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821A -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821A
KR20130056821A KR1020120113909A KR20120113909A KR20130056821A KR 20130056821 A KR20130056821 A KR 20130056821A KR 1020120113909 A KR1020120113909 A KR 1020120113909A KR 20120113909 A KR20120113909 A KR 20120113909A KR 20130056821 A KR20130056821 A KR 20130056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 pipe
compressed air
ring
filter
direction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020B1 (ko
Inventor
다카마사 기시마
사다노부 우야마
아키라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니혼 스핀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스핀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스핀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6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Abstract

저가격화를 도모하면서,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통형상 필터의 재생정도의 편차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분사기구(J)가, 압축공기(H)를 저장하고 또한 인젝터 파이프(11)의 개구단(11w)측이 접속된 헤더탱크(13)와, 연통상태 전환수단(14)을 구비하고, 인젝터 파이프(11)의 개구단(11w)과 헤더탱크(13)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상태로 연통상태 전환수단(14)을 전환시킴으로써, 헤더탱크(13)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공기(H)를 개구단(11w)으로부터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분사하도록 구성되며, 인젝터 파이프(11)의 내경이 일정하고,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의 적어도 1군데에, 인젝터 파이프(11)의 개구단(11w)으로부터 폐색단(11s)을 향하는 압축공기(H)의 유동에 저항을 주는 링형상 축경부(R)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집진장치{Dust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구획벽에 의하여 내부가 급기실과 배기실로 구획된 하우징바디와, 구획벽에 설치되어, 하우징바디 내를 급기실측으로부터 배기실측으로 유동하는 여과대상기체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기구와, 압축공기 공급수단으로부터 토출된 압축공기를 배기실측으로부터 필터기구에 펄스형상으로 분사하여, 필터기구에 포집된 먼지를 털어내는 분사기구를 구비한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집진장치는, 여과대상기체를 급기실로부터 배기실로 향하는 방향으로 하우징바디 내를 유통시켜서, 여과대상기체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필터기구에 포집함으로써, 여과대상기체를 청정화하는 것이다. 여기서, 여과대상기체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고로(高爐), 전로(電爐), 소각로 및 파쇄설비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함진(含塵; 먼지함유)공기를 들 수 있다.
또한, 분사기구에 의하여, 고압의 압축공기를 배기실측으로부터 필터기구에 펄스형상으로 분사시킴으로써, 필터기구에 포집된 먼지를 털어내는 재생처리를 실시하여, 필터기구를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압축공기에 의한 필터기구의 재생처리를 반복적으로 행하여, 필터기구가 먼지에 의하여 막히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원하는 집진능력이 얻어지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필터기구의 재생과 관계되는 메인터넌스없이 집진장치를 운전할 수 있는 기간을 길게 하도록 되어 있다.
설명을 더하면, 필터기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통형상 필터가, 각각의 기단(基端)의 필터개구부가 배기실을 향하는 자세로 직선의 열(列)형상으로 나열된 상태로, 구획벽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분사기구를 구성하는 기단이 개구되고 또한 선단이 폐색된 인젝터 파이프가, 그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분을 복수의 필터개구부의 나열방향을 따르게 한 자세로, 열형상으로 나열된 복수의 필터개구부에 대향하는 상태로 배기실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젝터 파이프에는, 복수의 필터개구부 각각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공(孔)이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젝터 파이프의 개구단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펄스형상으로 공급하여, 그 인젝터 파이프의 각 분사공으로부터, 각 필터개구부를 통하여 각 통형상 필터 내에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각 통형상 필터의 통벽부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급기실측으로 털어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고압의 압축공기는, 인젝터 파이프의 개구단으로부터 인젝터 파이프 내에 극히 단시간(예컨대, 0.1~0.5초 정도)만 펄스형상으로 공급되므로, 압축공기는 고속으로 폐색단을 향하여 유동하여 그 폐색단에 충돌함으로써, 역방향(개구단측)으로 유동하여 인젝터 파이프 내의 전역으로 확산된다. 이 경우, 압축공기의 속도에너지의 대부분이 압력에너지로 바뀌지만, 압축공기의 확산정도는, 개구단 측일수록 약하기 때문에, 인젝터 파이프 내에는, 개구단측일수록 압력이 낮아지는 형태로, 압력의 고저차가 큰 압축공기의 압력분포가 발생한다.
따라서, 인젝터 파이프의 개구단에 가까운 분사공일수록 압축공기의 분사량이 적은 경향이 되므로, 복수의 통형상 필터 중, 개구단에 가까운 통형상 필터일수록,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량이 적어지고, 그 결과, 통형상 필터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털어내는 능력(이하, "제거력"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이 저하된다.
즉, 인젝터 파이프의 개구단에 가까운 통형상 필터일수록 재생정도가 작아지는 형태이고,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통형상 필터의 재생정도가 불균일하다.
따라서, 종래의 집진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통형상 필터의 재생정도의 편차를 억제하기 위하여, 이하와 같은 대책이 강구되고 있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즉, 분사공의 개구면적 및 유통저항, 분사공의 입구에 설치한 수풍(受風; 바람받이)벽의 유효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요소로 하여,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분사공으로부터의 압축공기의 분사량이 균일하게 되도록, 변경요소를 인젝터 파이프의 개구단으로부터 폐색단을 향하여 대소로 변경하고 있었다.
예컨대, 분사공을 단관(短管)(노즐)으로 구성하는 경우는, 그 단관의 내경을, 인젝터 파이프의 폐색단에 가까운 단관일수록 작게 하기도 하고, 그 단관의 길이를, 인젝터 파이프의 폐색단에 가까운 단관일수록 길게 하기도 하고 있었다.
또한, 다른 대책으로서, 인젝터 파이프의 내경을 개구단으로부터 폐색단을 향하여 감소시키고 있었다.
예컨대, 인젝터 파이프를, 내경이 개구단으로부터 폐색단을 향하여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형상의 관재(管材)로 구성하였다. 혹은, 인젝터 파이프를, 내경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관재를 개구단으로부터 폐색단을 향하여 내경이 작아지도록 접속한 다단(多段)관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분사공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통형상 필터 각각의 내부에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량의 편차를 경감시키도록 하여,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통형상 필터의 재생정도의 편차를 억제하도록 하고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평7-16413호 공보
그런데, 통형상 필터의 재생정도는, 통형상 필터에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량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니고, 압축공기의 분사속도에도 의존한다. 즉, 압축공기의 분사속도가 빠를수록, 제거력이 커져서, 재생정도가 촉진된다.
그러나, 종래의 집진장치에서는,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분사공 각각으로부터의 압축공기의 분사량의 편차가 경감되었다고 하더라도, 개구단측일수록 낮아지는 형태이고 고저차가 큰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압축공기의 압력분포는 경감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개구단에 가까운 분사공으로부터의 압축공기의 분사량이 증가되었다고 하더라도, 압축공기의 압력은 낮은 상태인 채로, 그 개구단에 가까운 분사공으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제거력이 충분히 강해지지 않아서, 인젝터 파이프의 개구단에 가까운 통형상 필터의 재생정도가 충분히 향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집진장치에서는,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통형상 필터의 재생정도의 편차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었다.
다만, 개구단에 가까운 분사공으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의하여 인젝터 파이프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압력을 높임으로써,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압축공기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것이 상정된다. 그러나, 압축공기의 공급압력을 높이는 데는, 압축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수단을 고성능의 것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고, 또한, 인젝터 파이프나, 그 인젝터 파이프에 압축공기를 유도하는 관로 등의 내압사양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게다가, 필요한 압축공기의 양도 증가되므로, 코스트업의 큰 요인이 되어 좋은 방책은 아니다.
게다가,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분사공 각각으로부터의 압축공기의 분사량을 균등화하기 위한 상기의 복수 종류의 구성 중 어느 것을 채용하더라도, 제조코스트가 높아지기 때문에, 집진장치의 가격이 비싸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예컨대, 분사공이 단관(短管)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서로 직경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단관을 이용하거나,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단관을 이용할 필요가 있고, 또한, 이들 복수 종류의 단관을 용접 등에 의하여 인젝터 파이프에 장착할 필요가 있어서, 제조코스트가 높아진다.
