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352A -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352A
KR20130057352A KR1020110123211A KR20110123211A KR20130057352A KR 20130057352 A KR20130057352 A KR 20130057352A KR 1020110123211 A KR1020110123211 A KR 1020110123211A KR 20110123211 A KR20110123211 A KR 20110123211A KR 20130057352 A KR20130057352 A KR 20130057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fixing pin
rockfall
slope
prevention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7324B1 (ko
Inventor
구호본
이정엽
김승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2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32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1Compensator, sp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3Wire clamp

Abstract

비탈면 상부와 하부에 고정핀을 설치하여 낙석방지망의 와이어로프를 최대한 인장시킴으로써 연직방향의 지지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또한, 이완 암블록이 나타나는 위험 노출 부분에 정착구를 삽입하고 인접한 와이어로프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이완 암블록을 지지함으로써 낙석이 발생되지 않도록 미연에 조치할 수 있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및 그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및 그 시공 방법 {TENSION AND COMPRESSION TYPE ROCKFALL PROTECTION NET,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낙석방지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비탈면 상부와 하부에 고정핀을 설치하여 낙석방지망(Rockfall Protection Net)의 와이어로프를 연직 방향으로 인장하고, 와이어로프의 풀림 방지를 위해 고정장치를 설치한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석방지망은 주로 암석으로 이루어진 비탈면에서 철망, 와이어로프 등의 강선재료를 사용하여 낙석 발생의 우려가 있는 비탈면을 덮어 낙석의 발생을 억제하는 시설물로서, 낙석을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낙석이 발생한 경우에는 낙석방지망 하부로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낙석방지망은 강우나 풍화, 나무뿌리의 작용 등에 의해 비탈면 내에서 불연속면 이완이 심화되어 발생되는 소규모 낙석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종의 보호시설로서, 자중에 의한 낙석의 예방과 낙석에너지를 감소시킴으로써, 도로, 철도, 주택 등 시설물 쪽으로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러한 낙석방지망은 합성수지나 철을 이용한 메시(Mesh) 모양으로 제작되어 비탈면을 덮어씌우는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용 체결구 등을 사용하여 견고히 고정시킴으로써 비탈면을 보강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낙석방지망은 일정 중량 이상을 지닌 낙석의 충격에너지 대해서는 쉽게 찢어지거나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낙석방지망으로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보다 탄력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와이어로프(Wire lope)를 이용한 낙석방지용 완충구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낙석방지망은 4∼5㎜의 선지름과 50ㅧ50㎜ 이상의 망눈을 갖는 철망과 16㎜ 직경의 와이어로프로 구성된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낙석방지망용 완충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낙석방지망용 완충구는 낙석방지망(10)의 표면 위에 배치되는 와이어로프(20); 낙석방지망(10)을 가압하는 상태로 사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1)를 구비한 결착판(30); 및 결착판(30)과 와이어로프(20)를 탄력적으로 연결시키는 탄성스프링(40)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낙석방지망용 완충구는, 결착판이 사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로프와 연결되기 때문에, 결착판이 고정된 사면이 붕괴되면 낙석방지망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고정력이 사라지게 되므로, 붕괴된 주변의 낙석방지망을 탄력적으로 지지 보강하는 와이어로프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다량의 낙석이 발생할수록 낙석방지망용 완충구의 보강력은 그에 비례하여 약화되므로 낙석방지망이 쉽게 찢어지거나 파단되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1-42820호에는 "텐션 압착식 낙석방지망"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텐션 압착식 낙석방지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텐션 압착식 낙석방지망은, 낙석방지망을 설치할 암반 사면에 상부 철근앵커(21)와 보조 철근앵커(22)를 설치하고, PVC 코팅된 망(23)을 거치한 후에, 종방향, 횡방향 및 측방향 와이어로프(24, 25, 26)를 각각 결속부재(A, B, C)로 상호 연결 고정하여 인장판(I)을 만들어 설치한다.
