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353B1 -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353B1
KR100500353B1 KR1020040066193A KR20040066193A KR100500353B1 KR 100500353 B1 KR100500353 B1 KR 100500353B1 KR 1020040066193 A KR1020040066193 A KR 1020040066193A KR 20040066193 A KR20040066193 A KR 20040066193A KR 100500353 B1 KR100500353 B1 KR 100500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rockfall prevention
fixed
rockfall
p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태
Original Assignee
(주)지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엠지 filed Critical (주)지엠지
Priority to KR1020040066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3Dune restoration or creation; Cliff stabi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탈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탈면에서의 낙석을 방지하며 비탈면의 지표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는 붕괴 조짐이 있는 비탈면의 상, 하부에 박혀 쌍을 이루는 다수의 파일과, 다수의 종형 줄 및 횡형 줄이 교차되게 구성되며 그 중 임의의 다수의 종형 줄의 단부측이 측정 수단과 고정 수단을 통해 상기 쌍을 이루는 상, 하부 파일에 각기 고정되어 상기 비탈면의 지표를 커버하는 낙석 방지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정 수단은 파일의 상부에 고정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어 줄의 단부측이 인장되면서 풀림 가능하게 권취되어 줄의 길이 변화를 계측하는 권취 계측부와, 상기 권취 계측부에서 계측된 계측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A Slope sensory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falling rock prevention}
본 발명은 비탈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탈면에서의 낙석을 방지하며 비탈면의 지표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건설로 인한 절개지나 가파른 비탈면에 위치한 시설물의 경우 주위 환경의 작은 변화에도 크게 영향을 받아 산사태 또는 붕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매년 장마철의 폭우나 해빙기에 발생되는 산사태로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적 손실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절개지 혹은 가파른 비탈면에는 산사태 또는 붕괴 등으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일례로, 붕괴 방지 빔을 절개지나 비탈면에 삽입하고 콘크리트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환경과 주위의 갑작스런 큰 충격 등의 상황을 감지하지 못하므로 재난 및 붕괴를 사전에 막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 다른 예로 절개지 또는 비탈면에 그물 형태의 보호 망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비탈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낙석이 보호 망에 걸려 도로 쪽으로 떨어지지 않고 도로 측부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낙석 등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낙석 등이 보호 망에 걸려 도로 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뿐, 비탈면 주위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므로 비탈면의 붕괴나 낙석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막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탈면에서의 낙석이나 붕괴에 따른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비탈면 주위의 환경 변화에 따른 비탈면의 지표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는 붕괴 조짐이 있는 비탈면의 상, 하부에 박혀 쌍을 이루는 다수의 파일과, 다수의 종형 줄 및 횡형 줄이 교차되게 구성되며 그 중 임의의 다수의 종형 줄의 단부측이 측정 수단과 고정 수단을 통해 상기 쌍을 이루는 상, 하부 파일에 각기 고정되어 상기 비탈면의 지표를 커버하는 낙석 방지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정 수단은 파일의 상부에 고정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어 줄의 단부측이 인장되면서 풀림 가능하게 권취되어 줄의 길이 변화를 계측하는 권취 계측부와, 상기 권취 계측부에서 계측된 계측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는 낙석 방지망을 통해 비탈면에서 발생되는 낙석 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 수단을 통해 낙석 방지망의 종형 줄의 길이 변화를 계측하여 실시간으로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관리자는 측정 수단들로부터 입력되는 계측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해당 비탈면의 국부적인 또는 전체에 대한 붕괴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탈면의 양측에는 쌍을 이루는 다수의 파일이 더 구비되고, 상기 낙석 방지망의 횡형 줄 중 임의의 다수의 횡형 줄의 단부측은 측정 수단 및 고정 수단을 통해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양측 파일에 각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는 측정 수단을 통해 낙석 방지망의 횡형 줄의 길이 변화를 추가적으로 계측하여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비탈면에서 붕괴 조짐이 발생되는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 비탈면의 붕괴 또는 낙석 등의 안전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 에 도시된 고정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측정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는 붕괴 조짐이 있는 비탈면의 상, 하부에 상호 이격되게 박혀 쌍을 이루는 다수의 파일(1)과, 이 다수의 파일(1)에 측정 수단과 고정 수단을 통해 임의의 종형 줄(21)의 양 단부측이 각기 고정되어 비탈면의 지표를 커버하는 낙석 방지망(2)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를 구성하는 낙석 방지망(2)은 다수의 종형 줄(21) 및 횡형 줄(22)이 상호 교차되게 구성된 것으로, 임의의 다수의 종형 줄(21)의 단부측이 측정 수단(3)과 고정 수단(미도시)을 통해 낙석 방지망의 상, 하부에 쌍으로 박혀 있는 파일에 각기 고정된다. 이 때 파일(1)은 비탈면의 안정 영역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낙석 방지망의 종형 줄의 하단부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석 방지망이 설치된 하부, 즉 비탈면의 하부에 박힌 파일(1)에 감겨진 상태에서 철선 등과 같은 고정 수단(4)을 통해 파일에 고정된다.