또한, 인젝터 파이프로서, 테이퍼형상의 관재로 구성하거나, 다단(多段)관형상으로 구성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재료비나 가공비가 비싸지고, 나아가서는, 제조코스트가 높아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저가격화를 도모하면서,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통형상 필터의 재생정도의 편차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련된 집진장치는, 구획벽에 의하여 내부가 급기실과 배기실로 구획된 하우징바디와, 상기 구획벽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바디 내를 상기 급기실측으로부터 상기 배기실측으로 유동하는 여과대상기체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기구와, 압축공기 공급수단으로부터 토출된 압축공기를 상기 배기실측으로부터 상기 필터기구에 펄스형상으로 분사하여, 상기 필터기구에 포집된 먼지를 털어내는 분사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기구가, 복수의 바닥 있는 통형상의 통형상 필터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이들 복수의 통형상 필터가, 각각의 기단(基端)의 필터개구부가 상기 배기실을 향하는 자세로 열(列)형상으로 나열된 상태로, 상기 구획벽에 지지되고, 상기 분사기구가, 기단이 개구되고 또한 선단이 폐색된 인젝터 파이프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그 인젝터 파이프가, 그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복수의 필터개구부의 나열방향을 따르게 한 자세로, 열(列)형상으로 나열된 상기 복수의 필터개구부에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배기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인젝터 파이프에, 상기 복수의 필터개구부 각각에 상기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공이 상기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되어 설치된 집진장치로서, 그 특징구성은,
상기 분사기구가,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압축공기를 저장하고 또한 상기 인젝터 파이프의 개구단측이 내부에 연통되는 상태로 접속된 헤더(header)탱크와, 상기 인젝터 파이프의 개구단과 상기 헤더탱크의 내부를 연통(連通)시키는 연통상태와 연통시키지 않은 연통차단상태로 전환가능한 연통상태 전환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연통상태 전환수단의 상기 연통상태로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헤더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개구단으로부터 상기 인젝터 파이프 내에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젝터 파이프의 내경이 일정하며,
상기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축심을 따르는 방향의 적어도 1군데에, 상기 인젝터 파이프의 개구단으로부터 폐색단을 향하는 상기 압축공기의 유동에 저항을 주는 링형상 축경(縮徑; 직경 감축)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기 특징구성에 의하면, 개구단으로부터 인젝터 파이프 내에 펄스형상으로 분사된 압축공기는,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의 적어도 1군데에 설치된 링형상 축경부에 의하여 유동에 저항이 주어지면서, 폐색단을 향하여 유동하고, 폐색단에 도달한 압축공기는 폐색단에 충돌하여 역방향으로 유동하므로,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압축공기의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확산정도가 균등화됨과 함께,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링형상 축경부보다 개구단측 부분의 압축공기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링형상 축경부란, 인젝터 파이프의 유로의 횡단면적보다 작은 면적의 구멍 등의 개구부를 구비한 형태의 것을 나타낸다.
설명을 더하면, 인젝터 파이프 내에 펄스형상으로 분사된 압축공기의 속도에너지의 대부분은 압력에너지로 바뀌지만,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압축공기의 확산정도가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균등화됨과 함께,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링형상 축경부보다 개구단측 부분의 압축공기의 압력을 높일 수 있어서,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공기의 압력의 고저차가 경감된다. 즉,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공기의 압력분포가 경감된다. 그 결과,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의한 인젝터 파이프에의 압축공기의 공급압력을 높이는 일 없이,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분사공으로부터의 압축공기의 분사량 및 분사속도의 편차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되어,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통형상 필터의 재생정도의 편차가 충분히 억제된다.
그리고, 인젝터 파이프로서 내경이 일정한 관재를 이용함과 함께, 인젝터 파이프 내에 링형상 축경부를 설치하기만 하는 간소한 구성이므로,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분사공 각각으로부터의 압축공기의 분사량을 균등화하기 위한 종래의 어느 구성에 비해서도, 저가격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연통상태 전환수단을 연통차단상태로 하여, 압축공기를 헤더탱크 내에 고압으로 저장하여 두고, 압축공기 공급수단으로부터 헤더탱크로의 압축공기의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연통상태 전환수단을 연통상태로 전환함으로써, 헤더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만큼의 소정량의 압축공기를 극히 단시간에 펄스형상으로 인젝터 파이프 내에 분사하므로, 압축공기의 소비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여져서, 런닝코스트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저가격화를 도모함과 함께 런닝코스트의 저감도 도모하면서,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통형상 필터의 재생정도의 편차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집진장치의 또 다른 특징구성은, 상기 링형상 축경부가, 상기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 1군데에 설치되고, 그 위치가, 상기 개구단으로부터 상기 폐색단을 향하여 상기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개구단과 상기 폐색단 사이의 길이인 파이프 전체길이의 1/2에 상당하는 길이 떨어진 위치부터 상기 파이프 전체길이의 3/4에 상당하는 길이 떨어진 위치까지의 사이에 있는 점에 있다.
즉,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공기의 압력분포의 경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예의 고찰을 행하였다. 그리고,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링형상 축경부의 설치개소를 본 특징구성의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공기의 압력의 고저차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고,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압축공기의 압력분포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먼저, 상기의 점을 고찰함에 있어서의 관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사공의 개구면적을 소정의 면적으로 하면, 분사공으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속도가 빠를수록, 제거력이 커지고, 그 분사공으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속도는, 인젝터 파이프 내의 압축공기의 압력이 높아질수록 빨라진다. 따라서, 통형상 필터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충분히 털어내는 것이 가능할 만큼의 속도를 얻는 데에 필요한 인젝터 파이프 내의 압축공기의 하한압력을 필요하한압력이라 한다. 그리고,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의 대략 전역에 걸쳐서, 압축공기의 압력이 필요하한압력이 되는 압축공기의 압력분포로 하면,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통형상 필터 전체의 재생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의하여 인젝터 파이프에 공급하는 압축공기의 공급압력을 최대한 낮추는 것이 요망된다. 단, 압축공기의 공급압력을 너무 낮추면, 링형상 축경부를 설치하여도,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의 대략 전역에 걸쳐서 압축공기의 압력이 필요하한압력이 되도록, 압축공기의 압력분포를 경감시킬 수가 없다.
그런데, 링형상 축경부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공기의 압력분포는, 개구단으로부터 폐색단을 향하여 점차 높아지는 압력분포가 된다. 따라서,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의 대략 전역에 걸쳐서 압축공기의 압력이 필요하한압력이 되도록, 압축공기의 압력분포를 경감시킬 수 있는 조건으로, 최대한 낮게 설정하는 압축공기의 공급압력으로서는, 예컨대, 링형상 축경부를 설치하지 않을 때에,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공기의 압력분포로서, 다음과 같은 압력분포를 나타낼 때의 압축공기의 공급압력이 바람직하다. 즉, 개구단으로부터 폐색단을 향하여 압력이 점차 높아지고, 또한, 개구단과 폐색단 사이의 대략 중앙에서 필요하한압력이 되는 압축공기의 압력분포이다.
또한,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링형상 축경부의 설치위치가, 폐색단측에 너무 가까우면,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개구단측 부분의 압축공기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작아진다. 반대로,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링형상 축경부의 설치위치가, 개구단측에 너무 가까우면,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폐색단측 부분의 압축공기의 압력이 너무 낮아질 우려가 있고, 특히, 링형상 축경부의 바로 후측(폐색단측) 부분의 압축공기의 압력이 너무 낮아질 우려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관점에 근거하여, 발명자들은,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링형상 축경부의 설치위치를 예의 고찰하였다.
