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179A - 노면상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탄력봉 - Google Patents

노면상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탄력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179A
KR20130064179A KR1020110130660A KR20110130660A KR20130064179A KR 20130064179 A KR20130064179 A KR 20130064179A KR 1020110130660 A KR1020110130660 A KR 1020110130660A KR 20110130660 A KR20110130660 A KR 20110130660A KR 20130064179 A KR20130064179 A KR 20130064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main body
fastening
road surfac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주)이노핸즈
김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핸즈, 김상훈 filed Critical (주)이노핸즈
Priority to KR1020110130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4179A/ko
Publication of KR2013006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노면상에 설치되는 차량 유도용 탄력봉이 개시된다. 탄력봉은 플레이트 형상의 받침부, 받침부로부터 상향 연장된 본체, 받침부상에 본체를 둘러싸도록 놓여지며 받침부에 형성된 제1체결공에 대응되는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의 고정부재, 및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을 통하여 고정부재와 본체를 관통하여 노면상에 체결됨으로써 노면상에 상기 받침부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구비한다. 받침부의 노면 체결력을 강화하여 지속적인 사용시에도 노면상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노면상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탄력봉 {Vehicle guide bar fixed on a road steadfastly}
본 발명은 탄력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상에 설치되어 차량의 이동 경로를 제한 또는 유도하기 위한 탄력봉에 관한 것이다.
탄력봉은 노면상에 설치되어 차량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유도하는 데에 사용되는 도구로서, 통상적으로 노면상에 기립 상태로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탄력봉은 유도봉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도 1 은 일반적인 탄력봉을 도시한 것이다. 탄력봉은 노면상에 고정되는 받침부(10)와 받침부(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본체(20)를 구비한다. 받침부(10)와 본체(20)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부재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받침부(10)는 원판상으로 제조되며, 받침부(10)에는 볼트(30)가 체결되어 받침부(10)를 노면상에 고정시킨다. 볼트(30)는 본체(20)를 중심으로 두 개가 대칭 배치된다.
이러한 탄력봉은 노면상에 차량이 특정 구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타 구역으로 차량을 유도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되므로, 설치된 위치에서 차량의 출입이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차량에 의해 충돌되는 일이 매우 자주 발생한다. 충돌시 차량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탄력봉 자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력봉은 탄력이 있는 고무, 우레탄,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가요성(flexible) 재질로 제조된다.
도 2 와 도 3 은 탄력봉이 차량에 의해 충돌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 에서 A 방향으로 차량이 충돌된 경우와 B 방향으로 차량이 충돌된 경우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 의 A 방향으로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가 휘어지면서 받침부(10)에 화살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때 두 개의 볼트(30) 중 우측의 볼트가 받침부(10)를 노면(R)상에 고정시키는 체결력을 가하므로 받침부(10)는 노면(R)상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의 충돌에 의한 외력이 반복됨에 따라 우측의 볼트(30)는 지속적인 상방 이탈력을 받게 되고, 결국은 받침부(10) 자체에 파손이 오거나 볼트(30)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어, 탄력봉이 노면에서 분리된다.
