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145A - 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활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활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145A
KR20130057145A KR1020110122918A KR20110122918A KR20130057145A KR 20130057145 A KR20130057145 A KR 20130057145A KR 1020110122918 A KR1020110122918 A KR 1020110122918A KR 20110122918 A KR20110122918 A KR 20110122918A KR 20130057145 A KR20130057145 A KR 20130057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ours
effect
extracted
mugw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자용
허북구
Original Assignee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2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7145A/ko
Publication of KR20130057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1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제거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가지는 쑥부쟁이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하는 생리활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총 페놀함량은 6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RC50 값은 95℃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아질산염 소거능은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쑥부쟁이 추출물이 폐암(Calu-6), 결장암(HTC-116) 및 폐암(Calu-6) 세포의 증식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400mg/L 이상의 농도에서 모두 78% 이상의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Description

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활성 조성물{Composition having physiological activity comprising Aster yomena extract}
본 발명은 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활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제거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가지는 쑥부쟁이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하는 생리활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쑥부쟁이(Aster yomena)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봄철 나물용으로 많이 이용된다(Bae 등, 2005).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라며, 해열, 진해, 거담, 소염, 해독의 효능이 있어서 감모발열, 해소, 기관지염, 편도선염, 유선염, 창종 등에 치료제로 쓰인다(Bae 등, 2009). 쑥부쟁이는 어린 순을 데쳐서 나물로 먹거나 기름에 볶아 먹기도 하며, 잎에는 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비타민 C가 풍부하며, 그 외 생리활성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Woo 등, 2008). 동의보감에서는 해열제, 이뇨제로 이용하며, 민간요법에서는 기침, 천식 등에 쓰이고 있으며, 잎에서 즙을 내어 벌레 물린 데에도 사용한다.
Jung 등(2005)은 쑥부쟁이 추출물과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MTT assay로 실험한 결과 간암세포주인 HepG2, 자궁경부암 세포주인 HeLa 및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서 모두 쑥부쟁이의 ethyl ether 분획층인 AYMREE 층과 ethyl acetate 분획층인 AYMEA층에서 암세포 성장 저지 효과가 제일 컸다고 하였다. 이처럼 민간에서 나물자원으로 많이 이용하는 쑥부쟁이는 여러 가지 생리활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Jung 등(2005)이 보고한 항암 효과 외의 구체적인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나물자원으로 많이 이용되는 쑥부쟁이의 효과적인 이용에 관한 기초 자료 확보 측면에서 쑥부쟁이의 추출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여 쑥부쟁이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활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쑥부쟁이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소거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가지는 생리활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소거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가지는 생리활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쑥부쟁이 추출물은 메탄올 추출물이 바람직하며, 더더욱 95℃에서 3 내지 48시간 동안 추출한 메탄올 추출물이 생리 활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제거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가지는 쑥부쟁이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하는 생리활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총 페놀함량은 6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RC50 값은 95℃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아질산염 소거능은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쑥부쟁이 추출물이 폐암(Calu-6), 결장암(HTC-116) 및 폐암(Calu-6) 세포의 증식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400mg/L 이상의 농도에서 모두 78% 이상의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Ⅰ재료 및 방법
1. 시료 및 추출
시료는 전남 광양시에서 채취한 쑥부쟁이의 잎과 줄기를 이용하였다. 시료는 동결건조(-40℃에서 5일간)하였다. 추출은 각 시료 400g를 95% methanol 4L에 넣은 후 생리활성 조사에 사용한 추출물의 추출온도는 각각 25, 50, 75 및 95℃로 하였으며, 추출시간은 각각 3, 6, 12, 24 및 48시간으로 하였고, 세포독성 조사에 사용한 것은 5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한 후 50에서 감압농축기(IKA-Werke GmbH & Co. KG)로 농축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2. 총 페놀 화합물 함량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Folin-Denis 방법(Dewanto et al ., 2002)에 따라 분석하였다. 시료를 1mg/L 농도로 조제한 후, 이 시료액 1mL에 증류수 3mL를 첨가하고, folin-ciocalteau's phenol reagent 1mL를 첨가한 후 27℃ 진탕수조에서 혼합하였다.
