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910A -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 Google Patents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910A
KR20130058910A KR20110124906A KR20110124906A KR20130058910A KR 20130058910 A KR20130058910 A KR 20130058910A KR 20110124906 A KR20110124906 A KR 20110124906A KR 20110124906 A KR20110124906 A KR 20110124906A KR 20130058910 A KR20130058910 A KR 20130058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ignal
image
capture
sens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2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6481B1 (ko
Inventor
송용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4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481B1/ko
Priority to US13/600,045 priority patent/US9232125B2/en
Priority to JP2012199665A priority patent/JP2013115816A/ja
Priority to TW101137194A priority patent/TWI562631B/zh
Priority to DE201210109616 priority patent/DE102012109616A1/de
Priority to CN2012104955968A priority patent/CN103139473A/zh
Publication of KR20130058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설정하고, 캡쳐 준비 신호를 기초로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캡쳐 준비 모드로 진입시키며, 및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신호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따라서,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모듈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면서도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METHOD OF ELIMINATING SHUTTER-LAGS WITH LOW POWER CONSUMPTION,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컨버전스(mobile convergence)가 진행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는 대부분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셔터랙(shutter lag)은 사용자가 셔터를 누른 시점과 이미지 캡쳐(image capture)가 이루어지는 시점 사이의 지연(delay)을 의미하며,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평가함에 있어서 중요한 평가 요소들 중의 하나이다. 예를 들어, 큰 셔터랙을 갖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순간의 이미지를 정확하게 얻어낼 수 없다.
종래에는 카메라 모듈의 셔터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프리뷰(preview) 모드에서도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크기로 유지시켰다. 이 경우, 프리뷰 모드에서도 센서 출력 이미지가 고해상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은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할 수밖에 없다. 그 결과,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셔터랙과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트레이드-오프(trade-off) 관계에서 선택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Camera Image Sensor; CIS)의 프리뷰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유지하면서도,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시 셔터랙을 제거할 수 있는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유지하면서도,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시 셔터랙을 제거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설정하는 단계, 캡쳐 준비 신호를 기초로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여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캡쳐 준비 모드(capture preparation mode)로 진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캡쳐(capture)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은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가 캡쳐되면,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경하여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상기 프리뷰 모드로 재진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은 상기 캡쳐 준비 모드가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하면,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경하여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상기 프리뷰 모드로 재진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은 상기 캡쳐 준비 모드에서 모드 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경하여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상기 프리뷰 모드로 재진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는 상기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는 상기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auto focus start signal)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입력 신호(external input signal)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부 입력 신호는 터치 입력 신호, 버튼 입력 신호, 음성 입력 신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스마일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일 검출 신호(smile detect signal)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얼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얼굴 검출 신호(face detect signal)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의 저해상도 크기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에 상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가 변경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의 고해상도 크기는 기 설정된 사이즈에 상응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전 변환을 수행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부,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에서 저해상도로 유지하고,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며, 캡쳐 준비 모드(capture preparation mode)에서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유지하는 모드 제어부, 및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프로세싱(processing)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설정하고, 상기 캡쳐 준비 모드에서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캡쳐 준비 모드에서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가 캡쳐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상기 캡쳐 준비 모드에서 상기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캡쳐 준비 모드가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상기 캡쳐 준비 모드에서 상기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캡쳐 준비 모드에서 모드 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상기 캡쳐 준비 모드에서 상기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auto focus start signal)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입력 신호(external input signal)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스마일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일 검출 신호(smile detect signal)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얼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얼굴 검출 신호(face detect signa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에서 저해상도로 유지하고,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며,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capture preparation mode)에서 고해상도로 유지하는 모드 컨트롤러,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프로세싱(processing)하여 제 1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상기 제 1 이미지 데이터를 포스트 프로세싱(post processing)하여 제 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후처리 프로세서, 및 상기 제 2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여 상기 후처리 프로세서로 출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드 컨트롤러는 리얼 타임 운영 시스템(Real-Time Operation System; RTOS)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기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타블렛 또는 캠코더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출력 단자를 통하여 외부 디스플레이에 연결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는 MIPI, ITU-R BT.601, ITU-R BT.656 또는 ITU-R BT.709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auto focus start signal)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입력 신호(external input signal)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스마일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일 검출 신호(smile detect signal)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얼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얼굴 검출 신호(face detect signa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유지하고,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capture preparation mode)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유지함으로써,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유지하고,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유지함으로써,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셔터랙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셔터랙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셔터랙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모드 제어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카메라 모듈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카메라 모듈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도 11의 카메라 모듈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도 11의 카메라 모듈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모바일 기기가 외부 디스플레이에 연결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도 19의 모바일 기기로 구현되는 다양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설정(Step S120)하고, 캡쳐 준비 신호를 기초로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캡쳐 준비 모드(capture preparation mode)로 진입(Step S140)시키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신호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캡쳐(Step S160)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가 캡쳐되면, 센서 출력 이미지의 캡쳐 완료 시점에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프리뷰 모드로 재진입(Step S180)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가 카메라 기능을 선택하면, 카메라 모듈 내의 카메라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미리 볼 수 있는 프리뷰 모드에 진입한다. 즉, 사용자는 프리뷰 모드에서 프리뷰 영상을 보면서 피사체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면 피사체에 상응하는 이미지가 캡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뷰 모드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이미지 센서가 프리뷰 모드로 동작할 때, 카메라 이미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설정(즉, 풀프레임 프리뷰(full frame preview))하면,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될 수밖에 없다. 이에,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셔터를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캡쳐 신호가 입력되면,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여 이미지 캡쳐를 수행하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하는 일련의 동작에는 소정의 지연(delay)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셔터를 누른 시점과 이미지가 캡쳐되는 시점은 서로 상이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셔터랙은 사용자가 셔터를 누른 시점과 이미지 캡쳐가 이루어지는 시점 사이의 지연을 의미하며, 이러한 셔터랙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순간의 이미지를 정확하게 얻어낼 수 없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핸드폰에서는 셔터랙이 0.1초 ~ 0.3초 정도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셔터를 누른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이미지를 얻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설정(Step S120)할 수 있다. 즉, 셔터랙을 제거하기 위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도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유지시키는 것은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발생시키는 것이므로,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유지시킨다.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유지시킴에 있어서 서브 샘플링 기능(sub sampling function)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와 "고해상도"로 구분하였지만,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화소(pixel), 사이즈(size), 용량(capacity),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센서 출력 이미지의 저해상도 크기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는 VGA(640*480) 사이즈로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가 변경되는 경우에, 센서 출력 이미지의 저해상도 크기는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을 채용하는 카메라 모듈이 외부 디스플레이에 연결되어 외부 디스플레이에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 센서 출력 이미지의 저해상도 크기는 외부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에 상응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신호가 입력되면, 캡쳐 준비 신호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함으로써,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이미지 캡쳐를 준비하기 위한 캡쳐 준비 모드로 진입(Step S140)시킬 수 있다. 즉,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셔터가 눌러질 때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시키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가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진입함과 동시에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시키는 것이다. 