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885B1 - 모든 언어에 적용되는 언어 학습 장치 - Google Patents

모든 언어에 적용되는 언어 학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885B1
KR101258885B1 KR1020100050545A KR20100050545A KR101258885B1 KR 101258885 B1 KR101258885 B1 KR 101258885B1 KR 1020100050545 A KR1020100050545 A KR 1020100050545A KR 20100050545 A KR20100050545 A KR 20100050545A KR 101258885 B1 KR101258885 B1 KR 101258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user
input
uni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233A (ko
Inventor
차창호
임현숙
Original Assignee
임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현숙 filed Critical 임현숙
Publication of KR20100129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언어 학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단어와 연관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 각각의 단어와 연관된 복수 개의 예시문 데이터 저장하는 저장부; 및 특정 단어가 선택되면, 선택된 단어와 연관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복수 개의 예시문 데이터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예시문 데이터가 선택된 단어와 함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든 언어에 적용되는 언어 학습 장치{Apparatus for language learning appllied to whole language}
본 발명은 모든 언어에 적용되는 언어 학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어 및 한국어 등을 포함한 모든 개별 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언어 학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언어학에서는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에 대한 개념이 일반적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으나, 사실상 외국어를 배우려는 노력을 할 때에는 이미 외국어 원어민의 문법적 지식이 생성되어 일차원적으로 표현된 언어 자료(음성언어, 문자언어)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대부분의 외국어 학습자들은 상당한 시간을 훈련하고 나서야 원어민의 문법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암기를 전제로 한 기존의 단어와 문법 학습은 망각을 전제로 한 방식이므로 시간투자와 노력대비 비효율적이며, 산술적인 두뇌활동을 통해 듣고 말하게 되므로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외국어 교수법들이 수험 위주로 개발되어, 외국어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언어 소통 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지금의 외국어 교육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단순 암기가 아닌, 좌뇌와 우뇌의 협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염상 방식의 외국어 학습 방법을 통해 문장을 통한 언어 습득을 가능하게 하고, 어휘의 망각이 최소화되며 문법에 대한 별도의 학습 없이 유창한 언어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언어 학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언어 학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단어와 연관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 상기 각각의 단어와 연관된 복수 개의 예시문 데이터 저장하는 저장부; 및 특정 단어가 선택되면, 선택된 단어와 연관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복수 개의 예시문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예시문 데이터가 상기 선택된 단어와 함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는 저장된 각각의 예시문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예시문 데이터가 상기 선택된 단어와 함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할 때, 표시되는 예시문 데이터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예시문 데이터가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플래시, 비디오, 그림, 만화, 및 사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예시문 데이터가 상기 선택된 단어와 함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할 때, 현재 표시되는 이미지의 순번과 상기 입력받은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의 총 수가 함께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특정 단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특정 단어를 입력받으면, 상기 입력받은 단어와 연관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복수 개의 예시문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예시문 데이터가 상기 선택된 단어와 함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자소 입력 키들을 구비하고, 상기 자소 입력 키들은 경음이 발생하는 자음 'ㄱ','ㄷ','ㅂ','ㅅ', 및 'ㅈ'이 각각 단독으로 배치되어 있는 자소 입력 키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알파벳 입력 키들을 구비하고, 상기 알파벳 입력 키들은 조음 방법, 조음 위치, 성대의 진동 유무, 및 사운드 스펙트럼(sound spectru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변별적 자질이 유사한 알파벳 자음들이 함께 배열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알파벳 입력 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예시문 데이터가 상기 선택된 단어와 함께 순차적으로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녹음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녹음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현재 표시되는 특정 단어에 대한 철자법 학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 단어의 철자법이 문자적 설명이나 이미지 데이터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단순 암기가 아닌, 좌뇌와 우뇌의 협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염상 방식의 외국어 학습 방법을 통해 문장을 통한 언어 습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어휘의 망각이 최소화되며 문법에 대한 별도의 학습 없이 유창한 언어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어휘 별 철자를 외우기 위해 소모되는 불필요한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언어에 적용되는 언어 학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A를 포함한 5개의 모음과 'Silent E'와의 활용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자법 학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자법 학습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언어에 적용되는 언어 학습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언어에 적용되는 언어 학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장치(100)는 입력부(110), 학습방법 설정부(120), 표시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입력부(110)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자소 입력 키들 또는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알파벳 입력 키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입력부(110)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자소 입력 키들을 구비하는 경우, 자소 입력 키들은 경음이 발생하는 자음 'ㄱ','ㄷ','ㅂ','ㅅ', 및 'ㅈ'이 각각 단독으로 배치되어 있다(도 2참조).
본 발명에서는 경음이 발생하는 자음을 독립적으로 키 패드 상에 배치하고, 그 중 어느 하나의 입력 키가 중복(2회 연속하여 입력) 입력되는 경우, 해당 입력 키에 배치된 자음의 경음이 특정되도록 한다. 예컨대, 'ㄱ'이 배치된 입력 키가 2회연속 입력되는 경우, 경음 'ㄲ'이 특정된다. 키패드 상의 입력 키에 각각 단독으로 배치된 자음 'ㄱ', 'ㄷ', 'ㅂ', 'ㅈ'은 경음이 발생하는 자음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격음이 발생하는 자음이기도 하다. 즉, 자음 'ㄱ', 'ㄷ', 'ㅂ', 'ㅈ'은 획 추가를 하는 것 만으로 격음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격음이 발생하는 자음 'ㄱ', 'ㄷ', 'ㅂ', 및 'ㅈ'이 배치된 자소 입력 키들 중 어느 하나의 입력 키와 함께 특수문자 키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자음의 격음이 특정되도록 하였다. 이때, 특수문자 키에는 '*' 또는 'ㆍ'과 같은 심볼을 배치하여 사용자가 기본 자음에 활용할 수 있는 추가획임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로 하여금 경음 및 격음의 입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경음 및 격음을 구현하기 위한 키 입력 횟수를 종래 자판 입력 방식에 비해 훨씬 저감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입력부(110)가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알파벳 입력 키들을 구비하는 경우, 알파벳 입력 키들은 조음 방법, 조음 위치, 성대의 진동 유무, 및 사운드 스펙트럼(sound spectru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변별적 자질이 유사한 알파벳 자음들이 함께 배열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알파벳 입력 키를 구비한다.
영어 알파벳의 모음(A, E, I, O, U, Y)과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10개의 알파벳 입력키(0~9)와 특수문자 입력키('*', '#')로 구성된 키패드(도 4 참고)를 포함한다.