이때, 상기 횡방향 와이어로프(25)의 양측 끝단에는 압축스프링이 구비되어 횡방향 와이어로프(25)에 가해지는 낙석에 대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로는 교차 결속부재(A)와 측부 결속부재(B) 및, 교차측부 결속부재(C)가 사용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텐션 압착식 낙석방지망에 따르면, 인장판의 텐션을 높여 떨어지는 낙석을 용이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와이어로프들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인장판의 긴장력을 최대화하고, 인장판으로 망을 압착하여 낙석방지망의 압착력을 향상시키며, 인장판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낙석방지망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관련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4-57066호에는 "완충식 낙석 방지 공법, 낙석방지망, 및 크로스 완충구"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크로스 완충구가 사용되는 낙석방지망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크로스 완충구가 사용되는 낙석방지망은, 암 깍기 비탈면의 상방 및 측방 둘레에 앵커(36)를 정착시키고, 비탈면 전체에 보호그물(31)을 씌우며, 상기 보호그물(31) 위에는 종방향 와이어로프(32)와 횡방향 와이어로프(33)를 설치하고, 종방향 와이어로프(32)와 횡방향 와이어로프(33)의 단부측에 단부 완충구(35)를 설치하며, 이와 같이 설치된 단부 완충구(35)를 상기 앵커(36)에 연결한 후, 종방향 와이어로프(32)와 횡방향 와이어로프(33)의 교차지점에 크로스 완충구(34)를 설치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크로스 완충구가 사용되는 낙석방지망에 따르면, 낙석방지망에 별도의 충격 감쇄 기능을 부여하여, 낙석이 보호그물에 충돌할 때 그의 낙석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낙석의 충격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시설 용량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낙석방지망의 형태는 주로 비탈면 상부에만 고정장치를 설치하고 와이어로프를 연결시켜 비탈면 하부로 철망을 늘여 놓는 시공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로프와 철망의 자중에 의한 담요 효과로 낙석을 방지하는 기법이었다. 이때,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낙석방지망에서 시공되는 와이어로프는 상부의 자연 비탈면 내 고정핀과 연결되어 비탈면 하단부까지 늘여놓은 종방향 와이어로프와 비탈면 길이 방향의 횡방향 와이어로프로 구성되며, 이러한 와이어로프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교차점에 조립구를 이용하여 결속하는 구조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낙석방지망은 철망, 와이어로프의 자중을 이용하여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낙석을 하부로 유도시킴으로써 낙석이 도약하여 도로, 철도 등의 인접시설물에 피해를 끼치지 않도록 널리 시공되고 있는 비탈면 보호 공법에 해당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낙석방지망은 비탈면이 붕괴되거나 중규모 이상의 낙석이 발생되었을 때, 쉽게 훼손되고 철망이 찢어지고 와이어로프의 기능이 상실되어 재활용이 거의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낙석방지망은 단지 중력을 이용하여 담요 효과를 구현하기 때문에 담요 효과를 최대한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4-57066호(공개일: 2004년 7월 2일), 발명의 명칭: "완충식 낙석 방지 공법, 낙석방지망, 및 크로스 완충구" 2)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0-81704호(공개일: 2010년 7월 15일), 발명의 명칭: "경사지반 압박 보강 구조 및 공법" 3)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1-42820호(공개일: 2011년 4월 27일), 발명의 명칭: "텐션 압착식 낙석방지망"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318201호(출원일: 2003년 3월 25일): 고안의 명칭: "완충식 낙석방지망에 사용되는 직립형 크로스 완충구" 5)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39386호9출원일: 2010년 7월 22일), 발명의 명칭: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탈면 상부와 하부에 고정핀을 설치하여 낙석방지망의 와이어로프를 최대한 인장시킴으로써 연직방향의 지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완 암블록이 나타나는 위험 노출 부분에 정착구를 삽입하고 인접한 와이어로프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이완 암블록을 지지함으로써 낙석이 발생되지 않도록 미연에 조치할 수 있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하부의 고정핀에는 재사용이 가능한 고정장치를 적용함으로써 낙석 발생 이후 적치물을 제거한 후 와이어로프의 재인장이 가능한,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은, 비탈면의 전면을 덮어 낙석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철망; 상기 철망을 지지하도록 상기 비탈면에 고정되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로프; 상기 비탈면 최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상단부 고정핀; 상기 상단부 고정핀에 상기 종방향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상단부 고정장치; 몸체부와 환형의 두부를 구비하며, 상기 비탈면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환형의 두부를 통해 상기 와이어로프를 관통시키는 하단부 고정핀; 연직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로프에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하단부 고정핀에 고정시키는 하단부 고정장치; 및 상기 비탈면과 낙석방지망 사이에 삽입되어 정해진 압축력을 발휘하는 정착구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는 인장된 와이어로프의 풀림 방지를 위해 상기 고정핀과 상기 와이어로프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는 각각 상기 와이어로프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상단부 고정핀 및 하단부 고정핀이 관통하지 못하도록 상기 상단부 고정핀 및 하단부 고정핀의 환형의 두부보다 큰 직경으로 