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2643A - 차량좌석용 헤드 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좌석용 헤드 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643A
KR20130052643A KR1020137009144A KR20137009144A KR20130052643A KR 20130052643 A KR20130052643 A KR 20130052643A KR 1020137009144 A KR1020137009144 A KR 1020137009144A KR 20137009144 A KR20137009144 A KR 20137009144A KR 20130052643 A KR20130052643 A KR 20130052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rest
headrests
spring
vehicle seats
hold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9187B1 (ko
Inventor
미로슬라브 레즈바릭
미칼 마르틴카
이반 자쿠벡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52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6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3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74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1Head-rests with the head-rest being comma-shaped in side vi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좌석(1)용 헤드 레스트(2)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헤드 레스트(2)는 상기 차량 좌석(1)의 좌석 등받이(4) 상에 배치되어, 미-사용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조정 가능한 방식으로 높이 조정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헤드 레스트(2)가 홀딩 요소(5) 상에 배치되어 상기 헤드 레스트의 경사는 조정 가능하고, 상기 홀딩 요소는 U-자형 튜브 섹션으로부터 형성되며 수평 배치 섹션(19)는 상기 헤드 레스트(2)의 회전 축을 형성하고, 상기 헤드 레스트(2) 및 홀딩 요소(5)는 스프링 요소(12)의 바이어스력이 상기 헤드 레스트(2)에 적용되는 방식으로 스프링 요소(12)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 요소(12)의 섹션은 홀딩 요소(5)의 라운딩된 부분(21) 영역의 양 측 상에 배치된 둥근 리세스(22) 내에 각각 결합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상기 바이어스력은 상기 헤드 레스트(2)가 미-사용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홀딩 요소(5)의 방향으로 상기 헤드 레스트(2)의 하부 단부를 자동으로 회전시킨다.

Description

차량좌석용 헤드 레스트{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본 발명은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에 따른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DE 10 2004 034 158 A1은 좌석용, 특히 자동차 좌석용 헤드레스트를 개시하는데, 이는 좌석 등받이 상에 배치되며 헤드 레스트가 사용 위치에서 미-사용 위치로 낮춰지게 하는 수단을 갖는다. 미-사용 위치에서, 사용자는 후방을 자유로이 볼 수 있게 되는데; 이 경우, 헤드 레스트는 성가신 윤곽(annoying contour)을 형성하는 좌석 등받이 앞쪽의 낮춰진 위치인 미-사용 위치가 되도록 시프트될 수 있다.
US 2005 0168 038 A1은 뒤집힌 L-자형을 갖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를 개시한다.
JP 2007 082 616 A는 헤드 레스트 배치 및 관련된 높이 조정부를 갖는 차량 좌석을 개시한다.
DE 10 2010 003 664 A1는 좌석 등받이, 상기 좌석 등받이로부터 연장하는 지지 컬럼, 및 상기 지지 컬럼 상에 피봇가능하게 배치되는 헤드 레스트를 갖는 좌석 배치를 개시한다. 상기 헤드 레스트는 하부 헤드 레스트 섹션, 상기 하부 헤드 레스트 섹션으로부터 연장하는 상부 헤드 레스트 섹션, 및 상기 헤드 레스트를 상기 지지 컬럼에 피봇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클립을 갖는다. 상기 하부 헤드 레스트 섹션이 상기 지지 컬럼과 결합되면, 상기 헤드 레스트가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 1 회전 방향으로 피봇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특히 보다 용이하게 작동가능하고 보다 안락한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량사항 및 발전사항은 종속항에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에 의해 달성되는데, 상기 헤드 레스트는 미-사용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조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높이 조정가능하게 차량 좌석의 좌석 등받이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 레스트는 U-자형 튜브 섹션으로부터 형성된 홀딩 요소 상에 경사-조정가능 방식으로 배치되며, 상기 U-자형 튜브 섹션의 수평 배치 섹션은 헤드 레스트의 회전 축을 형성하고, 스프링 요소의 초기인장력에 의해 헤드 레스트가 작동되는 방식으로 헤드 레스트 및 홀딩 요소가 스프링 요소에 의해 결합된다. 헤드 레스트가 미-사용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초기인장력은 홀딩 요소의 방향으로 헤드 레스트의 하부 단부를 자동으로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사용 위치에서, 이롭게도 헤드 레스트의 앞쪽 측(front side)은 수직으로 또는 거의 수직으로 배향된다. 그러므로 헤드 레스트의 하부 단부가 착석한 사람의 몸과 접촉하는 것이 신뢰도 있게 방지되며, 착석 안락성이 개선된다.
