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098A -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098A
KR20130051098A KR1020110116253A KR20110116253A KR20130051098A KR 20130051098 A KR20130051098 A KR 20130051098A KR 1020110116253 A KR1020110116253 A KR 1020110116253A KR 20110116253 A KR20110116253 A KR 20110116253A KR 20130051098 A KR20130051098 A KR 20130051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otation
state
scree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석인
임충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6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1098A/ko
Priority to CN201280054966.2A priority patent/CN103917940A/zh
Priority to IN945KON2014 priority patent/IN2014KN00945A/en
Priority to BR112014011343A priority patent/BR112014011343A8/pt
Priority to US13/671,921 priority patent/US9785202B2/en
Priority to EP12191888.2A priority patent/EP2592524A3/en
Priority to CA2854732A priority patent/CA2854732A1/en
Priority to PCT/KR2012/009348 priority patent/WO2013069967A1/en
Priority to JP2014540942A priority patent/JP2015502602A/ja
Priority to AU2012336549A priority patent/AU2012336549A1/en
Priority to RU2014118573/08A priority patent/RU2598780C2/ru
Publication of KR20130051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화면 회전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단말기의 수평 상태 확인을 위한 센서, 상기 단말기의 각속도 정보 수집을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의 수평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가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수평 상태에서의 단말기 회전 상태 또는 회전 변화 상태를 확인하는 제어부, 상기 단말기의 회전 상태 또는 회전 변화 상태에 따라 출력 방향이 다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Controlling Method For Rotating Screen And Portable Device, and Touch System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의 화면 회전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놓여 있는 상태에 관계없이 사용자 요청에 따라 화면 회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그 크기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 많은 산업 및 생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한편 종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편의 또는 사용자 니즈 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단말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사용자 기능을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의 방향이 가로 모드 방향 또는 세로 모드 방향으로 자동 변경되도록 지원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열람하기 용이한 또는 조작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단말기를 배치한 후 단말기를 운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단말기 화면 제어 기능은 특정 조건에서만 화면 제어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즉 종래 단말기는 화면 제어 과정에서 단말기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에 준하는 상태가 되면 화면 회전 제어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하여 종래 단말기는 화면 제어를 위하여 단말기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진 상태를 제공하여야만 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화면 제어를 위하여 단말기를 회전한다 하더라도 상황에 따라서 정상적인 화면 회전 제어가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단말기를 책상 등에 놓고서 필기 작업을 수행하거나 그리기 작업을 수행하는 상황에서는 더욱 큰 불편함을 주게 된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를 책상에 놓고 정보 열람이나 기입을 수행하다가 화면 회전이 필요한 경우 단말기를 파지하여 일정 각도 이상 기울인 상태에서 단말기를 회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단말기를 책상에 놓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화면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화면 회전 제어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의 상태에 관계없이 사용자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화면 회전 제어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가 수평 상태로 배치되는지를 확인하는 수평 상태 확인 과정, 상기 단말기가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수평 상태에서의 단말기 회전 상태 또는 회전 변화 상태를 확인하는 회전 상태 확인 과정, 상기 단말기의 회전 상태 또는 회전 변화 상태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 화면 출력 형태를 지원하는 지원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의 수평 상태 확인을 위한 센서, 상기 단말기의 각속도 정보 수집을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의 수평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가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수평 상태에서의 단말기 회전 상태 또는 회전 변화 상태를 확인하는 제어부, 상기 단말기의 회전 상태 또는 회전 변화 상태에 따라 출력 방향이 다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의 표시부에 접촉되는 터치 펜과, 상기 단말기의 수평 상태 확인을 위한 가속도 센서 및 상기 단말기의 각속도 정보 수집을 위한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고,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수평 상태에서의 단말기 회전 상태 또는 회전 변화 상태에 따라 상기 터치 펜의 필기 세팅 값을 다르게 적용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화면 회전 제어를 지원하는 터치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말기 상태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단말기의 화면 방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화면 방향 회전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 및 단말기와 시스템은 단말기 상태나 환경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단말기 및 화면을 배치시켜 원하는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터치 시스템 및 그의 주변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수평 모드 판단을 위한 각속도 정보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오차 보정 판단을 위한 각속도 정보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회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부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회전 제어 기능이 지원되는 단말기의 터치 시스템 및 그의 주변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의 터치 시스템 및 주변 환경은 우선 화면 제어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100), 단말기(100)가 배치되는 특정 환경 예를 들면 책상(10), 단말기(100) 운용을 위한 터치 펜(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단말기 상태에 관계없이 단말기(100)의 화면 회전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에 있으며, 책상(10)은 단말기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수평 상태에 놓이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터치 펜(200)은 단말기(100)의 특정 상태에서 특정 설정에 따라 운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추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주변 