사용하였다. HPLC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 측정은 김금숙 등의 방법(김금숙, 현동윤, 김영옥, 이성우, 김영창, 이승은, 손영득, 2008)에 따라 분석하였다. 즉, 상기 상등액 1ml를 1ml 메탄올과 혼합한 다음, 고상추출기(SPE)를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를 부분 정제하였다. 이 부분 정제물을 HPLC로 분석하여 균주별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때, 사용한 기기는 Agilent 1100 series HPLC system(Agilent Technolgies, USA)이었다. 진세노사이드 표준품은 엠보연구소로부터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진세노사이드 당 전환 활성 분석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선발된 대부분의 균주가 두 유형의 진세노사이드 [Protopanaxadiol(PPD), Protopanaxatriol(PPT)]에 대해 높은 당 변환 활성을 보였고, 선발된 모든 균주가 다당 성분 Rb1, Rb2에 대해서도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최종적으로 균주 3종을 선발하였다(S7, S9 및 S11).
3종의 선발 균주를 동정하기 위하여,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최종 선별된 균주의 16S rRNA gene의 염기서열을 시퀀싱(sequencing)하여 NCBI 데이터베이스(database)와 그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유사성(similarity, %) 분석으로 동정 결과에 기반하여 명명하였다. 즉, "Stenotrophomonas sp. S7"(서열번호 1)은 Stenotrophomonas sp. PRGB08 16S ribosomal RNA gene, partial sequence (GenBank: EF195342.1)와 81% 유사성을 나타내었고, "Bacillus sp. S9"(서열번호 2)은 Bacillus sp. TS1223R 16S ribosomal RNA gene, partial sequence (GenBank: FJ449657.1)와, "Bacillus sp. S11"(서열번호 3)은 Bacillus velezensis strain MHNK1 16S ribosomal RNA gene, partial sequence(GenBank: KX863524.1)와 99% 유사성을 보였다. 이들 균주들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2019년 9월 16일자로 기탁하여 Stenotrophomonas sp. S7 및 Bacillus sp. S9 혼합 균주에 대해서는 기탁번호 KCTC 13945BP, Bacillus sp. S11에 대해서는 기탁번호 KCTC13946BP를 각각 부여받았다.
상기 선별된 신규 균주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인삼 잎 현탁액에 접종할 수 있다.
접종된 인삼 잎 현탁액은 배양 과정을 거치며, 상기 배양은 25~45℃, 바람직하게는 25~40℃, pH 6.5~8.5, 바람직하게는 pH 8.5의 조건에서 1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5일 내지 5주 동안 동안 진탕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인산 잎 현탁액에는 접종되는 균주의 생장을 촉진 또는 보조하기 위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탄소원, 질소원 및/또는 미량원소가 추가될 수 있다.
탄소원은 바람직하게는 단당류, 이당류 또는 다당류와 같은 당이다. 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리보오스, 소르보오스, 리불로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라피노오스, 전분, 전분 가수분해물 등이 사용할 수 있다. 당밀이나 당 정제 과정의 부산물 등 복합 화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대두유, 해바라기유 등 오일이나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 글리세롤 등이 탄소원으로서 유리할 수 있다. 이들 탄소원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상기 배지에 포함될 수 있으며, 단독으로 배지에 포함되든, 2종 이상의 혼합물로 배지에 포함되든 0.1%(w/w) 내지 20%(w/w)의 범위로 배지에 포함될 수 있다. 전분이나 전분 가수분해물 등 천연물 또는 천연물 가공물을 탄소원으로 사용할 경우 타 미생물에 의한 원치 않는 발효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들 탄소원을 멸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멸균은 고온·고압 멸균법, 자외선 조사 등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질소원으로서는 통상적으로 무기 질소 화합물, 유기 질소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복합 화합물일 수 있다. 예컨대 무기 질소 화합물로서는 암모니아, 암모늄염(예컨대, 암모늄 술페이트, 암모늄 클로라이드,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카르보네이트, 암모늄 니트레이트 등), 니트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유기 질소 화합물로서는 우레아,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으며, 복합 화합물로서는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소이톤(soytone), 펩톤(peptone), 트립톤(tryptone), 맥아 추출물(malt extract), 육즙, 콩 분말, 콩 비지 분말, 청국장 분말, 된장 분말 등의 천연 질소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질소원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배지에 0.1%(w/w) 내지 8.0%(w/w)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천연 질소원을 사용할 경우 천연 탄소원을 사용할 경우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한 이유에서 멸균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량원소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코발트, 몰리브덴, 칼륨, 망간, 아연, 구리, 철, 인, 황 등을 포함하며 이들 미량원소는 염 화합물 형태로 배지에 첨가될 수 있으며, 이들 미량 원소의 배지에서 용해도를 높이고 용액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킬레이트제 예컨대 카테콜, 시트르산 등이 함께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염 화합물 형태로서는 인산수소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염화철, 칼슘염, 망간염, 코발트염, 몰리브텐산염, 킬레이트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미량원소는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0.001%(w/w) 내지 3.0%(w/w)의 범위로 배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는 선택적으로 비오틴, 리보플라빈, 티아민, 폴산, 니코틴산, 판토테네이트, 피리독신 등의 성장 촉진제를 포함하여 조제될 수 있다.