특히 이롭게는, 모든 법적 요구사항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레스트에 의해 충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딩 요소는 U-자형 튜브 섹션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U-자형 튜브 섹션의 수평 배치 섹션은 헤드 레스트의 회전 축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복수의 기능이 간단한 방식으로 하나의 컴포넌트로 통합될 수 있다. 헤드 레스트의 수평 배치 섹션은 회전 축을 형성하고, 수직 섹션은 헤드 레스트의 높이 조정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딩 요소 내에서, 수평 배치 섹션 및 수직 섹션 사이에 전이부(transition)를 형성하는 라운딩된 부분의 영역의 양 측 상에 리세스가 배치된다.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 단부는 이롭게도 툴(tool) 없이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이중 비틀림(torsion) 스프링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비틀림 스프링은 그 축을 중심으로 비틀림 응력을 받는 나선형 스프링이다. 스프링 레그는 편의상 스프링 요소의 두 개의 비틀림 스프링 센션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두 개의 비틀림 스프링 섹션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단부는 각각의 비틀림 스프링 섹션의 외측 상에 배치되는데, 상기 스프링 단부는 홀딩 요소 내의 리세스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레스트 프레임은 클립에 의해 홀딩 요소 상에 피봇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상기 클립은 홀딩 요소 주위에 그 폐쇄 섹션이 고리형으로 구부러지며(loop), 스크류에 의해 헤드 레스트 프레임에 체결된다. 따라서 헤드 레스트의 경사 조정은 적은 수의 컴포넌트에 의해 그리고 회전 축으로서의 홀딩 요소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요소가 헤드 레스트 프레임의 후방 측 상에 배치되는데, 홀딩 러그가 상기 커버 요소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며, 핀과 두 개의 래칭 러그가 상기 커버 요소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커버 요소는 툴 없이 홀딩 러그, 핀 및 래칭 러그에 의해 헤드 레스트 프레임 상에 피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헤드 레스트는 L-자형 단면을 가지는데, 상기 홀딩 요소는 그 상부 단부에서 헤드 레스트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된다.
미-사용 위치에서, 이롭게도 헤드 레스트의 하부 영역은 좌석 등받이의 앞쪽 엣지를 지나 상당히 돌출되어서, 좌석 착석자가 헤드 레스트를 사용 위치로 이동시키게 하는 좌석 착석자용 개입 구조물을 형성한다. 사용 위치에서, 헤드 레스트의 하부 엣지는 좌석 등받이의 상부 엣지 위에 배치되므로, 차량 착석자는 헤드 레스트 및 그 조정부에 의해 부상으로부터 보호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미-사용 위치에 있는 헤드 레스트를 갖는 차량 좌석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사용 위치에 있는 헤드 레스트를 갖는 차량 좌석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헤드 레스트의 개별 부품들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상부에 피팅된 스프링 요소를 갖는 홀딩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상부에 피팅된 헤드 레스트 프레임을 갖는 홀딩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상부에 피팅된 커버 요소를 갖는 헤드 레스트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커버 요소의 홀딩 러그의 상세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커버 요소의 핀 및 래칭 러그의 상세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헤드 레스트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모든 도면에서 서로 대응되는 부품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다.
