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9468A -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 Google Patents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9468A
KR20130069468A KR1020120145856A KR20120145856A KR20130069468A KR 20130069468 A KR20130069468 A KR 20130069468A KR 1020120145856 A KR1020120145856 A KR 1020120145856A KR 20120145856 A KR20120145856 A KR 20120145856A KR 20130069468 A KR20130069468 A KR 20130069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assembly
battery module
cell
assembly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0090B1 (ko
Inventor
이범현
최지영
강달모
성준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30069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2Connection only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하나 이상의 전지셀들로 구성된 셀 유닛들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 (b) 상기 전지모듈들을 측면으로 직립시킨 상태로 상부 및 하부를 감싸고 있는 한 쌍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c) 상기 전지모듈들의 전면에서 전지모듈들을 전기적 병렬 연결하기 위한 버스 바 어셈블리; 및 (d)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위치 고정 내지 장착을 위해 상부 케이스의 전면 및/또는 하부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Battery Module Assembly of Improved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하나 이상의 전지셀들로 구성된 셀 유닛들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 (b) 상기 전지모듈들을 측면으로 직립시킨 상태로 상부 및 하부를 감싸고 있는 한 쌍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c) 상기 전지모듈들의 전면에서 전지모듈들을 전기적 병렬 연결하기 위한 버스 바 어셈블리; 및 (d)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위치 고정 내지 장착을 위해 상부 케이스의 전면 및/또는 하부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팩이 사용된다.
중대형 전지팩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팩의 전지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용이하다는 등의 잇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또한, 중대형 전지팩이 소정의 장치 내지 디바이스에서 요구되는 출력 및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직렬 방식 또는 직렬 및 병렬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야 하고 외력에 대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전지셀들을 병렬 방식으로 연결할 경우, 상기 전지셀의 각각의 전극단자들은 용접점이 1개인 1:1 용접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3개 이상의 전지셀들이 적층된 상태로 병렬 연결을 이룰 경우, 3개 이상의 전극단자들 간의 연결이 필요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부위의 용접시 내부저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종래의 전지팩은 동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지모듈들을 받침판(base plate)에 고정하고, 적정 개수의 전지모듈들에 대해 종판(end plate), 지지보(support bar) 등의 부재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전지팩은 전지모듈들을 장착하는 데 있어서 공간 제약을 많이 가지고 있고, 많은 개수의 전지모듈들이 함께 구성되는 경우 전체적인 전지팩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지팩의 경우, 동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지모듈들을 받침판에 볼트나 너트로 고정하여 상하 방향의 이동을 방지하고, 종판과 지지보를 통해 길이 방향을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전지팩은 다수의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전지모듈들을 받침판에 장착하므로, 조립공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부재를 대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공간상의 제약 및 상기 체결부재들의 중량적인 제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셀 유닛들의 병렬 연결을 2개의 단위로 용접이 가능한 버스 바를 제공함으로써, 용접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내부저항을 최소화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지모듈들을 고정하기 위한 신규한 체결구조에 의해, 조립 공정을 간소화하고, 전체적으로 콤팩트하면서 가벼운 중량의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a) 하나 이상의 전지셀들로 구성된 셀 유닛들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
(b) 상기 전지모듈들을 측면으로 직립시킨 상태로 상부 및 하부를 감싸고 있는 한 쌍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c) 상기 전지모듈들의 전면에서 전지모듈들을 전기적 병렬 연결하기 위한 버스 바 어셈블리; 및
(d)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위치 고정 내지 장착을 위해 상부 케이스의 전면 및/또는 하부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최소한의 부재들을 사용하여 전지모듈들을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내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지팩의 공간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전지팩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랙과 같은 선반 구조로 조립하여 전지팩을 구성할 경우, 고정 및 장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체결구는 내주면에 체결용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체결구에 볼트 등의 부재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랙과 같은 구조의 전지팩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위치 고정 내지 장착을 위한 봉상 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만입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후면 및/또는 하부 케이스의 후면에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봉상 부재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내면 형상으로 만입된 구조를 가진 만입부가, 전지모듈의 배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상부 케이스의 후면 및/또는 하부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봉상 부재를 만입부에 장착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전지모듈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전지모듈은 바람직하게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로 구성된 셀 유닛들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셀 유닛은 짝수 개의 전지셀들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전지모듈의 용량을 고려하여 병렬 연결을 포함하는 경우, 다수의 전극단자들 상호 간 또는 전극단자와 버스 바 간의 용접시, 동일한 부위에 동시에 용접이 행해지므로, 용접 부위에서 내부저항의 증가가 불가피하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상기 셀 유닛의 전지셀들을 2개 단위로 구분하여 병렬 연결함으로써, 용접 부위의 용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짝수 개로 병렬 구성이 확장이 용이하다.
