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001A -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 - Google Patents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001A
KR20190080001A KR1020170182159A KR20170182159A KR20190080001A KR 20190080001 A KR20190080001 A KR 20190080001A KR 1020170182159 A KR1020170182159 A KR 1020170182159A KR 20170182159 A KR20170182159 A KR 20170182159A KR 20190080001 A KR20190080001 A KR 20190080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induced
fat diet
high fat
ethano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완
이명엽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구례삼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구례삼촌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2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0001A/ko
Publication of KR20190080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s activated receptror - gamma) 및 FAS(fatty acid synthase)의 발현을 억제하며,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에 대해 체중을 감소시키며,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의 간조직재생 및 지방배출을 하고, HDL-C(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TG(triacylglycerol)함량을 낮춤으로써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을 개선하는 효능을 보유하는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ASTER YOMENA ETHANOL EXTRACTS}
본 발명은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s activated receptror - gamma) 및 FAS(fatty acid synthase)의 발현을 억제하며,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에 대해 체중을 감소시키며,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의 간조직재생 및 지방배출을 하고, HDL-C(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TG(triacylglycerol)함량을 낮춤으로서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을 개선하는 효능을 보유하는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체내에 지방이 과다축적 되어있는 상태로서 외관상의 문제뿐 아니라 각종 성인병을 유발시키는 위험인자이다. 비만은 지방간, 고지혈증, 골관절염, 담석증,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등의 발생요인이다. 또한, 남성은 전립선암, 직장암 및 대장암이 비만과 관련있으며, 여성은 유방암, 난소암 및 자궁암이 비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비만은 심장질환의 중요 위험요소로, 심장의 구조와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보고 되고 있으며, 소아기에 비만할수록 심부전증의 위험이 급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건강관리에 있어 비만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쑥부쟁이(Aster Yomena)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며 한국, 중국, 일본 및 시베리아 등지에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남부지방, 중부지방의 산야지 약간 습기있는 지역에서 자생한다. 높이는 1~1.5m이고 근경이 옆으로 길게 자라며 처음에 싹이 나올 때는 붉은빛이 강하지만 자라면서 녹색 바탕에 자주색 빛이 돈다.
쑥부쟁이는 동의보감에 해열제, 이뇨제로 이용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민간요법으로는 즙을 내어 벌레 물린 데에 사용하며, 천식과 기침에 좋은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쑥부쟁이는 지금까지 암예방, 항균활성 등이 보고된 정도이며 그 밖의 생리활성 및 성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쑥부쟁이를 비만증 개선에 활용하기 위해 항비만 효과를 실험하였다. 세포실험 및 동물실험을 통하여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이 지방 축적과 지방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키는 전사인자 mRNA 발현량, 장기 조직 및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6388호에는 쑥부쟁이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간략히 살펴보면, 쑥부쟁이의 디클로로메탄(CH2Cl2), 에탄올(EtOH), 헥산(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OAc) 및 부탄올(BuOH) 분획물의 면역 활성을 측정한 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이 세포 독성이 없으며, 다른 분획물과 비교하여 대식세포 증식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한 것으로,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7145호에는 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활성 조성물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간략히 살펴보면, 쑥부쟁이 추출물이 폐암(Calu-6), 결장암(HTC-116) 및 폐암(Calu-6) 세포의 증식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400mg/L 이상의 농도에서 모두 78% 이상의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쑥부쟁이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6388호(2017.06.14.)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7145(2013.05.31.)