도 1은 미-사용 위치에 있는 헤드 레스트(2)를 갖는 차량 좌석(1)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차량 좌석(1)은 좌석 등받이(4) 및 하나 이상의 좌석 표면(3)을 구비한다. 헤드 레스트(2)는 좌석 등받이(4)의 상부 단부에 배치된다. 미-사용 위치에 있는 헤드 레스트(2)는 최하부 위치에 배치되는데, 즉, 헤드 레스트(2)의 높이 조정을 허용하는 홀딩 요소(5)는 좌석 등받이(4) 내로 거의 완전히 밀어넣어진다(push). 차량 좌석(1)이 비어있는 경우, 헤드 레스트(2)의 상기 미-사용 위치는 운전자의 시야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측면에서 보았을 때, 헤드 레스트(2)는 L-자형으로 설계되는데, 홀딩 요소(5)는 헤드 레스트의 상부 단부(6)에서 상기 헤드 레스트(2)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된다. 미-사용 위치에 있는 헤드 레스트(2)의 상부 단부(6)는 좌석 등받이(4)의 상부 엣지(7)에 대해 지지되도록(bearing) 배치된다. 이로 인해, 헤드 레스트(2)의 하부 영역(8)은 좌석 등받이(4)의 앞쪽 엣지(9)에 대해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미-사용 위치에서, 헤드 레스트(2)의 하부 영역(8)이 좌석 등받이(4)의 앞쪽 엣지(9)를 지나 상당히 돌출되게 하는 방식으로 헤드 레스트(2)가 형성된다. 이는 헤드 레스트(2)가 미-사용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한 매우 불편한 좌석 위치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차량 좌석(1)의 안락한 사용을 위하여 헤드 레스트(2)는 미-사용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조정되어야 한다.
도 2는 사용 위치에 있는 헤드 레스트(2)를 갖는 차량 좌석(1)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사용 위치에서 헤드 레스트(2)는 헤드 레스트(2)의 하부 엣지(10)가 좌석 등받이(4)의 상부 엣지(7) 위에 배치되게 하는 방식으로 홀딩 요소(5)에 의하여 좌석 등받이(4) 밖으로 당겨진다(pull).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헤드 레스트(2)의 하부 영역(8)이 홀딩 요소(5)에 대해 지지될 때까지, 사용 위치에서 헤드 레스트(2)의 하부 영역(8)은 홀딩 요소(5)의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한다.
헤드 레스트(2)의 앞쪽 측(11)은 미-사용 위치에서 좌석 등받이(4)의 앞쪽 엣지(9)에 대해 수평하게 배향되고, 사용 위치에서 수직으로 또는 거의 수직으로 배향된다.
도 3은 헤드 레스트(2)의 개별 부품들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헤드 레스트(2)는 홀딩 요소(5), 스프링 요소(12), 클립(13), 스크류(14), 커버 요소(15), 헤드 레스트 프레임(16), 쿠션(17) 및 쿠션 커버(18)를 적어도 포함한다.
도 4는 상부에 피팅된 스프링 요소(12)를 갖는 홀딩 요소(5)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홀딩 요소(5)는 둥근 단면을 갖는 U-자형 튜브 섹션으로부터 형성되는데, 그 수평 배치 섹션(19)이 헤드 레스트(2)의 회전 축을 형성하는 한편, 수직 섹션(20)은 헤드 레스트(2)의 높이 조정을 허용한다. 홀딩 요소(5)에서, 헤드 레스트(2)의 회전 축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연장하는 둥근 리세스(22)는 각각의 경우에 라운딩된 부분(21)의 영역에서 양 측 상에 배치된다.
스프링 요소(12)는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그 축을 중심으로 비틀림 응력을 받는 이중 비틀림 스프링 형태를 갖는다.
스프링 레그(24)는 스프링 요소(12)의 두 개의 비틀림 스프링 섹션(23)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두 개의 비틀림 스프링 섹션(23)에 결합된다. 스프링 단부(25)는 각각의 비틀림 스프링 섹션(23)의 외측 상에 배치되는데, 상기 스프링 단부(25)는 리세스(22)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에 결합된다.
헤드 레스트(2)의 조립 동안, 스프링 요소(12)의 스프링 단부(25)는 툴 없이 홀딩 요소(5)의 둥근 리세스(2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상부에 피팅된 헤드 레스트 프레임(16)을 갖는 홀딩 요소(5)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헤드 레스트 프레임(16)은, 그루브 형태를 가지고 홀딩 요소(5)의 수평 섹션(19)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섹션(26)을 가지며, 홀딩 요소(5)의 수평 섹션(19)은 헤드 레스트(2)가 작동하는 동안에 상기 섹션(26) 내에 배치된다.
헤드 레스트(2)가 작동하는 동안에 상부에 스프링 레그(24)가 배치되는 표면(27)은 헤드 레스트 프레임(16)의 상부 측 영역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초기인장된 스프링 요소(12)의 비틀림 힘은 상기 표면(27), 헤드 레스트 프레임(16) 및 전체 헤드 레스트(2) 상에 작용한다.
