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425A - 비공압식 타이어 - Google Patents

비공압식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425A
KR20180042425A KR1020187008984A KR20187008984A KR20180042425A KR 20180042425 A KR20180042425 A KR 20180042425A KR 1020187008984 A KR1020187008984 A KR 1020187008984A KR 20187008984 A KR20187008984 A KR 20187008984A KR 20180042425 A KR20180042425 A KR 20180042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ribs
grooves
spokes
ext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모씨 리네
스티븐 크론
Original Assignee
꽁빠니 제네날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꽁빠니 제네날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 filed Critical 꽁빠니 제네날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
Publication of KR20180042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6Folded p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60C7/16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of helical or flat coil form
    • B60C7/18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of helical or flat coil form disposed radially relative to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9/00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 B60B9/26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comprising resilient sp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60C7/146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extending substantially radially, e.g. like sp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20Avoidance of
    • B60B2900/212Damage
    • B60C2007/14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허브와 스포크를 갖는 타이어가 제공된다. 스포크는 허브로부터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포크는 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면과 제2면을 갖는다. 스포크는 제1면으로 연장되는 홈을 갖는 균열 억제 특징부를 갖는다. 홈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비공압식 타이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스포크(spoke)의 균열을 최소화하고 타이어의 수명을 연장하는 균열 억제 특징부(crack suppression feature)가 있는 스포크를 갖는 비공압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출원은, 균열 전파를 정지시킬 정도로 스트레인(strain) 에너지 방출 속도를 느리게 하는, 스포크 상에 위치하는 3차원 특징부인 균열 억제 특징부를 포함한다.
차량 및 다른 응용 분야의 타이어는, 환형 전단 밴드를 포함하는 외측 방사상으로 배치된 트레드(tread)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인 내부 허브(inner hub) 또는 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련의 스포크는, 허브와 트레드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두 개의 구성요소를 연결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타이어가 하중을 받으면서 회전하는 경우, 스포크는, 스포크가 타이어의 접촉 패치 근처에서 하향으로 위치할 때 휘어짐, 연장, 및 압축 변형을 겪게 된다. 스포크는 휘어짐과 압축 변형이 해제되는 접촉 패치의 외부에서 곧게 펴진다. 따라서, 스포크는 타이어가 회전함에 따라 주기적인 변형을 겪게 된다. 이렇게 반복되는 변형 사이클은 스포크에 피로를 야기할 수 있고 스포크와 타이어의 수명을 제한한다.
타이어의 스포크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정 결함 및 기포는, 스포크의 특정 위치에서 국부적인 에너지 밀도를 크게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함으로 인해 균열이 형성될 수도 있고, 균열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기구가 제 위치에 없으면, 스포크가 고장 날 정도로 균열이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스포크의 균열은 타이어의 사용 중 발생하는 손상을 통해 발생할 수도 있다. 스포크에서 균열을 방지하는 현재의 방법은 편향 동안 스포크의 스트레인 에너지 밀도의 최소화를 포함한다. 스포크의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한 이러한 한 가지 설계는 "spoke for a tire with optimized thickness for improved durability"라는 명칭으로 공개된 국제출원 공개번호 WO 2013/152067 A1에서 찾을 수도 있으며, 이 문헌의 전문은 모든 면에서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이 설계는, 스포크의 에지를 수정하여 균열 발생을 덜 민감하게 하는 것이다.
균열 시작을 방지하고자 하는 이전의 설계가 알려져 있지만, 이는 이미 형성된 균열을 정지시키는 설계가 균열을 방지하고 스포크와 타이어의 수명을 연장하도록 마찬가지로 기능하는 경우일 수도 있다. 이처럼, 해당 기술에서는 가변 및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통상의 기술자를 대상으로 하는 본 발명의 최선의 모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완전하고 가능한 개시 내용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스포크를 갖는 타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 억제 특징부를 포함하는 스포크를 갖는 타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균열 억제 특징부 및 연관된 요소의 정면도이다.