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s activated receptror - gamma) 및 FAS(fatty acid synthase)의 발현을 억제하며, HDL-C(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TG(triacylglycerol)함량을 낮추는 효능을 보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쑥부쟁이(Aster Yomena)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은 100~500mg/kg(6주령 마우스 기준)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s activated receptror - gamma) 및 FAS(fatty acid synthase)의 발현을 억제하며, HDL-C(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TG(triacylglycerol)함량을 낮추는 효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쑥부쟁이(Aster Yomena)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식품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s activated receptror - gamma) 및 FAS(fatty acid synthase)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고지방식이 섭취로 유도된 비만모델의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고지방식이 섭취로 유도된 비만모델의 간조직의 재생과 지방배출 및 부고환지방조직의 지방세포를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HDL-C(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TG(triacylglycerol)함량을 낮춤으로써,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을 개선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Effects of cell viability on AY of preadipocyte. The values are expressed as the means ±S.D.
도 2는 Effects of AY on lipid droplet accumulation of differentiated 3T3-L1. The values are expressed as the means ±S.D. and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according to Student's t test. * P < 0.05, ** P < 0.01, *** P< 0.001 AY treated group versus adipocyte, ### P < 0.05 preadipocyte versus adipocyte.
도 3은 Effects of AY on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adipocyte expressed genes expression of differentiated 3T3-L1. The values are expressed as the means ±S.D. and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according to Student's t test. ** P < 0.01, *** P < 0.001 AY treated group versus adipocyte, ### P < 0.05 preadipocyte versus adipocyte.
도 4는 Effects of AY on body weight change in mice fed a high-fat-diet. The values are expressed as the means ±S.D. # P < 0.05 versus CON group. * P < 0.05 versus HF group, ** P < 0.01 versus HF group, and *** P < 0.001 versus HF group.
도 5는 Effects of AY on liver weight (A) and epididymal fat weight (B) in mice fed a high-fat-diet. The values are expressed as the means ±S.D. # P < 0.05 versus CON group. * P < 0.05 versus HF group, ** P < 0.01 versus HF group, and *** P < 0.001 versus HF group.
도 6은 Histologic Observations of Liver and Epididymal Fat Tissues in AY Treated HF-Induced Mice Hematoxylin and eosin (H & E) staining (×100).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참조예 및 도면에 기술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험예 1.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1. 시료추출 및 제조
실험에 사용한 쑥부쟁이는 구례삼촌(Guryesamchon, Gurye, Korea) 에서 구입하였다. 쑥부쟁이를 건조 한 후 건조된 쑥부쟁이 1kg당 20L용량의 70% 발효주정을 첨가하여 80℃ 3시간 동안 3회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3회 추출로 얻어진 추출물 47L를 감압농축 하였으며 농축한 시료는 Freeze dry(PVTFD20R, Ilshin, Korea)를 사용하여 동결건조를 수행하였다. 동결건조 완료 후 얻어진 파우더 227.46g (수득률 : 22.746%)를 실험 시료로 사용하였다.
2. 세포배양 및 분화유도
실험에 사용한 3T3-L1 세포는 마우스 지방전구세포로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Rockville, MD, USA)에서 구입하였고, 10% new born calf serum(NBCS, Invitrogen, Grand Island, NY, USA)과 100 unit/ml penicillin, 100μg/ml streptomycin (Gibco/BRL, Grand Island, NY, USA)이 함유된 DMEM(Invitrogen,. Carlsbad, CA, USA )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외 시약은 Sigma(USA)에서 구입 하였다. 3T3-L1 세포를 6 well culture plate에 1x105 cell/well로 분주 후 48시간 배양 하였다. 이후 상층액을 버린 후 NBCS가 함유된 DMEM으로 채운 뒤 다시 48시간을 배양했다. 세포가 confluence 상태가 되면 preadipocyte를 제외한 모든 well에 10% FBS-DMEM에 0.5 mM 3-isobutyle-1- methylxanthine(IBMX), 0.25mM dexametha -sone, 10 μg/ml insulin 이 첨가된 배지를 처리하여 분화를 48시간 유도한 뒤 다시 48시간 10% FBS-DMEM에 10 μg/ml insulin이 첨가된 배지로 교체해주었다. 그 후 2일마다 10% FBS-DMEM 배지로 교체하였다. 시료의 처리는 분화유도 배지 첨가 시점부터 매회 같이 처리하였다.
3. 세포활성도 확인
