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803A - 자동차의 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1803A
KR20130071803A KR1020110139234A KR20110139234A KR20130071803A KR 20130071803 A KR20130071803 A KR 20130071803A KR 1020110139234 A KR1020110139234 A KR 1020110139234A KR 20110139234 A KR20110139234 A KR 20110139234A KR 20130071803 A KR20130071803 A KR 20130071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pattern
rotation angle
degrees
step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민
박인흠
이현수
방명극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9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1803A/ko
Publication of KR20130071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95Screens rotating around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빛의 패턴변화의 응답속도가 빠른 자동차의 램프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는, 광원에서 생성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소정의 패턴으로 차단하는 컷 오프 패턴(cut off pattern)을 갖는 쉴드와, 상기 쉴드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더와, 상기 쉴드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이동되어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소정의 패턴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쉴드를 소정의 높이로 이동시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램프 장치{LAMP APPARATUS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변조건에 따라 빛의 패턴이 가변되는 자동차의 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에는 야간 주행시 앞을 환하게 비추어 운전자가 노면 및 장애물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램프가 구비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통상의 헤드램프는, 외부로 배광되는 빛이 노면을 향하도록 낮게 배광되는 로우빔모드와, 외부로 배광되는 빛이 높게 배광되는 하이빔모드로 작동된다.
상기 헤드램프는 주행차량 운전자에게는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선행차 및 대항차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면, 전방을 주행하는 차량이 없을 때에는 상기 헤드램프를 상기 하이빔모드로 하여 시인성을 확보하고, 전방을 주행하는 차량이 있을 때에는 상기 로우빔모드로 하여 선행차 및 대항차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도심지와 같이 밝은 지역에서는 상기 로우빔모드로 하여 선행차 및 대항차의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고, 어두운 지역에서는 상기 하이빔모드로 하여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최근에는, 카메라를 이용한 선행차 및 대항차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상기 선행차 및 대항차와의 거리 및 각도 정보를 획득하여, 헤드램프의 빔패턴이 자동으로 가변되는 어댑티브 헤드램프가 개발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선행차 및 대항차의 운전자에게는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빛의 패턴변화의 응답속도가 빠른 자동차의 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는, 광원에서 생성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소정의 패턴으로 차단하는 컷 오프 패턴(cut off pattern)을 갖는 쉴드와, 상기 쉴드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더와, 상기 쉴드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이동되어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소정의 패턴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쉴드를 소정의 높이로 이동시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 장치는, 빛의 패턴을 가변시키기 위해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를, 지지부재가 이동시켜 상기 쉴드의 높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상기 쉴드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주기 때문에, 빛의 패턴변화의 응답성이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쉴드가 각기 다른 컷 오프 패턴이 형성된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각기 다른 컷 오프 패턴을 통해 다양하게 빛의 패턴을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빛의 패턴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회전시키는 스텝모터의 회전 스트로크(stroke)가 짧기 때문에, 빛의 패턴변화의 응답성이 빨라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지지부재에 의해 복수의 쉴드 높이가 조절될 때, 기존의 빛의 패턴이 유지되면서 빛의 패턴이 변하기 때문에, 빛이 기존패턴에서 다음패턴으로 변하는 도중에 분절감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의 로우빔 모드일 때 작동도 및 빛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의 하이빔 모드일 때 작동도 및 빛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의 L형빔 모드일 때 작동도 및 빛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의 평평한 빔 모드일 때 작동도 및 빛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의 로우빔 모드일 때 작동도 및 빛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의 하이빔 모드일 때 작동도 및 빛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의 L형빔 모드일 때 작동도 및 빛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의 평평한 빔 모드일 때 작동도 및 빛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100)는, 하우징(10) 내에 배치되어 광원(미도시)에서 생성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20)와, 하우징(10) 내에 배치되어 리플렉터(20)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소정의 패턴으로 차단하는 쉴드(30)와, 쉴드(30)의 상하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쉴드(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45)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가이더(40)와, 쉴드(30)를 가이드홈(45)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이동시키고 쉴드(30)의 높이가 유지될 수 있도록 쉴드(30)를 직접 지지하는 지지부재(5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하우징(14)과, 후방하우징(14)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방하우징(12)을 포함한다. 후방하우징(14)은 내부에 오목한 형상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하우징(12)은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원형의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리플렉터(20)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후방하우징(14)의 오목한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광원은 LED 램프로 구비되어 후방하우징(1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방하우징(12)의 전단부에는 리플렉터(20)로부터 반사되는 빛이 자동차의 전방으로 배광될 수 있도록 빛이 투과되는 비구면 렌즈(60)가 렌즈홀더(65)를 통해 결합된다.