10개의 알파벳 입력키 각각에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복수의 알파벳이 할당되어 있다. 본 발명의 원리는, 로마자를 사용하는 언어들을 변별적 자질(Distinctive feature)에 따라 분류하여 배열할 수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확립되었다. 또한, 영어에 있어서는 발음시의 조음 형태와 변별적 자질에 따른 분류가 크게 차이가 없을 수 있지만, 로마자를 사용하는 다른 언어들의 경우 발음시 조음 형태와 변별적 자질에 따른 분류가 크게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확립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변별적 자질'이란 한 음성형식을 단지 그것만의 차이에 의하여 다른 음성형식과 구별시켜 주는 음적 특성을 의미한다. 종래의 언어학의 최소단위를 음운(音韻)으로 본 데 비하여 음운을 더 나누어서 변별적 자질의 묶음으로 보는 견해에 의하여 발달된 개념이다. 변별적 자질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로, 조음 방법, 조음 위치 및 성대의 진동 유무를 자질로 삼는 조음적 자질이고, 둘째는, 음성실험기기의 발달에 따라 사운드 스펙트럼(Sound spectrum)에너지가 집중되는 주파수에 따른 특성을 자질로 삼는 음향적 자질이다.
각 입력 키에 할당되어 있는 알파벳들은 1회 입력마다 1행에 있는 알파벳이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특정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B, M, P, ='가 2행2열의 구조로 할당되어 있는 입력 키를 1회 누를때 마다 'B','M'이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특정된다.
그리고, 특수문자 입력키 중 하나(예컨대, '*')는 각 입력 키의 2행에 있는 알파벳 또는 특수문자를 특정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알파벳 'B'를 입력하고 연속해서 특수문자 '*'를 입력하면 'B'가 할당된 열의 하위 행에 할당된 'P'가 특정된다. 그리고, 알파벳 'M'를 입력하고 연속해서 특수문자 '*'를 입력하면 'M'가 할당된 열의 하위 행에 할당된 특수문자 '='가 특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알파벳의 특정 방식은 도 4에서 2행 2열의 자판 배열 구조를 갖는 입력 키들 에 모두 적용된다.
변별적 자질에 따른 본 발명의 자판배열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자판 배열을 익히는 것이 용이하고, 그로 인해 자판 입력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음을 특정하고자 때, 2회 입력 이내에서 모든 자음을 특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기존 자판에 비해 2/3 수준으로 입력 회수가 줄어들게 된다
학습방법 설정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 입력값을 입력받아,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목적, 학습량, 성향 등에 언어 학습방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학습방법 설정부(120)는 학습단어 설정부(121), 학습방법 선택부(122), 시간 설정부(123), 녹음 설정부(124), 및 테스트 설정부(125)를 구비한다.
학습단어 설정부(121)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될 단어의 종류(군)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학습단어 설정부(121)를 통해 기본단어, 중학단어, 고등단어, 토플, 토익, GRE, GMAT, 일상회화, 테마단어 중 어느 하나의 군에 속해 있는 단어들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단어 설정부(121)는 설정된 단어들의 표시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단어와 함께 표시되는 이미지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이미지와 함께 표시되던 단어를 미래분사와 함께 두 개의 이미지로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학습단어 설정부(121)는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될 단어의 개수를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값에 따라 설정한다. 예를 들어, 토플 단어 군에서 1000개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1000개의 단어들은 각각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여기서, 이미지 데이터는 플래시, 비디오, 그림, 만화, 및 사진 등이 될 수 있다.
학습방법 선택부(122)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값에 따라 언어 학습 방법을 선택하여 설정한다.
사용자는 다음 중 하나의 학습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특정 단어와 함께 표시되는 이미지, 예시문, 및 음성은 서로 시간적으로 차이를 두고 표시될 수 있다. a) 특정 단어, 그리고 그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를 함께 출력. b) 특정 단어, 그리고 그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 및 예시문을 함께 출력. c) 특정 단어, 그리고 그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 및 음성을 함께 출력. d) 특정 단어, 그리고 그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 예시문, 및 음성을 함께 출력.
시간 설정부(123)는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되는 단어의 표시(출현) 시간을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값에 따라 설정한다. 사용자는 시간 설정부(123)를 통해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되는 단어, 그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 예시문 또는 음성이 출력되는 시간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녹음 설정부(124)는 표시부(130)에 의해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예시문 데이터가 특정 단어와 함께 순차적으로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녹음하여 메모리(140)에 저장한다. 이에 사용자는 화면에 특정 단어 및 예시문이 표시되거나, 스피커를 통해 해당 단어와 관련된 음성이 출력 될 때마다 발음을 연습한 뒤,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성을 이용하여 자신의 발음 변화를 비교할 수 있다. 물론, 사전에 메모리(140)에 저장된 기계음과 자신의 발음을 비교할 수도 있다.
테스트 설정부(125)는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 결과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테스트 방식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리를 듣고 네 개의 그림 중 맞는 것을 고르거나, 그림은 보고 사지 선다형 문장에서 답을 고르거나, 소리를 듣고 사지 선다형 문장에서 답을 고르거나, 문장을 보고 네 개의 그림 중에서 답을 고르게 할 수 있다. 이때, 각 단계 마다 성공과 실패에 따른 효과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두 가지 이상의 테스트를 통과하여 학습되었다고 판단되는 단어는 자동으로 학습 단어 목록에서 제외한다. 물론, 사용자가 테스트 설정부(125)를 통해 인위적으로 해당 단어들을 학습한 단어로 분류할 수도 있다.