도 1 의 B 방향으로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본체(20)가 휘어지면서 받침부(10)에 화살표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서 받침부(10)의 우측면이 노면(R)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두 개의 볼트(30)에 가해지는 힘은 도 2 에서 우측 볼트(30)의 경우보다 작을 것이나, 두 개의 볼트(30) 모두가 외력을 받게 되는 상태가 반복됨에 따라 두 개의 볼트(30) 모두가 노면(R)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1 내지 도 3 은 2 개의 볼트(30)가 체결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예컨대 3 개의 볼트가 120도의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충돌 각도에 따라 도 2 및 도 3 에서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견고한 체결력을 부여하도록 많은 개수의 볼트(30)를 체결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볼트(30)의 개수 증가는 제작 원가의 상승을 수반하며, 나아가 노면(R)상에 천공되는 체결공의 개수가 증가하고 볼트 설치 작업량의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받침부(10)와 본체(20)를 하나의 부재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볼트 체결공의 개수가 세 개 이내인 것이 바람직한데, 볼트 체결공을 여러 개로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금형을 통해 제작 가능한 형상의 한계로 인하여 금형의 개수가 증가해야 하고 이에 따라 제작 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부의 노면 체결력을 강화하여 지속적인 사용시에도 노면상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탄력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탄력봉은, 노면상에 놓여지며, 복수의 제1체결공이 판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받침부;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받침부상에 상기 본체를 둘러싸도록 놓여지며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의 고정부재; 및 상기 제1체결공과 상기 제2체결공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노면상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노면상에 상기 받침부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부분 원호상을 갖도록 만곡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상의 상기 본체 측방에 놓여지고 양 단부에 상기 받침부의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제2체결공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상기 부재는 상기 받침부상에 놓여지되 상기 본체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본체의 전체 둘레구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이웃하는 상기 부재들간에 상기 양 단부가 상호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이웃하는 상기 부재들의 상기 제2체결공들이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함께 관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를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부재는 상기 제2체결공이 형성된 부위가 타 부위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를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부재는 상기 제2체결공이 형성된 부위가 타 부위에 비해 단차지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의 상면의 상기 고정부재가 놓여지는 부위는 상기 고정부재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타 부위에 비해 함몰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받침부에 놓여진 상태에서의 상기 본체로부터의 외측 방향으로 점점 두께가 얇아지도록 그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의 일 부위는 상기 체결부재의 머리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평면상의 함몰면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부의 노면 체결력을 강화하여 지속적인 사용시에도 노면상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은 종래의 탄력봉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탄력봉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도 4 의 부분 확대도.
도 6 은 도 4 및 도 5 의 탄력봉에 채용되는 고정부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은 도 6 의 고정부재 3 개가 링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은 도 7 에서 각 고정부재간의 연결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9 는 도 7 의 고정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탄력봉을 도시한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탄력봉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 은 도 10 의 부분 확대도.
도 12 는 도 10 및 도 11 의 측면도.
도 13 은 도 12 의 탄력봉에 고정부재가 체결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탄력봉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는 도 4 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력봉은 받침부(110)와 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부(110)와 본체(120)는 종래의 탄력봉과 마찬가지로 가요성 재질로 제조된다. 본체(120)는 받침부(110)로부터 상향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받침부(110)와 일체로 제작되거나 또는 받침부(110)와 별도로 제작되어 접착될 수 있다.
받침부(110)는 노면상에 놓여져 고정되는 부위이며, 전체적으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받침부(110)에는 세 개의 제1체결공(113)이 판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받침부(110)에는 링 형상의 함몰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함몰부(115)는 후술되는 고정부재의 외관 형상에 부합되도록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안착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한다. 함몰부(115) 중에서 제1체결공(113)이 형성된 부위의 인접 부위에는 측방으로 함몰되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140)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측방함몰부(115a)가 형성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 은 도 4 및 도 5 의 탄력봉에 채용되는 고정부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고정부재(140)는 부분 원호상을 갖도록 만곡된 바아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고정부재(140)의 길이는 원호상의 각도가 대략 120도 이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고정부재(140)는 받침부(110)의 함몰부(115) 내에 수용됨으로써 받침부(110)상의 본체(120) 측방에 놓여진다. 고정부재(140)의 양 단부에는 받침부(110)의 제1체결공(113)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체결공(14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체결공(143)이 형성되는 고정부재(140)의 단부는 제2체결공(143) 형성을 위한 면적 확보를 위하여 외곽이 원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고정부재(140)의 타 부위에 비해 측방으로 다소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부합되도록, 받침부(110)의 함몰부(115)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이 측방으로 함몰된 측방함몰부(115a)를 갖는다.
한편, 도 6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40)는 제2체결공(143)이 형성된 영역인 단부의 원형 부위가 타 부위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타 부위에 비해 단차지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때, 어느 한쪽 단부와 다른 한쪽 단부의 단차 방향을 서로 반대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8 과 같이 두 개의 이웃하는 고정부재(140)의 단부끼리 중첩 배치하여 도 7 과 같이 세 개의 고정부재(140)가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경우, 전체 링 형상의 판면이 균일한 두께를 이루게 된다.