그 결과, 캡쳐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즉,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는 시점)에는 이미 센서 출력 이미지가 고해상도로 변경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셔터를 누른 이후에는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하는 일련의 동작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사용자가 셔터를 누른 시점과 이미지 캡쳐가 이루어지는 시점 사이의 지연인 셔터랙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센서 출력 이미지의 고해상도 크기는 기 설정된 사이즈에 상응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는 풀프레임 사이즈 즉, 5M(2608*1960), 8M(3264*2448)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을 채용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보기 위한 프리뷰 모드와 이미지 캡쳐를 준비하기 위한 캡쳐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을 채용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프리뷰 모드는 실질적으로 저해상도 프리뷰 모드로 명명될 수 있고, 캡쳐 준비 모드는 실질적으로 고해상도 프리뷰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캡쳐 준비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auto focus start signal)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메라 기능 설정 메뉴에서 오토 포커스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에, 센서 출력 이미지가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되는 시점은 상기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캡쳐 준비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입력 신호(external input signal)일 수 있다. 이 때, 외부 입력 신호는 터치 입력 신호, 버튼 입력 신호, 음성 입력 신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포커스를 맞추고 싶은 피사체에 터치를 가하거나, 카메라 포커스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포커스 동작 수행을 위한 음성을 내는 경우에, 센서 출력 이미지가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되는 시점은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외부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캡쳐 준비 신호는 스마일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일 검출 신호(smile detect signal)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메라 기능 설정 메뉴에서 스마일 검출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에, 센서 출력 이미지가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되는 시점은 피사체(즉, 사람)의 스마일이 검출되어 스마일 검출 신호가 생성되는 시점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캡쳐 준비 신호는 얼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얼굴 검출 신호(face detect signal)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메라 기능 설정 메뉴에서 얼굴 검출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에, 센서 출력 이미지가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되는 시점은 피사체(즉, 사람)의 얼굴이 검출되어 얼굴 검출 신호가 생성되는 시점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캡쳐 준비 신호는 사용자에 의하여 셔터가 눌리기 이전에 카메라에서 생성될 수 있는 다양한 신호들 중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센서 출력 이미지가 캡쳐 준비 신호에 응답하여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됨에 있어서, 센서 출력 이미지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센서 출력 이미지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신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센서 출력 이미지가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될 때,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도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되는 것이므로, 센서 출력 이미지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센서 출력 이미지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에 끊김, 잡음, 잔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클럭 에지(clock edge) 등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캡쳐 준비 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센서 출력 이미지가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될 수 있다.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사용자가 셔터를 누름에 따라 캡쳐 신호가 생성되면,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이러한 캡쳐 신호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캡쳐(Step S160)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고해상도로 이미 변경되어 있으므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하는 일련의 동작이 요구되지 않아, 사용자가 셔터를 누른 시점과 이미지 캡쳐가 이루어지는 시점 사이의 지연인 셔터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나아가, 캡쳐 준비 신호가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버튼 입력 신호, 음성 입력 신호 등), 스마일 검출 신호, 얼굴 검출 신호 등과 같이 포커스 동작과 관련된 신호이므로,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에 따라 포커스 동작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지연에 해당하는 포커스 동작에 따른 지연을 느끼지 못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모듈에서 포커스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포커스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상기 단계(Step S160)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가 캡쳐되면,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프리뷰 모드로 재진입(Step S180)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새로운 이미지 캡쳐를 위하여 상기 단계들(Step S120, Step S140, Step S160, Step S180)을 계속적으로 반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유지하고,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유지함으로써,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가 프리뷰 모드(11, 13)와 캡쳐 준비 모드(12)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11, 13)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저해상도로 유지되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12)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고해상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11, 13)는 실질적으로 저해상도 프리뷰 모드로 명명될 수 있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12)는 실질적으로 고해상도 프리뷰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11)에서 캡쳐 준비 신호(PSE)가 입력되면, 캡쳐 준비 신호(PSE)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이미지 캡쳐를 준비하기 위한 캡쳐 준비 모드(12)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 때, 캡쳐 준비 신호(PSE)는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버튼 입력 신호, 음성 입력 신호 등), 스마일 검출 신호, 얼굴 검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12)에서 사용자가 셔터를 누름에 따라 생성되는 캡쳐 신호(SS)가 입력되면,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이러한 캡쳐 신호(SS)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12)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고해상도로 이미 변경되어 있으므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하는 일련의 동작이 요구되지 않아, 사용자가 셔터를 누른 시점과 이미지 캡쳐가 이루어지는 시점 사이의 지연인 셔터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나아가,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12)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가 캡쳐되면, 센서 출력 이미지의 캡쳐 완료 시점(CS)에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프리뷰 모드(13)로 재진입시킬 수 있다. 즉,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13)에서 새로운 이미지 캡쳐를 위한 캡쳐 준비 신호(PSE)가 입력될 때까지, 센서 출력 이미지는 다시 저해상도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 1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11, 13)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12)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설정(Step S220)하고, 캡쳐 준비 신호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캡쳐 준비 모드로 진입(Step S240)시키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신호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캡쳐(Step S260)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단계들(Step S220, Step S240, Step S260)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가 캡쳐되면, 센서 출력 이미지의 캡쳐 완료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Step S270)한 후에,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프리뷰 모드로 재진입(Step S280)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커스 동작에 따른 지연은 실질적으로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지연에 해당한다. 또한, 사용자는 이미지 캡쳐를 수행함에 있어서 한번에 복수의 이미지 캡쳐를 수행하는 경우(예를 들어, 카메라의 연사 기능 등)가 많다. 따라서, 도 3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센서 출력 이미지의 캡쳐 완료 시점 이후에도,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기 설정된 시간만큼 캡쳐 준비 모드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포커스 동작이 완료된 피사체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이미지 캡쳐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3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가 프리뷰 모드와 캡쳐 준비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는 횟수가 불필요하게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3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센서 출력 이미지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저해상도로 유지하고,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유지함으로써,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셔터랙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셔터랙 제거 방법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가 프리뷰 모드(21, 23)와 캡쳐 준비 모드(22)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21, 23)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저해상도로 유지되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22)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고해상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21, 23)는 실질적으로 저해상도 프리뷰 모드로 명명될 수 있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22)는 실질적으로 고해상도 프리뷰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21)에서 캡쳐 준비 신호(PSE)가 입력되면, 캡쳐 준비 신호(PSE)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이미지 캡쳐를 준비하기 위한 캡쳐 준비 모드(22)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 때, 캡쳐 준비 신호(PSE)는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버튼 입력 신호, 음성 입력 신호 등), 스마일 검출 신호, 얼굴 검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22)에서 사용자가 셔터를 누름에 따라 생성되는 캡쳐 신호(SS)가 입력되면, 도 3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이러한 캡쳐 신호(SS)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22)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고해상도로 이미 변경되어 있으므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하는 일련의 동작이 요구되지 않아, 사용자가 셔터를 누른 시점과 이미지 캡쳐가 이루어지는 시점 사이의 지연인 셔터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나아가, 도 3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22)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가 캡쳐되면, 센서 출력 이미지의 캡쳐 완료 시점(CS)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PT)만큼 경과한 후에,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프리뷰 모드(23)로 재진입시킬 수 있다. 