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120B1 -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120B1
KR101702120B1 KR1020150062632A KR20150062632A KR101702120B1 KR 101702120 B1 KR101702120 B1 KR 101702120B1 KR 1020150062632 A KR1020150062632 A KR 1020150062632A KR 20150062632 A KR20150062632 A KR 20150062632A KR 101702120 B1 KR101702120 B1 KR 101702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action
composi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g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0624A (ko
Inventor
오좌섭
김진규
최용문
현정미
홍성수
최춘환
서찬곤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Priority to KR1020150062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120B1/ko
Priority to PCT/KR2016/004496 priority patent/WO2016178490A2/ko
Publication of KR2016013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곰보배추(Salvia plebeia R. Br.)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통풍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잔틴산화효소 억제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Description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r Fraction of Salvia plebeia R. Br. for Preventing or Treating Gout and a Composition for Improving Hyperuricemia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곰보배추를 이용한 통풍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풍은 DNA를 구성하는 퓨린(purine)의 대사 이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혈액 중 요산 농도가 높아져 고요산혈증(hyperuricemia)을 유발하고, 그 결과 요산결석을 형성한 후, 관절, 연골, 활막, 관절 주위 조직 내의 여러 곳에 침착하여 이에 대한 화학적 및 이물성 염증 반응으로 급성 또는 만성염증으로 발생하는 질병이다.
이러한 통풍의 치료에는 알로퓨리놀, 페복소스타트 등의 약물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식이요법의 새로운 방향이 제시되고 기존에 사용하던 약물에 저항을 보이는 환자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요산 강하제가 개발되는 등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 천연물을 이용한 요산 저하 효과를 유발하는 물질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통풍억제 또는 치료를 위한 다양한 천연물을 이용한 약학 조성물의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06772호에 기재된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27109호에 기재된 부추(Allium tuberosum ROTTER) 조추출물을 포함하는 통풍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68379호에 기재된 가시오갈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등이 있다.
이러한 천연물을 이용한 약학 조성물은 잔틴산화효소를 억제함으로써 요산의 생성율을 낮추어 통풍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곰보배추는 플라보노이드, 호모플란타기미닌, 히스피둘린, 에우카포놀린, 에우카포놀린-7-글루코시드, 페놀성 물질, 정유성분, 사포닌, 강심배당체, 불포화지방산 등의 성분을 함유하여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등의 작용을 하여 기관지염, 해수, 천식 등의 폐질환, 부인병, 혈압, 당뇨, 아토피 피부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곰보 배추는 가공되어 차, 건강식품 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약학적 조성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87935호에서 곰보배추를 알코올 또는 알코올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한 STAT3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곰보배추 추출물을 포함한 약학적 조성물을 통해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아토피서 피부염, 건선, 천식, 전신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염증성 대장염 등의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곰보배추 추출물을 포함한 약학적 조성물을 통해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를 달성한 경우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곰보배추의 잔틴산화효소(xanthine oxidase)의 효소 억제 활성에 주목하여 요산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통한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067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271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683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87935호
본 발명의 목적은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곰보배추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알코올 수용액은 에탄올 수용액이며, 알코올 농도가 30 내지 95 부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의 분획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천연물에서 유래한 것으로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잔틴산화효소의 효소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고요산혈증 실험동물 모델에 대한 체내 요산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곰보배추(Salvia plebeia R. Br.)"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에 속하는 꿀풀과의 두해살이풀로서, 설견초 또는 과동청 등으로 불리는 식물을 의미한다. 형태적으로 줄기는 사각 기둥 모양이고 짧고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으며, 잎은 타원형이거나 피침형을 나타내며, 끝은 무디거나 갑자기 뾰족해진 모양을 가지며 기부는 원형이거나 쐐기 모양을 나타낸다. 약리활성의 측면에서는 해혈, 토혈, 혈뇨, 복수, 백탁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곰보배추의 통풍 예방 또는 치료의 용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에서 곰보배추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곰보배추 추출물"은 곰보배추를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곰보배추 추출물은 곰보배추를 뿌리, 잎 등의 조직을 각각 분리하고 잘게 분쇄하거나 분리된 상태로 열수 또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수용액에서 추출한 것으로, 상기 알코올 수용액은 알코올의 함량이 30 내지 95 부피%,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부피%인 수용액이며, 추출 온도는 20 내지 100, 추출기간은 약 12시간 내지 4일 동안 열수추출, 냉침추출, 환류냉각추출 또는 초음파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을 사용하며 농축기를 이용하여 추출용액에 포함된 유기용매를 증발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 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추출용액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녹여 곰보배추 조추출물을 수득한 결과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통풍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추출물인 한,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곰보배추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천연, 잡종, 변종 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지상부,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 추출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기관 중 뿌리 또는 잎에서 추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잎에서 추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분획물"은 다양한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그룹을 분리하는 분획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상기 분획물은 바람직하게는 곰보배추 추출물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용매를 이용한 용매분획방법으로 분획한 결과물일 수 있으며, 극성 용매 분획물과 비극성 용매 분획물을 모두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헥산 분획물,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통풍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분획물은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곰보배추의 알코올 추출물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로 용매분획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요산수치의 차이가 35% 이하가 된다. 즉, 질환군의 요산수치가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70% 이상 높은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35% 이하로 요산수치가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질환군과 음성대조군의 요산수치의 차이에 비해 50% 이상 요산 수치의 차이가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러한 요산수치의 차이의 감소로 인해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투약함으로써 요산생성 억제 효율이 높아져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체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곰보배추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곰보배추를 수세한 후 뿌리와 잎 부분으로 분리하여 열수, 30 부피%, 50 부피%, 70 부피%, 및 95 부피%의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였다. 추출용액은 회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유기용매를 증발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70 부피% 에탄올 추출물 42.5g을 물에 현탁한 후, 분획깔대기를 이용하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로 순차적으로 비극성에서 극성으로 용매 분획하였다. 각각의 분획물로부터 헥산 분획물 1.24g, 메틸렌클로라이드 1.51g, 에틸아세테이트 2.75g을 얻었으며, 분획물을 대상으로 잔틴산화효소 저해활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예 1] 잔틴산화효소 저해활성 시험
잔틴산화효소 활성은 잔틴에서 생성되는 요산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추출물을 1.1 mM의 EDTA를 함유하는 200 mM 인산칼륨 버퍼 용액(pH 7.5)에 희석하고, 잔틴산화효소 (final 10 mU/mL)와 혼합하여 10분간 전처리하였다. 다음으로 150μM 잔틴을 가하면서 반응을 시작하고, 혼합액을 10분간 배양하였다. 이후, 1N HCl 20μ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29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측정시 Allopurinol과 Quercetin을 양성대조시약으로 사용하였으며, 측정은 FlexStation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사)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추출물 성분 중 290nm의 파장에서 흡광도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효소를 제외(효소는 버퍼로 대체)하고 모두 같은 조건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와 대조약물에 대하여 추출물에 대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와 대조약물에 대하여 추출물에 대한 흡광도를 제거한 후 억제효과를 아래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Figure 112016081095026-pat00001
상기 식에서 O.D of sample 및 O.D of control은 (O.D290 with enzyme - O.D290 without enzyme)으로 추출물과 대조약물에 대한 흡광도를 제한 흡광도를 사용한다.
곰보배추 추출물의 추출부위, 농도에 따른 수득률 및 잔틴산화효소의 효소억제활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최대 저해의 50%를 나타내는 약물의 농도값(IC50)에 대한 시험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추출부위 에탄올 농도(부피%) 수득율(%) IC50(㎍/mL)