U-자형 클립(13)은 스프링 레그(24) 영역에 배치되어 스프링 요소(12)의 두 개의 비틀림 스프링 섹션(23) 사이에 배치된다.
헤드 레스트 프레임(16)은 상기 클립(13)에 의해 홀딩 요소(5) 상에 피봇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상기 클립(13)은 홀딩 요소(5) 주위에서 그 폐쇄 섹션이 고리형으로 구부러지며(loop), 스크류(14)에 의해 헤드 레스트 프레임(16)에 체결된다.
스프링 요소(12)의 비틀림 스프링 섹션(23) 영역에서, 헤드 레스트 프레임(16) 상에 보호 커버(28)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보호 커버는 비틀림 스프링 섹션(23)과의 접촉 및 그에 따른 헤드 레스트(2)의 쿠션(17)의 마모를 방지한다.
도 6은 상부에 피팅된 커버 요소(15)를 갖는 헤드 레스트 프레임(16)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커버 요소(15)는 상부 홀딩 러그(29) 및 하부 핀(30)과 또한 두 개의 래칭 러그(31)를 적어도 포함한다.
도 7은 커버 요소(15)의 상부 홀딩 러그(29)의 상세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홀딩 러그(29)는 후크 형태이며, 헤드 레스트 프레임(16)의 대응되게 형성된 섹션(32) 상에 배치된다.
도 8은 커버 요소(15)의 핀(30) 및 래칭 러그(31)의 상세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핀(30)은 커버 요소(15)의 하부 영역 내의 중앙에 배치되며, 헤드 레스트 프레임(16) 내의 가이드 오프닝(33)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래칭 러그(31)는 핀(30)의 양 측 상에 배치되며, 헤드 레스트 프레임(16) 내의 대응 형성물(34)에 결합한다.
커버 요소(15)는 헤드 레스트(2)의 후방 측을 커버하도록 기능한다. 커버 요소(15)의 상이한 두께에 의해, 미-사용 위치에서 헤드 레스트(2)의 하부 영역(8)이 좌석 등받이(4)의 앞쪽 엣지(9)를 지나 얼마나 멀리 돌출되는지 및 그로 인한 성가신 윤곽의 두께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요소(15)가 평평한 방식으로 형성되면, 오직 평평한 성가신 윤곽만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요소(15)가 큰 두께로 형성되면, 두껍고 매우 불편한 성가신 윤곽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헤드 레스트(2) 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홀딩 요소(5)의 수평 배치 섹션(19)은 헤드 레스트 프레임(16) 내의 그루브 형태인 섹션(26) 내에 배치되며, 클립(13)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체결된다. 스프링 요소(12)의 초기인장력은 스프링 레그(24)에 의해 헤드 레스트 프레임(16)의 상부 측 상에 그리고 특히 표면(27) 상에 작용한다. 스프링 요소(12)의 초기인장력은 회전 축 형태인 홀딩 요소(5)의 수평 배치 섹션(19)을 중심으로 하는 헤드 레스트(2)의 회전을 초래한다. 결과적으로, 헤드 레스트(2)의 하부 영역(8)이 홀딩 요소(5)에 대해 지지될 때까지, 헤드 레스트(2)의 하부 영역(8)은 홀딩 요소(5)의 방향(X)으로 회전된다.