5분 후 NaCO3 포화용액 1 mL를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640nm에서 흡수분광광도계(UV-1650PC, Shimadzu)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페놀화합물 함량은 표준물질 ferulic acid의 농도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다음 정량하였다.
3.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각 시료 0.1g에 75% methanol을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추출한 다음 이 검액 1.0mL를 시험관에 취하고 10mL의 diethylen glycol을 가하여 잘 혼합하였다.
다시 여기에 1N NaOH 0.1mL를 잘 혼합시켜 37℃의 water bath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공시험은 시료 용액 대신 50% methanol 용액을 동일하게 처리하였으며, 표준곡선은 naringin(Sigma Co., USA)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이로부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구하였다.
4. 전자공여능
전자공여능 측정은 DPPH(a,a-diphenyl-β-picryl-hydrazyl)법을 이용하여 시료의 유리기(radical) 소거효과를 측정하는 Lee 등(2006a)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1X10-4M DPPH와 농도별 추출물을 각각 100㎕씩 취하여 혼합하고, 30분간 암 상태에서 방치한 후 ELISA Reader(Bio-RAD, USA)를 이용하여 517nm에서 잔존 라디칼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환원력 크기는 라디칼 소거활성(Scavenging activity)으로 표시하였고, RC50은 DPPH 농도가 1/2로 감소하는데 필요한 시료의 양(㎍)으로 나타내었으며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BHT(butylated hydroxytoluene)와 비교하였다.
즉, "DPPH 라디칼 소거활성(%) = 1-(추출물 첨가구의 흡광도/추출물 무첨가구의 흡광도) X 100"으로 하였다.
5. 아질산염소거 효과
아질산염소거 효과는 Gray와 Dugan(1975)의 방법을 준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mM NaNO2 20㎕에 시료 추출액 40㎕와 0.1N HCl(pH 1.2)을 140㎕ 사용하여 부피를 200㎕로 맞추었다.
이 반응액을 37 항온수조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2% acetic acid 1,000㎕, Griess 시약(30% acetic acid로 조제한 1% sulfanilic acid와 1% naphthylamine을 1 : 1 비율로 혼합한 것, 사용직전에 조제) 80㎕를 가하여 잘 혼합시켜 빛을 차단한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아래와 같이 아질산염 소거능을 구하였는데 그 식은 "아질산염 소거율(%) = [1 - (1mM NaNO2 용액에 시료를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의 흡광도 - 시료추출물의 자체 흡광도) / 1mM NaNO2 용액에 시료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의 흡광도] x 100"으로 하였다.
6. 세포독성
실험에 사용된 암 세포주는 모두 인체기원의 암 세포주로 Korean Cell Line Bank(KCLB)에서 구입한 위암세포주인 SNU-601와 폐암세포주인 Calus-6(ATCC, HTB-56)을 사용하였다.
세포주의 배양은 10% FBS(fetal bovine serum)와 peniciline G(25unit/mL) 및 streptomycin(25mg/L)를 첨가한 RPMI 1640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5% CO2의 습윤화 된 배양기내에서 적응시켜 배양하였다.
세포독성은 MTT assay(Mosmann, 1983; Choi et al. 1989)에 의해 세포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즉, 폐암세포를 3 x 104cells/mL의 농도가 되도록 조절한 후 96 well microplate에 90㎕/well씩 분주하고, 이것을 37℃, 5% CO2 세포배양기(Forma, Germany)에서 12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부착시킨 다음 추출물을 50, 100, 200, 400, 800/mL 농도가 되도록 10㎕씩 첨가하였다. 대조군은 시료와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이것을 72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5mg/mL농도로 조제한 MTT(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각 well당 10㎕씩 넣고 세포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더 배양시킨 후, MTT 용액이 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DMSO 150㎕를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하여 각 세포를 용해시켜 microplate reader (Bio-Rad, USA)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값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즉, "암세포증식 억제효과(%) = [(대조구의 흡광도 - 시료처리구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 x 100"으로 하였는데, 각 세포의 시료 무첨가군을 100%로 하여 상대적인 세포 성장율을 환산하였다.