그리고 종형 줄(21)의 상단부측은 낙석 방지망의 상부, 즉 비탈면의 상부에 박힌 파일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측정 수단(3)에 고정된다. 이 때 측정 수단(3)에 고정되는 종형 줄(21)의 단부측은 항상 인장되면서 풀림 가능하게 권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는 비탈면의 상, 하부에 쌍으로 설치된 다수의 파일에 낙석 방지망의 다수의 종형 줄이 단부측이 쌍을 이루는 상, 하부 파일에 각기 고정되어 낙석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부 파일에 고정되는 종형 줄의 상단부측이 종형 줄의 하단부측과는 달리 측정 수단에 의해 일정 수준의 장력을 받으므로, 낙석 방지망이 비탈면의 지표에 밀착되어 낙석 등이 발생되는 경우 낙석 방지망에 걸려 비탈면의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 수단(3)과 고정 수단(4)을 통해 파일(1)에 고정되는 종형 줄(21)은 강선이거나 타 종형 줄보다 상대적으로 굵은 줄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측정 수단 및 고정 수단을 통해 상, 하부 파일에 고정되는 종형 줄을 강선이나 타 종형 줄보다 굵은 줄로 사용함으로써, 낙석 방지망에 전체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낙석 발생 시 낙석의 하중에 의하여 후술하게 될 측정 수단에 고정되어 있는 종형 줄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인 측정 수단(3)은 파일(1)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종형 줄의 단부측이 항상 인장되면서 풀림 가능하게 권취되어 종형 줄의 풀림에 따라 종형 줄의 길이 변화를 계측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즉 측정 수단(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1)의 상부에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되는 케이싱(31)과, 케이싱(31)의 내부에 구비되어 줄(21)의 단부측이 인장되면서 풀림 가능하게 권취되어 줄의 길이 변화를 계측하는 권취 계측부(32)와, 권취 계측부(32)에서 계측된 계측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부(3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수단은 전원 공급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주는 솔라 셀을 이용한 전원 공급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수단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성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케이싱(31)은 하부에 파일(1)이 삽입되는 삽입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 홈부의 일측에는 파일의 결합 홈에 체결되는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을 파일 상부에 삽입 장착한 다음, 케이싱의 볼트 결합 공과 파일에 형성된 결합 홈을 일치시킨 후 볼트를 결합 홈에 체결함으로써, 케이싱을 파일 상부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권취 계측부(32)는 케이싱의 측벽에 브라켓(321)을 통해 회전되게 구비된 회전축(322)과, 회전축(322)의 일측에 연동 회전되게 장착되며 줄(21)이 권취되는 풀리(323)와, 회전축(322)을 감싸며 구비되어 풀리에 감겨진 줄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스프링 인장부(324)와, 회전축(322)의 타측에 구비되어 회전축의 회전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부(33)로 출력하는 엔코더(325)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측정 수단(3)은 낙석에 의해 줄(21)이 당겨지게 되면, 줄이 권취되어 있는 풀리(323)가 회전되면서 줄의 길이 변화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풀리(323)가 연동 회전되게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322)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회전축(322)의 타측에 구비되어 있는 엔코더(325)가 회전축의 회전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부(33)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측정 수단은 낙석에 의해 종형 줄의 길이 변화를 계측하여 통신부로 출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종형 