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695A -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695A
KR20130070695A KR1020110137834A KR20110137834A KR20130070695A KR 20130070695 A KR20130070695 A KR 20130070695A KR 1020110137834 A KR1020110137834 A KR 1020110137834A KR 20110137834 A KR20110137834 A KR 20110137834A KR 20130070695 A KR20130070695 A KR 20130070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ng body
steering wheel
rim
vibrat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신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신소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신소재
Priority to KR1020110137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0695A/ko
Publication of KR20130070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0Path keeping
    • B60Y2300/12Lane kee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는 차량용 차선이탈을 경고하는 진동체를 스티어링휠의 림에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스티어링휠의 림 상에 진동체설치홈과 전선설치홈이 형성되고,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체가 상기 진동체설치홈에 배치됨과 아울러 진동체의 전선이 전선설치홈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체를 감싸는 진동체박스가 상기 진동체에 밀착되어 상기 진동체설치홈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진동체박스의 상부면이 스티어링휠의 림의 표면과 일치되고, 상기 진동체와 진동체박스가 상기 진동체설치홈에 배치됨과 아울러 진동체의 전선이 전선설치홈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티어링휠의 림을 감싸는 히티드패드와 스티어링휠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체가 상기 스티어링휠의 림의 3시, 6시, 9시 12시 방향에 각각 설치되며, 또한 상기 진동체는 전기적인 신호를 진동으로 전환하는 요크임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휠의 림에 확보된 진동체설치홈과 전선설치홈에 진동체와 전선을 배치하기 때문에, 차량용 스티어링휠에 진동체를 용이하게 설치할 뿐만 아니라 진동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진동체를 진동체박스로 감싸서 스티어링휠의 림에 설치하기 때문에 전기가 열선에 인가되었을 때 열선 주위에 발생되는 전기장으로 인하여 진동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열선과 진동체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체박스가 열선의 자기장이 진동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여 진동체인 요크가 진동을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INSTALLING STRUCTURE OF VIBRATOR FOR WARNING APPARATUS OF TRAFFIC LANE ESCAPE}
본 발명은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스티어링휠에 진동체를 용이하게 설치할 뿐만 아니라 진동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상에서 졸음 운전이나 잡담 등으로 인하여 차선을 이탈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차량의 차선 이탈을 예방하기 위한 차선이탈 경보장치가 있다.
상기 차선이탈 경보장치는 차량의 전방 상부 룸미러에 설치되어 주행도로의 전방 영상을 검출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CCD카메라와, CCD카메라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주행도로의 차선을 검출하며 검출된 차선영상으로부터 운행차량이 주행도로를 이탈하였는가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운전자에게 차선이탈 상태를 경고하는 경고부로 이루어져 차량운행중 운행차량이 주행도로의 차선을 이탈할 경우 경고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그래서 종래의 차량이탈 방지장치의 경고부는 차량의 스티어링휠을 진동시켜서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 이탈을 진동으로 인식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었는 바, 이는 차량의 스티어링휠의 림과 허브 사이의 스포크에 진동체를 설치하게 하여 차량이 차선을 벗어날 경우에 진동체가 진동을 발생하여 운전자가 잡고 있는 스티어링휠 전체를 진동시켜서 운전자에게 차선 이탈을 경고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진동체는 모터의 축에 편심회전체를 설치하여 편심회전체가 회전되면서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진동체가 스티어링휠의 스포크에 설치되기 때문에, 어떠한 방향으로 차선이 이탈되었는지를 운전자에게 육감적으로 전달하지 못하여 운전자가 차선 이탈을 인식하더라도 차선의 이탈 방향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의 손와 진동체 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진동체가 진동하더라도 스티어링휠 자체에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차선 이탈을 원활하게 경보하기가 미흡하며, 종래의 진동체가 모터의 축에 편심회전체를 설치한 구조이므로 작은 전압으로 진동을 발생하기가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스티어링휠의 림에 진동체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차량용 스티어링휠에 진동체를 용이하게 설치할 뿐만 아니라 진동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진동체를 진동체박스로 감싸서 스티어링휠의 림에 설치함으로써 열선과 진동체 사이의 진동체박스로 인하여 진동체가 열선의 자기장에 악영향을 받지않도록 하는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차선이탈을 경고하는 진동체를 스티어링휠의 림에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스티어링휠의 림 상에 진동체설치홈과 전선설치홈이 형성되고,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체가 상기 진동체설치홈에 배치됨과 아울러 진동체의 전선이 전선설치홈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체를 감싸는 진동체박스가 상기 진동체에 밀착되어 상기 진동체설치홈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진동체박스의 상부면이 스티어링휠의 림의 표면과 일치되고, 상기 진동체와 진동체박스가 상기 진동체설치홈에 배치됨과 아울러 진동체의 전선이 전선설치홈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티어링휠의 림을 감싸는 히티드패드와 스티어링휠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체가 상기 스티어링휠의 림의 3시, 6시, 9시 12시 방향에 각각 설치되며, 또한 상기 진동체는 전기적인 신호를 진동으로 전환하는 요크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는 차량의 스티어링휠의 림에 확보된 진동체설치홈과 전선설치홈에 진동체와 전선을 배치하기 때문에, 차량용 스티어링휠에 진동체를 용이하게 설치할 뿐만 아니라 진동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진동체를 진동체박스로 감싸서 스티어링휠의 림에 설치하기 때문에 전기가 열선에 인가되었을 때 열선 주위에 발생되는 전기장으로 인하여 진동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열선과 진동체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체박스가 열선의 자기장이 진동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여 진동체인 요크가 진동을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에 적용되는 진동체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설치구조는 차량용 차선이탈을 경고하는 진동체(1)를 스티어링휠의 림(2)에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휠의 림(2) 상에 진동체설치홈(2a)과 전선설치홈(2b)이 형성되고,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체(1)가 상기 림(2)의 진동체설치홈(2a)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진동체(1)의 전선(1a)이 전선설치홈(2b)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체(1)를 감싸는 진동체박스(3)가 상기 진동체(1)에 밀착되어 상기 림(2)의 진동체설치홈(2a)에 삽입 배치될 수 있어, 상기 진동체(1)와 함께 상기 진동체박스(3)이 상기 림(2)의 진동체설치홈(2a)에 배치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진동체(1)와 진동체박스(3)을 상기 림(2)에 배치한 뒤, 스티어링휠커버(4)를 설치할 수 있으나, 스티어링휠의 림(2)에 발열 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림(2)과 스티어링휠커버(4) 사이에 히티드패드(5)를 내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체박스(3)의 상부면이 스티어링휠의 림(2)의 표면과 일치되고, 상기 진동체(1)와 진동체박스(3)가 상기 림(2)의 진동체설치홈(2a)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진동체(1)의 전선(1a)이 상기 림(2)의 전선설치홈(2b)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티어링휠의 림(2)을 감싸는 히티드패드(5)와 스티어링휠커버(4)가 차례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운전자에게 차선 이탈 방향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상기 진동체(1)가 상기 스티어링휠의 림(2)의 3시, 6시, 9시 12시 방향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차선 이탈을 판단하는 제어기(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다수의 진동체(1)가 각각 제어됨은 자명한 것이다.
더우기 낮은 전압과 전류에도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체(1)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동체(1)는 전기적인 신호를 진동으로 전환하는 요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는 차선 이탈을 판단하는 종래의 제어기(미도시)가 차선 이탈을 판단하여 전기를 진동체(1)에 인가하면 상기 진동체(1)가 진동하게 된다.
그러면 운전자는 진동체(1)의 진동에 의해 차선 이탈을 인식하여 신속하게 차량의 진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스티어링휠의 림(2)에 설치되는 히티드패드(5)에 전기를 인가한 상태에서는 진동체박스(3)로 인하여 히티드패드(5)의 열선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이 진동체(1)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아 진동체(1)가 원활하게 진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체(1)가 스티어링휠의 림(2)에 설치되어 있어 운전자의 손에 원활하게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체(1)가 상기 스티어링휠의 림(2)의 3시, 6시, 9시 12시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차선의 이탈 방향에 따라 4 곳의 진동체(1)의 진동 위치 및 진동 크기로 운전자에게 차선 이탈 방향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어 운전자가 신속하게 차량의 진행 방향을 수정할 수 있다.
1 : 진동체 1a : 전선
2 : 림 2a : 진동체설치홈
2b : 전선설치홈 3 : 진동체박스
4 : 스티어링휠커버 5 : 히티드패드

