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143B1 -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143B1
KR100562143B1 KR1020040023456A KR20040023456A KR100562143B1 KR 100562143 B1 KR100562143 B1 KR 100562143B1 KR 1020040023456 A KR1020040023456 A KR 1020040023456A KR 20040023456 A KR20040023456 A KR 20040023456A KR 100562143 B1 KR100562143 B1 KR 100562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capacity image
high capacity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130A (ko
Inventor
모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2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143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피사체로부터 획득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서브샘플링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샘플링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원래의 고용량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 획득수단;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저용량 화상 데이터로 서브샘플링하거나, 상기 서브샘플링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원래의 고용량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 변환수단; 상기 화상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서브샘플링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화상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촬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및 상기 화상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서 브샘플링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고용량 화상 데이터, 서브샘플링, 변환, 촬영신호, 무선통신 단말기

Description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high capacity image data}
도 1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서브샘플링 방식에서의 화소 선택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서브샘플링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축소 결과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카메라 모듈 32 : 코덱
33 : 디스플레이부 34 : 저장부
35 : 입력부 36 : 제어부
본 발명은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사체로부터 획득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서브샘플링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샘플링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원래의 고용량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단말기,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성, 문자 및 영상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점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통화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동성에 최대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성으로 인하여 무선통신 가입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근래에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일반인에게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은 무선통신 단말기가 더 많은 부가 기능을 제공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최근에는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일예로, 카메라폰)가 출시되었고, 사용자들 사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는 간편하게 사진을 촬영하여 원하는 상대방에게 즉시 전송할 수 있다는 편의성 때문에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카메라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화상 품질이 일반 디지털 카메라 수준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디스플레이부(일예로,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함께 디지털 카메라가 무선통신 단말기의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와 회로(PCB) 기판과 연결된 카메라 모듈과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영상(화상)을 가시상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LCD)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메뉴에서 카메라 모드(영상촬영 모드)로 들어가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시키면,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LCD)에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LCD)를 보면서 원하는 영상을 직접 촬영하게 된다.
한편, 피사체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모듈로 CCD(Charge coupled device)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최근에는 CIS(CMOS Image Sensor)가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해상도를 갖는데 얼마전까지만 해도 약 30만 화소를 갖는 VGA(Video Graphics Array)급이 널리 사용되었다. 하지만, 보다 양질의 화상을 요구하는 사용자들로 인해 최근에 메가(백만이상) 픽셀급 카메라 모듈이 등장하였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에 대해 좀 더 살펴보면, VGA급 카메라 모듈은 가로*세로 픽셀수가 640*512인 반면에, 메가 픽셀급 카메라 모듈은 1280*1024의 픽셀을 갖는다. 따라서, 메가 픽셀급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하는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량은 VGA급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하는 데이터량의 약 4배가 된다.
일반적으로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VGA급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있고, 이를 통해 획득한 화상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19.2MHz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 즉, 1초에 15 ~ 30장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유지하기 위해 19.2MHz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
이를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살펴보면, 여기서 카메라 모듈은 유효크기와 실제크기로 나뉜다. 유효크기는 획득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의 크기이며, 실제크기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여유 공간을 포함한 화상 데이터의 크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산출된 결과값이 최소 프레임 레이트인 15를 초과하므로, 사용자는 화상의 끊김없이 정상적으로 연속적인 화상을 감상할 수 있다.
Frame Rate = 주파수/(실제크기*2) = 19200000/640*512*2 = 29
하지만, 메가 픽셀급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는, 하기의 [수학식 2]에서 알 수 있듯이 19.2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면 화상 데이터의 처리가 정 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프레임 레이트가 초당 6프레임밖에 안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정상적으로 연속적인 화상을 감상할 수 없다. 즉, 화상이 자주 끊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Frame Rate = 주파수/(실제크기*2) = 19200000/1422*1080*2 = 6
따라서, 종래의 메가 픽셀급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는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기존 주파수의 4배에 이르는 주파수를 사용하여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였다.
그로 인하여, 종래의 기술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피사체로부터 획득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서브샘플링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샘플링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원래의 고용량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기 위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 획득수단;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저용량 화상 데이터로 서브샘플링하거나, 상기 서브샘플링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원래의 고용량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 변환수단; 상기 화상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서브샘플링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화상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촬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및 상기 화상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서브샘플링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고용량 화상 데이터 획득단계; 상기 획득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서브샘플링하여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저용량 화상 데이터 획득단계; 상기 획득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고용량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데이터 변환단계; 및 상기 변환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고용량 화상 데이터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서브샘플링 방법에서 화소의 선택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일반적으로 원래의 화상 데이터를 서브샘플링하여 처리하는 방식은, 변환비율을 a라고 정의할 때 a가 1보다 작을 때 축소변환되고, a가 1보다 클 때 확대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a=0.7이라고 할 때 입력 화소가 10개인 화소 데이터의 라인을 70% 축소한다. 이 때, 변환비율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축소 변환하기 위해 특정 화소를 선택하고, 나머지 화소는 버린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I(i)는 i번째 입력 화소이며, a는 변환비율(또는 고유확률이라고도 함)이고, d(i)는 확산확률이며, S(i)는 화소선택확률이고, O(i)는 출력화소를 나타낸다.
