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688B1 - 위험사면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위험사면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688B1
KR100654688B1 KR1020050013047A KR20050013047A KR100654688B1 KR 100654688 B1 KR100654688 B1 KR 100654688B1 KR 1020050013047 A KR1020050013047 A KR 1020050013047A KR 20050013047 A KR20050013047 A KR 20050013047A KR 100654688 B1 KR100654688 B1 KR 100654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detector
ground
slope
monito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2349A (ko
Inventor
김종우
황영철
Original Assignee
(주)에이티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티맥스 filed Critical (주)에이티맥스
Priority to KR102005001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688B1/ko
Publication of KR20060092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3/00Testing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01C15/08Plumbing or registering staffs or markers over ground 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면의 지중에 근입된 파동방출기구와; 상기 파동방출기구로부터 소정 이격된 근방에 근입됨과 아울러, 상기 파동방출기구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지중을 통해 전달된 파동을 감지하는 파동감지기구와; 상기 파동방출기구 및 파동감지기구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파동의 속도를 측정하고, 그 속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지중의 유전율의 변화를 계측하는 계측수단을; 포함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를 제시함으로써, 사면의 붕괴위험을 보다 효율적으로 예측하고, 대비책을 강구할 시간적 여유를 충분히 갖도록 한다.
사면, 절토, 안정, 붕괴, 감시, 파동, 레이더

Description

위험사면 감시장치{APPARATUS FOR OBSERVATION OF INCLINE}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2는 제2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3은 제3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제4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5는 제5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종래의 사면 감시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중 11 : 방출기구 삽입홈
12 : 감지기구 삽입홈 13 : 방출 및 감지기구 삽입홈
21 : 방출기구 장착용 파이프 22 : 감지기구 장착용 파이프
23 : 방출 및 감지기구 장착용 파이프
100 : 파동방출기구 200 : 파동감지기구
300 : 계측수단 400 :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
500 : 반사기구 510 : 금속봉
520 : 금속판
본 발명은 위험사면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절토 등에 의해 형성된 사면의 붕괴를 감시하고 예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면의 붕괴 사례는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인위적으로 사면을 형성할 때 발생하는 경우, 둘째, 인위적으로 사면이 형성될 당시에는 안정된 상태이나 수년 혹은 수십년 경과 후 외부요인에 의해 안정성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전자의 경우는 시공현장의 제반 여건이 양호하여, 경제적인 손실이 적으며, 인명피해도 거의 발생하지 않고, 곧바로 안정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가능하나, 후자의 경우는 사면 형성 후 공용 중에 발생하는 것이므로, 도로 및 철도 등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미치는 재산적인 피해, 인명손실, 사회적인 손실이 매우 크게 발생한다.
상기 후자와 같이 안정화된 사면이 붕괴되는 요인은 강우에 의해 지반 내 지하수위가 상승하거나 수분 함량이 상승하는 경우, 지진이나 사면상부의 추가하중과 같은 외부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지반의 풍화가 발달하여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를 분설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형여건 및 강우의 영향을 받는 지하수 및 지표수가 증가하는 경우 사면의 붕괴로 연결될 수 있는데, 조사된 사례를 분석해 보면 국내의 경우 사면의 안정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보고되고 있다.(강우 및 지하수조건)
둘째, 사면 상부에 설계 당시 계획되지 않았던 하중이 추가되거나, 지진이 발생하여 사면에 추가하중이 발생하는 경우 사면의 붕괴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면의 안정성을 별도로 재검토하여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외부하중 조건)
셋째, 단층, 층리, 편리, 엽리 등의 지질구조가 발달한 사면은 이 지질구조선을 따른 붕괴가 많이 발생하며, 특히 사면의 풍화상태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그리고 지질구조의 풍화는 공기와 물의 침투에 의해 촉진된다.(지반조건, 강우 및 지하수 조건)
넷째, 우기시 집중되는 강우를 적절히 배수할 수 있는 지형조건인가의 여부가 밀접하게 연관된다.(지형조건)
이와 같이 사면의 붕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매우 다양하므로, 종래에는 다음과 같이 사면의 거동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사면의 붕괴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사용해 왔다.
도 6은 종래의 사면 감시장치 중 대표적인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사면 감시장치는 경사면을 따라 지중(10)에 복수개의 파일(1)을 근입하고, 그 파일(1) 상호간을 연결부재(2)에 의해 연결한 후, 길이변위측정센서(미도시) 등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2)의 길이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사면의 변화를 계측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사면 감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첫째, 종래의 사면 감시장치는 붕괴를 향한 사면의 거동이 이미 개시된 이후, 그 거동을 간접적으로 감지하는 것이므로, 사면의 붕괴를 미리 예측하여 대비책을 강구할 시간적 여유가 사실상 없다는 점이다.