기타 배지 조성의 최적화와 관련하여서는 문헌(Applied Microbiol. Physiology, A Practical Approach (Editors P.M. Rhodes, P.F. Stanbury, IRL Press (1997) pp. 53-73, ISBN 0 19 963577 3)을 포함하여 당업계에 많은 문헌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 공지된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발효액은 다양한 진세노사이드를 다량으로 함유하는데, 특히,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Rb2, Rd, Re, Rf, Rg1, Rg2, Rg3, Rh1, Rh2, 컴파운드 K, F1, F2, F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발효액은 상기 진세노사이드의 개별 성분의 분리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방법은 상기 발효액의 상등액을 얻는 단계, 그 상등액에서 상기 각 개별 성분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개별 성분의 분리 방법은 HPLC 방법 등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으로 수득되는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이나 이로부터 분리된 개별 진세노사이드 성분은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가지므로, 이를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화장품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화장품은 이들 진세노사이드 성분들이 가지는 항당뇨, 항고혈압, 항고지혈증, 심혈관질환 치료 또는 예방,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항비만, 원기회복,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등 당업계에 공지된 용도 또는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이 약학적 조성물로 제품화되어 이용될 경우 그 약학적 조성물은 그 발효액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투여 경로는 국소 경로, 경구 경로, 정맥 내 경로, 근육 내 경로, 및 점막 조직을 통한 직접 흡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일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경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두 가지 이상 경로의 조합의 예는 투여 경로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제형의 약물이 조합된 경우로서 예컨대 1차로 어느 한 약물은 정맥 내 경로로 투여하고 2차로 다른 약물은 국소 경로로 투여하는 경우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투여 경로나 제형에 따라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약전"을 포함한 각국의 약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에탄올, 그리세롤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적절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착색제, 희석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로서는 전분,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리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스,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글루코스, 옥수수 감미제, 소듐 알지네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윤활제로서는 올레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벤조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실리카, 탈쿰, 스테아르산, 그것의 마그네슘염과 칼슘염, 폴리데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붕해제로서는 전분, 메틸 셀룰로스, 아가(agar), 벤토나이트, 잔탄 검, 전분, 알긴산 또는 그것의 소듐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희석제로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소비톨, 셀룰로스, 글라이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할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수성 등장 용액 또는 현탁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담체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 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환자의 중증도, 투여 경로에 따라 1일 0.001mg/kg ~ 10g/kg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1mg/kg ~ 1g/kg 범위일 수 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제품화되어 이용될 경우 그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르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이거나, 한국 「식품위생법」의 식품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상 각 식품유형에 따른 과자류, 두류, 다류,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발효액 이외에 식품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는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섭취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식품의 제조·유통을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식품위생법」임)에 따른 식품첨가물공전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또는 기능 면에서 한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서는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화학적 합성품, 천연 첨가물 및 혼합 제제류로 구분되어 규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식품첨가물은 기능 면에 있어서는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된다.