또한, 테스트 설정부(125)는 최근 사용자가 학습한 단어들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수만큼 테스트할 단어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게 하며, 테스트 결과에 따라 학습한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단어들의 개수만큼 새로운 단어들이 보충되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150)에 의해 추출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예시문 데이터를 선택된 단어와 함께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표시부(130)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다양한 언어(예컨대, 영어, 한국어 등)들의 단어 데이터, 각각의 단어와 연관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 각각의 단어와 연관된 복수 개의 예시문 데이터, 및 각각의 예시문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 저장한다. 여기서, 메모리(140)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저장부'에 해당한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10)를 통해 특정 단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단어와 연관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복수 개의 예시문 데이터를 메모리(14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예시문 데이터가 입력받은 단어와 함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부(130)를 통해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하거나 두 개 또는 세 개의 화면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수 있다. 특히, 단어에 대한 어법을 같이 표시해주는 경우 화면 분할이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메모리(140)로부터 추출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예시문 데이터가 특정 단어와 함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할 때, 표시되는 예시문 데이터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예시문 데이터가 스피커(도시생략)를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메모리(140)로부터 추출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예시문 데이터가 상기한 선택된 단어와 함께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할 때, 현재 표시되는 이미지의 순번과 입력받은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들의 총 수가 함께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10)를 통해 특정 키(예, 도 2의 '철자' 키)가 선택되는 경우(즉, 사용자로부터 철자법 학습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현재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되는 단어의 철자법이 문자적 설명이나 이미지 데이터(예, 동영상, 플래시)로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학사'의 경우 'ㅎ+ㅏ' 형상과 소리 '하'가 표시되고, 이어서 밭침이 들어간 '하+ㄱ'은 소리 '학'과 함께 표시된다. 이어서, 'ㅅ+ㅏ' 형상과 소리 '사'가 표시되고, 마지막으로 '학교'가 소리와 함께 표시된다. '요청'의 경우는 'ㅇ+ㅗ+*'와 'ㅈ+*+ㅓ+ㅇ'의 방식으로 쉽고 빠르게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자법 학습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단모음 학습 5단계와 E가 포함된 본래 모음 학습 5단계, 그리고 이중모음 학습 단계와 복자음 단계로 나누어 학습한다. 특히, 영문 규칙에 관한 교재나 교구를 제작할 때, 단계적인 학습으로 한글처럼 스펠링을 외우지 않을 수 있도록 복모음과 복자음을 하나의 소리로 묶어서 제작한다.
예를 들어, 'Au'는 '아우'가 아니라 '아'로 소리나는 이유와 함께 'Ou'가 '아우'로 소리나야 하는 원인이 되므로, 일관성 있는 모음의 조합과 자음의 조합을 하나의 카드로 만든다. 'Au','g','u','s','t' / 'C','ou','n','t' / 'C','a','ugh','t' / 's','i','g','n' / 'h','i','gh' / 'w','al','k' / 's','u','mm','e','r' / 's','u','mm','er' / 't','o','pp','i','ng' / 'S','a','m' / 'S','a','m','e' / 'S','a','me' 등에서 알 수 있듯이, 한글의 격음과 달리 영어는 자음의 중복이 앞에 오는 모음에 영향을 주도록 되어있음을 학습시킨다. 모음 역시 'AEIOU'의 다섯 모음으로는 모든 소리를 표시할 수 없기에, 파생된 복모음이나 자음 사이에 위치시켜 단모음의 형태를 따로 인식시킴으로써, 지금까지의 단어 철자법 학습과는 달리 별도로 스펠링을 외우지 않고도 한글처럼 영어를 쓰고 읽을 수 있다.
자음이나 모음의 복잡성은 단순한 단계부터 순차적으로 학습하도록 단계를 나누어 제작하므로 학습자의 성취를 높이게 된다. 이 방식은 컴퓨터나 학습기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카드를 이용한 어린이용 학습에도 활용된다. 즉, 카드마다 하나의 문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두 개 이상의 모음이나 자음, 혹은 복합적인 문자 조합이 존재한다. 또한, 카드의 일정 부분에 각 카드가 갖는 고유번호를 넣어, 어린이가 번호를 누르며 숫자에 대한 학습과 함께 배열된 카드의 조합을 소리로 인식하는 단순한 기계도 제작될 수 있다. 기계에는 숫자 누름 버튼이 있을 수도 있고, 카드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기능을 갖출 수도 있다. 기계는 인식된 카드의 조합을 소리로 구현해 주고, 실제 있는 단어의 경우에는 표시부에 해당 단어의 그림을 나타내줄 수도 있다. 이때 음향을 통해 성공적인 조합인지, 아닌지를 알릴 수도 있다. 카드의 숫자는 5~6단계를 통해 늘어나고, 늘어나는 만큼 카드로 조합 가능한 단어의 숫자와 난이도 역시 증가한다. 이때, 카드는 어린이들의 인지 상황을 고려하여 자음과 모음의 색깔을 다르게 하며, 자모가 복합적인 카드의 색상도 전혀 다르게 하거나, 자모가 표기된 부분만큼 자모의 색상을 구분한다. 영어의 경우뿐만 아니라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모든 언어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자음과 모음을 별도로 구분하여 학습하도록 한다. 한글에 있어서도 종래 'ㅌ'은 'ㄷ'에 첨자된 것이며 'ㅊ' 역시 'ㅈ'에 첨자된 형태임을 나타내는 카드를 제작하여 교육한다.
한편, 영어는 한국어와 다른 두 가지 큰 규칙을 전제로 하고 있다. 한국어는 "눈을 들어 내리는 눈을 보라"며 동음 이의어의 표기에 커다란 관용을 베푼다. 즉, 의미는 달라도 소리가 같거든 그냥 발음대로 쓰자는 약속이 바탕에 깔려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영어의 기본 틀을 만든 사람들은, 의미가 다른 동일한 소리의 단어는 다르게 표시해야 한다고 정의했다. 특히, 우리말 소리는 한자어에 바탕을 두었기에 너무도 많은 동일한 소리가 있을 수밖에 없는 현상에 비교하면, 영어의 이런 표기 방식은 오히려 영어를 이해하는데 방해가 되기도 한다.
한국어의 '강'을 간단하게 예로 들어도, 넓고 길게 흐르는 '강(江)', 굳고 센 '강(强)', 그리고 스승께 바친다는 익히고 배우는 '강(講)'이 있다. 이 외에도 사전에 보면, 중국의 이민족인 오호(五胡) 가운데, 중국 서방의 변두리에 흩어져 있던 티베트 계통의 유목 민족을 의미하는 '강(羌)'까지 그 범위는 방대하기만 하다. 이처럼 많은 '강'과 조합된 단어들까지 생각하면, 우리말에서 장단음의 표기가 제한된 이유를 알 수 있다.
하지만, 영어의 경우는 'to-too-two'나 'rite-write-right-wright'와 같이 같은 소리의 어휘도 뜻이 다르면 달리 표기하는 것이 첫 번째 규칙이다. 이와 더불어 또 다른 영어의 규칙은 소리의 길고 짧음을 구분하는 것이다. 한글은 먹는 배와 타는 배 혹은 아픈 배의 장단음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하게 표기하지만, 영어는 'red-read(read의 과거형)', 'led(lead의 과거형)-lead(납)'에서 알 수 있듯이 같은 소리이지만, 그 모음 길이의 길고 짧음까지 표현한다.