환경에서, 책상(10)은 단말기(100)의 수평 상태 또는 수평에 준하는 상태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책상(10)에 놓이는 경우 수평 상태 또는 수평에 준하는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수평 모드 상태에서 화면 전환 제어에 따라 터치 펜(200) 접촉에 따른 설정 값들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수평 모드 및 가로 모드 상태에서의 터치 펜(200) 필기 세팅 값과 수평 모드 및 세로 모드 상태에서의 터치 펜(200) 필기 세팅 값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터치 펜(200)을 운용하는 환경에서도 보다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기능을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터치 펜(200) 운용과 관련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술한 단말기(100)의 구성과 수평 상태에서의 화면 제어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회전 제어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40), 저장부(150), 센서부(17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상태를 확인하고, 단말기(100)의 상태가 수평 모드로 유지되는 경우 센서부(170)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173)를 기반으로 단말기(100)의 회전 상태를 판단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수평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센서부(170)의 가속도 센서(171)를 기반으로 단말기(100)의 화전 상태를 판단하도록 지원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센서부(170)에 마련된 가속도 센서(171) 및 자이로 센서(17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회전 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화면의 방향을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변환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추가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통신부(110)는 단말기(100) 구성에서 생략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 특히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단말기(100)의 이동통신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음성 서비스 채널, 영상 서비스 채널, 데이터 서비스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고, 해당 서비스 채널에 따른 특정 신호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통신부(110)는 통화 기능이나 웹 접속 기능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활성화되는 경우 해당 기능 운용을 위한 화면 지원을 제어부(160)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다. 이때 지원되는 통신부(110) 운용 화면은 화면 회전 제어 기능 적용에 따라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수평 모드 상태에서도 화면 회전 제어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수평하게 배치시킨 시킨 후 통신부(110)를 운용하여 웹 페이지 등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를 위한 화면 회전을 이용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호환 가능 여부에 따라 키보드나 키패드, 키 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터치 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화면 회전 제어 기능을 지원하는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특정 사용자 기능 또는 디폴트 기능으로서 화면 회전 제어 기능 설정을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회전 제어 기능 설정을 위한 입력 신호는 수평 모드에서의 화면 회전 제어 기능 설정을 위한 입력 신호와, 수평 모드 이외의 상태에서 화면 회전 제어 기능 설정을 위한 입력 신호, 단말기(100) 상태에 관계없이 화면 회전 제어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입력 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상술한 입력 신호들을 제어부(160)에 전달되어, 각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수행 또는 모드 설정을 위한 명령어로 변환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의 운용과정에서 설정된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 및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데이터 수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화면 회전 제어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안내음 및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130)는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전환되거나 또는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화면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 회전 발생을 알리는 안내음이나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음 및 효과음 출력 기능은 사용자 설정이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을 지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특정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른 기능 운용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40)는 해당 기능 운용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단말기(100) 회전이 발생한 경우 회전 발생에 따라 출력되는 기능 화면의 방향을 회전시켜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회전 제어 기능은 단말기(100)가 수평 상태에 놓여 있는 경우 및 일정 기울기를 가지며 배치된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즉 화면 회전 제어 기능은 사용자 설정 및 사용자 기능의 종류에 따라 수평 모드에서만 회전하도록 지원하거나, 수평 모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지원하거나, 기울기에 관계없이 회전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표시 패널(141)과 터치 패널(143)이 중첩된 형태인 터치스크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표시 패널(141)에는 상술한 다양한 화면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텍스트 등이 출력될 수 있다. 터치 패널(143)은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는 화면 특성에 따라 터치 유효 영역과 터치 무효 영역을 설정하고, 터치 유효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기본 운영체제 및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과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화면 회전 제어 기능 운용을 위한 화면 회전 지원 프로그램(151)을 저장할 수 있으며, 화면 회전 지원 프로그램(151) 운용에 필요한 프로그램 리스트(153)를 저장할 수 있다.
화면 회전 지원 프로그램(151)은 본 발명의 화면 회전 제어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회전 지원 프로그램(151)은 특정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기능이 화면 회전 제어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프로그램들을 기입한 프로그램 리스트(153)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회전 지원 프로그램(151)은 활성화가 요청된 사용자 기능이 프로그램 리스트(153)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화면 회전 제어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기능 설정 확인 루틴, 화면 회전 제어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센서부(170)를 활성화하고 수집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 회전을 제어하는 화면 회전 제어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설정 확인 루틴은 수평 모드에서도 화면 회전 제어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수평 모드에서는 화면 회전을 억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기울기에 관계없이 화면 회전을 지원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서브 루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 회전 제어루틴은 각 설정 값들 및 수집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 회전을 지원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결정에 따라 화면 회전을 제어하는 서브 루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70)는 단말기(100)의 상태 변화에 따른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특히 센서부(170)는 가속도 센서(171), 자이로 센서(173) 및 지자기 센서(17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70)의 가속도 센서(171)는 단말기(100)의 회전 등에 따른 중력 가속도를 센싱하는 구성으로서 단말기(100)가 수평 상태에 놓이는 경우에는 지구 중심 방향으로의 중력 가속도만 발생하게 된다. 