둘째, 종래의 사면 감시장치는 사면의 거동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어, 사면 붕괴의 특성상 붕괴가 발생하는 위치의 예측이 쉽지 않고, 따라서 붕괴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사면 전체를 감지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는 바, 관리대상 전체 사면을 감시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셋째, 사면의 붕괴는 초기 거동 후 급작스럽게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종래의 사면 감시장치와 같이 붕괴감지 후 대책을 강구하는 방법은 사면을 감시하여 붕괴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예경보시스템을 위한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다는 점이다.
넷째, 종래의 사면 감시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면의 붕괴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인자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상기 인자 중 사면의 안정에 60 ~ 70%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정받는 강우 및 지하수조건에 관한 고려가 전혀 없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감시시스템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을 받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면의 붕괴위험을 보다 효율적으로 예측함으로써, 대비책을 강구할 시간적 여유를 충분히 갖도록 할 수 있는 위험사면 감시장치를 제시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면의 지중에 근입된 파동방출기구와; 상기 파동방출기구로부터 소정 이격된 근방에 근입됨과 아울러, 상기 파동방출기구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지중을 통해 전달된 파동을 감지하는 파동감지기구와; 상기 파동방출기구 및 파동감지기구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파동의 속도를 측정하고, 그 속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지중의 유전율의 변화를 계측하는 계측수단을; 포함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파동방출기구가 방출하는 파동은 전자기파, 음파, 초음파, 광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파동방출기구는 상기 지중에 천공된 방출기구 삽입홈에 근입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방출기구 삽입홈에는 방출기구 장착용 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파동방출기구는 상기 방출기구 장착용 파이프 내부에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동방출기구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동감지기구는 상기 지중에 천공된 감지기구 삽입홈에 근입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감지기구 삽입홈에는 감지기구 장착용 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파동감 지기구는 상기 감지기구 장착용 파이프 내부에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동감지기구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사면의 지중에 근입된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와;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로부터 소정 이격된 근방에 근입됨과 아울러,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지중을 통해 전달된 파동을 반사시켜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가 그 파동을 감지하도록 하는 반사기구와;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파동의 속도를 측정하고, 그 속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지중의 유전율의 변화를 계측하는 계측수단을; 포함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가 방출 및 감지하는 파동은 전자기파, 음파, 초음파, 광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는 상기 지중에 천공된 방출 및 감지기구 삽입홈에 근입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방출 및 감지기구 삽입홈에는 방출 및 감지기구 장착용 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는 상기 방출 및 감지기구 장착용 파이프 내부에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기구는 금속봉, 금속판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를 중심으로 방사상 구조로서 복수개가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위험사면 감시장치는 사면의 지중(10)에 근입된 파동방출기구(100)와; 상기 파동방출기구(100)로부터 소정 이격된 근방에 근입됨과 아울러, 상기 파동방출기구(100)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지중(10)을 통해 전달된 파동을 감지하는 파동감지기구(200)와; 상기 파동방출기구(100) 및 파동감지기구(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파동의 속도를 측정하고, 그 속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지중의 유전율의 변화를 계측하는 계측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사면의 지중(10)에 파동을 방출하는 파동방출기구(100)를 근입하고, 그 근방에 상기 파동을 감지하는 파동감지기구(200)를 근입하여, 파동방출기구(100)와 파동감지기구(200) 사이의 지중(10)을 통해 파동이 전달되는 속도를 측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파동의 속도는 지중(10)의 유전율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데, 강우및 지하수조건에 의해 지중(10)의 함수비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유전율이 변화함에 따라 파동의 속도도 변화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파동의 속도 변화를 계측함에 의해 간접적으로 지중(10)의 유전율 변화, 즉 지중(10)의 함수비 변화를 계측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면의 안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강우 및 지하수조건의 변화에 의해 사면의 위험성을 예측하도록 하므로, 종래의 사면 감시장치에 비해 사면의 붕괴위험을 보다 효율적으로 예측하도록 할 수 있고, 대비책을 강구할 시간적 여유를 충분히 갖도록 할 수 있다.
파동방출기구(100)는 지중(10)의 함수비 변화에 따른 유전율 변화를 계측하기 위하여, 지중(10)이라는 매질을 통해 전파될 수 있는 파동을 방출하는 기구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며, 지중탐사레이더(GPR : ground penetrating radar)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계측을 하고자 하는 사면의 지질학적 조건을 고려하여, 전자기파, 음파, 초음파, 광파 등 적합한 파동을 선택하고, 이를 방출할 수 있는 기구를 설치하면 된다.