줄에 걸려 있던 낙석이 비탈면의 하부로 떨어지게 되면, 스프링 인장부(324)에 의해 회전축(322)이 풀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322)에 연동 회전되게 장착되어 있는 풀리(323)가 회전하면서 신장되었던 줄(21)을 되감게 되며, 스프링 인장부(324)에 의해 줄의 텐션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통신부(33)는 엔코더(32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것으로, 무선이나 유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소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때 통신부를 통한 데이터 전송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는 측정 수단을 통해 비탈면의 지표변화에 의한 지중 이동이나 낙석 등에 의한 낙석 방지망의 길이 변화를 계측하여 실시간으로 외부로 전송해 줌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가 측정 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탈면 붕괴에 따른 산사태나 낙석 등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는 붕괴 조짐이 있는 비탈면에 설치되는데, 이 때 종형 줄(21)과 횡형 줄(22)이 교차되게 구성되는 낙석 방지망(2) 중 임의의 다수의 종형 줄(21)의 단부측이 전술한 측정 수단(3)과 고정 수단(4, 도 2참조)을 통해 비탈면의 상, 하부에 쌍으로 설치된 파일(1)에 각기 고정되어 비탈면의 지표를 커버한다. 이 때 파일에 고정되는 임의의 다수의 종형 줄(21)은 강선으로 구성된 것을 전제로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석 방지망(2)의 중앙 부근에서 낙석이 발생하게 되면, 발생된 낙석은 낙석 방지망(2)에 걸리게 되어 이 부근을 커버하는 낙석 방지망(2)은 낙석에 의해 변형된다. 즉 비탈면의 중앙을 지나가며 ⑤-⑤ 파일에 고정되어 있는 종형 줄(21)이 낙석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게 되며, 이웃한 파일에 고정되어 있는 종형 줄(21)들은 낙석 방지망(2)의 변형에 따라 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신장된다.
이에 따라 원격지에 설치된 관리소에 비탈면의 각 상부 파일에 고정되어 있는 측정 수단(3)들로부터 입력되는 종형 줄의 길이 변위 데이터가 예를 들어, ③파일=3mm, ④파일=7mm, ⑤파일=10㎜, ⑥파일=7mm, ⑦파일=2mm로 입력되는 경우 관리자는 입력된 계측 데이터를 통해 ⑤파일이 설치된 비탈면의 중앙 부분에서의 낙석 발생에 따른 지표 변화를 인식할 수 있으며, 낙석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는 비탈면의 양측에 쌍을 이루는 다수의 파일(1)이 더 구비되어 있고, 낙석 방지망(2)의 횡형 줄(22) 중 임의의 다수의 횡형 줄(22)의 단부측은 측정 수단(3) 및 고정 수단(4, 도2참조)을 통해 한 쌍을 이루는 양측 파일(1)에 각기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횡형 줄의 단부측을 파일에 고정시키는 위한 측정 수단(3) 및 고정 수단에 대한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는 비탈면의 상, 하부 및 양측에 쌍으로 설치된 다수의 파일에 낙석 방지망의 다수의 종형 줄 및 횡형 줄이 단부측이 쌍을 이루는 상, 하부 및 양측 파일에 각기 고정됨으로써, 낙석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 수단(3)과 고정 수단(4, 도2참조)을 통해 양측 파일(1)에 고정되는 횡형 줄(22)은 강선이거나 타 횡형 줄보다 상대적으로 굵은 줄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측정 수단 및 고정 수단을 통해 파일에 고정되는 종형 줄 및 횡형 줄을 강선이나 타 종형 줄보다 굵은 줄로 사용함으로써, 낙석 방지망에 전체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낙석 발생 시 낙석의 하중에 의하여 측정 수단에 고정되어 있는 줄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석 방지망(2)의 중앙 부근에서 낙석이 발생하게 되면, 발생된 낙석은 낙석 방지망에 걸리게 되며 이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낙석 방지망은 낙석에 의해 변형된다. 즉 비탈면의 중앙을 지나가며 ⑤-⑤파일 및 ⑤'-⑤'파일에 고정되어 있는 종형 줄(21) 및 횡형 줄(22)이 낙석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게 되며, 이웃한 파일에 고정되어 있는 종형 줄 및 횡형 줄들은 낙석 방지망의 변형에 따라 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신장된다.