즉 가속도 센서(171)는 지면과 일정 기울기가 없는 수평 상태에서는 수평 상태 기준으로 90도 방향으로의 중력 가속도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가속도 센서(171)는 단말기(100)의 수평 상태 검출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73)는 단말기(100)가 수평 상태에 놓이는 경우 그리고 수평 모드에서 단말기(100) 화면 회전 제어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어 각속도를 검출한다. 자이로 센서(173)가 수집하는 각속도 정보는 실시간으로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다. 수평 상태에서 자이로 센서(173)가 제어부(160)에 전달하는 각속도 정보는 x, y, z 세 개의 축을 기준으로 z축의 양의 방향 정보와 음의 방향 정보 예를 들면 우측 회전 방향 정보와 좌측 회전 방향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 상태가 아닌 경우 자이로 센서(173)가 수집하는 센싱 정보는 x, y, z 축 중 적어도 두 개의 축에서 발생하는 각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175)는 제어부(16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된 후 나침반 기능에 따라 동서남북 방향의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회전 제어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신호 흐름 제어와 센싱 정보 수집 및 분석 등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수평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 수평 상태에서 단말기(100)의 화면 회전 제어 설정을 확인하는 기능, 센서부(170) 활성화 및 수집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화면 회전 제어를 결정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수평 모드 판단을 위한 자이로 센서(173)의 센싱 정보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센싱 정보 오차 보정을 위한 자이로 센서(173)의 센싱 정보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센싱 정보 수집부(161), 수평 모드 판단부(163), 오차 보정부(167), 화면 회전 지원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정보 수집부(161)는 센서부(170)에서 발생하는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특히 센싱 정보 수집부(161)는 특정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되면, 해당 사용자 기능이 화면 회전 제어 기능으로서 프로그램 리스트(153)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 정보 수집부(161)는 해당 사용자 기능이 화면 회전 제어 기능으로서 프로그램 리스트(153)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센서부(170)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센싱 정보 수집부(161)는 우선적으로 가속도 센서(171)를 먼저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 정보 수집부(161)는 수평 모드 판단부(163)가 단말기(100)의 상태를 수평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 자이로 센서(173)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센싱 정보 수집부(161)는 가속도 센서(171)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싱 정보 수집부(161)는 사용자 설정 또는 설계자 설정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이로 센서(173) 활성화와 함께 지자기 센서(175)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센싱 정보 수집부(161)가 수집하는 센싱 정보는 각각 수평 모드 판단부(163) 및 화면 회전 지원부(165), 오차 보정부(167)에 전달될 수 있다.
수평 모드 판단부(163)는 센싱 정보 수집부(161)로부터 센싱 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수평 모드 판단부(163)는 수신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기(100) 상태가 수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평 모드 판단부(163)는 센싱 정보 수집부(161)로부터 가속도 센서(171)의 센싱 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러면 수평 모드 판단부(163)는 가속도 센서(171)의 센싱 정보 즉 중력 가속도가 90도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수평 모드 판단부(163)는 중력 가속도가 90도인 경우 이를 센싱 정보 수집부(161) 및 화면 회전 지원부(165)에 전달할 수 있다.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센싱 정보 수집부(161) 및 수평 모드 판단부(163)로부터 전달되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기(100)의 화면 회전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가속도 센서(171)로부터 전달되는 가속도 정보에 따라 분석된 수평 모드 여부를 수평 모드 판단부(163)로부터 전달받아 단말기(100)의 회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수평 모드 판단부(163)가 전달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화면 회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수평 모드 판단부(163)로부터 현재 상태가 수평 상태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자이로 센서(173)로부터 전달되는 각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수평 상태에서의 단말기(100) 회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수평 모드에서 센싱 정보 수집부(161)로부터 각속도 정보가 수집되면 해당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누적된 각속도 정보가 일 방향으로 90도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화면 회전을 위한 단말기(100) 제어로 판단하고 현재 화면의 모드를 다른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현재 단말기(100)가 가로 모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의 누적된 각속도 정보가 90도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세로 모드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현재 상태가 세로 모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의 누적된 각속도 정보가 90도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가로 모드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현재 상태를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상태로 판단하는 기준은 수평 모드로 진입하기 직전에 수집된 가속도 정보가 될 수 있다. 즉 수평 모드 진입 직전 가로 모드 상태인 경우 또는 세로 모드 상태인 경우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현재 상태를 직전 상태에 해당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단말기(100)의 화면 모드를 전환한 경우 센싱 정보 수집부(161)가 전달하는 각속도 정보를 초기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화면 회전되거나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화면 회전이 결정되면 각속도 정보를 초기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추가적으로 센싱 정보 수집부(161)가 전달하는 각속도 정보를 다시 누적하여 화면 회전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누적되는 각속도 정보의 방향을 확인하고 화면 회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수평 상태에서의 단말기(100) 회전에 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수평 상태에서 일정 방향 특히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4에서 좌측에 도시된 그래프에서와 같이 기준선을 기준으로 양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그래프에 해당하는 각속도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즉 센싱 정보 