7. 자료분석
각각의 조사 분석은 3반복 이상으로 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AS 프로그램 중에서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5% 유의 수준에서 시료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Ⅱ 결과 및 고찰
1. 총 페놀 화합물
건조한 쑥부쟁이의 추출 온도와 시간에 따른 메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을 구하여 표 1에서 나타냈다.
표 1을 보면 1,000mg/L에 함유된 총 페놀 함량은 45.5-115.1mg/L이었다. 쑥부쟁이에서 총 페놀함량은 50℃에서 추출시는 48시간 동안 추출한 것에서 60.3mg/L으로 많았으나 75℃와 95℃에서 추출한 것은 6시간 추출시에 각각 94.3mg/L, 117.3mg/L으로 더 많았다. 그러므로 쑥부쟁이의 기능성 물질을 추출할 때 페놀함량의 수율을 높이려면 9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페놀성 물질은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가지며, 이것들의 phenolic hydroxyl이 단백질처럼 거대분자와 결합하여 항균, 항암, 혈압강화작용, 간 보호작용, 진경작용, 항산화작용 등 여러 가지 생리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n 등, 2008; Lee 등, 2006b; Park 등, 2006). 그래서 최근 식물 중의 총 페놀 함량에 대한 조사가 증가하고 있는데, Bae 등(2009)은 곰취의 메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총 페놀함량은 75.8-297.7mg/L라고 하였으며, Kim 등(2009)는 방아풀과 씀바귀의 메탄올 추물물에 함유된 총 페놀 함량은 각각 65.1 및 51.2mg/L였다고 하였다. 따라서 때 쑥부쟁이 메탄올 추출물에 함유되는 총 페놀함량은 곰취에 비해서는 다소 적게 함유되어 있었지만 방아풀과 씀바귀에 비해서는 다소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특히 9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총 페놀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만큼 이용시는 이러한 결과를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출 온도
(℃)
추출 시간에 따른 총 페놀 함량(mg/L)
3hr 6hr 12hr 24hr 48hr
50 45.5 48.2 55.7 51.5 60.3
75 90.7 94.3 94.0 92.1 87.6
95 105.1 117.3 101.1 114.6 115.1
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건조한 쑥부쟁이의 추출 온도와 시간에 따른 메탄올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구하여 표 2에서 나타냈다.
표 2를 보면, 쑥부쟁이 메탄올 추출물 1,000mg/L에 함유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9.6-67.4mg/L이었다. 추출 온도 별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5℃에서는 12시간 추출시 30.2mg/L로 가장 많았고, 50℃에서는 6시간 추출시 25.8mg/L로 가장 많았으며, 75℃ 및 95℃에서는 3시간 추출시에 각각 60.8 및 67.4mg/L로 가장 많이 추출되었다.
플라보노이드는 현재까지 4,000종 이상이 알려져 있는데(Cha와 Cho, 2001), 항산화 작용, 순환기계 질환의 예방, 항염증, 항알레르기, 항균, 항바이러스, 지질저하 작용, 면역증강 작용, 모세혈관 강화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waguchi 등, 1997), 그러므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많을수록 좋다고 할 수 있으므로 쑥부쟁이를 가공품으로 이용하기 위해 추출할 때는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추출 온도
(℃)
추출 시간에 따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L)
3hr 6hr 12hr 24hr 48hr
25 24.3 26.1 30.2 21.4 19.6
50 22.7 25.8 20.5 20.1 24.1
75 60.8 58.2 55.6 53.5 49.5
95 67.4 65.6 53.2 57.8 52.4
3. 전자공여능
쑥부쟁이 메탄올 추출물 1,000mg/L이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표 3, 4, 5, 6에 나타냈는데, 표 3은 추출온도 25℃, 표 4는 추출온도 50℃, 표 5는 추출온도 75℃ 및 표 6은 추출온도 95℃일 때의 결과이다.