도 9 는 도 7 과 같은 상태의 고정부재(140)가 받침부(110)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40)는 받침부(110)상에 본체(12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세 개의 고정부재(140)가 본체(120)의 전체 둘레구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때, 이웃하는 고정부재(140)들간에 양 단부가 상호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이웃하는 고정부재(140)들의 제2체결공(143)이 공유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세 개의 체결부재(130)가 고정부재(140)의 제2체결공(143)과 받침부(110)의 제1체결공(112)을 함께 관통하여 노면에 체결됨으로써, 받침부(110)가 노면상에 고정되도록 체결된다. 체결부재(130)는 볼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다.
받침부(110)는 세 개의 체결부재(130)에 의해 노면에 고정된다. 그러나, 체결부재(130)는 받침부(110)를 직접 가압하는 것이 아니라 링 형상으로 배치된 고정부재(140)를 통해 받침부(110)를 가압하므로, 받침부(110)가 받는 가압력은 받침부(110) 외측의 전 둘레 구간에 걸쳐 전달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받침부(110)의 전 둘레 구간에 체결부재(130)가 촘촘히 체결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가 체결되지 않은 방향으로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도 도 3 의 경우와는 달리 받침부(110)의 일 부위가 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체결부재(130)가 노면에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반복되는 차량의 충돌에 의해서도 탄력봉이 노면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특히 볼트(130)가 분리될 경우 노면상에 볼트(130)가 방치됨에 따라 운행 중인 차량의 타이어에 손상을 주거나 볼트(130)가 타이어에 의해 튀어 행인이나 주변 차량과 기물에 위해 또는 손상을 가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130)의 분리가 방지되므로 이러한 위험성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재(140)가 함몰부(115) 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차량의 바퀴가 받침부(110) 위를 지나가더라도 고정부재(140)와 체결부재(130)가 손상을 받지 않도록 보호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세 개의 고정부재(140)와 세 개의 체결부재(130)가 마련된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두 개 또는 네 개씩 마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 은 본 발명에 따른 탄력봉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함몰부의 구성만이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고 다른 부분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이 생략되며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예에서의 함몰부(215)는 받침부(110)의 판면이 계단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함몰부(215) 또한 고정부재(140)의 단부의 원형 외곽 형상에 부합되도록 측방함몰부(215a)를 가지고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함몰부(115)는 판면 전체가 함몰되어 형성되므로 함몰부(115)의 외측 방향상의 측벽이 함몰부(115)의 바닥면으로부터 다소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금형상에서의 제작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함몰부(215)가 받침부(110)의 판면이 계단상을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자연스럽게 구성되므로, 함몰부(215)의 외측 방향상에 받침부(110)로부터 상방 돌출된 측벽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금형상의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도 13 은 이와 같이 구성된 도 12 의 탄력봉에 고정부재(140)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함과 아울러 고정부재(140)의 구성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의 변형예에서는 고정부재(140)는 그 단면상 상면이 경사진 경사면(146)으로 구성되어 그 두께가 탄력봉 본체(12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얇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경사면(146)은 받침부(110)의 상면의 경사에 부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받침부(110)와 경사면(146)이 연속적인 만곡된 상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한편, 고정부재의 경사면(146)의 일 부위는 볼트(130)의 머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평면상의 함몰면(146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함몰면(146a)은 볼트(130)가 체결되는 부위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13 과 같이 받침부(110)의 상면과 고정부재(140)가 전체적으로 하나의 만곡된 면을 이루게 되고, 또한 볼트(130)의 머리가 함몰면(146a) 내에 위치됨으로써 볼트(130)의 머리 또한 받침부(1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의 바퀴가 받침부(110) 위를 지나가는 경우 받침부(110)의 전체적으로 만곡된 외면에 의해 바퀴가 자연스럽게 받침부(110)를 타고 넘게 되며 이에 따라 받침부(1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트(130)가 직접적으로 바퀴에 접촉되거나 바퀴에 의해 충격을 받는 것이 방지되어 볼트(130)의 체결력에 대한 외력이 저감되어 볼트(130)의 이탈이나 손상이 방지된다.
