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050B1 - 테이프 유도틀의 회동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유도틀의 회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050B1
KR101906050B1 KR1020170054150A KR20170054150A KR101906050B1 KR 101906050 B1 KR101906050 B1 KR 101906050B1 KR 1020170054150 A KR1020170054150 A KR 1020170054150A KR 20170054150 A KR20170054150 A KR 20170054150A KR 101906050 B1 KR101906050 B1 KR 101906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old
guide frame
fram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직
Original Assignee
민병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직 filed Critical 민병직
Priority to KR1020170054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2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렌즈를 제조하기 위하여 몰드를 상하로 이격시킨 후 그 측면을 접착시키는 테이프를 공급하고 잡아주는 유도틀을 로터리 실린더로 수평 회동시키도록 하는 테이프 유도틀의 회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테이프 롤이 설치되고 바디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되는 테이프 공급판의 상측에 테이프를 고정하고 공급하는 유도틀을 설치하고, 상기 유도틀은 테이프 공급판에 설치된 로터리 실린더에 체결되게 함으로써 유도틀은 테이프 공급판에 의해 수평 이동되는 한편 로터리 실린더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테이프 유도틀의 회동장치{Rotation apparatus of tape guide device}
본 발명은 안경렌즈를 제조하기 위하여 몰드를 상하로 이격시킨 후 그 측면을 접착시키는 테이프를 공급하고 잡아주는 유도틀을 로터리 실린더로 수평 회동시키도록 하는 테이프 유도틀의 회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렌즈의 제조를 위해서는 두 장의 몰드를 상하로 위치시킨 후 몰드 사이의 초점거리를 맞춘 상태에서 몰드의 측면을 테이프로 붙여준 다음, 테이프의 일부를 떼고 몰드 사이에 수지를 채움으로써 안경렌즈를 제조하게 되나, 상기 몰드의 측면에 붙여지는 테이프는 유도틀을 통하여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유도틀은 두 장의 몰드가 초점거리를 맞추게 되면, 몰드의 측면으로 이동한 후 테이프의 선단을 몰드의 측면에 붙인 후 몰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상하로 설치된 몰드의 측면을 테이프로 접착시키되 상기 테이프는 절단칼날에 의해 절단이 이루어지고, 테이프의 절단이 이루어진 후에는 유도틀은 본래의 위치로 복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유도틀은 테이프 롤이 끼워지는 테이프 공급판에 결합되는 것으로, 유도틀은 일측으로 테이프 롤에서 유도롤러를 거쳐 공급되는 테이프가 유도틀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롤러를 설치하는 한편 선단에는 테이프를 몰드의 측면에 밀착시키는 밀착롤러를 설치하게 되며, 상기 유도틀에는 테이프를 잡기 위한 진공구멍과 테이프를 펼치기 위한 분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롤러는 테이프의 접착면으로부터 자유롭기 위하여 널링롤러를 사용한다.
기존의 유도틀은 테이프 공급판에 올려져 설치되고, 상기 유도틀은 테이프 공급판을 몰드쪽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유도틀에서 펼친 테이프가 몰드의 측면에 위치되게 하되 상기 테이프가 몰드의 측면에 붙을 수 있도록 미리 테이프 공급판에서 유도틀을 회동시켜 몰드의 크기에 따라 유도틀이 이동하였을 때 테이프가 몰드의 측면에 닿을 수 있도록 한 후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유도틀을 테이프 공급판에 회동이 이루어진 채로 고정시킨다.