0 26.18 38.63
30 25.54 33.36
50 27.36 11.68
70 26.10 13.35
95 3.32 159.4


뿌리

0 16.33 -
30 25.93 141.9
50 27.11 129.1
70 19.02 76.0
95 2.49 734.2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뿌리보다 잎에서 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에탄올 농도는 50 부피%와 70 부피%에서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분획물에 대한 잔틴산화효소의 저해활성에 대한 시험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곰보배추잎 시료농도
(㎍/mL)
억제율(%) IC50(㎍/mL)
1차 2차
조추출물
100

66.3 66.2
헥산분획물 27.3 26.0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83.8 84.4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90.0 94.5 6.34±.17
Quercetin 2.23±.03
Allopurinol 0.77±.36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100 ㎍/mL 농도에서 조추출물이나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에 비해 잔틴산화효소 활성 억제율이 현저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잔틴산화효소의 효소억제활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측정한 IC50값을 Allopurinol 또는 Quercetin과 비교해서 고찰할 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대조약물과 비슷한 수준의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고요산혈증(hyperuricemia) 모델을 이용한 통풍 개선 효능시험
고요산혈증 실험동물 모델은 PBS에 용해한 칼륨 옥소네이트(250mg/kg)를 복강에 투여함으로써 유도하였다. 대조군으로 사용한 실험동물은 단지 PBS만 단독 투여하였다.
복강투여 1시간 후, 양성대조약물 Allopurinol (10mg/kg) 또는 시험물질인 곰보배추 추출물(에틸아세테이트 용매 분획물 250mg/kg)을 각각 경구투여하였다. 이때 실험군당 동물 수는 10마리이다.
시험물질 투여 3시간 후 isofluorane 호흡 마취 하에 안와정맥총 채혈을 실시하였고, 채집된 혈액은 소형튜브(eppendorf tube)에 담아 15분 가량 방치한 후 13,000rpm(4)에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액을 분리하였다.
혈청액 내 요산의 수치는 Toshiba Acute 생화학분석기(Toshiba Medical System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상기 도 1에서 음성대조군은 PBS 단독처리에 의한 실험군으로, 고요산혈증이 없는 동물군이다. Allopurinol은 양성대조군 화합물로 사용되었다.
도 1을 참조하면, 곰보배추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경구투여한 실험군에 대하여 요산 수치가 질환모델에 비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요산 수치 저감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6)