날개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는 각각, 2부분으로 분리되는 깔대기 형상으로 제작되며, 중간부에 암수를 두고 체결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타이(Tie)로 묶을 수 있도록 타이 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의 내경은 상기 와이어로프와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인장 후에 풀리지 않도록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단부 고정핀 및 하단부 고정핀의 두부는 상기 와이어로프 및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를 관통시키도록 40m 직경의 환형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단부 고정핀 및 하단부 고정핀은 각각, 30~40㎜ 직경으로 1~2m 깊이로 천공된 홀에 삽입되며, 몰탈 주입재를 사용하여 고정되며, 각각 와이어로프에 힘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표면에 직각으로부터 15˚경사지도록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단부 고정핀은 상향몰탈로 몰탈 처리되며, 몰탈 주입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케미컬 몰탈을 사용하여 몰탈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단부 고정핀 및 하단부 고정핀은 상기 와이어로프의 인장력이 최대로 발휘되도록 종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불연속면의 간격, 파쇄대 관찰 및 비탈면의 규모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단부 고정장치는 낙석 발생에 따른 적치물을 제거한 후 상기 와이어로프의 재인장이 가능하도록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착구는 이완암블록 분포 구간이나 돌출 구간의 불안정한 구간에 사용되며, 상기 정착구 상단은 상기 낙석방지망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십자 형태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정착구는 경량의 EPS(스티로폼)을 주재료로 하여 외곽을 알루미늄 캔으로 감싸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은, 비탈면의 전면을 덮어 낙석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철망과 상기 철망을 지지하도록 상기 비탈면에 고정되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로프를 사용하는 낙석방지망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a) 철망이 설치될 비탈면에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핀을 각각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상단부 고정핀에 묶은 후 상기 상단부 고정핀에 상단부 고정장치를 체결하는 단계; c) 상기 와이어로프를 하향 연장하여 하단부 고정핀의 환형의 두부를 관통시키는 단계; d) 상기 와이어로프를 연직 방향으로 인장시키고, 인장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e) 상기 와이어로프가 최대로 인장된 상태에서 하단부 고정장치를 상기 하단부 고정핀의 환형의 두부에 근접 결합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와이어로프의 풀림 방지를 위해 상기 하단부 고정장치를 상기 하단부 고정핀의 환형의 두부에 삽입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은, g) 상기 하단부 고정핀의 환형의 두부를 관통한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비탈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와이어로프와 크로스클립(Cross Clip)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단부 고정장치는 낙석 발생에 따른 적치물을 제거하고 상기 크로스클립을 해제한 후 상기 와이어로프의 재인장이 가능하도록 재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 단계는 유압잭을 사용하여 인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는 인장된 와이어로프의 풀림 방지를 위해 상기 고정핀과 상기 와이어로프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탈면 상부와 하부에 고정핀을 설치하여 낙석방지망의 와이어로프를 최대한 인장시킴으로써 연직 방향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낙석방지망보다 훨씬 큰 담요 효과를 발생시켜 이완 암블록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완 암블록이 나타나는 위험 노출 부분에 정착구를 삽입하고 인접한 와이어로프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이완 암블록을 지지함으로써 낙석이 발생되지 않도록 미연에 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의 고정핀에는 재사용이 가능한 고정장치를 적용함으로써 낙석 발생 이후 적치물을 제거한 후 와이어로프의 재인장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탈면 내 불연속면의 간격이 좁거나 파쇄대 등의 관찰 및 비탈면 규모에 따라 종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 와이어로프도 인장시킴으로써 낙석방지망의 시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낙석방지망용 완충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텐션 압착식 낙석방지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크로스 완충구가 사용되는 낙석방지망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에서 고정장치의 측면도 및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에서 고정장치의 결합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에서, 와이어로프와 고정핀의 결합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에서 정착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에서 고정장치의 측면도 및 수직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에서 고정장치의 결합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에서 정착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100)은, 와이어로프(110), 상단부 고정장치(120), 하단부 고정장치(130), 상단부 고정핀(140), 하단부 고정핀(150) 및 정착구(160)를 포함한다.