수집부(161)는 +z축 방향의 각속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러면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각속도 정보의 누적 값이 90도 범위에 근접하는 경우 화면의 출력 모드를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화면에서 세로 모드 또는 가로 모드로 전환할 경우 좌측 방향을 기준으로 화면이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가 수평 상태에서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4에서 우측에 도시된 그래프에서와 같은 기준선의 음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그래프에 해당하는 각속도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즉 센싱 정보 수집부(161)는 -z축 방향의 각속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각속도 정보의 누적 값이 90도 범위에 근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각속도 정보가 90도 범위에 근접하는 경우 화면의 출력 모드를 우측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각속도 누적 정보가 90도 범위 이전 예를 들면 80도 정로 누적되는 경우 화면 회전을 위한 단말기(100) 상태 변화로 판단하고 각속도 방향에 따라 화면이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또한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각속도 누적 정보가 90도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화면 회전을 위한 단말기(100) 상태 변화로 판단하고 각속도 방향에 따라 화면이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즉 화면 회전을 위한 상태 변화를 위한 일정 각도에 해당하는 문턱 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 문턱 값은 사용자 설정이나 설계자 의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상태 변화 문턱 값 제공을 위하여 단말기(100)는 수평 상태에서 단말기(100)의 회전을 결정하는 문턱 값 설정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해당 메뉴를 이용하여 상태 변화 문턱 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각속도의 누적 정보 방향에 따라 화면의 회전 모드를 일 방향으로만 지원할 수 도 있다. 즉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각속도의 누적 정보 방향이 좌측 방향인 +z축 방향인 경우 화면 상태를 가로 모드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현재 단말기(100)의 화면 상태에 관계없이 단말기(100)가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한 상태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회전이 일정 각도 이상 발생하면 가로 모드로 변환하거나 가로 모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각속도의 누적 정보 방향이 우측 방향인 -z축 방향인 경우 화면 상태를 세로 모드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현재 단말기(100)의 화면 상태에 관계없이 수평 상태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회전이 일정 각도 이상 발생하면 이전 특정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변환하거나 세로 모드 상태인 경우 해당 모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좌측 방향의 일정 각도 회전 발생 시 가로 모드가 되도록 지원하고, 우측 방향의 일정 각도 회전 발생 시 세로 모드가 되도록 지원할 수 도 있다. 여기서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화면 모드 전환 이후 자이로 센서(173)의 센싱 정보를 리셋하여 다시 누적하고, 누적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 전환을 지원할 수 있다.
오차 보정부(167)는 사용자가 테이블이나 책상 등의 고정된 바닥에 단말기(100)를 배치하지 않고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경우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오차 보정부(167)는 센싱 정보 수집부(161)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특히 각속도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해당 각속도 정보의 오차를 확인할 수 있다. 오차 확인 과정에서 오차 보정부(16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센싱 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단말기(100)의 수평 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한 경우 수평 모드 판단부(163)는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수평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오차 보정부(167)는 센싱 정보 수집부(161)로부터 각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각속도 정보가 x, y, z축 중 특히 x, y축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각속도 정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수집되는 경우 결정된 수평 모드를 해제하거나 수평 모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금지 제어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지자기 센서(175)의 센싱 정보를 확인하여 나침반의 방향 변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자이로 센서(173)의 각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 회전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지자기 센서(175)의 센싱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기(100)가 어떠한 방향으로 회전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화면 회전 지원부(165)는 지자기 센서(175)의 방향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기(100)의 회전 상태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화면 전환을 제어할 수 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회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면 회전 제어 방법은 먼저, 제어부(160)가 601 단계에서 공급된 전원을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으로 분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603 단계에서 화면 회전 제어 기능 지원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특정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입력 신호에 의해 요청된 사용자 기능이 화면 회전 제어 기능이 요구되는 사용자 기능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 리스트(153)를 확인하여 활성화가 요청된 사용자 기능이 화면 회전 제어 기능으로 등록된 사용자 기능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603 단계에서 발생된 입력 신호가 화면 회전 제어 기능 지원을 위한 입력 신호가 아닌 경우 제어부(160)는 605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신호에 따른 해당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해당 입력 신호에 따라 파일 재생을 수행하는 기능, 음성 또는 화상 통화 연결 기능, 방송 시청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603 단계에서 화면 회전 제어 기능 지원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607 단계로 분기하여 단말기(100)가 현재 수평 모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603 화면에서 화면 회전 제어 기능 지원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가속도 센서(171)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607 단계에서 현재 단말기(100)가 수평 모드 상태가 아닌 경우 609 단계로 분기하여 가속도 센서(171) 기반의 화면 회전을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가속도 센서(171)가 수집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기(100)의 회전 상태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화면 전환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607 단계에서 단말기(100)가 수평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611 단계로 분기하여 자이로 센서(173)를 활성화하고 초기화 즉 센서 리셋을 수행하는 한편 센싱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가속도 센서(171)가 전달한 중력 가속도가 90도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중력 가속도가 90도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수평 모드 상태로 결정할 수 도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수집된 자이로 센서(173)의 센싱 정보 기반의 화면 전환을 613 단계에서 지원한다. 