그리고, 링형상 축경부를 설치함으로써,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링형상 축경부보다 폐색단측 부분(특히, 링형상 축경부의 바로 후측 부분)의 압축공기의 압력이 저하된다고 하더라도, 필요하한압력보다 저하시키지 않게 하려면, 링형상 축경부를,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 개구단으로부터 폐색단을 향하여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파이프 전체길이의 1/2에 상당하는 길이 떨어진 위치부터 폐색단측에 설치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링형상 축경부를 설치함으로써,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링형상 축경부보다 개구단측 부분의 대략 전역에 걸쳐서, 압축공기의 압력을 필요하한압력 이상으로 상승시키려면, 링형상 축경부를,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 개구단으로부터 폐색단을 향하여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파이프 전체길이의 3/4에 상당하는 길이 떨어진 위치부터 개구단측에 설치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 개구단으로부터 폐색단을 향하여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파이프 전체길이의 1/2에 상당하는 길이 떨어진 위치부터 파이프 전체길이의 3/4에 상당하는 길이 떨어진 위치까지의 사이의 부분의 1군데에, 링형상 축경부를 설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의한 인젝터 파이프로의 압축공기의 공급압력을 최대한 낮추면서,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의 대략 전역에 걸쳐 압축공기의 압력이 필요하한압력 이상이 되도록,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공기의 압력분포를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젝터 파이프에의 압축공기의 공급압력을 최대한 낮게 함으로써, 런닝코스트를 최대한 저감시키면서,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통형상 필터의 재생정도의 편차를 정확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집진장치의 또 다른 특징구성은, 상기 인젝터 파이프가, 상기 링형상 축경부의 설치위치에서 상기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누어진 2개의 관(管)형상부로 구성되고,
상기 링형상 축경부가, 2개의 상기 관형상부 각각의 내경보다 외경이 대경이고 또한 내경이 소경인 판형의 링형상체로 구성되며,
상기 링형상체가, 2개의 상기 관형상부 각각의 단면(端面)의 사이에 협지(挾持; 끼여 지지)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기 특징구성에 의하면, 개구단으로부터 인젝터 파이프 내에 펄스형상으로 분사된 압축공기의 일부는, 링형상체에 있어서 인젝터 파이프의 내면으로부터 축심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링형상부분에 충돌하여, 개구단측으로 유동하고, 잔부는, 링형상체의 구멍부를 통과하여 폐색단측을 향하여 유동하고, 폐색단에 충돌하여 링형상체측(개구단측)으로 유동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압축공기가 인젝터 파이프 내에서 유동함으로써,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압축공기의 확산정도가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균등화되므로,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공기의 압력분포가 경감된다.
그리고, 인젝터 파이프가 링형상 축경부의 설치위치에서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누어진 2개의 관형상부로 구성되고, 링형상 축경부를 구성하는 링형상체가, 이들 2개의 관형상부 각각의 단면의 사이에 협지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인젝터 파이프에의 링형상 축경부의 설치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게 되어,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저가격화를 도모하면서,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통형상 필터의 재생정도의 편차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집진장치의 또 다른 특징구성은, 상기 링형상 축경부가, 상기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분사공의 사이 부분에 있어서, 상기 축심을 따르는 방향의 중앙 또는 그 중앙보다 상기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상기 개구단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압축공기가 링형상 축경부의 구멍 등의 개구부를 통과할 때에, 링형상 축경부의 폐색단측(즉, 링형상 축경부의 후측)으로 들어가기 쉬우므로, 링형상 축경부의 바로 후측에는, 압축공기가 와류상태로 유동하는 와류부가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분사공의 개구단측 근방 및, 분사공의 상방에 겹쳐지도록 와류부가 발생하면, 그 와류부에 영향을 받아, 당해 분사공으로부터는 압축공기가 분사되기 어려워져서, 당해 분사공으로부터의 압축공기의 분사량이 적어지기 쉽다.
따라서, 링형상 축경부를,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분사공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축심을 따르는 방향의 중앙 또는 그 중앙보다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개구단측의 위치에 설치한다. 그러면, 링형상 축경부의 바로 후측에 압축공기의 와류부가 발생하더라도, 그 와류부를 링형상 축경부의 바로 후측의 분사공으로부터 최대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와류부가 링형상 축경부의 바로 후측의 분사공으로부터의 압축공기의 분사에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분사공으로부터의 압축공기의 분사속도의 편차를 경감시킴과 함께, 분사량의 편차를 더더욱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통형상 필터의 재생정도의 편차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집진장치의 개략 종단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집진장치의 주요부의 개략 횡단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집진장치의 주요부의 종단정면도이다.
도 4는, 링형상체의 설치구성을 나타내는 인젝터 파이프의 주요부의 종단정면도이다.
도 5는, 링형상체의 설치구성을 나타내는 인젝터 파이프의 주요부의 종단측면도이다.
도 6은, 링형상체의 설치구성을 나타내는 인젝터 파이프의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집진장치에 있어서의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통형상 필터의 내압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집진장치에 있어서의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통형상 필터의 내압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통형상 필터의 내압분포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진장치는, 구획벽(4)에 의하여 내부가 급기실(2)과 배기실(3)로 구획된 하우징바디(1)와, 구획벽(4)에 설치되어, 하우징바디(1) 내를 급기실(2)측으로부터 배기실(3)측으로 유동하는 함진공기(G)(여과대상기체의 일례)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기구(F)와, 에어컴프레서(6)(압축공기 공급수단의 일례)로부터 토출된 압축공기(H)를 배기실(3)측으로부터 필터기구(F)를 통과시켜 급기실(2)측에 펄스형상으로 분사하여, 필터기구(F)에 포집된 먼지를 제거하는 분사기구(J)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기구(F)가, 복수의 바닥 있는 통형상 필터(5)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들 복수의 통형상 필터(5)가, 각각의 기단의 필터개구부(5w)가 배기실(3)을 향하는 자세로 직선의 열(列)형상으로 나열된 상태로, 구획벽(4)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분사기구(J)가, 기단이 개구되고 또한 선단이 폐색된 인젝터 파이프(11)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그 인젝터 파이프(11)가, 그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분을 복수의 필터개구부(5w)의 나열방향을 따르게 한 자세로, 열형상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필터개구부(5w)에 대향하는 상태로 배기실(3)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젝터 파이프(11)에, 복수의 필터개구부(5w) 각각에 압축공기(H)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공(12)이 축심(A)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기구(F)가, 복수의 통형상 필터(5)가 직선의 열형상으로 나열된 필터열(Fr)을, 그 필터열(Fr)에 있어서의 복수의 통형상 필터(5)의 나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열 구비하여 구성되고, 분사기구(J)가, 인젝터 파이프(11)를 복수의 필터열(Fr) 각각에 따로 대응하는 상태로 복수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집진장치에는, 통형상 필터(5)의 내측과 외측의 압력차를 검출하는 압력차 검출부(도시하지 않음)와, 분사기구(J)의 작동 등의 집진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21) 등도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분사기구(J)에, 에어컴프레서(6)로부터의 압축공기(H)를 저장하고 또한 인젝터 파이프(11)의 개구단(11w)측이 내부에 연통되는 상태로 접속된 헤더탱크(13)와, 인젝터 파이프(11)의 개구단(11w)과 헤더탱크(13)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개방상태(연통상태의 일례)와 연통시키지 않은 폐쇄상태(연통차단상태의 일례)로 전환가능한 다이어프램 밸브(14)(연통상태 전환수단의 일례)를 구비하고, 다이어프램 밸브(14)의 개방상태로의 전환에 의하여, 헤더탱크(13)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공기(H)를 개구단(11w)으로부터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젝터 파이프(11)가, 개구단(11w)부터 폐색단(11s)에 이르는 전체길이에 걸쳐 축심(A)이 직선형상이고, 내경 및 외경이 일정한 직선관(管)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의 적어도 1군데(이 실시형태에서는 1군데)에, 인젝터 파이프(11)의 개구단(11w)으로부터 폐색단(11s)을 향하는 압축공기(H)의 유동에 저항을 주는 링형상 축경부(R)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인젝터 파이프(11) 각각에, 링형상 축경부(R)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집진장치의 각 부에 대하여 설명을 가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바디(1)는, 구획벽(4)에 의하여 내부가 상하방향으로 구획되고, 하부에 함진공기(G)가 공급되는 급기실(2), 상부에 구획벽(4)에 설치된 통형상 필터(5)에 의하여 정화된 정화공기(C)가 유통하는 배기실(3)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바디(1)는, 급기실(2)에 있어서의 통형상 필터(5)가 배치되는 위치 및 배기실(3)이 형성되는 위치에 있어서의 외형이 상면에서 보아 개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급기실(2)에 있어서의 통형상 필터(5)가 배치되는 위치의 하측의 외형이 깔때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바디(1)의 깔때기형상으로 형성된 상단 위치에는, 소각로 등(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함진공기(G)를 급기실(2) 내에 도입하는 함진공기 도입로(7)가 접속되고, 하우징바디(1)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상부 위치에는, 통형상 필터(5)에 의하여 정화된 정화공기(C)를 배기실(3)로부터 배출하는 정화공기 배출로(8)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정화공기 배출로(8)의 하류측에는 흡인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배기실(3) 내의 정화공기(C)를 외부공간에 흡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하우징바디(1)의 깔때기형상으로 형성된 위치의 하단부에는, 배출구(9)가 형성됨과 함께, 그 배출구(9)에 로터리밸브(10)가 설치되고. 후술하는 통형상 필터(5)의 재생 등에 의하여 발생된 급기실(2) 내의 먼지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각로 등(도시하지 않음)에서 발생한 함진공기(G)는, 흡인장치(도시하지 않음)의 흡인력에 의하여 함진공기 도입로(7)를 통하여 급기실(2) 내에 도입되고, 통형상 필터(5)를 통과함으로써 먼지가 포집되어 정화공기(C)가 되며, 배기실(3) 내로부터 정화공기 배출로(8)를 통하여, 집진장치의 하류측에 접속된 외부공간으로 배출된다.