나아가,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바퀴에 대해서도 받침부(110)의 형상이나 볼트(130)의 머리에 의한 손상이 가해지지 않게 되아 바퀴를 보호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140)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예시하였으나, 고정부재(140)의 개수는 한 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7 에서는 세 개의 고정부재(140)가 구성되어 각 고정부재(140)의 양 단부가 중첩되도록 배치하였는데, 도 7 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링 형상의 고정부재 하나만을 구성하되 고정부재에 복수의 체결공을 마련하는 방법이 채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받침부 120 : 본체
130 : 체결부재 140 : 고정부재

Claims (7)

  1. 노면상에 놓여지며, 복수의 제1체결공이 판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받침부;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받침부상에 상기 본체를 둘러싸도록 놓여지며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의 고정부재; 및
    상기 제1체결공과 상기 제2체결공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노면상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노면상에 상기 받침부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부분 원호상을 갖도록 만곡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상의 상기 본체 측방에 놓여지고 양 단부에 상기 받침부의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제2체결공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상기 부재는 상기 받침부상에 놓여지되 상기 본체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본체의 전체 둘레구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이웃하는 상기 부재들간에 상기 양 단부가 상호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이웃하는 상기 부재들의 상기 제2체결공들이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함께 관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를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부재는 상기 제2체결공이 형성된 부위가 타 부위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를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부재는 상기 제2체결공이 형성된 부위가 타 부위에 비해 단차지도록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봉.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면의 상기 고정부재가 놓여지는 부위는 상기 고정부재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타 부위에 비해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받침부에 놓여진 상태에서의 상기 본체로부터의 외측 방향으로 점점 두께가 얇아지도록 그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일 부위는 상기 체결부재의 머리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평면상의 함몰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봉.
KR1020110130660A 2011-12-08 2011-12-08 노면상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탄력봉 KR20130064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660A KR20130064179A (ko) 2011-12-08 2011-12-08 노면상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탄력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660A KR20130064179A (ko) 2011-12-08 2011-12-08 노면상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탄력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179A true KR20130064179A (ko) 2013-06-18

Family

ID=4886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660A KR20130064179A (ko) 2011-12-08 2011-12-08 노면상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탄력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41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194A (ko) *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새로운길 시선유도봉 및 그 제조방법
WO2023213802A1 (en) * 2022-05-03 2023-11-09 Boplan Bv High energy impact absorbing pos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194A (ko) *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새로운길 시선유도봉 및 그 제조방법
WO2023213802A1 (en) * 2022-05-03 2023-11-09 Boplan Bv High energy impact absorbing post
BE1030492B1 (nl) * 2022-05-03 2023-12-05 Boplan Bv Paal voor absorberen van schok met hoge energi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26915A1 (en) Non-pneumatic tire
JP6435741B2 (ja) バンプストッパキャップ
US9033381B2 (en) Vehicle bumper mounting structure
KR20180013551A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1506422B1 (ko) 전기차량용 배터리의 보호장치
KR20180042425A (ko) 비공압식 타이어
JP2015094100A (ja) ガードレール端末部緩衝袖ビーム
US9126556B2 (en) Air-bag module mounting structure
AU2013342498B2 (en) Fender and impact-bearing member thereof
KR20130064179A (ko) 노면상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탄력봉
JP2017031679A (ja) 可撓式標示柱
KR20170079867A (ko) 휀스
JP6956606B2 (ja) シートラバー
KR20140125258A (ko) 차량 진입방지용 볼라드
ES2341110T3 (es) Disposicion de muelle para un vehiculo de motor y platito de resorte para una disposicion de muelle de este tipo.
KR20150144369A (ko) 범퍼빔의 구조
KR101635769B1 (ko) 가로보 하중에 대한 강성이 부여되는 지주구조물
WO2018198482A1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7031732B (zh) 车辆的悬架塔结构
KR101825050B1 (ko)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1886351B1 (ko)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JP6305716B2 (ja) ガードパイプ用端部緩衝具及びそれを用いたガードパイプ
JP6206361B2 (ja) 車両用床下カバー
JP7071315B2 (ja) ビーム支持装置
KR102487881B1 (ko) 차량용 에어백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