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929A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929A
KR20060105929A KR1020050027760A KR20050027760A KR20060105929A KR 20060105929 A KR20060105929 A KR 20060105929A KR 1020050027760 A KR1020050027760 A KR 1020050027760A KR 20050027760 A KR20050027760 A KR 20050027760A KR 20060105929 A KR20060105929 A KR 20060105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amera
camera module
image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7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5929A/ko
Publication of KR20060105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특히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개의 칩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과 선택적으로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을 캡쳐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시리얼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 어느 하나는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되는 제 1 및 제 2 버퍼와; 제 2버퍼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모듈과; 상기 제 1 버퍼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버퍼,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멀티미디 모듈과 선택적으로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베이스 밴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 단말기, 카메라 모듈, 멀티미디어 모듈, 베이스 밴드 모듈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amera module of 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카메라 모듈 40...베이스 밴드 모듈
50...멀티미디어 모듈 71,72...버퍼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특히 복수개의 칩이 카메라 모듈과 선택적 으로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들은 패킷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CCD나 CMOS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표시부는 LC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는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장치는 카메라 폰 또는 캠코더 폰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도 장착되는 추세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 화면을 촬영하여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 영상(still picture)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영상 화면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반적인 시스템 제어 및 통신 제어를 위한 베이스 밴드 모듈(Base-band Module)(10)과, 상기 베이스 밴드 모듈(10)과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캡쳐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카메라 모듈(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20)은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외장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밴드 모듈(10)은 예컨대, MSM(Mobile Station Modem) 칩으로 구성되며, 시리얼 통신(IIC) 포맷으로 카메라 모듈(20)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배이스 밴드 모듈(10)은 카메라 모듈(20)의 구동을 위한 시리얼 클럭(SCL)을 전달해 주고, 시리얼 데이터 어드레스(SDA)를 주고받는다. 이후, 상기 카메라 모듈(20)로부터 캡쳐된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달받는다.
즉, 상기 베이스 밴드 모듈(10)은 마스터로 동작하고, 카메라 모듈(20)은 슬레이브로 동작됨으로써, 베이스 밴드 모듈(10)이 카메라 모듈(20)을 제어하여, 캡쳐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고, 메모리에 저장시켜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카메라 모듈(20)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화소가 수백 메가 픽셀 급 이상으로 발전됨에 따라 베이스 밴드 모듈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부하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만을 전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모듈이 구현되게 된다.
도 2는 종래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다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이스 밴드 모듈(10) 및 멀티미디어 모듈(15), 그리고 카메라 모듈(20)로 구성된다.
상기 배이스 밴드 모듈(10)은 통신 및 기기 제어를 수행하며, 멀티미디어 모듈(15)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5)은 상기 베이스 밴드 모듈(10)의 인에이블(enable)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카메라 모듈(20)의 동작 제어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모듈(15)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로 구성되며, 카메라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게 된다.
그러나, 도 2와 같은 구조에서는 베이스 밴드 모듈이 반드시 멀티미디어 모듈을 통해서 카메라 모듈과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그러나,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더라도, 예외적으로 멀티미디어 모듈을 사용할 필요 없이 직접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더라도, 충분한 퍼포먼스가 나올 수도 있으나, 베이스 밴드 모듈이 하드웨어적으로 카메라와 인터페이스가 연결되지 않아 멀티미디어 모듈을 통해서 카메라를 제어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복수개의 칩이 카메라 모듈과 선택적으로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베이스 밴드 모듈 및 멀티미디어 모듈이 하드웨어적으로 카메라 모듈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베이스 밴드 모듈 또는 멀티미디어 모듈이 카메라 모듈의 제어를 위해 선택적으로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영상의 화질 종류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제어 대상을 서로 다른 모듈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을 캡쳐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시리얼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 어느 하나는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되는 제 1 및 제 2 버퍼와;
제 2버퍼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모듈과;
상기 제 1 버퍼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버퍼,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멀티미디 모듈과 선택적으로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베이스 밴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밴드 모듈은 캡쳐될 영상이 고화질의 영상일 경우 멀티미디어 모듈 및 제 2버퍼의 동작을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밴드 모듈은 캡쳐될 영상이 저화질의 영상일 경우 멀티미디어 모듈 및 제 2버퍼의 동작을 차단하고 제 1버퍼를 활성화시켜 주기 위해 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은, 카메라 캡쳐 모드가 선택되면, 캡쳐될 영상의 화질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제 1화질 모드이면 멀티미디어 모듈을 마스터로 하고 카메라 모듈과의 인터페이스 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제 2화질 모드이면 베이스 밴드 모듈을 마스터로 하여 카메라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 및 카메라 모듈 또는 베이스 밴드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사이에는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버퍼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화질 모드는 고화질 모드이며, 제 2화질 모드는 저화질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30), 통신 담당 및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며 저화질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베이스 밴드 모듈(40)과, 베이스 밴드 모듈(40)의 제어에 의해 인에이블되며 카메라 모듈(30)을 통해 캡쳐되는 고화질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모듈(50), 상기 베이스 밴드 모듈(40)과 카메라 모듈(30) 사이를 시리얼 통신이 가능케 하는 제 1버퍼(71)와,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50)과 카메라 모듈(30) 사이를 시리얼 통신이 가능케 하는 제 2버퍼(72)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베이스 밴드 모듈(40)은 예컨대, MSM 칩으로 구성되며, 멀티미디어 모듈(15)은 예컨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로 구성된다.