감미제는 식품에 적당한 단맛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 모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으며,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 이외에, 기능성과 영양성을 보충, 보강할 목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고 식품첨가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 생리활성 물질이나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생리활성 물질로서는 녹차 등에 포함된 카테킨류,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B12 등의 비타민류, 토코페롤, 디벤조일티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미네랄류로서는 구연산 칼슘 등의 칼슘 제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 제제, 구연산철 등의 철 제제, 염화 크롬, 요오드칼륨, 셀레늄, 게르마늄, 바나듐,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이 제품 유형에 따라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식품첨가물과 관련하여서는 각국 식품공전이나 식품첨가물 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이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로 제품화되어 이용될 경우 그 화장품 조성물은 그 발효액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비타민, 색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는데,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그 발효액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를 기재한 것이며,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진세노사이드의 당 변화 활성을 가진 미생물 선발
재래시장에서 유통되는 식품(버섯류, 장류 및 젖갈류) 28개 제품(시료 번호 m1 내지 m28)으로부터 베타-글루코시데이즈(β-Glucosidase) 활성이 있는 제품 시료(m13, m14, m15, m21, m27, m28)를 1차 선발하고, 이로부터 S7 내지 S11의 5종의 균주를 선발하였다(표 1, 도 1). 선발 방법은 에스쿨린 한천법(Lee S, Lee YH et al. Mycobiology. 2014;42(4):368-75)을 이용하였다. 흑색(black complex)을 보이는 콜로니는 베타-글루코시데이즈 활성능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삭제
삭제
시료번호 제품류 제품 또는 상품명 제조사 분리 균주명
13 버섯류 양송이버섯 천연 채취 Stenotrophomonas sp. S7
14 버섯류 콩새송이 샘표 Ewingella sp. S8
15 콩발효식품 재래식 옛된장 청정원순창 Bacillus sp. S9
21 발효식품 엿질금 푸른들 Bacillus sp. S10
27 젓갈류 꽃미남 목포·신안산 새우젓 엄다식품 Bacillus sp. S11
28 청국장 자가제조 Enterococcus sp. S12
2. 선발 균주의 진세노사이드 당 변환 활성 검정
이렇게 선발된 5종의 균주들에 대해서 진세노사이드 당 변환 등의 활성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잎 현탁액(2%)을 배지로 하여 진탕배양(30℃, 200rpm)하였다. 배지로 사용된 잎 현탁액은 건조된 잎(50℃에서 3일 이상, 완전히 건조)의 미세분말 2g을 증류수 100ml에 넣어서 거품이 생길 정도로 끊인 다음 실온에 10분간 방치한 후, 121℃에서 10분간 가압고온 멸균한 다음 실온으로 식힌 것이다. 이 잎 현탁액 3ml이 들어있는 코니컬 튜브에 선발된 균주를 접종하여 30℃에서 5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실온에서 1,300rpm으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세포와 고분자 물질 등을 제거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등액 1ml를 진세노사이드의 성분별 함량 측정에 사용하였다. HPLC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 측정은 김금숙 등의 방법(김금숙 등, J Medicinal Crop Sci 2008;16(6):446-54)에 따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상등액 1ml을 1ml 메탄올과 혼합한 다음, 고상추출기(SPE)를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를 부분 정제하였다. 이 부분 정제물을 HPLC로 분석하여 균주별 진세노서이드 성분함량을 분석하였다. 이때, 사용한 기기는 Agilent 1100 series HPLC system(Agilent Technolgies, USA)이다. 진세노사이드 표준품은 앰보연구소(한국, 대전)로부터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진세노사이드의 성분별 함량 분석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따르면, Bacillus sp. S11 균주만이 C-K(ginsenocide compound K) 변환 활성을 보였고 F1(ginsenocide compound F1)은 Bacillus sp. S9 균주와 Bacillus sp. S11 균주 모두 높은 변환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최종 Bacillus sp. S9 균주와 Bacillus sp. S11 균주 그리고 Stenotrophomonas sp. S7 균주를 선발하였다.
3. 선발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한 동정 및 기탁
최종 선별된 균주의 16S rRNA gene의 염기서열을 시퀀싱(sequencing)하여 NCBI 데이터베이스(database)와 그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유사성(similarity, %) 분석으로 동정 결과에 기반하여 명명하였다. 즉, Stenotrophomonas sp. S7(서열번호 1)은 Stenotrophomonas sp. PRGB08 16S ribosomal RNA gene, partial sequence (GenBank: EF195342.1)와 81%, 그리고 Bacillus sp. S9(서열번호 2)은 Bacillus sp. TS1223R 16S ribosomal RNA gene, partial sequence (GenBank: KU587453.1)와 99%, Bacillus sp. S11(서열번호 3)은 Bacillus velezensis strain MHNK1 16S ribosomal RNA gene, partial sequence(GenBank: KX863524.1)와 염기서열이 99% 유사하였다. 이들 균주들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2019년 9월 16일자로 기탁하여 Stenotrophomonas sp. S7 및 Bacillus sp. S9 혼합 균주에 대해서는 기탁번호 KCTC 13945BP, Bacillus sp. S11에 대해서는 기탁번호 KCTC13946BP를 각각 부여받았다.