Claims (3)

  1. 차량용 차선이탈을 경고하는 진동체를 스티어링휠의 림에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스티어링휠의 림 상에 진동체설치홈과 전선설치홈이 형성되고,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체가 상기 진동체설치홈에 배치됨과 아울러 진동체의 전선이 전선설치홈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체를 감싸는 진동체박스가 상기 진동체에 밀착되어 상기 진동체설치홈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박스의 상부면이 스티어링휠의 림의 표면과 일치되고, 상기 진동체와 진동체박스가 상기 진동체설치홈에 배치됨과 아울러 진동체의 전선이 전선설치홈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티어링휠의 림을 감싸는 히티드패드와 스티어링휠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체가 상기 스티어링휠의 림의 3시, 6시, 9시 12시 방향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
  3. 제1항과 제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는 전기적인 신호를 진동을 전환하는 요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
KR1020110137834A 2011-12-20 2011-12-20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 KR20130070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834A KR20130070695A (ko) 2011-12-20 2011-12-20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834A KR20130070695A (ko) 2011-12-20 2011-12-20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695A true KR20130070695A (ko) 2013-06-28

Family

ID=4886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834A KR20130070695A (ko) 2011-12-20 2011-12-20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06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672B1 (ko) 2019-08-21 2019-10-25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다양한 전장부품의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스티어링 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672B1 (ko) 2019-08-21 2019-10-25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다양한 전장부품의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스티어링 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101872A (ja) 車両周辺監視装置
US11848665B2 (en) Motorcycle with haptic braking hazard alert
JP2011042348A (ja) 疑似エンジン音発生装置
JP5277978B2 (ja) 運転支援装置
JP2019093848A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JP2010260439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JP5440139B2 (ja) 走行音発生装置
CN207311578U (zh) 方向盘和具有该方向盘的车辆
CN205168612U (zh) 一种带有智能提醒功能的方向盘装置
KR101316297B1 (ko)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KR20180033388A (ko) 어쿠스틱 햅틱 기반 능동경고 및 편의서비스용 차세대 시트 인터페이스 시스템
JP2009096245A (ja) 車両用の操作ペダル
KR101244175B1 (ko) 프리 세이프 진동 스티어링 휠 제어 시스템
JP2000168468A (ja) 車両用の情報伝達装置
KR20130070695A (ko) 차량용 차선이탈 경고용 스티어링휠의 진동체의 설치구조
JP2012201316A (ja) 車両接近警告装置
JP6863914B2 (ja) 通信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1487055B1 (ko) 감성 품질을 향상시킨 진동 스티어링 휠
JP2014069625A (ja) 運転者用情報伝達装置
CN106080378B (zh) 基于立体声技术的车用警示系统及警示方法
JP2012088965A (ja) 警報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車載装置
JP2008040621A (ja) 車載用報知装置
KR101763412B1 (ko) 자전거 안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단말기
JP5093603B2 (ja) 危険状況報知装置
JP2020160942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