이에 따라 원격지에 설치된 관리소에 비탈면의 각 상부 파일에 고정되어 있는 측정 수단(3)들로부터 입력되는 종형 줄의 길이 변위 데이터가 예를 들어, ③파일=3mm, ④파일=7mm, ⑤파일=10㎜, ⑥파일=7mm, ⑦파일=2mm로 입력되고, 횡형 줄의 길이 변위 데이터가 ③'파일=3mm, ④'파일=6mm, ⑤'파일=10㎜, ⑥'파일=7mm, ⑦'파일=2mm는 경우, 관리자는 입력된 계측 데이터를 통해 ⑤파일 및 ⑤'파일이 교차되는 부근인 비탈면 중앙의 지표 변화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는 비탈면의 지표 변화에 따른 지중의 이동이나 낙석에 의해 낙석 방지망이 변형되는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파일들에 고정되어 있는 종형 줄 및 횡형 줄의 길이 변화를 계측하여 출력해 줌으로써, 관리자는 측정 수단들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통해 낙석이 발생된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해당 위치에 대한 지중 정보를 토대로 이에 적합한 대응 방안을 신속하게 선택하여 지표 변화에 따른 산사태나 낙석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는 비탈면의 상,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파일(1) 사이에 고정 파일(11)이 더 구비되고, 낙석 방지망(2)의 타 종형 줄(21) 중 임의의 다수의 타 종형 줄의 단부측이 고정 수단(4, 도2참조)을 통해 고정 파일(11)에 각기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는 고정 수단을 통해 타 종형 줄의 단부측을 비탈면에 박힌 고정 파일에 고정하여 낙석 방지망의 타 종형 줄의 상, 하단부를 비탈면에 견고하게 설치하여 낙석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탈면의 양측에 설치된 다수의 양측 파일(1) 사이에 고정 파일(11)이 더 구비되고, 낙석 방지망의 타 횡형 줄(22) 중 임의의 다수의 타 횡형 줄의 단부측이 고정 수단을 통해 고정 파일에 각기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는 고정 수단을 통해 타 종형 줄 및 타 횡형 줄의 단부측을 비탈면의 상,하부 및 양측에 박힌 고정 파일에 고정함으로써, 낙석 방지망을 구성하는 타 종형 줄의 상, 하단부 및 타 횡형 줄의 양측 단부를 비탈면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하여 비탈면의 지표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지표 변화에 의해 낙석 등이 발생되는 경우 낙석이 비탈면의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낙석 등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는 낙석 방지망을 통해 비탈면에서 발생되는 낙석 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 수단을 통해 지표 변화에 따른 낙석 방지망의 종형 줄의 길이 변화를 계측하여 실시간으로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관리자는 측정 수단들로부터 입력되는 계측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해당 비탈면의 국부적인 또는 전체에 대한 붕괴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특히 측정 수단을 통해 낙석 방지망의 횡형 줄의 길이 변화를 계측하여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비탈면에서 붕괴 조짐이 발생되는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 비탈면의 붕괴 또는 낙석 등의 안전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수단 및 고정 수단을 통해 상, 하부 파일 또는/및 양측 파일에 고정되는 종형 줄 또는/및 횡형 줄을 강선이나 타 종형 줄보다 굵은 줄로 사용함으로써, 낙석 방지망에 전체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낙석 발생 시 낙석의 하중에 의하여 종형 줄 또는/및 횡형 줄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감지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 에 도시된 고정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측정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감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감지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비탈면 감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감지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일
11 : 고정 파일