도 5는 균열 길이 대 스트레인 에너지 방출 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 억제 특징부를 포함하는 스포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 억제 특징부를 갖는 스포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 억제 특징부를 갖는 스포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와플 패턴을 갖는 균열 억제 특징부를 갖는 스포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10-10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11-11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예시적인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와플 패턴을 갖는 균열 억제 특징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예시적인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몬드 형상 돌출부를 갖는 와플 패턴을 갖는 균열 억제 특징부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14-14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15-15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스포크의 후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부호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부 또는 요소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각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일부로서 설명되거나 예시된 특징부는 다른 일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어 또 다른 제3 실시예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예 및 다른 수정예와 가변예를 포함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범위는 언급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와 같이, 여기서 언급되는 모든 범위는 언급되는 해당 범위에 포함된 모든 하위 범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100 내지 200의 범위는 110 내지 150, 170 내지 190, 및 153 내지 162의 범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모든 한계 값은 언급되는 해당 한계 값에 포함된 다른 모든 한계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최대 7의 한계 값은, 최대 5, 최대 3, 최대 4.5 지의 한계 값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포크(12)에서 전개될 수도 있는 균열(68)의 전파를 정지시킴으로써 스포크(12)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균열 억제 특징부(14)가 있는 스포크(12)를 제공한다. 균열 억제 특징부(14)는, 균열(68)이 균열(68) 전파에 대한 임계값 미만의 기하학적 구조를 지나 전파되지 않도록 이러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이제 도 1을 참조해 보면, 허브(16)와 트레드(18)를 포함하는, 공기가 없는 타이어(10)가 도시되어 있다. 일련의 스포크(12)는 허브(16)와 트레드(18) 사이에 반경 방향(22)으로 배치된다. 스포크(12)는 트레드(18)의 컴플라이언트 빔과 결합할 수도 있다. 스포크(12)는, 스포크(12)가 타이어(10)의 길이 방향(20)으로 축을 중심으로 완전히 연장되도록 타이어(10)의 축을 중심으로 360도로 배치된다. 타이어(10)의 축 방향(24)은 타이어(10)의 축을 통해 연장되고 반경 방향(22)에 수직이다. 길이 방향(20)은 타이어(10)의 원주 둘레로 연장되고 사실상 타이어(10)의 축을 원으로 둘러싼다. 스포크(12)는, 트레드(18)가 도로와 결합하는 영역에서 타이어(10)의 하부에서 휘어지는 변형을 갖도록 타이어(10)를 지지하도록 기능하고, 도로와 결합하는 영역의 반대측 영역에서 타이어(10)의 상부에서 장력을 받는다.
도 2 내지 도 4는 스포크(12)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타이어(10)의 일부를 도시한다. 스포크(12)는 허브(16)의 외면(26)과 결합하고 트레드(18)의 내면(28)까지 연장된다. 스포크(12)는, 스포크(12)의 수명 및 이에 따른 타이어(10)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스포크(12)를 통한 균열(68)의 전파를 정지시키도록 기능하는 균열 억제 특징부(14)를 갖는다. 균열 억제 특징부(14)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 억제 특징부(14)는 스포크(12)의 제1면(30)으로 연장되는 홈(34)을 포함한다. 홈(34)은, 단면 형상이 반원이고, 반경 방향(22)으로 스포크(12)의 전체 반경 방향 길이(48)를 따라 연장된다. 그러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홈(34)은 반경 방향(22)으로 전체 반경 방향 길이(48)보다 짧게 연장될 수도 있다. 균열 억제 특징부(14)는, 타이어(10)의 하나의 스포크(12) 상에만 존재할 수도 있거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모든 스포크(12) 또는 임의의 개수의 스포크(12) 상에 존재할 수도 있다.
단일 홈(34)이 존재할 수도 있지만,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임의의 개수의 홈(34)이 균열 억제 특징부(14)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 내지 4, 5 내지 10, 11 내지 20, 21 내지 50, 또는 200개까지의 홈(34)이 다른 배열에서 스포크(12)의 균열 억제 특징부(14)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복수의 제1홈(42)은, 4개이며,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홈(34)들은 다른 실시예에서 모두 동일하게 배열될 필요가 없다.