즉 자이로 센서(173)가 수집한 각속도 정보가 +z축 이동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가로 모드를 세로 모드로 또는 세로 모드를 가로 모드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특정 방향 즉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설정되거나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자이로 센서(173)가 수집한 각속도 정보가 -z축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세로 모드를 가로 모드로 또는 가로 모드를 세로 모드로 변경하도록 제어하거나, 세로 모드 또는 가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설정되거나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615 단계에서 화면 회전 제어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별도의 기능 종료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60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화면 회전 제어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601 단계로 리턴하여 이하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611 단계 및 613 단계 사이에서 본 발명의 화면 회전 제어 방법은 617 단계에서와 같이 지자기 센서 정보 수집 및 적용을 통하여 화면 회전 결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자이로 센서(173) 활성화 시 지자기 센서(175)를 함께 활성화하고, 각속도 정보 수집과 함께 지자기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각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기(100)의 회전을 판단할 때, 지자기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기(100)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였는지를 재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면 회전 제어 방법은 619 단계에서와 같이 센싱 정보 수집 과정에서의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각속도 정보가 수집되면, 해당 각속도 정보에서 x, y축으로 설정된 값 이상의 각속도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x, y축 방향의 각속도 정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현재 상태가 수평 모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단말기(100)에서 일정 각도 이상의 각속도 정보가 수집되더라도 해당 정보의 적용을 취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각속도 정보에서 x, y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각속도 정보가 포함된 센싱 정보가 수집되면 해당 단말기(100)의 화면 회전 제어를 적용하지 않고 현재 화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회전 제어 방법은 단말기(100)를 수평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도 단말기(100)의 회전을 판단하고 화면을 회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환경에서 화면의 모드 변경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편리하고 쉽게 정보 기입이나 단말기(100)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화면의 출력 방향은 방향 전환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화면의 출력 방향은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 각각 두 개의 화면 출력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 모드의 경우 표시부(140)의 상측 방향에서 하측 방향으로 정보가 출력되는 제1 방향과 표시부(140)의 하측 방향에서 상측 방향으로 정보가 출력되는 제2 방향을 가질 수 있다. 가로 모드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하게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의 제1 방향과 하측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제2 방향으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수평 모드에서 일 방향으로의 화면 출력만을 지원하는 기능과 두 방향으로의 화면 출력을 지원하는 기능을 사용자 설정이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 방향만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수평 상태에서 세로 모드로 배치된 경우 정보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출력되는 제1 방향의 화면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정보가 출력되는 제2 방향의 화면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가지는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좌측 회전 또는 우측 회전에 관계없이 세로 모드에서 출력되는 화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화면이 가로 모드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변경되기 위하여 수평 상태에서 일정 각도 이상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이전 세로 모드에 출력된 화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화면이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두 방향으로의 화면 출력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화면 회전 시 출력 방향을 다르게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상태에서 세로 모드 제1 방향의 화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이때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되기 위한 좌측 회전이 발생하면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전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놓이게 되며, 해당 단말기(100)의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화면은 가로 모드 상태로 놓이면서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의 제1 방향의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되기 위한 우측 회전이 발생하면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전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놓이되 하측 방향에서 상측 방향으로의 제2 방향의 화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 기능은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변경되는 과정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단말기(100)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단말기(100)의 표시부(140)는 세로 모드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의 제1 방향의 화면 또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의 제2 방향의 화면 중 어느 한 방향의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좌측 방향 회전 시 제2 방향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우측 방향 회전 시 제1 방향의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좌측 방향 회전 시 제1 방향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우측 방향 회전 시 제2 방향의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화면 회전 설정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설계 과정에서 결정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일정 회전 방향에 따라 특정 모드가 지원되도록 지원할 수 도 있다. 