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790A -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790A
KR20130062790A KR1020110129235A KR20110129235A KR20130062790A KR 20130062790 A KR20130062790 A KR 20130062790A KR 1020110129235 A KR1020110129235 A KR 1020110129235A KR 20110129235 A KR20110129235 A KR 20110129235A KR 20130062790 A KR20130062790 A KR 20130062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etter
word
out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3532B1 (ko
Inventor
황규동
Original Assignee
(주)세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스넷 filed Critical (주)세스넷
Priority to KR1020110129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5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답 단어와 오답 단어를 구분해서 정답 단어와 오답 단어에 대한 학습 횟수를 조절하여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단어 및 문장을 학습할 수 있는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동작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학습 단어를 글자, 발음 및 이미지로 출력하고, 상기 학습 단어의 글자 또는 이미지를 발음과 함께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글자 또는 이미지의 선택 여부를 검출하는 학습 과정과, 상기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이미지를 정답 글자 및 오답 글자와 함께 출력하여 정답 글자 또는 오답 글자의 선택 결과를 검출하는 반복 학습 과정과, 과거의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단어의 이미지와 상기 반복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단어의 이미지를 정답 글자 및 오답 글자와 함께 출력하여 정답 또는 오답 글자의 선택 결과를 검출하는 복습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복습 결과에 따라 학습 단어의 복습 주기와 반복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학습 단어의 글자 및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학습 단어의 발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답 단어와 오답 단어를 구분해서 정답 단어와 오답 단어에 대한 학습 횟수를 조절하여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단어 및 문장을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답 단어와 오답 단어를 구분해서 정답 단어와 오답 단어에 대한 학습 횟수를 조절하여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단어 및 문장을 학습할 수 있는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모가 자녀를 교육하는 방법은 다양한 숫자 카드나 게임 도구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거나, 동화책 등을 이용하여 언어 학습을 수행하거나, 어학용 음원 또는 비디오 등의 영상물을 이용한 시청각 학습을 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학습을 위한 도구로서, 학습 대상자에게 숫자나 글자, 단어, 각종 사물 등을 학습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는 전통적으로 학습판이나 그림판 등이 사용되어져 왔다.
상기 학습 도구들은 다수의 글자, 숫자 또는 그림 등을 배열한 이미지의 인쇄물로서, 시각적인 부분에만 의존하는 학습도구이기 때문에, 발음 학습에는 효과가 없었고 집중력이 낮은 학습 대상자들의 주의를 끌기 어려워 학습 효과 또한 크지 않았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학습 도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상호적인 학습 방식을 제공하는 학습 도구 형식의 전자 단말기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단말기는 예를 들면, 학습자가 복수의 글자나 숫자, 그림 등이 화면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특정 부분을 누르거나 또는 별도의 입력 수단을 통해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부분에 대응하는 글자나 숫자, 그림과 관련된 음성이나 멜로디 등이 출력되도록 하여 학습자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 단말기 형태의 학습 도구를 사용하더라도, 단말기 구입시 제공되는 이미지 이외에 다른 글자나 숫자, 그림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는 제공받기 어렵기 때문에 학습자마다 관심분야가 서로 다르고, 또한 학습의 성취도가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내용의 학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 학습 도구는 오답 단어와 정답 단어의 구분없이 단순한 반복 학습만을 수행함으로써, 효과적인 학습 효율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답 단어와 오답 단어를 구분해서 정답 단어와 오답 단어에 대한 학습 횟수를 조절하여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단어 및 문장을 학습할 수 있는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학습 장치로서,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동작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학습 단어를 글자, 발음 및 이미지로 출력하고, 상기 학습 단어의 글자 또는 이미지를 발음과 함께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글자 또는 이미지의 선택 여부를 검출하는 학습 과정과, 상기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이미지를 정답 글자 및 오답 글자와 함께 출력하여 정답 글자 또는 오답 글자의 선택 결과를 검출하는 반복 학습 과정과, 과거의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단어의 이미지와 상기 반복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단어의 이미지를 정답 글자 및 오답 글자와 함께 출력하여 정답 또는 오답 글자의 선택 결과를 검출하는 복습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복습 결과에 따라 학습 단어의 복습 주기와 반복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학습 단어의 글자 및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학습 단어의 발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학습 장치는 외부로부터 상기 학습 단어를 포함한 글자, 발음 및 이미지의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반복 학습 과정에서 오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는 추가 학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추가 학습 과정에서 상기 오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가 정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들 사이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복습 과정에서 정답으로 선택된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학습 단어는 일정 기간 동안 복습 과정에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상기 설정된 학습 단어가 복습 과정에서 출력되도록 하고, 정답 글자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 단어가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복습 과정에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며, 오답 글자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 단어를 반복 학습 단어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학습 방법으로서,
