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050A -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050A
KR20130057050A KR1020110122779A KR20110122779A KR20130057050A KR 20130057050 A KR20130057050 A KR 20130057050A KR 1020110122779 A KR1020110122779 A KR 1020110122779A KR 20110122779 A KR20110122779 A KR 20110122779A KR 20130057050 A KR20130057050 A KR 20130057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knife
coating
fabric
liqui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태
허만억
이태중
단기현
이인회
안기용
국경훈
김명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7050A/ko
Publication of KR20130057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05C11/04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with blades
    • B05C11/041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with blad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ositioning, loading, or deforming th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lready applied to the surface, e.g. coating thickness, weight or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21/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1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킹 카펫을 제작하기 위해 원단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단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며 또한 접착제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는 카펫의 원단에 접착제를 도포함에 있어 원단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원단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도포량을 제어하는 코팅 나이프와, 코팅 나이프를 측벽으로 하여 코팅 나이프의 후방에 접착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며, 수용공간에 수용된 접착제는 원단을 따라 코팅 나이프를 통과하면서 코팅나이프와 원단 사이의 간격에 의해 도포량이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Bond Coating Apparatus for Flocking Carpet Manufacture}
본 발명은 플로킹 카펫을 제작하기 위해 원단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단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도포량 및 폭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접착제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플로킹(Flocking)이란 섬유를 짧게 잘라 만든 원사(fiber)를 주로 전착식모법(電着植毛法)을 이용해 목적물의 표면에 고착해주는 가공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플로킹 방식으로 제작된 카펫을 '플로킹 카펫'이라 하며, 플로킹 카펫의 제작공정을 살펴보면, 크게 원단에 원사를 부착하는 플로킹(flocking) 공정, 원단에 부착된 원사를 염색하는 프린팅(printing) 공정, 원단의 이면에 폴리머를 이용하여 이면을 접착하는 백킹(backing)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원단에 원사를 부착하는 플로킹 공정 이전 단계로서, 원단에 원사가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공정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아래 선행기술문헌에 언급된 접착제 도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착제 도포장치에서 접착제가 흘러내리는 문제점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접착제 도포장치(10)는 완성된 기포(9)의 상부에 코팅 나이프(coating knife)(13)가 장착되어 코팅 나이프(13)의 후방에 위치한 접착제(15)가 기포(9)의 진행방향을 따라 코팅 나이프(13)와 기포(9) 사이를 빠져 나가면서 기포(9)에 적정 두께로 도포된다.
종래의 접착제 도포장치(10)는 코팅 나이프(13)와 기포(9)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 코팅 나이프(13)에 스크루가 상향으로 고정되고, 스크루에 장착된 두께조정핸들을 회전시켜 코팅 나이프(13)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기포(9)와 코팅 나이프(1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접착제 도포장치(10)를 이용하여 기포에 접착제(15)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접착제(15)를 코팅 나이프(13)의 후방에 위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코팅 나이프(13)의 후방 쪽 기포(9) 위에 적정 양의 접착제를 올릴 경우에는 접착제(15)가 코팅 롤러(17)의 후방으로 흘러내리지 않지만, 많은 양의 접착제(15)를 기포에 올릴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15)가 코팅 롤러(17)의 후방으로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포(9)에 올려진 접착제(15)는 코팅 나이프(13)의 길이방향으로 제한되지 않고 퍼져서 위치하기 때문에, 기포(9)에 도포되는 접착제(15)의 폭을 제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5713호(등록일 2007.10.02)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원단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저장한 상태에서 원단에 균일한 두께로 접착제의 도포가 가능하며 원단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폭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한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의 공급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는 카펫의 원단에 접착제를 도포함에 있어 원단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원단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도포량을 제어하는 코팅 나이프와, 코팅 나이프를 측벽으로 하여 코팅 나이프의 후방에 접착제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며, 수용공간에 수용된 접착제는 원단을 따라 코팅 나이프를 통과하면서 코팅나이프와 원단 사이의 간격에 의해 도포량이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팅 나이프는 상하방향 및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는 슬라이딩 서포트에 고정되며, 구조물은 슬라이딩 서포트에 고정된 고정브래킷에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은, 코팅 나이프와 대응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액막이용 나이프와, 코팅 나이프와 액막이용 나이프의 양측 사이에 각각 장착된 사이드 커버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브래킷은 코팅 나이프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경사지게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며, 액막이용 나이프는 절곡부에 접하여 경사지게 장착되며 절곡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막이용 나이프의 상면에는 아이들 회전하는 제1스크루가 장착되고, 제1스크루는 고정브래킷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체결되어 제1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곡부에는 액막이용 나이프의 이동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은 관통한 제2스크루가 액막이용 나이프에 체결되며, 액막이용 나이프는 장공의 길이만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 