상기 셀 유닛의 전극단자들은 버스 바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2개 이상의 짝수 단위로 형성되는 셀 유닛에 의해 용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버스 바 어셈블리는,
(a) 전기절연성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전지모듈들의 전면에 장착되며, 하기 한 쌍의 본체부들을 포함하는 커버 플레이트; 및
(b) 커버 플레이트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평명상으로 'ㄴ'자 형상의 일측에 외부 입출력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둘 이상의 버스 바들이 분지되어 있는 한 쌍의 본체부들;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본체부들은 전지모듈의 배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구조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바람직하게는, 커버 플레이트에 인서트 사출 형성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외부 입출력 단자들 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단차를 적용하여 외부 입출력 단자의 위치를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전지셀은 전지모듈의 구성을 위해 충적되었을 때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얇은 두께와 상대적으로 넓은 폭 및 길이를 가진 이차전지이다. 그러한 이차전지의 바람직한 예로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전지케이스 양단 또는 일단에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를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이차전지를 '파우치형 전지셀'로 칭하기도 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셀 유닛은 전지셀들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금속 하우징에 내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금속 하우징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 및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부위를 제외하고 전지셀 적층체의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상호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 하우징은 기계적 강성이 낮은 전지셀을 보호하면서 충방전시의 반복적인 팽창 및 수축의 변화를 억제하여 전지셀의 실링부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 하우징은 전지셀 적층체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내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별도의 체결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조립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금속 하우징에서 단면 결합부의 대표적인 예로는, 금속 하우징이 서로 대면하도록 접촉시킨 상태로 가압하였을 때 탄력적인 결합에 의해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 암수 체결구조를 들 수 있다.
한편, 이차전지의 경우, 충방전 과정에서 발열 현상이 일어나게 되며, 이렇게 발생한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것은 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안전성을 담보하는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금속 하우징은 내부의 전지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더욱 용이할 수 있도록, 높은 열전도성의 금속 판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 부위를 제외한 외주면에는 절연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지셀과 상기 금속 하우징 등과 같은 기타 부재의 접촉에 의한 절연저항 파괴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출력 및 용량에 대응하여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 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고출력 대용량의 중대형 전지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소망하는 출력 및 용량에 따라 전지모듈 어셈블리들을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중대형 전지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장착 효율성,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전력 저장 장치 등이 바람직하지만, 적용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셀 유닛들의 병렬 연결을 2개의 단위로 용접이 가능한 버스 바를 제공함으로써, 용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상부 케이스의 전면 및/또는 하부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전지팩의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공간 활용도가 높은 전지팩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셀 유닛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지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버스 바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한 쌍의 본체부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모듈 어셈블리(300)는 2개의 전지셀(10)들로 구성된 셀 유닛들(100)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8개의 전지모듈(200); 전지모듈들(200)을 측면으로 직립시킨 상태로 상부 및 하부를 감싸고 있는 한 쌍의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 전지모듈들(200)의 전면에서 전지모듈들(200)을 전기적 병렬 연결하기 위한 버스 바 어셈블리(230); 및 전지모듈 어셈블리(300)의 위치 고정 내지 장착을 위해 상부 케이스(210)의 전면 및/또는 하부 케이스(22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들(211, 221);을 포함하고 있다.