홈(34)은, 스포크(12)에 얇은 섹션(thin section)(38)을 형성하게 하고, 일련의 제1 리브(rib)(36)는 축 방향(24)으로 홈(34)들 사이에 위치한다. 얇은 섹션(38)은 스포크(12)의 베이스(base)(40)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고려될 수도 있으며, 이로부터 리브(36)가 길이 방향(20)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스포크(12)는 제1면(30)과 대향하는 제2면(32)을 갖는다. 균열 억제 특징부(14)는 제2면(32)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면(32)은 임의의 홈, 리브, 또는 균열(68)의 전파를 억제하는 다른 특징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면(30)은 타이어(10)의 길이 방향(20)에 있어서 제2면(32)으로부터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면(30 및 32)은, 축 방향(24) 및 반경 방향(22)으로 서로 동일한 거리를 연장할 수도 있지만, 타이어(10)의 길이 방향(20)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복수의 제1홈(42)은, 모두 서로 평행할 수도 있거나, 상이한 배열에서 서로 평행할 필요는 없다. 홈(42)들은, 홈(42)이 스포크(12)의 외측 축 방향 에지(72)의 내측과 스포크(12)의 내측 축 방향 에지(74)의 외측 모두에 위치하도록 스포크(12)의 축 방향 에지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균열(68)은, 스포크(12)에 도시되어 있으며, 축 방향(24)으로 스포크(12)의 외측 축 방향 에지(72)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다. 균열(68)은, 스포크(12)를 통해 연장되지만, 홈(34)의 얇은 섹션(38)에서 정지하고 이 지점으로부터 축 방향(24)으로 스포크(12)를 통해 계속되지 않는다. 다른 균열(68)은, 내부 리브(36) 중 하나에서와 같이 스포크(12) 내의 다른 위치에 있는 스포크(12)에서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균열(68)은, 각각 얇은 섹션(38)을 갖는 홈(42)이 리브(36)의 어느 한 측에 있기 때문에 정지된다. 균열(68)은, 축 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전파될 수도 있지만, 축 방향(24)으로 스포크(12)의 전체 길이를 횡단할 수 있기 전에 얇은 섹션(38)들 중 하나를 만나게 된다. 타이어(10)의 사용 중에, 스트레인 에너지 방출 속도는 스포크(12)의 얇은 섹션(38)에서 느리다. 리브(36)를 포함하는 스포크(12)의 보다 두꺼운 부분은 높은 에너지 방출 속도를 갖는다. 더욱 두꺼운 섹션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균열(68)은, 일단 에너지 방출 속도가 전파를 위한 임계값 미만인 얇은 섹션(38)에 도달하면 전파가 중단된다.
균열 억제 특징부(14)는, 스포크(12)의 외측 축 방향 에지(72)로부터 축 방향(24)으로 오프셋되도록 스포크(12) 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외측 축 방향 에지(72)와 홈(34) 사이의 제1면(30)의 부분에는, 균열(68)의 전파를 정지시키도록 기능하는 어떠한 특징부도 없을 수도 있다. 스포크(12)의 내측 축 방향 에지(74)와 내측 축 방향 에지(74)에 가장 가까운 홈(34) 사이의 제1면(30)의 영역에도, 마찬가지로 균열(68)의 전파를 정지시키는 특징부가 전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전체 균열 억제 특징부(14)가 외측 및 내측 축 방향 에지(72, 74)로부터 이격된다.
도 5는, 균열 억제 특징부(14)가 균열(68)의 전파를 어떻게 정지시키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균열 길이 대 스트레인 에너지 방출 속도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홈(34)의 깊이(70)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30)에서의 리브(36)로부터 얇은 섹션(38)까지의 거리이다. 깊이(70)는 길이 방향(20)으로 측정된다. 깊이(70)는 도 5의 차트에서 0.5mm, 1.0mm, 2.0mm, 및 3.0mm로 도시되어 있다. 홈(34)이 없는 판독 결과가 존재하고, 따라서 균열 억제 특징부(14)가 존재하지 않는 것도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스포크(16)의 길이 방향(20) 두께는 4.0mm이다. 예를 들어, 균열(68) 전파에 대한 임계값은, 스포크(12)를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eh 있는 특정 재료에 대해 0.2 mJ/mm2이다.
균열(68)이 축 방향(24)으로 전파됨에 따라, 스트레인 에너지 방출 속도가 증가하여 균열(68)이 계속해서 전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균열 억제 특징부(14)가 존재함으로써, 균열(68)이 홈(34)을 통해 전파될 때 스트레인 에너지 방출 속도가 감소된다. 홈(34)이 없는 구성에서, 스트레인 에너지 방출 속도는 평평해진다. 홈 깊이(70)가 0.5mm, 1.0mm, 및 2.0mm인 구성에서는, 이들 홈(34)의 깊이(70)가 스트레인 에너지 방출 속도를 0.2 mJ/mm2의 임계값 미만으로 되게 할 만큼 충분히 크지 않기 때문에 균열(68)이 계속 전파된다. 균열(68)은 홈(34)을 통해 계속 이동하여 계속 전파된다. 그러나, 3.0mm의 깊이(70)에서는, 스트레인 에너지 방출 속도가 0.2mJ/mm2의 임계값 미만이고, 균열(68) 전파가 정지된다. 스포크(12)는, 스포크의 균열이 얇은 섹션(38)에서 정지되므로 균열(68)에 의해 더 이상 손상되지 않는다. 3.0mm의 깊이(70)는 하나의 예를 위한 것이고, 스트레인 에너지 방출 속도가 균열(68)을 정지시키는 데 필요한 임계값 미만으로 떨어지게 하기 위해 다른 배열에서는 다양한 깊이(70)가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균열(68)이 축 방향(24)으로 연장될 때, 균열(68)이 리브(36)의 벽을 하강함에 따라 에너지 방출 속도의 피크가 발생한다. 균열(68)이 얇은 섹션(38)을 포함하는 홈(34)의 하부에 도달함에 따라 에너지 방출 속도가 급격히 떨어진다. 균열(68)은, 이 위치에서 에너지 방출 속도가 균열(68) 전파 임계값 미만이면 홈(34)의 하부에서 얇은 섹션(38)에 있을 수도 있는 최소 에너지 방출 속도에 도달할 때 정지된다.