2 : 낙석 방지망
21 : 종형 줄
22 : 횡형 줄
3 : 측정 수단
31 : 케이싱
32 : 권취 계측부
321 : 브라켓, 322 : 회전축, 323 : 풀리,
324 : 스프링 인장부, 325 : 엔코더
33 : 통신부
4 : 고정 수단

Claims (8)

  1. 붕괴 조짐이 있는 비탈면의 상, 하부에 박혀 쌍을 이루는 다수의 파일(1)과, 다수의 종형 줄(21) 및 횡형 줄(22)이 교차되게 구성되며 그 중 임의의 다수의 종형 줄(21)의 단부측이 측정 수단(3)과 고정 수단(4)을 통해 상기 쌍을 이루는 상, 하부 파일(1)에 각기 고정되어 상기 비탈면의 지표를 커버하는 낙석 방지망(2)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정 수단(3)은 파일(1)의 상부에 고정되는 케이싱(31)과, 상기 케이싱(31)의 내부에 구비되어 줄의 단부측이 인장되면서 풀림 가능하게 권취되어 줄의 길이 변화를 계측하는 권취 계측부(32)와, 상기 권취 계측부(32)에서 계측된 계측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부(3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계측부(32)는 :
    상기 케이싱(31)의 측벽에 브라켓(321)을 통해 회전되게 구비된 회전축(322)과,
    상기 회전축(322)의 일측에 연동 회전되게 장착되며 상기 줄이 권취되는 풀리(323)와,
    상기 회전축(322)을 감싸며 구비되어 상기 풀리(323)에 감겨진 줄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스프링 인장부(324)와,
    상기 회전축(322)의 타측에 구비되어 회전축의 회전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부(33)로 출력하는 엔코더(32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수단(3) 및 고정 수단(4)을 통해 파일에 고정되는 종형 줄은 강선이거나 타 종형 줄보다 상대적으로 굵은 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의 상,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파일(1) 사이에는 고정 파일(11)이 더 구비되고,
    상기 낙석 방지망의 타 종형 줄(21) 중 임의의 다수의 타 종형 줄(21)의 단부측은 고정 수단(4)을 통해 상기 고정 파일(11)에 각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의 양측에는 쌍을 이루는 다수의 파일(1)이 더 구비되고,
    상기 낙석 방지망의 횡형 줄(22) 중 임의의 다수의 횡형 줄(22)의 단부측은 측정 수단(3) 및 고정 수단(4)을 통해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양측 파일(1)에 각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수단(3) 및 고정 수단(4)을 통해 양측 파일에 고정되는 횡형 줄(22)은 강선으로 구성되거나 타 횡형 줄보다 상대적으로 굵은 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의 양측에 설치된 다수의 양측 파일(1) 사이에는 고정 파일(11)이 더 구비되고,
    상기 낙석 방지망의 타 횡형 줄(22) 중 임의의 다수의 타 횡형 줄(22)의 단부측은 고정 수단(4)을 통해 상기 고정 파일(11)에 각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
  8. 삭제
KR1020040066193A 2004-08-21 2004-08-21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 KR100500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193A KR100500353B1 (ko) 2004-08-21 2004-08-21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193A KR100500353B1 (ko) 2004-08-21 2004-08-21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0353B1 true KR100500353B1 (ko) 2005-07-18

Family

ID=3730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193A KR100500353B1 (ko) 2004-08-21 2004-08-21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35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670B1 (ko) 2005-11-15 2006-04-07 비앤티엔지니어링(주) 연약지반 도로 경사면의 안전진단 계측장치
KR100595009B1 (ko) 2003-11-15 2006-06-30 이근호 성토공사용 지중경사데이터처리방법, 그 방법이 기록된기록매체, 그 방법을 이용한 지중경사계
KR100786214B1 (ko) 2007-08-28 2007-12-17 (주)다음기술단 안전진단용 무선계측장치가 포함된 보강토 옹벽
KR100786218B1 (ko) 2007-08-28 2007-12-17 (주)다음기술단 안전진단용 계측장치가 포함된 보강토 옹벽