쉴드(10)는 리플렉터(20)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리플렉터(20)로부터 전방에 배치된다. 즉, 쉴드(30)는 리플렉터(20)로부터 렌즈(60)로 반사되는 상기 광원의 빛 중 일부를 차단하여서,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쉴드(30)의 상측면에는, 리플렉터(20)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소정의 패턴으로 차단하는 컷 오프 패턴(cut off pattern)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50)는 액츄에이터(75)와 연결된다. 액츄에이터(75)는 후술할 스텝모터(70)와 연결되어, 스텝모터(70)의 회전력에 의해 지지부재(50)를 회전시킨다. 즉, 지지부재(50)는 스텝모터(70)의 회전각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면서 쉴드(30)의 높이를 조절하며, 높이가 조절된 쉴드(30)를 지지하여 쉴드(30)의 높이를 유지시켜준다. 따라서, 쉴드(30)는 지지부재(50)에 의해 가이드홈(45)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이동되어서, 리플렉터(20)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상측에 형성된 상기 컷 오프 패턴을 통해 소정의 패턴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쉴드(30)가 가이더(40)에 형성된 가이드홈(45)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지지부재(50)가 쉴드(30)의 하측에서 쉴드(30)를 지지하면서 쉴드(3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스텝모터(70)의 회전각도에 따라 쉴드(30)가 빛의 패턴을 가변시키는 응답성이 빨라지게 된다.
쉴드(30)는 복수로 구비되어,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각의 쉴드(30)의 상측에 각기 다른 컷 오프 패턴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쉴드(30)는, 로우빔 컷 오프 패턴을 갖는 제1 쉴드(32)와, L형 컷 오프 패턴을 갖는 제2 쉴드(34)와, 평평한 컷 오프 패턴을 갖는 제3 쉴드(36)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쉴드(30)는 양측이 가이더(40)에 형성된 가이드홈(45)에 삽입되어 지지부재(50)에 의해 상하 이동되면서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시킨다.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의 로우빔 모드일 때 작동도 및 빛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의 하이빔 모드일 때 작동도 및 빛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의 L형빔 모드일 때 작동도 및 빛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의 평평한 빔 모드일 때 작동도 및 빛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재(50)에는 각각의 쉴드(3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쉴드(30)를 소정의 높이로 이동시켜 지지하는 복수의 캠부(52,54,56)가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재(50)는 회전되면서 회전각도에 따라 각각의 쉴드(30)를 소정의 높이로 이동시켜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캠부(52,54,56)는, 복수의 쉴드(30)가 리플렉터(20)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연속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50)의 회전방향을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쉴드(30)의 높이가 변하면서 빛의 패턴이 가변될 때, 기존 쉴드(30)의 높이가 유지되면서 변경코자 하는 쉴드(30)로 변경되기 때문에, 빛의 패턴이 가변되는 도중에 리플렉터(20)로부터 반사되는 빛이 차단되지 않음으로 인한 빛의 분절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캠부(52,54,56)는, 지지부재(50)의 회전방향을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 캠부(52), 제2 캠부(54) 및 제3 캠부(56)를 포함한다.
제1 캠부(52)는 지지부재(50)의 회전각도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쉴드(32)를 제3 쉴드(36)보다 높게 이동시켜서 지지하여 로우빔 패턴을 제공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쉴드(32)를 제3 쉴드(36)보다 낮게 이동시켜서 지지하여 하이빔 패턴을 제공한다.
제2 캠부(54)는 지지부재(50)의 회전각도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쉴드(34)를 제3 쉴드(36)보다 높게 이동시켜서 지지하여 L형빔 패턴을 제공한다.
제3 캠부(56)는 지지부재(50)의 회전각도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쉴드(36)를 가장 높게 이동시켜서 지지하여 평평한 빔 패턴을 제공한다.