Stenotrophomonas sp. S7 및 Bacillus sp. S9 혼합 균주는 R2A 아가 배지(R2A agar) 혼합 균주를 15시간 배양하면,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25℃에서는 Stenotrophomonas sp. S7만이 배양되고, 35℃에서는 Bacillus sp. S9만이 배양되므로 필요시 각 균주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양 온도에 따른 혼합 균주의 분리는 아래의 도 4의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4. 선발 균주의 배양 온도에 따른 생장 특성
선발 균주들의 배양 온도에 따른 생장 특성을, R2A 아가 배지(R2A agar)에서 관찰하여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의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Bacillus sp. S9 균주는 적정 배양 온도가 35℃ 이상으로 나타났고, Stenotrophomonas sp. S7 균주와 Bacillus sp. S11 균주는 적정 배양 온도가 25℃ 내지 30℃로 나타났다.
5. 진세노사이드 발효용 배지 또는 사포닌 추출물 조제
인삼 잎 추출물을 발효 배지로 사용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인삼 잎을 건조하고 미세분말화 한 다음 2%가 되도록 멸균한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이 현탁액을 거품이 생길 정도로 가열한 다음 실온에 10분간 방치하였다. 이 용액을 의료용 거즈를 증류수로 세척 한 뒤 8겹으로 겹쳐서 걸렀다. 회수된 용액은 필요에 따라 1N NaOH로 산도를 조정하였다. 산도 측정은 pH meter(Metter Toledo Group, Switzerland)를 사용하었다. 이 추출물을 121℃로 10분간 멸균한 후 진세노사이드 등의 생물전환을 위한 미생물 발효 배지로 사용하였다.
6. 진세노사이드 활성 성분 최대화를 위한 균주 조합 및 발효 조건 탐색
LB 액체배지에 키운 선발 균주 배양액을, 상기에서 제조된 인삼 잎 배지 멸균액과 아래와 표와 같은 양으로 혼합하고 아래의 표의 배양 온도, pH 및 배양 기간 동안 진탕배양(200rpm)하여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의 분석은 배양액을 원심분리(1,300rpm에서 5분)한 뒤 상등액을 취한 다음 HPLC와 TLC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HPLC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 측정은 상기에서와 같이 김금숙 등의 방법(김금숙 등, J Medicinal Crop Sci 2008;16(6):446-54)에 따랐으며, TLC를 이용한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분석은 Sanada 등의 방법(Sanada S et al.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1974;22(2):421-8)에 따랐다. TLC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TLC Silica gel 60 RP-18 F254s(Merk, hx43662759)를 사용하였고 전개 용매는 클로로포름: 메탄올: 물=7:3:2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9118611215-pat00001
진세노사이드 성분 분석 결과를, PPD 계열의 진세노사이드와 PPT 계열의 진세노사이드로 구분하여 각각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PPD 및 PPT 진세노사이드 모두 전체적인 성분 함량은 pH8.5-3의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다. pH8.5-3의 경우 진세노사이드 F2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2.6배, F1은 2배, Rd는 2배 정도 높은 함량 증가를 보였고, 전체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대조군 함량 454ppm에서 619ppm으로 약 36% 증가하였다.
한편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의 경우는 Stenotrophomonas sp. S7 균주가 pH 6.5 조건(pH6.5_1 항목 참조)에서 배양될 때 생성되었고, Stenotrophomonas sp. S7 균주와 Bacillus sp. S9 균주의 혼합 배양시에는 (i) 30℃에서 2주간 진탕 배양(200rpm) 후 40℃에서 2주간 추가로 진탕 배양할 경우는 pH 조건을 불문하고 생성되었으며(pH6.5_2, pH7.5_2 및 pH8.5_2 항목 참조), (ii) 30℃에서 2주간 진탕 배양(200rpm) 후 40℃에서 1주간 추가로 진탕 배양할 경우 pH 7.3 조건에서 생성되었다(pH7.5_3 항목 참조).