a) 제어부가 입력부를 통해 동작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입력된 동작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학습 단어를 글자, 발음 및 이미지로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출력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학습 단어의 글자 또는 이미지를 발음과 함께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글자 또는 이미지의 선택 여부를 검출하는 학습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학습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이미지를 정답 글자 및 오답 글자와 함께 출력하여 정답 글자 또는 오답 글자의 선택 결과를 검출하는 반복 학습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가 과거의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단어의 이미지와 상기 c)단계의 반복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단어의 이미지를 정답 글자 및 오답 글자와 함께 출력하여 정답 또는 오답 글자의 선택 결과를 검출하는 복습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복습 과정의 결과에 따라 학습 단어의 복습 주기와 반복 단어 설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방법은 상기 a)단계에서 출력되는 글자, 발음 및 이미지는 동화와 함께 출력되고, 상기 학습 단어는 상기 글자의 크기를 크게 출력하거나, 색상을 변경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하이라이트 시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b)단계의 학습 과정은 b-1) 상기 학습 단어의 발음과 글자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글자가 선택되면 상기 발음 및 글자와 함께 해당 이미지를 매칭시켜 출력하는 1차 학습 단계; 및 b-2) 새로운 학습 단어의 글자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글자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글자와 발음을 출력하는 2차 학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방법은 상기 1차 및 2차 학습 단계에서 학습된 단어를 글자와 이미지를 매칭시키는 게임을 통해 학습하는 게임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c)단계의 반복 학습 과정은 1회 학습 종료 후 2회 반복 학습부터 오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는 추가 학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오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는 정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들 사이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단계의 복습 과정은 정답으로 선택된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학습 단어는 복습 과정에서 일정 기간 동안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방법은 상기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상기 설정된 학습 단어가 복습 과정에서 다시 출력되도록 하고, 정답 글자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 단어가 일정 기간 동안 복습 과정에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며, 오답 글자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 단어를 c)단계의 반복 학습 단어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답 단어와 오답 단어를 구분해서 정답 단어와 오답 단어에 대한 학습 횟수를 조절하여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단어 및 문장을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어에 대한 정답률에 따라 해당 단어의 학습 횟수를 조절하여 경제적인 학습을 통해 학습자가 단시간에 많은 단어와 문장을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 는 도 3에 따른 학습 방법의 동화 학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 는 도 3에 따른 학습 방법의 1차 학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 은 도 3에 따른 학습 방법의 2차 학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 은 도 3에 따른 학습 방법의 게임 학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 은 도 7에 따른 게임 학습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도 3에 따른 학습 방법의 반복 학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 은 도 9에 따른 반복 학습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 은 도 3에 따른 학습 방법의 복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학습 장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장치(100)는 학습자가 단어 또는 문장 등을 학습할 수 있도록 소정의 입력 신호를 검출하고, 글자, 발음, 이미지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 폰 중 어느 하나이고, 입력부(110)와, 데이터 통신부(120)와, 제어부(130)와, 데이터 저장부(140)와, 화면 표시부(150)와, 음향 출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10)는 화면 표시부(150)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120)는 학습 장치(1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데이터 서버(미도시)와 접속되어 학습 단어를 포함한 글자, 발음 및 이미지의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학습 장치(100)가 예를 들면, 현재 설정된 학습 과정의 수행을 종료하면, 다음 과정의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부(110)로 입력된 동작 신호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학습 프로그램에 따라 학습 과정, 반복 학습 과정 및 복습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학습 프로그램은 