즉, 도 3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센서 출력 이미지의 캡쳐 완료 시점(CS) 이후에도,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기 설정된 시간(PT)만큼 캡쳐 준비 모드(22)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추가적인 이미지 캡쳐(ASS)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센서 출력 이미지의 캡쳐 완료 시점(CS)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PT)만큼 경과한 후에,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가 프리뷰 모드(23)로 전환되면, 도 3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23)에서 새로운 이미지 캡쳐를 위한 캡쳐 준비 신호(PSE)가 입력될 때까지,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3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21, 23)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22)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도 3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포커스 동작이 완료된 피사체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이미지 캡쳐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가 프리뷰 모드(21, 23)와 캡쳐 준비 모드(22) 사이에서 전환되는 횟수가 불필요하게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셔터랙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설정(Step S320)하고, 캡쳐 준비 신호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캡쳐 준비 모드로 진입(Step S340)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단계들(Step S320, Step S340)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모드 전환 신호가 입력(Step S360)되면,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프리뷰 모드로 재진입(Step S380)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모드 전환 신호가 생성되고, 센서 출력 이미지가 이러한 모드 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저해상도로 변경됨으로써 카메라 이미지 센서가 프리뷰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캡쳐 준비 신호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가 고해상도로 변경되어 카메라 이미지 센서가 캡쳐 준비 모드로 진입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사용자가 소정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생성되는 모드 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센서 출력 이미지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저해상도로 유지하고,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유지함으로써,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도 5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큰 캡쳐 준비 모드를 임의로 종료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전력 소모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셔터랙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셔터랙 제거 방법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가 프리뷰 모드(31, 33)와 캡쳐 준비 모드(32)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31, 33)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저해상도로 유지되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32)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고해상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31, 33)는 실질적으로 저해상도 프리뷰 모드로 명명될 수 있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32)는 실질적으로 고해상도 프리뷰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31)에서 캡쳐 준비 신호(PSE)가 입력되면, 캡쳐 준비 신호(PSE)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이미지 캡쳐를 준비하기 위한 캡쳐 준비 모드(32)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 때, 캡쳐 준비 신호(PSE)는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버튼 입력 신호, 음성 입력 신호 등), 스마일 검출 신호, 얼굴 검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32)에서 모드 전환 신호(MCS)가 입력되면,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프리뷰 모드(33)로 재진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전환 신호(MCS)는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32)에서 프리뷰 모드(33)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5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의도적으로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32)에서 프리뷰 모드(33)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31, 33)에서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32)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도 5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큰 캡쳐 준비 모드(32)를 임의로 종료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전력 소모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설정(Step S420)하고, 캡쳐 준비 신호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캡쳐 준비 모드로 진입(Step S440)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단계들(Step S420, Step S440)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가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Step S460)하면,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프리뷰 모드로 재진입(Step S460)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셔터를 누르지 않는 경우에, 센서 출력 이미지는 저해상도로 변경되고,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는 프리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가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셔터를 누르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셔터를 누를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프리뷰 모드로 재진입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캡쳐 준비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신호(예를 들어, 반셔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으로부터 다시 계산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센서 출력 이미지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저해상도로 유지하고,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유지함으로써,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도 7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큰 캡쳐 준비 모드를 기 설정된 시간 내로 제한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전력 소모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셔터랙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셔터랙 제거 방법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가 프리뷰 모드(41, 43)와 캡쳐 준비 모드(42)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41, 43)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저해상도로 유지되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42)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고해상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41, 43)는 실질적으로 저해상도 프리뷰 모드로 명명될 수 있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42)는 실질적으로 고해상도 프리뷰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41)에서 캡쳐 준비 신호(PSE)가 입력되면, 캡쳐 준비 신호(PSE)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이미지 캡쳐를 준비하기 위한 캡쳐 준비 모드(42)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 때, 캡쳐 준비 신호(PSE)는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버튼 입력 신호, 음성 입력 신호 등), 스마일 검출 신호, 얼굴 검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42)에서 기 설정된 시간(PCT)이 경과되면,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경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프리뷰 모드(43)로 재진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42)에서 기 설정된 시간(PCT) 내에 셔터를 누르지 않는 경우에, 센서 출력 이미지는 저해상도로 변경되고,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는 프리뷰 모드(43)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시간(PCT)은 캡쳐 준비 신호(PSE)가 입력되는 시점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신호(예를 들어, 반셔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으로부터 다시 계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7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가 캡쳐 준비 모드(42)로 전환된 이후에,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PCT) 내에 셔터를 누르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셔터를 누를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42)에서 프리뷰 모드(43)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41, 43)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42)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도 7의 셔터랙 제거 방법은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큰 캡쳐 준비 모드(42)를 기 설정된 시간(PCT) 내로 제한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전력 소모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 내의 카메라 이미지 센서는 프리뷰 모드(50)와 캡쳐 준비 모드(60)로 동작할 수 있다.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50)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보기 위한 모드를 의미하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60)는 이미지 캡쳐를 준비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한다. 다만,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60)에서도 사용자가 셔터를 눌러 이미지 캡쳐가 시작되기 전까지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50)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저해상도로 유지되는 반면,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60)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고해상도로 유지된다. 즉,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50)는 저해상도 프리뷰 모드로 명명될 수 있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60)는 고해상도 프리뷰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는 VGA(640*480) 사이즈로 선택될 수 있고,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는 풀프레임 사이즈 즉, 5M(2608*1960), 8M(3264*2448)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50)와 캡쳐 준비 모드(60)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50)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60)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가 서로 상이하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셔터를 누름에 따라 발생하는 캡쳐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셔터를 누른 시점과 이미지 캡쳐가 이루어지는 시점 사이의 지연인 셔터랙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순간의 이미지를 정확하게 얻어낼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은 사용자가 셔터를 누름에 따라 발생하는 캡쳐 신호와는 상관없이, 포커스 동작과 관련된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50)에서 캡쳐 준비 모드(60)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 때, 캡쳐 준비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스마일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일 검출 신호, 얼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얼굴 검출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캡쳐 준비 신호는 지문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지문 검출 신호, 특정한 물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물체 검출 신호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50)에서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LOW_RES->HIGH_RES)될 수 있다. 그 결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60)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이미 고해상도로 변경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셔터를 누른 시점과 이미지 캡쳐가 이루어지는 시점 사이의 지연인 셔터랙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60)에서 프리뷰 모드(50)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60)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고해상도에서 저해상도로 변경(HIGH_RES->LOW_RES)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60)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가 캡쳐되면, 센서 출력 이미지의 캡쳐 완료 시점에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가 고해상도에서 저해상도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60)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가 캡쳐되면, 센서 출력 이미지의 캡쳐 완료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한 후에,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가 고해상도에서 저해상도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60)에서 모드 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가 고해상도에서 저해상도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60)가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하면,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가 고해상도에서 저해상도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50)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60)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은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큰 캡쳐 준비 모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와 캡쳐 준비 모드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다. 이 때, 제 1 모드 전환(MODE CHANGE_1)은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가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나타내고, 제 2 모드 전환(MODE CHANGE_2)은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가 캡쳐 준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저해상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클럭 주파수도 낮고, 상기 프리뷰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 소모도 작다. 반면에,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고해상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클럭 주파수도 높고, 상기 프리뷰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 소모도 크다. 따라서,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는 전력 소모가 큰 캡쳐 준비 모드의 구간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은 이미지 캡쳐를 위하여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기 이전에, 카메라 모듈에서 필수적으로 생성되는 캡쳐 준비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모드 전환(MODE CHANGE_1)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캡쳐 준비 신호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가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캡쳐시 포커스 동작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캡쳐 준비 신호는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 동작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쳐 준비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스마일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일 검출 신호, 얼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얼굴 검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캡쳐 준비 신호는 지문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지문 검출 신호, 특정한 물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물체 검출 신호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은 캡쳐 준비 신호를 이용하여 캡쳐 신호가 입력되기 이전에 제 1 모드 전환(MODE CHANGE_1)을 수행한다. 그 결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고해상도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 변경에 따른 셔터랙은 발생하지 않는다.