1 차량 좌석
2 헤드 레스트
3 좌석 표면
4 좌석 등받이
5 홀딩 요소
6 상부 단부
7 상부 엣지
8 하부 영역
9 앞쪽 엣지
10 하부 엣지
11 앞쪽 측
12 스프링 요소
13 클립
14 스크류
15 커버 요소
16 헤드 레스트 프레임
17 쿠션
18 쿠션 커버
19 수평 섹션
20 수직 섹션
21 라운딩된 부분
22 리세스
23 비틀림 스프링 섹션
24 스프링 레그
25 스프링 단부
26 그루브형 섹션
27 표면
28 보호 커버
29 상부 홀딩 러그
30 핀
31 래칭 러그
32 섹션
33 가이드 오프닝
34 형성물

Claims (14)

  1. 헤드 레스트(2)가 미-사용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조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높이-조정가능하게 차량 좌석(1)의 좌석 등받이(4) 상에 배치되는 차량 좌석(1)용 헤드 레스트(2)로서,
    상기 헤드 레스트(2)는 U-자형 튜브 섹션으로부터 형성되는 홀딩 요소(5) 상에 경사-조정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되며,
    상기 U-자형 튜브 섹션의 수평 배치 섹션(19)은 상기 헤드 레스트(2)의 회전 축을 형성하고,
    상기 헤드 레스트(2) 및 홀딩 요소(5)는 상기 헤드 레스트(2)가 스프링 요소(12)의 초기인장력에 의해 작동되는 방식으로 스프링 요소(12)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 요소(12)의 섹션은 상기 홀딩 요소(5)의 라운딩된 부분(21)의 영역의 양 측 상에 배치된 각각의 리세스(22) 내에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헤드 레스트(2)가 미-사용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초기인장력은 상기 헤드 레스트(2)의 하부 엣지(10)를 상기 홀딩 요소(5)의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12)는 이중 비틀림 스프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프링 레그(24)가 상기 스프링 요소(12)의 두 개의 비틀림 스프링 섹션(23)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비틀림 스프링 섹션(2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스프링 단부(25)가 각각의 비틀림 스프링 섹션(23)의 외측 상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 단부(25)는 상기 홀딩 요소(5) 내의 리세스(22)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12)의 스프링 단부(25)는 툴 없이 상기 홀딩 요소(5)의 둥근 리세스(22) 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드 레스트 프레임(16)이 클립(13)에 의해 상기 홀딩 요소(5) 상에 피봇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클립(13)은 상기 홀딩 요소(5) 주위에서 폐쇄 섹션이 고리형으로 구부러지며(loop) 스크류(14)에 의해 상기 헤드 레스트 프레임(16)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커버 요소(15)가 상기 헤드 레스트 프레임(16)의 후방 측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
  8. 제 7 항에 있어서,
    홀딩 러그(29)가 상기 커버 요소(15)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핀(30) 및 두 개의 래칭 러그(31)가 커버 요소(15)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툴 없이 홀딩 러그(29), 핀(30) 및 래칭 러그(31)에 의해 커버 요소(15)가 헤드 레스트 프레임(16) 상에 피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2)가 L-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요소(5)는 그 상부 단부(6)에서 상기 헤드 레스트(2)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사용 위치에서, 상기 헤드 레스트(2)의 하부 영역(8)은 상기 좌석 등받이(4)의 앞쪽 엣지(9)를 지나 상당히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 위치에서, 상기 헤드 레스트(2)의 하부 엣지(10)는 상기 좌석 등받이(4)의 상부 엣지(7)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

KR1020137009144A 2010-09-11 2011-09-09 차량좌석용 헤드 레스트 KR101439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45128.2A DE102010045128B4 (de) 2010-09-11 2010-09-11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10045128.2 2010-09-11
PCT/EP2011/065636 WO2012032152A1 (de) 2010-09-11 2011-09-09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643A true KR20130052643A (ko) 2013-05-22
KR101439187B1 KR101439187B1 (ko) 2014-09-12

Family

ID=4458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144A KR101439187B1 (ko) 2010-09-11 2011-09-09 차량좌석용 헤드 레스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51562B2 (ko)
EP (1) EP2613968B1 (ko)
JP (1) JP5613838B2 (ko)
KR (1) KR101439187B1 (ko)
CN (1) CN103097188B (ko)
DE (1) DE102010045128B4 (ko)
WO (1) WO20120321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6066B2 (en) * 2014-02-20 2018-10-23 Kpit Technologies Ltd. Head restraint system
DE102014104928A1 (de) * 2014-04-07 2015-10-08 Recaro Aircraft Seating Gmbh & Co. Kg Flugzeugsitzvorrichtung
DE102014209888A1 (de) * 2014-05-23 2015-1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14216322A1 (de) * 2014-08-18 2016-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US9511696B2 (en) 2015-05-06 2016-12-06 Daimay North America Automotive, Inc. Rotatable headrest assembly
US9731637B2 (en) * 2015-08-17 2017-08-15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a headrest and method of assembly