통형상 필터(5)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바닥 있는 바구니형상(예컨대, 복수의 직선봉 형상체를, 링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링형상 틀에 장착한 바닥 있는 통형상의 바구니형상)으로 형성된 지지체(도시하지 않음)의 외측에, 함진공기(G)를 유통가능하게 구성된 주머니형상(바닥 있는 통형상)의 백(bag)(도시하지 않음)이 씌워진 백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백은, 함진공기(G) 중의 먼지를 양호하게 포집할 수 있는 여과포로 구성되고, 예컨대, 내측이 천이고 당해 천의 외측에 붙인 부직포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포(基布), 혹은 부직포나 직포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또한, 여과포의 소재는, 합성섬유나 유리섬유 등으로 이루어진다. 백의 하부는 주머니형상이고, 상부의 개구부가 필터개구부(5w)로 이루어지며, 백의 상단부가 지지체와 구획벽(4) 사이에 협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각 통형상 필터(5)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길이는, 예컨대, 1~12미터(m) 정도이고, 각 통형상 필터(5)의 내경은, 예컨대, 100~164mmφ 정도이다.
그리고, 각 통형상 필터(5)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부에 필터개구부(5w)가 형성된 상태로, 구획벽(4)에 늘어뜨린 상태로 장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16개의 통형상 필터(5)가 직선형상의 필터 나열방향(도 1 및 도 2의 좌우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열되어, 필터열(Fr)이 형성되고, 또한, 16열의 필터열(Fr)이, 필터 나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1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 도 2의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열되어, 256개의 통형상 필터(5)가 설치되어 있다. 다만, 필터열(Fr)을 구성하는 통형상 필터(5)의 개수, 필터열(Fr)의 배열수, 백의 형상 등에 대해서는, 먼지의 처리량 등과의 관계에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젝터 파이프(11)는, 개구단(11w)측 단부를 하우징바디(1)의 측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키고, 또한, 나머지 부분을, 상술한 바와 같이, 16개의 필터개구부(5w)의 나열방향을 따르게 한 가로방향의 자세로, 열형상으로 나열된 16개의 필터개구부(5w)에 대향시켜 배기실(3) 내에 위치시킨 상태로, 16열의 필터열(Fr)의 각각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사공(12)이, 인젝터 파이프(11)에 형성된 원형의 천공에 의하여 구성됨과 함께, 각 분사공(12)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버링가공에 의하여, 링형상의 돌출부분(12t)이 인젝터 파이프(11)의 직경방향 외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각 인젝터 파이프(11)에는, 통형상 필터(5)의 필터개구부(5w)에 1대 1로 대응하도록, 16개의 분사공(1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각 분사공(12)은, 각 통형상 필터(5)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아, 각 분사공(12)의 중심이 각 필터개구부(5w)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도록, 인젝터 파이프(11)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분사공(12)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링형상의 돌출부분(12t)에 의하여, 분사공(12)으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H)의 확산이 억제되므로, 각 분사공(12)으로부터 각 통형상 필터(5)의 필터개구부(5w)에 압축공기(H)가 분사될 때에, 압축공기(H)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충분히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에 근거하여, 링형상 축경부(R)의 구체적 구성, 및, 인젝터 파이프(11)에 대한 링형상 축경부(R)의 장착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가한다.
도 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링형상 축경부(R)의 설치위치가,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 개구단(11w)측으로부터 10번째의 분사공(12)과 11번째의 분사공(12)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의 중앙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인젝터 파이프(11)가, 링형상 축경부(R)의 설치위치에서 축심(A)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누어진 2개의 관형상부(11p)로 구성되고, 링형상 축경부(R)가, 관형상부(11p)의 내경보다 외경이 대경이고 또한 내경(구멍(18h)의 직경)이 소경인 판형상의 링형상체(18)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링형상체(18)의 외경은, 관형상부(11p)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다. 또한, 링형상체(18)의 구멍(18h)은, 링형상체(18)의 외주를 형성하는 원과 동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링형상체(18)가, 2개의 관형상부(11p) 각각의 단면(端面)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링형상체(18)를 2개의 관형상부(11p) 각각의 단면 사이에 협지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가하면,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형상체(18)의 직경방향 외방측에, 두께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두께를 감소시킨 형태의 박육부(18t)가, 링형상체(18)의 둘레방향 전체둘레에 걸쳐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박육부(18t)의 직경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관형상부(11p)의 관벽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그리고, 2개의 관형상부(11p) 각각의 단면의 사이에 링형상체(18)가 설치된 상태로, 링형상체(18)의 박육부(18t)와 각 관형상부(11p)의 단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줄의 홈부에 용접재(20)가 충전됨으로써, 2개의 관형상부(11p) 사이에 링형상체(18)가 용접접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6개의 인젝터 파이프(11)에 대하여, 하나의 헤더탱크(13)가 설치되고, 16개의 인젝터 파이프(11)의 각각에 대하여, 다이어프램 밸브(14)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6개의 인젝터 파이프(11)의 개구단(11w)측 단부가 헤더탱크(13)의 내부에 돌입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각 다이어프램 밸브(14)는, 개방상태로 전환되면, 인젝터 파이프(11)의 개구단(11w)을 헤더탱크(13) 내로 연통시키고, 폐쇄상태로 전환되면, 인젝터 파이프(11)의 개구단(11w)과 헤더탱크(13) 내부와의 연통을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헤더탱크(13) 내의 압축공기(H)의 압력을 검출하는 저장압력검출기(15)가 설치되어 있다.
다이어프램 밸브(14)의 구조 및 작용은 주지이므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간단히 설명한다.
다이어프램 밸브(14)에는, 다이어프램에 배압(背壓)을 인가하는 압력실, 및, 그 압력실을 배기하는 배기로를 개폐하는 전자(電磁)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밸브가 폐쇄상태에서는, 압력실에는 연통구멍을 통하여 1차압(헤더탱크(13) 내의 압력)이 유도되어, 다이어프램에 압력실의 압력이 가하여져서, 다이어프램에 부설된 밸브체가 밸브시트에 꽉 눌려서, 다이어프램 밸브(14)가 폐쇄상태가 된다. 한편, 전자밸브가 개방상태에서는, 압력실의 압력이 빠져서 저하되어, 다이어프램이 1차압(헤더탱크(13) 내의 압력)에 의하여 눌려지고, 다이어프램에 부설된 밸브체가 밸브시트로부터 멀어져서, 다이어프램 밸브(14)가 개방상태가 된다.
즉, 전자밸브의 개폐작동에 의하여, 다이어프램 밸브(14)가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컴프레서(6)와 헤더탱크(13)가, 압축공기 공급로(16)에 의하여 접속되고, 에어컴프레서(6)로부터 토출된 압축공기(H)가 헤더탱크(13)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압축공기 공급로(16)에는, 헤더탱크(13)로의 압축공기(H)의 공급을 단속하는 압축공기 단속밸브(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21)는, 통형상 필터(5)의 재생을 행할 필요가 있는 소정의 재생타이밍이 되면, 압축공기 단속밸브(17)를 개방하고, 저장압력검출기(15)에 의하여 검출되는 헤더탱크(13) 내의 압축공기(H)의 압력이 소정의 목표저장압력이 되면, 압축공기 단속밸브(17)를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에어컴프레서(6)로부터의 압축공기(H)가 목표저장압력으로 헤더탱크(13) 내에 저장된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목표저장압력은, 예컨대, 0.2MPa로 설정된다.