그러니, 우수한 한글을 통해 너무도 간편하게 소리를 문자화하는 우리에겐, 영어의 표기 방식이 불편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 약속의 기본을 알고 나면, 왜 영어의 단어들이 우리 눈에 비상식적으로 비추어졌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ee-sea', 'there-their'의 경우는 말소리의 길이마저 같으니 당연히 그 표기의 형태를 달리하려 노력한 것이고, 'Ted-instead'의 경우는 소리의 길고 짧음이 다르다는 것을 표현하려니 어쩔 수 없는 첨가가 일어나게 된 것이다.
물론, 영어 표기의 대표적인 약속을 이해했다고 하더라도, 또 다른 불규칙 때문에 결국 영어의 단어를 암기해버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우린 명확하게 '감-갬', '만-맨'처럼 'ㅏ'에 'ㅣ'를 붙이는 것으로 'ㅐ'라는 소리를 표시하는데, 영어는 A(에이)를 써서 'Cam', 'Ram', 'Sad'으로 우리말의 '애'와 비슷한 소릴 표현하니까, 한글에 익숙한 우리에겐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하지만, 영어 사용자의 그런 불편을 하나의 아집 혹은 고집이라고 이해하기 시작하면, 영어 단어의 형태를 외우지 않고 한글처럼 읽고 쓸 수 있다.
독일어를 예로 들어 비교하면, 독일인들은 A(아)라는 소리는 있는데, '애'라는 표기가 없으니까, 한글의 'ㅣ'처럼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01
(umlaut)'를 이용해 우리말의 '애'와 비슷한 소리를 표기했다. 이건 비단 독일뿐만 아니라 덴마크 등의 나라에서도 유사하게 사용되는 방식인데, 영국인들은 이렇게 쉽고 간단한 조합형 방식을 단호하게 거부했다. 라틴 문자를 받아들이기는 했지만, 독일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진 않았다. 가까운 일본이 말은 우리 것을 차용하고 문자는 중국에서 빌어 사용하면서도, 독창적인 언어 체계를 가진 것처럼 얘기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영어는 소위 조합형 모음의 사용을 거부하면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소리를 모음 다섯 개에 의존해 표현하려 애를 썼다. 별도의 첨가 없이 한정된 모음 A, E, I, O, U로 다양한 모음을 표기하려는 그들의 노력은, 소리에 따라 문자 배열에 차등을 두는 것으로 결정되고 말았다.
즉, 자음과 자음 사이에 다섯 개 모음 중에 하나가 들어가면, 본래의 모음과 다른 소리로 인식하는 방식이다. A는 '에이'라는 기본적인 소리를 가지고 있지만, 자음 사이에 있을 때는 '애'로 소리내자는 것이다. Bad, Cat, Dam, Fan, Gap, Hat, Jam, Lam, Man, Pan, Ram, Sad, Tam, Van 등의 예가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02
(umlaut)'와 같은 첨가 없이도 A를 '애'로 표기하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A라는 모음이 표기할 수 없는 '애' 비슷한 소리는 해결되었지만, 정작 본래의 소리인 A(에이)를 정의하기 위해서 또 다른 모습을 고안해야 했다. 바로 'Silent E' 라는 개념인데, 단어의 제일 마지막에 오는 E는 소리내지 않되, 그 앞에 있는 A를 본래의 '에이'로 소리내자는 약속이 바로 그것이다. Bade, Cate, Dame, Fane, Gape, Hate, Jame, Lame, Mane, Pane, Rame, Sade, Tame, Vane의 경우에서, 이러한 규칙을 확인할 수 있다.
정리하면, 모음 'ㅏ'에 다른 모음 'ㅣ'를 더하면 'ㅐ'가 된다는 우리의 조합형 성격의 규칙처럼, 영어는 A가 자음 사이에 있으면 '애'로 인식하고, 뒷 자음에 E가 따라오면 본래의 A로 인식하자고 규정한 것이다. 도 4는 A를 포함한 5개의 모음과 Silent E와의 활용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4에서 'Her', 'Here', 'Sir', 'Sir', 'Huge' 이외에는 앞서 Silent E의 활용에 충실히 부합된다. 즉, E가 있으면 모음 본연의 소리인 것이고, 자음 사이에 위치하면, A는 [æ]로, E는 [ε]로, I는 [i]로, O는 [Λ]로, U는 [e]로 발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말 사전에 발음기호가 필요하지 않은 것과 같은 이유로, 실제 영어권 사용자의 사전에 발음기호가 없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며, 말 그대로 표음문자이기에 소리를 표기하는 방식에 충실하면, 읽을 때에도 발음기호에 의존할 필요가 전혀 없다.
도 4에서 'Her', 'Here', 'Sir', 'Sir', 'Huge'는 기본 규칙에서 약간 벗어나는 것들이다. 그러나 이런 예외조차 규칙적이다. 특히, 조음의 형태와 어우러진 변화에 충실한 예외규정은 언어학자들조차 혀를 내두를 정도이다.
'Her'의 경우는 당연히 우리말의 '헤르'로 발음되어야 할 듯싶지만, 통상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03
]로 발음된다. 이건 비슷한 단어들의 형태를 보면 아주 간단한 원리이다. R 앞에 오는 모음들의 공통점을 살피는 것으로 충분하다. alter, anchor, bird, Burt 등의 단어에서 보듯이 R 앞에 온 모음들은 그 모습에 관계없이 모두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04
]로 발음된다. 그리고, 그 원인은 R이라는 문자의 조음 형태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우린 흔히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05
]이라고 인식하는 R의 올바른 조음은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06
]이다. 즉, 혀의 수축으로 이루어지는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07
] 소리에 이미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08
]의 모음적 성격이 포함되었기에, 두 발음기호가 병합된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09
]로 표기되는 것이다(사전에 따라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10
]로 표기되기도 한다).
따라서, 'Her'는 E의 규칙보다 R 규칙이 우선적으로 적용된 경우이고, 'Here'는 뒤에 온 Silent E의 영향으로 앞의 E가 본래의 소리인 [i]로 나면서 뒤의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11
]과 합쳐져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12
]로 소리나게 된다. 이 부분을 이해하고 나면 'Sir'와 'Sire'의 조음 차이도 파악할 수 있다.
단음 [i]가 R의 영향으로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13
]가 된 것이고, 후자는 E의 영향으로 모음의 본래 소리인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14
]로 변한 후, R에 포함된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15
]와 합쳐져서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16
]로 발음된 것이다. 결국 모음 본래의 변화에 특정 자음이 갖는 변화가 더해진다고 생각하면 간단하다. 일 예로, dire, fire, hire, sire, tire, wire, mire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의 'Huge[
Figure 112010034557313-pat00017
]'도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어서 우리말의 '휴그'가 아닌 '휴쥐'로 읽고 쓴다. 이 역시도 Silent E의 영향으로 모음은 본래의 소리를 찾게 되지만, 자음 G가 갖는 두 개의 소릿값인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18
]와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19
]의 분별 방식이 첨가되어, 소리가 달라지는 경우다.