표 3을 보면 DPPH 농도가 1/2로 감소하는데 필요한 RC50 값은 25℃에서 추출한 것은 48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1,702mg/L로 가장 낮았다. 즉, 쑥부쟁이는 25℃의 낮은 온도에서 추출할 경우 추출 시간이 증가할수록 RC50 값이 낮아져 3시간 추출시는 5026mg/L, 12시간 추출시는 3499mg/L, 48시간 동안 추출시는 1702mg/L를 나타내어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추출
시간
DPPH 라디칼 소거능(mg/L)
39 78 156 313 625 1250 2500 RC50
3 0.0 0.0 0.0 0.0 1.2 1.4 16.7 5026
6 0.7 2.1 4.1 9.2 16.2 19.3 31.6 5035
12 0.7 1.5 5.9 13.2 23.6 24.8 42.6 3499
24 1.9 4.1 11.4 16.9 25.1 32.6 50.4 2488
48 0.9 1.2 7.6 14.0 28.6 49.6 65.0 1702
표 4를 보면, 쑥부쟁이 메탄올 추출물 1,000mg/L이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DPPH 농도가 1/2로 감소하는데 필요한 RC50 값은 50℃에서 추출한 것은 48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534mg/L로 가장 낮았다. 50℃에서 추출한 것도 25℃에서 추출한 것과 마찬가지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RC50 값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추출시간이 길수록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추출
시간
DPPH 라디칼 소거능(mg/L)
39 78 156 313 625 1250 2500 RC50
3 1.2 1.9 3.4 6.7 14.8 26.5 36.8 3766
6 2.3 5.6 9.8 15.7 30.4 49.8 63.5 1581
12 5.5 11.3 22.2 33.4 54.6 69.8 76.3 694
24 5.4 10.2 19.8 30.3 51.4 67.3 78.8 702
48 7.4 16.0 25.2 40.6 57.3 68.6 76.3 534
표 5를 보면, 쑥부쟁이 메탄올 추출물 1,000mg/L이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DPPH 농도가 1/2로 감소하는데 필요한 RC50 값은 75℃에서 추출한 것은 6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698mg/L로 가장 낮았다. 25℃ 및 50℃에서 추출한 것의 경우 추출시간이 길수록 RC50 값이 낮게 나타나 항산화능이 높은데 비해 75℃에서 추출한 것은 48시간 동안 추출한 것에서는 RC50 값이 1011mg/L로 높게 나타난 반면에 6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RC50 값이 698mg/L로 나타난 것은 특정 온도와 시간이 항산화능에 관련된 물질의 추출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추출
시간
DPPH 라디칼 소거능(mg/L)
39 78 156 313 625 1250 2500 RC50
3 2.1 7.6 15.8 31.8 48.2 58.4 74.2 864
6 1.2 8.1 15.9 34.2 50.3 62.8 77.2 698
12 1.8 7.9 16.9 34.8 52.9 62.6 78.6 711
24 5.0 10.4 20.8 36.3 49.2 54.8 80.2 934
48 4.0 8.3 20.4 35.2 48.3 51.6 78.8 1011
표 6을 보면, 쑥부쟁이 메탄올 추출 추출물 1,000mg/L이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DPPH 농도가 1/2로 감소하는데 필요한 RC50값은 95℃에서 추출한 것은 48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276mg/L로 가장 낮았다. 95℃에서 추출한 것은 48시간 동안 추출한 것 다음으로 3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RC50 값은 388mg/L로 낮았다.
추출
시간
DPPH 라디칼 소거능(mg/L)
39 78 156 313 625 1250 2500 RC50
3 5.8 12.6 26.8 43.2 55.6 58.2 82.6 388
6 8.2 15.8 26.6 40.4 59.1 66.3 82.5 424
12 6.8 14.2 26.3 40.4 56.3 63.2 79.4 551
24 8.5 16.4 29.8 50.4 60.2 67.3 80.6 402
48 8.1 16.0 32.3 55.6 67.9 75.4 88.2 276
한편, 인체에서 활성산소는 산소라디칼에 의하여 산화적 손상을 초래함으로서 독성을 나타내며(Kappus, 1986), 활성산소의 산화적 손상은 glutamate 수용체의 과 활성 및 흥분성 아미노산의 분비를 유도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는데(Mattson 등, 1993), 전자공여능의 작용은 자유라디칼에 전자를 공여하여 식품의 지방산화를 억제하고 인체 내에서는 자유라디칼에 의한 노화를 억제시키는 작용으로 주로 이용되어 진다(Lee 등, 2006b).