도 3에는 도 1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정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1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측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체결구들(211, 221)은 내주면에 체결용 나사선(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체결구들(221,221)에 볼트(250)를 삽입하여 체결하여 소정의 부위 또는 장치에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지모듈(200)의 배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도 3의 A방향)으로 상부 케이스(210)의 후면 및 하부 케이스(220)의 후면에 만입부(240, 241)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지모듈 어셈블리(300)의 위치 고정 내지 장착을 위한 봉상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는 셀 유닛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전지셀의 부분 확대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셀 유닛(100)은 2개의 전지셀들(10)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지셀(10)의 전극단자(11) 부위를 제외한 외주면에 절연 테이프(15)가 부착되어 있어서, 전지셀(10)과 금속 하우징(120)의 접촉에 의한 절연저항 파괴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전지셀들(10)의 외면 전체를 감싸는 구조의 한 쌍의 고강도 금속 하우징(120)이 도시되어 있는 바, 금속 하우징(120)은 기계적 강성이 낮은 전지셀(10)을 보호하면서 충방전시의 반복적인 팽창 및 수축의 변화를 억제하여 전지셀(10)의 실링부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금속 하우징(120)은 한 쌍의 좌측 하우징(121)과 우측 하우징(12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상호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 어셈블리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의 한 쌍의 본체부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이전의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버스 바 어셈블리(230)는, 커버 플레이트(231)와 본체부(232)로 이루어져 있다.
커버 플레이트(231)는 전기절연성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전지모듈(200)의 전면에 장착되며, 한 쌍의 본체부(232)를 포함하고 있어서, 셀 유닛(100)의 전극단자들(11)은 버스 바(233)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체부(232)는 커버 플레이트(231)에 인서트 사출 형성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평면상으로 'ㄴ'자 형상의 일측에 외부 입출력 단자(234)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둘 이상의 버스 바들(233)이 분지되어 있다.
한 쌍의 본체부들(232, 232')은 전지모듈(200)의 배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도 3의 A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구조로 배열되어 있다.
본체부(232)에는 외부 입출력 단자(234, 234') 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 입출력 단자(234, 234')의 위치를 반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9)

  1. (a) 하나 이상의 전지셀들로 구성된 셀 유닛들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
    (b) 상기 전지모듈들을 측면으로 직립시킨 상태로 상부 및 하부를 감싸고 있는 한 쌍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c) 상기 전지모듈들의 전면에서 전지모듈들을 전기적 병렬 연결하기 위한 버스 바 어셈블리; 및
    (d)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위치 고정 내지 장착을 위해 상부 케이스의 전면 및/또는 하부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내주면에 체결용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위치 고정 내지 장착을 위한 봉상 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만입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후면 및/또는 하부 케이스의 후면에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는 전지모듈의 배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상부 케이스의 후면 및/또는 하부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로 구성된 셀 유닛들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유닛은 짝수 개의 전지셀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유닛의 전극단자들은 버스 바에 의해 상호 전기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 어셈블리는,
    (a) 전기절연성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전지모듈들의 전면에 장착되며, 하기 한 쌍의 본체부를 포함하는 커버 플레이트; 및
    (b) 커버 플레이트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평면상으로 'ㄴ'자 형상의 일측에 외부 입출력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둘 이상의 버스 바들이 분지되어 있는 한 쌍의 본체부들;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본체부들은 전지모듈의 배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구조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커버 플레이트에 인서트 사출 형성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외부 입출력 단자들 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전지케이스 양단에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 부위를 제외한 외주면에 절연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유닛은 전지셀들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금속 하우징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금속 하우징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 및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부위를 제외하고 전지셀 적층체의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은 전지셀 적층체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내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조립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의 단면 결합부는, 금속 하우징들이 서로 대면하도록 접촉시킨 상태로 가압하였을 때 탄력적인 결합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암수 체결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은 금속 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8. 출력 및 용량에 대응하여 제 1 항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 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지팩.