즉, G가 다른 자음과 달리 두 가지 소리를 함께 가지고 있으므로, 그 구분을 위해 별도의 약속이 필요했던 것이다.
G와 함께 E나 I가 사용되면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20
]로 발음하고 그 외의 모음과 사용되면 본연의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21
]로 조음한다. Gen, Gentle, General, Genius, Gel이나 Gibber, Gill, Gin 등은 그 모습에서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22
]로 소리남을 알 수 있다. 물론 그 변화가 원숙하지 않아서 Ginkgo처럼 아직 두 가지 소리가 병행되기도 하고 Gear, Geese 처럼 모음이 길어지면 E 문자와 함께라도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23
]로 조음되기도 한다. Girl, Girt 등의 단어도 R의 영향으로 모음이 길어진 형태로 이해하면 된다.
간혹 G가 E나 I와 함께 사용되지만 [g]로 소리나는 경우도, 그 규칙이 정해져 있다. Guest, Guerrilla, Guess와 Guilty, Guiana, Guidance, Guild와 같이 U를 첨가해서 두 가지 필요성을 충족시키고 있다. 즉, 이때의 모음 U는 소리소가 아닌 단순한 자소로서의 역할만을 한다는 것이다. 한글에도 '삯'이나 '엌', '삶', '핥'과 같은 표기들이 존재하는 것에 비할 수 있다. 앞의 G가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24
]라는 표시를 해줄 뿐이다.
영어는 이렇듯 한글과는 사뭇 다른 표기 체계를 유지하면서 변화되어 있다. 지금의 한글이 창제 당시의 모습과 많이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영어도 보다 쉽고 간편한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앞뒤에 오는 자음에 따라 소릿값이 변하는 방식이다 보니, 음절수가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복잡성은 인정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이에 캐나다에서도 중학교 2~3학년까지 철자법 시험이 시행되고 있다. 한글 맞춤법 시험이 필요한 연령만 비교해도 한글의 우수성은 충분히 입증되는 셈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영어의 기본 표기를 파악하고 영어 단어를 접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하나씩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 생긴다. 특히, 동사의 분사 변화에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자음 중복의 이유가 대표적인 것이다. 'Name'은 'Naming'이나 'Named'로 표기되고, 'Shop'이라는 어휘의 분사는 'Shopping'이나 'Shopped'가 되어야 하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본래 분사 변화의 기본 규칙은 -ing나 -ed를 첨가하는 것인데, 단어가 E로 끝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그 E를 탈락시키고 -ing를 붙인다. 이때, '단모음+자음의 경우'는 자음을 두 개 붙인다는 규칙의 실체가 바로, 앞서 설명한 모음 변화에 대한 내용이다.
즉, E 탈락의 규칙이 선행되므로 'Shoping'이라고 표기하면, 본래의 단어가 'Shope'라고 오인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본래 어휘가 갖는 소리를 보존하고자 하는 뜻이 더 강하다. 'Step'의 경우 'Steping'로 쓰면 기본 규칙에 의해 '스티핑'이라고 읽혀지게 된다. 따라서, 두 개의 자음들이 앞에 있는 모음의 소리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규칙을 정한 것이다.
이는 분사의 경우가 아니라도 많이 쓰이는 규칙이기 때문에, 몇 가지 예를 숙지하는 것으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Summer'나 'Comma'의 경우에도 흔히 '섬머'나 '콤마'로 읽지만, 실제로는 앞의 모음이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25
]라는 표시이다. 표기 규칙에 따르면 'Better'나 'Betty'의 경우도 'Beter'로 표기되면 '비터'가 되고, 'Bety'로 표기되면 '비티'가 되므로, 앞 모음이 [ε]라고 꼬집어 표기하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이를 통해 'Apple'의 P나, 'Annual'의 N이 왜 두 개인지 파악 수 있다. 일 예로, Occasion, Add, Coffee, Egg, Billy, Gummy, Anniversary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자음끼리 합쳐져서 앞의 모음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다. Talk, Calm, Kahn, Call 등의 경우로, L이나 M은 소리없는 단순 자소로 앞의 모음 A를 [
Figure 112010034557313-pat00026
]로 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Call'이나 'Tall'의 경우는, 앞서 자음 중복의 경우처럼 보이지만, 앞의 L은 모음에 대한 지시소이고, 뒤의 L만이 소리소로 작용한다. 일 예로, Balk, Stalk, Chalk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자소 키들이 구비된 입력부의 키패드(185)를 이용하여 '사과'라는 단어를 입력하면, 입력창(170)에 '사과'가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확인 버튼(175)이 선택됨에 따라 표시부(160)에는 해당 단어(사과), 사과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 '사과'라는 단어가 포함된 예시문이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사과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는 비디오, 플래시, 그림, 만화, 또는 사진이 될 수 있다.