본 실험에 사용한 쑥부쟁이 70% 에탄올 추출물이 지방세포의 세포증식억제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MTS assay를 수행하였다. MTS solution은 Promega(USA)사에서 판매하는 CellTiter96®AQueous one solution을 사용하였다. 3T3-L1 cell을 96 well plate에 5x103 cells/well로 분주하였으며, 10% NBCS가 함유된 DMEM을 넣어 well당 최종 용적을 100μL로 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추출물을 각각의 농도별로(0, 100, 200, 300, 400, 500 μg/ml)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의 각각 세포 배양액 용량의 1/10배의 MTS 용해액을 첨가한 후 37℃에서 2시간 배양 후 ELISA microplate reader(Infinite 200 pro, TECAN, Austri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 Oil-Red O staining
앞의 분화 과정을 거친 다음 배지를 제거해서 pH 7.4 PBS로 세척하고 10% formalin 용액으로 2시간 동안 고정한 이후, 고정액 제거 후 다시 PBS로 5회 세척하였다. 완전히 건조시킨 후 Oil red O 염색액(Oil red O staining kit, sciencell, CA, USA)을 처리하여 15분간 상온에서 염색하고, 염색액을 제거한 후 물로 5회 세척한 다음 Microscope(Nikon TS100, Tokyo, Japan)로 관찰하였다.
또한, 흡광도 측정을 위하여 100% isopropyl alcohol로 염색된 지방구를 용출시켜 ELISA microplate reader(Infinite 200 pro, TECAN, Austri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5. Quantitative RT-PCR
분화유도를 마친 cell을 TriZol Reagent를 well당 1ml씩 이용해 걷어낸 후 1.5ml Tube에 넣고 200μL의 chloroform을 넣고 voltexing 해준 후 13500rpm/4℃/10min의 조건으로 원심분리하여 층을 나눠준 후 상층액 500μL를 걷어 다른 1.5mL Tube에 넣고 같은 용량의 ispropanol을 첨가하여 조심히 섞어준 뒤 전과 같은 조건으로 원심분리를 하였다.
원심분리가 끝나면 상층액을 버리고 DEPC-treated water로 dilution한 50% Ethanol을 1mL씩 넣고 다시 한번 원심분리 후 Ethanol을 버리고 Dry시켰다. Ethanol을 완전히 건조시킨 뒤 DEPC-treated water를 30μL씩 넣고 꼼꼼히 voltexing한뒤 nanodrop plate(TECAN, Schweiz)를 이용해 RNA를 정량한 뒤 10μL를 PCR Tube에 넣고 High 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ion Kit(Applied Biosystems, USA)를 10μL 첨가해 3시간 동안 cDNA를 합성했다.
합성한 cDNA 1μL에 Primer 1μL, DEPC-treated water 8μL, TaqMan®Universal Master Mix II(Thermo, USA) 10μL를 첨가한 뒤 ABI 7300 Real-Time PCR을 이용해 qRT-PCR을 수행하였다. Primer는 Thermo Fisher(USA)사의 Hprt (TaqMan®Mm 03024075_m1 4331182), Ppar-γ (TaqMan®Mm00440940_m1 4331182), FAS (TaqMan®Mm012049774_m1 4331182)를 사용하였다.
6. 실험동물 디자인 및 실험식이 조성
실험동물은 6주령 된 C57BL/6 마우스를 샘타코(SAMTAKO, Korea, Osan)로부터 구입하였다. 마우스는 1주간 고형식이로 적응시킨 후 난괴법에 의하여 일반식이군(Normal)과 고지방식이군으로 나누어서 5주간 사육하였다. 그 뒤, 고지방군은 다시 난괴법에 의하여 고지방대조군(HF), 고지방-쑥부쟁이(100mg/kg, 250mg/kg, 500mg/kg)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동물사육실의 환경은 항온(22±2℃), 항습(50±5%). 12시간 간격(08:00∼20:00)의 광주기로 일정한 조건을 유지하고 동물들은 폴리카보네이트 사육 상자에 5 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45 Kcal% fat whit 1.25% cholesterol 고지방 식이는 RESEARCH DIETS (RESEARCH DIETS, New Jersey. USA)로부터 구입하여서 제공하였으며 물과 식이는 제한 없이 섭취하도록 하였고 체중은 매주 1회 일정시각에 측정하였으며, 식이섭취량은 매일 일정시각에 공급량에서 잔량을 감하였다.
7. 혈액검사 분석 및 장기조직 H&E staining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은 희생 전 12시간 동안 절식 시킨 후 안와정맥채혈을 통해 공복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은 3000 × g(4℃)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실험동물의 간 조직, 부고환지방 조직은 혈액 채취 후 즉시 적출하여 phosphate buffered saline(PBS) 용액으로 수차례 헹군 후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여 칭량하였으며, 일부분을 잘라 -70 ℃에 보관하고, 나머지 부분을 Formalin solution, neutral bufferd, 10% 용액에 넣어 보관 하였다.
용액에 넣어 보관한 장기들은 H&E(Hematoxylin and Eosin) stain을 하였고 H&E stain한 장기조직은 Microscope(Nikon Coolscope2, Tokyo, Japan)로 관찰 하였다. 혈액검사는 혈청 중의 total cholesterol(T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 triacylglycerol(TG)은 kit(Asan Pharm, korea)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8. 통계처리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에 대해서는 평균치±표준편차(mean±S.D.)로 나타내었으며, 실험군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SPSS(18.0,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Inc., Chicago, IL, USA)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동물실험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성이 있는 경우,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9. 실험 결과
(1) 3T3-L1 preadipocyte의 증식에 미치는 쑥부쟁이 70% 에탄올 추출물(AY)의 영향
쑥부쟁이가 3T3-L1 preadipocyte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100, 200, 300, 400 그리고 500 μg/mL 농도의 쑥부쟁이 70% 에탄올 추출물(이하, AY)을 48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MTS assay를 실시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모든 농도에서 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2) Lipid droplet 생성에 미치는 AY의 영향