  1. 곰보배추 잎을 30 내지 70 부피%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의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곰보배추 잎을 30 내지 70 부피%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50062632A 2015-05-04 2015-05-04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702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632A KR101702120B1 (ko) 2015-05-04 2015-05-04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PCT/KR2016/004496 WO2016178490A2 (ko) 2015-05-04 2016-04-29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632A KR101702120B1 (ko) 2015-05-04 2015-05-04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624A KR20160130624A (ko) 2016-11-14
KR101702120B1 true KR101702120B1 (ko) 2017-02-02

Family

ID=5721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632A KR101702120B1 (ko) 2015-05-04 2015-05-04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2120B1 (ko)
WO (1) WO201617849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789B1 (ko) * 2019-05-21 2020-01-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곰보배추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3694080B (zh) * 2021-08-17 2023-03-28 南京晓庄学院 荔枝草多糖的抗病毒用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1264A (zh) * 2012-10-17 2013-01-09 张群 一种用于治疗痛风的中药组合物
KR101332028B1 (ko) 2012-06-01 2013-11-22 박말녀 곰보배추가 포함된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56287B1 (ko) 2014-03-26 2014-10-31 구례군 배암차즈기 잎을 이용한 항산화 및 항염 기능성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109B1 (ko) 2005-05-19 2005-11-09 학교법인 인제학원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168379B1 (ko) 2010-06-03 2012-07-2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가시오갈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풍, 고혈압 및 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87935B1 (ko) * 2012-05-21 2015-02-0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곰보배추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stat3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106772A (ko) 2013-02-25 2014-09-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028B1 (ko) 2012-06-01 2013-11-22 박말녀 곰보배추가 포함된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861264A (zh) * 2012-10-17 2013-01-09 张群 一种用于治疗痛风的中药组合物
KR101456287B1 (ko) 2014-03-26 2014-10-31 구례군 배암차즈기 잎을 이용한 항산화 및 항염 기능성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8490A2 (ko) 2016-11-10
WO2016178490A3 (ko) 2017-01-05
KR20160130624A (ko) 201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45849A (ja) Solanum属の植物由来の水溶性抽出物およびそれらの調製方法、ならびに水溶性抽出物を含む薬学的組成物
EP3017822B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comprising, as active ingredient, immature citrus fruit extract, or synephrine or salt thereof
JP2010505944A (ja) 竹抽出物とコガネバナ抽出物とを含有するアトピー性皮膚炎治療用組成物
Oghale et al. Phytochemistry, anti-asthma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nchomanes difformis (Blume) Engl. leaf extract
EP356670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iseases such as asthma or atopy, comprising baicalein as active ingredient
CN111870568B (zh) 一种抗敏止痒植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CN108619270A (zh) 一种具有黄嘌呤氧化酶抑制活性的组合物
KR101702120B1 (ko)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Ayinde et al.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 of Ficus capensis Thunb.(Moraceae) leaf on gastrointestinal motility
Ajibade et al. Histopathological and toxicological effects of crude saponin extract from Phyllanthus niruri, L (Syn. P. franternus. Webster) on organs in animal studies
KR101317668B1 (ko) 멀꿀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CN114728030B (zh) 用于预防、缓解或治疗呼吸系统疾病的组合物
CN112022892B (zh) 蓟属植物的有机提取物的应用
KR20220110443A (ko) 만병초, 당삼, 또는 고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50020466A (ko) 천년초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hadzopulu et al. Unique mastic resin from Chios
Ahmed et al. The effect of Eruca sativa alcoholic extract in decreasing the induced toxicity of liver and kidney in mice
JP3523287B2 (ja) 発癌プロモーション抑制剤
KR20190119020A (ko) 지칭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647506B1 (ko)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추출물, 및 그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688585B2 (ja) バリア機能改善剤
CN108619179A (zh) 老鹳草提取物及其医药用途
KR20180111479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기능성 조성물
TWI777102B (zh) 金針菇萃取物的水層萃取物的製備方法及其用途
KR20100100489A (ko) 노랑다발동충하초 부탄올 분획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활성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