균열 억제 특징부(14)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균열 억제 특징부(14)는, 단면 형상이 반원이 아닌 홈(34)을 포함한다. 대신에, 홈(34)은, 길이 방향(20)에 있어서 스포크(12)의 베이스(40)로 연장되고 축 방향(24)으로 얇은 섹션(38)에서 평평하다. 복수의 홈(42)의 나머지 홈들은 홈(34)과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거나, 그 크기 또는 형상에 대해 상이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40)는, 베이스(40)와 리브(36)가 서로 부착되도록 리브(36)와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 리브(36)와 베이스(40)는 단일 구성요소로 되도록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면(32)에는, 어떠한 균열 억제 특징부(14)도 없을 수도 있다.
도 7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일련의 제1 리브(36) 사이에서 길이 방향(20)으로 연장되는 제1면(30) 상의 복수의 제1홈(42)을 포함한다. 균열 억제 특징부(14)는, 길이 방향(20)으로 제1면(30)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스포크(12)의 제2면(32) 상에도 위치한다. 복수의 제2홈(44)은 복수의 제2 리브(46) 사이에서 길이 방향(20)으로 제2면(32)으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홈(42, 44)은, 스포크(16)가 길이 방향(20)과 축 방향(24)에 있어서 대칭이 되도록 서로 동일한 방식으로 형상화되고 크기화될 수 있다. 리브(36, 46)는 각각 베이스(40)로부터 길이 방향(20)으로 동일한 거리로 연장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리브(36, 46)가 스포크(12) 상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리브(36)의 개수는 타이어(10)의 다른 버전의 리브(46)의 개수와 다를 수도 있으며, 리브(36)의 형상 및 구성은 타이어(10)의 또 다른 설계의 리브(46)의 형상 및 구성과 다를 수도 있다.
도 8은 복수의 제1홈(42)과 제1 리브(36)가 제1면(30) 상에 정현파 형상의 설계를 형성하는 균열 억제 특징부(14)의 설계를 도시한다. 제1홈(42)은, 스포크(12)에 형성된 균열(68)의 전파를 억제하도록 작용할 얇은 섹션(38)을 다시 형성한다. 제2면(32)은, 축 방향(24)으로 복수의 제2 리브(46)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홈(44)을 포함한다. 제2홈(44)과 제2 리브(46)는 스포크(12)의 정현파 형상의 제2면(32)을 규정한다. 제2홈(44)은 복수의 제1홈(42)에 대해 대칭으로 될 수도 있다. 길이 방향(20)으로의 두께의 감소는, 다시 균열(68)이 스포크(12)를 통해 전파되는 것을 정지시킨다.
도 9 내지 도 11은, 와플 패턴이 제1면(30) 상에 형성되는 균열 억제 특징부(14)의 예시적인 대체 실시예를 개시한다. 와플 패턴은, 축 방향(24)으로 제1면(30)의 전체 축 폭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도 있으며, 반경 방향(22)으로 제1면(30)의 전체 반경 높이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도 있다. 와플 패턴은, 서로 평행하고 축 방향(24) 및 반경 방향(22)으로 연장되는 성분을 갖도록 비스듬히 연장되는 일련의 제1행(52)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리브(36)에 의해 형성된다. 복수의 제2 리브(46)는, 일련의 제2행(54)으로 배열되고, 마찬가지로 서로 평행하며 축 방향(24) 및 반경 방향(22) 모두에 있어서 연장되는 성분을 갖도록 연장된다. 연장되는 성분의 크기는 제1행(52) 및 제2행(54) 모두에 대해 동일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리브(36, 46)는, 스포크(12)의 베이스(40)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고, 모두 길이 방향(20)으로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1행(52)과 제2행(54)은 서로 교차하여 이들 행 사이에 일련의 다이아몬드 형상의 공동(50)을 형성한다. 다양한 얇은 섹션(38)은, 다이아몬드 형상의 공동(50)에 위치하고 스포크(12)를 통한 균열(68)의 전파를 정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다이아몬드 형상의 공동(50)의 배향은, 더 두껍고 더 얇은 재료의 영역이 균열 억제 특징부(14)의 이 방향으로 또한 존재하므로 반경 방향(22)으로 진행되는 균열(68)의 전파를 마찬가지로 정지시킬 수도 있다. 경사진 와플 패턴은, 스포크(12)의 측면 강성을 유지할 수도 있고, 또한 타이어(10)의 측면 강성을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행(52, 54)은 반경 방향(22)과 축 방향(24) 모두에 있어서 연장되는 성분을 갖도록 배향된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행(52, 54)은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 방향 모두로 연장 성분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제1행(52)은 반경 방향(22)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고 제2행(54)은 축 방향(24)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어서, 와플 패턴은 다이아몬드 형상의 공동 대신에 직사각형 공동을 포함한다.