낙석을 방지하도록 철망(도시되지 않음)이 비탈면(200)의 전면을 덮어 설치되고, 와이어로프(110)는 상기 철망을 지지하도록 상기 비탈면(200)에 고정되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된다.
상단부 고정핀(140)은 몸체부와 환형의 두부를 구비하며, 상기 비탈면(200)의 최상단에 고정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낙석방지망에 시공되는 고정핀(140, 150)은 철근을 사용한다. 상단부 고정핀(140)의 설치 위치는 비탈면 최상단 부분에 고정되도록 하고, 이때, 상단부 고정핀의 설치 심도는 비탈면의 재료 특성을 감안하여 1~2m 깊이로 한다. 또한, 상단부 고정핀(140)의 정착을 위해서 직경 35㎜ 내외의 홀을 천공하고 상단부 고정핀(140)을 삽입하며, 몰탈 등의 주입재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단부 고정핀(140)은 와이어로프(110)에 힘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표면에 직각으로부터 15ㅀ가량 경사지도록 시공된다.
상단부 고정장치(120)는 상기 상단부 고정핀(149(에 상기 종방향 와이어로프(110)를 고정시킨다.
하단부 고정핀(150)은 몸체부와 환형의 두부를 구비하며, 상기 비탈면(20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환형의 두부를 통해 상기 와이어로프(110)를 관통시킨다. 이때, 상기 상단부 고정핀 및 하단부 고정핀(140, 150)은 상기 와이어로프(110)의 인장력이 최대로 발휘되도록 종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에 따라 종방향으로 비탈면 상단부 및 하단부에 함께 고정핀(140, 150)을 적용함으로써, 와이어로프(110)의 인장력이 최대한으로 발휘될 수 있다.
또한, 하단부 고정핀(150)은 몰탈 처리를 하게 되는데, 상향 몰탈이므로 몰탈 주입재의 흘러내림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향 몰탈의 경우,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케미컬 몰탈을 적용할 수 있다.
하단부 고정장치(130)는 연직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로프(110)에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로프(110)를 상기 하단부 고정핀(150)에 고정시킨다. 즉,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120, 130)는 인장된 와이어로프(110)의 풀림 방지를 위해 상기 고정핀(140, 150)과 상기 와이어로프(110) 사이에 각각 삽입된다. 또한, 상기 하단부 고정장치(130)는 낙석 발생에 따른 적치물을 제거한 후 상기 와이어로프(110)의 재인장이 가능하도록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120, 130)는 각각 상기 와이어로프(110)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상단부 고정핀(140) 및 하단부 고정핀(150)이 관통하지 못하도록 상기 상단부 고정핀(140) 및 하단부 고정핀(150)의 환형의 두부보다 큰 직경으로 날개벽(1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120, 130)는 각각, 2부분으로 분리되는 깔대기 형상으로서 길이는 100㎜, 외경은 최상단 30㎜, 최하단 50㎜의 규격으로 제작되며 그 내경은 와이어로프 직경(16㎜)과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된다. 또한, 중간부에 암수(131, 132)를 두고 체결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타이(Tie)로 묶을 수 있도록 타이 홈(134)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120, 130)의 내경은 상기 와이어로프(110)와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인장 후에 풀리지 않도록 나선형의 홈(135)이 형성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단부 고정핀(140) 및 하단부 고정핀(150)의 두부는 상기 와이어로프(110) 및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120, 130)를 관통시키도록 40m 직경의 환형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상단부 고정핀 및 하단부 고정핀(140, 150)은 각각, 지름 25㎜ 이상, 길이 1.5m 이상의 철근을 이용하며, 그 끝단은 30~40㎜ 직경으로 1~2m 깊이로 천공된 홀에 삽입되며, 예를 들면, 몰탈 주입재를 사용하여 고정되며, 각각 와이어로프(110)에 힘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표면에 직각으로부터 15˚경사지도록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단부 고정핀(140)은 수직선에 대하여 후방으로 15도 기울여서 고정되고, 하단부 고정핀(150)은 수평선에 대하여 15도 기울여서 고정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낙석방지망 비탈면 상단부 끝에만 고정핀을 적용시켜 와이어로프와 연결하는 방식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핀(140, 150)은 기존과 동일한 시방 규정을 따르고 있으나, 인장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 비탈면 종방향의 상단부 및 하단부 모두에 고정핀(140, 150)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이때, 종방향의 고정핀은 필수적으로 시공되어야 하나, 횡방향은 불연속면의 간격, 파쇄대 관찰 및 비탈면의 규모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구(160)는 상기 비탈면(200)과 낙석방지망 사이에 삽입되어 정해진 압축력을 발휘한다. 이때, 상기 정착구(160)는 이완 암블록(210) 분포 구간이나 돌출 구간의 불안정한 구간에 사용되며, 상기 정착구(160) 상단은 상기 낙석방지망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십자 형태(162a. 162b)의 홈이 형성되며, 이때, 홈의 직경은 최대 와이어로프의 직경과 거의 유사하게 18㎜로 한다.