지지부재(50)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1 쉴드(32), 제2 쉴드(34) 및 제3 쉴드(36)가 소정의 높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스텝모터(70)는 지지부재(5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다. 스텝모터(70)는 자동차에 배치되는 센서를 통해 센싱된 자동차 주변조건(예를 들면, 자동차 외부의 조도, 선행차와의 거리 및 각도, 대항차와의 거리 및 각도)에 따른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면서, 지지부재(5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제1 쉴드(52), 제2 쉴드(54) 및 제3 쉴드(56)를 소정의 높이로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차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을 가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텝모터(70)는 0 ~ 120도 구간 내에서 회전 또는 역회전되면서, 복수의 쉴드(3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50)를 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스텝모터(70)는 0 ~ 120도의 짧은 스트로크(stroke)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빛의 패턴변화의 응답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제1 캠부(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모터(70)의 회전각도가 0도일 때 제1 쉴드(32)를 제3 쉴드(36)보다 높게 이동시켜 지지하여,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이 로우빔 패턴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캠부(5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모터(70)의 회전각도가 39도일 때 제1 쉴드(32)를 제3 쉴드(36)보다 낮게 이동시켜 지지하여,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이 하이빔 패턴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제1 캠부(52)는 스텝모터(70)의 회전각도가 0도에서 39도로 회전될 때 제1 쉴드(32)의 높이를 점차적으로 낮게 이동시킨다.
제2 캠부(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모터(70)의 회전각도가 78도일 때 제2 쉴드(34)를 제3 쉴드(36)보다 높게 이동시켜 지지하여,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이 L형빔 패턴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제2 캠부(54)는 스텝모터(70)의 회전각도가 39도에서 78도로 회전될 때 제2 쉴드(34)를 점차적으로 높게 이동시킨다.
제3 캠부(5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모터(70)의 회전각도가 120도 일 때 제3 쉴드(36)를 가장 높게 이동시켜 지지하여,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이 평평한 빔 패턴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제3 캠부(56)는 스텝모터(70)의 회전각도가 78도에서 120도로 회전될 때 제3 쉴드(36)를 점차적으로 높게 이동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의 로우빔 모드일 때 작동도 및 빛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의 하이빔 모드일 때 작동도 및 빛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의 L형빔 모드일 때 작동도 및 빛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의 평평한 빔 모드일 때 작동도 및 빛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램프 장치(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쉴드(30)가 양측이 가이더(40)에 형성된 가이드홈(45)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안내되었으나, 본 제2 실시예에서 복수의 쉴드(30)는 일측만이 가이더(40)에 형성된 가이드홈(45)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안내되고, 타측은 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복수의 쉴드(30)의 타측은 힌지핀(80)을 통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후방하우징(14)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빛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쉴드(30)가 제1 쉴드(32), 제2 쉴드(34) 및 제3 쉴드(36)를 포함하였으나,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리플렉터(20)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하이빔 컷 오프 패턴을 갖는 하이빔 쉴드(35)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하이빔 쉴드(35)는 가이더(40)에 형성된 가이드홈(45)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쉴드(32), 제2 쉴드(34) 및 제3 쉴드(36)가 지지부재(50)에 의해 이동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것인데 반해, 하이빔 쉴드(35)는 높이가 고정되어 가이더(40)에 배치된다.
또한, 지지부재(50)에 형성되는 복수의 캠부(52,54,56)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개수인 제1 캠부(52), 제2 캠부(54), 제3 캠부(56)로 형성되기는 하나, 지지부재(50)의 회전각도에 따라 구간이 다르게 형성되어, 각각 제1 쉴드(32), 제2 쉴드(34) 및 제3 쉴드(36)의 높이를 조절한다.
즉, 제1 캠부(52)는 지지부재(50)의 회전각도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쉴드(32)를 하이빔 쉴드(35)보다 높게 이동시켜서 지지하여 로우빔 패턴을 제공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쉴드(32)를 하이빔 쉴드(35)보다 낮게 이동시켜서 지지하여 하이빔 패턴을 제공한다.
제2 캠부(54)는 지지부재(50)의 회전각도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쉴드(34)를 하이빔 쉴드(35)보다 높게 이동시켜서 지지하여 L형빔 패턴을 제공한다.
제3 캠부(56)는 지지부재(50)의 회전각도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쉴드(36)를 가장 높게 이동시켜서 지지하여 평평한 빔 패턴을 제공한다.
또한, 스텝모터(70)는 지지부재(50)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1 쉴드(32), 제2 쉴드(34) 및 제3 쉴드(36)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0 ~ 135도 구간 내에서 회전 또는 역회전되면서 지지부재(5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제1 캠부(5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모터(70)의 회전각도가 0도일 때 제1 쉴드(32)를 하이빔 쉴드(35)보다 높게 이동시켜 지지하여,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이 로우빔 패턴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캠부(5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모터(70)의 회전각도가 45도일 때 제1 쉴드(32)를 하이빔 쉴드(35)보다 낮게 이동시켜 지지하여,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이 하이빔 패턴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제1 캠부(52)는 스텝모터(70)의 회전각도가 0도에서 45도로 회전될 때 제1 쉴드(32)의 높이를 점차적으로 낮게 이동시킨다.