동화를 통해 미리 설정된 학습 단어가 학습 대상 학습자에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학습 단어를 글자, 발음 및 이미지로 출력함으로써 학습 대상자가 쉽게 학습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써, 태블릿 PC나 스마트 폰에서 용이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앱 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학습 단어의 이미지(200) 또는 정답 글자(300)가 발음과 함께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출력된 이미지(200) 또는 정답 글자(300)의 선택 여부를 검출하는 학습 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이미지를 화면 표시부(150)를 통해 정답 글자 및 오답 글자와 함께 출력하고,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정답 글자 또는 오답 글자의 선택 결과를 검출하는 반복 학습 과정이 일정 횟수(예를 들면 3회) 이상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반복 학습 과정에서 오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는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하여 추가 학습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추가 학습 과정에서 상기 오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는 정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들 사이에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과거의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단어의 이미지와 상기 반복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단어의 이미지를 화면 표시부(150)를 통해 정답 글자 및 오답 글자와 함께 출력하여 정답 또는 오답 글자의 선택 결과를 검출하는 복습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복습 결과에 따라 학습 단어의 복습 주기와 반복 여부를 결정한 후 결정된 학습 단어와 결과를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복습 과정에서 정답으로 선택된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학습 단어는 일정 기간(예를 들면, 1개월) 동안 복습 과정에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여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하고, 또한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상기 설정된 학습 단어가 복습 과정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데이터 저장부(140)에서 독출하여 화면 표시부(150)로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정답 글자가 선택되면 상기 학습 단어가 일정 기간(예를 들면, 2개월) 동안 상기 복습 과정에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여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하며, 오답 글자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 단어를 반복 학습 단어로 재설정하여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140)는 메모리로 이루어진 데이터 저장수단으로서, 학습 프로그램과, 반복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단어의 정답률 및 오답률 등의 정보와, 반복 학습 단어에 대한 설정 정보와, 복습 결과에 따른 학습 단어의 복습 주기와 반복 단어로의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화면 표시부(150)는 제어부(130)가 출력하는 학습 단어의 글자 및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입력부(110)와 함께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터치 스크린이다.
상기 음향 출력부(160)는 제어부가 출력하는 학습 단어의 발음이 출력되도록하고, 정답 또는 오답을 선택하는지 여부에 따라 적절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피커이다.
(학습 방법)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학습 방법의 동화 학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는 도 3에 따른 학습 방법의 1차 학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3에 따른 학습 방법의 2차 학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7은 도 3에 따른 학습 방법의 게임 학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게임 학습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9는 도 3에 따른 학습 방법의 반복 학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반복 학습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1은 도 3에 따른 학습 방법의 복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방법은 미리 설정된 학습 단어가 포함된 동화를 출력하는 단계(S100)와, 1차 학습 단계(S200)와, 2차 학습 단계(S300)와, 게임 학습 단계(S400)와, 반복 학습 단계(S500)와, 복습 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화를 출력하는 단계(S100)는 제어부(130)가 입력부(110)를 통해 동화 출력을 위한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학습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학습 단어의 글자, 발음 및 이미지를 독출한 후 화면 표시부(150)와 음향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동화의 내용은 발음 및 글자가 출력되고, 상기 S100단계에서 동화와 함께 출력되는 학습 단어는 글자, 발음 및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130)가 동화 데이터를 구현하면서 이미지 글자, 발음을 화면 표시부(150)와 음향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S110)하고, 익힘을 위한 학습 단어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S120)하여 학습 단어가 출력되면, 해당 학습 단어의 발음 출력시 해당 학습 단어를 강조하기 위해 상기 글자의 크기를 크게 출력하거나, 색상을 변경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하이라이트 시켜서 출력(S130)함으로써, 학습자의 집중력이 증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동화 구현이 종료될 때(S140)까지 상기 S110 내지 S130 단계를 반복하여 동작한다.
상기 1차 학습 단계(S200)와 2차 학습 단계(S300)와, 게임 학습 단계(S400)는 동화를 출력하는 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학습 단어의 글자 또는 이미지를 발음과 함께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글자 또는 이미지의 선택 여부를 검출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 과정으로 상기 1차 학습 단계(S200)는 동화 구현이 종료되면, 1차 학습을 위한 학습 단어의 글자를 예를 들면, 화면 표시부(140)의 하단에 발음과 함께 출력(S210)되도록 한다.