또한, 상기 정착구(160)는 낙석방지망과의 결합이 해제되거나 비탈면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는 철선 또는 타이(Tie) 및 테이프 등으로 부착하여 비탈면 하부로 정착구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착구(160)는 도 7의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의 EPS(스티로폼)(161a)을 주재료로 하며,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을 알루미늄 캔(163b)으로 감싸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정착구(160)의 형태는 원형, 직사각형 등 현장 여건에 따라 제작할 수 있고,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위하여 EPS에 도색을 할 수 있다. 또한, 캔(163b)과 EPS(161b)의 조합은 시간 경과에 따른 EPS의 훼손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정착구(160)는 주재료가 초경량성을 가지는 EPS이므로 와이어로프(110)에서 탈락하더라도 비탈면 하단부 시설물이나 시설물 이용자의 안전을 위협하지 않는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은, 비탈면의 전면을 덮어 낙석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철망과 상기 철망을 지지하도록 상기 비탈면에 고정되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로프를 사용하는 낙석방지망의 시공 방법으로서, 먼저, 철망이 설치될 비탈면에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핀을 각각 설치한다(S110).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상단부 고정핀에 묶은 후 상기 상단부 고정핀에 상단부 고정장치를 체결한다(S120).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로프를 하향 연장하여 하단부 고정핀의 환형의 두부를 관통시킨다(S130).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로프를 연직 방향으로 예를 들면, 유압잭을 사용하여 인장시키고, 인장 상태를 유지하고(S140), 상기 와이어로프가 최대로 인장된 상태에서 하단부 고정장치를 상기 하단부 고정핀의 환형의 두부에 근접 결합시킨다(S150).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로프의 풀림 방지를 위해 상기 하단부 고정장치를 상기 하단부 고정핀의 환형의 두부에 삽입 고정한다(S160). 따라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는 인장된 와이어로프의 풀림 방지를 위해 상기 고정핀과 상기 와이어로프 사이에 각각 삽입된다.
후속적으로, 상기 하단부 고정핀의 환형의 두부를 관통한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비탈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와이어로프와 크로스클립(Cross Clip)을 이용하여 체결한다(S170). 이때, 상기 하단부 고정장치는 낙석 발생에 따른 적치물을 제거하고 상기 크로스클립을 해제한 후 상기 와이어로프의 재인장이 가능하도록 재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은, 와이어로프를 인장시켜 비탈면에 적극적인 담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착구를 사용하여 이완 암블록에 지지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암 탈락을 미연에 차단하는 등 시설물의 안전을 확보하게 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에서, 와이어로프와 고정핀의 결합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에서, 도 9a는 와이어로프를 상단 고정핀에 묶은 후 늘어뜨리고, 와이어로프(110)를 하단부 고정핀(150)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예를 들면, 유압잭 등을 이용하여 와이어로프를 인장시켜, 와이어로프를 팽팽하게 유지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와이어로프(110) 상단부 및 하단부 끝단에 고정핀(140, 150)을 설치하고 이들 고정핀(140, 150)을 와이어로프(110)로 연결하고, 떠한, 정착구(160)를 두어 인장력이 발휘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정착구(160)는 이완 암블록의 탈락 억제와 돌출부 구간에서 낙석방지망의 보호를 위해 사용된다.
또한, 도 9b는 상기 와이어로프(110)가 최대한 팽팽하게 유지될 때, 하단부 고정핀(150)의 환형의 두부에 최대한 근접하여 고정장치(130)를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고정장치의 상단부가 고정핀을 향하도록 한다.