제 2 모드 전환(MODE CHANGE_2)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 2 모드 전환(MODE CHANGE_2)은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모드 전환(MODE CHAGE_2)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가 캡쳐되면, 센서 출력 이미지의 캡쳐 완료 시점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모드 전환(MODE CHAGE_2)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가 캡쳐되면, 센서 출력 이미지의 캡쳐 완료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모드 전환(MODE CHAGE_2)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모드 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모드 전환(MODE CHAGE_2)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가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하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은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큰 캡쳐 준비 모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은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클럭 주파수 및 그에 따른 전력 소모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파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내부(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카메라 이미지 센서 사이)에서 모바일 인더스트리 프로세서 인터페이스(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국제 전기 통신 연합 라디오 통신(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Radio communication; ITU-R) BT.601, ITU-R BT.656 또는 ITU-R BT.709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MIPI, ITU-R BT.601, ITU-R BT.656 또는 ITU-R BT.709의 클럭 주파수 및 그에 따른 전력 소모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랙 제거 방법이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이미지 센서부(120),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 및 모드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은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120)는 피사체에 상응하는 광 신호(LIG)를 입력받아 광전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 센서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는 씨모스(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이미지 센서 또는 씨씨디(Charge Coupled Device: CCD)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센서 출력 이미지(SOI)는 모드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CTL1)에 기초하여 프리뷰 모드에서 저해상도를 가질 수 있고, 캡쳐 준비 모드에서 고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저해상도"와 "고해상도"로 구분하였지만, 센서 출력 이미지(SOI)의 해상도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화소(pixel), 사이즈(size), 용량(capacity),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센서 출력 이미지(SOI)의 저해상도 크기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에 상응하고,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가 변경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는 VGA(640*480) 사이즈로 선택될 수 있고, 카메라 모듈(100)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가 외부 디스플레이에 연결되는 경우, 센서 출력 이미지(SOI)의 저해상도 크기는 외부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에 상응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출력 이미지(SOI)의 고해상도 크기는 기 설정된 사이즈에 상응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는 풀프레임 사이즈 즉, 5M(2608*1960), 8M(3264*2448)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센서부(120)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보기 위한 프리뷰 모드와 이미지 캡쳐를 준비하기 위한 캡쳐 준비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센서부(120)는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센서 출력 이미지(SOI)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에 인터럽트(interrupt)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는 이미지 센서부(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하여 이미지 데이터(IDA)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에 대하여 자동 노출(Auto Exposure; AE), 자동 화이트 밸런스(Auto White Balance; AWB), 오토 포커스(Auto Focus; AF) 등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는 스케일러(scaler), 출력 포맷(output format), 색 보정(color correction),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쉐이딩 보상(shading compensation) 등에 대한 프로세싱까지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는 모드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CTL2)를 기초로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 또는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에 대하여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는 프리뷰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부(120)로부터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가 입력되면,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에 대한 소정의 프로세싱을 수행함으로써, 프리뷰 모드에 적합한 이미지 데이터(IDA)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는 캡쳐 준비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부(120)로부터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가 입력되면,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에 대한 소정의 프로세싱을 수행함으로써, 캡쳐 준비 모드에 적합한 이미지 데이터(IDA)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센서부(120)와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는 모바일 인더스트리 프로세서 인터페이스(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및 인터 집적 회로(Inter-Integrated Circuit; I2C) 버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하나의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드 제어부(160)는 캡쳐 준비 신호(SPS)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드 제어부(160)는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신호(SPS)가 입력되면, 이미지 센서부(120)에 제어 신호(CTL1)를 출력함으로써, 이미지 센서부(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100)에서 이미지 캡쳐시 포커스 동작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캡쳐 준비 신호(SPS)는 카메라 모듈(100)의 포커스 동작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캡쳐 준비 신호(SPS)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캡쳐 준비 신호(SPS)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캡쳐 준비 신호(SPS)는 스마일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일 검출 신호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캡쳐 준비 신호(SPS)는 얼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얼굴 검출 신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드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기 이전에 카메라 모듈(100)에서 필수적으로 생성되는 캡쳐 준비 신호(SPS)를 이용하기 때문에, 캡쳐 준비 모드에서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는 시점에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가 고해상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캡쳐 준비 모드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가 고해상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셔터를 누른 시점과 이미지 캡쳐가 이루어지는 시점 사이의 지연인 셔터랙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나아가, 모드 제어부(160)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리뷰 모드에서는 이미지 센서부(120)가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출력하고, 캡쳐 준비 모드에서는 이미지 센서부(120)가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출력한다. 따라서, 모드 제어부(120)는 특정 조건 하에서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드 제어부(160)는 캡쳐 준비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SOI)가 캡쳐되면, 캡쳐 완료 시점에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드 제어부(160)는 캡쳐 준비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SOI)가 캡쳐되면, 캡쳐 완료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한 후에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모드 제어부(160)는 캡쳐 준비 모드에서 모드 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모드 제어부(160)는 캡쳐 준비 모드가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하면,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모드 제어부(160)는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큰 캡쳐 준비 모드를 특정 조건 하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100)의 소모 전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드 제어부(160)는 이미지 센서부(120) 및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에 제어 신호들(CTL1, CTL2)을 출력하여 이미지 센서부(120) 및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이미지 센서부(120)는 프리뷰 모드에서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출력하고, 캡쳐 준비 모드에서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는 프리뷰 모드에서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하여 외부(즉,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캡쳐 준비 모드에서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그 결과, 카메라 모듈(100)은 프리뷰 모드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 모듈(100)은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큰 캡쳐 준비 모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 및/또는 모드 제어부(16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는 별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에서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 및/또는 모드 제어부(160)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 제어부(160)는 리얼 타임 운영 시스템(Real-Time Operation System; RTOS)을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는 리얼 타임 운영 시스템(Real-Time Operation System; RTOS)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부(120)는 수광 렌즈(121), 카메라 이미지 센서(122), 모터(123) 및 센서 컨트롤러(124)을 포함할 수 있다.