그런 측면에서 쑥부쟁이를 95℃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한 것에서 나타난 RC50 값인 276mg/L은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건조한 방아풀 메탄올 추출물의 RC50 값은 480.5-2004.7mg/L였고, 증제후 건조한 씀바귀의 메탄올 추출물의 RC50 값은 427mg/L이었다는 Kim 등(2009)의 보고와 비교할 때 항산화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최근 활성산소의 산화적 손상을 제거하는 방법의 하나로 식물에서 항산화효과가 뛰어난 약리활성물질을 추출하거나 이용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Heo 등, 2007; Park 등, 2008)는 점에서 쑥부쟁이를 95℃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한 추출액은 항산화 물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아질산염 소거능
쑥부쟁이의 추출 온도와 시간에 따른 메탄올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구하여 표 7에서 나타냈다.
표 7를 보면, 쑥부쟁이 메탄올 추출 온도와 시간이 추출물(1,000mg/L)의 아질산염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25℃ 및 50℃에서 추출시는 48시간 동안 추출시에 각각 50.5 및 60.6%로 소거능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75℃에서는 24시간 동안 추출시에 80.6%로 높았으며, 95℃에서는 3시간 동안 추출시에 88.2%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해 보면 25℃ 및 50℃에서는 추출시간이 길수록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았으며, 95℃에서는 추출시간이 길수록 아질산염 소거능 효과는 낮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품에서 nitrite는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nitrate는 체내, 체외에서 효소작용에 의해 nitrite로 환원되기 때문에 일정농도 이상 섭취할 경우, 식품내의 amine류와 반응하여 발암물질인 nitrosamine을 생성하고, 또한 혈액 중의 hemoglobin이 산화되어 methemoglobin을 형성하여 methemoglobin 증 등 각종 중독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a 등, 2004).
그러므로 이러한 아질산염의 소거 및 제거는 그에 동반되는 질병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데, 쑥부쟁이의 경우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추출물 1,000mg/L은 88.2%의 아질산염 제거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났다. 따라서 고온에서 추출한 쑥부쟁이 추출물이나 이를 이용한 가공제품은 아질산염을 제거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추출 온도
(℃)
아질산염 소거능(% of contral)
3hr 6hr 12hr 24hr 48hr
25 24.4 27.5 27.4 39.9 50.5
50 44.2 41.5 51.7 50.2 60.6
75 80.6 81.4 84.9 85.4 83.7
95 88.2 85.4 85.9 81.6 81.0
4. 세포독성
쑥부쟁이의 메탄올 추출물이 폐암(Calu-6), 결장암(HCT-116) 및 유방암(MCF-7) 세포의 증식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표 8에 나타냈으며, 표 8을 보면, 100mg/L 이하의 농도에서는 6% 이하의 억제효과만 있었으나 400mg/L에서는 78% 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최근 기존의 항암제들이 치료의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 채소류를 포함하여 야생 식물자원들에 대한 항암 활성 성분의 검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Chon 등, 2008)는 점에서 폐암과 위암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 쑥부쟁이 추출물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우선적으로 쑥부쟁이의 섭취는 폐암, 결장암 및 폐암 세포의 증식억제에 다소나마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에 사용된 추출물은 50℃에서 24시간 추출 한 것인데, 항암과 다소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총 페놀함량은 95℃에서 6시간,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95℃에서 3시간 추출시, 전자공여능는 95℃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한 것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쑥부쟁이를 95℃에서 추출한 것은 표 8에 나타난 암세포증식 억제 효과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쑥부쟁이를 기능성 음료수 등 가공품에 활용할 목적으로 추출할 때는 총 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면에서는 95℃에서 3-6시간 동안, 전자공여능 측면에서는 95℃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동시에 쑥부쟁이 메탄올 추출물은 페암의 경우 600mg/L, 결장암은 800mg/L 농도에서, 유방암은 800mg/L에서 94% 정도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낸 만큼 분획물에 따른 효과 등 이에 대한 세밀한 연구 필요성이 인정되었다.