'사과'라는 단어, 그 단어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예시문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때, 표시되는 예시문 또는 단어가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자동 출력된다. 예시문 또는 단어를 반복해서 청취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음성 버튼(165)을 클릭하면 원하는 만큼 해당 내용을 청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언어 학습 장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반복적으로 해당 단어 및 예시문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가 '사과'라는 단어에 대해 철자법 학습을 희망하는 경우, 철자 버튼(167)을 선택하면, '사과'라는 단어의 철자법이 문자적 설명이나 이미지 정보(예, 동영상, 플래시)로 표시부(160)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철자 버튼(167)을 이용하여 원하는 만큼 철자법 학습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과'라는 단어와 연관된 다양한 이미지 정보와 예시문을 페이지 전환 버튼(162,163)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새로운 예시문이 화면에 표시될 때마다, 해당 예시문이 음성으로 자동 출력된다. 즉, 본 발명의 언어 학습 장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특정된 하나의 단어와 연관된 다양한 이미지들 및 예시문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문장들을 음성으로 자동 출력한다. 물론, 이때도 사용자가 반복 청취를 희망하는 경우 '음성 버튼'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문자들을 반복적으로 청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메뉴 버튼(190)을 이용하여 자신의 학습방법 및 언어 학습장치의 기능을 변경 및 설정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는 영어 단어 및 그 단어를 포함한 예시문이 표시되는 표시부의 일예이다. 도 2와의 차이점은 사용자가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알파벳 키들이 구비된 입력부의 키패드(180)를 이용하여 'Banana'라는 단어를 입력하면, 입력창(170)에 'Banana'가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확인 버튼(175)이 선택됨에 따라 표시부(160)에는 해당 단어(Banana), 'Banana'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 'Banana'라는 단어가 포함된 예시문이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도 3의 실시예 역시, 도 2의 설명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언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순 암기가 아닌, 좌뇌와 우뇌의 협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염상 방식의 외국어 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문장을 통해 언어 습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들에게 '사과'라는 단어를 학습시킬 때, 아이들에게 사과라는 단어를 반복적으로 주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과는 맛있어", "사과 먹을래?", "사과는 빨갛다" 등의 말을 통해 사과라는 존재를 인식시키는 것과 동일한 방식이다. 이때, 사과와 관련된 플래시, 비디오, 그림, 만화, 또는 사진을 함께 제공하여, 단어, 이미지, 및 문장의 조합으로 해당 단어를 인식하게 하는 방식이다. 또한, 영문이나 한글의 경우 철자를 암기하지 않는 철자법 학습 방식까지 제시하여 줌으로써, 총체적인 이해를 통해 외국어를 모국어처럼 습득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자법 학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자법 학습 장치(200)는 문자 배열부(202), 문자 배열 인식부(204), 이어폰 연결부(210), 음성 출력부(220), 표시부(230), 입력부(240), 제어부(250), 및 메모리(260)를 구비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철자법 학습 장치는 모국어의 경우에는 유아부터 초등학교 저학년까지 사용 가능하고, 외국어의 경우에는 유아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예로 들면, 원통형의 철자법 학습 장치의 중앙부(200)에는 문자 배열부(202)가 구비된다. 도 5의 경우는 영어를 나타낸 경우로, 문자 배열부(202)는 각각 하나 이상의 알파벳이 기재되어 있는 회전하는 복수 개의 휠을 이용해서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문자 배열부(202)를 이용하여 모음과 자음의 조합을 훈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알파벳들이 기재되어 있는 각각의 휠을 회전시켜 원하는 문자를 선택창(111)에 위치시킨다. 휘레는 자음이나 모음이 따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언어와 그 언어의 규칙에 따라 각 휠에 표기되는 글자(알파벳)의 수나 휠의 수는 변동될 수 있다. 이때, 어휘 난이도를 기준으로 수준별 난이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구비되는 휠의 개수에 따라 글자의 조합 수를 달리하여 철자법 학습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의 영어 표기는 전술한 영어 표기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일본어의 경우에는 음절 문자이므로 다섯 개의 휠을 사용해서 모음과 자음의 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모국어 문자를 처음 익히는 아이들도 매우 쉽게 장난감처럼 즐기며 철자법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스페인어의 경우에는 소리대로 적도록 매우 정확한 규칙들이 적용되지만, 본 발명의 철자법 학습 장치가 유아용으로 사용될 수 있기에, 표의 문자를 제외한 모든 문자에 적용될 수 있다.
표 1은 문자 배열부(202)를 통해 배열될 수 있는 기본적인 형태의 단어를 나타낸다.
단어 의미 단어 의미
bad 나쁜 man 남자
bag 가방 map 측량하다
ban 금지령 mat 매트
bap 작은빵 may 5월,...해도좋다
bat 박쥐 nab 불시에 잡다
cab 택시 nag 작은말
cad 비열한 인간 nap 낮잠
cam pad 덧대는것
can 할 수 있다 pak 파키스탄인
cap 정상 pal 친구
cat 고양이 pam 클럽의잭
cay 작은섬 pan
dab 가볍게두드리기 pap 빵죽
dad 아빠 pat 유창한
dag 나뭇잎 무늬 장식 pax 성패
dam raf 영국 공군
fad 일시적유행 rag 넝마
fag 열심히일하다 ram 부딪히다
fan 선동하다 ran run의과거
far 멀리(로) rap 두드리다
fat 뚱뚱한 rat
fax 팩시밀리 sac
gab 복장 sad 슬픈
gad 아이고 sag 축처지다
gag 입마개 sap 수액
gal 소녀 sat 앉다
gam 결혼의 뜻의 결합사 tab 옷걸이 끈
gap tad 어린아이
gas 기체 tag 꼬리표
gat tan 햇볕에 타다
had have의과거분사 tap 가볍게 치다
hag 간악한노파 tat 짜다
ham tax 세금
hap 우연 vac 텅빈
has 가지고있다(have의3인칭.단수.현재) vag 부랑자
hat 모자 van 전위
jab 찌르다 vat 큰 통
jag 깔쭉깔쭉함 wad 작은 덩어리
jam 쑤셔넣다 wag 흔들다
jap 야비한기습 wan 창백한
jar 단지 wax 왁스
lab 실험실 yak 야크
lad 사나이 yam
lag 천천히 걷다 yap 짖는 소리
lam 치다 bar 막대기
lao 라오족 car
lap 무릅 mar 손상하다
lax 미지근한 par 등가의
mad 미친 tar 타르
mal 불량의 war 전쟁
표 2는 문자 배열부(202)를 통해 배열될 수 있는 114개의 단어로서, '자음+A+자음+E'의 형태를 갖는 단어를 나타낸다.
단어 의미 단어 의미 단어 의미
babe 갓난아이 gaze 바라보다 pale 연한
bade bid의과거 hake 나무시렁 pane 창살
bake 굽다 hale 끌어당기다 pare 깍다
bale 짐짝 hame 말의 멍에 pate 머리
bane hare 산토끼 pave 포장하다
bare 드러낸 hate 미워하다 race 경쟁
base 토대 have 가지고 있다 rage 격노
bate 덜다 haze 안개 rake 갈퀴
cafe 요리점 jade 비취 rale 수포음
cage 새장 jake 좋은 rape 강간
cake 케이크 jane 여자 이름 rare 드문
came come의 과거형 jape 농담 rate 비율
cane 줄기 kale 양배추의 일종 rave 헛소리하다
cape 케이프 kame 케임 raze 파괴하다
care 걱정 kate 카이액 safe 안전한
case 상자 lace 레이스 sage 현명한
cate 진미 lade 짐을 싣다 sake 동기
cave 동굴 lake 호수 sale 판매
dace 황어류 lame 절름발이의 same 같은
dale 골짜기 lane 좁은 길 sane 제정신의
dame 귀부인 lase 레이저를발하다 sate 물리게하다
dane 덴마크사람 late 늦은 save 구하다
dare 도전하다 lave 씻다 saxe 난백지
date 날짜 laze 게으름을피우다 take 쥐다
daze 멍하게하다 mace 철퇴 tale 이야기
face 얼굴 made make의 과거형 tame 길들이다
fade 쇠하게 하다 mage 마법사 tape 납작한 끈
fake 위조품 make 만들다 tare 들완두
fame 명성 male 남성의 vale 골짜기
fare 음식 mane 갈기 vane 바람개비
fate 운명 mare 암말 vase 꽃병
faze 괴롭히다 mate 동료 wade 걸어서 건너다
gage 표준 maze 미로 wage 보상
gale 강풍 name 이름 wake 깨어 있다
game 유희 nape 목덜미 wale 채찍 자국
gape 입을 딱 벌리다 nave 교회의 중앙부 wane 이지러지다
gate 출입구 pace 보조 ware 상품
gave 주다(give의과거) page 페이지 wave 흔들다
표 3은 문자 배열부(202)를 통해 배열될 수 있는 59개의 단어로서, '자음+E+자음'의 형태를 갖는 단어를 나타낸다.