즉, 유도틀을 테이프 공급판에서 미리 회동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로 고정시킨 후 테이프 공급판을 몰드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테이프의 선단이 몰드의 측면에 닿게한 후 밀착롤러가 테이프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몰드를 회전시킴으로써 몰드의 측면에 테이프를 붙이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몰드의 직경이 변함에 따라 유도틀의 회동 각도를 달리하여 고정볼트를 풀고 조이는 작업을 반복하기 때문에 테이핑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문헌1]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8-0106661호(2008.12.09 공개) [문헌2]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876612호(2008.12.23 등록) [문헌3]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350076호(2002.08.12 등록) [문헌4]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254800호(2001.11.07 등록)
본 발명은 안경렌즈 제조를 위하여 몰드의 측면을 테이프로 감아주기 위한 유도틀을 테이프 공급판에서 회동시켜 고정되게 할 때 고정볼트를 풀고 조이는 방식은 몰드의 크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풀고 조이는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도틀의 저면에 로터리 실린더를 설치함으로써 간단히 유도틀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몰드의 직경에 따라 유도틀의 회동각도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간단히 유도틀을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테이프 롤이 설치되고 바디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되는 테이프 공급판의 상측에 테이프를 고정하고 공급하는 유도틀을 설치하고, 상기 유도틀은 테이프 공급판에 설치된 로터리 실린더에 체결되게 함으로써 유도틀은 테이프 공급판에 의해 수평 이동되는 한편 로터리 실린더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몰드의 직경에 따라 유도틀의 회동 각도를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고 로터리 실린더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디.
본 발명은 테이프를 잡아주고 공급하는 유도틀이 테이프 공급판과 함께 수평 이동되게 하는 한편 테이프 공급판에 고정된 로터리 실린더에 유도틀이 결합됨으로써 로터리 실린더로 유도틀을 회동시킴으로써 유도틀의 회동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간편함이 있다.
즉, 기존과 같이 몰드의 직경에 따라 유도틀을 회동시켜 테이프의 선단을 몰드의 측면에 밀착시킬 때 고정볼트를 풀고 조이는 작업에 의해 유도틀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지 않고, 로터리 실린더로 간단히 유도틀을 회동시켜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어서,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도틀이 이동하기 전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도틀이 이동하기 전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도틀이 몰드 쪽으로 이동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도틀이 몰드 쪽으로 이동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도틀이 큰 직경의 몰드 측면에 닿도록 회동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도틀이 적은 직경의 몰드 측면에 닿도록 회동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본 발명은 안경렌즈를 제조하기 위하여 두 장의 몰드를 상하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몰드의 측면을 테이프로 감아주기 위하여 테이프 롤에 감긴 테이프를 세운 채로 몰드 쪽으로 이동시키는 유도틀에 관한 것으로, 유도틀의 일측에는 테이프 롤에서 풀리는 테이프를 원활히 공급하기 위한 유도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롤러를 거친 테이프는 유도틀과 널링롤러로 이루어진 안내롤러 사이를 지난 후 밀착롤러에 접촉된 상태로 세워지게 된다.
본 발명의 유도틀은 테이프 공급판에 결합되기 때문에 테이프 공급판이 바디에 결합된 채로 전후진이 이루어질 때 유도틀은 몰드 쪽으로 이동하거나 멀어지게 되며, 상기 유도틀은 테이프 공급판에 상하로 관통되게 설치된 로터리 실린더에 결합됨으로써, 유도틀은 로터리 실린더에 의해 수평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테이프 공급판은 바디에 LM 가이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아니한 로드 실린더에 의해 수평 이동하게 되고, 상기 테이프 공급판의 상측에 결합되는 유도틀은 테이프 공급판에 끼워져 고정된 로터리 실린더의 상측에 결합됨으로써, 유도틀은 로터리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수평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유도틀은 로터리 실린더에 의해 간단히 회동되는 것이어서, 기존과 같이 고정볼트를 풀고 조이는 과정에 의해 유도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것보다, 간편한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테이프 롤(2)가 설치되는 테이프 공급판(10)은 바디(50)의 상측에서 LM가이드(60)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테이프 공급판(10)은 도시되지 아니한 로드 실린더에 의해 바디(50)의 상측에서 LM 가이드(60)를 타고 수평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몰드(80)쪽으로 이동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테이프 공급판(10)에는 로터리 실린더(70)가 상하 관통되는 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되게 설치하되 상기 로터리 실린더(70)의 상측에는 테이프 공급판(10)의 상측에서 실린더 고정판(11)을 매개로 하여 유도틀(20)이 결합되게 구성함으로써, 로터리 실린더(70)는 테이프 공급판(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린더 고정판(11)으로 유도틀(70)을 수평 회동시키게 된다.