수광 렌즈(121)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2)의 수광 영역(예를 들어, 단위 픽셀 어레이에 구비된 복수의 단위 픽셀들)으로 입사광 즉, 피사체에 상응하는 광 신호(LIG)를 집광시킬 수 있다. 카메라 이미지 센서(122)는 수광 렌즈(121)를 통하여 입사된 광 신호(LIG)에 기초하여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122)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또는 씨씨디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카메라 이미지 센서(122)는 클록 신호(CLK)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DATA)를 센서 컨트롤러(124)에 제공할 수 있다. 모터(123)는 센서 컨트롤러(124)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CTRL)에 기초하여 수광 렌즈(121)의 포커스를 조절하거나, 셔터링(shutt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124)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2) 및 모터(123)를 제어하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122)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DATA)를 처리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SOI)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컨트롤러(124)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의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SP) 등에 연결되어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서 컨트롤러(124)는 MIPI 및 I2C 버스를 통하여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의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SP)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하나의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이미지 센서부(120)는 피사체에 상응하는 광 신호(LIG)를 입력받아 광전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센서 출력 이미지(SOI)는 프리뷰 모드에서 저해상도를 가질 수 있고, 캡쳐 준비 모드에서 고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센서 출력 이미지(SOI)의 저해상도 크기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에 상응하고,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가 변경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센서 출력 이미지(SOI)의 고해상도 크기는 기 설정된 사이즈에 상응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모드는 캡쳐 준비 신호(SPS)에 기초하여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그 결과, 이미지 센서부(120)는 캡쳐 준비 모드에서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는 시점에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모드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캡쳐 준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그 결과, 이미지 센서부(120)가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출력하는(즉,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큰) 캡쳐 준비 모드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100)의 소모 전력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의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142), 메모리(144), 후처리 프로세서(post-processor; 146)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142)는 이미지 센서부(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입력받고,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processing)하여 제 1 이미지 데이터(ID_1)를 생성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이미지 센서부(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는 신호이다. 이에,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142)는 이미지 센서부(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는 이미지 센서부(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에 대하여 컬러 형태, 영상 크기, 프레임 속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제 1 이미지 데이터(ID_1)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142)가 전처리 프로세서(pre-processor)의 기능까지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처리 프로세서(미도시)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142)와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처리 프로세서는 제 1 이미지 데이터(ID_1)를 후처리 프로세서(146)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44)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142)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임시로 저장한 후, 후처리 프로세서(146)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4)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flash memory devic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4)는 일종의 버퍼 기능을 수행하며,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후처리 프로세서(146)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142)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 데이터(ID_1)를 포스트 프로세싱(post processing)하여 제 2 이미지 데이터(ID_2)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후처리 프로세서(142)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142) 또는 전처리 프로세서(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이미지 데이터(ID_1)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8)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제 2 이미지 데이터(ID_2)로 변경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8)는 제 2 이미지 데이터(ID_2)를 이미지 데이터(IDA)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는 이미지 센서부(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하여 이미지 데이터(IDA)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IDA)는 JPEG, TIF, GIF, PCX 등의 다양한 코덱(codec)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IDA)의 코덱으로 높은 압축 효율을 갖는 그래픽 파일 포맷인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는 별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내에 구현되는 경우에는 모드 제어부(160)와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지연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모드 제어부(160)가 리얼 타임 운영 시스템(RTOS)을 포함하는 경우,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는 리얼 타임 운영 시스템(RTOS)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는 모드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CTL2)에 기초하여, 프리뷰 모드에서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하고, 캡쳐 준비 모드에서는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그 결과, 카메라 모듈(100)은 프리뷰 모드에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1의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모드 제어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모드 제어부(160)는 입력 블록(162), 제어 블록(164) 및 출력 블록(16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블록(162)은 캡쳐 준비 신호(SPS)를 입력받아 제어 블록(164)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캡쳐 준비 신호(SPS)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등), 스마일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일 검출 신호, 얼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얼굴 검출 신호일 수 있다. 이에, 입력 블록(162)은 캡쳐 준비 신호(SPS)에 기초하여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 외부 입력 신호, 스마일 검출 신호, 얼굴 검출 신호에 상응하는 내부 신호(IS_1)를 제어 블록(164)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블록(164)은 입력 블록(162)에서 출력되는 내부 신호(IS_1)에 기초하여, 이미지 센서부(120) 및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내부 신호(IS_2)를 생성하고, 상기 내부 신호(IS_2)를 출력 블록(166)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내부 신호(IS_2)는 이미지 센서부(120) 및 이미지 신호 처리부(16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CTL1, CTL2)에 상응할 수 있다. 이후, 출력 블록(166)은 제어 블록(164)에서 출력되는 내부 신호(IS_2)에 기초하여, 이미지 센서부(120) 및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에 상기 제어 신호들(CTL1, CTL2)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모드 제어부(160)는 캡쳐 준비 신호(SPS)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나아가, 모드 제어부(160)는 특정 조건 하에서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드 제어부(160)는 프리뷰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부(120)로 하여금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출력하게 하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로 하여금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하게 할 수 있다. 반면에, 모드 제어부(160)는 캡쳐 준비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부(120)로 하여금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출력하게 하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로 하여금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카메라 모듈(100)은 프리뷰 모드에서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지 않을 수 있고,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 모듈(100)은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큰 캡쳐 준비 모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1의 카메라 모듈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00)은 이미지 센서부(220), 이미지 신호 처리부(240) 및 모드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모드 제어부(26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7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200)은 시스템 온 칩(SOC)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220)는 피사체에 상응하는 광 신호(LIG)를 입력받아 광전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생성할 수 있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240)는 이미지 센서부(2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하여 이미지 데이터(IDA)를 출력할 수 있으며, 모드 제어부(260)는 캡쳐 준비 신호(SPS)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200)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부(220), 이미지 신호 처리부(240) 및 모드 제어부(260)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제어부(26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7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PDA, 포터블 게임기)는 주로 배터리(battery)에 기초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저전력화 및 소형화되는 추세이며, 이를 위하여 모바일 기기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7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모바일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70)는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에 상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70) 내에는 캡쳐 준비 신호(SPS)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200)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모드 제어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70)와 모드 제어부(260)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발생하는 지연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드 제어부(260)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70)는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신호(SPS)가 입력되면, 이미지 센서부(220)에 제어 신호(CTL1)를 출력함으로써 카메라 모듈(200)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이미지 센서부(220)는 프리뷰 모드에서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출력하다가, 캡쳐 준비 신호(SPS)가 입력된 시점(즉, 캡쳐 준비 모드의 시작점)부터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출력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셔터를 누른 시점과 이미지 캡쳐가 이루어지는 시점 사이의 지연인 셔터랙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모드 제어부(260)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70)는 캡쳐 준비 모드에서 특정 조건(예를 들어, 캡쳐 준비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가 캡쳐되거나, 캡쳐 준비 모드가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하거나, 또는 캡쳐 준비 모드에서 모드 전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하에 놓이는 경우, 이미지 센서부(220)에 제어 신호(CTL1)를 출력함으로써 카메라 모듈(200)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이미지 센서부(220)가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출력하는 캡쳐 준비 모드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200)의 소모 전력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드 제어부(260)는 리얼 타임 운영 시스템(RTOS)을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240)는 리얼 타임 운영 시스템(RTOS)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1의 카메라 모듈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300)은 이미지 