제2 캠부(5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모터(70)의 회전각도가 90도일 때 제2 쉴드(34)를 하이빔 쉴드(35)보다 높게 이동시켜 지지하여,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이 L형빔 패턴으로 형성되록 한다. 즉, 제2 캠부(54)는 스텝모터(70)의 회전각도가 45도에서 90도로 회전될 때 제2 쉴드(34)를 점차적으로 높게 이동시킨다.
제3 캠부(56)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모터(70)의 회전각도가 135도 일 때 제3 쉴드(36)를 가장 높게 이동시켜 지지하여,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이 평평한 빔 패턴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제3 캠부(56)는 스텝모터(70)의 회전각도가 90도에서 135도로 회전될 때 제3 쉴드(36)를 점차적으로 높게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 장치는, 빛의 패턴을 가변시키기 위해 리플렉터(20)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30)를, 지지부재(50)가 이동시켜 쉴드(50)의 높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쉴드(50)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주기 때문에, 빛의 패턴변화의 응답성이 빨라진다.
또한, 쉴드(50)가 각기 다른 컷 오프 패턴이 형성된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각기 다른 컷 오프 패턴을 통해 다양하게 빛의 패턴을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빛의 패턴이 가변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50)를 회전시키는 스텝모터(70)의 회전 스트로크(stroke)가 짧기 때문에, 빛의 패턴변화의 응답성이 빨라진다.
또한, 지지부재(50)에 의해 복수의 쉴드(30) 높이가 조절될 때, 기존의 빛의 패턴이 유지되면서 빛의 패턴이 변하기 때문에, 빛이 기존패턴에서 다음패턴으로 변하는 도중에 분절감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20: 리플렉터
30: 쉴드 32: 제1 쉴드
34: 제2 쉴드 35: 하이빔 쉴드
36: 제3 쉴드 40: 가이더
45: 가이드홈 50: 지지부재
52: 제1 캠부 54: 제2 캠부
56: 제3 캠부 70: 스텝모터

Claims (13)

  1. 광원에서 생성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소정의 패턴으로 차단하는 컷 오프 패턴(cut off pattern)을 갖는 쉴드;
    상기 쉴드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더; 및
    상기 쉴드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이동되어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소정의 패턴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쉴드를 소정의 높이로 이동시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쉴드는 각기 다른 컷 오프 패턴을 갖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회전되면서 회전각도에 따라 각각의 상기 쉴드를 소정의 높이로 이동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상기 쉴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상기 쉴드를 이동시켜 지지하는 복수의 캠부가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자동차의 램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캠부는, 상기 복수의 쉴드가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연속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램프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쉴드는 양측이 상기 가이더에 삽입되는 자동차의 램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쉴드는, 로우빔 컷 오프 패턴을 갖는 제1 쉴드와, L형 컷 오프 패턴을 갖는 제2 쉴드와, 평평한 컷 오프 패턴을 갖는 제3 쉴드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캠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 쉴드를 상기 제3 쉴드보다 높게 이동시켜서 지지하여 로우빔 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쉴드를 상기 제3 쉴드보다 낮게 이동시켜서 지지하여 하이빔 패턴을 제공하는 제1 캠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2 쉴드를 상기 제3 쉴드보다 높게 이동시켜서 지지하여 L형빔 패턴을 제공하는 제2 캠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3 쉴드를 가장 높게 이동시켜서 지지하여 평평한 빔 패턴을 제공하는 제3 캠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 쉴드, 제2 쉴드 및 제3 쉴드가 소정의 높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스텝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텝모터는 0 ~ 120도 구간 내에서 회전되는 자동차의 램프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는,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각도가 0도일 때 상기 제1 쉴드를 상기 제3 쉴드보다 높게 이동시켜 지지하고,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각도가 39도일 때 상기 제1 쉴드를 상기 제3 쉴드보다 낮게 이동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각도가 0도에서 39도로 회전될 때 상기 제1 쉴드의 높이를 점차적으로 낮게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캠부는,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각도가 78도일 때 상기 제2 쉴드를 상기 제3 쉴드보다 높게 이동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각도가 39도에서 78도로 회전될 때 상기 제2 쉴드를 점차적으로 높게 이동시키며,