이후 화면 표시부((140)의 중앙 또는 상단에 상기 학습 단어의 이미지가 출력(S220)되도록 한 후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이미지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230)하고, 상기 판단 결과 이미지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학습 단어의 발음을 문자 및 이미지와 함께 매칭시켜 강조하는 출력(S240)을 수행한다.
상기 S240단계를 수행한 후 제어부(130)는 상기 1차 학습이 종료될 때(S250)까지 상기 S210 내지 S240단계를 반복하여 동작하고, 상기 1차 학습이 종료되면 그 결과를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S260)한다.
한편, 상기 S210 내지 S240단계에서는 화면 표시부(150)의 하단에 글자가 나타나면 발음이 출력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미지가 나타나면 발음이 출력되는 실시예로 변경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1차 학습을 종료한 후 제어부(130)는 1차 학습에는 포함되지 않은 2차 학습을 위한 새로운 학습 단어의 글자(또는 이미지)를 화면 표시부(150)를 통해 출력(S310)하고 상기 출력된 글자(또는 이미지)가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S320)되면 상기 선택된 글자의 이미지와 발음을 화면 표시부(150) 및 음향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S330)한다.
상기 S330단계를 수행한 후 제어부(130)는 상기 2차 학습이 종료될 때(S340)까지 상기 S310 내지 S330단계를 반복하여 동작하고, 상기 2차 학습이 종료되면 그 결과를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S350)한다.
한편, 상기 S310 내지 S330단계에서는 화면 표시부(150)에 글자가 나타나고, 이를 선택하면 선택된 글자의 이미지와 발음이 출력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학습 단어의 이미지가 나타나고, 상기 이미지를 선택하면 해당 학습 단어의 글자와 발음이 출력되는 실시예로 변경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게임 학습 과정(S400)은 상기 1차 및 2차 학습 단계(S200, S300)에서 학습한 단어의 글자와 이미지를 매칭시키는 게임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게임 학습 단계로서, 상기 1차 및 2차 학습 단계(S200, S300)에서 학습한 단어를 검출(S410)하고, 상기 검출된 단어들의 글자 및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게임 포맷에 따라 배치 후 출력(S420)하여 게임을 실행(S430)하며, 상기 게임의 수행 결과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여 출력(S440)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흥미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8과 같이 학습 장치(100)의 화면 표시부 상에 다수의 이미지(200)와 정답 글자(300)를 출력한 후 해당 단어와 이미지가 매칭되도록 서로 연결하는 줄긋기 게임이 수행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줄긋기 게임은 단어와 이미지를 매칭시키는 게임 학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로 설명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게임이 종료되면 제어부(130)는 새로운 게임을 시작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S450)하고, 결과에 따라 상기 S410 내지 S440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거나, 상기 S440단계의 게임 결과를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S460)한다.
상기 S200 내지 S400단계의 학습 과정이 종료되면, 제어부(130)는 상기 S200 내지 S400단계의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이미지를 화면 표시부(150)를 통해 정답 글자 및 오답 글자와 함께 출력(S510)하고,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정답 글자 또는 오답 글자 중 어느 글자가 선택되는지 확인(S520)한다.
상기 S520단계에서 오답 글자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오답 음향을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S510단계를 다시 수행하고, 정답 글자가 입력되면 정답 확인 음향과 함께 정답 글자의 발음이 출력(S530)되도록 한다.
즉 도 10과 같이 학습 장치(100)의 화면 표시부에 이미지(200)와 함께 정답 글자(300)와 오답 글자(310)를 출력하고, 상기 정답 글자(300)와 오답 글자(310) 중 어느 하나의 선택 결과를 검출하는 반복 학습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S530단계를 수행한 후 제어부(130)는 상기 반복 학습이 1회 학습의 종료인지 여부를 판단(S540)하고, 1회 학습 중이면 상기 S510 내지 S530단계를 반복 수행하며, 상기 반복 학습이 1회 학습 종료 후 2회 이상의 반복 학습인 경우 오답 글자를 검출하여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S550)하고, 2회차 이상의 반복 학습에서는 상기 오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가 반복 학습 과정에서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추가 수행(S560)한다.