이어서, 제어부(21)는, 저장압력검출기(15)에 의하여 검출되는 헤더탱크(13) 내의 압력이 소정의 목표저장압력이 됨에 따라, 압축공기 단속밸브(17)를 폐쇄하면, 16개의 다이어프램 밸브(14) 중 소정의 하나의 다이어프램 밸브(14)를 미리 설정된 설정재생시간 동안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설정재생시간은, 헤더탱크(13) 내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공기(H)의 대략 전량이 인젝터 파이프(11)의 분사공(12)으로부터 분사되는 데에 필요로 하는 시간보다 약간 긴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다이어프램 밸브(14)가 개방되면, 압축공기 단속밸브(17)가 폐쇄되어 있음으로써, 헤더탱크(13)로의 에어컴프레서(6)로부터의 압축공기(H)의 공급이 끊어진 상태에서, 헤더탱크(13) 내에 저장되어 있는 고압의 압축공기(H)가, 인젝터 파이프(11)를 통하여 그 인젝터 파이프(11)에 설치된 16개의 분사공(12)으로부터 펄스형상으로 분사되게 된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설정재생시간은, 예컨대, 0.1~0.5초 정도 동안의 시간으로 설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인젝터 파이프(11)의 내경은, 114.3mmφ 정도이다. 분사공(12)의 중심의 피치는, 167mm 정도이다.
인젝터 파이프(11)의 전체길이(개구단(11w)과 폐색단(11s) 사이의 길이)는, 3200~3500mm 정도이다.
또한, 개구단(11w)과 개구단(11w)측의 단(端)의 분사공(12)의 중심과의 간격은, 650~1000mm 정도이고, 폐색단(11s)과 폐색단(11s)측의 단의 분사공(12)의 중심과의 간격은, 60~90mm 정도이다.
그리고,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 개구단(11w)과 폐색단(11s) 사이의 중앙은, 개구단(11w)으로부터 7번째의 분사공(12)의 설치위치의 근방에 대응하는 위치이다. 또한,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 개구단(11w)으로부터 폐색단(11s)을 향하여 축심(A)을 따르는 방향으로, 개구단(11w)과 폐색단(11s) 사이의 길이인 파이프 전체길이의 3/4에 상당하는 길이 떨어진 위치는, 개구단(11w)으로부터 12번째의 분사공(12)의 설치위치의 근방에 대응되는 위치이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링형상 축경부(R)가,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 1군데에 설치되고, 그 위치가, 개구단(11w)으로부터 폐색단(11s)을 향하여 축심(A)을 따르는 방향으로, 파이프 전체길이의 1/2에 상당하는 길이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파이프 전체길이의 3/4에 상당하는 길이 떨어진 위치까지의 사이에 있게 된다.
링형상체(18)의 내경은, 84mmφ 정도이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링형상체(18)에 의한 인젝터 파이프(11)의 개구면적 축소율(인젝터 파이프(11)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개구부분의 면적에 대한 링형상체(18)의 개구부분(구멍(18h))의 면적의 비율)은, 0.54 정도이다.
또한, 각 필터열(Fr)에 대하여, 각 필터열(Fr)의 상방에 인젝터 파이프(11)를 설치함에 있어서, 인젝터 파이프(11)와 통형상 필터(5)의 필터개구부(5w) 사이의 간격은, 예컨대, 100~250mm 정도이다.
또한, 헤더탱크(13)에 있어서의 압축공기(H)를 저장가능한 용량은, 34.3리터 정도이다. 다만, 헤더탱크(13)에 있어서의 압축공기(H)를 저장가능한 용량은, 헤더탱크(13)의 용적으로부터, 16개의 인젝터 파이프(11)의 헤더탱크(13)에의 돌입부분의 체적, 및, 다이어프램 밸브(14)에 있어서의 헤더탱크(13)가 위치하는 부분의 체적을 감한 용적이다.
제어부(21)는, 중앙연산처리장치(CPU), 메모리, 기억부 등(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고, 당해 CPU에 의하여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공지의 정보처리수단으로 구성되어, 집진장치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력차 검출부는 공지의 압력검출수단으로 이루어지고, 함진공기 도입로(7)에 설치되어, 통형상 필터(5)의 외측(급기실(2)측)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1 압력검출부(도시하지 않음)와, 배기실(3)에 설치되어, 통형상 필터(5)의 내측(배기실(3)측)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2 압력검출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이들 제1 압력검출부 및 제2 압력검출부로부터의 검출압력에 근거하여, 통형상 필터(5)의 내외차압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검출된 통형상 필터(5)의 내외차압은, 제어부(21)에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 필터(5)의 외측에 먼지가 부착되어 효율적으로 먼지를 포집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소정의 압력차가, 재생개시차압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이 통형상 필터(5)의 내외압력차는, 당해 통형상 필터(5)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유통하는 함진공기(G)의 압력손실이고, 그에 대하여, 상기 재생개시차압은 통형상 필터(5)의 재생이 필요한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압력손실의 값으로서 설정된다. 다만, 재생개시차압은, 미리, 제어부(21)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다.
다만, 정화공기 배출로(8)에는, 배기실(3)로부터 외부공간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C)의 유량을 검출하는 공지의 유량검출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검출된 유량은, 제어부(21)에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1)의 제어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집진장치의 집진운전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정화공기 배출로(8)의 하류측에 접속된 흡인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흡인을 개시시켜서, 함진공기 도입로(7)의 상류측에 접속된 소각로 등(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함진공기(G)를 하우징바디(1) 내의 급기실(2)에 도입한다. 이로써, 함진공기(G)를 급기실(2)측으로부터 통형상 필터(5)를 통하여 배기실(3)측에 (통형상 필터(5)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에) 유통시키고, 당해 함진공기(G) 중의 먼지를 통형상 필터(5)의 백에 의하여 포집하여, 함진공기(G)를 정화하여 정화공기(C)로서 처리한다. 이 집진운전에서는, 포집된 먼지는, 통형상 필터(5)의 백의 외측에 부착하게 된다. 제어부(21)는, 집진운전에 있어서, 압력차 검출부(제1 압력검출부 및 제2 압력검출부)로부터 통형상 필터(5)의 내측과 외측의 내외차압의 정보를 모니터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21)는, 집진운전에 있어서, 정화공기 배출로(8)로부터 배출되는 정화공기(C)의 유량을 유량검출부에서 검출하고, 당해 검출된 유량이 소정의 유량이 되도록, 흡인장치 등(도시하지 않음)을 제어한다.
이로써, 함진공기(G) 중의 먼지를 통형상 필터(5)에 의하여 포집하여 함진공기(G)를 양호하게 정화하여 정화공기(C)로 할 수 있다.
한편으로, 이 집진운전이 계속되면, 통형상 필터(5)의 외측에 부착되는 먼지가 증가하고, 먼지가 백의 외측 및 섬유내부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통형상 필터(5)에 있어서 압력손실이 발생됨과 함께, 효율적으로 먼지를 포집하는 것이 곤란하여진다. 따라서, 제어부(21)는, 이와 같은 먼지의 층이 형성되어, 재생타이밍이 된 것을, 압력차 검출부(제1 압력검출부 및 제2 압력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통형상 필터(5)의 내외차압이, 재생개시차압이 됨으로써 인식하여, 통형상 필터(5)의 재생이 필요하다고 판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집진운전을 행한 그대로의 상태(먼지를 포집하고 있는 상태)에서, 통형상 필터(5)의 재생운전을 행한다.
제어부(21)는, 재생운전에서는, 압축공기 단속밸브(17)를 개방하고, 저장압력검출기(15)에서 검출되는 헤더탱크(13) 내의 압력이 목표저장압력이 되면 압축공기 단속밸브(17)를 폐쇄함과 함께, 16개의 다이어프램 밸브(14) 중 어느 하나를 설정재생시간 동안 개방하는 제어를, 16개의 다이어프램 밸브(14)에 대하여 하나씩 순차로 실행한다.
그러면, 헤더탱크(13) 내에는 고압(예컨대, 0.2MPa)의 압축공기(H)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다이어프램 밸브(14)가 개방됨에 따라, 압축공기(H)가 매우 단시간(예컨대, 0.1~0.5초 정도)만 펄스형상으로 개구단(11w)으로부터 특정의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분사되어, 매우 고속(음속 정도)으로 인젝터 파이프(11)를 유동하고, 그 인젝터 파이프(11)의 각 분사공(12)으로부터 각 필터개구부(5w)를 통하여 각 통형상 필터(5) 내에 펄스형상으로 분사된다.