    상기 제3 캠부는,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각도가 120도 일 때 상기 제3 쉴드를 가장 높게 이동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각도가 78도에서 120도로 회전될 때 상기 제3 쉴드를 점차적으로 높게 이동시키는 자동차의 램프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쉴드는, 일측이 상기 가이더에 삽입되고, 타측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동차의 램프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하이빔 컷 오프 패턴을 갖는 하이빔 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쉴드는, 로우빔 컷 오프 패턴을 갖는 제1 쉴드와, L형 컷 오프 패턴을 갖는 제2 쉴드와, 평평한 컷 오프 패턴을 갖는 제3 쉴드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캠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 쉴드를 상기 하이빔 쉴드보다 높게 이동시켜서 지지하여 로우빔 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쉴드를 상기 하이빔 쉴드보다 낮게 이동시켜서 지지하여 하이빔 패턴을 제공하는 제1 캠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2 쉴드를 상기 하이빔 쉴드보다 높게 이동시켜서 지지하여 L형빔 패턴을 제공하는 제2 캠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3 쉴드를 가장 높게 이동시켜서 지지하여 평평한 빔 패턴을 제공하는 제3 캠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 쉴드, 제2 쉴드 및 제3 쉴드가 소정의 높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스텝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텝모터는 0 ~ 135도 구간 내에서 회전되는 자동차의 램프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는,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각도가 0도일 때 상기 제1 쉴드를 상기 하이빔 쉴드보다 높게 이동시켜 지지하고,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각도가 45도일 때 상기 제1 쉴드를 상기 하이빔 쉴드보다 낮게 이동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각도가 0도에서 45도로 회전될 때 상기 제1 쉴드의 높이를 점차적으로 낮게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캠부는,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각도가 90도일 때 상기 제2 쉴드를 상기 하이빔 쉴드보다 높게 이동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각도가 45도에서 90도로 회전될 때 상기 제2 쉴드를 점차적으로 높게 이동시키며,
    상기 제3 캠부는,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각도가 135도 일 때 상기 제3 쉴드를 가장 높게 이동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각도가 90도에서 135도로 회전될 때 상기 제3 쉴드를 점차적으로 높게 이동시키는 자동차의 램프 장치.
KR1020110139234A 2011-12-21 2011-12-21 자동차의 램프 장치 KR20130071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234A KR20130071803A (ko) 2011-12-21 2011-12-21 자동차의 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234A KR20130071803A (ko) 2011-12-21 2011-12-21 자동차의 램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803A true KR20130071803A (ko) 2013-07-01

Family

ID=4898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234A KR20130071803A (ko) 2011-12-21 2011-12-21 자동차의 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18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4657A (ko) * 2016-02-11 2017-08-21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US9945531B2 (en) 2016-01-08 2018-04-17 Hyundai Motor Company Shield driving device for headlamp
WO2023187009A1 (fr) * 2022-03-29 2023-10-05 Valeo Vision Module lumineux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eglage de l'orientation d'un faisceau lumineux a coup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5531B2 (en) 2016-01-08 2018-04-17 Hyundai Motor Company Shield driving device for headlamp
KR20170094657A (ko) * 2016-02-11 2017-08-21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WO2023187009A1 (fr) * 2022-03-29 2023-10-05 Valeo Vision Module lumineux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eglage de l'orientation d'un faisceau lumineux a coupure
FR3134167A1 (fr) * 2022-03-29 2023-10-06 Valeo Vision Belgique Module lumineux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églage de l’orientation d’un faisceau lumineux à coup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0098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KR101239454B1 (ko) 차량용 전조등 장치
KR101947870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US7901121B2 (en) Vehicular lamp system
JP2010000957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5769450B2 (ja) 車両用前照灯の配光制御装置
JP5546326B2 (ja) 制御装置、車両用灯具システム、車両用灯具
JP5172732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2009231020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4061233B2 (ja) 車両用前照灯
CN102951064A (zh) 车辆用前照灯装置及配光控制方法
JP5454526B2 (ja) 車両配光制御装置及び方法
JP2010040459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EP2399776A2 (en) Vehicle headlamp system, control device, and vehicle headlamp
JP2012162105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EP2246614A2 (en) Vehicle headlamp apparatus
KR20130071803A (ko) 자동차의 램프 장치
JP5470157B2 (ja) 車両用灯具システム、制御装置、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用灯具の制御方法
EP2384933B1 (en) Vehicle headlamp system, control device and vehicle headlamp
JP2010015837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5634406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2010146984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2014015170A (ja) 制御装置、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JP5478962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2007214074A (ja) 車両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