또한, 도 9c는 하단부 고정장치(130)를 하단부 고정핀(150)의 환형의 두부에 삽입하는 것을 나타내며, 이때, 와이어로프(110)의 풀림이 없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도 9d는 와이어로프(110)의 인장 후 여분의 와이어로프가 비탈면 상단에서 내려온 와이어로프와 크로스클립(Cross Clip: 170)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의 경우, 종방향 와이어로프 및 횡방향 와이어로프 상단부뿐만 아니라 하단부 끝단에도 고정핀(140, 150)을 설치하여 와이어로프(110)를 최대한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인장시키고, 낙석방지망을 비탈면(200) 표면에 최대한 밀착시킴으로써 낙석이 발생되는 것 자체를 미연에 방지하여 낙석방지망(100) 시설이 쉽게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낙석 억제력 및 낙석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의 경우, 종방향 와이어로프 끝단에 하단부 고정장치(150)를 설치함으로써, 예상하지 못한 낙석이 발생될 경우, 낙석을 처리하고 와이어로프(100)의 재인장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낙석방지망을 반복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의 경우, 비탈면 내 돌출부와 이완 암블록(210)이 분포하는 부분을 통과하는 낙석방지망에 EPS(스티로폼)로 이루어진 정착구(160)를 부착함으로써 이완 암블록(210)에 압축력을 발현하여 낙석으로 발생되지 않도록 최대한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110: 와이어로프
120: 상단부 고정장치
130: 하단부 고정장치
140: 상단부 고정핀
150: 하단부 고정핀
160, 160a, 160b: 정착구
170: 크로스클립
200: 비탈면
210: 이완 암블록

Claims (18)

  1. 비탈면의 전면을 덮어 낙석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철망;
    상기 철망을 지지하도록 상기 비탈면에 고정되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로프;
    상기 비탈면 최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상단부 고정핀;
    상기 상단부 고정핀에 상기 종방향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상단부 고정장치;
    몸체부와 환형의 두부를 구비하며, 상기 비탈면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환형의 두부를 통해 상기 와이어로프를 관통시키는 하단부 고정핀;
    연직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로프에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하단부 고정핀에 고정시키는 하단부 고정장치; 및
    상기 비탈면과 낙석방지망 사이에 삽입되어 정해진 압축력을 발휘하는 정착구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는 인장된 와이어로프의 풀림 방지를 위해 상기 고정핀과 상기 와이어로프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는 각각 상기 와이어로프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상단부 고정핀 및 하단부 고정핀이 관통하지 못하도록 상기 상단부 고정핀 및 하단부 고정핀의 환형의 두부보다 큰 직경으로 날개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는 각각, 2부분으로 분리되는 깔대기 형상으로 제작되며, 중간부에 암수를 두고 체결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타이(Tie)로 묶을 수 있도록 타이 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의 내경은 상기 와이어로프와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인장 후에 풀리지 않도록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고정핀 및 하단부 고정핀의 두부는 상기 와이어로프 및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를 관통시키도록 40m 직경의 환형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고정핀 및 하단부 고정핀은 각각, 30~40㎜ 직경으로 1~2m 깊이로 천공된 홀에 삽입되며, 몰탈 주입재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 고정핀은 상향몰탈로 몰탈 처리되며, 몰탈 주입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케미컬 몰탈을 사용하여 몰탈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고정핀 및 하단부 고정핀은 각각 와이어로프에 힘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표면에 직각으로부터 15˚경사지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고정핀 및 하단부 고정핀은 상기 와이어로프의 인장력이 최대로 발휘되도록 종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고정핀 및 하단부 고정핀은 불연속면의 간격, 파쇄대 관찰 및 비탈면의 규모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 고정장치는 낙석 발생에 따른 적치물을 제거한 후 상기 와이어로프의 재인장이 가능하도록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구는 이완암블록 분포 구간이나 돌출 구간의 불안정한 구간에 사용되며, 상기 정착구 상단은 상기 낙석방지망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십자 형태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구는 경량의 EPS(스티로폼)을 주재료로 하여 외곽을 알루미늄 캔으로 감싸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14. 비탈면의 전면을 덮어 낙석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철망과 상기 철망을 지지하도록 상기 비탈면에 고정되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로프를 사용하는 낙석방지망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a) 철망이 설치될 비탈면에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핀을 각각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상단부 고정핀에 묶은 후 상기 상단부 고정핀에 상단부 고정장치를 체결하는 단계;
    c) 상기 와이어로프를 하향 연장하여 하단부 고정핀의 환형의 두부를 관통시키는 단계;
    d) 상기 와이어로프를 연직 방향으로 인장시키고, 인장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e) 상기 와이어로프가 최대로 인장된 상태에서 하단부 고정장치를 상기 하단부 고정핀의 환형의 두부에 근접 결합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와이어로프의 풀림 방지를 위해 상기 하단부 고정장치를 상기 하단부 고정핀의 환형의 두부에 삽입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의 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g) 상기 하단부 고정핀의 환형의 두부를 관통한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비탈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와이어로프와 크로스클립(Cross Clip)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의 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 고정장치는 낙석 발생에 따른 적치물을 제거하고 상기 크로스클립을 해제한 후 상기 와이어로프의 재인장이 가능하도록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의 시공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유압잭을 사용하여 인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의 시공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고정장치는 인장된 와이어로프의 풀림 방지를 위해 상기 고정핀과 상기 와이어로프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의 시공 방법.