  19. 제 18 항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바이스.
KR1020120145856A 2011-12-14 2012-12-14 버스 바 어셈블리가 전면에 장착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101400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4170 2011-12-14
KR1020110134170 2011-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468A true KR20130069468A (ko) 2013-06-26
KR101400090B1 KR101400090B1 (ko) 2014-05-28

Family

ID=4861283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45973A KR101480385B1 (ko) 2011-12-14 2012-12-14 버스 바 어셈블리가 전면에 장착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1020120145856A KR101400090B1 (ko) 2011-12-14 2012-12-14 버스 바 어셈블리가 전면에 장착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20120145909A KR101490203B1 (ko) 2011-12-14 2012-12-14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45973A KR101480385B1 (ko) 2011-12-14 2012-12-14 버스 바 어셈블리가 전면에 장착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45909A KR101490203B1 (ko) 2011-12-14 2012-12-14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062879B2 (ko)
EP (3) EP2755257B1 (ko)
JP (3) JP5866451B2 (ko)
KR (3) KR101480385B1 (ko)
CN (3) CN103891008B (ko)
WO (3) WO20130894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972B1 (ko) * 2013-07-31 2016-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외부 장착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
US10084174B2 (en) 2013-08-23 2018-09-25 Lg Chem, Ltd. Stacked type battery module having easily modifiable connection structure
KR101729553B1 (ko) * 2013-08-23 2017-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력 저장 장치용 전지팩
KR101686583B1 (ko) * 2013-11-29 2016-1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카트리지 적층 구조의 전지모듈
KR101667519B1 (ko) * 2013-12-17 2016-10-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외부 입출력 단자를 형성하는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558694B1 (ko) 2013-12-18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US20160093854A1 (en) * 2014-09-26 2016-03-3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Prismatic battery cell energy density for a lithium ion battery module
US9520587B2 (en) * 2014-09-30 2016-12-1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us bar assembly carrier
US9786894B2 (en) * 2014-11-03 2017-10-10 Lg Chem, Ltd. Battery pack
US10665848B2 (en) * 2015-01-05 2020-05-26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module bus bar carrier having guide extensions system and method
US9692031B2 (en) 2015-04-09 2017-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s bar assembly for electrified vehicle batteries
KR101766014B1 (ko) * 2015-06-17 201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우치 접촉 타입 배터리 셀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셀 유닛, 배터리 모듈, 배터리 시스템
CN105244460B (zh) * 2015-09-16 2017-12-29 浙江超威创元实业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模组、组装方法及电动车
JP2017069486A (ja) * 2015-10-01 2017-04-06 太陽誘電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ユニット
KR101794266B1 (ko) * 2016-01-07 2017-1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슬라이드 조립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듈용 트레이
EP3327821B1 (en) * 2016-01-12 2019-10-30 LG Chem, Ltd.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stable fixing means for unit modules
DE102016104173A1 (de) 2016-03-08 2017-09-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 entsprechende Traktionsbatterie sowi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solchen
WO2018033880A2 (en) 2016-08-17 2018-02-22 Shape Corp.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DE102016118977B4 (de) * 2016-10-06 2022-01-20 Clarios Advanced Solutions Gmbh Energiespeichermodul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
CN110383526A (zh) 2017-01-04 2019-10-25 形状集团 节点模块化的车辆电池托盘结构
KR102317506B1 (ko) * 2017-04-10 2021-10-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0483510B2 (en) 2017-05-16 2019-11-19 Shape Corp. Polarized battery tray for a vehicle
WO2018213383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integrated battery retention and support features
WO2018213306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US10569634B2 (en) * 2017-08-18 2020-02-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functional cooling channel and busbar for battery cell pack
CN111108015A (zh) 2017-09-13 2020-05-05 形状集团 具有管状外围壁的车辆电池托盘