균열 억제 특징부(14)는, 균열 억제 특징부(14)가 축 방향(24)으로 스포크(12)의 전체 축 방향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외측 축 방향 에지(72) 및 내측 축 방향 에지(74)까지 계속 연장될 수도 있다. 다른 배열에서, 균열 억제 특징부(14)는, 외측 축 방향 에지(72)와 행(52, 54)과 공동(50) 사이에 일부 공간이 있게끔 외측 축 방향 에지(72)의 내측에 있도록 축 방향(24)으로 외측 축 방향 에지(72)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스포크(12)는 내부 축 방향 에지(74)와 행(52, 54) 및 공동(50) 사이에 축 방향(24)으로 공간이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균열 억제 특징부(14) 및 이에 따라서 와플 패턴은, 이들 특징부가 제2면(32)에 위치하지 않도록 제1면(30) 상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2는, 제1면(30)에 더하여 균열 억제 특징부(14)가 제2면(32)에 유사하게 배치되어 와플 패턴이 마찬가지로 제2면(32)에 위치하는 배열을 도시한다. 제2면(32) 상의 리브(56)는, 제2면(32) 상에 와플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제1면(30) 상의 리브(36, 46)와 동일한 방식으로 일련의 행으로 배열될 수 있다. 리브(56)는, 제1 및 제2면(30, 32) 상의 와플 패턴들이 서로 대칭이고 동일하도록 리브(36)에 대해 대칭일 수도 있다.
스포크(12)의 다른 배열은, 제1면(30)이 일련의 제1홈(58)과 일련의 제2홈(60)을 갖는 균열 억제 특징부(14)를 포함하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예시되어 있다. 일련의 제1홈(58)은, 서로 평행하고 반경 방향(22)과 축 방향(24) 모두에 있어서 연장되는 성분을 갖도록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일련의 제2홈(60)은, 반경 방향 및 축 방향(22, 24) 모두에 있어서 연장되는 성분을 갖도록 연장되고 서로 평행하다. 일련의 홈(58, 60)의 연장 성분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다른 배열에서, 일련의 홈(58 또는 60)은, 반경 방향 및 축 방향(22, 24) 모두에 있어서 연장되는 성분을 갖지 않을 수도 있지만, 대신에 이들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만 연장 성분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배열에서, 일련의 제1홈(58)은 축 방향(24)이 아니라 반경 방향(22)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는 반면, 일련의 제2홈(60)은 축 방향(24)으로 연장되고 반경 방향(22)으로는 연장되지 않는다.
일련의 홈(58, 60)은, 이들 사이에 복수의 돌출부(62)를 포함하는 와플 패턴을 형성하도록 서로 교차한다. 도 13 내지 도 15의 실시예에서, 돌출부(62)들은, 베이스(4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모두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다이아몬드 형상 돌출부(62)이다. 일련의 제1 및 제2홈(58, 60)은, 베이스(40) 및 돌출부(62)와 함께, 이들 영역이 균열(68)이 계속 전파되기에는 매우 느린 스트레인 에너지 방출 속도를 가짐으로 인한 균열(68)의 전파를 정지시키도록 기능하는 일련의 얇은 섹션(38)을 규정한다. 균열 억제 특징부(14)는 제2면(32)이 아닌 스포크(12)의 제1면(30) 상에만 존재할 수도 있다. 돌출부(62) 및 홈(58, 60)이 있는 와플 패턴을 갖는 설계는, 연장 강성을 높게 유지하면서 돌출부(62)의 응력을 완화할 수도 있다.