즉 단말기(100)는 수평 상태에서 좌측 방향 회전이 일정 각도 이상 발생하면 제1 방향의 세로 모드 또는 제1 방향의 가로 모드 화면이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수평 상태에서 우측 방향 회전이 일정 각도 이상 발생하면 제2 방향의 세로 모드 또는 제2 방향의 가로 모드 화면이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회전 제어 기능 지원을 위한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제어부(160)는 센싱 정보 수집부(161), 수평 모드 판단부(163), 화면 회전 지원부(165), 오차 보정부(167) 및 터치 펜 지원부(16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정보 수집부(161), 수평 모드 판단부(163), 화면 회전 지원부(165), 오차 보정부(167)는 앞서 설명한 도 3에서의 제어부(160) 구성과 유사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함으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터치 펜 지원부(169)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가 터치 펜(200)과의 협업을 통한 터치 이벤트 생성과 적용을 지원하는 경우 추가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터치 펜 지원부(169)는 터치 펜(200)이 가지는 고유의 물리적 정보 예를 들면 커패시턴스 정보를 기반으로 터치 펜(200)의 접촉을 인지할 수 있으며, 터치 펜(200) 접촉 시 특정 사용자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즉 터치 펜 지원부(169)는 터치 패널()로부터 수집되는 커패시턴스가 기 설정된 값 이상 또는 이에 근접한 값인 경우 터치 펜(200) 운용으로 자동 판단하고, 터치 펜(200) 운용을 위한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터치 펜 지원부(169)는 터치 펜(200) 운용을 위한 메뉴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펜 지원부(169)는 특정 값의 커패시턴스가 수집되거나 또는 해당 메뉴 항목이 활성화되는 경우 터치 펜(200) 입력에 따라 필기 세팅 값 또는 설정 값 등을 터치 이벤트에 적용하여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정보를 손가락 터치와 다르게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터치 펜 지원부(169)는 단말기(100)의 수평 모드가 운용되는 경우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상태 또는 모드 변환 상태에 따라 필기 세팅 값을 다르게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수평 상태 및 가로 모드 상태인 경우 터치 펜 지원부(169)는 제1 굵기의 선, 제1 색, 제1 폰트, 제1 점선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필기 세팅 값을 적용하였다면 단말기(100)가 수평 상태 및 세로 모드 상태인 경우 터치 펜 지원부(169)는 제2 굵기의 선, 제2 색, 제2 폰트, 제2 점선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필기 세팅 값을 적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터치 펜 지원부(169)는 세로 모드 상태인 경우 지우개 기능의 필기 세팅 값을 적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 펜 지원부(169)는 수평 모드에서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에 적용되는 필기 세팅 값을 단말기(100)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모드 변환 시 필기 세팅 값을 다른 값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펜(200)을 이용하는 경우 보다 손쉽고 빠른 필기 기능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단말기의 표시부에 접촉되는 터치 펜과, 상기 단말기의 수평 상태 확인을 위한 가속도 센서 및 상기 단말기의 각속도 정보 수집을 위한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고,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수평 상태에서의 단말기 회전 상태 또는 회전 변화 상태에 따라 상기 터치 펜의 필기 세팅 값을 다르게 적용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화면 회전 제어를 지원하는 터치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평 상태에서 단말기의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에 따라 상기 터치 펜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대하여 선의 굵기, 색, 점선, 폰트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필기 세팅 값을 적용하거나, 상기 수평 상태에서 단말기의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는 필기 세팅 값을 적용하고 나머지 모드에는 지우개 세팅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단말기(100)가 수평 상태에 놓이는 환경에서도 회전 제어를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 상태에서 터치 펜(200)의 다양한 기능 운용도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을 통하여 단말기(100)의 상태에 제한받지 않고 자유로운 환경에서 보다 편리하고 쉬운 정복 기입이나 단말기(100)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책상 100 :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41 : 표시 패널 143 : 터치 패널
150 : 저장부 151 : 화면 회전 지원 프로그램
153 : 프로그램 리스트 160 : 제어부
161 : 센싱 정보 수집부 163 : 수평 모드 판단부
165 : 화면 회전 지원부 167 : 오차 보정부
169 : 터치 펜 지원부

Claims (20)

  1. 단말기가 수평 상태로 배치되는지를 확인하는 수평 상태 확인 과정;
    상기 단말기가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수평 상태에서의 단말기 회전 상태 또는 회전 변화 상태를 확인하는 회전 상태 확인 과정;
    상기 단말기의 회전 상태 또는 회전 변화 상태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 화면 출력 형태를 지원하는 지원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상태 확인 과정은
    상기 단말기의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가속도 정보가 중력 가속도 90도 범위를 지시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수평 상태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상태 확인 과정은
    상기 수평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의 회전에 따른 각속도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각속도 정보 분석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좌측 회전 또는 우측 회전을 판단하는 판단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과정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말기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수집된 각속도 정보를 누적하는 과정;
    상기 누적된 각속도 정보가 일정 각도 이상인 경우 해당 방향으로의 회전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결정 이후 상기 각속도 정보를 초기화하는 과정;
    초기화 이후 수집된 각속도 정보를 다시 누적하여 누적된 각속도 정보가 일정 각도 이상인 경우 해당 방향으로의 회전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각속도 정보에 x축 및 y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에서 기 설정된 이상의 각속도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수평 상태를 해제하거나 수평 상태 진입을 금지하는 오차 보정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지자기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지자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평 상태에서의 단말기 회전 상태를 재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과정은
    상기 단말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전환을 지원하는 전환 과정;
    상기 단말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과정은
    상기 단말기의 회전이 좌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 발생하는 경우 정보가 표시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출력되는 제1 방향 또는 정보가 표시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기입되는 제2 방향의 가로 모드가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도록 지원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의 회전이 우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 발생하는 경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세로 모드가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도록 지원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과정은
    상기 단말기의 수평 상태 진입 직전 화면 상태 또는 현재 놓인 화면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의 회전이 일정 각도 이상 발생 시 직전 화면 상태 또는 현재 놓인 화면 상태와 다른 출력 방향의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터치 펜 접촉이 발생하는 과정;
    상기 수평 상태의 단말기 화면 출력 방향에 따라 상기 터치 펜의 필기 세팅 값을 다르게 정의하는 과정;
    상기 터치 펜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상기 정의에 따른 필기 세팅 값을 적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 방법.