이때, 개구단(11w)으로부터 폐색단(11s)을 향하여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펄스형상으로 분사된 압축공기(H)의 일부는, 링형상체(18)에 있어서의 인젝터 파이프(11)의 내면으로부터 축심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링형상부분에 충돌하여 개구단(11w)측으로 유동하고, 잔부는 링형상체(18)의 구멍(18h)을 통과하여 다시 폐색단(11s)을 향하여 유동하며, 폐색단(11s)에 충돌하여 링형상체(18)측(개구단(11w)측)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형태로 압축공기(H)가 인젝터 파이프(11) 내에서 유동함으로써,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압축공기(H)의 확산정도가 인젝터 파이프(11)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균등화되므로,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공기(H)의 압력분포가 경감된다.
게다가,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분사공(12)의 사이에 있어서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의 중앙에, 링형상체(18)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링형상체(18)의 바로 후부(폐색단(11s)측)에 압축공기(H)의 와류부가 발생하더라도, 링형상체(18)의 바로 후측(폐색단(11s)측)의 분사공(12)을 와류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와류부가 링형상체(18)의 바로 후측(폐색단(11s)측)의 분사공(12)으로부터의 압축공기(H)의 분사에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젝터 파이프(11)의 복수의 분사공(12)으로부터의 압축공기(H)의 분사량의 편차가 억제됨과 함께, 복수의 분사공(12)으로부터의 압축공기(H)의 분사속도의 편차도 억제되므로, 인젝터 파이프(11)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통형상 필터(5)의 재생정도의 편차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9에 근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링형상체(18)를 설치함으로써,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공기(H)의 압력분포를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을 검증한 결과를 설명한다.
다만, 도 7 및 도 9의 각 도면은, 인젝터 파이프(11)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16개의 통형상 필터(5)의 내압(필터개구부(5w)로부터 하방으로 4미터(4m)인 위치의 압력)의 분포(이하, 인젝터 파이프(11)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필터내압분포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나타내고 있는데, 그 필터내압분포는,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공기(H)의 압력분포가 반영된 것이다. 따라서,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공기(H)의 압력분포는, 실제의 압력의 값은 다르지만, 도 7 및 도 9의 각 도면에 나타내는 필터내압분포와 동일하다.
도 7 및 도 9의 각 도면에 있어서, 가로축은, 인젝터 파이프(11)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16개의 통형상 필터(5) 각각의 배치위치를 나타낸다. 즉, 개구단(11w)으로부터 1번째, 2번째,……………, 15번째 , 16번째의 나열순서를 나타내는 숫자를, 첨자로 통형상 필터를 나타내는 부호 "5"를 붙임으로써, 16개의 통형상 필터(5) 각각에 있어서의 인젝터 파이프(11)의 개구단(11w)으로부터의 배치위치를 나타낸다. 예컨대, "5-10"은, 개구단(11w)으로부터 10번째의 통형상 필터(5)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고, "5-11"은, 개구단(11w)으로부터 11번째의 통형상 필터(5)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인젝터 파이프(11)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16개의 분사공(12)의 배치형태는, 인젝터 파이프(11)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16개의 통형상 필터(5)의 배치형태에 대응한다. 따라서, 개구단(11w)으로부터 1번째, 2번째,……………, 15번째, 16번째의 나열순서를 나타내는 숫자를, 첨자로 분사공(12)을 나타내는 부호 "12"를 붙임으로써, 16개의 분사공(12) 각각에 있어서의 인젝터 파이프(11)의 개구단(11w)으로부터의 배치위치를, 각 통형상 필터(5)에 대응시켜 나타낸다. 예컨대, "12-10"은, 개구단(11w)으로부터 10번째의 분사공(12)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고, "12-11"은, 개구단(11w)으로부터 11번째의 분사공(12)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그런데, 통형상 필터(5)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충분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할 만큼의 압축공기(H)의 속도를 얻는 데에 필요한 인젝터 파이프(11) 내의 압축공기(H)의 하한압력을 필요하한압력이라 한다. 그러면, 인젝터 파이프(11)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16개의 통형상 필터(5)의 재생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려면,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의 대략 전역에 걸쳐서 압축공기(H)의 압력을 필요하한압력 이상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젝터 파이프(11) 내의 필요하한압력에 대응하는 통형상 필터(5)의 내압(통형상 필터(5)의 필요하한내압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을 K라 하여, 도 7 및 도 9의 각 도면에 나타낸다. 즉, 인젝터 파이프(11)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16개의 통형상 필터(5) 전체를 적절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하려면, 이들 16개의 통형상 필터(5)의 전체에 대하여, 내압을 최대한 필요하한내압(K)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 및 도 9의 각 도면에 나타내는 각 통형상 필터(5)의 내압치의 상하폭은, 5회의 실측치의 하한치와 상한치의 폭에 대응한다. 또한, 각 통형상 필터(5)의 내압치에 있어서의 하한치와 상한치 사이의 가로선은, 5회의 실측치의 미디언값이다.
도 9는, 링형상체(18)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인젝터 파이프(11)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필터내압분포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형상체(18)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인젝터 파이프(11)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필터내압분포는, 인젝터 파이프(11)의 개구단(11w)으로부터 폐색단(11s)을 향하여 점차 높아짐과 함께, 개구단(11w)과 폐색단(11s) 사이의 중앙(이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단(11w)으로부터 7번째의 통형상 필터(5)(7번째의 분사공(12))의 배치위치에 상당함) 근방에서 필요하한내압(K)이 되는 형태의 압력분포가 된다. 즉, 1번째부터 7번째까지의 대부분의 통형상 필터(5)의 내압이 필요하한내압(K)보다 낮다.
따라서, 인젝터 파이프(11)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공기(H)의 압력분포는, 인젝터 파이프(11)의 개구단(11w)으로부터 폐색단(11s)을 향하여 점차 높아짐과 함께, 개구단(11w)과 폐색단(11s) 사이의 중앙 (이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단(11w)으로부터 7번째의 분사공(12)의 설치위치에 상당함) 근방에서 필요하한압력이 되는 형태의 압력분포가 된다.
도 7은, 상기의 실시형태와 같이, 링형상체(18)를 개구단(11w)으로부터 10번째의 분사공(12)과 11번째의 분사공(12) 사이 부분에 있어서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의 중앙에 설치한 경우의 필터내압분포를 나타낸다. 즉, 링형상체(18)가,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 개구단(11w)으로부터 폐색단(11s)을 향하여 축심(A)을 따르는 방향으로, 파이프 전체길이의 1/2에 상당하는 길이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파이프 전체길이의 3/4에 상당하는 길이 떨어진 위치까지의 사이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인젝터 파이프(11)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16개의 통형상 필터(5)의 전체에 대하여, 내압을 대체로 필요하한내압(K)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즉,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링형상체(18)보다 폐색단(11s)측 부분의 압축공기(H)의 압력이 필요하한압력보다 낮아지는 것을 회피하면서,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링형상체(18)보다 개구단(11w)측 부분의 압축공기(H)의 압력을 대체로 필요하한압력 이상이 되도록 상승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공기(H)의 압력분포를 충분히 경감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A) 링형상 축경부(R)의 구체적 구성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된 링형상체(18)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1) 링형상 축경부(R)를 링형상체(18)로 구성하는 경우, 링형상체(18)에 의한 인젝터 파이프(11)의 개구면적 축소율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0.5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인젝터 파이프(11)의 내경, 길이, 분사공(12)의 개수, 구멍직경, 헤더탱크(13) 내에 있어서의 압축공기(H)의 저장압력, 헤더탱크(13)의 압축공기(H)의 저장용량 등에 따라서,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압축공기(H)의 압력분포를 원하는대로(최저압력이 하한압력 이상이 되는 조건) 경감시킬 수 있도록 적합하게 설정가능하다.
(A-2) 링형상 축경부(R)를 링형상체(18)로 구성하는 경우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링형상체(18)의 구멍(18h)을, 링형상체(18)의 외주를 형성하는 원과 동심형상으로 설치하였지만, 링형상체(18)의 구멍(18h)을, 링형상체(18)의 외주를 형성하는 원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설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 예컨대, 구멍(18h)이 분사공(12)의 측에 가까워지는 자세로, 링형상체(18)를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설치하면, 링형상체(18)의 바로 후측에 형성되는 압축공기(H)의 와류부를 경감시킬 수 있다.
(A-3) 링형상 축경부(R)를,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길이가 인접하는 분사공(12)의 간격보다 짧은 통형상체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내경이 인젝터 파이프(11)의 내경보다 소경이고 또한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일정한 직관(直管)형상의 통형상체이어도 되고, 내경이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형상의 통형상체이어도 된다.