단어 의미 단어 의미
bed 침대 nee 구성은
beg 부탁하다 net 그물
ben Benjamin의 애칭 new 새로운
bet 를 걸다 peg 대못
def 전혀 pel 몰다
den pen
fed 연방정부 pep 원기
fen per 마다
gel pet 애완동물
gem 보석 red 붉은
get 얻다 rem
hem 가장자리 rep 방탕자
hen 암탉 sec 맛이 쓴
hep 사정에 밝은 seg 인종차별주의자
her 그녀 set 놓다
hex 육의 뜻의 결합사 sex 남자
ier 종사하는 사람 tec 공예 학교
jet 분출 ted Edward의 애칭
kef 황홀한도취 ten
keg 작은 통 ven 오다
ken 시야 vet 수의
led 지도하다 vex 성가시게 굴다
leg 다리 web 거미줄
let 시키다 wed 결혼하다
lev 좌측으로의 뜻 wen 종기
lex wet 젖은
mem yen
men man의 복수형 yes
met meet(만나다)의과거.과거분사 yet 그럼에도
neb 짐승의코와부리
표 4는 문자 배열부(202)를 통해 배열될 수 있는 59개의 단어로서, '자음+E+자음+E'의 형태를 갖는 단어를 나타낸다.
단어 의미
cede 권리를 양도하다
dele 빼라
dene 모래밭
fete 축제
here 여기로
hexe 육의 뜻의 결합사
mere 단순한
mete 할당하다
sere 말라빠진
were are 의 과거형
cere 납막
deme 지방자치제
gene 유전자
rede 충고하다
문자 배열 인식부(204)는 사용자에 의해 일직선 상에 나란하게 배열된 문자 조합을 인식하여, 그 결과값을 제어부(250)에 전달한다. 예컨대, 도 5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택창(111) 내에 현재 배열되어 있는 문자 조합('HITE')을 인식한다.
음성 출력부(220)는 스피커와 같은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문자 배열 인식부(204)를 통해 인식된 문자 조합에 상응하는 소리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220)는 도 5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자법 학습 장치(2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음성 출력부(220)의 음성 출력 크기는 입력부(240)의 메뉴 버튼(248)을 이용하면 조절할 수 있다.
이어폰 연결부(210)는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는 입력 단자를 제공하며, 이어폰이 연결되면 음성 출력부(220)로 출력되던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으로 출력한다. 이어폰 연결부(2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자법 학습 장치(2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부(210)에 이어폰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음성 출력부(220)를 통한 음성 출력은 차단된다.
입력부(24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철자법 학습 장치를 제어 및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부(240)는 음성 버튼(242), 의미 버튼(244), 입력 버튼(246), 및 메뉴 버튼(248)을 구비한다.
음성 버튼(242)은 사용자가 문자 배열 인식부(204)를 통해 인식된 문자 조합에 상응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음성 버튼(242)을 선택(누름)하면 문자 배열 인식부(204)를 통해 인식된 문자 조합에 상응하는 소리가 음성 출력부(2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사용자는 음성 버튼(242)를 이용하여 특정 문자 조합에 상응하는 소리를 반복해서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의미 버튼(244)은 문자 배열 인식부(204)를 통해 인식된 문자 조합에 상응하는 의미가 표시부(230) 또는 음성 출력부(220)를 통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의미 버튼(244)를 선택(누름)하면 문자 배열 인식부(204)를 통해 인식된 문자 의미가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문자 조합이 'give'라면 'give'에 해당하는 의미(예,주다)가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메뉴 버튼(248)은 사용자가 자신의 철자법 학습 장치의 기능을 변경 및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제어부(250)는 문자 배열 인식부(204)를 통해 인식된 문자 조합에 해당하는 의미 및 소리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부(230) 및 음성 출력부(220)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문자 조합의 의미 및 소리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해당 문자 조합의 의미가 없는 경우(예,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단어이거나 존재하지 않는 단어인 경우) 해당 단어(문자 조합)의 뜻이 없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청각적으로 출력한다. 다만, 해당 문자 조합이 의미가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어부(250)는 문자 배열 인식부(204)를 통해 인식된 문자 조합에 대해서는 일정 규칙에 따라 소리로 출력되도록 한다.
영어의 경우, 기본 규칙(전술한 표기 규칙)에 어긋나는 예외적인 문자 조합이라면 사용자의 음성 버튼(244) 선택에 따라 그 이유가 표시부(230) 또는 음성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메모리(260)에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문자 조합을 통해 게임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250)는 특정 단어가 소리로 출력되도록 한 뒤, 그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 조합을 인식한다. 이때, 사용자는 입력 버튼(246)을 이용하여 문자 배열 후에, 최종적으로 자신이 배열한 문자 조합이 정답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프로그램은 의미가 있는 단어들이 무작위로 재생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사용자가 설정한 단어들이나 이전에 학습했던 단어들이 반복해서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메모리(260)는 본 발명이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컨대, 메모리(260)는 다양한 언어(예컨대, 영어, 한국어 등)들의 단어 데이터, 각각의 단어와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철자법 학습 장치는 도 5에 도시한 원통형의 장치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PMP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PMP와 같은 형태로 구현된 철자법 학습 장치의 표시부(380)의 화면이다. 여기서, 표시부(380)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입력 및 표시를 동시해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이다. 표시부(380)의 일부 영역에는 사용자가 화면을 위아래로 터치하여 문자를 조합할 수 있는 문자 배열부(350)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F,G,H,J,K'가 기재된 문자 배열부(350)의 1열을 위에서 아래로 터치하면 중앙열에 차례로 문자들이 변경되어 표시된다. 나머지 열들 또한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서 위로 터치하면서 중앙열에 배열되는 문자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7에서는 중앙열에 'HITE'가 배치된 예를 나타내었다.