  12. 단말기의 수평 상태 확인을 위한 센서, 상기 단말기의 각속도 정보 수집을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의 수평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가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수평 상태에서의 단말기 회전 상태 또는 회전 변화 상태를 확인하는 제어부;
    상기 단말기의 회전 상태 또는 회전 변화 상태에 따라 출력 방향이 다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각속도 정보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각속도 정보가 일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인 경우 해당 방향으로의 회전을 결정하며,
    상기 회전 결정 이후 상기 각속도 정보를 초기화하고, 초기화 이후 수집된 각속도 정보를 다시 누적하여 누적된 각속도 정보가 일정 각도 이상인 경우 해당 방향으로의 회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각속도 정보에 x축 및 y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에서 기 설정된 이상의 각속도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수평 상태를 해제하거나 수평 상태 진입을 금지하는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평 상태에서의 단말기 회전 상태를 재확인하기 위한 상기 단말기의 지자기 정보를 수집하는 지자기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말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가로 모드 화면에서 세로 모드로 또는 세로 모드 화면에서 가로 모드로 출력하거나,
    상기 단말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화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말기의 회전이 좌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 발생하는 경우 정보가 표시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출력되는 제1 방향 또는 정보가 표시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기입되는 제2 방향의 가로 모드 화면이 출력되도록 지원하며,
    상기 단말기의 회전이 우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 발생하는 경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세로 모드 화면이 출력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수평 상태 진입 직전 화면 상태 또는 현재 놓인 화면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의 회전이 일정 각도 이상 발생 시 직전 화면 상태 또는 현재 놓인 화면 상태와 다른 출력 방향의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19. 단말기의 표시부에 접촉되는 터치 펜;
    상기 단말기의 수평 상태 확인을 위한 가속도 센서 및 상기 단말기의 각속도 정보 수집을 위한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고,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수평 상태에서의 단말기 회전 상태 또는 회전 변화 상태에 따라 상기 터치 펜의 필기 세팅 값을 다르게 적용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를 지원하는 터치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평 상태에서 단말기의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에 따라 상기 터치 펜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대하여 선의 굵기, 색, 점선, 폰트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필기 세팅 값을 적용하거나,
    상기 수평 상태에서 단말기의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는 필기 세팅 값을 적용하고 나머지 모드에는 지우개 세팅 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회전 제어를 지원하는 터치 시스템.
KR1020110116253A 2011-11-09 2011-11-09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 KR20130051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253A KR20130051098A (ko) 2011-11-09 2011-11-09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
CN201280054966.2A CN103917940A (zh) 2011-11-09 2012-11-08 控制屏幕旋转的方法及支持该方法的终端和触摸系统
IN945KON2014 IN2014KN00945A (ko) 2011-11-09 2012-11-08
BR112014011343A BR112014011343A8 (pt) 2011-11-09 2012-11-08 método para controlar rotação da tela e terminal e sistema de toque que suporta o mesmo
US13/671,921 US9785202B2 (en) 2011-11-09 2012-11-08 Method for controlling rotation of screen and terminal and touch system supporting the same
EP12191888.2A EP2592524A3 (en) 2011-11-09 2012-11-08 Method for controlling rotation of screen and terminal and touch system supporting the same
CA2854732A CA2854732A1 (en) 2011-11-09 2012-11-08 Method for controlling rotation of screen and terminal and touch system supporting the same
PCT/KR2012/009348 WO2013069967A1 (en) 2011-11-09 2012-11-08 Method for controlling rotation of screen and terminal and touch system supporting the same
JP2014540942A JP2015502602A (ja) 2011-11-09 2012-11-08 画面回転制御方法、並びにこれをサポートする端末機及びタッチシステム
AU2012336549A AU2012336549A1 (en) 2011-11-09 2012-11-08 Method for controlling rotation of screen and terminal and touch system supporting the same
RU2014118573/08A RU2598780C2 (ru) 2011-11-09 2012-11-08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ращением экрана и поддерживающие его терминал и воспринимающая касания систем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253A KR20130051098A (ko) 2011-11-09 2011-11-09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024A Division KR101899323B1 (ko) 2018-06-11 2018-06-11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098A true KR20130051098A (ko) 2013-05-20

Family

ID=4768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253A KR20130051098A (ko) 2011-11-09 2011-11-09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785202B2 (ko)
EP (1) EP2592524A3 (ko)
JP (1) JP2015502602A (ko)
KR (1) KR20130051098A (ko)
CN (1) CN103917940A (ko)
AU (1) AU2012336549A1 (ko)
BR (1) BR112014011343A8 (ko)
CA (1) CA2854732A1 (ko)
IN (1) IN2014KN00945A (ko)
RU (1) RU2598780C2 (ko)
WO (1) WO20130699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9430A (zh) * 2015-12-04 2016-05-04 苏州海博智能系统有限公司 用以控制旋转屏动作的智能卡与旋转屏控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4358B (zh) * 2013-05-17 2016-12-2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控制屏幕旋转的方法、装置和设备
DE102013220176A1 (de) 2013-10-07 2015-04-23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stimmen eines Zustands eines zu überwachenden Objekts
JP6252815B2 (ja) * 2014-06-06 2017-12-27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ウィンドウ表示位置を調節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端末
CN104765458B (zh) * 2015-04-15 2018-02-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对终端的状态信息进行提示的方法及装置
WO2017031647A1 (zh) * 2015-08-21 2017-03-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检测触摸方式的方法及装置
CN105468959A (zh) * 2015-11-20 2016-04-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解锁方法及解锁装置
JP2018067249A (ja) * 2016-10-21 2018-04-2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画像回転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406541A (zh) * 2016-10-27 2017-02-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设备屏幕旋转方法及装置
CN107025035B (zh) 2016-11-30 2020-02-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控制移动终端屏幕显示的方法及移动终端