상기 제 1,2버퍼(71)(72)는 반드시 버퍼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적어도 신호 전달 수단을 포함하고 외부 제어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되는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30)은 고화질 영상 데이터 및 저화질 영상 데이터를 모두 캡쳐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고화질 영상 데이터는 고화질의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포함하며, 저화질의 영상 데이터는 상대적으로 적은 연산량을 요구하는 저 화질의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게 된다.
저 화질의 영상 모드일 때 베이스 밴드 모듈(40)이 상기 카메라 모듈(30)을 시리얼 통신으로 제어하며 카메라 모듈(30)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며, 고화질의 영상 모드일 때 멀티미디어 모듈(50)이 상기 카메라 모듈을 시리얼 통신으로 제어하며 카메라 모듈(30)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게 된다.
즉, 베이스 밴드 모듈(40)과 멀티미디어 모듈(50)은 선택적으로 카메라 모듈(30)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게 된다. 그 선택 기준은 사용자의 캡쳐하고자 선택한 영상 모드 즉, 저화질 영상 모드 또는 고화질 영상 모드에 따라 결정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 밴드 모듈(40)과 카메라 모듈(30) 사이에는 제 1버퍼(71)가 구성되며, 멀티미디어 모듈(50)과 카메라 모듈(30) 사이에는 제 2버퍼(72)가 구 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버퍼(71,72)는 각각 시리얼 클럭(SCL) 및 시리얼 데이터 어드레스(SDA)를 통해 두 모듈(30,40)(30,50) 상호간을 연결시켜 준다.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베이스 밴드 모듈(40)은 제 1버퍼(71)를 통해서 카메라 모듈(30)에 시리얼 클럭(SCL) 및 시리얼 데이터 어드레스(SDA)를 전달하며, 멀티미디어 모듈(50)은 제 2버퍼(72)를 통해서 카메라 모듈(30)에 시리얼 클럭(SCL) 및 시리얼 데이터 어드레스(SDA)를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밴드 모듈(40) 및 멀티미디어 모듈(50)은 카메라 모듈(30)과 데이터 버스로 연결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30)의 선택적인 사용을 위해 베이스 밴드 모듈(40)이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50), 제 1 및 제 2버퍼(71,72)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저화질 영상 모드이면, 베이스 밴드 모듈(40)은 제어신호 라인(41)을 통해 디스에이블(Disable)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디스에이블 신호가 멀티미디어 모듈(50) 및 제 2버퍼(72)를 디스에이블시켜 준다.