표시부(280)의 일측에 구비되는 입력부(340), 그리고 그 입력부(340)를 구성하는 음성 버튼(342), 의미 버튼(344), 입력 버튼(346), 및 메뉴 버튼(348)들은 기능은 도 6의 입력부(240)의 기능에 대응되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언어 학습 장치 및 철자법 학습 장치는 전술한 언어 학습 기능 이외에, DMB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MP3 플레이어 기능, 녹음기 기능, 사진 뷰어 기능, 카메라 기능, 문서 뷰어 기능, 계산기 기능, 다이어리 기능, 알람 기능, 사전 기능, 노트 패드 기능을 추가로 탑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언어 학습 장치 110:입력부
120:학습방법 설정부 121:학습단어 설정부
122:학습방법 선택부 123:시간 설정부
124:녹음 설정부 125:테스트 설정부
130:표시부 140:메모리
150:제어부

Claims (9)

  1. 언어 학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단어와 연관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각각의 단어와 연관된 복수 개의 예시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특정 단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특정 단어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단어와 연관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복수 개의 예시문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예시문 데이터가 상기 특정 단어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표시부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입력부는,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알파벳 입력 키들을 구비하고, 상기 알파벳 입력 키들은 조음 방법, 조음 위치, 성대의 진동 유무, 및 사운드 (sound spectru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변별적 자질이 유사한 알파벳 자음들이 함께 배열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알파벳 입력 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저장된 각각의 예시문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예시문 데이터가 상기 특정 단어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할 때, 표시되는 예시문 데이터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예시문 데이터가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플래시, 비디오, 그림, 만화, 및 사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예시문 데이터가 상기 특정 단어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할 때, 현재 표시되는 이미지의 순번과 상기 특정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들의 총 수가 함께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자소 입력 키들을 구비하고, 상기 자소 입력 키들은 경음이 발생하는 자음 'ㄱ','ㄷ','ㅂ','ㅅ', 및 'ㅈ'이 각각 단독으로 배치되어 있는 자소 입력 키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와 예시문 데이터가 상기 특정 단어와 함께 순차적으로 표시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녹음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녹음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현재 표시되는 특정 단어에 대한 철자법 학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 단어의 철자법이 문자적 설명이나 이미지 데이터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장치.
KR1020100050545A 2009-05-29 2010-05-28 모든 언어에 적용되는 언어 학습 장치 KR101258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7335 2009-05-29
KR1020090047335 2009-05-29
KR1020090048218 2009-06-01
KR20090048218 2009-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233A KR20100129233A (ko) 2010-12-08
KR101258885B1 true KR101258885B1 (ko) 2013-04-29

Family

ID=4350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545A KR101258885B1 (ko) 2009-05-29 2010-05-28 모든 언어에 적용되는 언어 학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8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532B1 (ko) * 2011-12-05 2013-11-28 (주)세스넷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829A (ko) * 2003-04-29 2004-11-04 인벤텍 베스타 컴파니 리미티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휘 설명을 플레이하는시스템 및 방법
KR100490367B1 (ko) * 2001-08-03 2005-05-17 정택 휴대용 단어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어학습 방법
KR100767575B1 (ko) * 2005-12-23 2007-10-17 원종민 단어의 구성 철자에 부여된 이미지 캐릭터의 연상에 따라학습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 외국어 학습 방법 및 그기록 매체
KR20090010299U (ko) * 2008-04-07 2009-10-12 임창묵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춘 사전상에서의 언어학습 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367B1 (ko) * 2001-08-03 2005-05-17 정택 휴대용 단어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어학습 방법
KR20040092829A (ko) * 2003-04-29 2004-11-04 인벤텍 베스타 컴파니 리미티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휘 설명을 플레이하는시스템 및 방법
KR100767575B1 (ko) * 2005-12-23 2007-10-17 원종민 단어의 구성 철자에 부여된 이미지 캐릭터의 연상에 따라학습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 외국어 학습 방법 및 그기록 매체
KR20090010299U (ko) * 2008-04-07 2009-10-12 임창묵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춘 사전상에서의 언어학습 방법 및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233A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im et al. Articulate while Black: Barack Obama, language, and race in the US
Elbow Vernacular eloquence: What speech can bring to writing
Macaulay The social art: Language and its uses
Costello Language and modality: Effects of the use of space in the agreement system of lengua de signos española (Spanish Sign Language)
Hall An introduction to language and linguistics: Breaking the language spell
Anderson et al. Enhancing Aesthetic Reading and Response. Theory and Research into Practice (TRIP) Series.
Fromkin et al. An Introduction to Language 6e
Matthews Linguistics: A very short introduction
Danesi Linguistic anthropology: A brief introduction
Li et al. Facilitation of transference: The case of monosyllabic salience in Hong Kong Cantonese
Silverman Neurodiversity and the revision of book history
Crystal Spell it out: The curious, enthralling and extraordinary story of english spelling
KR101258885B1 (ko) 모든 언어에 적용되는 언어 학습 장치
Valeri More Than Skin-Deep: Reading Past Whiteness in Hemingway’s “Hills Like White Elephants”
de Garavito et al. Introducing linguistics: theoretical and applied approaches
Heyworth Ineloquent Ends: Simplicitas, Proctolalia, and the Profane Vernacular in the Miller's Tale
Maxwell Language acquisition in a deaf child: The interaction of sign variations, speech, and print variations
Logeman et al.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History of Language
Petrescu The Stylistic Use of the Superiority Theory in Murdoch Mysteries Television Series
Regan The Politics of Sentiment in Tony Harrison’s The School of Eloquence
Oravcová [NEOBHÁJENO] Presentations at TED Talks: Theory vs. Reality
Geser Embodying Everyman: Allegory in Medieval and Contemporary Performance
Russell Dante's Belacqua in Conrad's Heart of Darkness: Marlow's Journey Toward Rejecting Racism
Tomanová of Thesis: Teaching Pronunciation
Rakštytė NARATYVINIS TAPATUMAS SUE MONK KIDD ROMANE PASLAPTINGAS BIČIŲ GYVENIMAS: ORIGINALO IR VERTIMO Į LIETUVIŲ KALBĄ ANALIZ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