CN108205378A (zh) * 2017-12-28 2018-06-2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翻转检测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091522A (ko) 2019-01-22 2020-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3395600B (zh) 2020-03-13 2023-01-2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的界面切换方法及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1321A (ja) 1989-11-30 1991-07-24 Hitachi Ltd 入出力装置
JPH08129557A (ja) 1994-10-31 1996-05-21 Toshiba Corp 携帯型電子読書装置
RU5656U1 (ru) * 1997-04-04 1997-12-16 Сергей Львович Востриков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корпуса компьютера и откидной панели с дисплеем
KR100312486B1 (ko) * 1998-11-13 2002-02-28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의자동회전장치와그회전방법
JP3463745B2 (ja) 1999-11-02 2003-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端末の表示画面制御装置
US7952569B2 (en) * 2002-08-08 2011-05-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of switching between multiple viewing modes in a multi-head computer system
JP2004163816A (ja) * 2002-11-15 2004-06-10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4240878A (ja) 2003-02-07 2004-08-26 Nec Corp 携帯型電子機器、表示方向切り替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948448B2 (en) * 2004-04-01 2011-05-24 Polyvision Corporation Portable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KR100651938B1 (ko) 2004-08-16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배향 제어장치, 방법 및 매체
KR20060096208A (ko) * 2005-03-03 2006-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
KR100738030B1 (ko) * 2005-10-10 2007-07-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영상 전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7844301B2 (en) 2005-10-14 2010-1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US20070252853A1 (en) 2006-04-28 2007-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screen orientation of user interface of portable device
KR100782075B1 (ko) * 2006-12-01 200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에서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US20090265671A1 (en) * 2008-04-21 2009-10-22 Invensense Mobile devices with motion gesture recognition
JP4876969B2 (ja) 2007-02-26 2012-02-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11566B1 (ko) * 2008-05-23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및 방법
CN101593037A (zh) * 2008-05-30 2009-12-02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指向装置及决定该指向装置的转动角度的方法
US8896632B2 (en) * 2008-09-12 2014-11-25 Qualcomm Incorporated Orienting displayed elements relative to a user
JP2010128140A (ja) * 2008-11-27 2010-06-10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0157038A (ja) * 2008-12-26 2010-07-15 Toshiba Corp 電子機器、入力制御方法
GB2467370B (en) 2009-02-03 2014-03-12 Kodak Alaris Inc Multiple screen display device and method
JP2010181556A (ja) * 2009-02-04 2010-08-19 Fujifilm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KR101580148B1 (ko) 2009-02-20 2015-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인식을 통한 단말기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1064891A (ja) * 2009-09-16 2011-03-3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1175453A (ja) 2010-02-24 2011-09-0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キーワード検索システム
KR20110101585A (ko) 2010-03-09 201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US20130176669A1 (en) * 2010-09-16 2013-07-11 Pioneer Corporation Terminal holding device
US8471869B1 (en) * 2010-11-02 2013-06-25 Google Inc. Optimizing display orientation
US20120254773A1 (en) * 2011-01-07 2012-10-04 Subramanian V Touch screen based interactive media sharing
US8872855B2 (en) * 2011-07-21 2014-10-28 Flipboard, Inc. Adjusting orientation of content regions in a page layout
JP6021800B2 (ja) 2011-08-10 2016-11-09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情報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9430A (zh) * 2015-12-04 2016-05-04 苏州海博智能系统有限公司 用以控制旋转屏动作的智能卡与旋转屏控制系统
CN105549430B (zh) * 2015-12-04 2021-06-29 苏州海博智能系统有限公司 用以控制旋转屏动作的智能卡与旋转屏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2602A (ja) 2015-01-22
RU2014118573A (ru) 2015-11-20
BR112014011343A8 (pt) 2017-06-20
RU2598780C2 (ru) 2016-09-27
AU2012336549A1 (en) 2014-05-01
EP2592524A3 (en) 2016-06-01
EP2592524A2 (en) 2013-05-15
CA2854732A1 (en) 2013-05-16
BR112014011343A2 (pt) 2017-06-13
IN2014KN00945A (ko) 2015-10-09
US20130113836A1 (en) 2013-05-09
WO2013069967A1 (en) 2013-05-16
CN103917940A (zh) 2014-07-09
US9785202B2 (en)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1098A (ko)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
KR101899323B1 (ko)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
KR101691478B1 (ko) 통합 입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20170357473A1 (en) Mobile device with touch screen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083072B2 (ja) スマートエアマウス
US956906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US201403472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pplications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8055408B (zh)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20130019192A1 (en) Pickup hand detection and its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s
EP3136214A1 (en) Touch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CN109407932B (zh) 一种图标移动方法及移动终端
CN102402328A (zh) 信息处理装置、程序以及控制方法
US10642408B2 (en) Mobile terminal having an underwater mode
KR20150004123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멀티윈도우 제어방법
US2015002663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inpu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4012694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
CN110417960B (zh) 一种可折叠触摸屏的折叠方法及电子设备
JP7329150B2 (ja) タッチボタン、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WO2021082740A1 (zh) 进度调节方法及电子设备
WO2021037074A1 (zh) 音频输出方法及电子设备
WO2020155980A1 (zh) 控制方法及终端设备
KR20140134088A (ko)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및 장치
WO2021197262A1 (zh) 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0830063B (zh) 一种音频业务的干扰控制方法以及终端
US201402589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