이 때, 각 화소의 고유확률은 변환비율 a와 동일하므로 0.7이 된다. 따라서 각 화소의 고유확률과 확산확률 d(i)를 더한 값이 해당 화소의 선택확률 S(i)가 된다.
즉, 첫번째 입력 화소인 I(1)은 선택확률 S(i)가 0.7이므로 선택되지 않으며, 두번째 입력 화소인 I(2)는 화소선택확률 S(i)가 1.4이므로 선택되어 O(1)으로 출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열번째 입력 화소 I(10)까지 계산해보면, 10개의 입력 화소 중 첫번째, 네번째 및 일곱번째 화소를 제외한 나머지 화소가 선택되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피사체에 대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31), 제어부(36)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31)에서 획득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저용량 화상 데이터로 서브샘플링하거나, 상기 서브샘플링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원래의 고용량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코덱(32), 상기 코덱(32)에서 서브샘플링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3), 상기 코덱(32)에서 변환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34), 각종 기능키와 숫자키를 구비하여 촬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35), 및 상기 코덱(32)에서 서브샘플링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3)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부(35)로부터의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코덱(32)에서 변환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34)에 저장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입력부(35)로부터의 저장부(34)에 저장되어 있는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3)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때, 원할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광량 조절 기능을 더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촬영신호에 따라 코덱(32)에서 서브샘플링한 저용 량 화상 데이터를 저장부(34)에 저장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카메라 모듈(31)을 통해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획득한다(401).
이후, 상기 획득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서브샘플링하여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획득한 후 디스플레이부(33)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402, 403). 이 때, 상기 서브샘플링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해도 대부분의 사람이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화상이 저용량 화상 데이터인지, 고용량 화상 데이터인지 파악할 수 없을 정도로 그 차이는 미미한다.
이후, 촬영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고용량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404, 405).
그리고, 상기 변환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저장부(34)에 저장한다(406).
여기서, 본 발명은 촬영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고용량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부(34)에 저장할 수도 있다. 물론, 이 때는 저화질의 영상을 획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주파수를 높이지 않고도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주파수를 높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무선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 획득수단;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저용량 화상 데이터로 서브샘플링하거나, 상기 서브샘플링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원래의 고용량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 변환수단;
    상기 화상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서브샘플링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화상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촬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및
    상기 화상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서브샘플링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때, 원할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광량 조절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3.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고용량 화상 데이터 획득단계;
    상기 획득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서브샘플링하여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저용량 화상 데이터 획득단계;
    상기 획득한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
    촬영신호에 따라 상기 저용량 화상 데이터를 고용량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데이터 변환단계; 및
    상기 변환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고용량 화상 데이터 저장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한 고용량 화상 데이터를 원할하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광량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040023456A 2004-04-06 2004-04-06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KR100562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456A KR100562143B1 (ko) 2004-04-06 2004-04-06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456A KR100562143B1 (ko) 2004-04-06 2004-04-06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130A KR20050098130A (ko) 2005-10-11
KR100562143B1 true KR100562143B1 (ko) 2006-03-21

Family

ID=3727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456A KR100562143B1 (ko) 2004-04-06 2004-04-06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1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130A (ko) 200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481B1 (ko)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KR10046528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소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656589B1 (ko) 분할 촬영 영상의 표시 및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KR1014331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US200502646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captured images in a mobile terminal with a camera
KR100689384B1 (ko)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30084649A (ko)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데이타 전송장치 및 방법
US20070126889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reating and displaying a thumbnail
US9477688B2 (en) Method for searching for a phone number in a wireless terminal
US86989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dule in a mobile terminal to reduce power consumption
US77058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a wireless terminal
KR1013452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
KR100562143B1 (ko) 고용량 화상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KR100678208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저장 및 표시방법
KR100617736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사진 확대 및 축소 방법
KR100663429B1 (ko) 줌 기능을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06067B1 (ko)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9089086A (ja)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KR100562142B1 (ko) 영상 촬영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014116B1 (ko) 카메라폰에서의 프리뷰 화면 조정 방법
US2004013795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in digital camera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689524B1 (ko) 휴대폰의 화면 보호 기능 구현 방법
KR100693587B1 (ko) 고화질 영상 및 동영상 처리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50041589A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
KR100557094B1 (ko) 영상표시장치의 역상조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