US10661646B2 (en) 2017-10-04 2020-05-26 Shape Corp. Battery tray flo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KR102381760B1 (ko) * 2017-11-27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연결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JP6962230B2 (ja) * 2018-02-16 2021-1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
WO2019169080A1 (en) 2018-03-01 2019-09-06 Shape Corp. Cooling system integrated with vehicle battery tray
KR102150679B1 (ko) * 2018-03-13 2020-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1688910B2 (en) 2018-03-15 2023-06-27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JP2019186037A (ja) * 2018-04-10 2019-10-2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2019204596A (ja) * 2018-05-21 2019-11-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
CN109585710A (zh) * 2018-12-07 2019-04-05 北京国能电池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及电池模组的装配方法
KR20210041447A (ko) 2019-10-07 2021-04-15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배터리셀 리드 용접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배터리셀 전극리드를 용접방법
KR20210043991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한 전지 팩
KR20210046340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CN111063943B (zh) * 2019-11-11 2023-04-18 安徽理士电源技术有限公司 带有耐振支撑结构的铅酸蓄电池
KR20210122592A (ko) * 2020-04-01 2021-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210155183A (ko) * 2020-06-15 2021-12-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KR20220094758A (ko) * 2020-12-29 2022-07-06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N113437415B (zh) * 2021-08-12 2023-05-16 四川长虹电源有限责任公司 电池模组、深潜器及潜艇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7250A (ja) * 1988-12-28 1990-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扁平形電池とその製造法
US6224995B1 (en) 1997-03-06 2001-05-0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free form battery apparatus
US6524732B1 (en) * 1999-03-30 2003-02-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protective circuit
US6498951B1 (en) 2000-10-13 2002-12-24 Medtronic,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employing integral housing for a formable flat battery
JP2002141036A (ja) 2000-11-06 2002-05-17 Toyota Motor Corp 集合電池
JP4863577B2 (ja) * 2001-06-20 2012-0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
US6946220B2 (en) 2001-10-19 2005-09-20 Wilson Greatbatch Technologies, Inc.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multiplate electrode assembly housed in an irregularly shaped casing
US7740142B2 (en) * 2001-11-20 2010-06-22 Concorde Battery Corporation Battery construction for mounting a shelved rack
KR100858799B1 (ko) * 2002-06-29 2008-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0525974B1 (ko) 2002-08-07 2005-11-03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연료전지
JP4085741B2 (ja) * 2002-08-21 2008-05-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単電池、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組電池
JP4170714B2 (ja) 2002-09-20 2008-10-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電池
US7118827B2 (en) * 2003-08-06 2006-10-10 Delphi Technologies, Inc. Battery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553753B1 (ko) * 2003-10-16 2006-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US7507499B2 (en) * 2004-05-24 2009-03-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Battery pack arrangements
KR101066478B1 (ko) 2004-06-04 2011-09-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이저 빔 패턴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결정화 방법
KR100891079B1 (ko) * 2005-02-07 2009-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용 전지 카트리지 연결 시스템
KR100857019B1 (ko) * 2005-04-19 2008-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계적 및 전기적 커넥팅 부재
JP4984459B2 (ja) * 2005-08-29 2012-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および樹脂フレーム
CN101291876A (zh) 2005-10-19 2008-10-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金属氧化膜的形成方法、金属氧化膜及光学电子设备
WO2007079449A2 (en) * 2006-01-03 2007-07-1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system
JP4935112B2 (ja) * 2006-02-28 2012-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パックの車載構造
WO2007102670A1 (en) 2006-03-06 2007-09-13 Lg Chem, Lt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KR100896131B1 (ko) * 2006-05-22 2009-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KR100948002B1 (ko) * 2006-03-06 2010-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JP5154454B2 (ja) 2006-03-06 2013-02-2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電池モジュール