(B) 인젝터 파이프(11)를 상기의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함과 함께, 링형상 축경부(R)도 상기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링형상체(18)로 구성하는 경우,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링형상체(18)의 설치위치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로 변경가능하다.
예컨대, 개구단(11w)과 폐색단(11s) 사이의 중앙보다 개구단(11w)측 부분에 설치하여도 된다.
도 8은, 이 경우의 구체예로서, 링형상체(18)를 6번째의 분사공(12)과 7번째의 분사공(12) 사이의 부분에 설치하였을 경우의 필터내압분포를 나타낸다. 다만, 도 8의 기재조건은,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도 7 및 도 9의 기재조건과 동일하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경우는, 인젝터 파이프(11)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 링형상체(18)보다 개구단(11w)측의 통형상 필터(5)에 대하여, 내압을 필요하한내압(K)보다 높아지도록 상승시킬 수 있다. 단, 링형상체(18)의 바로 후측(폐색단(11s)측)의 통형상 필터(5)(개구단(11w)로부터 7번째의 통형상 필터(5))만이, 내압이 너무 낮아져서, 필요하한내압(K)보다 다소 낮아진다.
즉, 링형상체(18)의 바로 후측(폐색단(11s)측) 부분만, 압축공기(H)의 압력이 필요하한압력보다 다소 낮아지지만,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링형상체(18)보다 개구단(11w)측 부분의 압축공기(H)의 압력을 필요하한압력 이상이 되도록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젝터 파이프(11)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통형상 필터(5)의 재생정도의 편차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도록,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공기(H)의 압력분포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링형상체(18)를,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 12번째의 분사공(12)보다 폐색단(11s)측 부분(즉,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 개구단(11w)으로부터 폐색단(11s)을 향하여 축심(A)을 따르는 방향으로, 파이프 전체길이의 3/4에 상당하는 길이 떨어진 위치보다 폐색단(11s)측 부분)에 설치하여도 된다.
단,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압축공기(H)의 압력분포를 최대한 경감시키려면,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링형상체(18)의 설치위치는,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 개구단(11w)으로부터 폐색단(11s)을 향하여 축심(A)을 따르는 방향으로, 파이프 전체길이의 1/2에 상당하는 길이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파이프 전체길이의 3/4에 상당하는 길이 떨어진 위치까지의 사이 부분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링형상 축경부(R)를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의 1군데에 설치하였지만, 2군데 이상의 위치에 설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 링형상 축경부(R)에 의한 인젝터 파이프(11)의 개구면적 축소율(인젝터 파이프(11)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개구부분의 면적에 대한 링형상 축경부(R)의 개구부분의 면적의 비율)은, 폐색단(11s)측의 링형상 축경부(R)일수록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 인젝터 파이프(11)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분사공(12) 각각의 구멍직경은, 모두 동일하게 하여도 되고, 예컨대, 개구단(11w)측일수록 커지는 상태로 상이하게 하여도 된다.
(E)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분사공(12)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링형상 축경부(R)의 설치위치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위치, 즉, 축심(A)을 따르는 방향의 중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축심(A)을 따르는 방향의 중앙보다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 개구단(11w)측의 위치이어도 된다.
(F) 분사공(12)의 구체적 구성은, 상기의 실시형태와 같이, 인젝터 파이프(11)에 형성한 천공으로 구성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인젝터 파이프(11)의 관벽에 그 내부로 연통되는 상태로 부설한 통형상체로 구성하여도 된다.
(G) 인젝터 파이프(11)의 내경, 길이,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분사공(12)의 설치수, 분사공(12)의 구멍직경,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분사공(12)의 간격 등, 인젝터 파이프(11)의 사양은,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사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형상으로 나열된 복수의 통형상 필터(5)의 배열형태(개수, 피치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가능하다.
또한, 헤더탱크(13)의 용량은, 인젝터 파이프(11)의 내경, 길이, 축심(A)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분사공(12)의 설치수, 분사공(12)의 구멍직경 등에 따라ㅅ,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있어서의 압축공기(H)의 압력분포를 원하는 대로 경감시킬 수 있는 조건으로, 최대한 적게 설정한다.
(H) 링형상체(18)를 인젝터 파이프(11) 내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2개의 관형상부(11p)를 각각의 단면의 사이에 링형상체(18)를 협지한 상태로 배치함과 함께, 내경이 관형상부(11p)의 외경보다 약간 큰 링형상의 연결링을 2개의 관형상부(11p)에 걸친 상태로 외감(外嵌; 밖에서 끼움)하고, 그 상태로, 연결링과 각 관형상부(11p)를 용접접합하여도 된다.
(I) 복수의 통형상 필터(5)를 열형상으로 나열하는 경우, 그 통형상 필터(5)의 간격은, 상기의 실시형태와 같이 등간격으로 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이하게 하여도 된다.
(J) 통형상 필터(5)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아 복수의 필터개구부(5w) 각각에 대한 복수의 분사공(12) 각각의 배치위치는,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모든 분사공(12)에 대하여, 분사공(12)의 중심이 필터개구부(5w)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는 배치위치로 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분사공(12)으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H)가 대향배치된 필터개구부(5w) 내에 양호하게 유입되는 구성이면, 복수의 분사공(12) 중 일부를, 분사공(12)의 중심이 필터개구부(5w)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게 위치하는 배치형태로 하거나, 복수의 분사공(12w) 각각에서 필터개구부(5w)에 대한 배치위치를 상이하게 하거나 하여도 된다.
(K)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인젝터 파이프(11)를, 개구단(11w)으로부터 폐색단(11s)에 이르는 전체길이에 걸쳐 축심(A)을 직선형상의 직관형상으로 하였지만, 인젝터 파이프(11)의 형상은, 내경을 일정한 조건으로 적절하게 변경가능하다. 예컨대, 인젝터 파이프(11)를, 2개의 분기관(分岐管)부분 각각의 축심(A)이 교차하는 형태로 분기시킨 양갈래형상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그리고, 이 양갈래형상의 인젝터 파이프(11)는, 2개의 분기관부분 각각을 2열의 필터열(Fr) 각각에 있어서의 복수의 필터개구부(5w)의 나열방향을 따르게 한 자세로, 열형상으로 나열된 복수의 필터개구부(5w)에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 양갈래형상의 인젝터 파이프(11)에 있어서의 2개의 분기관부분에 공통의 개구단(11w)에, 다이어프램 밸브(14)를 설치하고, 2열의 필터열(Fr)를 동시에 재생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인젝터 파이프(11)의 전체길이는, 개구단(11w)으로부터 축심(A)을 따라 각 분기관부분의 폐색단(11s)에 이르는 인젝터 파이프(11) 내의 경로의 길이가 된다.
혹은, 인젝터 파이프(11)를, L자형상 등으로 굴곡시킨 굴곡관(屈曲管)형상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그리고, 이 굴곡관형상의 인젝터 파이프(11)는, 폐색단(11s)측의 직관(直管)형상부분을 복수의 필터개구부(5w)의 나열방향을 따르게 한 자세로, 열형상으로 나열된 복수의 필터개구부(5w)에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 인젝터 파이프(11)의 전체길이는, 개구단(11w)으로부터 축심(A)을 따라 폐색단(11s)에 이르는 인젝터 파이프(11) 내의 경로의 길이가 된다.
(L) 복수의 인젝터 파이프(11) 각각의 내부에 하나씩 순서대로 압축공기(H)를 분출시키는 형태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형태, 즉, 저장압력검출기(15)로 검출되는 헤더탱크(13) 내의 압력이 목표저장압력이 되면, 압축공기 단속밸브(17)를 폐쇄함과 함께 복수의 다이어프램 밸브(14) 중 어느 하나를 설정재생시간 동안 개방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저장압력검출기(15)를 생략하여, 복수의 다이어프램 밸브(14) 중 하나를 설정재생시간 동안 개방하는 제어를, 소정시간마다 하나씩 순차로 행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다만, 소정시간은, 적어도 헤더탱크(13) 내에 압축공기(H)를 목표저장압력 정도로 저장하는 데에 요하는 시간으로 설정한다.