파동방출기구(100)는 지중(10)에 근입되어, 지중(10)이라는 매질을 향하여 파동을 방출하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며, 도 2는 파동방출기구(100)가 지중(10)에 천공된 방출기구 삽입홈(11)에 근입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파동방출기구(100)와 흙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파동방출기구(100)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방출기구 삽입홈(11)에 방출기구 장착용 파이프(21)가 삽입되고, 그 방출기구 장착용 파이프(21) 내부에 파동방출기구(100)가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다양한 자료를 검출하여 보다 명확한 계측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지중(10)의 깊이에 따라 다양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파동방출기구(100)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동감지기구(200)는 지중(10)의 함수비 변화에 따른 유전율 변화를 계측하기 위하여, 파동방출기구(100)로부터 방출되어 지중(10)이라는 매질을 통해 전파된 파동을 감지할 수 있는 기구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다.
파동감지기구(200)의 설치구조도 상기 파동방출기구(100)의 설치구조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는 파동감지기구(200)가 지중(10)에 천공된 감지기구 삽입홈(12)에 근입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파동감지기구(200)를 보호하기 위하여, 감지기구 삽입홈(12)에 감지기구 장착용 파이프(22)가 삽입되고, 그 감지기구 장착용 파이프(22) 내부에 파동감지기구(200)가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동방출기구(100)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파동감지기구(200)는 하나가 장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복수개가 장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보다 다양하고 명확한 계측값을 얻기 위해서는, 파동감지기구(200)도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장착됨으로써, 각각의 파동방출기구(100) 및 파동감지기구(200)마다 당해 기구가 설치된 각각의 깊이의 지중(10)의 유전율 변화를 계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위험사면 감시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의 지중(10)에 근입된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400)와;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400)로부터 소정 이격된 근방에 근입됨과 아울러,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400)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지중(10)을 통해 전달된 파동을 반사시켜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400)가 그 파동을 감지하도록 하는 반사기구(500)와;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4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파동의 속도를 측정하고, 그 속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지중의 유전율의 변화를 계측하는 계측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400)란 지중탐사레이더(GPR : ground penetrating radar)와 같은 레이더(radar)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파동을 방출하고 그 방출된 파동이 반사되어 돌아온 것을 감지하는 기구를 의미하며, 상기 파동은 전자기파, 음파, 초음파, 광파 기타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것이라도 관계없다.
사면의 지중(10)에 이와 같은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400)를 근입하고, 그 근방에 반사기구(500)를 근입하면,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400)와 반사기구(500) 사이의 지중(10)을 통해 파동이 전달되는 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파동의 속도 변화를 계측함에 의해 간접적으로 지중(10)의 유전율 변화, 즉 지중(10)의 함수비 변화를 계측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종래의 사면 감시장치에 비해 사면의 붕괴위험을 보다 효율적으로 예측하도록 할 수 있고, 대비책을 강구할 시간적 여유를 충분히 갖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 외에도, 시공 및 유지관리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400)와 많은 수의 반사기구(500)를 설치함에 따라,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자료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를 추가적으로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400) 설치 방식도 상기 실시예의 경우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10)에 천공된 방출 및 감지기구 삽입홈(13)에 근입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400)를 보호하기 위하여, 방출 및 감지기구 삽입홈(13)에 방출 및 감지기구 장착용 파이프(23)가 삽입되고, 방출 및 감지기구 장착용 파이프(23) 내부에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400)가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다양하고 명확한 계측자료를 얻기 위하여,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400)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기구(500)가 하나만 설치된 경우라도, 복수개의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400)는 각각의 깊이에 따른 계측값을 얻을 수 있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자료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에 비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기구(500)는 파동을 반사할 수 있는 기구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며, 금속봉(510), 금속판(520)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기구(500)가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400)를 중심으로 방사상 구조로서 복수개가 장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이는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400)를 중심으로 사방의 지중(10)의 유전율 변화를 계측할 수 있도록 하므로, 보다 다양한 계측자료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사면의 붕괴위험을 보다 효율적으로 예측함으로써, 대비책을 강구할 시간적 여유를 충분히 갖도록 할 수 있는 위험사면 감시장치를 제시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사면의 지중에 근입된 파동방출기구와;
    상기 파동방출기구로부터 소정 이격된 근방에 근입됨과 아울러, 상기 파동방출기구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지중을 통해 전달된 파동을 감지하는 파동감지기구와;
    상기 파동방출기구 및 파동감지기구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파동의 속도를 측정하고, 그 속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지중의 유전율의 변화를 계측하는 계측수단을;
    포함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방출기구가 방출하는 파동은 전자기파, 음파, 초음파, 광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방출기구는
    상기 지중에 천공된 방출기구 삽입홈에 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기구 삽입홈에는 방출기구 장착용 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파동방출기구는 상기 방출기구 장착용 파이프 내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방출기구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감지기구는
    상기 지중에 천공된 감지기구 삽입홈에 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구 삽입홈에는 감지기구 장착용 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파동감지기구는 상기 감지기구 장착용 파이프 내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감지기구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
  9. 사면의 지중에 근입된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와;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로부터 소정 이격된 근방에 근입됨과 아울러,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지중을 통해 전달된 파동을 반사시켜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가 그 파동을 감지하도록 하는 반사기구와;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파동의 속도를 측정하고, 그 속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지중의 유전율의 변화를 계측하는 계측수단을;
    포함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가 방출 및 감지하는 파동은 전자기파, 음파, 초음파, 광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는
    상기 지중에 천공된 방출 및 감지기구 삽입홈에 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및 감지기구 삽입홈에는 방출 및 감지기구 장착용 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는 상기 방출 및 감지기구 장착용 파이프 내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기구는
    금속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기구는
    금속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기구는
    상기 파동방출 및 감지기구를 중심으로 방사상 구조로서 복수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사면 감시장치.