유도틀(20)은 테이프 롤(2)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1)를 몰드(80)의 측면에 붙이기 위한 것으로, 유도틀(20)에는 테이프(1)의 유도를 위한 유도롤러(4)가 구비되는 한편 테이프(1)의 정확한 안내를 위한 안내롤러(30)와 함께 테이프(1)를 몰드(80)의 측면에 밀착하기 위한 밀착롤러(5)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틀(20)에는 테이프(1)를 진공으로 잡아주기 위한 진공구멍(21)이 유도틀(20)의 전면에서 테이프(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편 공기를 분사시켜 테이프(1) 선단을 펼쳐주기 위한 분사구멍(22)이 유도틀(20)의 선단에서 테이프(1)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유도틀(20)에 구비된 유도롤러(4)는 테이프 롤(2)에서 풀리는 테이프(1)의 비접착면에 접착되어 테이프 공급을 유도하게 되고, 상기 유도롤러(4)를 거친 테이프(1)는 유도틀(20)과 안내롤러(30) 사이를 통한 후 밀착롤러(5)를 지나 세워져 있게 되며, 이때, 테이프(1)의 접착면은 널링롤러인 안내롤러(30)에 닿으면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안내롤러(30)는 ㄷ자 형상의 고정구(40)에 세워져서 회전이 가능하게 상하측으로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고, 상기 고정구(40)는 하측을 유도틀(20)의 하측에 고정되게 하되 유도틀(20)과 안내롤러(30)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하는 한편 고정구(40)의 상측은 유도틀(20)과 이격시킴으로써 유도틀(20)과 고정구(40)의 상측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테이프(1)를 새로 끼울 때 쉽게 끼울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유도틀(20)의 밀착롤러(5)에 받쳐진 채로 돌출된 테이프(1)는 유도틀(20)을 몰드(80)쪽으로 이동시킨 후 로터리 실린더(70)를 이용하여 몰드(80)쪽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테이프(1)의 선단이 몰드(80)의 측면에 닿게 한 상태에서 밀착롤러(5)로 테이프(1)를 밀착시키며 몰드(80)를 회전시켜, 몰드(80)의 외측에 테이프(1)가 접착되게 한 후 테이프(1)의 선단을 절단하고, 유도틀(20)을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한편 몰드(80)를 배출하고, 새로운 몰드가 배치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테이프 공급판(10)을 이동시켜 테이프(1)를 몰드(80)의 측면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기존과 동일하나, 유도틀(20)을 로터리 실린더(70)로 회동시키는 것이 기존과는 다른 본 발명만의 특징이 된다.
본 발명에서 유도틀(20)에 테이프 롤(2)에서 풀리는 테이프(1)를 유도하는 유도롤러(4)와 안내롤러(30) 및 밀착롤러(5)를 구비한 후 유도틀(20)은 로터리 실린더(70)에 의해 수평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먼저 몰드(80)의 직경에 따라 로터리 실린더(70)로 유도틀(2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되 로터리 실린더(70)를 작동시키는 에어 압력에 의해 몰드(80)의 직경에 관계없이 어느 몰드라도 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몰드(80)의 직경은 미리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로터리 실린더(70)의 회동 각도를 고려하여 유도틀(20)을 회동시킴으로써 정교하게 유도틀(20)의 회동 각도를 맞추어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는 몰드(80)의 직경을 미리 입력시킴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게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유도틀(20)의 회동이 기존과 같이 고정볼트를 풀고 조이는 작업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고, 로터리 실린더(70)를 작동시킴에 따라 간편하게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작업자는 유도틀(20)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서 로터리 실린더(70)로 회동 각도의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테이프 공급판(10)을 몰드(80)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유도틀(20)이 이동하여 몰드(80)의 측면에 테이프(1)가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밀착롤러(5)가 테이프(1)를 몰드(80)의 측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몰드(80)를 회전시킴으로써 몰드(80)의 측면에 테이프(1)를 붙여주게 된다.
테이프(1)가 몰드(80)의 측면에 붙게 되면, 테이프(1)를 절단한 후 유도틀(20)는 본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몰드(80)를 배출하고, 새로운 몰드(80)를 대기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몰드(80)의 직경에 따라 유도틀(20)을 회동시킴으로써 유도틀(20)의 수평 이동시 테이프(1)가 몰드(80)의 측면에 닿을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유도틀(20)의 회동이 로터리 실린더(70)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몰드(80)의 직경에 따라 유도틀(2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지 않아도 된다.