센서부(320), 이미지 신호 처리부(340) 및 모드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신호 처리부(340) 및 모드 제어부(36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37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300)은 시스템 온 칩(SOC)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320)는 피사체에 상응하는 광 신호(LIG)를 입력받아 광전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생성할 수 있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340)는 이미지 센서부(3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하여 이미지 데이터(IDA)를 출력할 수 있으며, 모드 제어부(360)는 캡쳐 준비 신호(SPS)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300)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부(320), 이미지 신호 처리부(340) 및 모드 제어부(360)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신호 처리부(340) 및 모드 제어부(36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37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370) 내에는 캡쳐 준비 신호(SPS)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300)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모드 제어부(360)와 이미지 센서부(3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하여 이미지 데이터(IDA)를 출력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3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370)와 이미지 신호 처리부(340) 및 모드 제어부(360)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발생하는 지연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1의 카메라 모듈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400)은 이미지 센서부(420), 이미지 신호 처리부(440) 및 모드 제어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모드 제어부(46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70)에 연결되는 별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400)은 시스템 온 칩(SOC)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420)는 피사체에 상응하는 광 신호(LIG)를 입력받아 광전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생성할 수 있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440)는 이미지 센서부(4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하여 이미지 데이터(IDA)를 출력할 수 있으며, 모드 제어부(460)는 캡쳐 준비 신호(SPS)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400)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부(420), 이미지 신호 처리부(440) 및 모드 제어부(460)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제어부(46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70)에 연결되는 별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즉, 모드 제어부(46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70)와 연결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70)에서 출력되는 캡쳐 준비 신호(SPS)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400)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70)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수행하는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70)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400)은 오작동할 수 있다. 이에, 모드 제어부(460)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70)와 별개로 구현됨으로써,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400)의 동작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1의 카메라 모듈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500)은 이미지 센서부(520), 이미지 신호 처리부(540) 및 모드 제어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모드 제어부(56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570)에 연결되는 별개의 프로세서일 수 있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54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57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500)은 시스템 온 칩(SOC)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520)는 피사체에 상응하는 광 신호(LIG)를 입력받아 광전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생성할 수 있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540)는 이미지 센서부(5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하여 이미지 데이터(IDA)를 출력할 수 있으며, 모드 제어부(560)는 캡쳐 준비 신호(SPS)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500)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부(520), 이미지 신호 처리부(540) 및 모드 제어부(560)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570) 내에는 이미지 센서부(5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하여 이미지 데이터(IDA)를 출력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540)가 구현될 수 있으나, 모드 제어부(56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570)에 연결되는 별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그 결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570)와 이미지 신호 처리부(540)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발생하는 지연은 최소화될 수 있고, 모드 제어부(560)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570)와 별개로 구현되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500)의 동작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600)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62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4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6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기기(600)는 모바일 기기(600)의 다른 기능(function)들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회로들(6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컨버전스가 진행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600)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600)는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 모듈에서 카메라 이미지 센서(620)를 제외한 다른 구성 요소들은 모바일 기기(60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40) 내에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40)는 모드 컨트롤러,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후처리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컨트롤러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620)로부터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를 프리뷰 모드에서 저해상도로 유지하고,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며, 캡쳐 준비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를 프로세싱하여 제 1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후처리 프로세서는 제 1 이미지 데이터를 포스트 프로세싱하여 제 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제 2 이미지 데이터(즉, 이미지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40)의 모드 컨트롤러는 도 11의 모드 제어부(160)에 상응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40)의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후처리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도 11의 이미지 신호 처리부(140)에 상응한다.
이와 같이, 모바일 기기의 저전력화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모바일 기기(600)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40)를 구비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40) 내에는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모드 컨트롤러 및 카메라 이미지 센서(6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를 프로세싱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후처리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가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40)와 모드 컨트롤러,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후처리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발생하는 지연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40)는 모바일 기기(600)의 다른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회로들(680)과 연결되어, 복수의 기능 회로들(680)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600)는 카메라 모듈을 구동함에 있어서, 프리뷰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유지하고,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며, 캡쳐 준비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모바일 기기(600)는 프리뷰 모드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기기(600)는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큰 캡쳐 준비 모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의 모바일 기기가 외부 디스플레이에 연결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6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디스플레이(660)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스플레이(690_1, ..., 690_n)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스플레이(690_1, ..., 690_n)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680_1, ..., 680_n) 각각의 내부 디스플레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600)가 스마트폰인 경우에 내부 디스플레이(660)는 스마트폰의 엘씨디(Liquid Crystal Display; LCD) 디스플레이 또는 에이엠오엘이디(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 디스플레이에 상응할 수 있고, 외부 장치(680_1, ..., 680_n)는 상기 스마트폰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노트북(laptop), 텔레비전(television), 모니터(monitor), 프로젝터(projector) 등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600)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때, 내부 디스플레이(660)에 피사체가 표시됨과 동시에, 모바일 기기(600)와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690_1, ..., 690_n)에도 피사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기기(600)는 외부 장치(680_1, ..., 680_n)에 이미지 데이터(IDA)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기기(600)는 외부 장치(680_1, ..., 680_n)와 이미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기기(600)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와 외부 장치(680_1, ..., 680_n)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은 실시간으로 동일한 이미지를 시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600)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내부 디스플레이(660)에 피사체를 표시시키면, 외부 장치(680_1, ..., 680_n)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외부 디스플레이(690_1, ..., 690_n)에 표시되는 피사체에 대하여 원격에서 이미지 캡쳐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기기(600)는 화상 통화, 화상 회의, 원격 조종 등의 다양한 응용에 이용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는 도 19의 모바일 기기로 구현되는 다양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도 19의 모바일 기기(600)는 핸드폰(910), 스마트폰(920), 디지털 카메라(930), 캠코더(940)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컨버젼스가 진행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600)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910)이나 스마트폰(920)은 통신 기능이 주된 기능이지만, 부수적으로 카메라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디지털 카메라(930) 및 캠코더(940)는 카메라 기능이 주된 기능이지만, 부수적으로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9의 모바일 기기(600)는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이미지 센서(62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4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66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9의 모바일 기기(600)는 모바일 기기(600)의 다른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회로들(6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9의 모바일 기기(600)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640)는 프리뷰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유지하고,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며, 캡쳐 준비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모바일 기기(600)는 프리뷰 모드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기기(600)는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큰 캡쳐 준비 모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0)는 프로세서(1010), 메모리 장치(1020), 저장 장치(1030), 입출력 장치(1040), 파워 서플라이(1050) 및 카메라 모듈(10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 모듈(1060)은 도 11의 카메라 모듈(100)에 상응할 수 있다. 