이때 상기 S560단계에서 상기 오답 글자는 정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들 사이에 출력되도록 하여 학습자의 단어 식별력과 암기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S500단계의 반복 학습 과정을 종료한 후 제어부(130)는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과거의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단어의 이미지와 상기 S500단계의 반복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단어의 이미지를 포함한 복습 단어를 검출(S610)하고, 상기 검출된 이미지 중 임의의 이미지를 정답 글자 및 오답 글자와 함께 출력(S620)하며, 상기 제어부(130)가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S620단계에서 출력된 이미지의 정답 또는 오답 글자의 선택 결과를 검출(S630)하는 복습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S630단계에서 임의의 학습 단어에 대한 정답 글자의 선택 횟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횟수를 일정 기간 동안 출력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기준값과 비교(S640)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 학습 단어가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S650)한다.
또한, 상기 S650단계에서 일정 기간(예를 들면, 1개월) 동안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된 학습 단어는 이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설정된 학습 단어가 복습 과정에서 다시 출력되도록 하고, 이때 정답 글자를 다시 선택하면 상기 학습 단어가 일정 기간(2개월) 동안 복습 과정에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며, 상기 복습 과정에서 오답 글자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 단어를 S500단계의 반복 학습 단어로 재설정하여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이후 복습 과정의 종료 여부를 판단(S660)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일정 횟수(예를 들면 5회) 이상 반복하여 복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복습 과정이 종료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복습 과정의 결과에 따라 학습 단어의 복습 주기와 반복 학습 단어로의 설정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 유도가 가능하고, 성취감을 통한 자발적인 학습 유도가 가능해 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한글을 이용한 단어의 학습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한자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다양한 글자를 이용한 단어의 학습에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학습 장치 110 : 입력부
120 : 데이터 통신부 130 : 제어부
140 : 데이터 저장부 150 : 화면 표시부
160 : 음향 출력부 200 : 이미지
300 : 정답 글자 310 : 오답 글자

Claims (14)

  1.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동작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학습 단어를 글자, 발음 및 이미지로 출력하고, 상기 학습 단어의 글자 또는 이미지를 발음과 함께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글자 또는 이미지의 선택 여부를 검출하는 학습 과정과, 상기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이미지를 정답 글자 및 오답 글자와 함께 출력하여 정답 글자 또는 오답 글자의 선택 결과를 검출하는 반복 학습 과정과, 과거의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단어의 이미지와 상기 반복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단어의 이미지를 정답 글자 및 오답 글자와 함께 출력하여 정답 또는 오답 글자의 선택 결과를 검출하는 복습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복습 결과에 따라 학습 단어의 복습 주기와 반복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학습 단어의 글자 및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학습 단어의 발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학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장치는 외부로부터 상기 학습 단어를 포함한 글자, 발음 및 이미지의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반복 학습 과정에서 오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는 추가 학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추가 학습 과정에서 상기 오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가 정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들 사이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습 과정에서 정답으로 선택된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학습 단어는 일정 기간 동안 복습 과정에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상기 설정된 학습 단어가 복습 과정에서 출력되도록 하고, 정답 글자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 단어가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복습 과정에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며, 오답 글자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 단어를 반복 학습 단어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장치.