KR101232638B1 (ko) 2010-10-14 2013-02-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낙석 검지 장치
KR101337324B1 (ko) 2011-11-23 2013-12-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및 그 시공 방법
RU2654106C1 (ru) * 2017-02-28 2018-05-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Противооползневое сооружение
KR101846433B1 (ko) * 2016-06-21 2018-05-1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경고시스템
CN111811422A (zh) * 2020-07-30 2020-10-23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基于锚索稳固的岩石边坡形变在线监测采集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009B1 (ko) 2003-11-15 2006-06-30 이근호 성토공사용 지중경사데이터처리방법, 그 방법이 기록된기록매체, 그 방법을 이용한 지중경사계
KR100566670B1 (ko) 2005-11-15 2006-04-07 비앤티엔지니어링(주) 연약지반 도로 경사면의 안전진단 계측장치
KR100786214B1 (ko) 2007-08-28 2007-12-17 (주)다음기술단 안전진단용 무선계측장치가 포함된 보강토 옹벽
KR100786218B1 (ko) 2007-08-28 2007-12-17 (주)다음기술단 안전진단용 계측장치가 포함된 보강토 옹벽
KR101232638B1 (ko) 2010-10-14 2013-02-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낙석 검지 장치
KR101337324B1 (ko) 2011-11-23 2013-12-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장압축형 낙석방지망 및 그 시공 방법
KR101846433B1 (ko) * 2016-06-21 2018-05-1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경고시스템
RU2654106C1 (ru) * 2017-02-28 2018-05-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Противооползневое сооружение
CN111811422A (zh) * 2020-07-30 2020-10-23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基于锚索稳固的岩石边坡形变在线监测采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353B1 (ko) 낙석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탈면 감지 장치
JP5455717B2 (ja) 斜面安定化システム
CN207395935U (zh) 一种基于光纤光栅传感技术的冲击地压在线监测系统
US20090008619A1 (en) Security fence module
US20100262384A1 (en) High tension cable measurement system and assembly
JP5586175B2 (ja) 構造物における水の検知方法及び構造物用部材並びに構造物における水の検知装置
KR20160092637A (ko) 철조망 침입감지 및 보안 시스템
JP2002228497A (ja) 落石防護ネット警報装置
JP2005345137A (ja) 侵入者検知装置
WO2004068436A1 (ja) 埋設型計器及び構造物計測システム
WO2009014304A1 (en) An external trespass sensing system
JP4422174B2 (ja) 落石監視装置
JP4628188B2 (ja) 地崩れ感知装置
US7669481B2 (en) System for monitoring level variations in a soil subjected to erosive and sedimentary agents, and monitoring method and element
JP2000292216A (ja) 光ファイバセンサ
JP3725513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使用の構造物変位・変状検知装置
JP3599690B2 (ja) 光ファイバを用いた光変位センサ及びこの光変位センサを用いた変状監視システム
JP2000298010A (ja) 光ファイバを利用した歪センサ及びこの歪センサを用いた変状監視システム
KR102468580B1 (ko) 록볼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사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JPH07119629B2 (ja) 地形変位検出用光ファイバ敷設構造
JP3095629B2 (ja) 地すべり検知装置
KR20160004100A (ko) 산사태 경보 장치
KR100654688B1 (ko) 위험사면 감시장치
JP2001082986A (ja) 光ケーブルを用いた土砂移動検知センサ
JP2004212247A (ja) 水盛式沈下/浮上測定の測定点用タン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