1 : 테이프 2 : 테이프 롤
5 : 밀착롤러 10 : 테이프 공급판
20 : 유도틀 30 : 안내롤러
40 : 고정구 50 : 바디
60 : LM 가이드 70 : 로터리 실린더
80 : 몰드

Claims (2)

  1. 바디(50)의 상측에 LM 가이드(60)로 결합되어 로드 실린더에 의해 몰드(80)쪽으로 수평 이동하는 테이프 공급판(10)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공급판(10)에는 테이프(1)를 고정하고 몰드(80)로 공급하는 유도틀(20)을 설치하여 테이프 공급판(10)과 함께 몰드(80)쪽으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유도틀(20)은 테이프 공급판(10)에 설치된 로터리 실린더(70)에서 실린더 고정판(11)으로 체결하고,
    상기 유도틀(20)은 로터리 실린더(70)로 회동시키되 유도틀(20)의 테이프(10)가 몰드(80)의 측면에 닿게 수평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유도틀의 회동장치.
  2. 삭제
KR1020170054150A 2017-04-27 2017-04-27 테이프 유도틀의 회동장치 KR101906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150A KR101906050B1 (ko) 2017-04-27 2017-04-27 테이프 유도틀의 회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150A KR101906050B1 (ko) 2017-04-27 2017-04-27 테이프 유도틀의 회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050B1 true KR101906050B1 (ko) 2018-10-08

Family

ID=6386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150A KR101906050B1 (ko) 2017-04-27 2017-04-27 테이프 유도틀의 회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0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800Y1 (ko) 2001-08-30 2001-11-26 민병직 탭핑기의 테이프 장치
KR100350076B1 (ko) 2000-05-04 2002-08-24 대명광학 주식회사 안경렌즈 몰드 테이핑기
JP2005238538A (ja) * 2004-02-25 2005-09-08 Takara Pac Ltd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用の母型モールドテープ貼着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076B1 (ko) 2000-05-04 2002-08-24 대명광학 주식회사 안경렌즈 몰드 테이핑기
KR200254800Y1 (ko) 2001-08-30 2001-11-26 민병직 탭핑기의 테이프 장치
JP2005238538A (ja) * 2004-02-25 2005-09-08 Takara Pac Ltd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用の母型モールドテープ貼着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011B1 (ko) 시트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CN204380936U (zh) 自动点胶机
CA2663905A1 (en) Composite spar drape forming machine
US20090223638A1 (en) Sheet sticking apparatus
US20170066547A1 (en) Labeling machine
KR101724841B1 (ko) 보호필름 부착장치
CN209747463U (zh) 送膜装置
KR101906050B1 (ko) 테이프 유도틀의 회동장치
JP2018176464A (ja) 加飾成形方法および加飾成形装置
CN104261170A (zh) 一种纸带接纸装置
KR101487129B1 (ko) 정렬적재 로더가 구비된 타발장치
CN206798800U (zh) 锂电池涂布分切机
US10943811B2 (en) Tape affixing apparatus
JP2006332571A (ja) 粘着テープ剥離方法、及び、ウエハテープマウンタなどに使用される粘着テープ剥離装置
CN103579066A (zh) 半导体晶圆的固定方法及半导体晶圆的固定装置
US11179876B2 (en) Transfer apparatus and transfer method
JP2004025438A (ja) 半導体ウェハ保護フィルムの切断方法および装置
JP2006111006A (ja) 縁貼り方法および縁貼機
TWI457223B (zh) 成形同時加飾裝置及成形同時加飾成形品之製造方法
JP2013232583A (ja) 半導体ウエハの保護テープ切断方法および保護テープ切断装置
JP2005019841A (ja) 紫外線硬化型粘着テープの貼付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て形成した物品
CN207139964U (zh) 模切设备
KR101677949B1 (ko) 자동차용 고무호스의 테이핑 자동 가압장치
KR20150060021A (ko) 필름 부착 장치 및 방법
JP2528266B2 (ja) 軟質帯状材の定寸供給方法及び定寸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