그리고, 베이스 밴드 모듈(40)로부터 출력된 디스에이블 신호는 반전단자(71a)를 통해 제 1버퍼(71)를 인에이블시켜 주게 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밴드 모듈(40)의 시리얼 클럭(SCL) 및 시리얼 데이터 어드레스(SDA) 신호는 제 1버퍼(71)를 통해서 카메라 모듈(30)에 전달됨으로써, 카메라 모듈(30)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3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베이스 밴드 모듈(40)이 수신하게 됨으로써, 카메라 모듈 제어 및 저화질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화질 영상 모드이면, 베이스 밴드 모듈(40)은 제어신호 라인(41)을 통해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멀티미디어 모듈(50) 및 제 2버퍼(72)를 인에이블시켜 준다. 그리고, 베이스 밴드 모듈(40)로부터 출력된 인에이블 신호는 반전단자(71a)를 통해 제 1버퍼(71)를 디스에이블시켜 주게 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모듈(50)은 시리얼 클럭(SCL) 및 시리얼 데이터 어드레스(SDA)를 제 2버퍼(72)를 통해서 카메라 모듈(30)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3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모듈(50)이 수신하게 됨으로써, 카메라 모듈 제어 및 저화질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밴드 모듈(40) 및 멀티미디어 모듈(50)이 선택적으로 카메라 모듈(30)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시리얼 통신 라인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버퍼(71,72)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Enable)시켜 주므로 시리얼 신호가 카메라에 전달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면(S41), 사용자가 영상의 화질을 선택하게 된다(S43). 즉, 단말기 메뉴 상에 제공되는 저화질 영상 모드 또는 고화질 영상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영상 모드가 고화질 영상 모드이면, 멀티미디어 모듈이 카메라 모듈의 마스터(Master)로 동작하게 된다(S45). 이는 멀티미디어 모듈이 마스터로 동작하고, 카메라 모듈이 슬레이브로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모듈과 카메라 모듈 사이의 시리얼 및 데이터 통신으로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상기 시리얼 통신으로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고, 저화질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아 처리하 게 된다(S47).
반대로, 영상 모드가 저화질 영상 모드이면, 베이스 밴드 모듈이 카메라 모듈의 마스터로 동작하게 된다(S49). 이는 베이스 밴드 모듈이 마스터이고, 카메라 모듈이 슬레이드로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밴드 모듈과 카메라 모듈 사이의 시리얼 통신 및 데이터 통신으로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되고, 상기 시리얼 통신으로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고, 저화질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아 처리하게 된다(S51).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고화질의 영상 모드일 때에만 멀티미디어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단말기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을 캡쳐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시리얼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 어느 하나는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되는 제 1 및 제 2 버퍼와;
    제 2버퍼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모듈과;
    상기 제 1 버퍼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버퍼,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멀티미디 모듈과 선택적으로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베이스 밴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밴드 모듈은 캡쳐될 영상이 고화질의 영상일 경우 멀티미디어 모듈 및 제 2버퍼의 동작을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밴드 모듈은 캡쳐될 영상이 저화질의 영상일 경우 멀티미디어 모듈 및 제 2버퍼의 동작을 차단하고 제 1버퍼를 활성화시켜 주기 위해 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4. 카메라 캡쳐 모드가 선택되면, 캡쳐될 영상의 화질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제 1화질 모드이면 멀티미디어 모듈을 마스터로 하고 카메라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제 2화질 모드이면 베이스 밴드 모듈을 마스터로 하여 카메라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 및 카메라 모듈 또는 베이스 밴드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사이에는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버퍼가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화질 모드는 고화질 모드이며, 제 2화질 모드는 저화질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
KR1020050027760A 2005-04-01 2005-04-01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105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760A KR20060105929A (ko) 2005-04-01 2005-04-01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760A KR20060105929A (ko) 2005-04-01 2005-04-01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929A true KR20060105929A (ko) 2006-10-12

Family

ID=3762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760A KR20060105929A (ko) 2005-04-01 2005-04-01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59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481B1 (ko)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KR101356269B1 (ko) 듀얼 카메라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 및 그 이동 단말의 이미지 처리 방법
US20070177025A1 (en) Method and apparatus minimizing die area and module size for a dual-camera mobile device
US20110261228A1 (en) Image capture module and image capture method for avoiding shutter lag
US20030218682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thumbnail pictur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KR20150098094A (ko) 복수의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EP3528490B1 (en) Image data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and terminal
US20040204144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splay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US7917173B2 (en) Multimedia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0802922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mages using variable size tiles
KR100650251B1 (ko) 비디오 처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 처리 방법
JP2000184105A (ja) 撮像装置
CN112351234A (zh) 智能近眼显示装置、系统和扩展显示方法
US7675545B2 (en) Camera module having image processing procedure and method for integrating the same with host
KR100358166B1 (ko) 화상 휴대폰 장치
JP2005130339A (ja) 携帯電話装置、データ伝送方法及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20060105929A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
US90586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serting software processing in a hardware image sensor pipeline
KR100747581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 방법
KR101276874B1 (ko)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03077535A1 (fr) Dispositif d&#39;affichage d&#39;images capturees et procede d&#39;affichage d&#39;images capturees
US2011015192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erial transmission interfac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US20060078314A1 (en) Webcam communication system using handheld device with camera and method thereof
KR1011506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및 음향 정보 변환장치 및 방법
KR100540249B1 (ko) 처리 영상을 복수개의 lcd에 표시하는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