AY가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 시킨 후 분화가 유도되는 동안 세포에 AY를 50 ,100, 250 그리고 500 ㎍/㎖을 처리하고 Oil Red O 시약을 이용하여 염색을 실시하였다. 현미경 사진 관찰 결과 붉은색으로 염색된 지방구가 AY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2). 또한 Oil Red O 시약으로 염색된 cell의 염색약을 추출한 값 역시 모든 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를 바탕으로 AY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및 adipocyte expressed genes의 발현에 미치는 AY의 영향
Adipogenesis의 핵심 조절자로 불리는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s activated receptror - gamma)는 서로 상호작용하여 상승효과를 나타내어 최종적으로 분화과정을 완성하게 되며, 그 결과로 백색지방세포에서 나타나는 lipid droplet 생성 및 triglyceride의 축적과 함께 세포의 크기 증가 등과 같은 형태적 특징과 같은 adipocyte expressed genes의 발현을 유발함으로서 지방세포의 특징을 지니게 된다.
먼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의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화를 유발하였을 경우 PPAR-γ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지만 AY의 처리에 의하여 농도 의존적인 감소가 유발되었다. AY50에서는 발현이 억제되지 않았지만 AY100, AY250 및 AY500에서는 눈에 띄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dipocyte expressed genes인 FAS(fatty acid synthase)경우에도 도 3에서와 같이 adipocyte에서 FAS가 발현된 것을 확인하였고 AY50에서는 발현량 감소가 거의 보여지지 않았지만 AY100, AY250 및 AY500에서는 AY처리에 의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4)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모델에서 체중에 미치는 AY의 영향
체중 변화 및 체중 감소량에 대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군은 정상 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체중증가가 유도되었으며, AY를 섭취한 군에서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AY의 섭취는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모델에서 체중을 감소함으로써 비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5)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모델에서 간 및 부고환지방의 중량에 미치는 AY의 영향
고지방식이 섭취는 간에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등의 축적을 일으켜 간 중량을 증가 시킨다. 본 실험 결과에서 간 무게는 고지방 식이의 영향으로 HF군이 Normal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간 내에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질 등이 축적된 것으로 사료된다.
간 무게가 AY 섭취군들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고지방식이의 섭취로 인한 지방조직의 중량 증가는 지방조직에 중성지방이 축적되어 발생하며 복부지방 함량이 증가할수록 대사성 질환 위험 역시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다. 중성지방의 저장고인 부고환 지방조직의 무게를 살펴보면 정상군에 비하여 HF군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AY 섭취군들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6)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모델의 장기조직 세포에 미치는 AY의 영향
AY의 섭취가 mouse의 지질대사 조절 기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간 조직의 H&E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을 진행하였다(도 6). 실험 결과 정상식이군의 간 조직에 비해 고지방식이군(HF)의 간 조직에서 더 크고 많은 lipid droplet의 흔적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비만으로 인하여 간에 축적된 droplet으로, HF군과 비교하여 AY을 투여한 군의 간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AY500에서는 droplet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간의 조직학적 변화로 포화지방산을 대량 포함하고 있는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높은 고지방사료를 섭취시킨 HF군의 간은 지방의 축적이 광범위하고 명확하게 관찰되었으나, AY의 투여에 의해 지방축적의 감소를 보여 AY이 간조직의 재생과 지방의 배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부고환지방 조직에서도 HF군의 지방세포 크기가 일반식이군의 지방세포 크기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Y을 투여한 경우 지방세포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7)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모델에서 혈중 지질함량 및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에 미치는 AY의 영향
혈액내의 지질 농도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혈청 내 TG 함량은 고지방식이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데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HF군에 비해 AY500에서 혈청 TG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HDL 콜레스테롤은 혈액 중의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저분자 콜레스테롤을 제거하여 간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HDL-C(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의 함량은 HF군과 시료 섭취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AY섭취가 전체 콜레스테롤 중 HDL-C(triacylglycerol)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AY의 섭취는 전체 콜레스테롤 중 HDL-C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TG함량을 낮춤으로써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에 개선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Normal HF AY100 AY250 AY500
TG
(mg/dL)