한편 상기 표 2에서 A, B, C 및 D 라벨의 균주를 pH에 따른 균주 생장 정도를 흡광도(A600)를 측정하여 도 7에 나타내었다. pH 6.5에서 A 라벨의 균주(Stenotrophomonas sp. S7 균주), B 라벨의 균주(Stenotrophomonas sp. S7 균주와 Bacillus sp. S9 균주의 혼합 균주)가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110> Kyongsangbuk-do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on <120> FERMENTED BROTH COMPRISING GINSENOSIDE ORIGINATED THE LEAF OF GINSE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130> PP19-000-KBA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893 <212> DNA <213> Unknown <220> <223> Stenotrophomonas sp. S7 <400> 1 ccccatggtg gacacttaac gcgttagctt cgacactgag agcgtatggc accctccgtc 60 catttcccac cgttaagggc gggaacaacc agggtatcta acccggtttg ccccccaccc 120 tttcgtgcct cagtgtcatt gttggtccag gtatctgcct tccccatgga tgttcctcca 180 tatctctact catttgactg ctgcaccggg cagtccacta ccctctaact cactccatac 240 acccactatg aacgggcatt cccaggttga gcccgggact ttcacaccaa acttacaaaa 300 ccccctacgc ccgctttacc cccaatattt ccaagaaacc ctggaccccc tctaattacc 360 gggcctgcgg gccagaattt acccggggct aattctttgg gtacggtcaa aacaaccggg 420 tattagccaa tggcttttct ttcccatcaa aagggcttaa caacccaaaa gccttcttca 480 cccacgcggg ttggctggac caggcttgcc ccaatttccc aatattcccc atggctgcct 540 ccctgggaag tgtggaccgt gtctcatttc cggagtggct gatcatcctc ccaaaacatt 600 tacggatggt gacttggtgg gcctttaccc cgccaatgta gctaatccaa catcggatca 660 tctatatacg caaggcccaa aggtcccctg tttatgacgt aaggcggtat gcggttttcc 720 cgtaagtttc tgtcccttat ccccccgcgt acggggtaga ttccgatgta ttcctccagc 780 cgttccgccc ctcaccacgc aaaaaactac tctctgactg tgctcccact tgagtgtaat 840 gtgtccggcc gcaccccctc tgctcgcgtt gcctcaaaaa aaaaaaaaaa aaa 893 <210> 2 <211> 992 <212> DNA <213> Unknown <220> <223> Bacillus sp. S9 <400> 2 acgtcagtct cccaggcgga gtgcttatgc gttagctgca gcactaaggg gcggaaaccc 60 cctaacactt agcactcatc gtttacggcg tggactacca gggtatctaa tcctgttcgc 120 tccccacgct ttcgctcctc agcgtcagtt acagaccaga gagtcgcctt cgccactggt 180 gttcctccac atctctacgc atttcaccgc tacacgtgga attccactct cctcttctgc 240 actcaagttc cccagtttcc aatgaccctc cccggttgag ccgggggctt tcacatcaga 300 cttaagaaac cgcctgcgag ccctttacgc ccaataattc cggacaacgc ttgccaccta 360 cgtattaccg cggctgctgg cacgtagtta gccgtggctt tctggttagg taccgtcaag 420 gtaccgccct attcgaacgg tacttgttct tccctaacaa cagagcttta cgatccgaaa 480 accttcatca ctcacgcggc gttgctccgt cagactttcg tccattgcgg aagattccct 540 actgctgcct cccgtaggag tctgggccgt gtctcagtcc cagtgtggcc gatcaccctc 600 tcaggtcggc tacgcatcgt tgccttggtg agccgttacc tcaccaacta gctaatgcgc 660 cgcgggtcca tctgtaagtg gtagccgaag ccacctttta tgtttgaacc atgcggttca 720 aacaaccatc cggtattagc cccggtttcc cggagttatc ccagtcttac aggcaggtta 780 cccacgtgtt actcacccgt ccgccgctaa catcagggag caagctccca tctgtccgct 840 cgacttgcat gtattaggca cgccgccagc gttcgtcctg acgaggggaa aaacccctat 900 ataaaccccc cccccctctt tccccccttt ttttttttat tttaaaaatt aaagggatat 960 aacatttaac aaggttcttg ggattccact ga 992 <210> 3 <211> 981 <212> DNA <213> Unknown <220> <223> Bacillus sp. S11 <400> 3 acggagtctc ccatgcggag tgcttatgcg ttagctgcag cactaagggg cggaaacccc 60 ctaacactta gcactcatcg tttacggcgt ggactaccag ggtatctaat cctgttcgct 120 ccccacgctt tcgctcctca gcgtcagtta cagaccagag agtcgccttc gccactggtg 180 ttcctccaca tctctacgca tttcaccgct acacgtggaa ttccactctc ctcttctgca 240 ctcaagttcc ccagtttcca atgaccctcc ccggttgagc cgggggcttt cacatcagac 300 ttaagaaacc gcctgcgagc cctttacgcc caataattcc ggacaacgct tgccacctac 360 gtattaccgc ggctgctggc acgtagttag