한편, 도 2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자 기기(1000)는 비디오 카드, 사운드 카드, 메모리 카드, USB 장치 등과 통신하거나, 또는 다른 전자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는 포트(port)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특정 계산들 또는 태스크(task)들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0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제어 버스(control bus) 및 데이터 버스(data bus)를 통하여 메모리 장치(1020), 저장 장치(1030) 및 입출력 장치(1040)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010)는 주변 구성요소 상호연결(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와 같은 확장 버스에도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020)는 전자 기기(10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102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피롬(EPROM), 이이피롬(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flash memory devic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1030)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disk drive) 및 씨디롬(CD-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104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 및 프린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1050)는 전자 기기(1000)의 동작에 필요한 동작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60)은 상기 버스들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통해서 프로세서(10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0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일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연결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내에 실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60)은 이미지 센서부, 이미지 신호 처리부 및 모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모드 제어부는 이미지 센서부로 하여금 프리뷰 모드에서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를 출력하고, 캡쳐 준비 모드에서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로 하여금 프리뷰 모드에서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를 프로세싱하여 외부(즉,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캡쳐 준비 모드에서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를 프로세싱하여 외부로 출력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카메라 모듈(1060)은 프리뷰 모드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셔터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기기(1000)는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큰 캡쳐 준비 모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전자 기기(1000)는 카메라 모듈(1060)을 구비하는 모든 시스템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6은 도 25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100)는 MIPI를 사용 또는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0), 이미지 센서(1140) 및 디스플레이(1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0)의 CSI 호스트(1112)는 카메라 시리얼 인터페이스(Camera Serial Interface; CSI)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1140)의 CSI 장치(1141)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CSI 호스트(1112)는 디시리얼라이저(DES)를 포함할 수 있고, CSI 장치(1141)는 시리얼라이저(SER)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0)의 DSI 호스트(1111)는 디스플레이 시리얼 인터페이스(Display Serial Interface; DSI)를 통하여 디스플레이(1150)의 DSI 장치(1151)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DSI 호스트(1111)는 시리얼라이저(SER)를 포함할 수 있고, DSI 장치(1151)는 디시리얼라이저(DES)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기기(11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알에프(Radio Frequency; RF) 칩(1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00)의 PHY(1113)와 RF 칩(1160)의 PHY(1161)는 MIPI DigRF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0)는 PHY(1161)의 MIPI DigRF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DigRF MASTER(1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기기(1100)는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 GPS)(1120), 스토리지(1170), 마이크(1180),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1185) 및 스피커(11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100)는 초광대역(Ultra WideBand; UWB)(1210),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1220) 및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1230)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인터페이스는 하나의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3차원 카메라,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PDA, 비디오 폰, 감시 시스템, 동작 감지 시스템, 이미지 안정화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카메라 모듈 120: 이미지 센서부
140: 이미지 신호 처리부 160: 모드 제어부
600: 모바일 기기 620: 카메라 이미지 센서
64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660: 디스플레이
680: 기능 회로

Claims (33)

  1.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설정하는 단계;
    캡쳐 준비 신호를 기초로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여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캡쳐 준비 모드(capture preparation mode)로 진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캡쳐 준비 모드에서 캡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캡쳐(capture)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가 캡쳐되면,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경하여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상기 프리뷰 모드로 재진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준비 모드가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하면,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경하여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상기 프리뷰 모드로 재진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준비 모드에서 모드 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경하여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상기 프리뷰 모드로 재진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는 상기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는 상기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auto focus start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입력 신호(external input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신호는 터치 입력 신호, 버튼 입력 신호, 음성 입력 신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스마일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일 검출 신호(smile detect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얼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얼굴 검출 신호(face detect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의 저해상도 크기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에 상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가 변경됨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의 고해상도 크기는 기 설정된 사이즈에 상응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14. 광전 변환을 수행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부;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에서 저해상도로 유지하고,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며, 캡쳐 준비 모드(capture preparation mode)에서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유지하는 모드 제어부; 및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프로세싱(processing)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모드에서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설정하고, 상기 캡쳐 준비 모드에서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캡쳐 준비 모드에서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가 캡쳐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상기 캡쳐 준비 모드에서 상기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캡쳐 준비 모드가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상기 캡쳐 준비 모드에서 상기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캡쳐 준비 모드에서 모드 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드를 상기 캡쳐 준비 모드에서 상기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auto focus start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입력 신호(external input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스마일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일 검출 신호(smile detect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얼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얼굴 검출 신호(face detect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4. 카메라 이미지 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에서 저해상도로 유지하고, 캡쳐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하며,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capture preparation mode)에서 고해상도로 유지하는 모드 컨트롤러;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를 프로세싱(processing)하여 제 1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상기 제 1 이미지 데이터를 포스트 프로세싱(post processing)하여 제 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후처리 프로세서; 및
    상기 제 2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여 상기 후처리 프로세서로 출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컨트롤러는 리얼 타임 운영 시스템(Real-Time Operation System; RTO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27. 제 24 항에 있어서, 휴대폰,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타블렛 또는 캠코더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출력 단자를 통하여 외부 디스플레이에 연결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는 MIPI, ITU-R BT.601, ITU-R BT.656 또는 ITU-R BT.709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auto focus start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입력 신호(external input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스마일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일 검출 신호(smile detect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준비 신호는 얼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얼굴 검출 신호(face detect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KR1020110124906A 2011-11-28 2011-11-28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KR101796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906A KR101796481B1 (ko) 2011-11-28 2011-11-28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US13/600,045 US9232125B2 (en) 2011-11-28 2012-08-30 Method of eliminating a shutter-lag,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JP2012199665A JP2013115816A (ja) 2011-11-28 2012-09-11 低電力シャッタラグ除去方法、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モバイル機器
TW101137194A TWI562631B (en) 2011-11-28 2012-10-09 Method of eliminating a shutter-lag,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DE201210109616 DE102012109616A1 (de) 2011-11-28 2012-10-10 Verfahren zum Verhindern einer Verschlussverzögerung, Kameramodul und mobile Vorrichtung mit denselben
CN2012104955968A CN103139473A (zh) 2011-11-28 2012-11-28 消除快门迟滞的方法、照相机模块和具有其的移动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906A KR101796481B1 (ko) 2011-11-28 2011-11-28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910A true KR20130058910A (ko) 2013-06-05
KR101796481B1 KR101796481B1 (ko) 2017-12-04

Family

ID=48288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906A KR101796481B1 (ko) 2011-11-28 2011-11-28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32125B2 (ko)
JP (1) JP2013115816A (ko)
KR (1) KR101796481B1 (ko)
CN (1) CN103139473A (ko)
DE (1) DE102012109616A1 (ko)
TW (1) TWI56263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901A1 (ko) * 2020-02-25 2021-09-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프리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4079738A (zh) * 2020-08-18 2022-02-22 三星电子株式会社 使用用于移动设备内的始终开启的应用的图像传感器