균열 억제 특징부(14)는, 일련의 제1 및 제2홈(58, 60) 및 돌출부(62)가 외측 및 내측 축 방향 에지(72, 74)에 존재하도록 외측 및 내측 축 방향 에지(72, 74)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일련의 제1 및 제2홈(58, 60) 및 돌출부(62)는, 축 방향(24)에 있어서 외측 축 방향 에지(72) 및/또는 내측 축 방향 에지(74)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균열 억제 특징부(14)는 제1면(30) 상에 위치하는 것에 더하여 제2면(32)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스포크(16)의 제2면(32)은 도 16에 도시되고, 균열 억제 특징부(14)는 제2면(32) 상에 와플 패턴으로 배열된다. 일련의 제3홈(64)은, 반경 방향(22)과 축 방향(24) 모두에 있어서 연장되는 성분을 갖도록 제2면(32)을 따라 연장된다. 일련의 제3홈(64)의 행들은 모두 서로 평행하다. 일련의 제4홈(66)도, 균열 억제 특징부(14)에 포함되며 반경 방향(22)과 축 방향(24) 모두에 있어서 연장되는 성분을 갖도록 연장된다. 일련의 제4홈(66)의 행들은 모두 서로 평행하다. 일련의 제3 및 제4홈(64, 66)은 서로 교차하고 이들 사이에 돌출부(62)를 형성한다. 돌출부(62)는,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다이아몬드 형상일 수도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일련의 제3 및 제4홈(64, 66)이 상이하게 배열되는 경우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일 수 있다. 일련의 제3 및 제4홈(64, 66)은, 균열 억제 특징부(14)가 균열(68)의 전개를 정지시키도록 기능하도록 스트레인 에너지 방출 속도가 매우 느려서 균열(68) 전파가 계속될 수 없게 하는 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제1 및 제2행(52, 54) 및 공동(50)은, 외측 및 내측 축 방향 에지(72, 74)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배열에서 에지(72 및/또는 74)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서로 평행한 일련의 홈(58, 60), 및 평행한 일련의 홈(64), 및 서로 평행한 일련의 홈(66)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일련의 홈(58)이 서로 평행하지 않고 및/또는 일련의 홈(60)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균열 억제 특징부(14)의 다른 배열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는, 일련의 홈(64, 66)이 제공된다면 이러한 일련의 홈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일련의 홈(58)은, 직선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지 않는 곡선 형태, 정현파 방식, 또는 다른 배열에서 서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는, 일련의 홈(60, 64, 66)이 제공된 경우에도 이러한 일련의 홈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된다. 일련의 홈(58, 60, 64 및 66)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스포크(12)의 특성을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스포크(12)와 균열 억제 특징부(14)를 포함하는 타이어(10)를 구성하는 재료는, 임의의 유형의 재료 또는 재료들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회전 성형, 주조, 또는 사출 성형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제조 공정이 타이어(10)를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스포크(12)는 반경 방향 후퇴에 의해 탈형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스포크(12)는, 타이어(10)의 측벽이 아닌 타이어(10)의 일부일 수도 있지만, 대신에 그 자체로 축(24)을 중심으로 완전히 360도 연장되지만 일부 양은 축(24)을 중심으로 360도 미만의 값으로 연장되는 타이어(10)의 일부이다.
도 4, 도 9 및 도 13과 같은 각종 도면은, 반경 방향(22)으로 연장되어 평평하고 길이 방향(20)으로 연장 성분이 없도록 반경 방향(22)에 있어서 상향 연장되는 스포크(12)를 도시한다. 타이어(10)의 일부 응용분야에서, 스포크(12)는 길이 방향(20)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휘어지고, 따라서 길이 방향(20)으로 허브(16)로부터 연장되어, 스포크(12)가 평평한 방식으로 반경 방향(22)으로 완전히 연장되지는 않는다. 스포크(12)의 이러한 휘어짐은, 스포크(12)가 정지해 있고 압축 또는 인장력이 부여되지 않을 때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스포크(12)의 이러한 휘어짐은, 스포크(12)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스포크가 압축이 가해질 때, 및 스포크에 인장력이 가해질 때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명확성을 위해 스포크(12)를 길이 방향(20)으로 연장되지 않는 것으로서 예시하고 있지만, 허브(16) 및 트레드(18)에 연결되는 경우 스포크(12)가 실제로 길이 방향(20)에 있어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양한 배열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홈(34), 제1 리브(36), 복수의 제1홈(42), 복수의 제2홈(44), 제1행(52), 제2행(54), 일련의 제1홈(58), 일련의 제2홈(60), 일련의 제3홈(64), 및 일련의 제4홈(66) 등의 본 명세서에서 평행한 것으로 설명된 특징부들은 스포크(12)의 제1면(30) 또는 제2면(32)의 표면을 따라 평행하다는 점에서, 평행하다. 스포크(12)가 허브(16)로부터 연장 시에 휘어져 반경 방향(22)과 길이 방향(20)으로 연장되면, 스포크(12) 상의 특징부들은 개시된 바와 같이 여전히 평행하며, 그 이유는, 길이 방향(20)으로 연장됨으로 인해 면(30, 32)의 표면이 휘어지더라도 이러한 특징부들이 면(30, 32)의 이러한 표면을 따라 평행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청구범위에서 평행한 것으로서 규정되는 바와 같이, 특징부들은, 스포크가 휘어지지 않고 이에 따라 길이 방향(20)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스포크(12)가 평평한 경우 스포크(12)가 허브(16)로부터 길이 방향(20)으로부터 연장된다면 평행하다. 스포크(12)는, 제조 중에 드래프트 각도를 제공받을 수도 있으며, 축 방향(24)으로 완벽하게 평평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포함되는 주제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본 발명의 주제는 다음에 따르는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대안, 수정, 및 균등물을 포함하고자 하는 것이다.