암세포
메탄올 추출물 농도(mg/L)에 따른 세포 증식 억제 효능(%)
25 50 100 200 400 600 800
폐암(Calu-6) 0 0 0 12 90 100 100
결장암(HCT-116) 0 0 6 40 97 99 100
유방암(MCF-7) 0 1 4 22 78 83 94
Ⅲ. 적 요
국화과 다년생 초본인 쑥부쟁이(Aster yomena)의 효율적인 이용성에 관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추출 온도와 시간에 따른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50℃에서는 45.5-60.3mg/L, 75℃에서는 87.6-94.3mg/L을 나타낸데 비해 95℃에서는 101.1-117.3mg/L을 나타냈는데, 특히 6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117.3mg/L로 효과적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66.1mg/L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RC50 값은 95℃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276mg/L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88.2%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추출물이 폐암(Calu-6), 결장암(HTC-116) 및 폐암(Calu-6) 세포의 증식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400mg/L 이상의 농도에서 모두 78% 이상의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Claims (3)

  1. 쑥부쟁이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소거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가지는 생리활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쑥부쟁이 추출물이 메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소거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가지는 생리활성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올 추출물이 95℃에서 3 내지 48시간 동안 추출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소거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가지는 생리활성 조성물.


KR1020110122918A 2011-11-23 2011-11-23 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활성 조성물 KR20130057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918A KR20130057145A (ko) 2011-11-23 2011-11-23 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활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918A KR20130057145A (ko) 2011-11-23 2011-11-23 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활성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145A true KR20130057145A (ko) 2013-05-31

Family

ID=4866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918A KR20130057145A (ko) 2011-11-23 2011-11-23 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활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71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772A1 (ko) * 2016-09-23 2018-03-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쑥부지깽이 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또는 항종양 면역작용 유도용 조성물
KR20190080001A (ko) 2017-12-28 2019-07-0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772A1 (ko) * 2016-09-23 2018-03-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쑥부지깽이 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또는 항종양 면역작용 유도용 조성물
KR20190080001A (ko) 2017-12-28 2019-07-0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tić et al. Cotinus coggygria Scop.: An overview of its chemical constituents, pharmacological and toxicological potential
WO2010140409A1 (ja) 4'-デメチルノビレチン又は4'-デメチルタンゲレチ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神経突起伸張剤、記憶改善剤、抗アルツハイマー剤、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4393777B2 (ja)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用組成物
Fidrianny et al.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moringa tree: an overview
Parra et al. An overview on various aspects of plant Berberis Lycium Royale
Verma et al. Estimation of phytochemical, nutritional,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dried fruit of sacred figs (Ficus religiosa) and formulation of value added product (Hard Candy)
Tariq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antioxidants activity of indigenously produced moringa oleifera seeds extracts
KR101496834B1 (ko) 울금 유래 생리활성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35939B1 (ko) 고들빼기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들빼기 장아찌
KR20130057145A (ko) 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활성 조성물
KR101491493B1 (ko) 감귤 과피 및 구아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약학 조성물
Al-Shahat et al. Moringa oleifera: a review of pharmacological benefits
KR101453455B1 (ko)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150130170A (ko) 흑미미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면역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02120B1 (ko)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30036758A (ko) 수면유도 및 불면증 치료용 효소처리 초고압 혼합추출물
KR100733982B1 (ko) 암 치료 및 예방,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목초액 유기물
KR20180065419A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11016B1 (ko) 항산화 및 면역 기능을 갖는 조성물
KR101062003B1 (ko)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94995B1 (ko) 야관문 추출물 유래의 베타-시토스테롤-6-리노레노일-3-O-베타-D-글루코피라노사이드 (β-sitosterol-6'-linolenoyl-3-O-β-D-glucopyranoside)를 함유하는 발기부전치료제 및 이를 포함하는 성기능 개선 기능성식품 조성물
KR20120041725A (ko) 독성이 줄어든 식물 추출물 및 식물 추출물의 독성을 줄이는 방법
Shahin et al. The Potential Effects of Moringa (Moringa oleifera L.) Seeds and Celery (Apium graveolens L.) Seeds on Diabetic Rats
KR101533487B1 (ko) 개가시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요로결석 조성물
Anavkar et al. 13 Plantago ovata (Isabg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