KR1020110123211A 2011-11-23 2011-11-23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및 그 시공 방법 KR101337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211A KR101337324B1 (ko) 2011-11-23 2011-11-23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211A KR101337324B1 (ko) 2011-11-23 2011-11-23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352A true KR20130057352A (ko) 2013-05-31
KR101337324B1 KR101337324B1 (ko) 2013-12-06

Family

ID=4866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211A KR101337324B1 (ko) 2011-11-23 2011-11-23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3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392A (ko) 2014-02-18 2015-08-26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삼방 밸브 및 흡기 시스템
CN106087785A (zh) * 2016-08-12 2016-11-09 铁道第三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易维护柔性被动防护系统
CN110730843A (zh) * 2017-03-06 2020-01-24 瑞尔创新澳大利亚私人有限公司 侧帮,长壁,斜井及顶板安全防护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117B1 (ko) 2003-06-09 2005-12-05 (주)하이콘건설 낙석 방지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35971B1 (ko) 2003-12-27 2006-10-23 최영근 낙석방지망
KR100500353B1 (ko) 2004-08-21 2005-07-18 (주)지엠지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
KR200450477Y1 (ko) 2010-01-13 2010-10-06 주식회사 비엠테크 낙석 방지책용 완충형 와이어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392A (ko) 2014-02-18 2015-08-26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삼방 밸브 및 흡기 시스템
CN106087785A (zh) * 2016-08-12 2016-11-09 铁道第三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易维护柔性被动防护系统
CN110730843A (zh) * 2017-03-06 2020-01-24 瑞尔创新澳大利亚私人有限公司 侧帮,长壁,斜井及顶板安全防护系统
EP3592900A4 (en) * 2017-03-06 2020-11-11 Real Innovations Australia Pty Ltd RIB, WALL, SLOPE AND ROOF SECURIT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324B1 (ko)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7440B (zh) Impact absorption fence
KR101352188B1 (ko) 원터치식 재인장 정착구
CN102587395B (zh) 一种边坡坡面抗震柔性主动防护网系统
TW201404977A (zh) 支柱構造
KR101337324B1 (ko)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및 그 시공 방법
CN103726500A (zh) 破碎岩质边坡锚墩式主动防护网结构
CN110158497A (zh) 一种高悬臂落石防护结构及施工方法
KR10107794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CN209429141U (zh) 公路边坡复合防护结构
KR101129399B1 (ko) 낙석 방지망
JP6908260B2 (ja) 受圧板、受圧板を用いた既設法枠を有する斜面の保護方法及び既設法枠を有する斜面の保護システム
JP3143816U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
JP5123224B2 (ja) 既設落石防護柵の補強構造
KR100867385B1 (ko) 확장형 그라운드 앵커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07714B1 (ko) 충격에너지의 분배 및 흡수가 가능한 낙석방지 울타리
KR20100081704A (ko) 경사지반 압박 보강 구조 및 공법
KR101262867B1 (ko) 탄성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벽체 구조물
KR100831568B1 (ko) 개폐형 낙석방지울타리 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1190027B1 (ko) 제거 및 재정착이 가능한 앵커
KR101202845B1 (ko) 한 개의 천공홀에 어스앵커와 소일네일링 합성에 의한 지반보강방법
KR100568041B1 (ko) 영구앙카
KR20090081843A (ko) 외장형 스프링 락볼트를 이용한 암사면지반 보강공법
KR100908901B1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스식 쏘일 네일링 구조
KR102114186B1 (ko) 낙석방지용 휀스
JP3911286B2 (ja) 自然斜面安定化工法及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