WO2022220423A1 (ko) * 2021-04-16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촬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4487928B (zh) 2012-05-09 2018-07-06 苹果公司 用于响应于手势而在显示状态之间进行过渡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JP2015519656A (ja) 2012-05-09 2015-07-0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を移動し、ドロップ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316987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EP3185116B1 (en) 2012-05-09 2019-09-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WO2013169845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WO2013169851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CN104471521B (zh) 2012-05-09 2018-10-23 苹果公司 用于针对改变用户界面对象的激活状态来提供反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EP3096218B1 (en) 2012-05-09 2018-12-2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user interface objects
WO2013169846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contact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EP2939098B1 (en) 2012-12-29 2018-10-1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touch input to display output relationships
AU2013368441B2 (en) 2012-12-29 2016-04-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orgoing generation of tactile output for a multi-contact gesture
CN107831991B (zh) 2012-12-29 2020-11-27 苹果公司 用于确定是滚动还是选择内容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4105279A1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CN105144057B (zh) 2012-12-29 2019-05-17 苹果公司 用于根据具有模拟三维特征的控制图标的外观变化来移动光标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KR102000253B1 (ko) 2012-12-29 2019-07-16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계층을 내비게이션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JP5765590B2 (ja) * 2013-03-15 2015-08-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48412B2 (ja) * 2013-05-13 2017-12-2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
KR102146854B1 (ko) 2013-12-30 2020-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28468B1 (ko) 2014-02-19 202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WO2015165013A1 (zh) * 2014-04-28 2015-11-05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在屏幕上显示数据的方法及显示控制装置
KR20160049632A (ko) * 2014-10-28 201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를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동작 방법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990107B2 (en) 2015-03-08 2018-06-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9645732B2 (en) 2015-03-08 2017-05-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9785305B2 (en) 2015-03-19 2017-10-10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10152208B2 (en) 2015-04-01 2018-12-11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9891811B2 (en) 2015-06-07 2018-02-1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10346030B2 (en) 2015-06-07 2019-07-09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674426B2 (en) 2015-06-07 2017-06-0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200598B2 (en) 2015-06-07 2019-0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248308B2 (en) 2015-08-10 2019-04-0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with physical gestures
US10416800B2 (en) 2015-08-10 2019-09-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235035B2 (en) 2015-08-10 2019-03-1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JP2017158084A (ja) * 2016-03-03 2017-09-0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
JP6722044B2 (ja) * 2016-05-27 2020-07-15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処理装置、画像センサ、およびシステム
US10757377B2 (en) 2016-06-01 2020-08-25 Pixart Imaging Inc. Surveillan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TW201743241A (zh) * 2016-06-01 2017-12-16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及其運作方法
CN106293589B (zh) * 2016-08-31 2019-04-1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设置预览分辨率的方法、装置及终端
CN107995451A (zh) * 2016-10-26 2018-05-04 北京视联动力国际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视联网视频流的查看方法和装置
JP2018160799A (ja) * 2017-03-23 2018-10-11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CN107592450B (zh) * 2017-08-30 2021-07-20 珠海豹趣科技有限公司 一种媒体数据处理方法及装置
EP3579048B1 (en) * 2018-06-04 2022-03-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torage medium, electronic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8810277B (zh) * 2018-06-15 2021-02-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拍照预览方法及装置
US10917582B2 (en) 2019-01-04 2021-02-09 Gopro, Inc.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enhanced zero shutter lag
KR20210070528A (ko) 2019-12-05 202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적 객체 인식을 이용한 반셔터 기능 수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
US11223762B2 (en) 2019-12-06 2022-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high-resolution image
KR20210090476A (ko) * 2020-01-10 202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카메라로 줌 시나리오에서 화질 향상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TWM600051U (zh) * 2020-04-15 2020-08-11 聯詠科技股份有限公司 影像裝置及其影像處理積體電路
CN112383708B (zh) * 2020-11-04 2022-10-11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2565589B (zh) * 2020-11-13 2023-03-31 北京爱芯科技有限公司 一种拍照预览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7280705A (zh) * 2021-04-16 2023-12-22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及其图像捕获方法
WO2024087183A1 (en) * 2022-10-28 2024-05-0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Imaging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16916148B (zh) * 2023-05-15 2024-04-16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4099B2 (ja) * 2001-10-12 2004-06-07 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印刷システム、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プリンタ
US20030189647A1 (en) * 2002-04-05 2003-10-09 Kang Beng Hong Alex Method of taking pictures
CN1501695A (zh) * 2002-11-18 2004-06-02 矽峰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码相机成像中内在延迟的修正方法
US20040212678A1 (en) * 2003-04-25 2004-10-28 Cooper Peter David Low power motion detection system
JP2005159596A (ja) * 2003-11-25 2005-06-16 Mega Chips Corp デジタルカメラ
US7304681B2 (en) 2004-01-21 2007-1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focus and exposure in a digital imaging device
KR100650871B1 (ko) 2004-03-04 2006-11-27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602705B1 (ko) 2004-04-20 2006-07-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및방법
JP2008090059A (ja) * 2006-10-03 2008-04-17 Samsung Techwin Co Ltd 撮像装置およびその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
KR100790160B1 (ko) * 2006-10-09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녹화 중에 정지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EP2075696A3 (en) * 2007-05-10 2010-01-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rrupt- related circuits, systems and processes
EP2164243A4 (en) * 2007-06-04 2011-01-19 Sharp Kk PORTABLE TERMINAL,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CONTROL PROGRAM FOR PORTABLE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IS RECORDED
JP2009010776A (ja) * 2007-06-28 2009-01-15 Sony Corp 撮像装置、撮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295966A1 (en) * 2009-05-19 2010-11-25 John Furlan Digital video camera with high resolution imaging system
US8681236B2 (en) * 2009-06-18 2014-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hutter lag of a digital camera
US8724928B2 (en) * 2009-08-31 2014-05-13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Using captured high and low resolution images
JP5240146B2 (ja) * 2009-09-24 2013-07-17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
KR101106296B1 (ko) 2009-11-26 201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 장치
TWI418210B (zh) * 2010-04-23 2013-12-01 Alpha Imaging Technology Corp 避免快門延遲之影像擷取模組及影像擷取方法
KR101105446B1 (ko) 2010-05-12 2012-01-17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검지체계간의 데이터 퓨전을 통한 실시간 통행시간 산정방법
KR101701852B1 (ko) * 2010-12-29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021488A1 (en) * 2011-07-20 2013-01-24 Broadcom Corporation Adjusting Image Capture Device Setting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901A1 (ko) * 2020-02-25 2021-09-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프리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4079738A (zh) * 2020-08-18 2022-02-22 三星电子株式会社 使用用于移动设备内的始终开启的应用的图像传感器
WO2022220423A1 (ko) * 2021-04-16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촬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39473A (zh) 2013-06-05
US9232125B2 (en) 2016-01-05
DE102012109616A1 (de) 2013-05-29
TW201322750A (zh) 2013-06-01
JP2013115816A (ja) 2013-06-10
US20130135499A1 (en) 2013-05-30
TWI562631B (en) 2016-12-11
KR101796481B1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481B1 (ko)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KR20130090225A (ko)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AU2019241111B2 (en) Shoot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JP6238184B2 (ja) 撮像装置
KR20150098094A (ko) 복수의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EP3335416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17833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itionally providing image processing by an external apparatus
US20110261228A1 (en) Image capture module and image capture method for avoiding shutter lag
US20160065934A1 (en) Imaging architecture for depth camera mode with mode switching
US20140244858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ying device
EP3528490B1 (en) Image data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and terminal
US9131158B2 (en) Moving-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electronic zoom method for moving image
US200802922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mages using variable size tiles
JP200123819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処理方法
CN114298889A (zh) 图像处理电路和图像处理方法
US8587695B2 (en) Image captur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witching clock of memory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26647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400009B1 (ko) 다중 카메라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US850410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erial transmission interfac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JP7474342B2 (ja) 撮像装置、電力制御方法、及び電力制御プログラム
US85935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itigating seesawing effect during autofocus
CN115136583A (zh) 成像装置、成像系统和成像方法
KR100562143B1 (ko)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KR20060105929A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