KR1020050013047A 2005-02-17 2005-02-17 위험사면 감시장치 KR100654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047A KR100654688B1 (ko) 2005-02-17 2005-02-17 위험사면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047A KR100654688B1 (ko) 2005-02-17 2005-02-17 위험사면 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349A KR20060092349A (ko) 2006-08-23
KR100654688B1 true KR100654688B1 (ko) 2006-12-08

Family

ID=3759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047A KR100654688B1 (ko) 2005-02-17 2005-02-17 위험사면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389B1 (ko) 2007-08-02 2008-03-11 (주)바이텍코리아 사면 붕괴 감시를 위한 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382B1 (ko) * 2009-05-08 2009-10-1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구조물의 파괴 예측방법
KR102002904B1 (ko) * 2018-07-04 2019-07-24 주식회사 비트센싱 레이더와 반사체를 이용한 구조물 변형 감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8758A (en) 1991-03-22 1995-05-23 Connell Wagner (Old) Pty. Ltd. Distance measurement system
JPH09113250A (ja) * 1995-10-13 1997-05-02 Japan Found Eng Co Ltd 長体変位計測装置
JP2000292147A (ja) 1999-04-09 2000-10-20 Shimizu Corp 水平変位測定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2003329492A (ja) 2002-05-13 2003-11-19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斜面等の変位計測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8758A (en) 1991-03-22 1995-05-23 Connell Wagner (Old) Pty. Ltd. Distance measurement system
JPH09113250A (ja) * 1995-10-13 1997-05-02 Japan Found Eng Co Ltd 長体変位計測装置
JP2000292147A (ja) 1999-04-09 2000-10-20 Shimizu Corp 水平変位測定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2003329492A (ja) 2002-05-13 2003-11-19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斜面等の変位計測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389B1 (ko) 2007-08-02 2008-03-11 (주)바이텍코리아 사면 붕괴 감시를 위한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349A (ko) 200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3553B2 (en) Fracture monitoring
AU2017204543B2 (en) System for dynamically monitoring roadway roof separation based on fibre grating and pre-warning method
Osasan et al. Review of surface mine slope monitoring techniques
US87236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structure failure
US20070251326A1 (en) Pressure sensitive cable device for monitoring rock and soil displacement
US20150013465A1 (en) Monitoring Transport Network Infrastructure
WO2005033465A2 (en) Downhole fiber optic acoustic sand detector
US78322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neumatic scour detection
US97847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structural failure
KR100654688B1 (ko) 위험사면 감시장치
US11530605B2 (en) Horizontal directional drilling crossbore detector
KR102112545B1 (ko) 토층지반 교란 방지가 가능한 지중 함수비 측정장치
KR101637414B1 (ko) 초광대역지중탐사레이다를 이용한 터널 주변 지반 및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
Taurisano et al. On the use of ground penetrating radar for detecting and reducing crevasse-hazard in Dronning Maud Land, Antarctica
Dixon et al. Field trial of an acoustic emission early warning system for slope instability
KR102039000B1 (ko) 사면붕괴 계측용 봉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면붕괴 계측 방법
Tao et al. Real-time TDR field bridge scour monitoring system
KR102441570B1 (ko) Ae카운터의 변위속도를 통한 산사태 및 급경사지 붕괴 조기감지 및 예보 시스템
CN204511424U (zh) 一种石油井下非接触式超声波液位监控系统
CN115711157A (zh) 基于采动磁场分布式监测的煤层突出危险区域识别方法
KR101633737B1 (ko) 지역단위별 토사층 붕괴여부 감지시스템
JPH0829247A (ja) 埋設物探知方法および装置
Kane et al. An alternative monitoring system for unstable slopes
US5603282A (en) Utility pipe displacement sensor
CN116695801B (zh) 一种基于大数据的桩基安全监测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