ccgtggcttt ctggttaggt accgtcaagg 420 taccgcccta ttcgaacggt acttgttctt ccctaacaac agagctttac gatccgaaaa 480 ccttcatcac tcacgcggcg ttgctccgtc agactttcgt ccattgcgga agattcccta 540 ctgctgcctc ccgtaggagt ctgggccgtg tctcagtccc agtgtggccg atcaccctct 600 caggtcggct acgcatcgtt gccttggtga gccgttacct caccaactag ctaatgcgcc 660 gcgggtccat ctgtaagtgg tagccgaagc caccttttat gtttgaacca tgcggttcaa 720 acaaccatcc ggtattagcc ccggtttccc ggagttatcc cagtcttaca ggcaggttac 780 ccacgtgtta ctcacccgtc cgccgctaac atcagggagc aagctcccat ctgtccgctc 840 gacttgcatg tattaggcac gccgccagcg ttcgtccgac gggggggaaa accatatata 900 aaaaaggggg ggtgtttggg gaaaaaaagg aatttaacga taatggcagc gaaaaaaatt 960 taaaaggggt tggagatttt t 981

Claims (8)

  1. (a) 인삼 잎 현탁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인삼 잎 현탁액에, (i) 기탁번호 KCTC 13945BP로 표시되는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S7 균주와 기탁번호 KCTC 13945BP로 표시되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 S9 균주의 혼합 균주, 또는 (ii) 기탁번호 KCTC 13945BP로 표시되는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S7 균주와 기탁번호 KCTC 13945BP로 표시되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 S9 균주 그리고 기탁번호 KCTC13946BP로 표시되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 S11 균주의 혼합 균주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인삼 잎 현탁액을 발효시키는 단계, 및
    (c)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잎 현탁액은 다음의 단계들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 인삼 잎을 건조시키는 단계;
    (2) 건조된 인삼 잎을 분말로 조제하는 단계;
    (3) 분말을 증류수에 넣고 끓이는 단계; 및
    (4) 살균하는 단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25℃ 이상, pH 6.5~8.5의 조건에서 1일 이상 진탕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25~40의 온도 범위, pH 6.5~8.5의 조건에서 2주 내지 4주 진탕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5. (a) 인삼 잎 현탁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인삼 잎 현탁액에, 기탁번호 KCTC 13945BP로 표시되는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S7 균주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인삼 잎 현탁액을 발효시키는 단계, 및
    (c)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함유하는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양은 pH 6.5 조건에서 30℃에서 2주, 그 다음 40℃에서 2주 진탕배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의 제조 방법.
  6. (a) 인삼 잎 현탁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인삼 잎 현탁액에, 기탁번호 KCTC 13945BP로 표시되는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S7 균주와 기탁번호 KCTC 13945BP로 표시되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 S9 균주의 혼합 균주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인삼 잎 현탁액을 발효시키는 단계, 및
    (c)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함유하는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양은 pH 6.5~8.5 조건에서 30℃에서 2주, 그 다음 40℃에서 2주 진탕배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의 제조 방법.
  7. (a) 인삼 잎 현탁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인삼 잎 현탁액에, 기탁번호 KCTC 13945BP로 표시되는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S7 균주와 기탁번호 KCTC 13945BP로 표시되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 S9 균주 그리고 기탁번호 KCTC13946BP로 표시되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 S11 균주의 혼합 균주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인삼 잎 현탁액을 발효시키는 단계, 및
    (c)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함유하는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양은 pH 7.5 조건에서 30℃에서 2주, 그 다음 40℃에서 1주 진탕배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의 제조 방법.