커버에는 아이들 회전하는 제3스크루가 장착되고, 제3스크루는 고정브래킷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체결되며, 제3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사이드 커버는 코팅 나이프와 액막이용 나이프의 사이에서 코팅 나이프와 액막이용 나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막이용 나이프에는 관통공들이 형성되고, 관통공을 관통한 볼트를 사이드 커버에 체결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공간으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라인과, 수용공간에 채워진 접착제의 양을 감지하여 접착제 공급라인을 통해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는 코팅 나이프를 측벽으로 이용하여 접착제를 수용하는 접착제 수용부를 구성함으로써, 접착제가 후방으로 흘러내리지 않으며, 진행하는 원단에 균일한 접착제의 도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는 접착제의 폭을 제한함으로써, 원단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폭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는 접착제 수용부에 저장된 접착제의 양을 측정하여 접착제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종래와 같이 수작업으로 접착제를 공급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아래 선행기술문헌에 언급된 접착제 도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착제 도포장치에서 접착제가 흘러내리는 문제점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착제 도포장치의 접착제 수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착제 수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사이드 커버의 이동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착제 도포장치의 접착제 수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착제 수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사이드 커버의 이동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킹 카펫 접착용 접착제 도포장치(100)는 하부에 원단을 피딩시키는 롤러부(110)와, 진행하는 원단의 상부에 위치하는 코팅 나이프(120)와, 코팅 나이프(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또한 경사지게 기울기를 조절하는 코팅 나이프 위치제어부(130) 및 코팅 나이프(120)를 측벽으로 하여 접착제(15)를 저장하며 진행하는 원단(1)으로 접착제(15)를 공급하는 접착제 수용부(140)를 포함하며, 접착제 수용부(140)에는 저장된 접착제(15)의 양을 측정하는 감지센서(170) 및 상기 감지센서(170)에서 측정된 접착제(15)의 양에 따라 접착제 수용부(140)로 접착제(15)를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라인(180)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롤러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1)이 코팅 나이프(120)의 아래에서 전방으로 진행하도록 구동하는 롤러(111)들로서, 롤러(111)들의 배치는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다르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코팅 나이프 위치제어부(130)의 슬라이딩 서포트(131)에는 코팅 나이프(120)가 장착되고, 슬라이딩 서포트(131)의 상부에 모터(133)가 장착되며, 모터(133)에 장착된 스크루(135)가 슬라이딩 서포트(131)에 체결되어 모터(133)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 서포트(13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단(1)과 코팅 나이프(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슬라이딩 서포트(131)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사각 핸들 휠이 장착되어 코팅 나이프(12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한편, 슬라이딩 서포트(131)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수용부(140)가 장착된다.
접착제 수용부(140)는 원단(1)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코팅 나이프(120)를 전방 측벽으로 이용하며, 코팅 나이프(120)의 후방에 코팅 나이프(120)와 대응하여 위치하는 액막이용 나이프(141)가 위치한다. 그리고 상호 대응하여 위치하는 액막이용 나이프(141)와 코팅 나이프(120)의 사이에 양 측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143)가 액막이용 나이프(141)와 코팅 나이프(120)의 양단 사이 각각에 위치한다. 따라서 접착제 수용부(140)는 코팅 나이프(120)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조물 즉 액막이용 나이프(141), 양측의 사이드 커버(143)에 의해 수용공간(145)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45)과 대응하여 상부에 위치한 접착제 공급라인(180)을 통해 접착제(15)가 수용공간(145)에 투입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접착제 수용부(140)의 내부에는 저장된 접착제(15)의 높이를 측정하는 감지센서(170)가 장착되고, 감지센서(170)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접착제 공급라인(180)을 통해 접착제(15)가 공급 및 차단된다. 그 한 예로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접착제 공급라인(180)에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고 감지센서(170)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가 작동하면서 접착제(15)를 수용공간(145)에 투입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접착제 수용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 나이프(120)는 원단(1)의 폭방향으로 위치하며 슬라이딩 서포트(131)에 고정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서포트(131)에는 고정브래킷(150)이 고정되고, 고정브래킷(150)은 원단(1)의 진행방향에 있어 코팅 나이프(120)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고정브래킷(150)의 단부에는 액막이용 나이프(141)의 양단이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브래킷(150)의 단부는 하향으로 절곡되며, 고정브래킷(150)의 절곡부(151)에 액막이용 나이프(141)가 장착되는데, 액막이용 나이프(141)는 절곡부(15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액막이용 나이프(141)의 상면에는 제1스크루(161)가 베어링에 의해 장착되어 자유 회전하거나 또는 제1스크루(161)가 회전하더라도 액막이용 나이프(141)의 상면에서 풀리지 않고 아이들 회전하는 구조로 장착되며, 제1스크루(161)는 고정브래킷(150)에 형성된 암나사공(153)에 나사체결된다. 따라서 제1스크루(161)를 회전시키면 제1스크루(161)에 장착된 액막이용 나이프(141)는 절곡부(151)와 접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절곡부(15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절곡부(151)에는 액막이용 나이프(14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장공(155)이 형성되며, 제2스크루(162)가 장공(155)을 관통해 액막이용 나이프(141)의 측면에 체결된다. 따라서 액막이용 나이프(141)는 제2스크루(162)에 의해 고정브래킷(150)의 절곡부(151)에 밀착된 상태로 제1스크루(161)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되, 이동 범위는 장공(155)의 길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액막이용 나이프(141)는 고정브래킷(150)에 의해 코팅 나이프(120)와 간격을 두고 후방에 배치되는데, 액막이용 나이프(141)와 코팅 나이프(120)의 양 측단으로 개방된 부위를 사이드 커버(143)로 각각 폐쇄한다. 사이드 커버(143)는 역사다리꼴의 구조로서, 양측 빗변은 액막이용 나이프(141)와 코팅 나이프(120)와 대응하여 위치하며, 액막이용 나이프(141)에 형성된 관통공(141H)들을 관통한 볼트(165)에 의해 액막이용 나이프(141)에 고정된다.