WO2007102671A1 (en) * 2006-03-06 2007-09-13 Lg Chem, Ltd. Voltage sensing member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KR100948970B1 (ko) * 2006-03-13 2010-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완충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중대형 전지모듈
KR100895203B1 (ko) * 2006-05-15 2009-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KR100892047B1 (ko) * 2006-09-18 2009-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및 중대형 전지팩
US7858229B2 (en) 2006-09-25 2010-12-28 Lg Chem, Ltd. Cell-module cartridge, cell-module including the cell-module cartridg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cell-module
KR101217459B1 (ko) * 2006-09-25 2013-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0921346B1 (ko) * 2006-09-25 2009-10-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및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0889241B1 (ko) * 2006-10-23 2009-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의 전극단자 접속부재
KR101080123B1 (ko) * 2007-07-23 2011-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0914839B1 (ko) * 2007-11-21 2009-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US8035986B2 (en) * 2008-06-30 2011-10-11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upling battery cell assemblies thereto
US9083686B2 (en) 2008-11-12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Protocol for program during startup sequence
EP2416438B1 (en) * 2009-04-01 2015-02-25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safety
CN107068921A (zh) * 2009-04-01 2017-08-18 株式会社Lg化学 中大型电池组
EP2424010B1 (en) 2009-04-22 2017-03-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for battery and coating die used in the method
KR101071538B1 (ko) * 2009-05-04 2011-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센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1040297A1 (ja) * 2009-10-02 2011-04-07 株式会社 村田製作所 蓄電デバイス組立構造体と蓄電デバイス単位構造体
KR101113381B1 (ko) * 2009-11-30 2012-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182135B1 (ko) * 2009-12-11 2012-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의 내장형 이차전지 팩
CN102208591B (zh) * 2010-03-30 2015-03-25 三星Sdi株式会社 二次电池和二次电池模块
KR101152635B1 (ko) * 2010-04-08 2012-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용 전압 검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230954B1 (ko) 2010-04-08 2013-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297176B1 (ko) * 2010-06-03 2013-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US8940429B2 (en) 2010-07-16 2015-01-27 Apple Inc. Construction of non-rectangular batteries
KR101403930B1 (ko) * 2010-08-16 2014-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JP5830953B2 (ja) * 2010-11-17 2015-12-09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バッテリユニットおよ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090B1 (ko) 2014-05-28
EP2755257A1 (en) 2014-07-16
US10062879B2 (en) 2018-08-28
JP5889418B2 (ja) 2016-03-22
KR101480385B1 (ko) 2015-01-09
JP2014531729A (ja) 2014-11-27
KR20130069472A (ko) 2013-06-26
EP2755257B1 (en) 2018-02-21
EP2765632A1 (en) 2014-08-13
WO2013089467A1 (ko) 2013-06-20
EP2752918A4 (en) 2015-10-28
JP5866451B2 (ja) 2016-02-17
KR20130069476A (ko) 2013-06-26
US20140212724A1 (en) 2014-07-31
CN103858253A (zh) 2014-06-11
JP2014531730A (ja) 2014-11-27
WO2013089468A1 (ko) 2013-06-20
KR101490203B1 (ko) 2015-02-06
US20140212722A1 (en) 2014-07-31
WO2013089470A1 (ko) 2013-06-20
EP2752918B1 (en) 2018-02-28
EP2755257A4 (en) 2015-10-07
EP2765632B1 (en) 2018-04-11
CN103843175A (zh) 2014-06-04
CN103891008B (zh) 2016-07-20
CN103891008A (zh) 2014-06-25
JP2014534563A (ja) 2014-12-18
JP6019125B2 (ja) 2016-11-02
CN103858253B (zh) 2016-05-18
US9735403B2 (en) 2017-08-15
US9768427B2 (en) 2017-09-19
EP2752918A1 (en) 2014-07-09
EP2765632A4 (en) 2015-10-28
US20140212723A1 (en) 2014-07-31
CN103843175B (zh)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090B1 (ko) 버스 바 어셈블리가 전면에 장착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US9196882B2 (en) Battery pack of compact structure
KR101053208B1 (ko) 용접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US9997758B2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US9741984B2 (en) Battery module of novel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101547814B1 (ko) 간접 공냉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281811B1 (ko)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1667519B1 (ko) 외부 입출력 단자를 형성하는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30110951A (ko)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KR101859684B1 (ko) 버스 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