  8. 삭제
KR1020190148369A 2019-11-19 2019-11-19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KR102403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369A KR102403798B1 (ko) 2019-11-19 2019-11-19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369A KR102403798B1 (ko) 2019-11-19 2019-11-19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864A KR20210060864A (ko) 2021-05-27
KR102403798B1 true KR102403798B1 (ko) 2022-05-30

Family

ID=7613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369A KR102403798B1 (ko) 2019-11-19 2019-11-19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926A (ko) 2021-08-20 2023-02-28 제너럴바이오(주) 고함량 컴파운드 k 및 y가 함유된 면역 강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230027898A (ko) 2021-08-20 2023-02-28 제너럴바이오(주) 컴파운드 k 및 y가 함유된 면역 강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531825B1 (ko) * 2021-08-23 2023-05-16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인삼 열매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F2 또는 Rg3의 제조 방법
KR102582772B1 (ko) * 2022-09-14 2023-09-26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인삼 발효물의 제조 방법
KR102696728B1 (ko) * 2023-05-18 2024-08-20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효소 또는 산 처리 및 멸균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인삼 발효물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78B1 (ko) 2011-12-21 2014-07-16 한국식품연구원 미백효과가 있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6783B1 (ko) 2017-11-03 2019-09-30 대한민국 피부 미백용 인삼잎 발효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3723A (ko) 2008-10-21 2010-04-29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원적외선 처리를 통한 프로토페낙사디올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증가된 인삼 잎의 제조방법
KR20100043725A (ko) 2008-10-21 2010-04-29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증숙 처리를 통한 프로토페낙사디올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증가된 인삼 잎의 제조방법
KR20110122028A (ko) * 2010-05-03 2011-11-0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의 효소처리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 인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78B1 (ko) 2011-12-21 2014-07-16 한국식품연구원 미백효과가 있는 인삼 잎 추출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6783B1 (ko) 2017-11-03 2019-09-30 대한민국 피부 미백용 인삼잎 발효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ood Sci. Biotechnol., Vol. 20, pp. 1179-1186 (2011.)*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39, pp. 1194-1200 (2010.)*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Vol. 49, pp. 369-376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864A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3798B1 (ko) 인삼 잎 기원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0864B1 (ko) 펙티나아제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KR101423100B1 (ko) 진세노사이드 Rg3 및 Rb1의 함량을 증폭시키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KR101370386B1 (ko) 유익균을 이용한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KR100945587B1 (ko) 동충하초 균사체로 발효시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진세노사이드 대사체를 다량 함유하는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KR20170061959A (ko) 체내 흡수율이 증진된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흑홍삼 추출물 제조방법
KR101823585B1 (ko) 발효 인삼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919070B1 (ko) 사포닌을 함유하는 근채류 발효 활성을 갖는 균주를 이용한근채류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017594B1 (ko) 퀘르세틴 함량이 증가된 발효 양파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70120976A (ko) 인삼발효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인삼발효분말
KR20220099391A (ko) 락티카제이바실러스 파라카제이 kgs_l75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651082B1 (ko) 갈근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2531825B1 (ko) 인삼 열매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F2 또는 Rg3의 제조 방법
KR20030080997A (ko) 약효가 증강된 파낙스속 식물의 가공 추출물, 그 제조방법및 그를 함유하는 암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조성물
KR20200078171A (ko) 베타-글루코시다아제와 유산균주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K, Rd, Rg3 증진된 발효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418748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시알엔비-에이3을 이용한 발효인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1038B1 (ko) 알러지 및 탈모 개선용 산양삼 발효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582772B1 (ko)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인삼 발효물의 제조 방법
KR101482044B1 (ko) 하수오 및 생강 발효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76931B1 (ko) 신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thk-d433t 및 이를 이용한 사포닌의 저분자화 방법
KR102030902B1 (ko) 벚나무속 식물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975018B1 (ko) 인삼열매-목이버섯 균사체 혼합 배양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101418745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시알엔비-22를 이용한 발효인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0356B1 (ko)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홍삼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696728B1 (ko) 효소 또는 산 처리 및 멸균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인삼 발효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