그리고 사이드 커버(143)의 상단에는 바깥방향으로 제3스크루(16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3스크루(163) 또한 사이드 커버(143)에 장착됨에 있어서, 제1스크루(161)와 같이 베어링에 의해 장착되어 자유 회전하거나 또는 제3스크루(163)가 회전하더라도 사이드 커버(143)에서 풀리지 않고 아이들 회전하는 구조로 장착된다. 한편, 제3스크루(163)는 고정브래킷(150)의 암나사공(157)에 나사체결된 상태로 고정브래킷(150)의 바깥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에서 제1스크루(161), 제2스크루(162) 및 제3스크루(163)의 단부에는 각 스크루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핸드 휠(167)이 장착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접착제 수용부(140)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6에 보이듯이, 접착제 공급라인(180)을 통해 코팅 나이프(120), 액막이용 나이프(141) 및 양측 사이드 커버(143)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145) 내부로 접착제(15)가 투입되어 채워진다. 수용공간(145)에 채워지는 접착제(15)의 양을 감지센서(170)에서 측정하고, 설정된 범위의 최대 양이 감지되면 감지센서(170)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접착제(15)의 공급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수용공간(145)에 접착제(15)가 채워진 상태에서 원단(1)이 코팅 나이프(120)의 전방으로 진행하게 되면, 접착제(15)는 코팅 나이프(120)에 의해 제어된 도포량으로 원단(1)에 도포된다. 여기에서 도포량은 코팅 나이프(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코팅 나이프(120)의 기울기로 제어한다.
한편, 액막이용 나이프(141)는 제2스크루(162)를 풀어 액막이용 나이프(141)가 절곡부(15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제1스크루(161)를 회전시켜 액막이용 나이프(141)의 끝단이 원단(1)과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게 위치하고, 액막이용 나이프(141)의 위치가 설정되면 제2스크루(162)를 조여 액막이용 나이프(141)를 고정브래킷(150)의 절곡부(151)에 고정한다. 그러면 수용공간(145)에 채워진 접착제(15)는 액막이용 나이프(141)에 막혀 후방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한편, 원단(1)에 도포되는 접착제(15)의 폭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이드 커버(143)를 고정하는 볼트(165)를 풀고, 제3스크루(163)를 회전시키면 사이드 커버(143)가 코팅 나이프(120)와 액막이용 나이프(14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단에 도포되는 접착제(15)의 폭을 제어한다. 그리고 사이드 커버(143)의 위치가 설정되면, 사이드 커버(143)의 설정된 위치와 대응하는 액막이용 나이프(141)에 형성된 관통공(141H)에 볼트(165)를 삽입한 후 사이드 커버(143)에 체결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는 접착제(15)가 후방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원단(1)에 도포되는 접착제(15)의 폭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용공간(145)에 채워진 접착제(15)의 양이 줄어 설정된 범위의 최소 양에 도달하면 감지센서(170)에서 이를 감지한 후 접착제 공급라인(180)을 통해 접착제(15)가 수용공간(145)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15)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1 : 원단
15 : 접착제
100 : 접착제 도포장치
110 : 롤러부
111 : 롤러
120 : 코팅 나이프
130 : 코팅 나이프 위치제어부
131 : 슬라이딩 서포트
133 : 모터
135 : 스크루
140 : 접착제 수용부
141 : 액막이용 나이프
143 : 사이드 커버
145 : 수용공간
150 : 고정브래킷
151 : 절곡부
153, 157 : 암나사공
155 : 장공
161, 162, 163 : 스크루
170 : 감지센서
180 : 접착제 공급라인

Claims (9)

  1. 카펫의 원단에 접착제를 도포함에 있어 원단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원단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도포량을 제어하는 코팅 나이프와,
    코팅 나이프를 측벽으로 하여 코팅 나이프의 후방에 접착제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며,
    수용공간에 수용된 접착제는 원단을 따라 코팅 나이프를 통과하면서 코팅나이프와 원단 사이의 간격에 의해 도포량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코팅 나이프는 상하방향 및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는 슬라이딩 서포트에 고정되며,
    구조물은 슬라이딩 서포트에 고정된 고정브래킷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구조물은,
    코팅 나이프와 대응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액막이용 나이프와, 코팅 나이프와 액막이용 나이프의 양측 사이에 각각 장착된 사이드 커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고정브래킷은 코팅 나이프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경사지게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며,