  7. a) 제어부가 입력부를 통해 동작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입력된 동작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학습 단어를 글자, 발음 및 이미지로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출력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학습 단어의 글자 또는 이미지를 발음과 함께 출력하여 상기 출력된 글자 또는 이미지의 선택 여부를 검출하는 학습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학습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이미지를 정답 글자 및 오답 글자와 함께 출력하여 정답 글자 또는 오답 글자의 선택 결과를 검출하는 반복 학습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가 과거의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단어의 이미지와 상기 c)단계의 반복 학습 과정에서 학습한 단어의 이미지를 정답 글자 및 오답 글자와 함께 출력하여 정답 또는 오답 글자의 선택 결과를 검출하는 복습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복습 과정의 결과에 따라 학습 단어의 복습 주기와 반복 단어 설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출력되는 글자, 발음 및 이미지는 동화와 함께 출력되고, 상기 학습 단어는 상기 글자의 크기를 크게 출력하거나, 색상을 변경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하이라이트 시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학습 과정은 b-1) 상기 학습 단어의 발음과 글자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글자가 선택되면 상기 발음 및 글자와 함께 해당 이미지를 매칭시켜 출력하는 1차 학습 단계; 및
    b-2) 새로운 학습 단어의 글자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글자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글자와 발음을 출력하는 2차 학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학습 단계에서 학습된 단어를 글자와 이미지를 매칭시키는 게임을 통해 학습하는 게임 학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반복 학습 과정은 1회 학습 종료 후 2회 반복 학습부터 오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는 추가 학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는 정답 글자를 선택한 학습 단어들 사이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복습 과정은 정답으로 선택된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학습 단어는 복습 과정에서 일정 기간 동안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상기 설정된 학습 단어가 복습 과정에서 다시 출력되도록 하고, 정답 글자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 단어가 일정 기간 동안 복습 과정에서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며, 오답 글자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 단어를 c)단계의 반복 학습 단어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KR1020110129235A 2011-12-05 2011-12-05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 KR101333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235A KR101333532B1 (ko) 2011-12-05 2011-12-05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235A KR101333532B1 (ko) 2011-12-05 2011-12-05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790A true KR20130062790A (ko) 2013-06-13
KR101333532B1 KR101333532B1 (ko) 2013-11-28

Family

ID=4886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235A KR101333532B1 (ko) 2011-12-05 2011-12-05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5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371A (ko) * 2020-10-26 2022-05-03 하원복 연상카드와 매칭 테스트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55066A (ko) * 2020-10-26 2022-05-03 원성희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382Y1 (ko) * 2000-05-12 2000-10-02 김삼유 영어교육 및 시험을 위한 클라이언트 시스템
KR101088406B1 (ko) * 2008-06-27 2011-12-01 주식회사 유진로봇 유아교육시 로봇을 이용한 양방향 학습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258885B1 (ko) * 2009-05-29 2013-04-29 임현숙 모든 언어에 적용되는 언어 학습 장치
KR100954498B1 (ko) * 2009-09-23 2010-04-22 이창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371A (ko) * 2020-10-26 2022-05-03 하원복 연상카드와 매칭 테스트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55066A (ko) * 2020-10-26 2022-05-03 원성희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532B1 (ko)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82966A1 (en) Literacy system
JP5318572B2 (ja) 音声発音教育装置並びに音声発音教育方法および音声発音教育プログラム
US9881509B2 (en) Educational toy simulator
CN108628940B (zh) 信息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Stewart et al. Integrating Language Skills through a Dictogloss Procedure.
JP6963302B2 (ja) 漢字学習装置
JP2017219718A (ja) プログラミング学習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5113381A1 (en) System and method to learn a language using physical objects on an interactive surface
KR101987888B1 (ko) 영어 단어 암기 장치 및 그 방법
KR101333532B1 (ko)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
KR102341462B1 (ko) 게임 기반의 외국어 단어 학습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101380692B1 (ko) 온라인 학습장치 및 온라인 학습방법
KR2009003833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2130B1 (ko) 학생 참여형 다자학습 영어교육 시스템,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방법 및 그 교습법
TW201816636A (zh) 書籍內容數位化互動系統及方法
Islam et al. Interactive digital learn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students in Bangladesh
HU226347B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handwriting and reading
CN111079413A (zh) 一种听写检测方法及电子设备
KR20110024880A (ko)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문장 학습 방법 및 시스템
JP3590580B2 (ja) 綴り学習方法及びシステム
CN114661196A (zh) 一种习题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JP2022064946A (ja) 書取り学習支援システム、書取り学習支援サーバ、書取り学習支援装置、書取り学習支援方法、及び書取り学習支援プログラム
KR101440394B1 (ko) 단어 학습 방법
KR101206306B1 (ko)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시스템 및 언어학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