113.3±11.98a

143.11±3.96c

133.31±5.41bc

133.44±3.12bc

123.76±2.53 b
TC
(mg/dL)

151.81±9.65a

222.91±20.18c

206.8±0.22bc

179.64±5.37b

169.54±28.67 b
HDL-C
(mg/dL)

75.18±2.42a

117.24±1.19c

116.51±3.5c

112.58±7.88bc

114.06±9.71bc

Claims (4)

  1. 쑥부쟁이(Aster Yomena)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은 100~500mg/kg(6주령 마우스 기준)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s activated receptror - gamma) 및 FAS(fatty acid synthase)의 발현을 억제하며, HDL-C(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TG(triacylglycerol)함량을 낮추는 효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4. 쑥부쟁이(Aster Yomena)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식품 조성물.
KR1020170182159A 2017-12-28 2017-12-28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90080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159A KR20190080001A (ko) 2017-12-28 2017-12-28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159A KR20190080001A (ko) 2017-12-28 2017-12-28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001A true KR20190080001A (ko) 2019-07-08

Family

ID=67256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159A KR20190080001A (ko) 2017-12-28 2017-12-28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00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454B1 (ko) 2022-05-31 2022-11-25 주식회사 뷰니스 돌외잎 추출물 및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7145A (ko) 2011-11-23 2013-05-31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활성 조성물
KR101746388B1 (ko) 2016-04-12 2017-06-14 대한민국 쑥부쟁이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7145A (ko) 2011-11-23 2013-05-31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활성 조성물
KR101746388B1 (ko) 2016-04-12 2017-06-14 대한민국 쑥부쟁이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454B1 (ko) 2022-05-31 2022-11-25 주식회사 뷰니스 돌외잎 추출물 및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ing et al. Chemical constituents, biological functions and pharmacological effects for comprehensive utilization of Eucommia ulmoides Oliver
Yun et al. Wild ginseng prevents the onset of high-fat diet induced hyperglycemia and obesity in ICR mice
Hwang et al.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reduces high-fat diet-induced obesity through regulation of adipogenesis and lipogenesis pathways in mice
Kim et al. Perilla leaf extract ameliorates obesity and dyslipidemia induced by high‐fat diet
KR101204858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0001A (ko)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항비만 조성물
CN102934769B (zh) 用于解酒的蜂花粉混合剂口含片
JP6638161B2 (ja) 脂肪蓄積抑制用飲食品組成物、脂肪肝の予防又は治療用飲食品組成物及び脂肪酸合成酵素抑制用飲食品組成物
KR20190011482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36463A1 (zh) 藜麦多酚在调节肝细胞糖脂代谢及抑制氧化应激中的应用
KR20150083622A (ko) 오갈피나무와 뽕나무를 이용한 항비만 조성물
CN110656083A (zh) 一种前脂肪细胞棕色化诱导试剂盒
Fu et al. Anti-obesity effect of Angelica keiskei Jiaosu prepared by yeast fermentation on high-fat diet-fed mice
CN105230865A (zh) 排毒祛斑越桔茶
US20220142884A1 (en) Treatment of aging or uv-damaged skin
KR101119167B1 (ko) 체지방 억제에 유용한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비만조성물
Alqahtani et al. The role of olive leaves and pomegranate peel extracts on diabetes mellitus induced in male rats
US9452192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metabolic syndrome comprising tea plant leaf, flower and seed extract
KR20150091770A (ko)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490378B1 (ko) 돌외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KR101473748B1 (ko) 문주란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 조성물 및 항고지혈증 조성물
KR101517828B1 (ko)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153516B1 (ko)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31713B1 (ko) 박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80078433A (ko) 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