    액막이용 나이프는 절곡부에 접하여 경사지게 장착되며 절곡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액막이용 나이프의 상면에는 아이들 회전하는 제1스크루가 장착되고, 제1스크루는 고정브래킷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체결되어 제1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절곡부에는 액막이용 나이프의 이동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은 관통한 제2스크루가 액막이용 나이프에 체결되며, 액막이용 나이프는 장공의 길이만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사이드 커버에는 아이들 회전하는 제3스크루가 장착되고, 제3스크루는 고정브래킷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체결되며, 제3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사이드 커버는 코팅 나이프와 액막이용 나이프의 사이에서 코팅 나이프와 액막이용 나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액막이용 나이프에는 관통공들이 형성되고, 관통공을 관통한 볼트를 사이드 커버에 체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수용공간으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라인과, 수용공간에 채워진 접착제의 양을 감지하여 접착제 공급라인을 통해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
KR1020110122779A 2011-11-23 2011-11-23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 KR20130057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779A KR20130057050A (ko) 2011-11-23 2011-11-23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779A KR20130057050A (ko) 2011-11-23 2011-11-23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050A true KR20130057050A (ko) 2013-05-31

Family

ID=48664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779A KR20130057050A (ko) 2011-11-23 2011-11-23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70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236B1 (ko) * 2018-08-20 2019-04-05 김동원 실리콘 원단 제조장치
KR102019283B1 (ko) * 2019-04-01 2019-09-06 김성춘 기능성 원단 제조방법
CN111871692A (zh) * 2020-06-04 2020-11-03 张朝设 涂布设备的刮刀调节装置以及涂布设备
CN116623466A (zh) * 2023-06-06 2023-08-22 湖南凯通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平面校准的热敏打印片涂布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236B1 (ko) * 2018-08-20 2019-04-05 김동원 실리콘 원단 제조장치
KR102019283B1 (ko) * 2019-04-01 2019-09-06 김성춘 기능성 원단 제조방법
CN111871692A (zh) * 2020-06-04 2020-11-03 张朝设 涂布设备的刮刀调节装置以及涂布设备
CN116623466A (zh) * 2023-06-06 2023-08-22 湖南凯通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平面校准的热敏打印片涂布装置
CN116623466B (zh) * 2023-06-06 2024-02-20 湖南凯通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平面校准的热敏打印片涂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7050A (ko) 플로킹 카펫 제작용 접착제 도포장치
CN103350055B (zh) 一种涂布机刮刀装置
KR101398604B1 (ko) 용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T1371474E (pt) Maquina automatica de soldar
ATE493530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tufteten trägermaterialien
JP2015000572A5 (ko)
CN103596718A (zh) 放电加工装置
KR20090001410U (ko) 회전형 보류부 용접캐리지
KR101243205B1 (ko) 포지셔너 횡형 이동 동조장치
CN216910864U (zh) 一种不干胶标签涂布设备
Djuraevich et al. Mathematical model of dynamics of device for applying polymer composition on grind parts of the clothes
WO2018176857A1 (zh) 一种坡口填充材料的铺设装置
JP2002177836A5 (ko)
KR101165025B1 (ko) 텍스타일 프린터의 원단 장력 조절장치
KR101674003B1 (ko) 정전기방지 필름 숙성장치 및 방법
CN209061472U (zh) 一种四辊涂布装置
CN210361558U (zh) 一种平板喷墨切割机
KR200256462Y1 (ko) 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CN210116257U (zh) 防排水板上胶复合机
CN210394816U (zh) 一种人造革涂料机
US105083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tension to backing materials for tufted products
KR20120007584A (ko) 접착제도포장치
JP2004296330A (ja) 電池用シール剤塗布装置
KR101906050B1 (ko) 테이프 유도틀의 회동장치
KR101615700B1 (ko) 임프린티드 필름 자동 잉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