US9827884B2 (en) * 2015-09-03 2017-11-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ngle wire torsion-limiting lower seat anchorage
CN110843626A (zh) * 2018-08-21 2020-02-28 温泽机械和制模(2009)有限责任公司 自动收起和展开的车辆头枕
JPWO2021054184A1 (ko) * 2019-09-20 2021-03-25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9839B2 (en) * 2001-10-23 2004-08-24 Lear Corporation Flip head restraint
JP4066785B2 (ja) * 2002-11-05 2008-03-2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KR100510152B1 (ko) * 2003-04-14 2005-08-26 주식회사 우보테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DE10319453B3 (de) * 2003-04-29 2004-06-24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Rückenlehne, insbesondere Fondsitzlehne
US6902232B2 (en) * 2003-09-26 2005-06-07 Gill Industries, Inc. Automatic fold and return head restraint
DE102004034158B4 (de) 2004-01-08 2015-04-30 Volkswagen Ag Nackenstütze nach FMVSS-Standard (Fede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
US7059681B2 (en) * 2004-01-29 2006-06-13 Tachi-S Co., Ltd. Headrest for vehicle seat
US7325877B2 (en) * 2004-04-15 2008-02-05 Windsor Machine & Stamping Limited Foldable headrest assembly
KR100592789B1 (ko) * 2004-04-26 2006-06-30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JP2006306251A (ja) 2005-04-28 2006-11-09 Tachi S Co Ltd 自動車シート
JP4517295B2 (ja) * 2005-09-20 2010-08-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8104836B2 (en) 2006-07-19 2012-01-31 Windsor Machine & Stamping (2009) Ltd Articulating headrest mechanism
CN2931197Y (zh) * 2006-08-11 2007-08-08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四向头枕
FR2910401B1 (fr) * 2006-12-22 2009-10-09 Faurecia Sieges Automobile Appui-tete escamotable
CN201021161Y (zh) * 2007-03-21 2008-02-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带缓冲装置的座椅头枕
JP5425501B2 (ja) * 2009-01-23 2014-02-26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ヘッドレスト
US8322790B2 (en) * 2009-04-08 2012-12-04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a multi-position head restraint assembly
WO2010132548A2 (en) * 2009-05-13 2010-11-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Rotating head rests
KR101081213B1 (ko) * 2009-12-03 2011-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DE102010001598B3 (de) * 2010-02-04 2011-07-28 Lear Corp., Mich. Sitzbaugruppe mit einer beweglichen Kopfstützen-Baugrup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39437A (ja) 2013-10-24
US8851562B2 (en) 2014-10-07
DE102010045128B4 (de) 2016-11-10
JP5613838B2 (ja) 2014-10-29
EP2613968B1 (de) 2017-03-15
EP2613968A1 (de) 2013-07-17
US20130207439A1 (en) 2013-08-15
CN103097188B (zh) 2015-11-25
WO2012032152A1 (de) 2012-03-15
DE102010045128A1 (de) 2012-03-15
KR101439187B1 (ko) 2014-09-12
CN103097188A (zh)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2643A (ko) 차량좌석용 헤드 레스트
US8579370B2 (en) Structure of seat back with headrest
US20090102270A1 (en) Seat backs for vehicular seats
KR102644560B1 (ko) 자동차용 시트백
KR20200142448A (ko)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JP3936166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20190089354A (ko) 목받침 헤드레스트
US20180015854A1 (en) Seat structure for vehicle
KR102125978B1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JP6053657B2 (ja) 車両用シートの頚支持装置
KR101620312B1 (ko) 머리 지지대가 부착된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JP5432612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
JP4255804B2 (ja) 椅子
KR101775200B1 (ko) 자동차 리어 시트의 스토퍼형 아암 레스트 장치
KR100403478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JP6776875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736736B1 (ko) 폴딩 가능한 헤드레스트
JP2015112975A (ja) 前倒式ヘッドレスト
US11192482B2 (en) Headrest assembly including locking arrangement reducing BSR
JP5632601B2 (ja) 乗り物用シート構造
KR20040043025A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20120008780A (ko) 차량 시트용 폴딩 헤드레스트
KR10212389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6422021B2 (ja) サスペンションシートの表示装置
JP2008273230A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