Claims (20)

  1. 타이어로서,
    허브(hub); 및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포크(spoke)로서, 상기 스포크는 상기 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면과 제2면을 갖고, 상기 스포크는 상기 제1면 내로 연장되는 홈을 갖는 균열 억제 특징부(특징부(crack suppression feature)를 갖고, 상기 홈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스포크를 포함하는,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는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홈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스포크의 전체 반경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홈은 반원 단면 형상을 갖는, 타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 억제 특징부는 복수의 리브(rib)와 복수의 얇은 섹션(thin section)을 갖고, 상기 리브들 중 연속되는 리브들은 상기 타이어의 축 방향으로 상기 얇은 섹션들 중 연속되는 얇은 섹션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스포크는 베이스(base)를 갖고, 상기 얇은 섹션들은 상기 베이스에 위치되고, 상기 리브들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기 얇은 섹션들, 및 상기 리브들은 서로 일체로 형성된, 타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 상에는 어떠한 홈도 없는, 타이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제1면 내로 연장되고 상기 타이어의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기 균열 억제 특징부의 복수의 제1홈 중 하나이고, 상기 복수의 제1홈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균열 억제 특징부는 상기 제2면 내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홈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제2홈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된, 타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는 복수의 제1 리브가 위치하고, 상기 제1 리브들 중 연속하는 리브들은 상기 축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1홈 중 연속하는 제1홈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리브와 상기 복수의 제1홈은, 상기 제1면이 상기 축 방향으로 사인파 형상을 갖도록 형상화되고; 그리고
    상기 제2면에는 복수의 제2 리브가 위치하고, 상기 제2 리브들 중 연속하는 리브들은 상기 축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2홈 중 연속하는 제2홈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리브와 상기 복수의 제2홈은, 상기 제2면이 상기 축 방향으로 사인파 형상을 갖게 하는 형상을 갖는, 타이어.
  9. 타이어로서,
    허브; 및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포크로서, 상기 스포크는 상기 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면과 제2면을 갖고, 상기 스포크는, 와플 패턴을 형성하도록 교차하는 복수의 리브를 갖는 균열 억제 특징부를 상기 제1면에 갖는, 상기 스포크를 포함하는, 타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에 의해 복수의 다이아몬드 형상의 공동이 규정되는, 타이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제1행의 나머지 리브들에 모두 평행한 리브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1면의 표면을 따른 일련의 상기 제1행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리브는, 제2행의 나머지 리브들에 모두 평행한 리브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1면의 표면을 따른 일련의 상기 제2행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행의 리브들은 상기 제2행의 리브들과 교차하는, 타이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의 리브들은 상기 타이어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행의 리브들은 상기 타이어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이어.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는 베이스를 갖고, 상기 복수의 리브는 반원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2면 상에는 어떠한 리브도 구비하지 않은, 타이어.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 억제 특징부는 상기 제2면에 있고, 상기 제2면에 있는 상기 균열 억제 특징부는 와플 패턴을 형성하도록 교차하는 복수의 리브를 갖고, 상기 스포크는, 상기 제1면에서의 상기 복수의 리브와 상기 제2면에서의 상기 복수의 리브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를 갖고, 상기 제1면에서의 상기 복수의 리브는 반원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2면에서의 상기 복수의 리브는 반원 단면 형상을 갖는, 타이어.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는 상기 반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tread)로 연장되고, 상기 스포크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트레드로 연장되는, 타이어.
  16. 타이어로서,
    허브; 및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포크로서, 상기 스포크는 상기 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면과 제2면을 갖고, 상기 스포크는 일련의 제1홈과 일련의 제2홈으로 배열된 복수의 홈을 갖는 균열 억제 특징부를 상기 제1면에서 갖고, 상기 일련의 제1홈은 와플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일련의 제2홈과 교차하는, 상기 스포크를 포함하는, 타이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제1홈은 상기 타이어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일련의 제2홈은 상기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이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는 베이스를 갖고, 상기 일련의 제1홈과 상기 일련의 제2홈 사이에 다이아몬드 형상의 돌출부가 위치하는, 타이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는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이어.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 억제 특징부는 상기 제2면에 있고, 상기 제2면에 있는 상기 균열 억제 특징부는, 일련의 제3홈과 일련의 제4홈으로 배열된 복수의 홈을 갖고, 상기 일련의 제3홈은 상기 일련의 제4홈과 교차하여 와플 패턴을 형성하는, 타이어.