(M) 연통상태 전환수단의 구체적 구성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다이어프램 밸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전자밸브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저가격화를 도모하면서,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통형상 필터의 재생정도의 편차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 하우징바디
2 급기실
3 배기실
4 구획벽
5 통형상 필터
5w 필터개구부
6 에어컴프레서(압축공기 공급수단)
11 인젝터 파이프
11p 관형상부
11s 폐색단
11w 개구단
12 분사공
13 헤더탱크
14 다이어프램 밸브(연통상태 전환수단)
18 링형상체
A 인젝터 파이프의 축심
F 필터기구
G 함진(含塵)공기(여과대상기체)
H 압축공기
J 분사기구
R 링형상 축경부

Claims (4)

  1. 구획벽에 의하여 내부가 급기실과 배기실로 구획된 하우징바디와,
    상기 구획벽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바디 내를 상기 급기실측으로부터 상기 배기실측으로 유동하는 여과대상기체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기구와,
    압축공기 공급수단으로부터 토출된 압축공기를 상기 배기실측으로부터 상기 필터기구에 펄스형상으로 분사하여, 상기 필터기구에 포집된 먼지를 털어내는 분사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기구가, 복수의 바닥 있는 통형상의 통형상 필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들 복수의 통형상 필터가, 각각의 기단(基端)의 필터개구부가 상기 배기실을 향하는 자세로 열(列)형상으로 나열된 상태로, 상기 구획벽에 지지되고,
    상기 분사기구가, 기단이 개구되고 또한 선단이 폐색된 인젝터 파이프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젝터 파이프가, 그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복수의 필터 개구부의 나열방향을 따르게 한 자세로, 열형상으로 나열된 상기 복수의 필터 개구부에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배기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인젝터 파이프에, 상기 복수의 필터개구부 각각에 상기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공이 상기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열되어 설치된 집진장치로서,
    상기 분사기구가,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압축공기를 저장하고 또한 상기 인젝터 파이프의 개구단측이 내부에 연통되는 상태로 접속된 헤더탱크와, 상기 인젝터 파이프의 개구단과 상기 헤더탱크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상태와 연통시키지 않은 연통차단상태로 전환가능한 연통상태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통상태 전환수단의 상기 연통상태로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헤더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개구단으로부터 상기 인젝터 파이프 내에 분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젝터 파이프의 내경이 일정하고,
    상기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축심을 따르는 방향의 적어도 1군데에, 상기 인젝터 파이프의 개구단으로부터 폐색단을 향하는 상기 압축공기의 유동에 저항을 주는 링형상 축경부가 설치되어 있는 집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 축경부가, 상기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 1군데에 설치되고, 그 위치가, 상기 개구단으로부터 상기 폐색단을 향하여 상기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개구단과 상기 폐색단 사이의 길이인 파이프 전체길이의 1/2에 상당하는 길이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상기 파이프 전체길이의 3/4에 상당하는 길이 떨어진 위치까지의 사이에 있는 집진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젝터 파이프가, 상기 링형상 축경부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나누어진 2개의 관형상부로 구성되고,
    상기 링형상 축경부가, 2개의 상기 관형상부 각각의 내경보다 외경이 대경이고 또한 내경이 소경인 판형상의 링형상체로 구성되며,
    상기 링형상체가, 2개의 상기 관형상부 각각의 단면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집진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 축경부가, 상기 인젝터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분사공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축심을 따르는 방향의 중앙 또는 그 중앙보다 상기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상기 개구단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집진장치.
KR1020120113909A 2011-11-22 2012-10-15 집진장치 KR101329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55360 2011-11-22
JP2011255360A JP5736618B2 (ja) 2011-11-22 2011-11-22 集塵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821A true KR20130056821A (ko) 2013-05-30
KR101329020B1 KR101329020B1 (ko) 2013-11-13

Family

ID=4848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909A KR101329020B1 (ko) 2011-11-22 2012-10-15 집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36618B2 (ko)
KR (1) KR101329020B1 (ko)
CN (1) CN10312778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9917B2 (en) 2015-08-13 201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structure
CN113198281A (zh) * 2021-05-08 2021-08-03 刘士川 一种环保空气净化处理装置及处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2453B2 (ja) * 2015-03-30 2019-01-30 日本スピンドル製造株式会社 濾布を用いた排ガス処理装置
KR102646611B1 (ko) * 2018-06-29 2024-03-13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사이클론식 분급 장치의 배출 기구, 사이클론식 분급 장치 및 연마 가공 시스템
JP6947146B2 (ja) * 2018-10-30 2021-10-13 新東工業株式会社 集塵装置、集塵装置の制御方法、及び集塵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N112642227B (zh) * 2020-12-01 2021-07-06 中环环工设备无锡有限公司 一种用于钒钛磁铁矿预还原回转窑的高温尾气过滤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814Y2 (ko) * 1988-03-25 1992-02-25
SE466386B (sv) * 1990-06-21 1992-02-10 Flaekt Ab Anordning foer montering av paasformiga filterelement i en filterkammare
JPH06101879A (ja) * 1992-09-21 1994-04-12 Hitachi Ltd 集塵機能付き送風装置
JPH0716413A (ja) * 1993-06-30 1995-01-20 Osamu Asai 中空フィルタを有する集塵機
KR100491495B1 (ko) 2003-05-21 2005-05-27 이창언 회전펄스식 여과집진기
JP2008232341A (ja) * 2007-03-22 2008-10-02 Nippon Spindle Mfg Co Ltd ダイヤフラムバルブ
JP2009061386A (ja) * 2007-09-06 2009-03-26 Nippon Spindle Mfg Co Ltd 集塵機
KR100866168B1 (ko) * 2008-03-27 2008-10-30 주식회사 한성기건 블로우파이프를 내장한 도어가 구비된 수평형 집진기
JP2009247965A (ja) * 2008-04-04 2009-10-29 Daicel Chem Ind Ltd 中空糸膜エレメントとそれを用いた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5216692B2 (ja) * 2009-06-03 2013-06-19 日本スピンドル製造株式会社 集塵装置
JP5140048B2 (ja) * 2009-08-31 2013-02-06 日本スピンドル製造株式会社 パルス式集塵装置
KR101140630B1 (ko) * 2010-03-24 2012-05-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충격기류 탈진방식 여과집진기의 노즐 삽입형 탈진공기 분사관 및 이를 이용한 탈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9917B2 (en) 2015-08-13 201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structure
CN113198281A (zh) * 2021-05-08 2021-08-03 刘士川 一种环保空气净化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13198281B (zh) * 2021-05-08 2022-12-09 威克特(山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空气净化处理装置及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020B1 (ko) 2013-11-13
JP5736618B2 (ja) 2015-06-17
CN103127786B (zh) 2015-02-25
JP2013107054A (ja) 2013-06-06
CN103127786A (zh)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020B1 (ko) 집진장치
JP7080926B2 (ja) クリーニング方法、制御装置及び接続デバイス
US7833329B2 (en) Plenum based high pressure blowback gas delivery system in a continuous process flow filtration system
JP2008238166A (ja) フィルタ洗浄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CA1226232A (en) Multiple backflushed air filter
CN101134149A (zh) 过滤器清洗系统和方法
CN101905105B (zh) 集尘装置
US9604172B2 (en) Diverging nozzles and filter element cleaning systems using diverging nozzles
KR101942639B1 (ko) 대직경 롱 백 필터 탈진장치
JP2007090222A (ja) バグフィルタ集塵装置
JP2003080193A (ja) 配管洗浄用ストレーナおよびその清掃方法
JP2007130566A (ja) 集塵機用濾布の破損検知方法
JP6290476B2 (ja) バグフィルター用空気増幅装置および該バグフィルター用空気増幅装置を用いたバグフィルター用空気増幅システム
US9844745B2 (en) Controlled pulse air filter system
JP4118744B2 (ja) バグ式集塵機のクリーニング制御方法
JPH06190229A (ja) 集塵機
JP5271311B2 (ja) 集塵装置
JP6090797B2 (ja) 集塵装置
CN111054158A (zh) 一种玻璃熔窑滤房过滤元件反吹清洁系统与方法
JP2005329291A (ja) ろ過式集塵装置
JP5999706B2 (ja) 集塵装置
CN212236448U (zh) 一种玻璃熔窑滤房过滤元件反吹清洁系统
JP2003290618A (ja) 集塵機のフイルター除塵装置
TW201442775A (zh) 袋式過濾器用空氣增幅裝置及使用該袋式過濾器用空氣增幅裝置的袋式過濾器用空氣增幅系統
JPH08196839A (ja) 濾過式集塵方法及び濾過式集塵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