KR1020187008984A 2015-08-31 2016-08-29 비공압식 타이어 KR201800424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5/047703 WO2017039604A1 (en) 2015-08-31 2015-08-31 Non-pneumatic tire
USPCT/US2015/047703 2015-08-31
PCT/US2016/049232 WO2017040390A1 (en) 2015-08-31 2016-08-29 Non-pneumatic t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425A true KR20180042425A (ko) 2018-04-25

Family

ID=54064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984A KR20180042425A (ko) 2015-08-31 2016-08-29 비공압식 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03233B2 (ko)
EP (1) EP3344471B1 (ko)
JP (1) JP2018532646A (ko)
KR (1) KR20180042425A (ko)
CN (1) CN108136819B (ko)
WO (2) WO20170396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15483C (en) 2013-06-15 2021-11-16 Ronald Thompson Annular ring and non-pneumatic tire
WO2016126983A1 (en) 2015-02-04 2016-08-11 Advancing Mobility, Llc. Non-pneumatic tire and other annular devices
JP2018083458A (ja) * 2016-11-21 2018-05-3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非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二輪車
EP3638515B1 (en) * 2017-06-15 2023-04-05 Camso Inc. Wheel comprising a non-pneumatic tire
US11993109B2 (en) 2017-12-21 2024-05-28 Camso Inc. Wheel comprising a non-pneumatic tir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5378A (en) * 1935-06-20 1941-03-18 James V Martin Tire and wheel combination
EP0552132B1 (de) * 1992-01-16 1997-01-15 Sulzer Innotec Ag Rad für Schienenfahrzeuge, insbesondere Eisenbahnfahrzeuge
ATE378193T1 (de) * 2001-08-24 2007-11-15 Michelin Soc Tech Nicht- pneumatischer reifen
DE10146972B4 (de) * 2001-09-24 2006-08-24 Stahlschmidt & Maiworm Technics Gmbh Rad für ein Kraftfahrzeug
EP2177375A4 (en) * 2007-07-31 2013-07-17 Toyo Tire & Rubber Co NON-PNEUMATIC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64896B1 (ko) * 2007-11-14 2011-09-16 전영일 비공기식 바퀴, 그에 사용되는 휠, 서스펜션 및 타이어
US8646497B2 (en) * 2010-09-16 2014-02-11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ln Passive tuned vibration absorber
US9205703B2 (en) * 2012-02-07 2015-12-08 Geo Plastics Wheel and hub assemblies removable without tools
JP5520334B2 (ja) * 2012-04-04 2014-06-1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356116B2 (ja) * 2012-04-05 2018-07-11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 耐久性が向上させられ最適厚を有するタイヤ用スポーク
US9962994B2 (en) * 2013-05-22 2018-05-08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Airless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228604B2 (ja) * 2013-06-11 2017-11-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非空気式タイヤ
CN204586330U (zh) * 2015-04-24 2015-08-26 正兴车轮集团有限公司 一种增强散热的轻量化轮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36819B (zh) 2021-06-04
WO2017039604A1 (en) 2017-03-09
JP2018532646A (ja) 2018-11-08
WO2017040390A1 (en) 2017-03-09
CN108136819A (zh) 2018-06-08
US11203233B2 (en) 2021-12-21
US20180250986A1 (en) 2018-09-06
EP3344471B1 (en) 2020-01-29
EP3344471A1 (en)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2425A (ko) 비공압식 타이어
EP2834082B1 (en) Spoke for a tire with optimized thickness for improved durability
EP3187346B1 (en) Pneumatic tire
US11945262B2 (en) Utility vehicle tyres
JP2009149297A (ja) サイプを備えた空気入りタイヤトレッド及び型ブレード
CA2434207A1 (en) Pneumatic tire
JP6774307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170326915A1 (en) Non-pneumatic tire
RU2016136006A (ru) Расширяемый брекерно-протекторный барабан с сегментами переменной кривизны
JP4450793B2 (ja) タイヤ加硫金型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
JP6671874B2 (ja) 建設車両用タイヤ
JP6690927B2 (ja) モールドピン及び空気入りタイヤ
US20180154701A1 (en) Pneumatic tire
ES2846048T3 (es) Neumático con flancos ondulados de alta resistencia
WO2019240198A1 (ja) タイヤ
JP7418197B2 (ja) 非空気圧タイヤ
JP5767566B2 (ja) 樹脂プーリ
JP6774306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530183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747138B1 (ko) 스터드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KR20130064179A (ko) 노면상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탄력봉
CN111405977B (zh) 包括硬化结构的模制元件
KR101435291B1 (ko) 비드부가 개선된 공기입 타이어
WO2018198471A1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530157B1 (ko) 공기입 중하중용 래디얼 타이어의 그루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